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9618A - 디지털 영상의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의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9618A
KR20050019618A KR1020030057508A KR20030057508A KR20050019618A KR 20050019618 A KR20050019618 A KR 20050019618A KR 1020030057508 A KR1020030057508 A KR 1020030057508A KR 20030057508 A KR20030057508 A KR 20030057508A KR 20050019618 A KR20050019618 A KR 20050019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ing
color difference
luminance signal
coefficients
m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4559B1 (ko
Inventor
박은경
심우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7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559B1/ko
Publication of KR20050019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9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5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duction of coding artifacts, e.g. of blocki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colour or a chrominance compon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0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디지털 영상의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재생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영상의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은, (a)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이용하여, 픽셀단위로 상기 휘도신호에 대응하는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조정하는 단계; 및 (b) 조정된 필터링 계수를 이용하여, 디지털 영상에 대하여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디블로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픽셀 단위로 영상의 특성에 맞게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블로킹 현상을 제거할 수 있으며, 화질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의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재생장치{Method for Deblocking of digital images and playback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의 처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영상의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을 처리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메모리가 필요하므로, 디지털 영상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영상압축이 필수적이다. 영상압축을 위하여,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1, MPEG-2, MPEG-4, H.261, H.26L, H.264 등의 표준이 개발된 상태이며, 그 밖에 가상현실, 인증 등의 기능을 추가한 영상압축을 위한 표준화 작업이 진행중이다.
전술한 영상압축 표준에 따르면, 블록 단위로 디지털 영상을 부호화(encoding) 및 복호화(decoding)한다. 이때, 복호화 과정을 거쳐 재생되는 디지털 영상에서는 시각적으로 블록의 경계선이 구별되어 보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블로킹 현상(blocking artifact)라고 한다.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복호화부(decoder)에서 디블로킹 필터(deblocking filter)가 사용된다. 디블로킹 필터에서는 표준 스펙에 따라 블록 단위로 계산된 휘도신호(luma)의 필터링 계수가 사용되며, 색차신호(chroma)의 필터링 계수로서는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가 그대로 사용된다.
필터링 계수는, 디지털 영상의 특성에 맞도록 필터링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매개 변수를 말하며, 영상압축 표준에 따라 필터링 강도(filtering weight) 또는 BS(Boundary Strength)로도 불린다. 평평한(flat) 영상에 대하여는 강한 필터가 사용되고, 그렇지 않은 영상에 대하여는 약한 필터가 사용되도록 필터링 계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H.264 표준을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블록 단위의 부호화에 따른 블로킹 현상은 전술한 영상압축 표준들에 공통된 사항이므로, 다른 영상압축 표준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H.264 표준의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매핑하는 방법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a)는 1 매크로 블록에 해당하는 8 x 8 색차신호 블록을, (b)는 1 매크로 블록에 해당하는 16 x 16 휘도신호 블록을 나타낸다. (c)는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와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의 대응규칙을 나타내는 매핑 테이블을 도시한다. 또한, C1 내지 C4는 4 x 4의 색차신호 블록을 각각 나타내며, L1 내지 L16은 4 x 4의 휘도신호 블록을 각각 나타낸다.
예를 들어, 그림 (a)에 나타난 색차신호 블록 C2 좌측의 에지를 필터링하기 위하여, 색차신호 블록 C2의 필터링 계수로는, 그림 (b)의 대응하는 휘도신호 블록 L3의 필터링 계수가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에지가 시작되는 색차신호의 한 픽셀인 p1의 위치가 chroma(x, y)라면, 이에 대응하여 luma(2x, 2y)에 해당하는 픽셀의 필터링 계수가 색차신호 블록 C2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이는 그림 (b)의 점선 표시 부분 중 단지 에지의 시작점에 불과한 luma(2x, 2y)의 영상특성을 반영한 필터링 계수가, 색차신호 블록 C2의 p1, p2, p3, p4 픽셀 전체에 적용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b)의 점선표시부분(L3, L4, L7, L8)의 영상이 평평(flat)하지 않고, 변화가 많은 다양한 영상이라면, luma(2x, 2y) 위치의 한 픽셀의 필터링 계수가 전체 영상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므로, 효율적으로 필터링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디지털 영상의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영상의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이용하여, 픽셀단위로 휘도신호에 대응하는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조정하는 단계; 및 (b) 조정된 필터링 계수를 이용하여, 디지털 영상에 대하여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디블로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a)단계는, (a1) 필터링할 디지털 영상의 영상포맷 및 에지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 (a2)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에 대응하는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구하는 단계; 및 (a3) 구해진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2)단계는, (a1)단계의 판단된 결과가, (a2-1) 영상포맷이 4:2:0 이고 에지 특성이 수직방향인 경우에는, 색차신호의 각 픽셀단위로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가 매핑되도록, 타입A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매핑하는 단계; (a2-2) 영상포맷이 4:2:0 이고 에지 특성이 수평방향인 경우에는, 색차신호의 각 픽셀단위로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가 매핑되도록, 타입B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매핑하는 단계; (a2-3) 영상포맷이 4:2:2 이고 에지 특성이 수직방향인 경우에는, 색차신호의 각 픽셀단위로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가 매핑되도록, 타입C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매핑하는 단계; 및 (a2-4) 영상포맷이 4:2:2 이고 에지 특성이 수평방향인 경우에는, 색차신호의 각 픽셀단위로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가 매핑되도록, 타입D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디지털 영상의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이용하여, 픽셀단위로 휘도신호에 대응하는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조정하는 필터링 계수 조정부; 및 조정된 필터링 계수를 이용하여, 디지털 영상에 대하여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디블로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필터링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필터링 계수 조정부는,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저장하는 휘도 필터링 계수 테이블, 및 디지털 영상의 영상포맷과 에지 특성에 따른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와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의 대응규칙을 저장한 휘도-색차 매핑 테이블을 구비한 저장부;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연산하여 휘도 필터링 계수 테이블에 저장하는 휘도 필터링 계수 연산부; 필터링할 디지털 영상의 영상포맷 및 에지 특성을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휘도 필터링 계수 테이블에서, 색차신호의 각 픽셀단위로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가 매핑되도록,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에 대응하는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구하는 색차 필터링 계수 매핑부; 및 구해진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상의 재생장치는 디지털 TV, PDA, Web Pad, 및 핸드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재생장치(1)의 개요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재생장치(1)는 필터링 계수 조정부(201) 및 필터링 처리부(202)를 구비한다.
필터링 계수 조정부(201)는,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이용하여, 픽셀단위로 상기 휘도신호에 대응하는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조정한다. 필터링 계수 조정부(201)는, 색차신호 블록 단위로 동일한 필터링 계수를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필셀 단위로 필터링 계수를 조절한다. 따라서, 다양한 디지털 영상의 특성이 반영된 효율적인 필터링을 할 수 있으므로, 디지털 영상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필터링 처리부(202)는, 필터링 계수 조정부(201)에서 조정된 필터링 계수를 이용하여, 디지털 영상에 대하여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디블로킹 필터링을 수행한다.
도 3은 도 2의 필터링 계수 조정부(201)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필터링 계수 조정부(201)는, 휘도 필터링 계수 연산부(301), 색차 필터링 계수 매핑부(302), 출력부(303), 및 저장부(304 및 305)를 구비한다.
저장부(304 및 305)는,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저장하는 휘도 필터링 계수 테이블(304), 및 디지털 영상의 영상포맷과 에지 특성에 따른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와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의 대응규칙을 저장한 휘도-색차 매핑 테이블(305)을 구비한다.
휘도 필터링 계수 연산부(301)는,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연산하여 상기 휘도 필터링 계수 테이블(304)에 저장한다.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연산하는 방법은 영상압축의 표준 스펙을 따른다.
색차 필터링 계수 매핑부(302)는, 필터링할 디지털 영상의 영상포맷 및 에지 특성을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휘도-색차 매핑 테이블(305)을 참조하여, 휘도 필터링 계수 테이블(304)에서, 색차신호의 각 픽셀단위로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가 매핑되도록,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에 대응하는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구한다.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와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매핑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한다.
출력부(303)는, 색차 필터링 계수 매핑부(302)에서 구해진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기초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의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7은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와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매핑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나타낸다.
도 4는 영상포맷이 4:2:0이고, 에지 특성이 수직 방향인 경우의 필터링 계수를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 참고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는 1 매크로 블록에 해당하는 8 x 8 색차신호 블록을, (b)는 1 매크로 블록에 해당하는 16 x 16 휘도신호 블록을 나타내며, (c)는 영상포맷이 4:2:0이고, 에지 특성이 수직 방향인 경우의 매핑 테이블(타입A)을 나타낸다. C1내지 C4는 4 x 4의 색차신호 블록을 각각 나타내며, L1 내지 L16은 4 x 4의 휘도신호 블록을 각각 나타낸다.
예를 들어, 그림 (a)에서 색차신호 블록 C2의 좌측 에지를 필터링하기 위한 색차신호 블록 C2의 필터링 계수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종래에는 색차신호 블록 C2 전체에 그림 (b)의 대응하는 휘도신호 블록 L3의 필터링 계수가 그대로 사용되었다(도 1 참조).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C2 블록의 픽셀 p1 및 p2에 대해서는 휘도신호 블록 L3의 필터링 계수가, C2 블록의 픽셀 p3 및 p4에 대해서는 휘도신호 블록 L7의 필터링 계수가 적용됨을 알 수 있다.
그림 (c)는 픽셀단위로 색차신호 블록의 필터링 계수와 휘도신호 블록의 필터링 계수를 대응시키는 규칙을 설명한 매핑 테이블(타입A)을 나타낸다. 그림 (c)를 참조하면, 색차신호의 블록인 C1(p1, p2), C1(p3, p4), C2(p1, p2), C2(p3, p4), C3(p1, p2), C3(p3, p4), C4(p1, p2), C4(p3, p4)의 필터링 계수에 대하여, 휘도신호의 블록인 L1, L5, L3, L7, L9, L13, L11, L15의 필터링 계수가 1:1로 대응되도록 매핑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픽셀 단위로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조정하여 디블로킹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영상의 특성을 반영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디지털 영상의 특성을 반영하여 화질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영상포맷이 4:2:0이고, 에지 특성이 수평 방향인 경우의 필터링 계수를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 참고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색차신호 블록 C2 상단의 에지를 필터링하기 위한 색차신호 블록 C2의 필터링 계수를 구하면, C2 블록의 픽셀 p1 및 p3에 대해서는 휘도신호 블록 L3의 필터링 계수가, C2 블록의 픽셀 p2 및 p4에 대해서는 휘도신호 블록 L4의 필터링 계수가 적용됨을 알 수 있다.
그림 (c)는 픽셀단위로 색차신호 블록의 필터링 계수와 휘도신호 블록의 필터링 계수를 대응시키는 규칙을 설명한 매핑 테이블(타입B)을 나타낸다. 색차신호 블록인 C1(p1, p3), C1(p2, p4), C2(p1, p3), C2(p2, p4), C3(p1, p3), C3(p2, p4), C4(p1, p3), C4(p2, p4)의 필터링 계수에 대하여, 휘도신호 블록인 L1, L2, L3, L4, L9, L10, L11, L12의 필터링 계수가 1:1로 대응되도록 매핑한다. 나머지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6은 영상포맷이 4:2:2이고, 에지 특성이 수직 방향인 경우의 필터링 계수를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 참고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색차신호 블록 C2 좌측의 에지를 필터링하기 위한 색차신호 블록 C2의 필터링 계수를 구하면, C2 블록의 픽셀 p1 내지 p4에 대해서는 휘도신호 블록 L3의 필터링 계수가 적용됨을 알 수 있다.
그림 (c)는 픽셀단위로 색차신호 블록의 필터링 계수와 휘도신호 블록의 필터링 계수를 대응시키는 규칙을 설명한 매핑 테이블(타입C)을 나타낸다. 색차신호 블록인 C1(p1, p2, p3, p4), C2(p1, p2, p3, p4), C3(p1, p2, p3, p4), C4(p1, p2, p3, p4), C5(p1, p2, p3, p4), C6(p1, p2, p3, p4), C7(p1, p2, p3, p4), C8(p1, p2, p3, p4)의 필터링 계수에 대하여, 휘도신호 블록인 L1, L3, L5, L7, L9, L11, L13, L15의 필터링 계수가 1:1로 대응되도록 매핑한다. 나머지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7은 영상포맷이 4:2:2이고, 에지 특성이 수평 방향인 경우의 필터링 계수를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 참고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색차신호 블록 C2 상단의 에지를 필터링하기 위한 색차신호 블록 C2의 필터링 계수를 구하면, C2 블록의 픽셀 p1 및 p3에 대해서는 휘도신호 블록 L3의 필터링 계수가, C2 블록의 픽셀 p2 및 p4에 대해서는 휘도신호 블록 L4의 필터링 계수가 적용됨을 알 수 있다.
그림 (c)는 픽셀단위로 색차신호 블록의 필터링 계수와 휘도신호 블록의 필터링 계수를 대응시키는 규칙을 설명한 매핑 테이블(타입D)을 나타낸다. 색차신호 블록인 C1(p1, p3), C1(p2, p4), C2(p1, p3), C2(p2, p4), C3(p1, p3), C3(p2, p4), C4(p1, p3), C4(p2, p4), C5(p1, p3), C5(p2, p4), C6(p1, p3), C6(p2, p4), C7(p1, p3), C7(p2, p4), C8(p1, p3), C8(p2, p4)의 필터링 계수에 대하여, 휘도신호 블록인 L1, L2, L3, L4, L5, L6, L7, L8, L9, L10, L11, L12, L13, L14, L15, L16의 필터링 계수가 1:1로 대응되도록 매핑한다. 나머지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픽셀 단위로 보다 세밀하게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조정하여 디블로킹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영상의 특성을 반영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디지털 영상의 특성을 반영하여 화질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을 바탕으로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을 정리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지털 영상의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먼저,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재생장치(1)는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이용하여, 픽셀단위로 상기 휘도신호에 대응하는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조정하고(401 단계), 조정된 필터링 계수를 이용하여, 디지털 영상에 대하여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디블로킹 필터링을 수행한다(402 단계).
도 9는 도 8의 필터링 계수를 조정하는 방법(A)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생장치(1)는, 먼저 휘도신호 블록의 필터링 계수를 연산하여(501 단계), 휘도 필터링 계수 테이블(304)에 저장한다(502 단계). 다음은, 필터링할 디지털 영상의 영상포맷 및 에지 특성을 판단한다(503 단계).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에 대응하는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구하고, 구해진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출력한다(504 내지 507 단계). 필터링할 픽셀이 존재하는 동안 전술한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구하는 과정(504 내지 507 단계)을 반복한다(508 단계).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에 대응하는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구하는 과정(504 내지 507 단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포맷 및 에지 특성의 판단(503 단계) 결과는 다음과 같이 4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영상포맷이 4:2:0 이고 에지 특성이 수직방향인 경우에는, 색차신호의 각 픽셀단위로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가 매핑되도록, 타입A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매핑한다.
영상포맷이 4:2:0 이고 에지 특성이 수평방향인 경우에는, 색차신호의 각 픽셀단위로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가 매핑되도록, 타입B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매핑한다.
영상포맷이 4:2:2 이고 에지 특성이 수직방향인 경우에는, 색차신호의 각 픽셀단위로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가 매핑되도록, 타입C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매핑한다.
마지막으로, 영상포맷이 4:2:2 이고 에지 특성이 수평방향인 경우에는, 색차신호의 각 픽셀단위로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가 매핑되도록, 타입D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매핑한다.
여기서 각각의 매핑 테이블은 도 4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c)의 매핑 테이블이 사용된다.
이상의 설명은 H.264 표준을 따르는 경우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적용하는 영상압축 표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H.264 표준에 따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표준 스펙에 정의된 대로 색차신호 블록의 필터링 계수에 휘도신호 블록의 필터링 계수를 그대로 적용하지 않고, 영상의 특성에 맞게 픽셀 단위로 필터링 계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영상 특성에 맞게 블로킹 현상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화질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H.264 표준의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매핑하는 방법을 나타낸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재생장치(1)의 개요도,
도 3은 도 2의 필터링 계수 조정부(201)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영상포맷이 4:2:0이고, 에지 특성이 수직 방향인 경우의 필터링 계수를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 참고도,
도 5는 영상포맷이 4:2:0이고, 에지 특성이 수평 방향인 경우의 필터링 계수를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 참고도,
도 6은 영상포맷이 4:2:2이고, 에지 특성이 수직 방향인 경우의 필터링 계수를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 참고도,
도 7은 영상포맷이 4:2:2이고, 에지 특성이 수평 방향인 경우의 필터링 계수를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9는 도 8의 필터링 계수를 조정하는 방법(A)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Claims (10)

  1. 디지털 영상의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이용하여, 픽셀단위로 상기 휘도신호에 대응하는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조정하는 단계; 및
    (b) 조정된 필터링 계수를 이용하여, 디지털 영상에 대하여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디블로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필터링할 디지털 영상의 영상포맷 및 에지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
    (a2)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에 대응하는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구하는 단계; 및
    (a3) 구해진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2)단계는, 상기 (a1)단계의 판단된 결과가
    (a2-1) 영상포맷이 4:2:0 이고 에지 특성이 수직방향인 경우에는, 색차신호의 각 픽셀단위로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가 매핑되도록, 타입A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매핑하는 단계;
    (a2-2) 영상포맷이 4:2:0 이고 에지 특성이 수평방향인 경우에는, 색차신호의 각 픽셀단위로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가 매핑되도록, 타입B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매핑하는 단계;
    (a2-3) 영상포맷이 4:2:2 이고 에지 특성이 수직방향인 경우에는, 색차신호의 각 픽셀단위로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가 매핑되도록, 타입C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매핑하는 단계; 및
    (a2-4) 영상포맷이 4:2:2 이고 에지 특성이 수평방향인 경우에는, 색차신호의 각 픽셀단위로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가 매핑되도록, 타입D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2-1)단계는, 색차신호 블록인 C1(p1, p2), C1(p3, p4), C2(p1, p2), C2(p3, p4), C3(p1, p2), C3(p3, p4), C4(p1, p2), C4(p3, p4)의 필터링 계수에 대하여, 휘도신호 블록인 L1, L5, L3, L7, L9, L13, L11, L15의 필터링 계수가 1:1로 대응되도록 매핑하는 타입A 매핑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2-2)단계는, 색차신호 블록인 C1(p1, p3), C1(p2, p4), C2(p1, p3), C2(p2, p4), C3(p1, p3), C3(p2, p4), C4(p1, p3), C4(p2, p4)의 필터링 계수에 대하여, 휘도신호 블록인 L1, L2, L3, L4, L9, L10, L11, L12의 필터링 계수가 1:1로 대응되도록 매핑하는 타입B 매핑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2-3)단계는, 색차신호 블록인 C1(p1, p2, p3, p4), C2(p1, p2, p3, p4), C3(p1, p2, p3, p4), C4(p1, p2, p3, p4), C5(p1, p2, p3, p4), C6(p1, p2, p3, p4), C7(p1, p2, p3, p4), C8(p1, p2, p3, p4)의 필터링 계수에 대하여, 휘도신호 블록인 L1, L3, L5, L7, L9, L11, L13, L15의 필터링 계수가 1:1로 대응되도록 매핑하는 타입C 매핑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2-4)단계는, 색차신호 블록인 C1(p1, p3), C1(p2, p4), C2(p1, p3), C2(p2, p4), C3(p1, p3), C3(p2, p4), C4(p1, p3), C4(p2, p4), C5(p1, p3), C5(p2, p4), C6(p1, p3), C6(p2, p4), C7(p1, p3), C7(p2, p4), C8(p1, p3), C8(p2, p4)의 필터링 계수에 대하여, 휘도신호 블록인 L1, L2, L3, L4, L5, L6, L7, L8, L9, L10, L11, L12, L13, L14, L15, L16의 필터링 계수가 1:1로 대응되도록 매핑하는 타입D 매핑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디지털 영상의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이용하여, 픽셀단위로 상기 휘도신호에 대응하는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조정하는 필터링 계수 조정부; 및
    조정된 필터링 계수를 이용하여, 디지털 영상에 대하여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디블로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필터링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필터링 계수 조정부는,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저장하는 휘도 필터링 계수 테이블, 및 디지털 영상의 영상포맷과 에지 특성에 따른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와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의 대응규칙을 저장한 휘도-색차 매핑 테이블을 구비한 저장부;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연산하여 상기 휘도 필터링 계수 테이블에 저장하는 휘도 필터링 계수 연산부;
    필터링할 디지털 영상의 영상포맷 및 에지 특성을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휘도 필터링 계수 테이블에서, 색차신호의 각 픽셀단위로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가 매핑되도록, 휘도신호의 필터링 계수에 대응하는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구하는 색차 필터링 계수 매핑부; 및
    구해진 색차신호의 필터링 계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디지털 TV, PDA, Web Pad, 및 핸드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KR1020030057508A 2003-08-20 2003-08-20 디지털 영상의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재생장치 KR100584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508A KR100584559B1 (ko) 2003-08-20 2003-08-20 디지털 영상의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508A KR100584559B1 (ko) 2003-08-20 2003-08-20 디지털 영상의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618A true KR20050019618A (ko) 2005-03-03
KR100584559B1 KR100584559B1 (ko) 2006-05-30

Family

ID=3722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508A KR100584559B1 (ko) 2003-08-20 2003-08-20 디지털 영상의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5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921B1 (ko) * 2005-12-26 200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영상에 적응적인 해상도변환장치 및 그의해상도변환방법
CN111800643A (zh) * 2020-07-03 2020-10-20 北京博雅慧视智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视频编码的去方块滤波器及其滤波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921B1 (ko) * 2005-12-26 200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영상에 적응적인 해상도변환장치 및 그의해상도변환방법
CN111800643A (zh) * 2020-07-03 2020-10-20 北京博雅慧视智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视频编码的去方块滤波器及其滤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4559B1 (ko) 200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598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WI669939B (zh) 用於立方體面圖框的選擇性濾波的方法和裝置
JP5470405B2 (ja)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
US82544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block noise reduction
US9774851B2 (en) Quantization parameter for blocks coded in the PCM mode
US20080198932A1 (en) Complexity-based rate control using adaptive prefilter
US118822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adaptive loop filter parameters in video coding
JP2003520530A (ja) デジタル画像をフィルタリングする方法およびフィルタリング装置
KR20190090888A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US7650043B2 (en) Method of reducing blocking artifacts from block-coded digital images and image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same
TWI719614B (zh) 用於視頻編解碼中的虛擬邊界的環路內濾波的方法和裝置
JP2003517796A (ja) 「ムラのあるピクチャ」効果を減らす方法
TW202044833A (zh) 使用不同色度格式之三角預測單元模式中之視訊寫碼
JP7450604B2 (ja) ビデオコーディング及び処理のためのデブロッキングフィルタ
JP2007134755A (ja)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記録再生装置
JP2024510710A (ja) 特徴マップ符号化対通常のビデオ符号化のためのツール選択
KR100584559B1 (ko) 디지털 영상의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재생장치
US2007014751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W202110179A (zh) 用於視訊寫碼之解塊濾波
JP3233999B2 (ja) 画像信号復号化装置
JPH0549155B2 (ko)
JP2023030585A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0529195B2 (ko)
JP2022116923A (ja) 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符号化方法
US20080285645A1 (en) Adaptive border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