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9307A - 무선통신단말기에서 통화권 이탈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단말기에서 통화권 이탈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9307A
KR20050019307A KR1020030056965A KR20030056965A KR20050019307A KR 20050019307 A KR20050019307 A KR 20050019307A KR 1020030056965 A KR1020030056965 A KR 1020030056965A KR 20030056965 A KR20030056965 A KR 20030056965A KR 20050019307 A KR20050019307 A KR 20050019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base station
power consumption
clock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56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9307A/ko
Publication of KR20050019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930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no transmission is received, e.g. out of range of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에서 통화권 이탈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레벨이 임계치 이하로 낮아지면서 통화권을 이탈하는 경우에,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메인 클럭을 오프시키고 보조 클럭에 따른 실시간 클럭 인터럽트(RTC interrupt)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기지국을 찾기 위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서비스 불가능 지역에서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무선통신단말기에서 통화권 이탈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에서 통화권 이탈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가 기설정된 정상 모드에 따라 동작하다 통화권을 이탈함을 감지하여 메인 클럭을 오프시키는 딥 슬립 모드로 천이하고,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실시간 클럭 인터럽트(RTC Interrupt)를 이용하여 기지국을 찾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딥 슬립 모드로 천이하는 제 1 단계; 상기 무선통신단말기가 딥 슬립 모드에서 통화권에 진입함을 감지하여 메인 클럭을 온시키고, 기설정된 정상 모드로 천이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무선통신단말기에서 통화권 이탈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T NO SERVICE AREA}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에서 통화권 이탈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레벨이 임계치 이하로 낮아지면서 통화권을 이탈하는 경우에,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메인 클럭을 오프시키고 보조 클럭에 따른 실시간 클럭 인터럽트(RTC interrupt)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기지국을 찾기 위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서비스 불가능 지역에서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무선통신단말기에서 통화권 이탈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단말기란 이동통신단말기, 개인휴대통신단말기(PCS), 개인용디지털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이동통신단말기(IMT-2000),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 이하의 일예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인 이동통신시스템은 전체 서비스 지역을 다수의 기지국 영역으로 분할하여 소규모의 서비스 영역인 셀(Cell)들로 구성한다.
한편,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을 켜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초기화 상태(Mobile Station Initialization Station)에서 동조할 기지국을 선택하고 기지국 정보를 획득(Acuisition)한다. 이 때, 각 기지국은 고유한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므로, 이동통신단말기는 가장 강한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을 선택한다.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는 기지국과 주기적으로 신호를 주고 받음으로써 자신이 서비스받을 기지국을 선택하며, 핸드오프에 의하여 이동 중에도 계속적인 서비스를 받게 된다.
핸드오프란, 셀 내에서 섹터 간에 이동을 하거나 한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해 갈 때 현재의 통화 채널을 자동적으로 전환해 주는 것을 말한다. 핸드오프가 수행되는 단계는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과정과 수집된 정보로부터 적절한 핸드오프 시점을 결정하는 과정 및 새로운 링크를 설정하고 이전 링크를 해제하는 핸드오프 실행 과정 등의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한편, 핸드오프의 유형은 핸드오프가 발생하는 범위에 따라 셀 내의 핸드오프(intra-cell handoff), 셀 간의 핸드오프(inter-cell handoff) 및 망간의 핸드오프(intra-network handoff) 등으로 나뉜다. 셀 내의 핸드오프는 현재 이동통신단말기가 있는 셀 커버리지 내에서 사용중인 채널을 바꾸는 것이다. 이 경우에 새로운 연결 설정이나 해제는 없다. 셀 간의 핸드오프는 이동통신단말기가 기지국의 셀 경계를 벗어남으로 인하여 연결을 지속할 수 없는 경우에 새로운 기지국을 통해 기존 통신을 계속해 가는 방식이다. 이 경우에는, 연결 재설정과 기존 연결의 해제 등으로 인해 핸드오프 지연과 셀 손실 등이 발생하므로, 이를 줄이기 위한 효율적인 기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망간의 핸드오프는 서로 다른 망간을 이동통신단말기가 이동하는 경우에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동통신단말기가 서비스가 불가능한 지역(음영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즉 통화권을 이탈하게 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유휴 상태에서 초기화 상태로 천이한 다음에 메인 클럭을 이용하여 서비스받을 기지국을 찾기 위한 신호를 계속적으로 전송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전력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서비스 불가능 지역(음영 지역)에서 전력 소모를 막기 위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킨다면, 이동 중에 서비스 가능 지역에 있더라도 바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선통신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레벨이 임계치 이하로 낮아지면서 통화권을 이탈하는 경우에,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메인 클럭을 오프시키고 보조 클럭에 따른 실시간 클럭 인터럽트(RTC interrupt)를 이용하여 기지국을 찾기 위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서비스 불가능 지역에서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무선통신단말기에서 통화권 이탈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에서 통화권 이탈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가 기설정된 정상 모드에 따라 동작하다 통화권을 이탈함을 감지하여 메인 클럭을 오프시키는 딥 슬립 모드로 천이하고,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실시간 클럭 인터럽트(RTC Interrupt)를 이용하여 기지국을 찾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딥 슬립 모드로 천이하는 제 1 단계; 상기 무선통신단말기가 딥 슬립 모드에서 통화권에 진입함을 감지하여 메인 클럭을 온시키고, 기설정된 정상 모드로 천이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은, 이동통신망(11), 기지국A(12), 기지국B(13), 기지국C(14), 및 이동통신단말기(15,16,17)를 포함한다.
서비스 영역 내의 이동통신단말기(15)는 기지국A(12)와 무선 채널(radio channel)을 형성하고 통신을 수행한다. 이 때, 기지국A(12)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15)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채널을 순방향(Forward) 채널이라 하고, 이동통신단말기(15)로부터 기지국A(12)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채널을 역방향(Reverse) 채널이라 한다.
순방향 채널에는 파일럿 채널(Pilot Channel)과 동기 채널(Synchronous Channel), 페이징 채널(Pasing Channel) 및 순방향 트래픽 채널(Forward Traffic Channel)이 있으며, 역방향 채널에는 액세스 채널(Access Channel) 및 역방향 트래픽 채널(Reverse Traffic Channel)이 있다.
일단,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을 켜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초기화 상태에서 기지국을 선택하고 기지국 정보를 획득한다. 이 때, 각 기지국(12,13,14)은 고유한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므로, 이동통신단말기는 가장 강한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을 선택한다.
이동통신단말기가 기지국을 선택하고 나면 선택한 기지국의 주파수와 위상에 동조한 다음, 유휴 상태(Mobile Station Idle State)에서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을 감시한다. 유휴 상태의 이동통신단말기는 페이징 채널을 통해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착신 호를 수신하거나 호를 발신하거나 위치등록을 초기화하거나 메시지 전송을 초기화할 수 있다.
이 때, 이동통신단말기(15)가 기지국A(12)와 무선신호를 주고받다가 인접한 기지국B(13)로 이동하면 이동통신단말기(15)는 슬롯 사이클 인덱스에 의하여 유휴 핸드오프(Idle Handoff)가 발생된다.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15)가 통화권을 이탈하면, 이동통신단말기(16)는 유휴 상태에서 초기화 상태로 천이한 다음에 기지국을 찾기 위한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을 찾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메인 클럭(예를 들어 13MHz)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보조 클럭(32KHz)에 따른 실시간 클럭 인터럽트(RTC Interrupt)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메인 클럭을 오프시킨 상태를 딥 슬립(deep sleep) 모드라 한다.
일반적인 슬롯 모드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및 송수신을 위하여 주고받는 교신 주기를 말한다. 그리고, 슬립 모드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지정된 시간 이외에는 클럭 기능을 제외한 대부분의 하드웨어 전원을 오프시키므로 배터리 소모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딥 슬립(deep sleep) 모드에서는 전력 소모가 많은 메인 클럭(예 ; 13MHz) 대신에 전력 소모가 적은 보조 클럭(32KHz)만을 이용함으로써, 일반적인 슬립 모드보다도 서비스 불가능 지역에서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후, 이동통신단말기(17)가 기지국C(14) 영역으로 이동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가 임계치 이상이면 다시 메인 클럭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정상 모드로 전환한다.
보다 상세한 과정에 대하여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권 이탈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이동통신단말기(15)가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다가(201) 통화권을 이탈함을 감지하여(202) 메인 클럭을 오프시키는 딥 슬립(deep sleep) 모드로 천이하고(203), 보조 클럭에 따라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실시간 클럭 인터럽트(RTC Interrupt)를 이용하여 기지국을 찾기 위한 신호를 전송한다(204).
이후, 이동통신단말기(17)가 딥 슬립 모드에서 통화권으로 진입함을 감지하여(205) 메인 클럭을 온시키고, 일반적인 정상 모드로 천이한다(206).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가 서비스가 불가능한 지역(음영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즉 통화권을 이탈하게 되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메인 클럭을 오프시키고 보조 클럭에 따른 실시간 클럭 인터럽트(RTC interrupt)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기지국을 찾기 위한 신호를 전송(딥 슬립 모드 상태)함으로써, 일반적인 슬립 모드에서 보다 전력 소모를 훨씬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권 이탈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이동통신망 12 : 기지국 A
13 : 기지국 B 14 : 기지국 C
15,16,17 : 이동통신단말기

Claims (2)

  1. 무선통신단말기에서 통화권 이탈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가 기설정된 정상 모드에 따라 동작하다 통화권을 이탈함을 감지하여 메인 클럭을 오프시키는 딥 슬립 모드로 천이하고,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실시간 클럭 인터럽트(RTC Interrupt)를 이용하여 기지국을 찾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딥 슬립 모드로 천이하는 제 1 단계;
    상기 무선통신단말기가 딥 슬립 모드에서 통화권에 진입함을 감지하여 메인 클럭을 온시키고, 기설정된 정상 모드로 천이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단말기에서 통화권 이탈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클럭 인터럽트는,
    메인 클럭(13MHz) 대신에 전력 소모가 적은 보조 클럭(32KHz)에 따른 실시간 클럭 인터럽트(RTC Interrup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에서 통화권 이탈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
KR1020030056965A 2003-08-18 2003-08-18 무선통신단말기에서 통화권 이탈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 KR20050019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965A KR20050019307A (ko) 2003-08-18 2003-08-18 무선통신단말기에서 통화권 이탈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965A KR20050019307A (ko) 2003-08-18 2003-08-18 무선통신단말기에서 통화권 이탈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307A true KR20050019307A (ko) 2005-03-03

Family

ID=37228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965A KR20050019307A (ko) 2003-08-18 2003-08-18 무선통신단말기에서 통화권 이탈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93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7014B2 (en) * 2005-08-08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Sleep mode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uring out of service oper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7014B2 (en) * 2005-08-08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Sleep mode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uring out of service ope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6175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base station search function
EP1499150B1 (en) Control method of searching neighbouring cells, mobil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U72427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current receipt of incoming calls from a wide area cellular network and a private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CN113473556B (zh) 一种放松测量方法和通信装置
CN1949919B (zh) 移动通信系统中越区切换的判决方法
EP1352531B1 (en) Idle handoff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taking into account critical system jobs
KR20090008259A (ko) 이동국 및 기지국
CA2627456A1 (en) Seamless inter-frequency handoff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WO2006080669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60101515A (ko)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핸드오프 후보자들에 대한주파수 채널들을 스캐닝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6246428A (ja) Umts標準に従う移動体ネットワークでのセルの再選択動作の最適化方法
JP2007518342A (ja) 非同期網と同期網間のハンドオーバーのためのマルチモードマルチバンド移動通信端末の制御方法及びそのための移動通信システム
KR20010102066A (ko) 통신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JP2005260426A (ja) デュアル無線端末装置およびデュアル無線システム
JP2005020458A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のセクタ選択方法
JP2001028776A (ja) Phs(登録商標)向けの移動局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方法
JP2003348001A (ja) 移動無線端末
CN101982993B (zh) 一种移动终端越区切换方法
US20020137513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2000102057A (ja) Cdma移動端末装置
KR20050019307A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 통화권 이탈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
KR100282962B1 (ko) 셀룰러 시스템에서 슬롯 사이클 인덱스 설정방법
EP1152624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0597488B1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방법
KR101152055B1 (ko)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핸드오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