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7822A -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의 제조방법 및 그제품 - Google Patents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의 제조방법 및 그제품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7822A
KR20050017822A KR1020030055249A KR20030055249A KR20050017822A KR 20050017822 A KR20050017822 A KR 20050017822A KR 1020030055249 A KR1020030055249 A KR 1020030055249A KR 20030055249 A KR20030055249 A KR 20030055249A KR 20050017822 A KR20050017822 A KR 20050017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p
mordenite
activated carbon
pap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5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9951B1 (ko
Inventor
김부용
김부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카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카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카본텍
Priority to KR10-2003-0055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951B1/ko
Publication of KR20050017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6Sizing or water-repell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섬유 사이에 활성탄과 모데나이트가 균일하게 내첨되도록 하여 유해성분의 흡착, 산화방지, 제습, 탈취 및 항균효과가 우수하며, 초배지로 사용할 시에는 활성탄의 흡착성으로 인해 유해가스가 제거될 뿐만 아니라,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로부터 발생되는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거주자의 신체 내부로 깊숙하게 침투하여 부교감신경을 자극함으로써 인체의 혈액순환이 촉진되어 피로가 해소되도록 하고 산화를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 100.0중량%를 기준으로, 펄프 57.0∼64.3중량%를 2∼5% 농도로 물에 해리시킨 후 교반기로 20∼30분간 교반하는 교반단계(S10)와: 교반된 펄프를 고해기로 절단 및 피브릴화하는 고해단계(S20)와: 고해된 펄프에 사이즈제인 로진 5.0∼10.0중량% 및 젤라틴 5.0∼10.0중량%를 투입하는 사이징단계(S30)와: 사이징된 펄프에 활성탄 18.0∼23.0중량%, 모데나이트 0.7∼1.0중량%, 폴리아크릴 아미드 1.0∼2.0중량% 및 멜라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 1.0∼2.0중량%를 혼합하는 혼합단계(S40)와: 혼합된 혼합물을 스크린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단계(S50)와: 스크린된 혼합물을 초지기로 압착 및 건조하여 종이를 제조하는 초지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이다.

Description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The manufacturing method of wallpaper using activated carbon and modenite and thereof product}
본 발명은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섬유 사이에 활성탄과 모데나이트가 균일하게 내첨되도록 하여 유해성분의 흡착, 산화방지, 제습, 탈취 및 항균효과가 우수하며, 초배지로 사용할 시에는 활성탄의 흡착성으로 인해 유해가스가 제거될 뿐만 아니라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로부터 발생되는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거주자의 신체 내부로 깊숙하게 침투하여 부교감신경을 자극함으로써 인체의 혈액순환이 촉진되어 피로가 해소되도록 하고 산화를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이는 AD 105년 중국 후한(後漢)의 채륜이 발명한 것으로, 초기에는 단지 사람이 무엇을 기록하는 재료로만 사용하였으나, 1892년(고종 29)경 기계에 의한 제지술을 일본으로부터 도입한 결과 종이로부터 공예품, 쇼핑백, 담배필터, 판지 등 다양한 물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종이는 필기용지 뿐만 아니라 초배지, 도배지, 포장지, 도공지, 권련지, 판지, 부직포 등 다양한 제품으로 생산되고 있으나, 종이의 물성 및 품질이 종이의 기능에 맞게 다양화되지 못하였다.
종래에는 종이의 제조시에 습윤지력증강제나 건조지력증강제와 같은 기능성첨가제나 공정의 효율화를 위한 공정조절제를 첨가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종이의 물성 및 품질이 우수하도록 하였으나 그 효과가 미미하였고, 각각의 제품 즉 도배지, 포장지, 골판지 등을 제조한 후 각 제품의 상면이나 하면에 숯이나 황토를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흡착력과 제습효과를 부여하였으나, 종이를 제조한 후 별도의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오늘날 건물의 재료는 대부분 시멘트와 모래, 자갈, 철강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재료들로 구성된 콘크리트에는 라돈이 많이 함유되어 있음으로써 라돈으로부터 인체에 해로운 방사능이 많이 방사되는 것은 물론, 콘크리트 특유의 냄새가 발생하여 건강을 해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또한 콘크리트는 수분을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세균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되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건물에 거주하는 것만으로도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근래의 초배지 및 벽지는 습기가 많은 곳에서 곰팡이가 서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곰팡이 제거제를 첨가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나, 그 근본적인 해결책이 제시되지는 못하고 있다.
상기한 위생상의 문제점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출원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35896호는 '황토 및 흑연 층을 포함한 벽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벽지의 표면에 황토와 흑연을 1:1의 비율로 접착제와 혼합하여 황토 및 흑연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인체의 건강을 도모하였으나, 이는 벽지의 표면에 형성되어 미감을 좋지 못하게 하였으며, 또 다른 선출원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143609호는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에 관한 것으로, 벽지본체의 표면에 방사물질층과 문양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하였으나, 방사물질층은 제습 및 탈취 효과를 가지지 못해 습기로 인해 곰팡이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 다른 선출원인 공개실용공보 제1999-0022935호는 '황토 벽지'에 관한 것으로, 벽지본체의 표면에 바탕색이 채색되도록 인쇄한 후, 황토분을 함유하는 문양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미감도 좋게 하여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하였으나, 문양층의 도안 및 채색에 제한이 있어 벽지 본래의 목적인 장식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초배지가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섬유 사이에 활성탄과 모데나이트가 균일하게 내첨되도록 하여 유해성분의 흡착, 산화방지, 제습, 탈취 및 항균효과가 우수하며, 초배지로 사용할 시에는 활성탄의 흡착성으로 인해 유해가스가 제거될 뿐만 아니라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로부터 발생되는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거주자의 신체 내부로 깊숙하게 침투하여 부교감신경을 자극함으로써 인체의 혈액순환이 촉진되어 피로가 해소되도록 하고 산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본 발명의 초배지를 과일, 야채 등의 식품포장용이나 꽃포장용으로 사용할 시에는 식품과 꽃의 신선도를 더욱 우수하게 하여 식품과 꽃의 보존기간을 연장 할 수 있도록 하는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의 제조방법은,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 100.0중량%를 기준으로, 펄프 57.0∼64.3중량%를 2∼5% 농도로 물에 해리시킨 후 교반기로 20∼30분간 교반하는 교반단계(S10)와: 교반된 펄프를 고해기로 절단 및 피브릴화하는 고해단계(S20)와: 고해된 펄프에 사이즈제인 로진 5.0∼10.0중량% 및 젤라틴 5.0∼10.0중량%를 투입하는 사이징단계(S30)와: 사이징된 펄프에 활성탄 18.0∼23.0중량%, 모데나이트 0.7∼1.0중량%, 폴리아크릴 아미드 1.0∼2.0중량% 및 멜라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 1.0∼2.0중량%를 혼합하는 혼합단계(S40)와: 혼합된 혼합물을 스크린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단계(S50)와: 스크린된 혼합물을 초지기로 압착 및 건조하여 종이를 제조하는 초지단계(S60)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펄프 57.0∼64.3중량%, 로진 5.0∼10.0중량%, 젤라틴 5.0∼10.0중량%, 활성탄 18.0∼23.0중량%, 모데나이트 0.7∼1.0중량%, 폴리아크릴 아미드 1.0∼2.0중량% 및 멜라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1.0∼2.0중량%의 배합비율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의 제조공정도로서, 교반(S10), 고해(S20), 사이징(S30), 혼합(S40), 스크린(S50) 및 초지단계(S60)로 되며, 이하 각 조성물의 배합비는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 100.0중량%를 기준으로 한다.
펄프 57.0∼64.3중량%를 물에 해리시킨 후 교반하는 교반단계(S10)에서, 교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펄프의 해리 농도를 2∼5%로 하고 동력절감을 위해 교반기의 교반속도는 30∼100rpm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펄프로는 목제펄프, 화학펄프, 기계펄프 및 반화학펄프 뿐만 아니라 파지를 이용한 재생펄프 또한 사용가능한 것으로, 재생펄프를 이용할 시에는 펄프의 제조공정 중 탈목 및 표백공정이 불필요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교반된 펄프를 절단 및 피브릴화하는 고해단계(S20)는 물속에서 펄프를 기계적으로 처리하여 초지하기에 적당하도록 만들어주는 단계로, 고해기(beater)를 이용하여 긴 섬유를 절단하거나 눌러 으깨는 방법으로 섬유내부의 수소결합을 끊어 섬유의 내부 구조가 풀어지도록 피브릴화(fibrillation)하며, 고해도는 25∼50이 되도록 한다.
상기 고해도는 펄프섬유의 가공처리 과정 중 그 처리정도를 측정하는 단위로서, 일반적으로 천연상태의 펄프섬유는 5∼10으로 측정되나 펄프 섬유의 길이, 폭 및 두께 등을 고해기로 처리하는 중에 상승되며, 고해도가 25 미만이면 섬유와 섬유의 결합이 잘 일어나지 못하고, 고해도가 50을 초과하면 종이의 양면차가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고해된 펄프에 사이즈제를 투입하는 사이징단계(S30)는 종이에 잉크 또는 물의 침투저항성을 부여하는 단계로, 펄프만을 사용하여 제조한 종이는 흡수성이 있어 필기 또는 인쇄시에 잉크가 번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펄프에 내수성이 있는 콜로이드 물질인 사이즈제를 혼합함으로써 펄프섬유의 표면이나 펄프섬유 사이의 틈을 메워 잉크가 침투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펄프에 투입되는 사이즈제로는 로진(송진)과 젤라틴을 사용하며, 그 배합비율이 각각 5.0중량% 미만으로 투입하면 충분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10.0중량%를 초과하여 투입하면 효과가 더 이상 증가되지 않으므로 로진 5.0∼10.0중량% 및 젤라틴 5.0∼10.0중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징된 펄프에 활성탄, 모데나이트, 폴리아크릴 아미드 및 멜라민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 수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S40)는, 충전재로서 활성탄과 모데나이트을 혼합하여 종이의 저장성이 우수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유해성분의 흡착, 산화방지, 제습 및 탈취효과를 갖도록 하고, 종이로부터 계속적으로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하며, 또한 건조지력증강제(dry strength additives)인 폴리아크릴 아미드와 습윤지력증강제(wet strength resin)인 멜라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충전재인 활성탄과 모데나이트과 함께 펄프에 혼합함으로써, 종이의 건조 및 습윤강도를 증가시킨다.
상기 혼합단계(S40)의 배합비율은 활성탄이 18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흡착력이 발휘되지 못하며 23.0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고, 모데나이트가 0.7중량% 미만이면 음이온 방사효과가 충분하지 않으며 1.0중량%를 초과하면 종이의 물성이 저하되고, 폴리아크릴 아미드와 멜라민 PVA 수지는 1.0중량% 미만이면 지력증강제로서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2.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탈수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활성탄 18.0∼23.0중량%, 모데나이트 0.7∼1.0중량%, 폴리아크릴 아미드 1.0∼2.0중량% 및 멜라민 PVA 수지 1.0∼2.0중량%로 한다.
상기 활성탄과 모데나이트 중의 하나인 활성탄의 입도는 325∼400mesh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325mesh 미만이면 종이의 재질이 부드럽지 못하게 되고 400mesh를 초과하면 제조원가가 상승되기 때문이다.
또한 활성탄을 제조할 시에, 은(Ag) 처리하여 가공하면, 은 이온에 의한 항균작용이 활성탄소에 의한 항균작용 및 살균효과와 상승작용을 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은 처리의 방법으로는 은을 분자분해하여 활성탄 내부(기공)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모데나이트는 약 325∼400mesh 정도로 미분쇄(milling)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데나이트는 계속적으로 500∼1000이온/cc 정도의 음이온을 발생시켜 주변 공기를 쾌적하게 하고 세포의 활동을 활성화시키는 등의 효과를 갖는 것이며, 모데나이트의 입도가 325mesh 미만이면 종이의 재질이 부드럽지 못하고 400mesh를 초과하면 제조원가가 상승하므로, 경제성을 고려할 때 325∼400mesh가 바람직하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하여 이용하면 활성탄과 모데나이트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그 효과가 더욱 상승된다.
혼합단계(S40) 후, 혼합된 혼합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단계(S50)는 혼합물이 포함하고 있는 거칠고 큰 섬유와 이물질을 스크린(screen)을 이용하여 제거하여 종이의 성질이 일정하도록 한다.
초지기를 이용하여 종이를 제조하는 초지단계(S60)는, 통상적인 종이의 제조단계와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는 것으로, 혼합물을 초지기의 와이어(wire)에서 지층으로 형성시킨 후, 압착 및 건조하여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를 수득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는 펄프 57.0∼64.3중량%, 로진 5.0∼10.0중량%, 젤라틴 5.0∼10.0중량%, 활성탄 18.0∼23.0중량%, 모데나이트 0.7∼1.0중량%, 폴리아크릴 아미드 1.0∼2.0중량% 및 멜라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1.0∼2.0중량%의 배합비율로 되고, 다량의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방사함으로써 쾌적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인체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초배지 뿐만 아니라 한지, 도배지, 포장지, 도공지, 권련지, 판지, 부직포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그 형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목재펄프 600g을 3%의 농도로 물에 해리시키고 고해기를 이용하여 고해도 30이 되도록 고해시킨 후, 이에 로진과 젤라틴을 각각 80g 투입하여 사이징 되도록 한다. 사이징된 펄프에 모데나이트 10g, 활성탄 200g, 폴리아크릴아미드 15g 및 멜라민 PVA 수지 15g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이를 초지기로 압착 및 건조하여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활성탄을 숯으로 대체하여 제조한 숯초배지를,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 및 배합비로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예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배합비율 (단위: g)
구분 펄프 로진 젤라틴 모데나이트 활성탄 폴리아크릴아미드 멜라민PVA 수지
실시예 600 80 80 10 200 15 15
비교예 600 80 80 - - 15 15 200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종이의 요오드 흡착력과 음이온 발생량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았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요오드 흡착력 및 음이온 발생량 측정 결과
실시예1 비교예
요오드 흡착력(m2/g) 600 200
음이온 발생량(ion/cc) 1000 -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는 비교예로서 숯초배지와 비교할 때 그 흡착 및 음이온 발생효과가 더욱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에 사용된 활성탄과 모데나이트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또한 활성탄소는 목재(wood base), 역청탄(bituminous coal) 등을 불연소화합방식인 수증기부활법으로 활성화시켜 제조하는 것으로, 흡착에 관여하는 세공이 미세공으로 형성되고 비표면적이 약 1000㎡/g에 이르며 계속적으로 산화 및 환원반응을 함으로써 우수한 통풍, 제습, 탈취 및 항균효과를 가지며, 이로 인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모데나이트분말은 제올라이트(zeolite)의 일종으로 총 19종에 이르는 천연제올라이트들 중 크리놉틸로라이트와 함께 가장 흔하게 산출되는 광물이다.
상기 모데나이트는 화학조성상 Na, K, Ca, Mg, Sr 및 Ba를 양이온으로 소량 함유하는 함수규산염 광물(hydrous aluminosilicate)로 결정구조상으로는 규산염 광물의 기본 단위의 하나인 (Si, Al)O4 사면체의 모든 산소들이 또 다른 사면체에 의해서 공유되면서 3차원적으로 연결되는 망상 규산염 광물(Tectosilicate)에 속하나, 같은 망산광물염 광물인 석영과 장석군 광물들은 치밀한 구조를 이루는 데 비해서, 모데나이트는 결정구조상의 공동(2.3∼7.5Å)으로 엉성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모데나이트의 구조상 Si4+ 일부가 Al3+ 로 치환됨으로서 발생하는 전하결손을 보상하기 위해서 양이온들이 흔히 구조내에 개입되게 되는데, 장석류와는 달리 모데나이트는 광물내에 구조상의 공동을 형성하고 여기에 양이온들이 존재하는 관계로, 이 양이온들이 주위의 다른 양이온들에 의해서 쉽게 치환될 수 있고 또한 공동내에서 정전기적으로 강하게 대전되어 존재하는 이 양이온들의 성격에 따라 항상 많은 양의 물분자들이 공동내로 유입됨에 따라서 다량의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로 부터 다량 발생되는 음이온은 혈액의 칼슘과 칼륨을 증가시킴으로써 산성혈액을 알칼리화로 전환시켜 혈액을 정화하고, 세포 내에 영양공급을 원활히 하고 노폐물을 배출시켜 병든 세포를 재생시키며, 또한 각종 질병에 대한 항체의 증가로 바이러스의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자율신경계를 조절하여 혈액, 신경계통 등에 활력을 줌과 동시에, 엔돌핀 및 엔카파린을 발생시켜 피로를 회복시키고 체력을 증강시키며 통증을 완화시키고 특히 산화방지 및 인체 세포의 부활을 유도하여 노화를 방지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또한 활성탄으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전자파 중 그 파장이 5.6∼100㎛ 사이의 전자파를 말하는 것으로, 원적외선은 피부의 심층(4∼5㎝ 깊이)까지 침달하여 인체에 온열작용, 숙성작용, 자정작용, 건습작용, 중화작용 및 공명작용을 함으로써, 생체 조직 활성화로 인해 피부노화를 지연시켜 건강한 피부로 가꿔 주며, 특히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 인체에 많은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에 의하면, 종이섬유 사이에 활성탄과 모데나이트가 균일하게 내첨되도록 하여 유해성분의 흡착, 산화방지, 제습, 탈취 및 항균효과가 우수하며, 초배지로 사용할 시에는 활성탄의 흡착성으로 인해 유해가스가 제거될 뿐만 아니라 대기 중에 다량의 음이온이 존재하도록 하여 쾌적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로부터 발생되는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거주자의 신체 내부로 깊숙하게 침투하여 부교감신경을 자극함으로써 인체의 혈액순환이 촉진되어 피로가 해소되도록 하고 산화를 방지하며, 인체 세포를 부활시켜 각종 질병에 대한 항체의 증가로 바이러스의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초배지 뿐만 아니라 과일, 야채 등의 식품포장용이나 꽃포장용으로 사용할 시에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으로 인해 식품과 꽃의 신선도를 더욱 우수하게 하여 식품과 꽃의 보존기간을 연장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의 제조공정도.

Claims (4)

  1. 초배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 100.0중량%를 기준으로, 펄프 57.0∼64.3중량%를 2∼5% 농도로 물에 해리시킨 후 교반기로 20∼30분간 교반하는 교반단계(S10)와: 교반된 펄프를 고해기로 절단 및 피브릴화하는 고해단계(S20)와: 고해된 펄프에 사이즈제인 로진 5.0∼10.0중량% 및 젤라틴 5.0∼10.0중량%를 투입하는 사이징단계(S30)와: 사이징된 펄프에 활성탄 18.0∼23.0중량%, 모데나이트 0.7∼1.0중량%, 폴리아크릴 아미드 1.0∼2.0중량% 및 멜라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 1.0∼2.0중량%를 혼합하는 혼합단계(S40)와: 혼합된 혼합물을 스크린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단계(S50)와: 스크린된 혼합물을 초지기로 압착 및 건조하여 종이를 제조하는 초지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는 파지를 이용한 재생펄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의 제조방법.
  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은 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의 제조방법.
  4. 초배지에 있어서,
    펄프 57.0∼64.3중량%, 로진 5.0∼10.0중량%, 젤라틴 5.0∼10.0중량%활성탄 18.0∼23.0중량%, 모데나이트 0.7∼1.0중량%, 폴리아크릴 아미드 1.0∼2.0중량% 및 멜라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1.0∼2.0중량%의 배합비율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
KR10-2003-0055249A 2003-08-11 2003-08-11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의 제조방법 및 그제품 KR100519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249A KR100519951B1 (ko) 2003-08-11 2003-08-11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의 제조방법 및 그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249A KR100519951B1 (ko) 2003-08-11 2003-08-11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의 제조방법 및 그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822A true KR20050017822A (ko) 2005-02-23
KR100519951B1 KR100519951B1 (ko) 2005-10-13

Family

ID=37227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5249A KR100519951B1 (ko) 2003-08-11 2003-08-11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의 제조방법 및 그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9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120B1 (ko) * 2006-01-26 2008-01-17 민병호 골판지 제조방법
KR100804598B1 (ko) * 2006-07-18 2008-02-20 김공자 원단의 코팅용 야자 활성탄 코팅된 원단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120B1 (ko) * 2006-01-26 2008-01-17 민병호 골판지 제조방법
KR100804598B1 (ko) * 2006-07-18 2008-02-20 김공자 원단의 코팅용 야자 활성탄 코팅된 원단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9951B1 (ko) 200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9446B1 (ko) 황토를 이용한 건축재 제조방법
KR20190131848A (ko) 주거 및 생활용품 코팅용 조성물
KR20050088257A (ko) 항균성, 소취성, 원적외선 방사율이 뛰어난 메모리 폼
KR20120021527A (ko) 나노 무기재를 활용한 과수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519951B1 (ko)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의 제조방법 및 그제품
KR100309182B1 (ko) 활성 기능을 갖는 다용도 자화소성 세라믹 분말의 제조 방법
KR100549443B1 (ko)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벽지의 제조방법
KR101168010B1 (ko) 규산염계 무기질바인더 및 천연 광물질 재료를 적용한 다기능 무독성 내부 장치용 친환경 패널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패널과 그 제조방법
KR100804598B1 (ko) 원단의 코팅용 야자 활성탄 코팅된 원단의 제조방법
KR100259747B1 (ko) 황토와 맥반석을 혼합하여 초지한 벽지와 장판지용 후지 제조법
KR101204297B1 (ko) 황토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황토 플레이트
KR100487793B1 (ko)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110023225A (ko)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
JPH11302547A (ja) 竹炭混入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
KR200433196Y1 (ko) 야자 활성탄 코팅 섬유원단
KR101101449B1 (ko) 종이 성형물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종이성형물, 및 상기 종이 성형물의 제조방법
KR100485284B1 (ko) 활성카본지의 제조방법
KR20070117740A (ko) 원단의 코팅용 활성탄 코팅제 및 활성탄 코팅된 원단의제조방법
KR100825593B1 (ko) 황토와 기능성 광물질을 혼합한 재생용지 제조방법
JP2002081657A (ja) 耐熱脱臭フィルター
KR100298256B1 (ko) 운모쇄석을함유하는기능성벽지및그제작방법
KR100934619B1 (ko) 가구재의 제조방법
KR20010054315A (ko) 지류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54063A (ko) 기저귀 및 패드용 제오라이트 조성물
KR20190131298A (ko) 규조토, 일라이트를 포함한 건축 마감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