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8215A - 무선통신 단말기의 덮개 개폐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단말기의 덮개 개폐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8215A
KR20050018215A KR1020030056491A KR20030056491A KR20050018215A KR 20050018215 A KR20050018215 A KR 20050018215A KR 1020030056491 A KR1020030056491 A KR 1020030056491A KR 20030056491 A KR20030056491 A KR 20030056491A KR 20050018215 A KR20050018215 A KR 20050018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tact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30056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8215A/ko
Publication of KR20050018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21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덮개 개폐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 힌지부의 일측에 장착된 접점을 접촉 감지수단을 통하여 감지하여 덮개의 개폐 여부를 판별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덮개 개폐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덮개 개폐 감지 장치에 있어서, 덮개 힌지부 일측에 장착되는 접지수단; 본체 전면부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접지수단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접촉 감지수단; 및 상기 접촉 감지수단에서 감지한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덮개의 열림/닫힘을 확인하여 덮개의 열림/닫힘에 따른 해당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연산/제어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무선통신 단말기의 덮개 개폐 감지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the opening or shutting of cover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덮개 개폐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 단말기 힌지부의 일측에 장착된 접점을 접촉 감지수단을 통하여 감지하여 덮개의 개폐 여부를 판별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덮개 개폐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란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휴대통신 단말기(PCS),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IMT-2000),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 이하의 일 예에서는 폴더(folder)형 무선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메뉴항목 등을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무선통신 단말기의 덮개를 열어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보면서 버튼 등으로 해당 기능을 선택하여 이용한다. 또한, 사용자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벨소리 등으로 전화가 걸려옴을 알림에 따라 덮개를 열어서 착신신호를 수신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한다.
도 1은 종래의 덮개 개폐 감지 장치가 장착된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덮개 개폐 감지 장치가 장착된 무선통신 단말기는 덮개(100) 하부 하단의 일측에 자석(110)을 장착하고 본체 전면부(120) 하단의 일측에 마그네틱 센서(130, Magnetic Sensor)를 장착하여, 상기 덮개의 개폐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마그네틱 센서(130)는 상기 자석(1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감지하여 상기 덮개(10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한다. 즉, 상기 덮개(100)가 열린 상태에서 닫힘에 따라 자석(110)과 마그네틱 센서(130)간의 거리가 가까워져서 마그네틱 센서(130)가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으며, 덮개(100)가 닫힌 상태에서 열림에 따라 자석(110)과 마그네틱 센서(130)간의 거리가 멀어져서 마그네틱 센서(130)가 자기장을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 그런 후, 상기 마그네틱 센서(130)는 해당 감지값(상기 자기장에 상응하는 전압값)을 연산/제어부로 전달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착신신호 수신 알림에 따라 사용자가 덮개를 일정 부분 열었다가 실수로 덮개를 놓쳐서 다시 닫힐 경우 등과 같이, 덮개가 완전히 닫히지 않더라도 일정 거리만큼 상기 덮개와 본체가 가까워지게 되면 호접속이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덮개가 조금만 열리게 되어도 디스플레이부 및 키 입력부의 발광소자 등에 전원이 인가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원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선통신 단말기 힌지부의 일측에 장착된 접점을 접촉 감지수단을 통하여 감지하여 덮개의 개폐 여부를 판별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덮개 개폐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덮개 개폐 감지 장치에 있어서, 덮개 힌지부 일측에 장착되는 접지수단; 본체 전면부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접지수단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접촉 감지수단; 및 상기 접촉 감지수단에서 감지한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덮개의 열림/닫힘을 확인하여 덮개의 열림/닫힘에 따른 해당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연산/제어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덮개 개폐 감지 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온됨을 확인하는 제 1 단계; 접촉 감지수단에서 전압값을 감지함에 따라 덮개의 열림/닫힘을 검사하는 제 2 단계; 상기 검사 결과, 덮개가 열렸으면 디스플레이수단에 해당 화면을 출력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검사 결과, 덮개가 닫혔으면 디스플레이수단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 개폐 감지 장치가 장착된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덮개 개폐 감지 장치가 장착된 무선통신 단말기는, 덮개(200) 상단의 힌지부(210) 일측에 접점(220)이 장착되어 있고, 본체 전면부(230) 상단 일측에 접촉 감지부(24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덮개(200)가 완전히 열렸을 경우에는 상기 접촉 감지부(240)와 상기 접점(220)이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200)가 완전히 닫힐 경우에는 상기 접촉감지부(240)와 상기 접점(220)이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점(220)은 전도성이 있는 금속 재질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일 실시예와 같이 폴더형 무선통신 단말기 덮개의 힌지부 일측에 접점(220)을 장착하고 본체 전면부 상단의 일측에 접촉 감지부(240)를 구성하여 상기 덮개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으며, 다른 일 실시예로서, 플립(flip)형 무선통신 단말기 덮개(일명 플립)의 힌지부 일측에 접점을 장착하고 본체 전면부 하단 일측에 접촉 감지부를 장착하여 상기 덮개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바(bar)형 무선통신 단말기 덮개(일명 바)의 하부 일측에 접점을 장착하고 본체 전면부 상단 또는 하단 일측에 접촉 감지부를 구성하여 상기 덮개의 올림/내림에 따라 덮개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시계(watch)형 무선통신 단말기 덮개의 힌지부 일측에 접점을 장착하고 본체(일명 시계) 전면부 상단의 일측에 접촉 감지부를 구성하여 상기 덮개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덮개 개폐 감지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덮개 개폐 감지 장치는, 덮개(200) 상단의 힌지부(210)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접점(220)과, 덮개의 열림/닫힘에 따라 상기 접점(220)과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접촉 감지부(24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250)와, 각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260)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예를 들어 덮개(200)가 열림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90)에서 출력할 배경화면, 아이콘, 메뉴항목 등)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70)와, 사용자와 무선통신 단말기간의 제반 입출력을 위한 기능 및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무선통신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접촉 감지부(240)에서 감지한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덮개(200)의 열림/닫힘을 확인하여 해당 화면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90)를 제어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연산/제어부(280) 및 상기 연산/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한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90)를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음성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음성 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 및 버튼을 통해 전화번호 등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키패드를 더 포함한다. 이 외에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을 위한 기본적인 구성 요소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 감지부(240)는 덮개(200)가 완전히 열림에 따라 상기 접점(220)이 접촉됨을 감지하여 상기 접점의 접지 전압값(GND voltage)을 연산/제어부(280)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덮개(200)가 완전히 닫힘에 따라 상기 접촉 감지부(240)는 접점(220)과의 접촉이 해제됨을 감지하여 해당 접촉 해제에 따른 전압값(Vcc)을 연산/제어부(280)로 전달한다.
상기 연산/제어부(280)는 상기 접촉 감지부(240)에서 감지한 덮개의 열림/닫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90)를 제어하여 덮개의 열림/닫힘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덮개(200)가 열린 경우에는 연산/제어부(280)가 메모리(270)에 저장되어 있는 배경화면, 아이콘, 메뉴항목 등의 데이터와, 전원 잔량 상태, 현재 날짜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90)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덮개(200)가 닫힌 경우에는 연산/제어부(280)가 상기 전원 공급부(26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290)로 인가되지 않도록 하여 전원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 개폐 감지 장치의 접촉 감지부에 대한 일실시예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감지부(240)는 접점(220)의 접촉에 따라 스위칭 온(ON)/오프(OFF)를 수행하여 해당 전압값을 연산/제어부(280)로 출력하는 트랜지스터 등으로 구성된다.
덮개(200)가 완전히 열린 경우에는 접점(220)이 접촉 감지부(240)에 접촉되어, 베이스 단자에 전원이 가해진 상태에서 컬렉터 및 이미터간이 온 상태가 되어 상기 접점(220)의 접지 전압값이 연산/제어부(280)로 출력된다.
한편, 덮개(200)가 완전히 닫힌 경우에는 상기 접점(220)이 접촉 감지부(240)에 접촉하지 않게 되어, 컬렉터 및 이미터간이 오프 상태가 되어 이미터로 인가되는 전압값(Vcc)이 연산/제어부(280)로 출력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덮개 개폐 감지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무선통신 단말기 전원이 온됨을 확인한다(500).
이 후, 덮개(200)가 열렸는지를 검사한다(501). 여기서, 연산/제어부(280)는 접촉 감지부(240)에서 감지한 전압값을 전달받아 덮개(200)의 개폐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연산/제어부(280)는 접촉 감지부(240)로부터 접점(220)의 접지 전압값이 전달되면 덮개(200)가 열린 것으로 판단하고, 이 외의 전압값이 전달되면 덮개(200)가 닫힌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검사 결과, 덮개가 열렸으면 디스플레이부(290)로 해당 화면을 출력한다(502). 여기서, 연산/제어부(280)는 메모리(270)에 저장되어 있는 배경화면, 아이콘, 메뉴항목 등의 데이터와, 전원 잔량 상태, 현재 날짜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90)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착신신호 등이 수신되고 있는 경우에는 덮개가 열림에 따라 상기 착신신호에 대한 호접속을 수행한다.
상기 검사 결과, 덮개가 닫혔으면 디스플레이부(29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503).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덮개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만 착신신호 수신 또는 디스플레이부에서 화면 출력 등을 함으로써, 호접속이 끊어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불필요한 전원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가의 덮개 개폐 감지 구성 요소를 무선통신 단말기에 장착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덮개 개폐 감지 장치가 장착된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 개폐 감지 장치가 장착된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실시예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덮개 개폐 감지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 개폐 감지 장치의 접촉 감지부에 대한 일실시예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덮개 개폐 감지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0 : 덮개 210 : 힌지부
220 : 접점 230 : 본체 전면부
240 : 접촉 감지부 250 : 무선 송수신부
260 : 전원 공급부 270 : 메모리
280 : 연산/제어부 290 : 디스플레이부

Claims (3)

  1. 무선통신 단말기의 덮개 개폐 감지 장치에 있어서,
    덮개 힌지부 일측에 장착되는 접지수단;
    본체 전면부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접지수단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접촉 감지수단; 및
    상기 접촉 감지수단에서 감지한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덮개의 열림/닫힘을 확인하여 덮개의 열림/닫힘에 따른 해당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연산/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덮개 개폐 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지수단은,
    상기 접지수단과의 접촉에 따라 상기 접지수단의 접지 전압값(GND Voltage)을 상기 연산/제어수단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접지수단과 접촉되지 않는 경우에는 인가 전압값(Vcc)을 상기 연산/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덮개 개폐 감지 장치.
  3.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덮개 개폐 감지 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온됨을 확인하는 제 1 단계;
    접촉 감지수단에서 전압값을 감지함에 따라 덮개의 열림/닫힘을 검사하는 제 2 단계;
    상기 검사 결과, 덮개가 열렸으면 디스플레이수단에 해당 화면을 출력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검사 결과, 덮개가 닫혔으면 디스플레이수단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덮개 개폐 감지 방법.
KR1020030056491A 2003-08-14 2003-08-14 무선통신 단말기의 덮개 개폐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18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491A KR20050018215A (ko) 2003-08-14 2003-08-14 무선통신 단말기의 덮개 개폐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491A KR20050018215A (ko) 2003-08-14 2003-08-14 무선통신 단말기의 덮개 개폐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215A true KR20050018215A (ko) 2005-02-23

Family

ID=37227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491A KR20050018215A (ko) 2003-08-14 2003-08-14 무선통신 단말기의 덮개 개폐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82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03113B1 (en) Portable terminal
US8488411B2 (en) Microphone proximity detection
JP3602040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
US20150112467A1 (en) Dynamic routing of audio among multiple audio devices
US20070149262A1 (en) Two step activation of phone
JP2006109460A (ja) 環境光センサを有する電子機器
US8670367B2 (en) Mobile terminal, method and program of notifying incoming call for mobile terminal
JP2007288296A (ja) 携帯端末
US72898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sub-body in an automatically and manually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18215A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덮개 개폐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JP2013219566A (ja) 携帯情報端末
KR100594000B1 (ko) 폴더의 오픈 방향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88296B1 (ko) 개인휴대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
JP3716251B2 (ja)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操作方法
KR100594137B1 (ko) 휴대단말기에서 입력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KR100818143B1 (ko) 2단 가동 전화기
KR10066246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신호 알림 방법
KR20060054876A (ko) 광 감지를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594176B1 (ko) 사용자 접촉감지를 통한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069086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주변기기 인식방법
KR20080108176A (ko) 컨버터블 송수화기 및 이를 갖는 전화기
KR100372862B1 (ko) 다수의 스피커 및 스피커 전환 제어 장치를 구비한무선전화기
KR20060068492A (ko) 가변저항을 이용한 개폐 감지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3298718A (ja) 無線通信機
KR100805677B1 (ko) 외란을 판단하여 착신 벨소리를 감소시키는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