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7283A -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7283A
KR20050017283A KR1020030055662A KR20030055662A KR20050017283A KR 20050017283 A KR20050017283 A KR 20050017283A KR 1020030055662 A KR1020030055662 A KR 1020030055662A KR 20030055662 A KR20030055662 A KR 20030055662A KR 20050017283 A KR20050017283 A KR 20050017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temperature
drying
clothes dryer
detec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5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8340B1 (ko
Inventor
오수영
전시문
정인철
홍경섭
박영환
박대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5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8340B1/ko
Publication of KR20050017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조할 포량을 판정하여 히터의 동작이 정상임을 표시하는 기준온도(t1)를 설정하는 제 1 단계와;건조 중에 히터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t2)를 감지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감지된 온도(t2)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t1)를 비교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의 비교된 결과에서 상기 감지된 온도(t2)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t1)보다 낮으면, 히터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 4 단계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조 초기만 아니라, 건조 도중에 발생하는 히터의 고장에 대하여 감지할 수 있으므로, 히터 고장으로 인한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의류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 {Method of sensing heater trouble of clothing drier}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 초기만 아니라, 건조 도중에 발생하는 히터의 고장에 대하여도 감지할 수 있으므로, 히터 고장으로 인한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의류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류 등과 같은 세탁포를 세탁한 후, 건조시키기 위한 의류건조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며, 여기서, 부호 100은 의류건조기 본체이다. 상기 본체(100) 내에는 건조할 의류를 넣는 드럼(102)이 구비되고, 드럼(102)의 우측 하부에는 응축기(104)가 구비되며, 드럼(102)의 하부 좌측에는 모터(106)가 구비되며, 모터(106)의 회전축에 풀리(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가 고정되며, 그 풀리와 상기 드럼(102)이 벨트(108)로 연결되어 모터(106)의 구동에 따라 드럼(102)이 회전되게 구성된다.
상기 모터(106)의 좌우 양측의 회전축에는 냉각용 팬(110) 및 건조용 팬(112)이 각기 고정되고, 그 냉각용 팬(110)과 상기 응축기(104)의 사이에, 냉각용 팬(11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응축기(104)를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공기통로(114)가 구비됨과 아울러 응축기(104)의 후방과 상기 건조용 팬(112)의 사이 및 건조용 팬(112)과 상기 드럼(102)의 후방 사이에, 응축기(104)에서 응축된 공기가 다시 드럼(102)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공기통로(116)(118)가 각기 구비된다.
한편, 최근 개발된 의류건조기는 건조시 사용되는 공기를 순환시켜 재사용하고 있으며, 이의 순환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드럼(210) 내에 건조할 의류를 인입시키고, 온풍을 드럼내로 공급시키면, 온풍은 의류와 접촉되어 의류를 건조시키게 된다.
이 때, 의류가 건조된 후에 발생된 드럼의 고온 다습한 공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250)로 배출되고, 배출된 공기는 응축기(25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다.
상기 응축기(250)를 통과한 공기는 히터(270)에 의해 가열되어 다시 드럼(210)으로 공급된다.
이 때, 히터(270)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제 1 온도센서(280a)에서 감지하여, 히터(270)의 동작이 정상인가를 점검한다.
그리고, 건조가 완료되었을 때, 드럼(210)에서 배출되는 온도는 제 2 온도센서(280b)에서 감지하여, 드럼(210) 내의 건조를 완료할 것인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의류건조기는 건조 초기에 투입되는 에너지는 의류표면의 수분이 증발하기 용이하도록 순환공기와 의류 및 그 주변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사용되고, 본격적인 건조가 진행되는 구간에서는 에너지가 의류표면의 수분을 증발시키는데 소모된다.
이때는 순환공기의 온도는 큰 변화가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온도분포를 나타내며, 건조 후반부에는 의류에 수분이 거의 없으므로, 에너지의 대부분이 순환공기 자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의류를 통과하고 난 순환공기의 온도는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고, 이 때, 순환공기 중에 수분이 거의 없으므로, 응축기에서는 응축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응축열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응축기를 지나고 난 히터의 입구온도는 오히려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건조 후반부에 나타나는 이러한 의류를 통과한 직후의 순환공기의 온도와 응축기 통과후의 히터입구 단의 온도와의 차이가 커지는 현상을 이용하여 건조를 완료하는 시점을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의류건조기에서는 건조 시작시 히터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만 대응 가능하고, 건조 도중에 발생하는 히터의 고장에 대해서는 대응하지 못하므로, 히터 고장 시 건조시간이 길어지고, 장시간 건조로 의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건조 초기만 아니라, 건조 도중에 발생하는 히터의 고장에 대하여 감지할 수 있으므로, 히터 고장으로 인한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의류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양태(樣態)는, 건조할 포량을 판정하여 히터의 동작이 정상임을 표시하는 기준온도(t1)를 설정하는 제 1 단계와;
건조 중에 히터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t2)를 감지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감지된 온도(t2)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t1)를 비교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의 비교된 결과에서 상기 감지된 온도(t2)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t1)보다 낮으면, 히터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 4 단계로 구성된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로서, 건조할 포량을 판정하여 히터의 동작이 정상을 표시하는 기준온도(t1)를 설정한다.(S10단계)
그 후, 건조 중에 히터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t2)를 감지한다.(S20단계)
그 다음, 상기 S20단계에서 감지된 온도(t2)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t1)를 비교하고(S30), 감지된 온도(t2)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t1)보다 높으면, 히터는 정상으로 판단하고, 계속 건조를 수행한다.(S40단계)
연이어, 건조 수행이 종료되면, 의류 건조기를 냉각시킨다.(S50단계)
그리고, 상기 S20단계에서 감지된 온도(t2)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t1)보다 낮으면, 히터 고장으로 판단하고, 의류 건조기를 냉각시킨다.(S50단계)
여기서, 상기 S10단계 전에, 상기 건조 개시 직후의 에이징 구간(Aging period)에 히터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감지된 온도의 변화가 없으면 히터는 고장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건조가 활성화되는 시점에는 의류건조기의 드럼 내부온도는 고온이 되어 의류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에서는 상기 히터를 용량 큰 대히터와 용량이 작은 소히터로 구성하여, 최초에는 대히터와 소히터를 구동하여 드럼 내부에 신속하게 온풍을 주입하고, 드럼 내부의 온도가 건조에 적합한 온도 이상이 되면, 대히터와 소히터를 선택적으로 오프(Off)시켜 드럼 내부의 온도가 계속 증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상기 히터가 대히터와 소히터로 구성되어 있으면, 상기 S20단계는, 건조 중간구간을 분리하여, 제 1 건조 중간구간에 히터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t2a)를 감지하고, 제 2 건조 중간구간에 히터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t2b)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S10단계에서는 건조할 포량을 판정하여 대히터 또는 소히터의 동작이 고장을 판단하는 기준온도(t3, t1>t3)를 설정한다
이하, 대히터와 소히터의 고장 감지 방법을 설명하면,
① 먼저, 제 1 건조 중간구간에서 감지된 온도(t2a)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t1)보다 낮으면, 대히터와 소히터는 고장이 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 때, 제 1 건조 중간구간에서 감지된 온도(t2a)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t1)보다 낮고, 상기 기준온도(t1)보다 낮은 다른 기준온도(t3)보다 높으면(t1>t2a>t3), 소히터가 고장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 1 건조 중간구간에서 감지된 온도(t2a)가 다른 기준온도(t3)보다 도 낮으면(t3>t2a), 대히터가 고장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감지된 온도(t2a)가 급격히 상온까지 감소하면, 대히터와 소히터가 고장된 것으로 판단된다.
② 제 2 건조 중간구간에서 감지된 온도(t2b)가 변화가 없으면, 소히터가 고장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제 2 건조 중간구간에서 감지된 온도(t2b)가 다른 기준온도(t3)보다 낮으면(t3>t2a), 대히터가 고장된 것으로 판단한다.
마찬가지로, 제 2 건조 중간구간에서 감지된 온도(t2a)가 상온까지 급격히 감소하면, 대히터와 소히터가 모두 고장된 것으로 판단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에 따라, 제 1과 2 건조 중간구간 및 건조 전에 히터가 고장난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도 3의 그래프 중, 'a' 그래프에서 제 1 건조 중간구간에서 급격히 온도가 저하됨으로 히터가 고장된 상태를 나타내고, 'b' 그래프에서 제 2 건조 중간구간에서 급격히 온도가 저하됨으로 히터가 고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c' 그래프는 온도 변화가 없으므로, 건조가 동작되기 전에 히터가 고장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에 따라, 제 1 건조 중간구간에서 히터가 고장난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먼저, 'd' 그래프에서는 제 1 건조 중간구간에서 감지된 온도(t2a)가 고장을 판단하는 기준온도(t3)보다 낮으므로, 대히터가 고장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e' 그래프에서는 제 1 건조 중간구간에서 감지된 온도(t2a)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t1)보다 낮고, 고장을 판단하는 기준온도(t3)보다 높으므로, 소히터가 고장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에 따라, 제 2 건조 중간구간에서 히터가 고장난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도 5의 'f' 그래프에서는 제 2 건조 중간구간에서 감지된 온도(t2b)가 다른 기준온도(t3)보다 낮으므로(t3>t2a), 대히터가 고장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g' 그래프에서는 제 2 건조 중간구간에서 감지된 온도(t2b)가 다른 기준온도(t3)보다 도 낮으므로(t3>t2a), 소히터가 고장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조 초기만 아니라, 건조 도중에 발생하는 히터의 고장에 대하여 감지할 수 있으므로, 히터 고장으로 인한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의류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공기 순화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에 따라, 제 1과 2 건조 중간구간 및 건조 전에 히터가 고장난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에 따라, 제 1 건조 중간구간에서 히터가 고장난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에 따라, 제 2 건조 중간구간에서 히터가 고장난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드럼 250 : 응축기
270 : 히터 280a,280b : 온도센서

Claims (7)

  1. 건조할 포량을 판정하여 히터의 동작이 정상임을 표시하는 기준온도(t1)를 설정하는 제 1 단계와;
    건조 중에 히터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t2)를 감지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감지된 온도(t2)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t1)를 비교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의 비교된 결과에서 상기 감지된 온도(t2)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t1)보다 낮으면, 히터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 4 단계로 구성된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전에,
    상기 건조 개시 직후의 에이징 구간(Aging period)에 히터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감지된 온도의 변화가 없으면 히터는 고장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용량 큰 대히터와 용량이 작은 소히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단계는,
    건조 중간구간을 분리하여, 제 1 건조 중간구간에 히터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t2a)를 감지하고, 제 2 건조 중간구간에 히터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t2b)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건조 중간구간에서,
    감지된 온도(t2a)가 다른 기준온도(t3)보다도 낮으면(t3>t2a), 대히터가 고장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건조 중간구간에서,
    감지된 온도(t2a)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t1)보다 낮고, 상기 기준온도(t1)보다 낮은 다른 기준온도(t3)보다 높으면(t1>t2a>t3), 소히터가 고장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건조 중간구간에서,
    감지된 온도(t2b)가 변화가 없으면, 소히터가 고장이 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과 2 건조 중간구간에서,
    감지된 온도(t2a, t2b)가 상온까지 급격히 감소하면, 대히터와 소히터가 모두 고장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
KR10-2003-0055662A 2003-08-12 2003-08-12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 KR100508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662A KR100508340B1 (ko) 2003-08-12 2003-08-12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662A KR100508340B1 (ko) 2003-08-12 2003-08-12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283A true KR20050017283A (ko) 2005-02-22
KR100508340B1 KR100508340B1 (ko) 2005-08-17

Family

ID=3722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5662A KR100508340B1 (ko) 2003-08-12 2003-08-12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83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970B1 (ko) * 2005-06-30 2012-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 분사식 세탁기의 행정 제어방법
CN113545678A (zh) * 2020-04-24 2021-10-2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电蒸箱的加热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951B1 (ko) * 2003-08-26 2011-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히터 구동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970B1 (ko) * 2005-06-30 2012-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 분사식 세탁기의 행정 제어방법
CN113545678A (zh) * 2020-04-24 2021-10-2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电蒸箱的加热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8340B1 (ko) 200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60735C (zh) 衣物干燥机的控制方法
US7644513B2 (en) Laundry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ying course of the same
US8196242B2 (en) Method of controlling drying cycle in a washing machine based on sensed temperature
EP2935687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drying machine and a corresponding laundry drying machine
US20040060197A1 (en) Apparatus for sensing dryness degree in exhaust type clothes dryer and control method using same
KR101253143B1 (ko) 건조기의 건조방법
JP3650104B2 (ja) 衣類乾燥機
KR100508340B1 (ko)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
JP2007082863A (ja) 衣類乾燥機および衣類洗濯乾燥機
KR100606720B1 (ko) 건조장치 및 그의 건조행정 제어방법
KR101053608B1 (ko)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KR19980027822A (ko) 드럼세탁기의 건조방법
KR101024920B1 (ko) 자동 건조 드럼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1138694B1 (ko)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행정 제어방법
JP6466093B2 (ja) 衣類乾燥機
KR100686045B1 (ko) 세탁기의 탈수운전 제어방법
JP5597373B2 (ja) 衣類乾燥機
KR100686044B1 (ko) 세탁기의 탈수운전 제어방법
KR101181770B1 (ko) 건조기의 건조방법
KR20050042539A (ko) 응축식 의류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15291A (ko)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JPH02249599A (ja) 衣類乾燥機の制御方法
KR20050042540A (ko) 응축식 의류건조기 및 건조구간 분리방법
JP2005137505A (ja) 衣類乾燥機
KR20050066434A (ko) 응축식 의류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