KR20050020224A - 수동광네트워크에서의 망종단장치 및 장애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수동광네트워크에서의 망종단장치 및 장애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0224A
KR20050020224A KR1020030057987A KR20030057987A KR20050020224A KR 20050020224 A KR20050020224 A KR 20050020224A KR 1020030057987 A KR1020030057987 A KR 1020030057987A KR 20030057987 A KR20030057987 A KR 20030057987A KR 20050020224 A KR20050020224 A KR 20050020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unit
network
olt
manag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2541B1 (ko
Inventor
조광수
박태준
최수일
이형섭
이형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57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541B1/ko
Publication of KR20050020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5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3Arrangements for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a supervisory or additional signal
    • H04B10/0771Fault location on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7Arrangements for net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수동광네트워크에서의 망종단장치 및 장애처리방법이 개시된다. 네트워크 정합부는 수동광네트워크(Passive Optical Network)와 정합하여 프레임을 송수신한다. 이더넷 정합부는 가입자 단말장치와 정합하여 프레임을 송수신한다. 스위치부는 네트워크 정합부 및 이더넷 정합부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의 출력포트를 결정하고, 결정된 포트로 프레임을 출력한다. 초기화부는 네트워크 정합부, 이더넷 정합부 및 스위치부의 각각에 대하여 장애감지 및 소정의 제1차적 장애복구절차를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태스크(task)를 활성화시킨다. 중앙장애관리부는 태스크에 의해 감지된 장애 및 상기 제1차적 장애복구절차의 수행결과를 기초로 소정의 제2차적 장애복구절차를 수행한다. 이로써, 망종단장치내의 각 디바이스의 장애 발생시 1차적 장애복구절차 및 2차적 장애복구절차를 수행하여 빠른 장애복구가 이루어지고 망종단장치의 서비스제공의 연속성이 최대로 보장된다.

Description

수동광네트워크에서의 망종단장치 및 장애처리방법{Optical network unit in passive optical network and method for processing fault-tolerant control}
본 발명은 수동광네트워크(Passive Optical Network)의 망종단장치(Optical Network Uni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처리기능을 수행하는 망종단장치 및 망종단장치에서의 장애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동광네트워크(PON)는 광케이블 망을 통해 가입자단말장치로 신호를 전달하는 네트워크이다. 이 수동광네트워크는 광케이블의 종단위치에 따라 FTTC(Fiber To The Curb), FTTB(Fiber To The Building) 및 FTTH(Fiber To The Home) 등으로 나뉘어진다. PON은 통신회사에 설치되어 있는 한 대의 OLT(Optical Line Terminal)와 가입자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망종단장치(ONU:Optical Network Unit)로 구성되는데, 대개 최대 32개의 ONU가 한 대의 OLT에 연결될 수 있다. PON에서 passive 즉 "수동"이란 일단 신호가 네트워크를 통해 지나가기 시작하면 광전송을 위한 추가적인 전력 공급 및 활성(active) 전자부품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PON은 하향으로 622 Mbps, 상향으로 155 Mbps의 대역폭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대역폭은 다수의 PON 사용자들에게 할당될 수 있다. 또한 PON은 케이블TV 시스템과 같은 대규모 시스템과 인근의 빌딩 또는 동축케이블을 이용하는 가정용 이더넷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PON 망은 사용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ATM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APON, 이더넷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EPON, ATM과 이더넷을 동시에 수용하는 GPON으로 구분된다.
종래의 네트워크(ATM, PSTN등)의 망구성 노드들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장애에 대한 단순한 고장원인을 제공하는 알고리즘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복합적인 문제발생시 정확한 고장원인의 판단이 어려우므로 장비교체를 유발하고 이에 따른 유지보수의 고비용이 요구된다.
중요한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장애발생빈도가 다량으로 발생하면 종래의 장애처리를 위한 단순한 알고리즘의 동작으로 인해 짧은 시간동안 하드웨어 상태변화 트래픽이 다수발생된다. 이 경우에 광네트워크의 노드에 불필요한 트래픽이 증가되므로 네트워크 노드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망종단장치(ONU)에서 장애발생시 서비스 제공의 연속성을 최대한 보장하고 장애의 빠른 복구를 제공하며 OLT에 의한 시스템의 유지 및 관리부담을 최소화하는 장애처리기능을 포함하는 수동광네트워크(PON)의 망종단장치 및 장애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망종단장치(ONU)에서 장애발생시 서비스 제공의 연속성을 최대한 보장하고 장애의 빠른 복구를 제공하며 OLT에 의한 시스템의 유지 및 관리부담을 최소화하는 장애처리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광네트워크에서의 망종단장치의 일 실시예는, 수동광네트워크(Passive Optical Network)와 정합하여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정합부; 가입자 단말장치와 정합하여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이더넷 정합부; 상기 네트워크 정합부 및 상기 이더넷 정합부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의 출력포트를 결정하고, 결정된 포트로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는 스위치부; 상기 네트워크 정합부, 상기 이더넷 정합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각각에 대하여 장애감지 및 소정의 제1차적 장애복구절차를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태스크(task)를 활성화시키는 초기화부; 및 상기 태스크에 의해 감지된 장애 및 상기 제1차적 장애복구절차의 수행결과를 기초로 소정의 제2차적 장애복구절차를 수행하는 중앙장애관리부;를 갖는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처리방법의 일 실시예는, (a) 수동광네트워크의 OLT와의 송수신 장애, 가입자 단말장치와의 송수신 장애 및 상기 수동광네트워크 및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에 대한 스위칭동작에서 발생하는 장애를 각각 독립적으로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감지된 장애 내용에 따른 소정의 제1차적 장애복구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감지된 장애 내용 및 상기 제1차적 장애복구절차의 수행결과를 기초로 소정의 제2차적 장애복구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갖는다.
이로써, 망종단장치내의 각 디바이스의 장애 발생시 1차적 장애복구절차 및 2차적 장애복구절차를 수행하여 빠른 장애복구가 이루어지고 망종단장치의 서비스제공의 연속성이 최대로 보장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동광네트워크에서의 망종단장치 및 장애처리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광네트워크(EPON)에서의 망종단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망종단장치(Optical Network Unit:ONU)는 네트워크 정합부(100), 네트워크 장애관리부(105), 스위치부(110), 스위치 장애관리부(115), 이더넷 정합부(120), 이더넷 장애관리부(125), 중앙 장애관리부(130) 및 초기화부(135)로 구성된다.
초기화부(135)는 이더넷 수동광네트워크의 망종단장치(ONU)(160)에 전원이 인가되고 부팅(booting)이 시작되면 망종단장치(160)의 하드웨어보드를 초기화한다. 초기화부(135)는 플래쉬 메모리 검사, RS-232 터미널 출력기능 검사, 로컬이더넷통신검사 및 로컬버스검사 등의 보드 초기화를 위한 기본기능을 수행하고 수행결과를 전역(global)상태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초기화부(135)는 가입자 단말장치와 연결된 포트의 서비스 가용상태여부 및 포트별 장애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장애관리 데이터테이블(200,220,260)을 초기화한다. 장애관리 데이터테이블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초기화부(135)는 보드의 초기화를 수행한 후에 OLT(Optical Line Terminal)(140)와의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채널을 위한 송수신 디폴트채널(IP, MAC주소 설정)을 설정하고 메시지 송수신을 관리하는 독립된 프로세스(process)를 생성한다.
초기화부(135)는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물리계층, MAC(Media Access Control)계층 및 송수신 회로의 로직기능을 검사하며, 검사 도중에 장애를 발견하면 장애 내용을 IPC를 이용하여 OLT로 전송하고 망종단장치(160)를 재시동한다. 망종단장치(160)는 OLT(140)와 추가적인 광선로에 의해 연결되거나 광선로이외의 이더넷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안정적으로 장애 내용을 OLT(140)로 전송할 수 있다. 초기화부(135)는 장애가 발견된 경우에 장애내용을 망종단장치(160)의 기억장치에 저장하고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장애내용을 출력함으로써 관리자가 장애내용에 따른 복구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보드 초기화 및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초기화를 수행한 후, 초기화부(135)는 스위치부(110)의 초기화를 수행한다. 초기화부(135)는 이더넷 저속가입자 단말장치와의 물리계층, MAC 계층의 송수신 인터페이스 동작여부 , 기가비트속도의 프레임 조립/분해기능, 데이터/제어 버스동작여부 및 트래픽 흐름제어를 위한 패킷 메모리동작여부를 검사한다. 초기화부(135)는 검사도중에 장애를 감지하면 OLT(140)로 장애내용을 전송하고 망종단장치(160)를 재시동한다. 또한 초기화부(135)는 장애 내용을 저장한다.
이로써, 초기화부(135)는 망종단장치(160)의 보드초기화, 네트워크 정합부(100) 및 스위치부(110)의 초기화를 완료한다.
상기한 초기화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초기화부(135)는 네트워크 정합부(100), 스위치부(110) 및 이더넷 정합부(120)의 정확한 장애원인파악과 신속한 장애복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각 디바이스별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태스크(task)를 활성화시킨다. 즉,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장애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장애관리부(105), 스위치부(110)의 장애관리를 위한 스위치 장애관리부(115) 및 이더넷 정합부(120)의 장애관리를 위한 이더넷 장애관리부(125)를 활성화시킨다. 초기화부(135)는 동적 프로세서 메모리의 접근여부 및 사용자 프로그램의 비정상적인 동작 프로세스 종료등을 감시하기 위한 태스크 등을 활성화시켜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장애 관리를 위한 태스크의 활성화가 완료되면 초기화부(135)는 망종단장치(160) 장애의 전반적인 관리를 수행하는 중앙장애관리부(130)를 활성화시킨다.
여기서 태스크는 운영체계가 제어하는 프로그램의 기본 단위를 말한다. 운영체계를 설계할때, 태스크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서 단위 프로그램은 전체 프로그램이 될 수도 있고 계속되는 프로그램의 호출이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네트워크 정합부(100), 스위치부(110), 이더넷 정합부(120) 및 중앙장애관리부(130)와 각 디바이스의 장애를 감지하는 태스크인 네트워크 장애관리부(105), 스위치 장애관리부(115) 및 이더넷 장애관리부(125)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네트워크 정합부(100)는 수동광네트워크(EPON: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와 정합하여 프레임을 송수신한다. 수동광네트워크(PON)는 광케이블 망을 통해 가입자단말장치로 신호를 전달하는 네트워크이다. PON은 통신회사에 설치되어 있는 한 대의 OLT(Optical Line Terminal)와 가입자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망종단장치(ONU:Optical Network Unit)로 구성되는데, 대개 최대 32개의 ONU가 한 대의 OLT에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은 주소와 필수적인 프로토콜 제어정보가 포함된 완전한 하나의 단위로서 네트워크 지점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이다. 수동광네트워크에서의 프레임은 논리선로식별자(LLID:Logical Link ID) 및 MAC(Media Access Control)주소를 포함하며 OLT는 논리선로식별자를 이용하여 각각의 망종단장치를 식별한다.
스위치부(110)는 네트워크 정합부(100), 이더넷 정합부(120) 및 중앙장애관리부(130)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를 기초로 출력포트를 결정한다.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는 MAC주소 또는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을 위한 IP(Internet Protocol)주소로 구성된다. 스위치부(110)는 고속의 이더넷과 직접 연결되고 저속의 이더넷과 이더넷 정합장치를 통하여 연결된다. 스위치부의 처리속도가 고속이므로 스위치부와 저속의 이더넷을 직접 연결시 스위치부의 처리속도면에서 비효율적이다. 그러나, 스위치부(110)가 저속의 이더넷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면 저속의 이더넷을 직접 스위치부에 연결 가능하다.
이더넷 정합부(120)는 스위치부와 가입자 단말장치가 속해있는 저속의 이더넷사이에 위치하여 프레임을 송수신한다.
네트워크 장애관리부(105)는 네트워크 정합부(100)와 OLT(140)사이의 프레임 송수신 장애를 감지하면 소정의 장애극복절차를 수행하고, 장애내용 및 장애극복절차의 결과를 중앙장애관리부(130)로 전송한다. 송수신 장애는 망종단장치(160)의 자체적인 장애 및 OLT의 장애에 의한 송수신 장애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장애관리부(105)는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송수신 장애와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물리계층에서의 프레임 수신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한다. 이벤트는 프로그램에 의해 감지되는 어떤 행동이나 발생된 사건 등을 가리킨다.
네트워크 장애관리부(105)는 송수신 장애 및 프레임 수신을 감지하면 송수신 장애 내용에 따라 장애관리 데이터테이블(200,220,260)의 해당하는 필드에 장애내용 및 송수신 패킷에 관련된 내용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애관리부는 프레임을 수신하면 수신 패킷수(238)를 누적하고, 프레임을 송신하면 송신 패킷수(236)를 누적한다. 네트워크 장애관리부(105)는 장애 내용 및 프레임 수신 내용 등을 중앙장애관리부(130)로 전송하면, 중앙장애관리부(130)가 장애관리 데이터테이블(200,220,260)에 수신된 장애 내용 등을 기록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네트워크 장애관리부에 의한 네트워크 정합부의 장애감지 및 장애극복절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네트워크 장애관리부(105)는 감지한 이벤트가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장애로 인한 인터럽트 이벤트이면 우선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물리계층에서의 동기화 및 송수신 큐값의 초기화를 수행하고 장애 내용을 저장한다. 네트워크 장애관리부(105)는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장애로 인한 송수신장애 인터럽트 이벤트를 연속하여 3회이상 감지하면 중앙장애관리부(130)로 장애내용을 전송하고 네트워크 정합부(100)를 재시동한다.
네트워크 장애관리부(105)는 감지한 이벤트가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장애발생 인터럽트 이벤트이고 장애내용이 OLT측에 의한 송수신 장애인 경우에 소정의 검사메시지를 3회정도 OLT(140)로 전송하고 검사메시지 전송에 대한 응답메시지의 수신여부로 OLT(140)의 장애극복여부를 조사한다. 검사메시지는 망종단장치(160)와 OLT(140)사이의 송수신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므로 송수신의 기능을 수행할 정도의 정보만을 포함하는 프레임이면 된다.
OLT(140) 및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하드웨어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짧은 주기로 다량의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마다 망종단장치(160)의 상태 정보에 관한 프레임이 전송되어 결과적으로 다량의 프레임이 OLT(140)로 전송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장애관리부(105)는 망종단장치가(160)가 검사메시지만을 송수신하는 검사상태모드를 중앙장애관리부(130)에 요구하고, 중앙장애관리부(130)는 스위치부(110)에게 검사메시지를 제외한 다른 메시지를 필터링하도록 제어한다.
네트워크 장애관리부(105)는 검사메시지의 송수신에 의해 장애가 극복된 것으로 파악하고 장애해제가 일정시간동안 유지되면 검사상태를 정상상태로 변경한 후 장애내용 및 장애극복결과를 중앙장애관리부(130)로 전송하고, 장애가 극복되지 않았으면 중앙장애관리부(130)는 장애의 상세정보를 OLT(140)로 전송한다.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스위치부(110)의 스위칭동작 및 로컬버스로의 출력과정에서의 장애가 발생하면 소정의 장애극복절차를 수행하고, 장애 내용 및 장애극복절차의 결과를 중앙장애관리부(130)로 전송한다. 또한,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스위치부의 장애를 감지하면 감지된 장애 내용에 따라 장애관리 데이터테이블(200,220,260)의 해당하는 필드에 장애내용을 저장한다.
이하에서, 스위치 장애관리부(115)에 의한 스위치부의 장애감지 및 장애극복절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스위치부(110)가 네트워크 정합부(100), 이더넷 정합부(120) 및 장애제어관리부(130)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의 출력포트를 결정하면 출력포트를 기초로 포트별 장애관리 데이터테이블을 참조하여 출력포트가 서비스 가용상태인지를 파악한다. 스위치 장애관리부(115)에 의해 파악된 출력포트의 상태가 서비스 가용상태이고 프레임의 목적지가 중앙장애관리부(130)이면 스위치부(110)는 DMA(Direct Memory Access)인터럽트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장애제어관리부(130)로 전송한다. 프레임의 목적지가 중앙장애관리부(130)가 아닌 경우에 스위치부(110)는 프레임의 목적지가 연결된 포트로 프레임을 출력한다.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스위치부(110)의 각 포트의 프레임 송수신에 상태 데이터를 업데이트(update)한다.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프레임의 출력포트의 상태가 서비스 비가용상태이면 프레임을 폐기하고 누적프레임폐기계수를 1증가하고 프레임폐기정보를 장애관리 데이터 테이블에 저장한다. 누적프레임폐기계수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면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출력포트의 비가용상태를 중앙장애관리부(130)로 전송한다.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스위치부(110)가 중앙장애관리부(130)로부터 목적지가 OLT(140)인 프레임을 수신하면 OLT(140)와 연결되는 포트의 가용상태여부를 파악한다. 스위치 장애관리부(115)에 의해 OLT(140)와 연결된 포트의 상태가 서비스 가용상태로 파악되면 스위치부(110)는 프레임을 OLT(140)로 전송하고, 스위치 장애관리부(115)에 의해 OLT(140)와 연결된 포트의 상태가 비가용상태로 파악되면 프레임을 폐기하고 프레임폐기 정보를 중앙장애관리부(130)로 전송한다.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스위치부(110)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장애에 의한 인터럽트를 감지하면 장애의 원인을 파악한다. 스위치부(110)의 장애는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버스 및 로컬버스의 액세스 에러와 송수신 데이터 큐의 오버플러우(overflow)에러를 포함한다. 장애 인터럽트가 PCI 버스 및 로컬버스 액세스 에러에 의한 경우에 스위치 장애관리부(1150)는 스위치부(110)의 서비스 가용상태여부를 파악하여, 스위치부(110)가 서비스 비가용상태이면 스위치부(110)를 재시동하고 스위치부(110)가 서비스 가용상태이면 PCI버스의 접근을 재시도한다.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PCI 버스 접근의 재시도마다 PCI 계수를 1씩 증가하고 PCI 계수가 10회 이상이면 스위치부(110)를 재시동한다.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스위치부(110)의 송수신 데이터 큐의 오버플러우 에러를 감지하면 오버플러우에 의한 폐기프레임 계수를 저장하고 일정시간 간격으로 트래픽에 영향을 주지 않는 시간에 중앙장애관리부(130)로 오버플로우 장애내용을 전송한다.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감지한 인터럽트가 스위치부(110)에 의한 버스접근에러 및 오버플로우에러가 아닌 경우에 의해 발생하고 스위치부(110)가 서비스 가용상태이면 장애 등급이 낮은 것으로 판단하여 트래픽 처리를 계속해서 수행함으로써 서비스의 연속성을 제공한다. 이 경우에 스위치부(110)의 서비스 상태가 비가용상태로 변경되면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스위치부(110)의 서비스 비가용상태를 중앙장애관리부(130)로 전송한다.
이더넷 장애관리부(125)는 이더넷 정합부(120)와 가입자 단말장치(150)와의 송수신 장애를 감지하면 장애극복절차를 수행하고 장애 내용 및 장애극복절차의 결과를 중앙장애관리부(130)로 전송한다. 장애극복절차에는 송수신 재시도, 이더넷 정합부의 초기화 및 재시동이 있다. 또한, 이더넷 장애관리부(115)는 이더넷 정합부의 장애를 감지하면 감지된 장애 내용에 따라 장애관리 데이터테이블(200,220,260)의 해당하는 필드에 장애내용을 저장한다.
중앙장애관리부(130)는 IPC 제어부(132)와 장애관리부(134)로 구성된다. IPC 제어부(132)는 IPC 메시지를 구별하고, IPC 메시지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정합부(100), 이더넷 정합부(120), 스위치부(110) 및 OLT(140)사이의 장애 관련 메시지는 IPC 프레임 형태로 송수신된다. 장애관리부(134)는 네트워크 정합부(100), 이더넷 정합부(120) 및 스위치부(110)를 제어하고 망종단장치(160)의 전반적인 장애를 관리한다. 이하에서, IPC 제어부(132) 및 장애관리부(134)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IPC 제어부(132)는 네트워크 정합부(100), 이더넷 정합부(120) 및 스위치부(110)로부터 전송되는 장애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IPC 제어부(132)는 OLT(140)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정보요구메시지를 수신한다. 장애 메시지 및 정보요구 메시지는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 프레임 형태로 전송되며, 장애 메시지 전송을 위한 다른 프로토콜이 존재하면 각 프로토콜에 적법한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먼저, IPC 제어부(132)가 장애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장애관리부(134)는 IPC 제어부(132)가 수신한 장애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장애 등급에 따라 분류하여 장애 등급이 높은 경우에는 장애를 발생한 각 디바이스(네트워크 정합부(100), 이더넷 정합부(120) 및 스위치부(110))에 대하여 초기화 및 재시동 등의 장애복구절차를 직접 수행한다. 따라서 1차적으로 각 디바이스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태스크(네트워크 장애관리부(105), 이더넷 장애관리부(115) 및 스위치 장애관리부(125))에 의해 장애극복절차가 수행되고 2차적으로 장애관리부(134)에 의해 장애극복절차를 수행함으로써 OLT(140)에 의한 망종단장치(160)의 장애관리부담을 감소하고 망종단장치(160)의 빠른 장애 복구에 의해 서비스의 연속성을 향상시킨다. 장애복구절차는 각 디바이스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장애관리부(134)는 직접적인 장애복구절차의 수행 결과 장애가 극복되었다면 장애 내용 및 장애복구 내용을 장애관리 데이터테이블(200,220,260)에 저장하고, 장애가 극복되지 않았다면 장애의 상세내용을 OLT(140)로 전송한다.
장애관리부(134)는 장애 메시지의 수신여부와 관계없이 폴링태스크(polling task)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각 디바이스의 상태를 점검하고 점검 결과를 일정 시간간격으로 OLT(140)로 전송한다. 이로써, OLT(140)는 망종단장치(160)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망종단장치(160)의 관리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IPC 제어부(132)가 OLT(140)로부터 소정의 정보요구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정보요구메시지는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장애 및 성능에 관한 정보를 요구하는 메시지와 가입자 단말장치(150)와 연결된 포트의 장애 및 성능에 관한 정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포함한다.
장애관리부(134)는 IPC 제어부(132)가 네트워크 정합부(100)에 관한 정보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망종단장치(160)의 가용상태 여부 및 네트워크 정합부의 정상상태 여부를 파악한다. 망종단장치(160)가 가용상태이고 네트워크 정합부(100)가 정상상태이면 장애관리부(134)는 정보요구 메시지에서 요구하는 정보 및 현재의 망종단장치(160)의 시스템 시간을 IPC 메시지로 생성한다. 생성된 IPC 메시지는 IPC 제어부(132)에 의해 OLT(140)로 전송된다.
OLT(140)의 정보요구메시지에 통계계수파라미터에 대한 리셋요구가 포함되어 있으면 관련된 통계계수파라미터를 모두 0으로 초기화한다. 통계계수파라미터는 포트정보테이블(220) 및 장애통계정보테이블(260)에 포함된 송신 패킷수, 송신충돌 패킷수등을 가리킨다.
장애관리부(134)는 망종단장치(160)가 비가용상태이거나 네트워크 정합부(100)가 검사상태모드인 경우에는 정보요구메시지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서비스 불가능 정보를 OLT(140)로 전송한다.
장애관리부(134)는 IPC 제어부(132)가 가입자 단말장치(150)와 연결된 포트에 관한 정보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망종단장치(160)의 가용상태 여부 및 가입자 단말장치(150)와 연결되는 포트의 등록여부를 장애관리 데이터테이블(200,220,260)을 참조하여 조사한다. 가입자 단말장치(150)와 연결되는 포트는 가입자 단말장치(150)와 송수신을 위한 IP 주소 또는 MAC 주소등이 설정되고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장애관리부(134)는 망종단장치(160)가 가용상태이고 포트가 등록되어 있으면 정보요구 메시지에서 요구하는 정보 및 현재 망종단장치(160)의 시스템 시간을 IPC 메시지로 생성한다. 생성된 IPC 메시지는 IPC 제어부(132)에 의해 OLT(140)로 전송된다. 장애관리부(134)는 정보요구메시지에 통계계수 파리미터 리셋요구가 있으면 관련된 통계계수를 모두 0으로 초기화한다. 통계계수파라미터는 포트정보테이블(220) 및 장애통계정보테이블(260)에 포함된 송신 패킷수, 송신충돌 패킷수등을 가리킨다.
장애관리부(134)는 망종단장치(160)가 비가용상태이거나 정보요구메시지에서 요구하는 포트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정보요구메시지에 대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없다는 서비스 불가능 메시지를 OLT(140)로 전송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관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장애관리데이터 테이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데이터 구조는 식별자 및 각종 주소를 포함하는 헤더(200), 가입자 단말장치와 연결되는 포트에 관한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포트정보테이블(220) 및 각 포트의 장애에 관련된 통계정보가 저장되는 장애통계정보테이블(260)로 나누어진다.
헤더(200)은 망종단장치(160)의 논리선로식별자(LLID)(202), MAC 주소(204), 망종단장치의 하드웨어 종류(206), 망종단 장치의 서비스 상태(208), IP 주소(210) 및 포인터(212)로 구성된다.
논리선로식별자(202)는 망종단장치(160)를 구별하는 논리 식별자로서 0부터 1023사이의 정수값이다. OLT(140)는 논리선로식별자(202)를 이용하여 망종단장치를 구분한다. MAC(Media Access Control)주소(204)는 가입자 단말장치(150)의 하드웨어 주소를 말한다. 망종단장치(160)의 하드웨어 종류필드(206)는 망종단장치에 멀티미디어(케이블 텔레비전기능등)하드웨어의 기능 부가시 부가된 하드웨어정보를 나타내는 정보필드이다. 망종단장치(160)의 서비스상태(208)는 가용/비가용으로 구분되고 가용은 현재 망종단장치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함을 의미하며 비가용은 망종단장치(160)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 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IP 주소(210)는 망종단장치(160)와 OLT(140) 사이의 제어 및 장애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IPC 통신을 위하여 사용된다. 포인터(212)는 포트정보테이블(220)을 인덱싱기법으로 참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포트정보테이블(220)은 물리포트번호(222), 서비스 가용/비가용 여부(224), 소프트웨어 장애 발생 횟수(226), 하드웨어 장애발생 횟수(228), 장애 등급별 통계(230), 시스템 시간 정보(232), 표시램프 알람구동여부(234), 송신패킷수(236), 수신패킷수(238) 및 장애통계정보 참조포인터(240)로 구성된다. 포트정보테이블(220)은 이 외의 다른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리포트번호(222)는 망종단장치(160) 포트의 식별정보이며, 서비스 가용/비가용 여부(224)는 물리포트번호에 해당하는 포트의 서비스 가능여부를 나타낸다. 표시램프알람구동여부(234)는 포트의 장애발생시 표시램프에 의해 외부로 장애발생사실을 통지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이 외에 포트에서의 송수신 패킷수(236,238), 포트의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장애발생횟수(226,228)가 포트정보테이블(220)에 기록된다. 또한, 네트워크 장애관리부(105), 스위치 장애관리부(115), 이더넷 장애관리부(125)에 의해 감지된 장애내용은 포트정보테이블 및 장애통계정보테이블의 각 해당하는 필드에 저장된다.
포트정보테이블(220)의 참조포인터(240)에 의해 참조되는 장애통계정보테이블(260)은 송신지연패킷수(262), 송신충돌패킷수(264), 송신에러패킷수(266), 수신 CRC 에러패킷수(268), 수신길이 에러패킷수(270) 및 기타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상세정보 데이터(272)로 구성된다. MIB는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이용하여 관리될 수 있는 일련의 네트워크 객체들에 대한 형식적인 설명이다. MIB의 형식은 SNMP의 일부로서 정의되어 있다.
망종단장치의 각 디바이스(네트워크 정합부(100), 스위치부(110), 이더넷 정합부(120))의 장애로 인한 송수신 패킷 지연수, 송수신 에러 패킷수 등의 장애 내용은 장애통계정보테이블(260)의 각각 해당하는 필드에 저장된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IPC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IPC 프레임(280)은 이더넷 헤더(282), IP 헤더(284), UDP 헤더(286), IPC 헤더(288), IPC 데이터(290) 및 CRC필드(292)를 포함한다. 이더넷 헤더(282), IP 헤더(284), UDP 헤더(286) 및 IPC 헤더(288)는 각각의 프로토콜의 정의에 따라 구성된다.
UDP(User Datagarm Protocol)는 IP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내에서 컴퓨터들 간에 메시지들이 교환될 때 제한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통신 프로토콜이다. UDP는 TCP의 대안이며, IP와 함께 쓰일 때에는 UDP/IP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TCP와 마찬가지로 UDP도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그램이라고 불리는 실제 데이터 단위를 받기 위해 IP를 사용한다. CRC(Cyclic Redundancy Checking)(292)는 통신 링크로 전송되어온 데이터 내에 에러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망종단장치의 초기화 과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초기화부(135)는 망종단장치(160)의 보드의 초기화를 수행한다(S300). 보드의 초기화는 플래쉬 메모리 검사, RS-232 터미널 출력기능 검사, 로컬이더넷통신검사 및 로컬버스검사 등의 보드 초기화를 포함한다.
보드 초기화 후, 초기화부(135)는 장애관리 데이터 테이블(200,220,260)의 초기화를 수행한다(S302). 장애관리 데이터 테이블(200,220,260)은 망종단장치(160)의 서비스 상태 및 가입자 단말장치(150)와 연결되는 각 포트의 상태정보를 포함한다. 장애관리 데이터 테이블(200,22,260)은 도 2a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초기화부(135)는 OLT(140)와의 IPC 통신을 위한 송수신 채널을 설정한다(S304). 망종단장치(160)는 IPC 통신을 이용하여 OLT(140)로 망종단장치(160)의 장애 내용을 전송하고 OLT(140)로부터 정보요구메시지를 수신한다.
초기화부(135)는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초기화 및 초기화 수행 중의 하드웨어 오류를 감지한다(S306).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초기화는 MAC 계층, 기가비트광송수신 회로 로직기능 검사를 포함한다. 초기화부(135)는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장애를 감지하면(S308), OLT(140)로 장애 내용을 전송하고(S320) 망종단장치(160)를 재시동한다(S322).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초기화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S308), 초기화부(135)는 스위치부(110)의 초기화 및 초기화 수행 도중의 오류를 감지한다(S310). 스위치부(110)의 초기화는 이더넷 저속가입자 물리계층, MAC 계층의 송수신 인터페이스동작여부 및 트래픽 흐름제어를 포함한다. 초기화부(135)는 초기화 수행 중에 장애를 감지하면(S312), OLT(140)로 장애내용을 전송하고(S320) 망종단장치(160)를 재시동한다(S322).
초기화부(135)에 의해 상기한 보드의 초기화, 네트워크 정합부(100) 및 스위치부(110)의 초기화가 완료되면, 초기화부(135)는 네트워크 정합부(100), 스위치부(110) 및 이더넷 정합부(120)의 장애 관리를 위한 태스크(task)를 생성한다(S314, S316, S318). 태스크 생성과정에서 장애가 발생하면(S324) 초기화부(135)는 OLT(140)로 장애내용을 전송하고(S330) 망종단장치(160)를 재시동한다(S332).
초기화부(135)에 의해 장애관리를 위한 태스크들이 정상적으로 생성되면(S324), 초기화부(135)는 망종단장치(160)의 초기화가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OLT(140)로 전송하고(S328) 중앙장애관리부(130)를 활성화시킨다(S328).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망종단장치의 네트워크 장애관리부에서 장애처리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장애관리부(105)는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장애로 인한 인터럽트 이벤트와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프레임 수신 이벤트를 감지한다(S400). 이벤트는 프로그램에 의해 감지되는 어떤 행동이나 발생된 사건 등을 가리킨다.
감지된 이벤트가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장애로 인한 인터럽트 이벤트인 경우(S402) 및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송수신 장애가 OLT(140)의 장애로 인한 경우에(S404), 네트워크 장애관리부(105)는 OLT(140)의 장애극복여부의 파악하기 위하여 검사메시지를 OLT(140)로 3회정도 전송한다(S406). 검사메시지의 송신으로 OLT(140)가 정상적인 송수신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면(S408), 네트워크 장애관리부(105)는 장애 복구 내용을 중앙장애관리부(130)로 전송한다(S412). 장애가 극복되지 않으면(S408) 네트워크 장애관리부(105)는 OLT(140)의 장애로 정상적인 송수신을 할 수 없다는 장애 내용을 중앙장애관리부(130)로 전송한다.
네트워크 장애관리부(105)가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송수신장애로 인한 인터럽트 이벤트를 감지하고(S402)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송수신 장애가 네트워크 정합부(100) 자체의 장애로 인한 경우에는(S406), 네트워크 장애관리부(105)는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물리층 동기화 및 송수신 큐값의 초기화를 수행하고(S420) 장애발생계수를 1증가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장애관리부(105)는 장애내용을 중앙장애관리부(130)로 전송한다(S422).
네트워크 장애관리부(105)가 연속하여 3회정도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송수신 장애로 인한 인터럽트 이벤트를 감지하면(S414) 중앙장애관리부(130)로 장애 내용을 전송하고(S416) 네트워크 정합부(100)를 재시동한다(S418).
네트워크 장애관리부(105)가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프레임 수신 이벤트를 감지하면, 네트워크 정합부(100)는 프레임을 스위치부(110) 또는 OLT(140)로 전송하고(S424) 네트워크 장애관리부(105)는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장애발생 계수를 0으로 초기화한다(S426).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망종단장치의 스위치 장애관리부에서 장애처리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스위치부가 네트워크 정합부 및 이더넷 정합부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의 장애처리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스위치부(110)는 네트워크 정합부(100) 또는 이더넷 정합부(120)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고(S500) 수신한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를 기초로 출력포트를 결정한다(S502).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결정된 출력포트의 상태정보를 장애관리 데이터 테이블(200,220,260)로부터 독출한다(S502). 장애관리 데이터 테이블(200,220,260)은 도 2a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출력포트의 상태가 서비스 가용상태이고(S504) 스위치부(110)가 수신한 프레임의 목적지가 중앙장애관리부(130)이면(S506), 스위치부(110)로 하여금 DMA(Direct Memory Access)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중앙장애관리부(130)로 전송하도록 한다(S508). 그리고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출력포트의 프레임 송수신 통계 데이터를 저장하고 향후 중앙장애관리부(130)로부터 통계정보요구가 있으면 정보를 제공한다(S510).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출력포트의 상태가 서비스 가용상태이고(S504) 프레임의 목적지가 중앙장애관리부(130)가 아니면(S506), 스위치부(110)로 하여금 출력포트로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하고 출력포트의 송신 통계 데이터를 저장한다(S512).
스위치부(110)에 의해 결정된 프레임의 출력포트의 상태가 서비스 비가용상태이면(S504), 수신한 프레임을 폐기하고 프레임 폐기 계수를 누적한다(S514).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프레임 폐기 계수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이면 포트의 비가용상태를 중앙장애관리부(130)로 전송한다(S516).
도 5b는 스위치부(110)가 중앙장애관리부(130)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의 장애처리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스위치부(110)는 중앙장애관리부(130)의 IPC 제어부(132)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한다(S518).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OLT(140)와 연결된 포트의 상태가 서비스 가용상태이면(S520), 스위치부(115)로 하여금 프레임을 OLT(140)로 전송하도록 하고(S522), OLT(140)와 연결된 포트의 상태가 서비스 비가용상태이면(S520),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프레임을 폐기하고 프레임 폐기 통계 정보를 저장하며 향후에 중앙장애관리부(130)로부터 통계정보요구시 저장된 정보를 전송한다(S526).
도 5c는 스위치부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장애처리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스위치부(110)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장애로 인한 인터럽트 이벤트를 감지한다(S550). 스위치부(110)의 인터럽트 이벤트는 PCI 버스 및 외부로컬 버스 액세스 에러에 의한 인터럽트 이벤트와 스위치부(110)의 송수신 데이터 큐(Queue)의 오버플로우(overflow)에 의한 인터럽트 이벤트를 포함한다.
스위치 장애관리부(115)가 PCI 버스 및 외부로컬버스 액세스 에러에 의한 인터럽트 이벤트를 감지하면(S552)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스위치부(110)의 상태가 서비스 가용상태인가를 파악한다(S554). 스위치부(110)의 상태가 서비스 가용상태이면(S554), PCI 버스로의 액세스를 재시도하고(S558) PCI 재시도 계수를 누적한다(S560). PCI 재시도 계수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이면(S562)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스위치부(110)를 재시동한다(S556). 스위치부(110)의 재시동을 위한 PCI 계수의 임계값은 망종단장치(160)의 관리에 적합한 값으로 설정된다.
스위치 장애관리부(115)가 PCI 버스 및 외부로컬버스 액세스 에러에 의한 인터럽트 이벤트(S552) 및 스위치부(110)의 비가용상태를 감지하면(S554), 스위치 장애관리부(130)는 스위치부(110)를 재시동한다(S556).
스위치 장애관리부(115)가 스위치부(110)의 송수신 데이터 큐(queue)의 오버플로우(overflow)에 의한 인터럽트 이벤트를 감지하면(S564), 오버플로우 상태에서 스위치부(110)가 수신한 프레임을 폐기하고, 오버플로우에 의한 프레임 폐기 계수를 누적한다(S566). 그리고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일정시간간격으로 오버플로우 장애 내용을 중앙장애관리부(130)로 전송한다(S568). 오버플로우 장애 내용을 전송한 후 중앙장애관리부(130)는 PCI 재시도 계수를 초기화한다(S574).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PCI 버스 및 외부로컬 액세스 에러와 스위치부(110)의 송수신데이터 큐의 오버플로우에 의한 에러 이외의 에러에 의해 발생한 인터럽트 이벤트를 감지하면(S552, S564), 스위치부(110)의 상태가 서비스 가용상태인지를 파악한다(S570). 스위치부(110)의 상태가 서비스 가용상태이면(S570), 중요하지 않은 장애로 인한 인터럽트 이벤트의 발생으로 간주하고 스위치부(110)는 서비스를 계속하여 제공한다. 스위치부(110)의 상태가 서비스 비가용상태이면(S750), 스위치 장애관리부(115)는 스위치부(110)의 비가용상태를 중앙장애관리부(130)로 전송한다(S572).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망종단장치의 중앙장애관리부에서 장애처리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중앙장애관리부(130)가 장애 메시지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의 장애처리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중앙장애관리부(130)는 네트워크 정합부(100), 스위치부(110) 및 이더넷 정합부(120)로부터 장애 메시지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한다(S600). 그리고 중앙장애관리부(130)는 수신한 프레임의 장애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장애등급에 따라 구분한다(S602). 중앙장애관리부(130)는 장애 메시지의 장애 등급이 높은 경우에 직접 장애가 발생한 디바이스(네트워크 정합부(100), 이더넷 정합부(120) 및 스위치부(110))의 복구를 시도하여 장애가 극복되면(S604) 장애발생 내용 및 장애 복구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S608). 장애가 극복되지 않으면(S604) 장애 발생 상세 내역을 OLT(140)로 전송한다(S606).
도 6b는 중앙장애관리부의 장애정보수집과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중앙장애관리부(130)는 장애 메시지의 수신여부와 관계없이 폴링태스크(polling task)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각 디바이스(네트워크 정합부(100), 이더넷 정합부(120) 및 스위치부(110))의 상태를 점검하고 점검 결과를 저장한다(S610). 그리고 중앙장애관리부(130)는 저장된 디바이스의 점검 결과를 일정 시간간격으로 OLT(140)로 전송한다(S612).
도 6c는 중앙장애관리부가 OLT로부터 소정의 정보요구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의 정보요구메시지에 대한 처리과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c를 참조하면, 정보요구메시지에는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성능정보를 요구하는 메시지 및 가입자 단말장치(150)와 연결된 포트의 장애/성능 요구메시지가 있다.
중앙장애관리부(130)가 OLT(140)로부터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성능정보요구메시지를 수신하면(S650), 망종단장치(160)의 서비스 가용상태 및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정상상태여부를 파악한다(S652). 망종단장치(160)의 서비스 상태가 가용상태이고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상태가 정상상태인 경우에(S652), 중앙장애관리부(130)는 성능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분석하여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별 통계정보 및 시스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한다(S654). 중앙장애관리부(130)는 생성된 프레임을 OLT(140)로 전송한다(S656). OLT(140)로부터 수신한 성능요구메시지의 파라미터 중 리셋요구가 포함되어 있다면 성능관련 모든 계수를 초기화한다(S658).
중앙장애관리부(130)가 OLT(140)로부터 네트워크 정합부(100)의 성능정보요구메시지를 수신하고(S650), 망종단장치(160)의 서비스상태가 비가용상태이거나 네트워크 정합부(100)가 정상상태가 아닌경우에(S652), 중앙장애관리부(130)는 OLT(140)의 성능요구메시지에 대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없다는 서비스 불가능 메시지를 OLT(140)로 전송한다(S660).
중앙장애관리부(130)는 OLT(140)로부터 가입자 단말장치(150)와 연결된 포트의 장애/성능정보요구메시지를 수신하면(S662), 망종단장치(160)의 서비스 상태 및 가입자와 연결된 포트의 등록상태를 파악한다(S664). 망종단장치(160)의 상태가 서비스 가용상태이고 가입자단말장치(150)와 연결된 포트가 등록되어 있다면(S664), 중앙장애관리부(130)는 가입자 단말장치(150)와 연결된 포트에 대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고(S666) 생성된 프레임을 OLT(140)로 전송한다(S668). 성능정보요구메시지의 파라미터 중 리셋요구가 있으면 성능에 관련된 계수를 초기화한다(S670).
중앙장애관리부(130)는 OLT(140)로부터 가입자 단말장치(150)와 연결된 포트의 장애/성능정보요구메시지를 수신하고(S662), 망종단장치(160)의 서비스 상태가 비가용상태이거나 가입자와 연결된 포트가 미등록된 상태이면, OLT(140)의 성능정보요구메시지에 대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없다는 서비스 불가능 메시지를 생성하여 OLT(140)로 전송한다(S672).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망종단장치를 구성하는 각 디바이스에 대하여 독립적인 장애감지 및 장애극복절차를 수행하므로 각 디바이스의 장애 발생시 빠른 복구가 이루어진다. 망종단장치는 각 디바이스에 대하여 1차적 장애복구절차 및 2차적 장애복구절차를 수행하므로 망종단장치의 서비스제공의 연속성이 최대로 보장된다.
또한, OLT의 망종단장치 관리부담이 분산되므로 관리비용이 감소된다. 본 발명은 OLT와의 송수신장애시 소정의 검사메시지만을 송수신하므로 불필요한 트래픽의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망종단장치가 하나의 규범화된 데이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장애정보를 관리하므로 시스템 확장시 용이하게 본 발명에 따른 장애처리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망종단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망종단장치에서 사용되는 장애관리를 위한 데이터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망종단장치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a 및 도 3b은 본 발명에 따른 망종단장치에서의 초기화과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장애관리부의 장애처리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애관리부의 장애처리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장애관리부의 장애처리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4)

  1. 수동광네트워크(Passive Optical Network)와 정합하여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정합부;
    가입자 단말장치와 정합하여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이더넷 정합부;
    상기 네트워크 정합부 및 상기 이더넷 정합부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의 출력포트를 결정하고, 결정된 포트로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는 스위치부;
    상기 네트워크 정합부, 상기 이더넷 정합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각각에 대하여 장애감지 및 소정의 제1차적 장애복구절차를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태스크(task)를 활성화시키는 초기화부; 및
    상기 태스크에 의해 감지된 장애 및 상기 제1차적 장애복구절차의 수행결과를 기초로 소정의 제2차적 장애복구절차를 수행하는 중앙장애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종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는 상기 네트워크 정합부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오류에 의한 송수신 장애를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장애의 발생원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정합부의 초기화, 재시동 및 송수신재시도를 포함하는 장애복구절차를 수행하는 제1태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종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태스크는 상기 OLT(Optical Line Terminal)의 장애로 인한 상기 송수신 장애를 감지하면 소정의 검사메시지를 상기 OLT로 전송하여 장애극복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종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는 상기 이더넷 정합부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오류에 의한 송수신 장애를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장애의 발생원인에 따라 상기 이더넷 정합부의 초기화, 재시동 및 송수신재시도를 포함하는 장애복구절차를 수행하는 제2태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종단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는 상기 스위치부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오류에 의한 장애를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장애의 발생원인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의 초기화, 재시동 및 스위칭동작의 재시도를 포함하는 장애복구절차를 수행하는 제3태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종단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장애관리부는 상기 감지된 장애 발생원인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장애등급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장애 등급에 따른 상기 제2차적 장애복구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종단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장애관리부는 상기 태스크에 의해 감지된 장애 내용과 상기 제1차적 장애복구절차 및 상기 제2차적 장애복구절차의 수행결과를 상기 OLT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종단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장애관리부는 상기 OLT로부터 장애 및 성능에 관한 정보요구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정보요구메시지에 해당하는 자료를 생성하고 생성된 자료를 상기 OLT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종단장치.
  9. (a) 수동광네트워크의 OLT와의 송수신 장애, 가입자 단말장치와의 송수신 장애 및 상기 수동광네트워크 및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에 대한 스위칭동작에서 발생하는 장애를 각각 독립적으로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감지된 장애 내용에 따른 소정의 제1차적 장애복구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감지된 장애 내용 및 상기 제1차적 장애복구절차의 수행결과를 기초로 소정의 제2차적 장애복구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처리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OLT(Optical Line Terminal)의 장애로 인한 상기 송수신 장애를 감지하면 소정의 검사메시지를 상기 OLT로 전송하여 장애복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처리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장애 발생원인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장애등급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장애 등급에 따른 상기 제2차적 장애복구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처리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감지된 장애 내용, 상기 제1차적 장애복구절차 및 상기 제2차적 장애복구절차의 수행결과를 상기 OLT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처리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OLT로부터 장애 및 성능에 관한 정보요구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정보요구메시지에 해당하는 자료를 생성하고 생성된 자료를 상기 OLT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처리방법.
  14. (a) 수동광네트워크의 OLT와의 송수신 장애, 가입자 단말장치와의 송수신 장애 및 상기 수동광네트워크 및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에 대한 스위칭동작에서 발생하는 장애를 각각 독립적으로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감지된 장애 내용에 따른 소정의 제1차적 장애복구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감지된 장애 내용 및 상기 제1차적 장애복구절차의 수행결과를 기초로 소정의 제2차적 장애복구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처리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30057987A 2003-08-21 2003-08-21 수동광네트워크에서의 망종단장치 및 장애처리방법 KR100582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987A KR100582541B1 (ko) 2003-08-21 2003-08-21 수동광네트워크에서의 망종단장치 및 장애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987A KR100582541B1 (ko) 2003-08-21 2003-08-21 수동광네트워크에서의 망종단장치 및 장애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224A true KR20050020224A (ko) 2005-03-04
KR100582541B1 KR100582541B1 (ko) 2006-05-23

Family

ID=3722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987A KR100582541B1 (ko) 2003-08-21 2003-08-21 수동광네트워크에서의 망종단장치 및 장애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5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457B1 (ko) * 2005-10-26 2007-04-24 주식회사 케이티 모듈형 광변환 기능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네트워크 장치
KR20150002475A (ko) * 2013-06-28 2015-01-07 주식회사 케이티 통신 네트워크에서 경로 장애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394B1 (ko) * 2018-08-17 2019-12-10 주식회사 케이티 선로 장애 감지 방법, 그 시스템 및 망 관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457B1 (ko) * 2005-10-26 2007-04-24 주식회사 케이티 모듈형 광변환 기능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네트워크 장치
KR20150002475A (ko) * 2013-06-28 2015-01-07 주식회사 케이티 통신 네트워크에서 경로 장애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2541B1 (ko) 200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46994C (zh) 用于在局域网内实现快速恢复进程的方法和系统
JP4454516B2 (ja) 障害検出装置
US6941362B2 (en) Root cause analysis in a distributed 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
JP3649580B2 (ja) 分散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エラーを報告するシステム
JP4794917B2 (ja) ネットワーク障害検出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障害検出方法
US9237092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updating ring network topology information
US20080243989A1 (en) Large-scale network management using distributed autonomous agents
US20070159961A1 (en) Method and Devices for Implementing Group Protection in MPLS Network
EP2724500A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un-time reassignment of a phy to mac devices interconnect
US20060168263A1 (en) Monitoring telecommunication network elements
US9007228B2 (en) Transmission system using dying gasp
WO2009009994A1 (fr) Procédé, dispositif et système de localisation de défaut dans un réseau optique passif
CA26192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raffic flow of forwarding entries through a virtual forwarding database of a network node
EP3220556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tecting rogue optical network unit
JPH10326260A (ja) 分散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ハードウェア要素によりエラーを報告する方法
KR100582541B1 (ko) 수동광네트워크에서의 망종단장치 및 장애처리방법
JP6662485B1 (ja) 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故障区間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275869B2 (en) Re-synchronizing data between network elements and network management system using partial node discovery
Cisco Interface Configuration and Support
Cisco Interface Configuration and Support
Cisco Interface Configuration and Support
KR100615618B1 (ko) 라우터 시스템에서의 라인카드 포트 장애 처리 방법
JP4760927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EP41848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eeping user terminal alive
KR100296046B1 (ko) 교환시스템의 신호메시지 처리프로세서의 상태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