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6712A - 가변 스케줄링 지연을 가진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송신의스케줄링 - Google Patents

가변 스케줄링 지연을 가진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송신의스케줄링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6712A
KR20050016712A KR10-2004-7021690A KR20047021690A KR20050016712A KR 20050016712 A KR20050016712 A KR 20050016712A KR 20047021690 A KR20047021690 A KR 20047021690A KR 20050016712 A KR20050016712 A KR 20050016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ing
terminals
data transmission
terminal
c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1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타오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4-7021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6712A/ko
Publication of KR20050016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71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groups of terminals or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상이한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를 스케줄링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처음에, 각 단말기의 스케줄링 지연이 결정되고, 각 단말기의 총 가용 송신 전력과 링크 효율리 추정된다. 제 1 방식에서, 단말기는 모든 단말기의 지연 중에서 가장 긴 스케줄링 지연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된다. 제 2 방식에서, 각 단말기에는 스케줄링 지연에 기초하여 특정한 우선순위가 할당되고, 단말기는 할당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스케줄된다. 제 3 방식에서, 단말기는 스케줄링 지연에 기초하여 클래스로 분류된다. 총 가용 송신 전력의 퍼센티지가 각 클래스에 할당되고 각 클래스에서의 단말기는 상기 클래스에 할당된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스케줄된다. 제 4 방식에서, 단말기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되고, 각 단말기에 대한 스케줄이 스케줄링 지연 이후에 적용된다.

Description

가변 스케줄링 지연을 가진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송신의 스케줄링 {SCHEDULING OF DATA TRANSMISSION FOR TERMINALS WITH VARIABLE SCHEDULING DELAYS}
배경기술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가변 스케줄링 지연들을 사용하여 단말기로의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음성, 데이터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통신을 제공하는데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폭넓게 사용한다. 이들 통신은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접속 시스템일 수 있으며, 코드 분할 다중접속 (CDMA), 시분할 다중접속 (TDMA),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FDMA), 또는 그 외의 다중 접속기술들에 기초할 수 있다. CDMA 시스템들은 다른 여러 종류의 시스템에 비하여 증가된 시스템 능력을 포함한 여러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많은 CDMA 시스템은 상이한 종류의 서비스들 (예를 들어, 음성, 패킷 데이터 등) 을 순방향 링크 및 역방향 링크를 통하여 지원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각각의 서비스 종류는 요구사항들의 특정 세트로 특징화된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음성서비스는 모든 사용자들에 대하여 비교적 엄격하고 고정된 지연 뿐만 아니라 고정되고 공통적인 서비스 등급 (GOS) 을 요구한다. 특히, 스피치 프레임의 전체적인 1 방향 지연이 100 msec 미만으로 되도록 특정될 수 있다. 이들 요구사항은 (예를 들어, 통신 세션의 기간 동안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전송 트래픽 또는 코드 채널을 통하여) 사용자마다 고정되고 보장된 데이터 레이트를 제공하며 링크 자원과 무관한 스피치 프레임의 특정 최대 에러 레이트를 보장함으로써 만족될 수 있다. 소정의 데이터 레이트에서 요구되는 에러 레이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성능이 떨어지는 링크를 가지는 사용자에게 더 높은 자원을 할당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와 반대로, 패킷 데이터 서비스는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다른 GOS 를 허용할 수 있으며, 또한 가변 지연양을 허용할 수 있다.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GOS 는 데이터 메시지의 송신에 발생되는 총 지연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연은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효율을 최적화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로 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어떤 주어진 기지국에서 사용 가능한 총 송신 전력은 고정되어 있다.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단말기들로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하는데 총 송신 전력을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다. 어떤 주어진 순간에, 상이한 요구사항들을 가진 다수의 단말기들이 데이터 송신을 요구할 수 있다. 양쪽 종류의 서비스 (즉, 음성 및 패킷 데이터) 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CDMA 시스템은 특정 GOS 와 더욱 짧은 지연들을 요구하는 음성 사용자들에게 먼저 송신 전력을 할당하도록 설계되고 동작될 수 있다. 이후, 일반적으로 더 긴 지연들을 허용할 수 있는 패킷 데이터 사용자들에게 나머지 송신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이후, 무선 통신 시스템의 주요 과제는 높은 시스템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패킷 데이터 사용자들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데 있다. 이들 패킷 데이터 사용자들에 대한 단말기들로의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데는, 여러 문제들이 발생한다. 먼저, 음성 사용자들에 의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양이 프레임마다 변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이후 패킷 데이터 사용자들에 대하여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의 양에 영향을 준다. 두번째로, 주어진 데이터 레이트에 대하여 각각의 스케줄링 단말기에 의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은 채널 상태들에 의존하는데, 이 또한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세번째로, 스케줄링할 단말기들은 상이한 스케줄링 지연 (이는 예를 들어, 단말기가 스케줄링되는 시간과 실제 데이터 송신 시간 간의 차이로서 정의될 수 있음) 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단말기들은 소프트 핸드오프일 수 있고 다수의 기지국들에 의해 지원될 수 있으며, 이들 단말기의 스케줄링 지연은 소프트핸드오프가 아닌 단말기들의 지연보다 더 길 수 있다.
따라서, 당해기술분야에는, 상이한 스케줄링 지연들을 가진 단말기들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기술들이 요구된다.
발명의 개요
상이한 스케줄링 지연들을 가진 단말기들을 스케줄링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상이한 스케줄링 지연은 소프트 핸드오프, 상이한 네트워크 소자들과의 통신, 상이한 백홀 지연들 등과 같은 여러 팩터들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주어진 기지국에서 사용 가능한 총 송신 전력 (Ptot) 은 스케줄링되지 않은 단말기들 (예를 들어, 음성 및 고정 데이터 레이트 단말기들) 에 초기에 할당될 수 있다. 이후, 스케줄링된 단말기에 대하여 나머지 송신 전력 (Psched) 을 사용할 수 있다. 상이한 스케줄링 지연들과 관련된 단말기들은 여러 스케줄링 방식에 기초하여 스케줄링될 수 있다.
제 1 방식으로,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스케줄링할 각각의 단말기의 스케줄링 지연을 초기에 결정한다. 이후, 단말기들은 모든 단말기들의 지연 중에서 가장 긴 스케줄링 지연에 기초하여 그리고 특정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스케줄링된다.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실제 데이터 송신 시) 단말기들로의 데이터 송신에 사용 가능한 총 송신 전력을 추정하거나 예측할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단말기의 링크 효율을 추정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들은 추정한 총 사용 가능 송신 전력과 추정한 링크 효율에 기초하여 스케줄링된다. 가장 긴 스케줄링 지연의 사용 때문에, 단말기들을 스케줄링하는데 더 높은 마진을 사용할 수도 있다. 특정 스케줄링 방식은 단말기들을 스케줄링하는데 예를 들어, 단말기들의 링크 효율성들, 제공될 서비스 품질 (QOS), 서비스 종류, 송신될 데이터 양과 종류, 이득 및 이점 고려사항들 등과 같이 여러 팩터들을 고려할 수 있다.
제 2 방식에서는,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스케줄링할 각각의 단말기의 스케줄링 지연을 초기에 결정한다. 이후, 각각의 단말기는 그 스케줄링 지연에 기초하여 특정 우선순위를 할당받는다. 일반적으로, 더욱 긴 스케줄링 지연들을 가진 스케줄링 단말기들은 더 짧은 스케줄링 지연들을 가진 단말기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할당받을 수 있다. 이후, 단말기들은 이들의 할당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그리고 특정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스케줄링된다.
제 3 방식에서는,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스케줄링할 각각의 단말기의 스케줄링 지연을 초기에 결정한다. 이후, 단말기들은 그들의 스케줄링 지연에 기초하여 복수의 클래스로 분류된다. 각각의 클래스는 총 시스템 용량의 특정 퍼센티지 (예를 들어, 총 가용 송신 전력의 퍼센티지) 를 할당받는다. 이후, 각각의 클래스에서의 단말기들은 그 클래스에 할당된 시스템 용량에 기초하여, 그리고 특정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스케줄링된다. 이 각각의 클래스에 할당되는 퍼센티지는 여러 팩터에 의존할 수 있으며, 또한, 동작 조건들과 시스템 요구사항들에 기초하여 다이내믹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 4 방식에서는,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스케줄링할 각각의 단말기의 스케줄링 지연을 초기에 결정한다. 이후, 단말기들은 각각의 단말기마다 개개의 스케줄링이 제공되도록 특정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스케줄링된다. 이후, 각각의 단말기에 대한 스케줄은 그 스케줄링 지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미래 송신 간격에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태양과 실시형태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래 자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양태, 실시형태 및 특징들을 구현하는 방법, 프로그램 코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스케줄러, 단말기들, 기지국, 시스템, 및 그 외의 장치 및 소자들을 제공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특징, 특성 및 이점들을,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자세히 설명하며, 도면 전반에 걸쳐 유사한 구성요소들은 그에 대응하는 유사한 부재번호로 나타낸다.
도 1 은 복수의 사용자를 지원하는 무선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특정 단말기에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고 송신하는 시간라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단말기들이 가장 긴 스케줄링 지연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되는 제 1 스케줄링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단말기들이 자신의 스케줄링 지연들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되는 제 2 스케줄링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총 가용 송신 전력이 단말기들의 클래스에 할당되고 각각의 클래스의 단말기들이 그 클래스에 할당된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스케줄링되는 제 3 스케줄링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제 4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서 단말기들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제 1 실시형태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 은 도 1 에 나타낸 네트워크 소자들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 은 스케줄러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세한 설명
도 1 은 복수의 사용자를 지원하는 무선 다중접속 통신시스템 (100) 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시스템 (100) 은 IS-95, cdma 2000, IS-856, W-CDMA, 및 그 외의 당해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표준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CDMA 표준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을 참조로서 포함한다. 시스템 (100) 은 개개의 지형학적 영역들에 대한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복수의 기지국 (104) 을 포함한다. 또한, 기지국은 베이스 트랜시버 시스템 (BTS), 액세스 유닛, UTRAN, 또는 몇몇 다른 용어로 언급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및/또는 커버리지 영역은 셀이라 한다. 또한, 기지국들 (104) 은 기지국에 연결되어 기지국에 대하여 좌표와 제어를 제공하는 시스템 컨트롤러 (102) 를 커플링한다. 시스템 컨트롤러 (102) 는 기지국 제어기 (BSC), 모바일 스위칭 센터 (MSC), 또는 다른 몇몇 네트워크 엔티티일 수 있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단말기 (106) 가 시스템 전체에 걸쳐 분산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단말기 (106) 는 그 단말기가 활성 상태인지의 여부 및 다수의 기지국들로부터 적절한 링크 신호품질을 가진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에 의존하여, 하나 이상의 기지국 (104) 과 순방향 링크 및 역방향 링크를 통하여 주어진 순간에 통신한다. 순방향 링크 (또는 다운링크) 를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로의 송신을 의미하며, 역방향 링크 (또는 업링크) 는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송신을 의미한다.
도 1 에서는, 기지국 (104a) 은 순방향 링크를 통하여 단말기 (106a, 106b, 및 106c) 로 사용자 특정 데이터를 송신하며, 기지국 (104b) 은 단말기 (106a, 106b, 106d, 및 106e) 로 사용자 특정 데이터를 송신하며 기지국 (104c) 은 단말기 (106b 및 106f) 로 사용자 특정 데이터를 송신한다. 각각의 사용자 특정 송신들은 음성, 패킷 데이터, 또는 이들 모두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시스템에서의 그 외의 단말기들은 기지국들로부터 파일럿 및 공통/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지만, 사용자 특정 데이터 송신들을 수신할 수 없다.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이들 단말기들은 도 1 에는 나타내지 않는다. 단말기 (106a 및 106b) 는 다수의 기지국들의 오버랩 커버리지에 있으며, 각각의 단말기들은 소프트 핸드오프에 있으면서 다수의 기지국들로부터 사용자 특정 데이터 송신들을 동시에 수신한다.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역방향 링크 통신은 도 1 에 나타내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100) 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특정 종류의 서비스만이 스케줄링되어 있는 반면, 그 외 종류의 서비스들은 스케줄링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음성 사용자들은 그들의 지연 구속조건과 한정된 데이터 레이트에 의해 스케줄링되어 있지 않다. 이와 반대로, 일반적으로, 패킷 데이터 사용자들은 짧은 지연 구속조건을 가지지 않으며, 그들의 데이터를 수신시에 더 많은 변화량을 허용할 수 있고, 따라서 스케줄링을 위한 우수한 후보들로 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음성 사용자들과 고정 레이트 (예를 들어, 회로 스위칭되는) 데이터 사용자들은 스케줄링되어 있지 않다. 이들 사용자를 위한 송신 전력 사용은 단말기들로부터의 자율적인 피드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패킷 데이터 사용자들은 후술할 여러 방식을 사용하여 스케줄러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자신의 데이터 레이트들 및 기간을 가질 수 있다.
주어진 기지국에서 사용 가능한 총 송신 전력 (Ptot) 을 사용하여, 스케줄링되지 않은 사용자와 스케줄링된 사용자 모두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각각의 스케줄링 간격에서, 스케줄링되지 않은 사용자들을 지원하는데 요구되는 송신 전력의 총양 (Punsched) 을 결정하여 이들 사용자에 할당할 수 있다. 이후, 나머지 송신 전력 (Psched (여기서, Psched = Ptot - Punsched) 을 후술할 기술들에 기초하여 스케줄링되는 사용자들에 할당할 수 있다.
도 2 는 특정단말기에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고 송신하는 시간라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시간 T1 에서, (예를 들어, 스케줄러에 의해) 데이터가 단말기로 송신될 것이라는 표시를 수신한다. 시간 T2 에서, 단말기에 대한 링크를 추정한다. 이 링크 추정은 단말기에 데이터를 바로 송신할 것이라는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링크 추정은 단말기에 대하여 규칙적인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단말기를 스케줄링하는데 요구되는 그 외의 정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시간 T5에서) 데이터 송신의 시간에 가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송신 전력의 양을 예측하거나 추정할 수 있다.
시간 T3에서,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그 외의 단말기들에 대한 그 외의 데이터 송신과 함께 스케줄링한다. 단말기가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하는 경우, T4 시간에서, 단말기로 통지를 송신하여, 단말기가 데이터 송신을 준비하도록 한다. 이 통지는 구현되고 있는 특정표준에 따라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통지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 (예를 들어, cdma2000에서는, 부 채널 할당 메시지 (SCAM)) 로 송신되는 메시지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시간 T5에서, 단말기로의 데이터 송신을 개시한다.
스케줄링은 각각의 "스케줄링" 간격에서 수행될 수도 있으며, 통상적으로, 이 단말기들이 하나 이상의 미래 "송신" 간격들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스케줄링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스케줄링 간격과 송신 간격은 "프레임" 단위로 모두 주어지는데, 이는 몇몇 CDMA 시스템들에서 20 msec로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또한, 그외의 스케줄링 및 송신 간격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이후 설명에서는, 스케줄링 및 데이터 송신은 모두 각각의 프레임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어떤 주어진 프레임에서, (1)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하나 이상의 미래 프레임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단말기를 스케줄링하며, (2) 이전 프레임에서 결정되는 스케줄에 기초하여 현재의 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스케줄링되는 단말기들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말기는 (1) 데이터 표시의 시간으로부터 스케줄링 시간 까지의 특정 시간 (T13) 및 (2) 링크 추정의 시간으로부터 데이터 송신의 시간까지의 특정시간 (T25) (3) 스케줄링 시간으로부터 통지 시간까지의 특정시간 (T34) 및 (4) 스케줄링의 시간으로부터 데이터 송신의 시간까지의 특정시간 (T35) 과 관련될 수 있다. 통지 시간으로부터 송신의 개시까지의 시간 (T45) 은 시간 (T35) 과 (T34) 으로 추정할 수 있다.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스케줄링되는 단말기들은 상이한 "스케줄링" 지연들과 관련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스케줄링 지연은 단말기가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스케줄링되는 시간과 단말기에 대한 실제 데이터 송신 시간 사이의 차이 (즉, 도 2 에서의 시간 T35) 로서 정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스케줄링 지연은 데이터가 단말기에서 사용 가능한 시간과 단말기에 대한 실제 데이터 송신 시간 사이의 차이 (즉, 도 2 에서의 시간 T15) 로서 정의된다. 또한, 스케줄링 지연은 또 다른 몇몇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단말기들 간의 다른 스케줄링 지연들은 여러 팩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먼저, 몇몇 단말기들이 다수의 기지국들과 소프트 핸드오프에 있을 수 있는 반면, 그 외의 단말기들이 단일 기지국과 통신중일 수 있다. 소프트핸드오프에서의 단말기에서는, 단말기를 스케줄링하고 다수의 기지국에 의해 단말기로의 데이터 송신을 코디네이트하는데 요구되는 적절한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데 부가 시간이 요구될 수 있다. 이후, 이러한 부가 시간은 소프트 핸드오프에서 단말기에 대한 더 긴 스케줄링 지연을 일으킬 수 있다. 둘째, 원시 BSC 및/또는 MSC 에 의해 제어되는 인접 통신가능 구역이나 네트워크로 이동하는 단말기들은 더 긴 스케줄링 지연들과 관련될 수 있다. 이들 단말기에서는, 신규 BSC 및/또는 MSC를 통하여 적합한 정보를 라우팅하는데 추가 지연들이 발생할 수 있다. 셋째, 상이한 백홀지연들을 가진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단말기들은 상이한 스케줄링 지연들과 관련될 수 있다. 그 외의 팩터들도 단말기들 간의 상이한 스케줄링 지연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 이들 여러 동작 시나리오들을 설명한다.
소프트핸드오프에서의 단말기는 소프트핸드오프에 있지 않은 단말기들의 지연보다 더 긴 "보고" 지연 및 더 긴 스케줄링 지연과 관련될 수 있다. 이 더 긴 보고 지연은 단말기를 지원하는 모든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줄링을 위하여 정보를 요구하는 엔티티 또는 엔티티들로 적합한 정보를 전달해야 하는 필요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소프트핸드오프에서의 단말기들의 기지국과의 통신이 단절되는 경우, 이후, 기지국으로부터의 정보가 시스템 제어기를 통하여 라우팅되는 것을 요구한다면, 더 긴 보고 지연들이 발생할 수 있다.
소프트 핸드오프에서의 단말기에 대한 더 긴 스케줄링 지연은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로의 데이터 송신들을 코디네이트해야 하는 필요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이한 기지국은 상이한 "로딩" 을 가질 수 있는데, 이 로딩은 기지국의 통신가능구역에서의 단말기들에 대한 데이터 송신과 관련된 여러 팩터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팩터는 단말기들의 순방향 링크 요구를 만족시키는데 요구되는 송신 전력의 양(즉, 기지국 송신 버퍼에서의 비트들)과 관련될 수 있다. 또 다른 팩터는 단말기 요구들을 만족시키는데 요구되는 채널화 (예를 들어, 왈시) 코드 스페이스의 양과 관련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기지국의 로딩은 시간에 따라 변경된다. 소프트핸드오프에 있지 않은 단말기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서는, 단지 하나의 기지국 로딩을 고려할 것을 요구하며, 이후, 이는 단말기를 스케줄링하는 것을 간략하게 한다. 이와 반대로,소프트핸드오프에서 단말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서는, 모든 영향받는 기지국의 로딩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단말기를 스케줄링하는 것을 복잡하게 한다. 소프트핸드오프를 위하여, 소프트 핸드오프에서의 단말기를 지원하는 다수의 기지국간에는 좌표가 요구되어,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로의 데이터 송신이 대략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이후, 이는 소프트 핸드오프 단말기가 디코딩 이전에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심볼을 "소프트합성"하도록 하는데, 이는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소프트 핸드오프에 대한 더 긴 스케줄링 지연은 더 긴 통지 지연을 일으킬 수 있다. 소프트핸드오프에서의 단말기에 대한 스케줄은 모든 영향받는 기지국으로의 송신을 요구하며, 이 통지는 이들 각각의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로의 송신을 요구할 수 있다.
소프트핸드오프에서의 단말기를 스케줄링하는데 관련된 추가 복잡성 및 지연들을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예로서, 기지국 (104a) 은 단말기 (106a 및 106b) 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 단말기 (106b) 는 기지국 (104a 및 104b) 과 소프트핸드오프하며, 단말기 (106b) 는 기지국 (104a, 104b, 및 104c) 과 소프트 핸드오프한다. 단말기 (106a) 를 스케줄링하기 위하여, 기지국 (104a) 은 기지국 (104b) 으로부터 (1) 기지국 (104b) 에 대한 단말기 (106) 의 링크 효율에 관한 정보 (2) 기지국 (104b) 에서의 로딩 등을 요구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단말기 (106b) 를 스케줄링하기 위해서는, 기지국 (104a) 은 각각의 기지국 (104b 및 104c) 으로부터 (1) 각각의 기지국에 대한 단말기 (106b) 의 링크 효율에 관한 정보 (2) 기지국 (104b 및 104c) 에서의 로딩 등을 요구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기지국 (104a) 은 그 외의 다른 기지국들로부터 어떠한 추가 정보를 요구하지 않고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단말기 (106c) 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또한, 단말기들이 시스템에서의 그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이한 스케줄링 지연을 경험할 수 있다. 기지국의 통신가능구역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는 기지국에 의한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스케줄링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가능한 가장 짧은 스케줄링 지연과 관련될 수 있다. (즉, 소프트핸드오프에서의) 2 이상의 기지국의 통신가능구역 내에 위치한 단말기는 기지국의 그룹에 대한 제어와 좌표를 제공하는 BSC 에 의해 스케줄링 (또는 BSC 를 통하여 전달되는 적합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이후, 더 긴 스케줄링 지연은 BSC 를 통한 스케줄링과 적합한 정보를 라우팅하는 결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2 이상의 BSC 의 통신가능구역들 간에 위치하는 단말기는 기지국의 그룹에 대한 제어와 좌표를 제공하는 BSC 에 의해 스케줄링 (또는 BSC 를 통하여 전달되는 적합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추가 스케줄링 지연은 BSC와 MSC 를 통한 스케줄링 및 적합한 정보를 라우팅하는 결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2 이상의 MSC 의 통신가능구역들 간에 위치하는 단말기는 MSC의 그룹에 대한 제어와 좌표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스케줄링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하여 전달되는 적합한 정보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추가로 지연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단말기에 대한 정보와 스케줄을 라우팅하는데 요구되는 네트워크 소자의 수를 증가시킬수록, 주어진 단말기의 스케줄링 지연이 증가할 수 있다.
데이터 송신을 위한 단말기들의 스케줄링은 분배 스케줄링 방식, 중앙 스케줄링 방식, 및 하이브리드 스케줄링 방식과 같은 여러 종류의 방식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 외의 종류의 스케줄링 방식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분배 스케줄링 방식에서는, 각각의 기지국이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통신가능 구역 내에서의 단말기들을 스케줄링하는 별도의 스케줄러를 포함한다. 이 방식에서는,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로의 데이터 송신들이 대략 동시에 발생할 수 있도록 소프트핸드오프에서의 각각의 단말기를 지원하는 다수의 기지국 간에 좌표가 요구되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심볼들이 디코딩 이전에 소프트 결합할 수 있다.
중앙 스케줄링 방식에서는, 마스터 스케줄러가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다수의 기지국의 통신가능구역 내의 단말기들을 스케줄링한다. 이러한 마스터 스케줄러는 시스템 제어기 (102; 예를 들어, BSC 또는 MSC), 기지국 (104) 중 하나, 또는 그 외의 네트워크 소자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방식에서는, 단말기들을 스케줄링하는데 요구되는 모든 적합한 정보가 마스터 스케줄러에 제공되며, 이후, 이는 단말기들을 스케줄링하고 각각의 기지국에 대하여 스케줄을 제공한다.
하이브리드 스케줄링 방식에서는, 마스터 스케줄러가 기지국 그룹에 대한 단말기들을 스케줄링하며 또한, 별도의 스케줄러가 기지국 마다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스케줄러는 소프트핸드오프에서의 모든 단말기들을 스케줄링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기지국에서의 별도의 스케줄러가 소프트핸드오프에 있지 않은 단말기들을 스케줄링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모든 스케줄링 방식의 경우, 스케줄러는 스케줄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각종 정보를 필요로 할 수도 있다. 각 기지국에 요구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기지국에서의 로딩, 스케줄링된 단말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총 송신 전력 (Psched), 스케줄링되는 각 단말기의 링크 효율, 각 단말기에 송신되는 데이터양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정보의 일부는 기지국 또는 소정의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고, 정보의 일부는 스케줄링되는 단말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통상, 시간에 따라 정보가 변화하고, 그 변화를 설명하는 방식으로 스케줄링이 수행될 수도 있다.
스케줄링되는 각 단말기는, 통신하고 있는 모든 기지국에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 후, 이 피드백 정보는 단말기로의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피드백 정보는, 예를 들어, 단말기에서 수신된 신호의 신호 품질, 단말기가 지원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속도, 이전에 송신된 패킷에 대한 승인 (ACK) 및/또는 네가티브 승인 (NACK), 다른 정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수신된 신호 품질은, 예를 들어, 단말기 전용 트래픽 채널의 비트당 에너지 대 총 노이즈 및 간섭비 (Eb/Io), 또는 파일럿 채널의 파일럿당 에너지 대 총 수신된 전력 밀도비 (Ecp/Io), 또는 상기 모두에 의해 정량화될 수 있다. 최대 지원가능한 데이터 속도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파일럿의 Eb/Io 를 추정하거나 소정의 다른 기술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분산 스케줄링 방식의 경우, 각 기지국은 단말기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뿐만 아니라 (소프트 핸드오프의 단말기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위하여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그 후, 각 기지국은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그 커버리지 영역내에서 단말기를 위하여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한다. 집중 스케줄링 방식의 경우, 각 기지국은 피드백 정보와 다른 관련된 정보를 마스터 스케줄러에 전송할 수도 있고, 그 후 이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기로의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한다.
단말기로의 데이터 송신의 스케줄링은 여러 팩터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들 팩터들 중 일부는 아래에 설명된다. 또한, 다른 팩터들도 고려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링크 효율.
링크 효율은, 소정의 단말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송신 전력의 양을 나타내고, 초당비트당전력 (Watt/bps) 의 단위로 주어질 수도 있다. 각 단말기는, 특정 목표 레벨의 성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 수신된 신호에 대하여 특정 Eb/Io 를 필요로 한다. 이 목표 Eb/Io 는 종종 설정점으로 지칭되고, 목표 레벨의 성능은 특정 프레임 에러 레이트 (FER) 또는 패킷 에러 레이트 (PER) 에 의해 정량화될 수도 있다. 또한, 각 단말기는 특정 전송 경로 손실과 결합되고, 목표 Eb/Io 를 달성하기 위하여 (Pb 로 지칭되는) 특정 bps 당 송신 전력량을 요구할 수도 있다.
소정 단말기의 링크 효율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송신에 요구되는, bps 당 총 송신 전력 (Pb) 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단일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기의 경우, Pb 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상기 단일 기지국으로부터 요구되는 송신 전력량이다. 다중 기지국을 갖는 소프트핸드오프내의 단말기의 경우, Pb 는 소프트핸드오프에서 단말기를 지원하는 개별 기지국으로부터 요구되는 bps 당 송신 전력의 합이고,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식 1)
여기서, Pb i 는 기지국 (i) 으로부터 요구되는 bps 당 송신 전력이고, NB 는 단말기가 소프트핸드오프에 있는 기지국의 개수이다.
소정 단말기의 링크 효율은 여러 수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링크 효율은 순방향 링크 상에서 단말기로 송신되는 전력 제어 비트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다수의 CDMA 시스템에서, 각 단말기의 송신 전력은 역방향 전력 제어 메커니즘에 의해 제어되므로 다른 단말기와의 간섭량을 최소화하면서 기지국에서 설정점이 달성된다. 순방향 링크 전력 제어 비트는 역방향 전력 제어 메커니즘을 구현하는데 사용되고, 단말기에서 신뢰성 있는 검출을 제공하기 위하여 추정된 전력 레벨로 송신된다. 전력 제어 비트에 기초한 링크 효율의 결정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수되고 여기서 참조 병합하고 있는, 1999년 1월 28일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CDMA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인 미국 특허 출원 일련번호 09/239,451 호에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또한, 링크 효율의 단말기에 송신되는 트래픽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서비스 품질 (QOS).
서비스 품질은 소정 단말기에 의해 향유된 서비스의 레벨에 관한 것이다. QOS 는, (1)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단말기에 의해 경험되는 총 지연, (2) 단말기에 대하여 달성된 평균 또는 로(raw) 스루풋, (3) 데이터 송신을 위한 실제 프레임 에러 레이트 등에 의해 정량화될 수도 있다.
다른 팩터들.
또한, 데이터 송신을 위한 단말기를 스케줄링하는데 다른 팩터들을 고려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하나의 팩터는 단말기에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에 관할 것일 수도 있다. 다른 종류의 서비스는 서로 다른 이득 또는 이익과 결합될 수도 있고, 더 높은 이익/이득과 결합된 단말기는 더 낮은 이익/이득과 결합된 단말기보다 앞서 우선 고려될 수도 있다. 다른 팩터는 단말기에 송신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관한 것일 수도 있다. 지연 민감 데이터에는 스케줄링에서 더 높은 우선순위가이 주어질 수도 있고, 지연 민감 데이터에 더 낮은 우선순위가이 주어질 수도 있다. 또한, 이전 송신에서의 복호 에러로 인해 재송신된 데이터에는, 재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다른 프로세서가 단말기에서 대기하고 있을 수도 있으므로, 더 높은 우선순위가이 주어질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팩터들도 고려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상술한 팩터들의 임의의 조합은, 데이터 송신을 위한 단말기를 스케줄링하는데 고려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팩터는 각각의 가중량으로 가중될 수도 있고, 모든 팩터들에 대하여 가중된 값을 조합하여 각 단말기에 대한 스코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 후, 이 스코어는 단말기의 우선순위를 부여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단말기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형태에서, 프레임 n 에서 단말기 i 에 대한 스코어 φi(n) 는 Np 개의 이전 프레임 상에서 달성된 선형의 평균 스루풋을 나타내고,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식 (2)
여기서, ri(n) 은 프레임 n 에서 단말기 i 에 대한 "구현된" 데이터 속도 (비트/프레임의 단위) 이다. 통상, ri(n) 은 특정 최대 달성가능한 데이터 속도인 rmax 와 특정 최소 데이터 속도 (예를 들어, 0) 에 의해 구속된다.
다른 특정 구현형태에서, 프레임 n 에서 단말기 i 에 대한 스코어 φi(n) 는 특정 시간 간격 상에서 달성된 지수함수의 평균 스루풋을 나타내고,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식 (3)
여기서, α는 지수함수 평균에 대한 시정수이고, 더 짧은 평균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α에 대하여 더 큰 값을 갖는다.
또 다른 특정 구현형태에서, 프레임 n 에서 단말기 i 에 대한 스코어 φi(n) 는 정규화된 데이터 속도를 나타내고,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식 (4)
여기서, Tpi(n) 은 프레임 n 에서 단말기 i 에 대한 평균 또는 최근 스루풋이고, K 는 가중 팩터이다.
식 (2) 와 식 (3) 을 사용하여 추정된 스코어의 경우, 더 낮은 평균 스루풋에 대응하는, 더 낮은 스코어를 갖는 단말기에 더 높은 우선순위가 주어질 수도 있다. 또한, 식 (4) 를 사용하여 추정된 스코어의 경우, 더 낮은 평균 또는 최근 스루풋에 대응하는, 더 높은 스코어를 갖는 단말기에 더 높은 우선순위가 주어질 수도 있다.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되는 모든 단말기에 대하여 스케줄링 지연이 동일한 경우, 상술한 각종 팩터들의 임의의 조합에 기초하여 단말기를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각 프레임에서, 단말기를 스케줄링하는데 필요한 관련된 정보는 스케쥴러에 의해 수신된다. 그 후, 단말기의 스코어 및/또는 우선순위가 결정될 수도 있고, 그 스코어 및/또는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단말기를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그 후,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스케줄링된 단말기에 통지를 전송한다. 그 후, 이들 스케줄링된 단말기로의 데이터 송신은 지정된 시간에 발생한다.
데이터 송신을 위한 단말기의 스케줄링은, 모두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수되고 여기서 참조 병합하고 있는, 2000년 3월 17일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순방향 링크 스케줄링" 인 미국 특허 출원 제 09/528,235 호와, 2002년 1월 1일 발행된 발명의 명칭이 "순방향 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인 미국 특허 6,335,922 호에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되는 모든 단말기에 대하여 스케줄링 지연이 동일한 경우, 각종 스케줄링 방식에 기초하여 단말기를 스케줄링할 수도 있고, 그 일부를 아래에 설명한다.
동일하지 않은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에 대한 제 1 스케줄링 방식에 서는, 스케줄링되는 모든 단말기의 지연들 중 가장 긴 스케줄링 지연에 기초하여 단말기를 스케줄링한다. 각 프레임에서, 스케줄러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될 준비가 된 단말기에 대하여 완전한 정보를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단말기는 서로 다른 보고 지연과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관련된 정보가 단말기를 위한 스케줄러에 의해 수신될 때는 언제나, 각 단말기는 스케줄링을 위해 고려될 수도 있다.
도 3 은 가장 긴 지연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신을 위한 단말기의 스케줄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4개의 단말기 (A, B, C, 및 D) 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된다. 이들 단말기는 도 1 의 단말기 (106a, 106b, 106d, 및 106e) 에 대응할 수도 있다. 단말기 (A 및 B) 는 소프트핸드오프에 있고, 더 긴 스케줄링 지연과 결합되고, 단말기 (C 및 D) 는 소프트핸드오프에 있지 않고, 더 짧은 스케줄링 지연과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관련된 정보는 프레임 n 에서 단말기 (A, B, C, 및 D) 에 대하여 수신된다. 동일 프레임 n 에서, 그들의 더 짧은 스케줄링 지연때문에 프레임 n+1 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단말기 (C 및 D) 를 스케줄링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단말기 (A 및 B) 는 그들의 더 긴 스케줄링 지연때문에 프레임 n+2 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 1 스케줄링 방식의 경우, 모든 4개의 단말기 (A, B, C, 및 D) 는, 모든 4개의 단말기에 대한 가장 긴 스케줄링 지연에 대응하여, 프레임 n+2 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프레임 n 에서 스케줄링된다.
통상, 스케줄러는, 스케줄링되는 모든 단말기에 대하여, 최대 스케줄링 지연인, Dmax 를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프레임 n 에서, 스케줄러는, 동일한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스케줄링 단말기에 사용될 수도 있는 스케줄링 방식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프레임 n+Dmax 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이들 단말기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단말기 세트에 대한 데이터 송신의 스케줄링은, (1) 데이터 송신에 사용 가능한 총 송신 전력인, Psched, 와 (2) 각 단말기의 링크 효율인, Pb 등의 각종 팩터에 의존한다. 프레임 n 에서, 스케줄러에는, 데이터 송신이 개시되는 n+Dmax 에서 사용 가능한, 총 송신 전력의 추정인, 이 제공될 수도 있다. 미래 프레임에서 가용하게 되는 총 가용 송신 전력은 스케줄링 시간에서 사용 가능한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 (또는 예측) 될 수도 있다. 또한, 스케줄러에는, 스케줄링되는 각 단말기에 대하여 프레임 n-Di 에서 이루어지는, 링크 효율의 추정인, 이 제공된다. 각 단말기의 링크 효율은 현재 프레임 n 이전의 상기와 같이 추정된 Di 프레임이고, Di 는 보고 지연에 따라 0 이거나 임의의 다른 양의 값일 수 있다. 총 가용 송신 전력의 추정인, , 와 링크 효율인, 은, 추정이 이루어진 시간과 사용되는 시간간의 증가하는 지연으로 인해 더 정확하지 않게 된다.
스케줄링된 단말기에 사용 가능한 총 송신 전력과 각 단말기의 링크 효율은,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이 개시되는 프레임 등의) 시간의 특정 미래 시점에 대한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이 스케줄링되는 시간 등의) 시간의 특정 시점에서 추정 (또는 예측)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링크 조건은 추정이 이루어지는 시간과 추정이 실제로 사용되는 시간간에서 변화할 수도 있다. 링크가 변화하는 경우, 이들 추정은 실제로 사용되는 시간에서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스케줄링된 단말기에 사용 가능한 총 송신 전력이 추정된 것보다 훨씬 더 낮거나 및/또는 추정된 링크 효율이 너무 낙관적인 경우, 과도한 프레임 에러가 발생할 수도 있어, 성능을 열화시키게 된다. 한편, 총 가용 송신 전력이 추정된 것보다 훨씬 더 높거나 및/또는 추정된 링크 효율이 너무 비관적인 경우, 소중한 시스템 리소스가 덜 사용될 수도 있다.
제 1 스케줄링 방식의 경우, 그 스케줄링이 가장 긴 스케줄링 지연에 기초하므로, 정확하지 않은 추정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데이터 송신을 위한 단말기를 스케줄링하는데 더 높은 마진 (예를 들어, 더 큰 백-오프) dl 사용될 수도 있다.
동일하지 않은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에 대한 제 2 스케줄링 방식에서는, 그 스케줄링 지연 및 또는 소정의 다른 팩터들 (예를 들어, 소프트핸드오프) 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우선순위가 할당된다. 각 프레임에서, 스케줄러는, 특정 미래 프레임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될 준비가 된 단말기에 대한 완전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들 단말기는 서로 다른 스케줄링 지연과 결합될 수도 있다. 제 2 방식의 경우, 더 긴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에는 더 높은 우선순위가 할당되고, 더 짧은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에는 더 낮은 우선순위가 할당된다. 그 후, 이들 단자는 그들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된다. 동일한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는 동일 지연을 갖는 단말기의 스케줄링을 위해 상술한 고려사항에 기초하여 스케줄링될 수도 있다.
도 3 에 도시된 실시예를 사용하는 제 2 스케줄링 방식의 경우, 모든 4개의 단말기 (A, B, C, 및 D) 는 미래 프레임 n+2 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프레임 n 에서 스케줄링된다. 스케줄링을 위해, 단말기 (A 및 B) 는, 소프트핸드오프에 있고 더 긴 스케줄링 지연과 결합되기 때문에, 더 높은 우선순위가 할당되고, 단말기 (C 및 D) 는, 소프트핸드오프에 있지 않기 때문에, 더 낮은 우선순위가 할당된다. 따라서, 단말기 (A 및 B) 에는, 프레임 n+2 에서 사용 가능한 (예를 들어, 송신 전력 및 채널화 코드 공간 등의) 리소스의 더 큰 부분이 할당되게 된다. 그 후, 이들 단말기에는 프레임 n+2 상에서 그들을 위하여 스케줄링된 임의의 데이터 송신이 통지되게 된다. 단말기 (C 및 D) 의 우선순위가 더 낮기 때문에, 스케줄러가 프레임 n+2 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이들 단말기를 고려할 때까지, 리소스의 일부 또는 모두는 단말기 (A 및 B) 에 이미 할당되게 된다. 그러나, 단말기 (C 및 D) 에는 임의의 잔여 가용 리소스가 여전히 할당될 수도 있다.
도 4 는 그들의 스케줄링 지연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신을 위한 단말기의 스케줄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케줄러는 프레임 n 에서 단말기 (A, B, C, 및 D) 를 위한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도 3 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단말기 (A 및 B) 는 더 긴 스케줄링 지연과 결합되고, 단말기 (C 및 D) 는 더 짧은 스케줄링 지연과 결합된다. 단말기 (A 및 B) 는 프레임 n+2 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될 수도 있고, 단말기 (C 및 D) 는 프레임 n+1 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될 수도 있다. 그들의 더 긴의 스케줄링 지연때문에, 프레임 n+2 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경우, 단말기 (A 및 B) 에는 더 높은 우선순위가 주어질 수도 있다. 그들의 더 짧은 스케줄링 지연때문에, 프레임 n+1 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경우, 단말기 (C 및 D) 에는 더 낮은 우선순위가 주어질 수도 있다. 실제로, 프레임 n+1 에서 가용하게 되는, 총 송신 전력인, 의 일부는, 이전 프레임 n-1 에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경우, 스케줄러에 의해 더 긴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에 이미 할당될 수도 있다.
통상, 제 1 스케줄링 방식은, 더 짧은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에 앞서 더 긴 지연을 갖는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를 스케줄링한다. 그러나, 더 짧은 스케줄링 지연은 갖는 단말기에는, 소정의 다른 고려사항 (예를 들어, 더 높은 이익) 으로 인해 더 긴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것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가 할당될 수도 있다. 제 2 스케줄링 방식은, 일정한 예외가 적용되는, 가장 이른 시간에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가능한한 다수의 단말기를 스케줄링하려는 시도를 하므로, 시스템 성능을 개선하게 된다.
동일하지 않은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에 대한 제 3 스케줄링 방식에서, 사용 가능한 시스템 용량의 특정 퍼센티지는 동일한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의 각 클래스에 할당된다. 이들 시스템 용량은, 스케줄링된 단말기에 사용 가능한, 총 송신 전력인, Psched 의 항으로 정량화될 수도 있다. 단말기의 각 클래스에 할당되는 시스템 용량의 특정 퍼센티지는 각종 팩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각 클래스에 할당되는 사용 가능한 시스템 용량의 퍼센티지는 클래스내의 단말기의 링크 효율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비례하여) 결정된다. 링크 효율은, 예를 들어, 기지국의 송신 용량 (와트수), 각 클래스에서 단말기에 송신되는 데이터의 총량, 단말기의 스루풋, 스케줄링된 단말기에 송신되는 각 데이터 비트와 결합된 이익 등의 각종 팩터에 기초하여 더 가중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사용 가능한 시스템 용량은, 상술한 바와 같은, 팩터들의 임의의 조합에 기초하여 클래스에 할당된다. 시스템 용량 할당은, 분산 스케줄링 방식에서 각 기지국에 의해 (및 각 기지국을 위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집중된 스케줄링 방식에 대하여 마스터 스케줄러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5 는 2개의 서로 다른 클래스의 단말기에 대한 총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의 할당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클래스 X 는 (예를 들어, 상시 실시예에서 단말기 (A 및 B) 등의) 더 긴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클래스 Y 는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 단말기 (C 및 D) 등의) 더 짧은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각 프레임에서, 스케줄러는 그 프레임에서 스케줄링되는 단말기에 대한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그 후, 스케줄러는 그 스케줄링 지연에 기초하여 적당한 클래스로 단말기를 분류한다. 스케줄러는, 클래스에 대한 총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의 퍼센티지 할당 등의, 단말기를 스케줄링하는데 필요한 다른 파라미터를 더 결정할 수도 있다. 그 후, 스케줄러는 클래스 X 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 PX 에 기초하여, 클래스 X 에서 단말기들을 스케줄링하며, 이와 유사하게, 클래스 Y 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 PY 에 기초하여, 클래스 Y 에서 단말기들을 스케줄링한다. 단말기들의 각 클래스를 위한 스케줄링은, 각 단말기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일한 스케줄링 지연을 가지도록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리포팅 및/또는 스케줄링 지연이 더 길수록, 추정되는 총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 및 링크 효율에서의 정확도가 감소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이한 양의 마진 (즉, 상이한 백-오프 량) 은 상이한 클래스의 단말기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큰 마진은, 더 긴 스케줄링 지연과 관련한 클래스 X 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작은 마진은 더 짧은 스케줄링 지연과 관련한 클래스 Y 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더 긴 스케줄링 지연을 가지는 단말기들은, 더 짧은 지연을 가지는 단말기들에 비해, 더욱 보존적으로 스케줄링된다. 예를 들어, 더 긴 스케줄링 지연들을 가지는 단말기들은 더 낮은 데이터 레이트에서 시작될 수 있다.
또한, 각 클래스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은, 동작 조건에서의 변화를 고려하기 위하여 다이나믹하게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센티지 할당은 각각의 클래스에서의 사용, 링크 효율의 변화 등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또, 소정의 클래스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은 재할당될 수도 있으며, 어떤 환경에서의 또 다른 클래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더 긴 스케줄링 지연과 관련한 클래스를 위한 사용되지 않은 송신 전력이 더 짧은 스케줄링 지연과 관련된 또 다른 클래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n 에서의 클래스 X 의 단말기들은 프레임 n+2 에서의 송신 데이터용으로 스케줄될 수도 있다. 프레임 n 에서, 프레임 n+1 에서의 클래스 X 에 할당된 송신 전력 (프레임 n+1 에서의 스케줄러에 의해) 이러한 클래스에서의 스케줄된 단말기들에 데이터 송신에 의해 전부 사용되지 않으며, 클래스 X 를 위한 사용되지 않은 남아있는 송신 전력은 클래스 Y 의 단말기들에 대한 데이터 송신용으로 사용될 것이다. 이는, 클래스 Y 의 단말기들이 더 짧은 스케줄링 지연을 가지고, 프레임 n+4 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한 시간에 알려질 수도 있다.
동일하지 않은 스케줄링 지연들로 단말기들을 스케줄링하는 제 4 의 방식은 처음에 그들이 동일한 스케줄을 가진 것과 같이 단말기들을 데이터 송신용으로 스케줄링하는 것이다. 각 단말기들의 스케줄은, 그의 스케줄링 지연 이후에 적용된다.
도 6 은 제 4 스케줄링 방식에 따른 단말기용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프로세스 600 의 일 실시형태의 흐름도이다. 각 프레임에서는, 각 스케줄러는 이미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된 단말기들의 종료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612). 이러한 단말기들은 상이한 스케줄링 지연들과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 4 방식을 위하여, 스케줄되는 각 터미널은, 링크 효율, 스루풋, 이득성 고려 등 또는 그 임의의 조합 등의 여러 요소들에 기초한 특정 우선순위를 처음부터 할당받는다 (단계 614). 예를 들어, 우선순위가 더 높으면, 더 낮은 최근 스루풋, 더 높은 이득 등을 가지는 단말기를 할당받을 수 있다.
그 후, 단말기들은, 그들의 우선순위를 고려함으로써 데이터송신을 위해 스케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단말기들은 그들의 스케줄링 지연을 고려하거나, 또는 하지 않고 스케줄링되며, 다음 프레임에서의 또는 스케줄링되는 모든 단말기들의 지연들 중에서 가장 짧은 스케줄링 지연에서의, 또는 기타 다른 지정된 시간에서의 가정적인 데이터 송신을 위해서 스케줄될 수도 있다. 가정적인 송신 시간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예상되는 총 송신 전력 (Psched) 은 단말기들을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된다.
스케줄링의 결과는 각 단말기의 데이터 송신 스케줄 (예를 들어, 스케줄 된 단말기를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레이트 및 송신 전력) 이다. 그 후, 각 단말기의 개별적인 스케줄이 그 스케줄링 지연에 적용된다 (단계 618). 따라서, 더 긴 스케줄링 지연을 가지는 단말기에 대한 스케줄 이전에, 더 짧은 스케줄링 지연을 가지는 단말기에 대한 스케줄이 적용된다.
개별 단말기의 스케줄이 어떤 소정의 프레임에 대해, 상이한 스케줄링 지연으로 인해 상이한 시간에 적용될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에 대한 총 가용 송신 전력 (Psched(n)) 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스케줄된 모든 데이터 송신을 지원하는데 불충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에, 프레임에 대한 스케줄은 그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단계 620). 예를 들어, 소정의 프레임에 대한 총 가용 송신 전력이 더 긴 스케줄링 지연 (또는 더 높은 우선순위) 를 갖는 단말기에 먼저 할당될 수도 있고, 그 후, 나머지 송신 전력이 더 짧은 스케줄링 지연 (또는 더 낮은 우선순위) 을 갖는 단말기에 할당될 수도 있다. 스케줄된 프레임으로부터 "범프된 (bumped)" 단말기는 (예를 들어, 단말기들의 우선순위를 상승시킴으로써) 다음 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고려될 수도 있다. 다음의 (또는 근간의) 프레임에서 더 짧은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를 재스케줄하는 플렉시빌리티는 더 짧은 통지 시간으로 인해 가능할 수도 있다. 각 프레임에 대해, 데이터는 상기 프레임에서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도록 스케줄된 각 단말기로 송신된다 (단계 622).
스케줄된 프레임으로부터 범프되는 단말기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더 긴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를 스케줄링할 때 더 높은 마진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더 긴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의 예상 링크 효율은 더 짧은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에 대해 사용된 것 보다 더 큰 마진만큼 증가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팩터로 인해 상이한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를 스케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스케줄링 지연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도 7은 통신 시스템 (100) 에서의 다양한 네트워크 소자의 특정한 실시형태의 블록도이다. 시스템 (100) 은 다수의 기지국 (104) (단순함을 위해 도 7에는 하나의 기지국만 도시하였다) 과 통신하는 시스템 제어기 (102) 를 포함한다. 시스템 제어기 (102) 는 (예를 들어, 음성 서비스용의)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 (PSTN :112) 및 (예를 들어, 패킷 데이터 서비스용의)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PDSN : 114) 과 더 인터페이스한다. 시스템 제어기 (102) 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와 기지국 (104), PSTN (112), 및 PDSN (114) 사이의 통신을 조정한다.
도 7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 시스템 제어기 (102) 는 호출 제어 프로세서 (712), 다수의 선택기 소자 (714) (단순함을 위해 도 7에는 하나의 선택기 소자만을 도시하였다), 및 스케줄러 (716) 를 포함한다. 호출 제어 프로세서 (712) 는 각 단말기에 대한 호출의 프로세싱을 제어한다. 하나의 선택기 소자 (714) 가 각 단말기와 하나 이상의 기지구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해 할당된다. 스케줄러 (716) 는 시스템 제어기 (102) 내의 모든 선택기 소자 (714) 에 연결되고 패킷 데이터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한다.
도 7에 도시한 예시적인 설계에서, 기지국 (104) 은 다수의 채널 소자 (722a 내지 722n) 를 포함한다. 하나의 채널 소자 (722) 가 각 단말기에 대한 통신을 프로세스하고 단말기에 할당된 관련 선택기 소자 (714) 에 연결하기 위해 할당된다. 각 선택기 소자 (714) 는 할당된 단말기에 대한 스케줄 (예를 들어, 데이터 레이트, 송신 전력, 및 송신 시간) 을 스케줄러 (716) 로부터 수신하고 관련 채널 소자 (722) 로 스케줄을 전송한다. 채널 소자 (722) 는 수신된 스케줄에 기초하여 할당된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 인코딩, 및 변조한다. 변조된 신호는 송신기 (TMTR : 724) 에 의해 업컨버트되고 조절되고, 듀플렉서 (726) 를 통해 라우트되고, 순방향 링크를 통해 안테나 (728) 를 통해 송신된다.
수신 단말기 (106) 에서, 순방향 링크 신호는 안테나 (750) 에 의해 수신되고 프론트-엔드 유닛 (752) 으로 라우트된다. 프론트-엔드 유닛 (752) 은 수신된 신호를 필터링, 증폭, 다운컨버트, 및 디지털화하여 데이터 샘플을 제공한다. 그 후, 데이터 샘플은 복조기 (Demod : 754) 에 의해 복조되고, 디코더 (756) 에 의해 디코딩되어, 데이터 싱크 (758) 로 제공된다. 복조 및 디코딩은 기지국에서 수행된 변조 및 인코딩에 상보적인 방식으로 수행된다.
역방향 링크를 통한 데이터 송신은 유사한 방식으로 발생한다. 데이터는 단말기 (106) 내의 데이터 소스 (760) 로부터 제공되고, 인코더 (762) 에 의해 인코딩되고, 변조기 (Mod : 764) 에 의해 변조되어 변조된 신호를 제공한다. 그 후, 변조된 신호는 프론트-엔드 유닛 (752) 에 의해 업컨버트되고 조절되어, 안테나 (750) 를 통해 송신된다.
기지국 (104) 에서, 역방향 링크 신호는 안테나 (728) 에 의해 수신되고, 듀플렉서 (726) 를 통해 라우트되며, 수신기 (RCVR : 730) 로 제공된다. 수신기 (730) 는 역방향 링크 신호를 필터링, 증폭, 다운컨버트, 및 디지털화하여, 단말기에 할당된 채널 소자 (722) 에 데이터 샘플을 제공한다. 할당된 채널 소자 (722) 는 단말기에서 수행된 변조 및 인코딩에 상보적인 방식으로 데이터 샘플을 복조 및 디코딩한다. 디코딩된 데이터는 단말기에 할당된 선택기 소자 (714) 에 제공될 수도 있고, 이것은 또 다른 기지국 (104), PSTN (112), 또는 PDSN (114) 으로 데이터를 더 전송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설계는 시스템을 통한 데이터 및 음성 서비스 모두에 대한 송신을 지원한다. 또한, 다른 설계가 예상될 수도 있고 이것은 본 발명의 범위 이내이다.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에 대한 프로세싱 (예를 들어, 인코딩 및 변조) 이 특정한 CDMA 또는 구현된 시스템 (예를 들어, IS-95, cdma2000, IS-856, 또는 W-CDMA) 에 의해 정의된다. 이들 표준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도 8은 스케줄러 (716) 의 실시형태의 블록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스케줄러 (716) 는 메모리 유닛 (814) 및 타이밍 유닛 (816) 에 연결되는 제어기 (812) 를 포함한다. 제어기 (812) 는 시스템 제어기 (102) 내의 선택기 소자 (714) 에 더 연결되고 기지국으로부터 관련 정보 (예를 들어, 단말기의 링크 효율 (Pb), 스케줄되지 않은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각 스케줄된 단말기로 송신될 데이터의 양 등) 를 수신한다. 제어기 (812) 는 스케줄된 단말기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총 송신 전력 (Psched) 을 추정하기 위해 수신된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 후, 제어기 (812) 는 추정된 총 가용 송신 전력 (Psched) 에 기초하고 전술한 스케줄링 방식중의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을 사용하여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한다. 스케줄링의 결과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된 각 단말기에 대한 개별 스케줄이다. 각 단말기에 대한 스케줄은, 예를 들어, 스케줄된 데이터 레이트, 할당된 송신 전력, 송신 시작 시간 및 지속기간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 유닛 (814) 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관련 정보, 스케줄 등과 같은, 제어기 (812) 에 의해 요구 및/또는 제공된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타이밍 유닛 (816) 은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 타이밍 신호를 제어기 (812) 에 제공한다. 또한, 타이밍 신호는 적절한 시간에 선택기 소자 (714) 로 스케줄을 제어기 (812) 가 전송할 수 있게 한다. 메모리 유닛 (814) 은 RAM, DRAM, 플래시 RAM, 다른 유형의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타이밍 유닛 (816) 은 시스템 클락을 런 오프하는 카운터, 외부 신호에 락된 온-보드 오실레이터, 외부 소스로부터 시스템 타이밍을 수신하는 저장 소자, 또는 어떤 다른 설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술한 스케줄링은 다양한 설계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스케줄러의 위치는 중앙화되고, 분포되거나 하이브리드 스케줄링 방식이 요망되는지 여부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스케줄러는 각 기지국 내에 위치될 수도 있고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서 단말기를 스케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분포된 스케줄링은 어떤 단말기에 대한 프로세싱 지연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마스터 스케줄러가 기지국의 그룹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 중앙화된 스케줄링은 시스템 자원의 더 효율적인 사용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임의의 경우에, 스케줄러는 목표의 세트가 최적화되도록 각 스케줄된 단말기에 데이터 레이트를 할당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이들 목표는 (1) 시스템 용량 제약 내에서 지원될 수 있는 만큼 스케줄되고 스케줄되지 않은 작업을 송신함으로써 시스템 용량의 개선된 활용, (2) 개선된 통신 품질 및 최소화된 송신 지연, (3) 우선순위 세트에 기초한 스케줄된 단말기로의 시스템 용량의 공평한 할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목표는 팩터의 리스트를 밸런싱함으로써 최적화된다.
또한, 순방향 링크를 통한 데이터 송신의 스케줄링이 전술한 미국 특허 출원 제 09/528,235 호 및 미국 특허 제 6,335,922 호에 더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스케줄링 기술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들 기술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스케줄링 기술중의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 스케줄러 및 다른 소자가 하나 이상의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 (DSPD),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FPGA),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스케줄링 기술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 (예를 들어, 절차, 기능 등) 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 (예를 들어, 도 8의 메모리 유닛 (814)) 에 저장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 (예를 들어, 제어기 (812)) 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개시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조하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실시형태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당업자에게는 쉽게 명백할 것이고 본 명세서에 정의한 일반 원리가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한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에 개시한 원리 및 신규한 특징과 일치하는 가장 광범위한 범위를 부여한다.

Claims (36)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방법으로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송신될, 복수의 단말기 각각의 스케줄링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기를 그들의 스케줄링 지연에 기초하여 복수의 클래스로 분류하는 단계;
    총 시스템 용량의 특정 퍼센티지를 각 클래스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클래스에 할당된 시스템 용량에 기초하고 특정한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데이터 송신을 위해 각 클래스에서의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총 시스템 용량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 가능한 총 송신 전력에 의해 정량화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클래스는 거의 동일한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클래스에 할당된 상기 총 시스템 용량의 퍼센티지는 상기 단말기의 링크 효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클래스에 할당된 상기 총 시스템 용량의 퍼센티지는 복수의 단말기로 송신될 데이터의 양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클래스와 관련된 스케줄링 지연에 기초하여 결정된 송신 간격으로 각 클래스에서의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더 긴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의 스케줄링에는 더 높은 마진이 사용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더 긴 스케줄링 지연과 관련된 제 1 클래스로부터의 잔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클래스로부터의 잔류 송신 전력을 갖는 더 짧은 스케줄링 지연과 관련된 제 2 클래스에서의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스케줄링 방식은 상기 단말기의 링크 효율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신을 위해 각 클래스에서의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스케줄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특정한 스케줄링 방식은 상기 단말기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신을 위해 각 클래스에서의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스케줄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특정한 스케줄링 방식은 파라미터의 세트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신을 위해 각 클래스에서의 하나 이상이 단말기를 스케줄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는 소프트 핸드오프 상태의 단말기 및 소프트 핸드오프 상태가 아닌 단말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방법.
  13.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될, 복수의 단말기 각각의 스케줄링 지연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기를 그들의 스케줄링 지연에 기초하여 복수의 클래스로 분류하고;
    총 시스템 용량의 특정한 퍼센티지를 각 클래스에 할당하고; 또한
    상기 클래스에 할당된 시스템 용량에 기초하고 특정한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데이터 송신을 위해 각 클래스에서의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스케줄하기 위해, 디지털 정보를 해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 (DSPD) 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메모리.
  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될, 복수의 단말기 각각의 스케줄링 지연을 결정하는 코드;
    상기 복수의 단말기를 그들의 스케줄링 지연에 기초하여 복수의 클래스로 분류하는 코드;
    총 시스템 용량의 특정한 퍼센티지를 각 클래스에 할당하는 코드;
    상기 클래스에 할당된 시스템 용량에 기초하고 특정한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데이터 송신을 위해 각 클래스에서의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스케줄링하는 코드; 및
    상기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사용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5.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동작하는 메모리 유닛; 및
    상기 메모리 유닛에 연결되고,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될, 복수의 단말기 각각의 스케줄링 지연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기를 그들의 스케줄링 지연에 기초하여 복수의 클래스로 분류하고;
    총 시스템 용량의 특정한 퍼센티지를 각 클래스에 할당하며; 또한
    상기 클래스에 할당된 시스템 용량에 기초하고 특정한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데이터 송신을 위해 각 클래스에서의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스케줄하도록 동작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스케줄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클래스는 거의 동일한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포함하는, 스케줄러.
  17. 제 15 항의 스케줄러를 포함하는 기지국.
  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장치로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될, 복수의 단말기 각각의 스케줄링 지연을 결정하는 수단;
    상기 복수의 단말기를 그들의 스케줄링 지연에 기초하여 복수의 클래스로 분류하는 수단;
    총 시스템 용량의 특정한 퍼센티지를 각 클래스에 할당하는 수단; 및
    상기 클래스에 할당된 시스템 용량에 기초하고 특정한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데이터 송신을 위해 각 클래스에서의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스케줄링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장치.
  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 하는 방법으로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될, 복수의 단말기 각각의 스케줄링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
    특정한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데이터 송신을 위해 상기 복수의 단말기를 스케줄링하여 각 단말기에 대한 스케줄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지연에 기초하여 결정된 송신 간격으로 각 단말기에 대한 스케줄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더 긴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의 스케줄링에는 더 높은 마진이 사용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더 높은 우선순위가 더 긴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에 할당되고,
    상기 스케줄링은 상기 단말기의 우선순위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수행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각 단말기의 링크 효율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추정된 링크 효율에 기초하여 추가로 스케줄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방법.
  23. 제 19 항에 있어서,
    현재 송신 간격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총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송신 간격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 대한 하나 이상의 스케줄을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총 가용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스케줄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총 가용 송신 전력이 상기 현재 송신 간격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된 모든 단말기를 지원하는데 불충분한 경우에, 더 짧은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가 데이터 송신으로부터 제거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방법.
  25.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동작하는 메모리 유닛; 및
    상기 메모리 유닛에 연결되고,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될, 복수의 단말기 각각의 스케줄링 지연을 결정하고;
    특정한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데이터 송신을 위한 상기 복수의 단말기를 스케줄하여 각 단말기에 대한 스케줄을 제공하고, 또한
    상기 스케줄링 지연에 기초하여 결정된 송신 간격에서 각 단말기에 대한 스케줄을 적용하도록 동작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스케줄러.
  26. 제 25 항에 있어서,
    더 긴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의 스케줄링에는 더 높은 마진이 사용되는, 스케줄러.
  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방법으로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될, 복수의 단말기 각각의 스케줄링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지연에 기초하여 결정된 특정한 우선순위를 각 단말기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우선순위에 기초하고 특정한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데이터 송신을 위한 상기 복수의 단말기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더 긴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에는 더 짧은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 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가 할당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더 긴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의 스케줄링에는 더 높은 마진이 사용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방법.
  30.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동작하는 메모리 유닛; 및
    상기 메모리 유닛에 연결되고,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될, 복수의 단말기 각각의 스케줄링 지연을 결정하고,
    상기 스케줄링 지연에 기초하여 결정된 특정한 우선순위를 각 단말기에 할당하며, 또한
    상기 할당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특정한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데이터 송신을 위한 상기 복수의 단말기를 스케줄링하도록 동작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스케줄러.
  31. 제 30 항에 있어서,
    더 긴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에는 더 짧은 스케줄링 지연을 갖는 단말기 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가 할당되는, 스케줄러.
  3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방법으로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될, 복수의 단말기 각각의 스케줄링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단말기의 스케줄링 지연 중에서 가장 긴 스케줄링 지연에 기초하고 특정한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데이터 송신을 위한 복수의 단말기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 가능한 총 송신 전력을 추정하는 단계; 및
    각 단말기의 링크 효율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말기는 상기 추정된 총 가용 송신 전력과 상기 단말기 추정된 링크 효율에 기초하여 추가로 스케줄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방법.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긴 스케줄링 지연의 사용으로 인해, 데이터 송신을 위해 상기 복수의 단말기의 스케줄링에는 더 높은 마진이 사용되는, 데이터 송신 스케줄링 방법.
  35.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하기 위해 사용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동작하는 메모리 유닛; 및
    상기 메모리 유닛에 연결되고,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될, 복수의 단말기 각각의 스케줄링 지연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단말기의 스케줄링 지연 중에서 가장 긴 스케줄링 지연에 기초하고 특정한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데이터 송신을 위한 상기 복수의 단말기를 스케줄하도록 동작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스케줄러.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긴 스케줄링 지연의 사용으로 인해, 데이터 송신을 위해 상기 복수의 단말기의 스케줄링에는 더 높은 마진이 사용되는, 스케줄러.
KR10-2004-7021690A 2002-07-01 2003-06-28 가변 스케줄링 지연을 가진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송신의스케줄링 KR20050016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21690A KR20050016712A (ko) 2002-07-01 2003-06-28 가변 스케줄링 지연을 가진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송신의스케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188,169 2002-07-01
KR10-2004-7021690A KR20050016712A (ko) 2002-07-01 2003-06-28 가변 스케줄링 지연을 가진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송신의스케줄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712A true KR20050016712A (ko) 2005-02-21

Family

ID=41783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1690A KR20050016712A (ko) 2002-07-01 2003-06-28 가변 스케줄링 지연을 가진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송신의스케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67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6446B2 (ja) 可変スケジューリング遅延を有する端末に対するデータ送信のスケジューリング
JP5153074B2 (ja) パケット・データ・リソースを管理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5096367B2 (ja) 専用制御チャネルを実装し、および/または使用する方法ならびに装置
KR101432441B1 (ko) H-arq 프로세스를 동적으로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US7486638B2 (en) Base st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4354958B2 (ja) 高速ダウンリンク・パケット・データ・サービスのために無線ネットワークコントローラおよびノードbリソース管理デバイスを連係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2479929B1 (en) Scheduling a communication service
JP3866963B2 (ja) Cdmaシステムにおいてクオリティオブサービスを調整するために複数のデータフローをスケジューリングする方法とシステム
JP200550812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パケットデータ伝送をスケジュール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5086216A (ja) パケット優先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40010839A (ko) 양방향성 통신 시스템에서의 예측적인 스케줄링을 위한방법 및 장치
JP2004260261A (ja) パケット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KR20050016712A (ko) 가변 스케줄링 지연을 가진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송신의스케줄링
JP4726068B2 (ja) パケット送信制御装置、パケット送信制御方法
US20090181682A1 (e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of signalling therefor
KR2006007729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역방향 링크 리소스 할당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