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6621A - 우산보관장치 및 우산유지자물쇠 - Google Patents

우산보관장치 및 우산유지자물쇠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6621A
KR20050016621A KR10-2004-7020965A KR20047020965A KR20050016621A KR 20050016621 A KR20050016621 A KR 20050016621A KR 20047020965 A KR20047020965 A KR 20047020965A KR 20050016621 A KR20050016621 A KR 20050016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lock
support member
storage device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0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나베고우미
Original Assignee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4-7020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6621A/ko
Publication of KR20050016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62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3/00Devices for locking portable objects against unauthorised removal; Miscellaneous locking devices
    • E05B73/02Devices for locking portable objects against unauthorised removal; Miscellaneous locking devices for walking-sticks or umbrella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물받이부(3)의 후단부에는, 지주부(2)를 세워 설치한다. 지주부(2)의 상단부에는, 하나의 지지부재(4)의 기단부를 회전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지지부재(4)는, 우산보관장치(A)의 사용시에는, 수평이 되도록 회전이동시켜 위치고정한다. 지지부재(4)의 좌우 양 측부에는, 복수의 우산유지자물쇠(5, 5')를 지지부재(4)의 길이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한다. 우산유지자물쇠(5, 5')에 유지된 우산으로부터 방울져 떨어지는 물방울은, 물받이부(3)에 의해 받는다.

Description

우산보관장치 및 우산유지자물쇠{UMBRELLA STORAGE DEVICE AND UMBRELLA HOLDING LOCK}
본 발명은, 우산보관장치 및 그 우산보관장치에 사용하는 데에 바람직한 우산유지자물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보관장치는, 장치본체와, 이 장치본체의 상단부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지지부재와, 각 지지부재의 적어도 일측부에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우산유지자물쇠를 구비하고 있다. 우산유지자물쇠는, 보관해야 할 우산의 손잡이부(피유지부)를 잠금상태로 유지한다(일본 특개평8-308711호 공보 참조).
상기 종래의 우산보관장치에 있어서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 끝단부사이 및 다른 끝단부사이가 닫혀져 있다. 따라서, 우산을 우산유지자물쇠에 의해서 유지시키기 위해서 지지부재사이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우산전체를 일단 지지부재보다 위까지 이동시켜, 그 후 지지부재사이에 삽입해야 한다. 그런데, 우산을 지지부재보다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그 우산의 돌출한 선단으로부터 방울져 떨어지는 물방울에 의해서 먼저 보관되어 있는 우산의 손잡이부 등이 젖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신장이 작은 아이에게는, 우산 전체를 지지부재보다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고, 그러한 경우에는 우산보관장치를 이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우산보관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동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동 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동 실시형태를, 지지부재 및 물받이를 지주부내에 수용한 상태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동 실시형태의 지지부재의 양 측부에 부착된 한 쌍의 우산유지자물쇠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X화살표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Y화살표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내는 한 쌍의 우산유지자물쇠중의 한쪽의 우산유지자물쇠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우산유지자물쇠의 하반체를 떼어내고, 또한, 잠금부재를 해제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로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10은, 동 우산유지자물쇠의 잠금부재를 자물쇠채움개시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로 나타내는 도 9와 같은 도면이다.
도 11은, 동 우산유지자물쇠의 잠금부재를 자물쇠채움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로 나타내는 도 9와 같은 도면이다.
도 12는, 동 우산유지자물쇠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잠금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2(A)는 도 12(B)의 A화살표시도, 도 12(B)는 평면도, 도 12(C)는 도 12(B)의 C화살표시도이다.
도 13은, 동 우산유지자물쇠에 있어서 사용하고 있는 키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3(A)는 그 정면도, 도 13(B)는 도 13(C)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13(C)는 평면도, 도 13(D)는 도 13(A)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우산보관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동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동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동 실시형태를, 지지부재를 수용위치에, 물받이부를 접는 위치에 각각 회전이동시킨 상태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우산보관장치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동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동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X-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관한 우산보관장치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동 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동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동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26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하고 있는 우산유지자물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관한 우산보관장치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동 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29는, 동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30은, 동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관한 우산보관장치의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2는, 동 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33은, 동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34는, 동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 관한 우산보관장치에 있어서 사용하는 데 바람직한 우산유지자물쇠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에 관한 우산보관장치의 제 7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에 관한 우산보관장치의 제 8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에 관한 우산보관장치의 제 9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장치본체와, 길이방향을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장치본체에 기단부가 지지된 하나의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측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우산의 피유지부를 유지하는 복수의 우산유지자물쇠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장치본체의 적어도 일측부에는, 상하방향 및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정렬방향을 향하는 기준면이 설치되고, 기준면이 상기 우산용 유지자물쇠로부터 상기 정렬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의 기단부가 상기 장치본체에 수평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길이 방향을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한 사용위치와 선단부가 기단부의 거의 연직아래쪽에 위치하여 전체가 상기 장치본체에 거의 따른 수용위치의 사이를 회전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기 장치본체에는 화장덮개가 열림위치와 닫힘위치의 사이를 회전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화장덮개는, 상기 열림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사용위치와 상기 수용위치의 사이를 회전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닫힘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수용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지지부재 및 상기 우산유지자물쇠를 상기 장치본체와 협동하여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2 형태는, 장치본체와, 길이 방향을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고, 기단부가 상기 장치본체에 각각 지지된 복수의 지지부재와, 각 지지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측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우산의 피유지부를 유지하는 복수의 우산유지자물쇠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가 수평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치되고, 서로 인접하는 두개의 지지부재의 선단부 사이 및 이 선단부 사이를 아래쪽으로 소정거리만큼 연장한 범위가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의 이간방향에서의 상기 장치본체의 적어도 일 측부에는, 상기 이간방향의 바깥쪽을 향하는 기준면이 설치되고, 이 기준면이, 이 기준면에 대하여 상기 이간방향의 안쪽에 인접하는 상기 우산유지자물쇠로부터 소정거리이상 바깥쪽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치본체가, 수평인 일직선상에 서로 떨어져 배치되고, 상하에 세워져 설치된 복수의 지주부와, 이 복수의 지주부가 배치된 직선과 평행한 직선상에 각 지주부와 각각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하로 세워 설치된 복수의 제 2 지주부를 가지며, 서로 대향하는 상기 지주부와 상기 제 2 지주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기단부와 선단부가 각각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서로 인접하는 제 2 지주부사이의 적어도 상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의 이간방향에서의 상기 장치본체의 적어도 일측부에는, 상기 이간방향의 바깥쪽을 향하는 기준면이 설치되고, 이 기준면이, 이 기준면에 대하여 상기 이간방향의 안쪽에 인접하는 상기 우산유지자물쇠로부터 소정거리이상 바깥쪽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치본체가, 길이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또한 수평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치된 2개의 지주부와, 길이 방향의 양 끝단부가 상기 두개의 지주부에 각각 지지된 유지부재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가 상기 유지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치되고, 각 지지부재의 기단부가 상기 유지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두 개 지주부의 이간방향에서 상기 장치본체의 적어도 일 측부에는, 상기 이간방향의 바깥쪽을 향하는 기준면이 설치되고, 이 기준면이, 이 기준면에 대하여 상기 이간방향의 안쪽에 인접하는 상기 우산유지자물쇠로부터 소정거리이상 바깥쪽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산유지자물쇠가, 상기 지지부재의 측부에 부착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옆쪽을 향하는 앞면부에 상하로 이어지며,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옆쪽을 향하여 개방된 수용홈부가 형성된 자물쇠본체와, 이 자물쇠본체에 자물쇠해제위치와 자물쇠채움위치와의 사이를 변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자물쇠해제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우산의 피유지부가 상기 수용홈부에 그 개방부로부터 출입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자물쇠채움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상기 우산의 피유지부가 상기 수용홈부로부터 그 개방부를 통과하여 탈출하는 것을 저지하는 잠금부재를 가지며, 상기 수용홈부의 최심부를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수용홈부 개구부의 중앙부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산유지자물쇠가, 상기 지지부재의 측부에 부착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옆쪽을 향하는 앞면부에 상하로 이어지며,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옆쪽을 향하여 개방된 수용홈부가 형성된 자물쇠본체와, 이 자물쇠본체에 자물쇠해제위치와 자물쇠채움위치와의 사이를 변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자물쇠해제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우산의 피유지부가 상기 수용홈부에 그 개방부로부터 출입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자물쇠채움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상기 우산의 피유지부가 상기 수용홈부로부터 그 개방부를 통과하여 탈출하는 것을 저지하는 잠금부재를 가지며, 상기 수용홈부의 깊이가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 끝단쪽에서 다른 끝단쪽을 향함에 따라 깊어지도록, 상기 수용홈부의 깊이 방향이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시켜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우산유지자물쇠의 제 1 형태는, 앞면에 상하방향으로 이어지고, 또한 전방을 향하여 개방된 수용홈부가 형성된 자물쇠본체와, 이 자물쇠본체에 자물쇠해제위치와 자물쇠채움위치와의 사이를 변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자물쇠해제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우산의 피유지부가 상기 수용홈부에 그 개방부로부터 출입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자물쇠채움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상기 우산의 피유지부가 상기 수용홈부로부터 그 개방부를 통과하여 탈출하는 것을 저지하는 잠금부재를 구비한 우산유지자물쇠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부의 최심부가, 상기 자물쇠본체의 앞면에 따른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수용홈부의 개방부의 중앙부에 대하여 같은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우산유지자물쇠의 제 2 형태는, 앞면에 상하방향으로 이어지고, 또한 전방을 향하여 개방된 수용홈부가 형성된 자물쇠본체와, 이 자물쇠본체에 자물쇠해제위치와 자물쇠채움위치와의 사이를 변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자물쇠해제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우산의 피유지부가 상기 수용홈부에 그 개방부로부터 출입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자물쇠채움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상기 우산의 피유지부가 상기 수용홈부로부터 그 개방부를 통과하여 탈출하는 것을 저지하는 잠금부재를 구비한 우산유지자물쇠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부의 깊이가 상기 자물쇠본체의 앞면을 따라 수평방향을 향함에 따라 깊어지도록, 상기 수용홈부의 깊이 방향이 상기 자물쇠본체의 앞면에 대하여 경사시켜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우산유지자물쇠에 있어서는, 상기 장치본체에 일부를 상기 수용홈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시킨 가동부재가 상기 수용홈부의 깊이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수용홈부에 삽입되는 상기 우산의 피유지부에 맞부딪힘에 따라 피유지부와 함께 상기 수용홈부의 깊이쪽으로 변위했을 때, 그 변위에 연동하여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자물쇠해제위치로부터 상기 자물쇠채움위치쪽으로 변위하도록,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잠금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부재의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중간부가 상기 장치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잠금부재의 상기 장치본체로부터 외부로 돌출한 일 끝단부에,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자물쇠채움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상기 우산의 피유지부가 상기 수용홈부의 개구부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저지하는 걸어맞춤부가 설치되고, 상기 잠금부재의 상기 수용홈부내에 그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다른 끝단부에 상기 가동부재가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홈부의 바닥면이, 상기 수용홈부의 개구부로부터 그 깊이쪽을 향하여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한 쌍의 측면과, 이 한 쌍의 측면의 깊이쪽의 끝단부사이에 설치된 안쪽면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측면중의 상기 수용홈부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측면의 개구부 근방부분에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재가 자물쇠해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수용홈부의 개구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일이 없고, 또한 상기 수용홈부에 그 개구부로부터 삽입되는 우산의 손잡이부가 상기 걸어맞춤부에 맞부딪치는 일이 없도록, 상기 걸어맞춤부의 일부가 상기 홈부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1∼도 3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우산보관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의 우산보관장치(A)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본체(1)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본체(1)는, 길이방향을 상하로 향하게 하여 세워 설치된 지주부(2)와, 이 지주부(2)의 하단부에 설치된 물받이부(3)를 가지고 있다.
지주부(2)는, 앞면이 개구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주부(2)의 상단면의 좌우방향에서의 양 측부에는, 서로 대향한 한 쌍의 축받이부(2a, 2a)가 지주부(2)와 일체로 설치된다. 한 쌍의 축받이부(2a, 2a)는, 각각의 축선을 좌우방향을 향하게 하고, 또한 서로 일치시켜 배치되어 있다. 지주부(2)의 앞면의 상단부에는, 노치부(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부(2b)는, 좌우방향에는 한 쌍의 축받이부(2a, 2a)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지주부(2)의 앞면의 하단부에는, 노치부(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부(2c)는, 좌우방향에는 노치부(2b)와 거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노치부(2b)와 거의 동일한 폭(좌우방향의 폭)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축받이부(2a, 2a) 사이에는, 지지부재(4)의 기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지지부재(4)의 기단부는, 축받이부(2a, 2a)로 부터 좌우방향으로 이어지는 수평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재(4)의 회전이동범위는, 지지부재(4)의 선단부가 기단부와 거의 동일높이가 되어, 그 결과 지지부재(4) 전체가 거의 수평이 된 사용위치와, 지지부재(4)의 선단부가 기단부에 대하여 연직아래쪽에 위치하는 수용위치와의 사이에 규제되어 있다. 지지부재(4)와 지주부(2)와의 사이에는, 걸림고정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4)를 사용위치에 위치시켜 걸림고정기구를 걸림고정상태로 하면, 지지부재(4)가 사용위치에 유지된다. 걸림고정기구에 의한 걸림고정상태를 해제하면, 지지부재(4)는 사용위치로부터 수용위치까지 회전이동할 수 있게 된다. 지지부재(4)가 수용위치로 회전이동하면, 지지부재(4)의 축받이부(2a, 2a)에 대하여 아래쪽에 인접하는 부분이 노치부(2b)에 들어감과 동시에, 지지부재(4)의 노치부(2b)보다 아래쪽의 부분의 거의 전체가 지주부(2)의 내부에 수용된다.
도 2,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재(4)의 좌우방향에서의 일측부(도 5에 있어서 좌측부)에는, 복수의 우산유지자물쇠(5)가 지지부재(4)의 길이 방향에 나란히 설치되고, 다른 측부에는 복수의 우산유지자물쇠(5')가 지지부재(4)의 길이 방향에 나란히 설치된다. 지지부재(4)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인접하는 우산유지자물쇠(5, 5')는, 지지부재(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동일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우산유지자물쇠(5, 5')는, 지지부재(4)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부재(4)가 사용위치와 수용위치의 사이를 회전이동하면 지지부재(4)와 일체로 사용위치와 수용위치와의 사이를 회전이동한다. 더구나, 우산유지자물쇠(5, 5')는, 지지부재(4)가 수용위치에 회전이동하면, 거의 전체가 지주부(2)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 우산유지자물쇠(5, 5')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지주부(2)의 좌측면(2d) 및 우측면(2e)은, 축받이부(2a)의 축선과 직교하는 연직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좌측면(2d)은 우산보관장치(A) 전체중에서 가장 왼쪽에 배치되어 있고, 우측면(2e)은 우산보관장치(A) 전체중에서 가장 오른쪽에 배치되어 있다. 좌측면(2d)과 우측면(2e)이 기준면으로 되어 있다{이하, 좌측면(2d)을 좌측기준면이라고 하고, 우측면(2e)을 우측기준면이라고 한다}. 좌우의 측면(2d, 2e) 전체를 기준면으로 하지 않고, 각 측면(2d, 2e)의 일부에 좌우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의 선단면을 기준면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은,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우산유지자물쇠(5')의 왼쪽을 향하는 앞면(6c)은, 좌측기준면(2d)에 대하여 소정거리만큼 안쪽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우산유지자물쇠(5)의 오른쪽을 향하는 앞면(6c)은, 우측기준면(2e)에 대하여 우산유지자물쇠(5)의 앞면(6c)과 좌측기준면(2d)의 사이의 거리와 동일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좌측기준면(2d)과 우산유지자물쇠(5)의 앞면(6c)과의 간격, 우측기준면(2e)과 우산유지자물쇠(5')의 앞면(6c)과의 간격은, 서로 동일하고, 예를 들면 다음 어느 하나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지금, 좌측기준면(2d)을 연직인 벽면에 면접촉시켜, 그에 따라 지지부재(4)를 상기 연직인 벽면과 평행하게 한 것으로 한다. 그렇게 하면, 연직인 벽면과 우산유지자물쇠(5)의 앞면(6c)과의 사이에는, 좌측기준면(2d)과 앞면(6c)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치수를 가진 빈틈이 형성된다. 이 빈틈을 통해서 우산을 연직인 벽면과 우산유지자물쇠(5)의 앞면(6c)과의 사이에 삽입하도록 할 수 있도록, 좌측기준면(2d)과 앞면(6c)과의 간격이 설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우측기준면(2e)과 우산유지자물쇠(5')의 앞면(6c)과의 간격이 설정되어 있다.
혹은,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우산보관장치(A)의 좌측기준면(2d)과 다른 우산보관장치(A)의 우측기준면(2e)을 면접촉시켜 복수의 우산보관장치(A)를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한다. 이렇게 한 줄로 세우면, 하나의 우산보관장치(A)의 우산유지자물쇠(5)의 앞면(6c)과 하나의 우산보관장치(A)에 인접하는 다른 우산보관장치(A)의 우산유지자물쇠(5')의 앞면(6c)과의 사이에는, 좌측기준면(2d)과 우산유지자물쇠(5)의 앞면(6c)과의 간격{=우측기준면(2e)과 우산유지자물쇠(5')의 앞면(6c)과의 간격}의 2배의 치수를 가진 빈틈이 형성된다. 이 빈틈을 통해서 인접하는 두개의 우산보관장치(A, A)의 우산유지자물쇠(5.5') 사이에 우산을 삽입할 수 있도록, 좌측기준면(2d)과 앞면(6c)과의 간격 및 우측기준면(2e)과 앞면(6c)과의 간격이 설정되어 있다.
지주부(2)의 앞면의 하단부에는, 물받이부(3)의 기단부가 수평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물받이부(3)는, 윗면이 개구한 깊이의 얕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인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받이부(3)는, 어느 우산유지자물쇠(5, 5')에 유지된 우산으로부터 방울져 떨어지는 물방울도 받아낼 수 있도록, 그 전후방향의 길이 및 좌우방향의 폭이 정해져 있다. 더욱이, 물받이부(3)의 폭은, 그러한 조건을 채우는 범위에 있어서 지주부(2)의 좌우방향의 폭, 즉 좌우의 기준면(2d, 2e)의 간격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물받이부(3)의 양 측면은, 지주부(2)의 기준면(2d, 2e)보다 좌우방향에서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물받이부(3)의 회전이동범위는, 그 선단부가 지주부(2)로부터 거의 수평방향 앞쪽으로 이어지는 도 1에 나타내는 물받이 위치와, 선단부가 기단부로부터 거의 연직 위쪽을 향하여 이어지는 접는 위치와의 사이에 규제되어 있다. 물받이부(3)는, 우산보관장치(A)의 통상의 사용 시에는, 사용위치로 회전 이동시켜진다. 사용위치로 회전이동한 물받이부(3)는, 우산유지자물쇠(5, 5')에 유지된 우산으로부터 방울져 떨어지는 물방울을 받아낸다. 그 한편, 물받이부(3)는, 우산보관장치(A)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는 위치로 회전 이동시켜진다. 접는 위치로 회전이동한 물받이부(3)는, 그 대부분이 지주부(2)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 때, 물받이부(3)는, 수용위치에 위치시켜진 우산유지자물쇠(5, 5')의 키(11, 11)의 표면에 거의 접촉한 상태가 되고 있다.
지주부(2)의 앞면의 좌우방향의 일측부에는, 화장덮개(2f)의 일측부가 상하방향을 향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도 4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닫힘위치와, 상상선으로 나타내는 열림위치와의 사이를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화장덮개(2f)는, 열림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지지부재(4) 및 우산유지자물쇠(5, 5')가 사용위치와 수용위치와의 사이를 회전이동 하는 것을 허용함과 동시에, 물받이부(3)가 물받음위치와 접는 위치의 사이를 회전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화장덮개(2f)는, 닫힘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수용위치로 회전이동한 지지부재(4)의 상단부를 제외한 전체, 지지부재(4)에 설치된 모든 우산유지자물쇠(5, 5') 및 물받이부(3)를 덮어서 숨긴다. 화장덮개(2f)는, 지지부재(4)가 사용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물받이부(3)가 물받이 위치에 위치한 우산보관장치(A)의 사용 시에도, 닫힘위치로 회전 이동시켜지고, 지주부(2)의 내부를 덮고 있다. 화장덮개(2f)의 좌우방향의 폭은, 지주부(2)의 좌우방향의 폭보다 좁게 되어 있으며 화장덮개(2f)가 닫힘위치에 위치하였을 때, 그 좌우방향의 양 측면은, 지주부(2)의 좌우의 기준면(2d, 2e)보다 좌우방향에 있어서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우산유지자물쇠(5, 5') 구성을 설명한다. 단, 우산유지자물쇠(5, 5')는, 도 2 및 도 5로부터 명백하듯이, 지지부재(4)의 중앙을 지나는 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쪽의 우산유지자물쇠(5)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다른 쪽의 우산유지자물쇠(5')에 있어서는, 우산유지자물쇠(5)와 같은 구성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산유지자물쇠(5)는, 본체부(6)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6)는, 상반체(6A) 및 하반체(6B)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반체(6A) 및 하반체(6B)는, 경질의 수지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하로 대향한 상태로 서로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속이 빈 직방체형상을 이룬 본체부(6)가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6)의 배면(6a)에는, 배면(6a)을 지지부재(4)의 길이 방향으로 횡단하는 부착홈부(6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홈부(6b)에 지지부재(4)의 일측부를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본체부(6)가 그 앞면(6c)을 지지부재(4)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을 향한 상태로 지지부재(4)에 부착되고 있다.
본체부(6)의 앞면(6c)에는, 수용홈부(6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홈부(6d)는, 도 8∼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산유지자물쇠(5)에 의해서 유지되는 우산의 손잡이부(피유지부)가 삽입되는 것으로, 앞면(6c)을 상하로 횡단하고 있다. 수용홈부(6d)의 최심부는, 수용홈부(6d)의 개구부(6e)의 앞면(6c)에 따른 수평방향(도 8에 있어서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대하여 지지부재(4)의 기단 쪽에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즉, 수용홈부(6d)의 깊이는, 지지부재(4)의 선단 측으로부터 기단쪽을 향함을 따라 깊어지고 있고, 수용홈부(6d)의 깊이 방향이 지지부재(4)의 길이 방향(도 8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있다. 이 경사각도는, 30∼45°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홈부(6d)의 깊이 방향이 경사하고 있는 것에 대응하여, 수용홈부(6d)의 바닥면(6f)의 일부를 구성하는 양측면(6g, 6h)도, 마찬가지로 경사하고 있다. 이렇게, 수용홈부(6d)의 깊이 방향을 앞면(6c)에 대하여 경사시킴으로써, 수용홈부(6d)의 최심부의 위치가 수용홈부(6d)의 개구부(6e)의 앞면(6c)에 따르는 수평방향에서의 중앙부로부터 지지부재(4)의 기단 쪽에 어긋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양 측면(6g, 6h)의 안쪽의 끝단부사이에는, 양 끝단부가 측면(6g, 6h)에 접하는 반원형상의 원호면(안쪽면)(6i)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 원호면(6i)도 바닥면(6f)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 개구부(6e)의 중앙부는, 개구부(6e)의 도 8의 좌우방향에서의 양끝단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를 D로 하였을 때, 양 끝단가장자리로부터 D/2의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개구부(6e)의 양 끝단가장자리가 상하방향으로 똑바르게 이어지지 않고 구부러져 있고, 그 결과 양 끝단가장자리사이의 거리가 상하방향에 각부에서 다를 때에는, 양 끝단가장자리사이의 거리가 가장 좁은 부분에서의 중앙부, 또는 지지부재(4)의 선단쪽에 위치하는 끝단가장자리(도 8에 있어서 오른쪽의 끝단가장자리) 중의 가장 지지부재(4)의 기단쪽에 위치하는 부분과, 지지부재(4)의 기단쪽에 위치하는 끝단가장자리 중의 상기 부분과 상하방향에서 동일위치에 위치하는 부분과의 사이의 중앙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수용홈부(6d)의 개구부(6e)를 구획하는 양 끝단가장자리 중의 지지부재(4)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끝단가장자리와, 이것에 인접하는 측면(6h) {개구부(6e)와 대향하는 측면(6h)}과의 사이에는, 자유면(6j)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자유면(6j)은, 측면(6h)과 역방향으로 경사지고 있다. 즉, 지지부재(4)의 기단쪽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앞면(6c)으로부터 떨어지도록 경사지고 있다. 자유면(6j)과 측면(6h)의 개구부(6e)쪽의 끝단부에 의해 홈부(6k)가 구획 형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9∼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6h)의 자유면(6j)쪽의 끝단부로부터 원호면(6i)의 측면(6g) 쪽의 끝단부에 도달하는 범위에는, 본체부(6)의 내부와 수용홈부(6d)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구멍(6l)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6)의 내부의 대략 중앙부에는, 도 9∼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부재(7)가 배치되어 있다. 잠금부재(7)는, 축선을 상하방향으로 향하게 한 단면이 대략 원형의 심부(중간부)(7a)와, 이 심부(7a)와 일체로 설치되어, 심부(7a)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그 지름방향을 거의 따라 바깥측으로 이어지는 걸어맞춤부(7b)와, 심부(7a)와 일체로 설치되고, 심부(7a)의 바깥둘레면의 걸어맞춤부(7b)에 대하여 둘레방향에 거의 90°떨어진 부분으로부터 심부(7a)의 지름방향을 거의 따라 바깥쪽으로 이어지는 접촉부(가동부재)(7c)를 가지고 있다.
심부(7a)는, 본체부(6)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심부(7a) 자체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본체부(6)에 회전이동할 수 있게, 또한 위치고정하여 설치된다. 심부(7a)의 회전이동범위, 즉 잠금부재(7)의 회전이동범위는, 도 9에 나타내는 해제위치와 도 11에 나타내는 자물쇠채움위치와의 사이에 규제되어 있다. 잠금부재(7)는, 그것과 본체부(6)와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회전이동의 힘을 가하는 수단)(8)에 의해 해제위치와 도 10에 나타내는 자물쇠채움개시위치보다 소정각도만큼 해제위치 쪽에 가까운 중간위치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자물쇠채움위치 쪽으로부터 해제위치 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이동의 힘이 가해지고, 중간위치와 자물쇠채움위치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해제위치 쪽으로부터 자물쇠채움위치 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이동의 힘이 가해지고 있다. 그리고, 잠금부재(7)는, 스프링(8)의 가해지는 힘에 의해, 해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해제위치에 유지되고, 자물쇠채움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자물쇠채움위치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부(7a)의 바깥둘레면에는, 복수의 라쳇 톱니(7d)와 돌기(7e)가 형성되어 있다. 라쳇 톱니(7d)와 돌기(7e)는, 심부(7a)의 바깥둘레면의 걸어맞춤부(7b)와 접촉부(7c)에 의해 구분되는 2개의 부분 중의 둘레방향의 길이가 긴 부분의 거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더구나, 라쳇 톱니(7d)가 접촉부(7c)의 가까이에, 돌기(7e)가 걸어맞춤부(7b) 가까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라쳇 톱니(7d)와 돌기(7e)는, 심부(7a)의 축선방향(상하방향)에 약간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걸어맞춤부(7b)의 끝부분은, 잠금부재(7)의 회전이동위치에 관계되지 않고, 연통구멍(6l)을 통과하여 수용홈부(6d) 내에 돌출하고 있다. 특히, 잠금부재(7)가 해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걸어맞춤부(7b)의 끝 부분(일부)이 홈부(6k) 내에 수용되어 있고, 스프링(8)의 회전이동의(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홈부(6k)를 구획하는 측면(6h)에 부딪치도록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걸어맞춤부(7b)가 홈부(6k)를 구획하는 측면(6h)에 부딪힘에 따라 잠금부재(7)의 해제위치가 규제되고 있다. 잠금부재(7)가 해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걸어맞춤부(7b)의 앞부분이 홈부(6k)에 들어가는 것에 의해, 걸어맞춤부(7b)가 수용홈부(6d)의 개구부(6e)에서 외부에 돌출하는 일이 없고, 걸어맞춤부(7b) 전체가 수용홈부(6d)의 개구부(6e)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잠금부재(7)가 해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지지부재(4, 4)의 한쪽의 지지부재(4)의 일 측부에 부착된 우산유지자물쇠(5)와, 다른 쪽의 지지부재(4)의 다른 측부에 부착된 우산유지자물쇠(5')와의 사이를, 상하로 세운 상태의 우산의 손잡이부(피유지부)(H)를 후방(도 2에 있어서 위쪽)으로 이동시켰다고 해도, 우산의 손잡이부(H)가 걸어맞춤부(7b)에 맞부딪치는 일이 없고, 손잡이부(H)에 의해서 잠금부재(7)가 해제위치로부터 자물쇠채움위치 쪽으로 회전이동 시켜지는 일이 없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부재(7)가 해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수용홈부(6d)의 개구부(6e) 중의 홈부(6k) 측의 끝단가장자리를 통과하고, 또한 수용홈부(6d)의 깊이 방향과 평행하게 이어지는 선 L에 대하여, 걸어맞춤부(7b)의 거의 전체가 수용홈부(6d)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우산의 손잡이부(H)를 수용홈부(6d)의 개구부(6e)에서 그 깊이 방향을 따라서 안쪽으로 삽입할 때, 손잡이부(H)가 걸어맞춤부(7b)에 맞부딪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따라서, 손잡이부(H)의 수용홈부(6d)에의 삽입에 따라 잠금부재(7)가 자물쇠채움위치 쪽으로 회전이동하여 버리고, 그 결과 손잡이부(H)의 수용홈부(6d)의 안쪽에의 삽입이 걸어맞춤부(7b)에 의해서 저지되는 것과 같은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접촉부(7c)는, 잠금부재(7)가 해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연통구멍(6l)을 통과하여 수용홈부(6d)내의 안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H)를 수용홈부(6d)의 개구부(6e)에서 선 L을 따라 삽입하면, 손잡이부(H)가 접촉부(7c)의 개구부(6e) 쪽을 향하는 일측면에 맞부딪친다. 그 상태로부터 손잡이부(H)를 더욱 삽입하면, 잠금부재(7)가 스프링(8)의 회전이동의 가해지는 힘에 저항하여 해제위치 쪽에서 자물쇠채움위치 쪽으로 회전이동한다.
잠금부재(7)가 도 10에 나타내는 자물쇠채움개시위치에 도달하면, 접촉부(7c) 전체가 수용홈부(6d)로부터 탈출하여 본체부(6)의 내부 측에 위치하게 된다. 접촉부(7c)가 본체부(6) 내에 설치된 스토퍼부(도시하지 않음)에 맞부딪치면, 잠금부재(7)가 그 이상 해제위치 쪽에서 자물쇠채움위치 쪽으로 회전이동 할 수 없게 된다. 이 때의 잠금부재(7)의 위치가 자물쇠채움위치에 있고, 스프링(8)의 회전이동의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접촉부(7c)가 스토퍼부에 부딪치게 되고, 그것에 의하여 잠금부재(7)가 자물쇠채움위치에 유지된다.
도 10∼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6)의 내부에는, 축선을 상하방향으로 향하게 한 키 축(9)이 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동할 수 있게, 또한 이동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키축(9)의 회전이동범위는, 잠금 오프위치와 잠금 온위치와의 사이에 규제되어 있다. 키축(9)은, 스프링(10)에 의해 잠금 오프위치 쪽으로부터 잠금 온위치 쪽을 향하는 방향(도 8에 있어서 화살표 OPEN 방향과 역방향: 도 9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상시 회전이동힘이 가해지고 있다. 키축(9)에는, 그 축선상을 관통하는 걸어맞춤구멍(9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구멍(9a)에는, 상반체(6A)의 윗면에 형성된 키구멍(6m)(도 5 참조)으로부터 키(11)가 회전이동불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키(11)에 의해서 키 축(9)이 회전이동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키(11)는, 잠금 온위치에 위치하면, 키구멍(6m) 및 걸어맞춤구멍(9a)으로부터 빼어낼 수 있지만, 잠금 온위치 이외의 위치에서는, 빼어내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작용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주지인 동시에 본 발명의 주요부도 아니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부(6)의 내부에는, 걸림고정부재(12)가 배치되어 있다. 이 걸림고정부재(12)의 일 끝단부는, 축선을 상하방향을 향한 축(13)을 통해 본체부(6)에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걸림고정부재(12)의 다른 끝단부는, 심부(7a)의 바깥둘레면과 대향하고 있고, 거기에는 하나 이상의 라쳇 톱니(1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라쳇 톱니(12a)가 잠금부재(7)의 심부(7a)에 형성된 라쳇 톱니(7d)와 맞물리면, 잠금부재(7)는, 해제위치 쪽으로부터 자물쇠채움위치 쪽으로만 회전이동할 수 있게 되고, 자물쇠채움위치 쪽으로부터 해제위치 쪽에의 회전이동이 저지된다.
걸림고정부재(12)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라쳇 톱니(12a)가 심부(7a)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시 회전이동의 힘이 가해지고 있다. 단, 걸림고정부재(12)의 심부(7a)와 대향하는 면에는, 캠면(12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캠면(12b)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축(9)이 잠금 오프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잠금부재(7)가 해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키축(9)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양 끝단부가 키축(9)에 일체로 연결된 걸어맞춤축부(9b)(도 11참조)에 맞부딪치고 있다. 이에 따라, 걸림고정부재(12)의 잠금부재(7)측에의 회전이동이 저지됨과 동시에, 키축(9)의 잠금 오프위치로부터 잠금 온 위치 쪽으로의 회전이동이 저지되어 있다.
잠금부재(7)를 해제위치로부터 자물쇠채움위치 쪽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이동시키면, 돌기(7e)가 걸어맞춤축부(9b)에 부딪히고, 키축(9)을 잠금 오프위치로부터 잠금 온위치 쪽으로 회전이동시킨다. 잠금부재(7)가 도 10에 나타내는 자물쇠를 채움개시위치에 도달하면, 캠면(12b)은, 키축(9)이 잠금 온위치까지 회전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게 되어, 키축(9)이 스프링(10)의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잠금 온위치까지 강제적으로 회전이동시켜진다. 그렇게 하면, 걸어맞춤축부(9b)가 캠면(12b)에 계속해서 형성된 홈부(12c)에 들어간다. 그 결과, 걸림고정부재(12)가 잠금부재(7) 측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게 된다. 걸림고정부재(12)가 스프링의 회전이동의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잠금부재(7) 측으로 회전이동하면, 걸림고정부재(12)의 선단부에 형성된 라쳇 톱니(12a)가 잠금부재(7)의 복수의 라쳇 톱니(7d) 중의 돌기(7e)에 인접한 라쳇 톱니(7d)와 맞물린다. 라쳇 톱니(12a)가 라쳇 톱니(7d)와 맞물리면, 잠금부재(7)는 걸림고정부재(12)에 의해 자물쇠채움위치 쪽에서 해제위치 쪽에의 회전이동이 저지되어, 자물쇠채움위치 쪽에의 회전이동만이 허용된다. 따라서, 도 10 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부(H)가 수용홈부(6d)의 바닥면(6f)에 맞부딪칠 때까지 수용홈부(6d)에 삽입되면, 잠금부재(7)가 손잡이부(H)의 굵기에 따른 위치까지 잠금위치 쪽으로 스프링(10)에 의해서 회전이동시켜진다. 그 결과, 손잡이부(H)가 걸어맞춤부(7b)와 바닥면(6f)에 의해서 끼워져 지지 고정된다. 더구나, 잠금부재(7)가 해제위치 쪽으로 회전이동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손잡이부(H)는 수용홈부(6d)에서 탈출하는 경우가 없다.
또, 손잡이부(H)가 수용홈부(6d)에 유지된 상태일 때에는, 키축(9)이 잠금 온위치에 회전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키(11)를 걸어맞춤구멍(9a) 및 키구멍(6m)으로부터 뽑아 낼 수 있다. 키(11)를 키구멍(6m)에서 뽑아 내면, 키 축(9)을 잠금 온위치 쪽으로부터 잠금 오프위치 쪽으로 회전이동시킬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손잡이부(H)를 수용홈부(6d)로부터 거의 탈출시킬 수 없다. 이 경우, 손잡이부(H)가 'J'자 형상을 이루고 있을 때에는, 잠금부재(7)가 해제위치 쪽으로 회전이동하지 않는 한 손잡이부(H)는 수용홈부(6d)로부터 탈출할 수 없지만, 접는 우산과 같이 손잡이부(H)가 직선인 경우에는, 손잡이부(H)를 아래쪽으로 누르면 수용홈부(6d)로부터 아래쪽으로 쉽게 빠져 나가버린다. 이러한 사태를 될 수 있는 한 방지하기 위해서는, 심부(7a)의 바깥둘레면의 수용홈부(6d)에 임하는 부분에는, 고무 등의 마찰저항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마찰부재(14)가 설치된다. 이 마찰부재(14)에 손잡이부(H)가 접촉하면, 그들 사이에 생기는 마찰저항에 의해서 손잡이부(H)가 수용홈부(6d)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빠져 나오는 것이 저지된다.
손잡이부(H)를 수용홈부(6d)에서 탈출시키는 경우에는, 키(11)를 키구멍(6m) 및 걸어맞춤구멍(9a)에 삽입한다. 그리고, 키(11)에 의해 키축(9)을 스프링(10)의 회전이동에 가해지는 힘에 저항하여 잠금 온위치 쪽으로부터 잠금 오프위치 쪽으로 회전이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걸어맞춤축부(9b)가 걸림고정부재(12)의 홈부(12c)의 캠면(12b)에 계속되는 측면에 맞부딪치는 것에 의해, 걸림고정부재(12)를 스프링의 가해지는 힘에 저항하여 잠금부재(7)로부터 떨어지도록 회전이동시킨다. 이 결과, 라쳇 톱니(12a, 7d)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잠금부재(7)가 자물쇠채움위치 쪽으로부터 해제위치 쪽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게 된다. 키(11)에 의해서 키축(9)을 잠금 오프위치 쪽으로 더욱 회전이동시키면, 걸어맞춤축부(9b)가 잠금부재(7)의 돌기(7e)에 부딪히고, 잠금부재(7)를 자물쇠채움위치 쪽으로부터 해제위치 쪽으로 회전이동시킨다. 키축(9)의 회전이동에 따라 잠금부재(7)가 상기 중간위치를 약간이라도 해제위치 쪽으로 넘으면, 잠금부재(7)가 스프링(8)에 의해서 해제위치까지 회전이동시켜진다. 키 축(9)은, 키(11)에 의해 스프링(10)의 가해지는 힘에 저항하여 잠금 오프위치까지 회전이동시켜진다. 이 결과, 우산유지자물쇠(5)가 도 9에 나타내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 이 때에는, 키(11)가 키구멍(6m)으로부터 탈출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심부(7a)의 바깥둘레면 중의 돌기(7e)와 걸어맞춤부(7b)와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차폐부재(15)의 일 끝단부가 회전이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이 차폐부재(15)의 다른 끝단부는, 축(13)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차폐부재(15)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부재(7)가 해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차폐부재(15)전체가 본체부(6)의 내부에 들어가고 있지만,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부재(7)가 잠금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연통구멍(61)중의 잠금부재(7)가 잠금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열리는 부분{홈부(6k) 측의 단부}를 차폐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우산보관장치(A)에서는, 우산유지자물쇠(5, 5')가 하나의 지지부재(4)에만 설치되기 때문에, 우산을 지지부재(4)보다 위쪽으로 들어 올리는 일없이, 우산의 손잡이부(피유지부)(H)를 수용홈부(6d)에 삽입할 수가 있다.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령 복수의 우산보관장치(A)를 좌우에 나란히 설치한 경우라도, 하나의 우산보관장치(A)의 우산유지자물쇠(5, 5')와 이것에 인접하는 우산보관장치(A)의 우산유지자물쇠(5, 5')와의 사이에는 지지부재(4)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전방 쪽이 개방된 빈틈이 형성되기 때문에, 우산을 지지부재(4)보다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일없이, 빈틈을 통해서 우산을 지지부재(4)의 앞쪽에서 기단 쪽으로 수평방향으로 비어 있는 우산유지자물쇠(5)(5')의 부분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우산보관장치(A)에 보관시키고자 하는 우산으로부터 방울져 떨어지는 물방울에 의해, 우산보관장치(A)에 이미 보관된 다른 우산의 손잡이부 등을 적시는 것과 같은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점은, 우산보관장치(A)를 연직인 벽면을 따라 배치한 경우도 같다. 이러한 점은, 지지부재(4)의 양 측부에 우산유지자물쇠(5, 5')가 설치되기 때문에, 일 측부에만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우산유지자물쇠(5, 5')가 설치되는 숫자를 증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여, 같은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의 우산보관장치(B)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우산보관장치(A)의 장치본체(1) 대신에 장치본체(20)가 사용되고 있다. 장치본체(20)는, 좌우방향에 서로 떨어져 배치된 한 쌍의 기초부(21, 21)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기초부(21, 21)는, 그들 사이에 배치된 연결부재(22)에 의해서 연결고정되어 있다. 각 기초부(21, 21)의 아랫면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스토퍼기구부착의 캐스터(K)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우산보관장치(B)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각 기초부(21, 21)의 윗면에는, 지주부(23, 23)가 각각 연직으로 세워져 설치되고 있다. 지주부(23, 23)의 상하방향에서의 중간부에는 보강부재(24)가 가로 놓여 있다. 지주부(23, 23)의 상단부 사이에는, 회전이동부재(유지부재)(25)가 좌우방향으로 이어지는 수평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지주부(23, 23)의 하단부 사이에는, 물받이부(3)의 기단부가 수평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회전이동부재(25)에는, 복수의 지지부재(4)의 기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각 지지부재(4)는, 회전이동부재(25)의 길이 방향(좌우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더구나, 각 지지부재(4)는, 회전이동부재(25)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동일위치에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동일방향으로 이어지고 있다. 물론, 각 지지부재(4)는, 사용위치에서는 거의 수평이 되어 전방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수용위치에서는 거의 연직이 되어 아래쪽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지부재(4)의 좌우방향의 양 측부에는, 우산유지자물쇠(5, 5')가 지지부재(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여러 개씩 설치된다. 좌우에 인접하는 지지부재(4, 4)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좌우방향으로 떨어지고 있다. 즉, 하나의 지지부재(4)에 설치된 우산유지자물쇠(5)(5')와, 하나의 지지부재(4)에 인접하는 다른 지지부재(4)에 설치된 우산유지자물쇠 (5)(5')와의 사이에, 우산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에 필요한 빈틈이 형성되도록, 지지부재(4, 4)가 좌우방향에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우산유지자물쇠(5, 5') 사이에 형성되는 빈틈은, 그 빈틈에 상하에 세워진 우산을 지지부재(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 쪽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4)의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더구나, 우산유지자물쇠(5, 5')사이에 형성되는 빈틈을 물받이부(3)의 윗면까지 연장하였을 때, 그 연장부분도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우산은 물받이부(3)보다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우산유지자물쇠(5, 5')사이의 빈틈에 삽입할 수 있다. 단, 후술하는 제 6 실시형태와 같이, 우산유지자물쇠(5, 5')사이에 형성되는 빈틈을 물받이부(3)까지 연장한 범위전체를 전방으로 개방시키는 일 없이, 지지부재(4)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아래쪽을 향한 범위만을 전방으로 개방시키도록 하더라도 무방하다.
지지부재(4) 및 물받이부(3)는, 지지부재(4)를 수용위치에 회전이동시킨 후, 물받이부(3)를 접는 위치로 회전이동시켜, 물받이부(3)를 지주부(23)에 설치된 걸림고정부재(23a)에 걸림고정시킴으로써, 수용위치와 접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우산보관장치(B)에 있어서, 우산의 손잡이부(H)를 우산유지자물쇠(5, 5')의 수용홈부(6d)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손잡이부(H)를 위쪽으로 한 상태로 우산을 세워, 그 우산을 좌우에 인접하는 지지부재(4, 4)의 일 측부와 다른 측부에 각각 설치된 우산유지자물쇠(5, 5') 사이에 지지부재(4)의 선단측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리고, 비어 있는 우산유지자물쇠(5) 또는 (5')의 수용홈부(6d)에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수용홈부(6d)가 지지부재(4)의 선단 측에서 기단 쪽을 향하여 깊어지도록 경사지고, 그 결과 수용홈부(6d)의 최심부가 지지부재(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수용홈부(6d)의 중앙에 대하여 지지부재(4)의 기단 쪽에 어긋나 있기 때문에, 우산의 이동방향을 크게 변화시키는 일없이 손잡이부(H)를 수용홈부(6d)에 삽입할 수가 있다. 따라서, 수용홈부(6d)의 깊이 방향을 지지부재(4)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한 종래의 우산보관장치에 비하여 손잡이부(H)를 수용홈부(6d)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가 있다. 같은 이유에 의해, 손잡이부(H)를 수용홈부(6d)에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이 우산보관장치(B)에서는, 캐스터(K, K)가 지주부(23, 23)의 좌우방향바깥쪽을 향하는 측면(23b, 23b)보다 각각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지만, 캐스터(K)를 측면(23b)보다 안쪽에 설치함과 동시에, 측면(23b)과 우산유지자물쇠(5)(5')의 앞면(6c)과의 관계를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그들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함으로써, 측면(23b)을 기준면으로 할 수 있고, 복수의 우산보관장치(B)를 좌우로 나란히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8∼도 2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의 우산보관장치(C)에서는, 장치본체(30)가 사용되고 있다. 이 장치본체(30)에 있어서는, 물받이부(3)의 아랫면부에 캐스터(K)가 설치된다. 물받이부(3)의 앞면에는, 좌우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된 복수의 앞쪽 지주부(제 2 지주부)(31)의 각 하단부가 고정되고, 물받이부(3)의 배면에는, 좌우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된 복수의 뒤쪽 지주부(지주부)(32)의 각 하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전후방향에 대향하는 앞쪽 지주부(31)와 뒤쪽 지주부(32)의 상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수평으로 이어지는 지지부재(4)의 전단부와 후단부가 각각 지지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두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재(4)가 외팔보 상태인데 비하여, 본 실시형태의 우산보관장치(C)에서는, 지지부재(4)가 양팔보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물받이부(3)의 좌우방향을 향하는 측면(기준면)(3a, 3b)은, 우산보관장치(C) 전체의 어느 쪽 부분보다 좌우방향에서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고, 우산유지자물쇠(5, 5')의 각 앞면(6c)에 대하여,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기준면(2d, 2e)과 앞면(6c)과의 관계와 같은 관계를 가지며 떨어져 있다. 따라서, 복수의 우산보관장치(C)에 있어서는, 하나의 우산보관장치(C)의 측면(3a)(3b)과 다른 우산보관장치(C)의 측면(3b)(3a)을 서로 면접촉시킨 상태로 좌우에 나열함으로써, 복수의 우산보관장치(C)를 마치 하나의 우산보관장치인 것처럼 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우산보관장치(B)와 같다.
도 22∼도 2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우산보관장치(D)에 있어서는, 상기 우산보관장치(B)의 장치본체(20) 대신에, 장치본체(40)가 사용되고 있다. 장치본체(40)의 물받이부(3)의 윗면에는, 지주부(41)가 각각 세워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2개의 지주부(41, 41)는, 물받이부(3)의 윗면의 후단 쪽에서의 좌우 양 각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지주부(41, 41)의 상하방향에서의 중간부 사이에는, 보강용의 연결부재(42)가 가로로 놓여 있다. 지주부(41, 41)의 상단부에는, 좌우방향을 향하여 수평으로 이어지는 유지부재(43)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일체로 설치된다. 유지부재(43)의 앞면에는, 복수의 지지부재(4)의 기단부가 일체로 설치된다. 따라서, 이 장치본체(40)에 있어서는, 지주부(41), 유지부재(43) 및 지지부재(4)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물론, 지주부(41), 유지부재(43) 및 지지부재(4)를 별개로 형성하여, 그것들을 서로 고정하더라도 좋다. 각 지지부재(4)는, 유지부재(43)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수평으로, 또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고 있다. 물론, 좌우에 인접하는 지지부재(4, 4)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떨어지고 있다. 좌우 양 끝단에 배치된 지주부(41)의 선단부와 지주부(41)의 사이, 및 좌우방향에서의 중간에 배치된 지주부(41)의 선단부와 연결부재(42)와의 사이에는, 보강부재(44)가 설치된다.
좌단에 배치된 지지부재(4)의 우측부, 우단에 배치된 지지부재(4)의 좌측부 및 중간에 배치된 지지부재의 좌우 양 측부에는, 우산유지자물쇠(5, 5')에 대신하는 우산유지자물쇠(50)가 설치되어 있다. 우산유지자물쇠(50)는, 본체부(51)를 가지고 있다. 이 본체부(51)의 배면에는, 부착홈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홈부(52)에 지지부재(4)의 일 측부가 끼워맞춤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부(51)는, 지지부재(4)에 비스 등의 고정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본체부(51)의 좌우방향을 향하는 앞면부(53)에는, 이 앞면부(53)를 상하로 종단하는 수용홈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홈부(54)는, 예를 들면 'J'자 형상을 이루는 파지부(피유지부)를 가진 우산이면, 파지부의 직선형상을 이루는 상단부(우산의 보관상태에서는 하단부)를 끼우고 뺄 수 있도록 삽입되어, 접는 우산과 같이 파지부가 굵은 경우에는 파지부로부터 위쪽(우산의 보관상태에서는 아래쪽)으로 이어지는 가운데 축의 파지부 근방부분을 끼우고 뺄 수 있도록 삽입된다. 본체부(51)에는, 원호형상으로 만곡한 개폐체(55)가 그 일부를 앞면부(53)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설치된다. 개폐체(55)는, 수용홈부(54)에 대하여 전후에 인접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즉, 지지부재(4)의 우측부에 설치된 우산유지자물쇠(50)에서는, 개폐체(55)가 수용홈부(54)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지지부재(4)의 좌측부에 설치된 우산유지자물쇠(50)에서는, 개폐체(55)가 수용홈부(54)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지지부재(4)의 좌우의 측부에 배치된 우산유지자물쇠(50, 50)로서 동일한 우산유지자물쇠를 사용한 것에 의한 것이다. 물론, 우산유지자물쇠(50) 대신에 우산유지자물쇠(5, 5')를 사용하더라도 좋다.
개폐체(55)는, 예를 들면 일본 실개평4-20585호 공보에 기재된 우산유지자물쇠의 개폐체와 같이, 도 26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열림위치와 상상선으로 나타내는 닫힘위치와의 사이를 출몰회전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열림위치에 위치한 개폐체(55)는, 파지부 또는 중축이 수용홈부(54)의 바닥면에 거의 부딪칠 때까지 삽입되어, 수용홈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조작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파지부 또는 중축에 의해서 소정의 위치까지 바닥면 쪽으로 누르면, 본체부(51)의 내부에 설치된 힘을 가하는 수단에 저항하여 닫힘위치까지 닫힘회전이동변위시켜진다. 그리고, 개폐체(55)는, 닫힘위치까지 회전이동변위하면, 본체부(51)내에 설치된 자물쇠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닫힘위치에 걸림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수용홈부(54)의 전방 측의 개방부의 일부가 개폐체(55)에 의해서 닫혀지기 때문에, 우산의 파지부 또는 중축이 수용홈부(54)로부터 떼어낼 수 없게 됨과 동시에, 자물쇠기구를 해제하는 키(11)가 도 26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한 방향(예를 들면, 시계방향)으로 거의 90°회전이동되어, 본체부(51)의 윗면에 형성된 키구멍(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키(11)를 키구멍으로부터 빼내면, 개폐체가 닫힘위치에 잠금된다. 한편, 키(11)를 키구멍에 꽂아 넣어 다른 방향으로 거의 90°회전이동시키면, 래치 기구에 의한 개폐체(55)의 걸림고정상태가 해제되어, 개폐체(55)가 힘을 가하는 수단에 의해 열림위치까지 열림회전이동변위시켜진다. 이 상태에서는, 우산의 파지부 또는 중축이 수용홈부(54)로부터 뽑아 낼 수 있게 됨과 동시에, 키(11)를 키구멍으로부터 뽑아 낼 수 없게 된다.
도 27∼도 3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의 우산보관장치(E)는, 우산보관장치(D)를 변형한 것으로, 장치본체(40) 대신에 장치본체(40')가 사용되고 있다. 장치본체(40')에서는, 지주부(41),유지부재(43) 및 물받이부(3)에 의해 구획되는 장치본체(40')의 배면개구부가 펀치 보드(45)에 의해서 닫혀 있다. 지지부재(4)의 전단부와 물받이부(3)의 윗면의 전단부와의 사이에 상하로 이어지는 제 2 지주부(46)가 설치된다. 제 2 지주부(46)는, 지지부재(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지지부재(4)와 별개로 형성하고, 지지부재에 접착, 그 밖의 고정수단에 의해서 고정하더라도 좋다. 좌우의 끝단부에 배치된 제 2 지주부(46)와 지주부(41)의 상하방향에서의 중간부 사이, 및 좌우방향의 중간에 배치된 제 2 지주부와 펀치 보드(45)의 사이에는, 보강부재(47)가 설치되어 있다.
도 31∼도 3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의 우산보관장치(F)의 장치본체(40")에 있어서는, 물받이부(3)의 윗면의 좌우의 일 측부에 복수의 지주부(41)가 세워 설치되고, 타 측부에 제 2 지주부(46)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각 지주부(41)는, 전후 방향에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제 2 지주부(46)는, 지주부(41)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전후방향에 배치되어 있고, 지주부(41)와 좌우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좌우방향에 대향하는 지주부(41)와 제 2 지주부(46)의 각 상단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이어지는 지지부재(4)의 일 끝단부와 다른 끝단부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전단에 배치된 지지부재(4)의 후단측의 측부, 후단에 배치된 지지부재(4)의 전단측의 측부, 및 전후방향의 중간에 배치된 지지부재의 양 측부에는, 우산유지자물쇠(50)가 각각 설치된다. 전후에 인접하는 2개의 지지부재(4, 4)는, 우산유지자물쇠(50, 50)사이에 우산을 삽입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에 소정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우산유지자물쇠(50, 50)사이에 형성되는 빈틈 및 이 빈틈을 물받이부(3)까지 연장시켜 형성되는 공간은, 지지부재(4)의 좌우의 양 끝단부에서 좌우방향에 개방되어 있다. 도 31에서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에 인접하는 제 2 지주부(46, 46)의 상하방향에서의 중간부 사이에 보강부재(48)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지지부재(4)로부터 아래쪽으로 보강부재(49)에 의해서 규제되는 범위만을 좌우방향에 개방하더라도 좋다. 좌우에 대향하는 지주부(41)와 제 2 지주부(46)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는, 보강부재(4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우산보관장치(F)에서는, 전후에 인접하는 지지부재(4, 4)에 설치된 우산유지자물쇠(50, 50)사이에 형성되는 빈틈 및 그 빈틈을 물받이부(3)까지 연장한 부분이, 지지부재(4, 4)의 좌우의 양 끝단부로부터 좌우방향에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우산을 우산유지자물쇠(50)에 유지시키는 경우에는, 우산을 왼쪽 또는 오른쪽의 개방부로부터 우산유지자물쇠(50, 50) 사이에 삽입하고, 비어 있는 우산유지자물쇠(50)의 수용홈부(54)에 삽입할 수가 있다.
도 35는, 본 발명에 관한 우산보관장치에 사용하는 데에 바람직한 우산유지자물쇠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 우산유지자물쇠(60)에 있어서는, 본체부(61)의 배면부에 상기 배면부를 지지부재(4)의 길이 방향으로 횡단하는 부착홈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홈부(62)에 지지부재(4)의 일측부가 삽입된 후, 본체부(61)가 비스(machine screw)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서 지지부재(4)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본체부(61)의 앞면(63)은, 지지부재(4)의 길이 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되어 있고, 지지부재(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앞면(63)의 일 끝단부에는, 유지체(64)가 설치된다. 이 유지체(64)는, 앞면(63)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수직부(64a)와, 이 수직부(64a)의 선단부로부터 앞면(63)을 따라 그 다른 끝단 쪽으로 수평으로 이어지는 수평부(64b)를 가지고 있다. 유지체(64)의 수직부(64a) 및 수평부(64b)와 앞면(63)에 의해, 상하의 양 끝단이 개방됨과 동시에, 본체부(61)의 다른 끝단 쪽을 향하는 일 측부가 개방된 수용홈부(65)가 구획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홈부(65)에는, 우산의 파지부 또는 가운데 축 등의 피유지부가 수용홈부(65)를 상하로 관통한 상태로 삽입된다.
본체부(61)의 앞면(63)의 다른 끝단부에는, 창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창구멍(66)에는, 개폐체(67)가 삽입 배치되어 있다. 이 개폐체(67)는, 본체부(21)의 내부에 앞면(63)으로부터 출몰변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개폐체(67)는, 그 전체가 창구멍(66)내에 들어간 열림위치와, 일끝단부가 창구멍(66)으로부터 돌출하여 수평부(64b)의 선단부에 극히 접근하여 대향한 닫힘위치와의 사이를 회전이동변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개폐체(67)가 열림위치로 변위하면, 우산의 피유지부가 수용홈부(65)에 끼우고 뺄 수 있게 된다. 개폐체(67)가 닫힘위치로 변위하면, 수용홈부(65)내에 삽입된 피유지부가 수용홈부(65)로부터 탈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성의 우산유지자물쇠(60)를 우산보관장치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우산유지자물쇠(60)를 지지부재(4)에 부착한다. 이 경우, 우산유지자물쇠(60)는, 그 수용홈부(65)의 일측 개방부가, 좌우에 인접하는 지지부재(4, 4)의 개방된 끝단부 쪽을 향하도록 부착된다. 우산유지자물쇠(60)가 이렇게 부착된 우산보관장치에 있어서는, 우산을 지지부재(4, 4)사이에 그 개방된 끝단부 쪽으로부터 삽입하여, 우산유지자물쇠(60)의 앞면(63)을 따라 단순히 이동시킴으로써, 우산의 피유지부를 수용홈부(65)로 삽입할 수 있다. 피유지부를 수용홈부(65)에 삽입한 후, 키(11)를 도 35에 나타내는 열림위치로부터 닫힘위치까지 거의 90°회전이동시키면, 개폐체(67)가 수용홈부(65)의 개방부를 닫는다. 이에 따라, 우산이 우산보관장치에 보관된다. 그 후, 키(11)를 키구멍(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빼낸다.
우산보관장치에 보관된 우산을 빼어내는 경우에는, 키구멍에 키(11)를 꽂아 넣어 열림위치까지 회전이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개폐체(67)가 열림위치에 변위이동하여 수용홈부(65)를 연다. 여기서, 우산을 우산보관장치에 삽입하였을 때와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수용홈부(65)로부터 뽑아냄과 동시에, 지지부재(4, 4) 사이로부터 그 개방부를 통해서 뽑아 낸다.
도 36은, 본 발명에 관한 우산보관장치의 제 7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지지부재(4)가 유지부재(25)쪽의 기단부에 있어서 굴곡하고 있다. 그 결과, 지지부재(4)의 굴곡부분보다 선단 쪽의 부분은, 유지부재(25)에 대하여 직교하지 않고, 사교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부재(25)에 대하여 경사진 선단 쪽의 부분의 양 측부에 우산유지자물쇠(5, 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37은, 본 발명에 관한 우산보관장치의 제 8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부재(4)의 기단부가 유지부재(25)에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각 지지부재(4)를 원하는 방향을 향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각 지지부재(4)는, 원하는 방향을 향하게 한 후, 각 지지부재(4)와 유지부재(25)와의 사이에 설치된 고정수단에 의해서 유지부재(25)에 고정된다.
도 38은, 본 발명에 관한 우산보관장치의 제 9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의 우산보관장치(G)에 있어서는, 물받이부(3)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받이부(3)의 중앙부에는, 지주부(2)가 연직으로 세워 설치 고정되어 있다. 지주부(2)의 상단부에는, 원판부(2g)가 설치되어 있다. 이 원판부(2g)의 바깥둘레면에는, 복수(이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지지부재(4)의 기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각 지지부재(4)는, 원판부(2g)의 둘레방향에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더구나, 원판부(2g)는, 그 길이 방향을 수평방향을 향한 상태로 원판부(2g)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지지부재(4)의 양 측부에는, 복수의 우산유지자물쇠(5, 5')가 각각 설치된다. 원판부(2g)의 둘레방향에 인접하는 지지부재(4, 4)는, 우산을 지지부재(4, 4)의 선단부 사이에서 그것들의 기단 쪽을 향하여 삽입하고, 더욱 우산유지자물쇠(5, 5')사이에 삽입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용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지지부재(4)를 수평으로 배치하고 있지만, 전방을 향함에 따라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경사시켜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우산보관장치는, 건물의 몸체의 벽부를 장치본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에는, 장치본체를 이루는 벽부의 벽면에는, 상하로 이어지는 홈부가 형성된다. 이 홈부의 상단부에는 지지부재가 사용위치와 수용위치의 사이를 회전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홈부의 하단부에는 물받이부가 물받이위치와 접는 위치와의 사이를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몸체의 벽면의 홈부에 대하여 좌우 어느 한쪽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화장덮개가 설치된다. 수용위치 및 접는 위치에 각각 회전이동한 지지부재 및 물받이부, 및 지지부재에 부착된 우산유지구는 홈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열림위치로부터 닫힘위치로 회전이동시켜진 화장덮개에 의해서 홈부가 닫혀지고, 지지부재, 물받이부 및 우산유지구가 외부로부터 차폐된다.
또한, 복수의 지지부재(4)를 일체적으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것을 상기의 우산보관장치(G)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우산보관장치(G)는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가 있다. 즉, 지주부(2)의 상단부에 원판부(2g)를 설치하지 않고, 지주부(2)를 단순한 원주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4개의 지지부재(4)중, 하나의 직선 상에 배치된 두개의 지지부재(4, 4)를 서로 일체로 형성한다. 그리고, 일체화된 지지부재의 중간부를 지주부(2)의 상단면에 얹어 놓고 고정한다. 4개의 지지부재중, 다른 직선 상에 배치된 2개의 지지부재(4, 4)의 기단부를 일체화된 지지부재의 중간부의 양 측부에 각각 고정한다. 이렇게 구성된 우산보관장치에서는, 일체화된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가, 길이 방향의 일 끝단쪽의 지지부재(4)와 다른 끝단쪽의 지지부재(4)의 양 기단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일체화된 지지부재의 일 끝단부와 다른 끝단부가 각 지지부재(4, 4)의 선단부를 각각 구성한다.
본 발명은, 먼저 보관된 우산의 파지부 등이 뒤에서 보관되는 우산으로부터 방울져 떨어지는 물방울에 의해서 젖는 일없이, 우산을 보관할 수 있는 우산보관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8)

  1. 장치본체와, 길이 방향이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장치본체에 기단부가 지지된 하나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적어도 한쪽 측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우산의 피유지부를 유지하는 복수의 우산유지자물쇠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보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적어도 일 측부에는, 상하방향 및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정렬방향을 향하는 기준면이 설치되고, 기준면이 상기 우산용 유지자물쇠로부터 상기 정렬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보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기단부가 상기 장치본체에 수평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길이 방향을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한 사용위치와 선단부가 기단부의 거의 연직아래쪽에 위치하여 전체가 거의 상기 장치본체에 따른 수용위치와의 사이를 회전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상기 장치본체에는 화장덮개가 열림위치와 닫힘위치의 사이를 회전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화장덮개는, 상기 열림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사용위치와 상기 수용위치의 사이를 회전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닫힘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수용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지지부재 및 상기 우산유지자물쇠를 상기 장치본체와 협동하여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보관장치.
  4. 장치본체와, 길이 방향을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고, 기단부가 상기 장치본체에 각각 지지된 복수의 지지부재와, 상기 각 지지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측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우산의 피유지부를 유지하는 복수의 우산유지자물쇠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부재가 수평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치되고,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지지부재의 선단부 사이 및 이 선단부 사이를 아래쪽으로 소정거리만큼 연장한 범위가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보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보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의 이간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장치본체의 적어도 일 측부에는, 상기 이간방향의 바깥쪽을 향하는 기준면이 설치되고, 이 기준면이, 이 기준면에 대하여 상기 이간방향의 안쪽에 인접하는 상기 우산유지자물쇠로부터 소정거리 이상 바깥쪽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보관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가, 수평인 일직선상에 서로 떨어져 배치되고, 상하로 세워져 설치된 복수의 지주부와, 이 복수의 지주부가 배치된 직선과 평행한 직선 상에 각 지주부와 각각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하에 세워져 설치된 복수의 제 2 지주부를 가지며, 서로 대향하는 상기 지주부와 상기 제 2 지주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기단부와 선단부가 각각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보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제 2 지주부 사이의 적어도 상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보관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이간방향에서의 상기 장치본체의 적어도 일 측부에는, 상기 이간방향의 바깥쪽을 향하는 기준면이 설치되고, 이 기준면이, 이 기준면에 대하여 상기 이간방향의 안쪽에 인접하는 상기 우산유지자물쇠로부터 소정거리이상 바깥쪽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보관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가, 길이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또한 수평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치된 두 개의 지주부와, 길이방향의 양 끝단부가 상기 두 개의 지주부에 각각 지지된 유지부재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가 상기 유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치되고, 각 지지부재의 기단부가 상기 유지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보관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지주부의 이간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장치본체의 적어도 일 측부에는, 상기 이간방향의 바깥쪽을 향하는 기준면이 설치되고, 이 기준면이, 상기 기준면에 대하여 상기 이간방향의 안쪽에 인접하는 상기 우산유지자물쇠로부터 소정거리이상 바깥쪽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보관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유지자물쇠가, 상기 지지부재의 측부에 부착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옆쪽을 향하는 앞면부에 상하로 이어지고,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옆쪽을 향하여 개방된 수용홈부가 형성된 자물쇠본체와, 이 자물쇠본체에 자물쇠해제위치와 자물쇠채움위치의 사이를 변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자물쇠해제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우산의 피유지부가 상기 수용홈부에 그 개방부로부터 출입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자물쇠채움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상기 우산의 피유지부가 상기 수용홈부로부터 그 개방부를 통과하여 탈출하는 것을 저지하는 잠금부재를 가지며, 상기 수용홈부의 최심부를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수용홈부의 개구부의 중앙부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보관장치.
  13.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유지자물쇠가, 상기 지지부재의 측부에 부착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옆쪽을 향하는 앞면부에 상하로 이어지고,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옆쪽을 향하여 개방된 수용홈부가 형성된 자물쇠본체와, 이 자물쇠본체에 자물쇠해제위치와 자물쇠채움위치와의 사이를 변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자물쇠해제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우산의 피유지부가 상기 수용홈부에 그 개방부로부터 출입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자물쇠채움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상기 우산의 피유지부가 상기 수용홈부로부터 그 개방부를 통과하여 탈출하는 것을 저지하는 잠금부재를 가지며, 상기 수용홈부의 깊이가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 끝단쪽으로부터 다른 끝단쪽을 향함에 따라서 깊어지도록, 상기 수용홈부의 깊이 방향이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시켜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보관장치.
  14. 앞면에 상하방향으로 이어지고, 또한 전방을 향하여 개방된 수용홈부가 형성된 자물쇠본체와, 이 자물쇠본체에 자물쇠해제위치와 자물쇠채움위치의 사이를 변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자물쇠해제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우산의 피유지부가 상기 수용홈부에 그 개방부로부터 출입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자물쇠채움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상기 우산의 피유지부가 상기 수용홈부로부터 그 개방부를 통과하여 탈출하는 것을 저지하는 잠금부재를 구비한 우산유지자물쇠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부의 최심부가, 상기 자물쇠본체의 앞면에 따른 수평방향에서의 상기 수용홈부의 개방부의 중앙부에 대하여 같은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유지자물쇠.
  15. 앞면에 상하방향으로 이어지고, 또한 전방을 향하여 개방된 수용홈부가 형성된 자물쇠본체와, 이 자물쇠본체에 자물쇠해제위치와 자물쇠채움위치의 사이를 변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자물쇠해제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우산의 피유지부가 상기 수용홈부에 그 개방부로부터 출입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자물쇠채움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상기 우산의 피유지부가 상기 수용홈부로부터 그 개방부를 통과하여 탈출하는 것을 저지하는 잠금부재를 구비한 우산유지자물쇠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부의 깊이가 상기 자물쇠본체의 앞면을 따라 수평방향을 향함에 따라 깊어지도록, 상기 수용홈부의 깊이 방향이 상기 자물쇠본체의 앞면에 대하여 경사시켜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유지자물쇠.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에 일부를 상기 수용홈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한 가동부재가 상기 수용홈부의 깊이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수용홈부에 삽입되는 상기 우산의 피유지부에 맞부딪힘에 따라 피유지부와 함께 상기 수용홈부의 안쪽으로 변위했을 때, 그 변위에 연동하여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자물쇠해제위치로부터 상기 자물쇠채움위치 쪽으로 변위하도록,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잠금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유지자물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의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중간부가 상기 장치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잠금부재의 상기 장치본체로부터 외부로 돌출한 일 끝단부에,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자물쇠채움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상기 우산의 피유지부가 상기 수용홈부의 개구부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저지하는 걸어맞춤부가 설치되고, 상기 잠금부재의 상기 수용홈부 내에 그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다른 끝단부에 상기 가동부재가 일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유지자물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부의 바닥면이, 상기 수용홈부의 개구부로부터 그 안쪽을 향하여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한 쌍의 측면과, 이 한 쌍의 측면의 안쪽의 끝단부사이에 설치된 안쪽면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측면중의 상기 수용홈부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측면의 개구부 근방 부분에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재가 자물쇠해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수용홈부의 개구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일이 없고, 또한 상기 수용홈부에 그 개구부로부터 삽입되는 우산의 손잡이부가 상기 걸어맞춤부에 맞부딪치는 일이 없도록, 상기 걸어맞춤부의 일부가 상기 홈부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유지자물쇠.
KR10-2004-7020965A 2002-06-24 2003-06-23 우산보관장치 및 우산유지자물쇠 KR200500166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20965A KR20050016621A (ko) 2002-06-24 2003-06-23 우산보관장치 및 우산유지자물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83010 2002-06-24
JPJP-P-2003-00112474 2003-04-17
JPJP-P-2003-00115762 2003-04-21
KR10-2004-7020965A KR20050016621A (ko) 2002-06-24 2003-06-23 우산보관장치 및 우산유지자물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621A true KR20050016621A (ko) 2005-02-21

Family

ID=41783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0965A KR20050016621A (ko) 2002-06-24 2003-06-23 우산보관장치 및 우산유지자물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66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706B1 (ko) 2019-09-25 2021-03-30 형제레이저(주) 상부 높이를 고려한 우산걸이 카트리지가 구비된 우산 자동보관장치
KR20210137599A (ko) 2020-05-11 2021-11-18 제이케이공업(주) 탄성 조절이 가능한 2중 탄성 스프링 구조의 우산 보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706B1 (ko) 2019-09-25 2021-03-30 형제레이저(주) 상부 높이를 고려한 우산걸이 카트리지가 구비된 우산 자동보관장치
KR20210137599A (ko) 2020-05-11 2021-11-18 제이케이공업(주) 탄성 조절이 가능한 2중 탄성 스프링 구조의 우산 보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0965B2 (en) Locking device
EP0740731B1 (en) Enclosure latch
US9273491B2 (en) Lock having an indicatory lock core
US7380425B2 (en) Lock with movable shroud
EP2283194B1 (en) Lockable container arrangement
US4353582A (en) Door lock with two lock case portions disposed in parallel opposed relationship
KR200372597Y1 (ko) 회전 트레이 화장품 용기의 구조
KR20050016621A (ko) 우산보관장치 및 우산유지자물쇠
KR200416926Y1 (ko) 사물함용 핸들 일체형 록킹장치
US20080134731A1 (en) Umbrella storage device and umbrella holding lock
KR200405290Y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JP6944716B2 (ja) チューブラー・ピンタンブラー錠及びそれを備えた情報機器盗難防止用ロック
US5346085A (en) Lockable container
JP5152788B2 (ja) 簡易保管庫の蓋開閉機構
KR200191325Y1 (ko) 시건장치가 설치된 공구대
JP4231796B2 (ja) 傘用施錠装置及び傘立て
KR200216358Y1 (ko) 잠금수단을 구비한 맨홀의 속뚜껑장치
US20230313560A1 (en) Locking device
KR950007835Y1 (ko) 록커용 이중 록킹장치
JP6943354B2 (ja) 機械式錠装置
KR200205117Y1 (ko) 사물함용 3방향 잠금장치
KR101793815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펜서랍 및 이를 구비한 서랍장
JPS628302Y2 (ko)
KR200223410Y1 (ko) 도어록 장치
JP3658129B2 (ja) 包丁立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