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6389A -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배출노즐 및 그것을구비한 액체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배출노즐 및 그것을구비한 액체용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6389A
KR20050016389A KR10-2004-7017746A KR20047017746A KR20050016389A KR 20050016389 A KR20050016389 A KR 20050016389A KR 20047017746 A KR20047017746 A KR 20047017746A KR 20050016389 A KR20050016389 A KR 20050016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passage
discharge
container body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7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기하라타다시
Original Assignee
하지기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지기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지기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4-7017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6389A/ko
Publication of KR20050016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38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65D35/46Closures with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Nozzle)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의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상시(常時)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통로(隙間通路)로 구성되고, 그 틈새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常壓)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 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押壓)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배출노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체용기{Discharge Nozzle with Function for Preventing Backflow of Content and Liquid Container Comprising Discharge Nozzle}
본 발명은, 용기 본체로부터 내용물(유체)을 배출시키는 것에 관련되고, 특히, 크림(Cream)형상이나 젤(Gel)형상의 액체와 같이 물보다 점도가 높은, 소위 반유동체(半流動體)를 배출시켰을 때에, 용기 본체내에 내용물 및 공기가 역류하지 않도록 한 용기 개구부의 역류방지기구를 구비한 배출노즐 및 그것을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튜브(Tube) 등의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배출시킨 후에, 그 내용물이 용기내로 역류하거나,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것들은 어느것이나 어떠한 역류방지밸브(이하, 역지밸브(逆止弁))를 사용한 것이었다.
예컨대, 일본국 특개2001-301779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이 플랩(Flap)형상의 역지밸브를 구비한 것, 특개2001-278297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이 래퍼(Lapper)형상의 역지밸브를 구비한 것, 특개2001-240089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이 말굽형상의 밸브부재(이하, 밸브대(弁駒))를 스프링력으로 압착하는 타입의 역지밸브를 구비한 것 및 특개2000-289756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이 자유이동식의 밸브대를 역지밸브로서 구성한 것 등이 대표적인 것이며, 다종다양한 형식의 역지밸브가 제안되어 있다.
이것들은 어느것이나 밸브기구로서는 비교적 단순한 기구의 것이 많고, 비용적으로는 유효한 기술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어느 것의 선행기술도 모두 밸브부재를 구비하여 기계적으로 개구부에 뚜껑을 덮는다고 하는 형식의 것뿐이었다.
상기 선행기술예 중, 플랩형상의 밸브부재를 구비한 것은 힌지부(Hinge)의 가동성이 밸브기능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이고, 그 밖의 밸브대가 이동하는 타입의 것은 바로 밸브대의 이동상태가 밸브기능 그것을 좌우하는 것이다. 또한 이것들은 어느 것이나 저점도의 액체에 있어서는 비교적 문제없이 작동하여 밸브기능도 높다고 말할 수 있지만, 크림형상이나 젤형상의 고점도 액체로 되면, 액체 자체가 작동부재의 댐퍼(Damper)로서 작동하여 버려서, 현저하게 밸브성능이 저하하는 것 이었다.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중, 유일하게 스프링력으로 밸브대를 개구에 밀어 붙이는 타입의 것이 비교적 밸브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지만, 점도가 오를 만큼 스프링력을 강하게 할 필요가 있고, 그에 따라 배출성도 열악하여, 복귀하기가 곤란하게 됨과 함께 빠져나가기도 곤란하게 되는 것이 자명하다.
이와같이 종래는 오직 개구부에 뚜껑을 덮음으로써 역류방지를 도모하였으므로, 고점도 액체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거의 없다고 하여도 지나치지 않는다.
또한, 특히 튜브형 용기에 있어서는, 종래부터 물에 가까운 저점도 액체를 충전하는 것은, 누설할 우려가 있으므로 곤란하다고 되어 있었지만, 고점도 액체는 물론, 비교적 저점도의 액체까지 폭넓게 이용할 수 있으면, 용기로서의 범용성, 고도 이용성을 도모할 수 있음을 알수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상시(常時) 개구형 토출노즐(Nozzle) 및 그것을 구비한 액체용기는,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임과 함께, 종래기술과 같은 기계적인 구조에 의존하지 않더라도 역류방지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과 함께, 상시 개구상태에서 내용물 및 공기의 역류를 제한하는 획기적인 배출노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체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3은,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5는, BB 단면도이다.
도 6은,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7은, CC 단면도이다.
도 8은,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9는, DD 단면도이다.
도 10은, 내용물의 배출시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a) 및 (b)는 틈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요부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내용물에 걸리는 부압(負壓)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각 구성부의 치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15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EE 단면도이다.
도 17은, 내용물의 배출시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8은,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내용물에 걸리는 부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22는, FF 단면도이다.
도 23은, 내용물의 배출시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4는, 내용물에 걸리는 부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5는, 각 구성부의 치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27은,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28은,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29는, GG 단면도이다.
도 30은, HH 단면도이다.
도 31은, 내용물의 배출시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2는, 내용물에 걸리는 부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3은, 각 구성부의 치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4는,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35는,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37은, 노즐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39는, JJ 단면도이다.
도 40은, 내용물의 배출시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1은, 내용물에 걸리는 부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2는, 각 구성부의 치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3은,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44는,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46은,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47은, KK 단면도이다.
도 48은, LL 단면도이다.
도 49는, 내용물의 배출시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0은, 내용물에 걸리는 부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1은, 각 구성부의 치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53은,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54는, MM 단면도이다.
도 55는, NN 단면도이다.
도 56은, 내용물의 배출시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7은, 내용물에 걸리는 부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8은, 각 구성부의 치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9는,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60은,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61은, 본 발명의 제8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62는,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63은, PP 단면도이다.
도 64는, 틈새피스(Piece)의 평면도이다.
도 65는, 그 저면도이다.
도 66은, RR 단면도이다.
도 67은, 내용물의 배출시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8은, 내용물의 배출시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9는, 내용물에 걸리는 부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0은, 각 구성부의 치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1은, 본 발명의 제9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72는,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73은, SS 단면도이다.
도 74는, TT 단면도이다.
도 75는, 내용물의 배출시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6은, 내용물에 걸리는 부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7는, 각 구성부의 치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8은, 본 발명의 제10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2에서의 AA 단면도이다.
도 79는,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80은, 다른 미세통로의 구성에 의한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81은, 그 도 2에서의 AA 단면도이다.
도 82는, 다른 미세통로의 구성에 의한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83은, 그 도 2에서의 AA 단면도이다.
도 84는, 다른 미세통로의 구성에 의한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85는, 그 도 2에서의 AA 단면도이다.
도 86은, 미세통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횡단면도이다.
도 87은, 미세통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횡단면도이다.
도 88은, 본 발명의 제11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15에서의 EE 횡단면도이다.
도 89는, 본 발명의 제12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90은, 도 20에서의 FF 횡단면도이다.
도 91은, 본 발명의 제13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92는, 도 24에서의 HH 횡단면도이다.
도 93은, 본 발명의 제14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94는, 도 37에서의 JJ 단면도이다.
도 95는, 본 발명의 제15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96은, 도 42에서의 KK 횡단면도이다.
도 97은, 도 42에서의 LL 횡단면도이다.
도 98은, 본 발명의 제16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99는, 도 52에서의 MM횡단면도이다.
도 100은, 도 52에서의 NN횡단면도이다.
도 101은, 본 발명의 제17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용기의 개구부 부근의 요부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102는, 도2에서의 XX횡단면도이고, (a)는 액체통로가 주면(周面) 틈새인 경우의 횡단면도이며, (b)는 미세통로 60인 경우의 횡단면도이다.
도 103은,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104는, 내용물의 배출시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5는, 내용물에 걸리는 부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6은, 각 구성부의 치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7은, 본 발명의 제18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구부 부근의 요부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108(a), (b)는, 각각 도 107의 Y1-Y1 및 Y2-Y2 횡단면도이다.
도 109는,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110은, Y3-Y3 종단면도이다.
도 111은, Y4-Y4 종단면도이다.
도 112는, 내용물의 배출시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3은, 내용물에 걸리는 부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4는, 각 구성부의 치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5는, 본 발명의 제19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구부 부근의 요부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116은, 내용물의 배출시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7은, 내용물에 걸리는 부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8은, 각 구성부의 치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9는,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20은,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21은, 본 발명의 제20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22는, 본 발명의 노즐의 사시도이다.
도 123은, ZZ 단면도이다.
도 124는,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125는, 다른 구성에 의한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126은, 내용물의 배출시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7은, 각 구성부의 치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8은, 본 발명의 제21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9는, 그 요부 정면도이다.
도 130은,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1은,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2는,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3은, 본 발명의 제22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34는, 슬릿(Slit)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5는, 내용물의 배출시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6은, 액체통로내의 부압의 평상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7은, 본 발명의 제23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38은, 내용물의 배출시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9는, 본 발명의 제24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40은, 내용물의 배출시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즉, 본 발명의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배출노즐은, 이하의 특징을 갖는 것이다.
(1)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의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상시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통로(隙間通路)로 구성되고, 그 틈새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常壓)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 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押壓)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
(2)상기 틈새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이 만곡한 면인 것.
(3)상기 틈새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이 평면인 것.
(4)상기 틈새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이 구면(球面)인 것.
(5)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미소 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로 구성되고, 그 미세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 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
(6)상기 미세통로가, 가는 홈과 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
(7)상기 미세통로가, 돌출부와 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
(8)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액체통로는 상압하에서는 내용물이 그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통로내에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협소 치수로 되고, 더욱이 그 액체통로는 적어도 1회 용기 본체로부터 배출구를 향하는 배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역류통로를 가짐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
(9)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액체통로는 상압하에서는 내용물이 그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통로내에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협소 치수로 되고, 더욱이 그 액체통로는 적어도 1회 용기 본체로부터 배출구를 향하는 배출방향에 대하여 내용물의 흐름방향을 굴절하게 하는 굴절통로를 가짐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
(10)상기 액체통로의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로 구성된 틈새통로인 것.
(11)상기 액체통로의 일부가 미소 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인 것.
(12)상기 미세통로가, 가는 홈과 면으로 구성되는 것.
(13)상기 미세통로가, 돌출부와 면으로 구성되는 것.
(14)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 및 미소 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로 구성된 것이며, 그 틈새통로와 미세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 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
(15)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 또는 미소한 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로 구성된 것이며, 또한 그 통로는 적어도 1회 용기 본체로부터 배출구를 향하는 배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역류통로를 갖는 왕복통로를 구성하고, 그 틈새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 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
(16)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 또는 미소한 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로 구성된 것이고, 또한 그 통로는 적어도 1회 용기 본체로부터 배출구를 향하는 배출방향에 대하여 내용물의 흐름방향을 굴절하게 하는 굴절통로를 갖고, 그 틈새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 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
(17)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 및 미소한 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로 구성된 것이고, 또한 그 통로는 적어도 1회 용기 본체로부터 배출구를 향하는 배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역류통로를 갖는 왕복통로를 구성하고, 그 틈새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 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
(18)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 및 미소한 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로 구성된 것이고, 또한 그 통로는 적어도 1회 용기 본체로부터 배출구를 향하는 배출방향에 대하여 내용물의 흐름방향을 굴절하게 하는 굴절통로를 갖고, 그 틈새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 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
(19)상기 틈새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이 만곡한 면인 것.
(20)상기 틈새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이 평면인 것.
(21)상기 틈새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이 구면(球面)인 것.
(22)상기 미세통로가, 가는 홈과 면으로 구성되는 것.
(23)상기 미세통로가, 돌출부와 면으로 구성되는 것.
(24)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 또는 미소한 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로 구성된 것이고, 또한 그 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서 평상시 상태에서의 내용물의 유통을 제한하고, 또한 그 통로는 용기 본체로부터 배출구를 향하는 유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역류통로를 2개 이상 구비함으로써 용기배출구의 한정된 공간내에 충분히 긴 관길이를 확보하고,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
(25)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 또는 미소한 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로 구성된 것이고, 또한 그 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서 평상시 상태에서의 내용물의 유통을 제한하고, 또한 그 통로는 용기 본체로부터 배출구를 향하는 유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있어서 반전하면서 배출구에 도달하도록 한 배출통로를 구비함으로써 용기배출구의 한정된 공간내에 충분히 긴 관길이를 확보하고,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
(26)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 또는 미소한 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로 구성된 것이고, 또한 그 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서 평상시 상태에서의 내용물의 유통을 제한하고, 더욱이 그 통로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용기 배출구의 한정된 공간내에 충분히 긴 관길이를 확보하여,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
(27)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 또는 미소한 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로 구성된 것이고, 또한 그 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서 평상시 상태에서의 내용물의 유통을 제한하고, 또한 그 통로는 소용돌이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용기 배출구의 한정된 공간내에 충분히 긴 관길이를 확보하여,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
(28)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 또는 미소한 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로 구성된 것이고, 또한 그 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서 평상시 상태에서의 내용물의 유통을 제한하고, 또한 그 통로는 미로(迷路)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용기 배출구의 한정된 공간내에 충분히 긴 관길이를 확보하여,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
(29)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 또는 미소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로 구성된 것이고, 그 액체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 함과 함께, 배출 개구부에 역지밸브를 설치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
(30)상기 역지밸브가 탄성체 플레이트(Plate)에 평상시 상태에 있어서 닫히는 적어도 1개의 슬릿(Slit)을 설치한 것인 것.
(31)상기 역지밸브가 그 노즐의 배출 개구부를 평상시 상태(常態)에 있어서 폐쇄하는 판형상의 밸브를 설치한 것인 것.
(32)상기 역지밸브가 그 노즐의 배출 개구부를 평상시 상태에 있어서 폐쇄하는 구형상(球狀) 또는 말굽형상의 밸브를 설치한 것인 것.
또한, 본 발명의 액체용기는, 상기 (1) 내지 (32)의 어느쪽의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배출노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배출노즐(이하, '본 발명의 노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체용기(이하, '본 발명의 용기')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상시(常時) 개구형 노즐의 제1의 실시예 및 그것을 구비한 용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캡(Cap)을 제거한 상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용기(1)는, 용기 본체(2)의 상부에 원통형상부(3)를 일체로 설치하고, 그 선단에는 평면부(4)를 구비함과 함께, 그 중앙에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노즐의 배출구(12)가 돌출하는 개구부(5)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형상부(3)의 외주에는, 수나사(6)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나사(6)로 캡(7)이 나사결합되어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용기 본체(2)는 튜브(Tube) 용기로 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용기의 개구부 부근의 요부 중앙 종단면도이다.
용기 본체(2) 및 원통형상부(3)는 폴리에틸렌이나 복합소재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로서는 손으로 파지하는 등으로서 가해지는 외압에 의해 변형하고, 내용물을 배출구로부터 압출(押出)하는 바와 같은 유연성의 용기이면 좋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극히 일반적인 튜브의 것 이외에, 자루형상 용기 등도 적합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부(3)의 안쪽에는, 본 발명의 노즐(8)이 삽입되어 있다. 본 발명의 노즐(8)은, 원통형상부 재(9)의 안쪽에 원주형상부재(10)가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서의 AA 횡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부재(9)는 상단에 평면부(11)를 설치하고, 그 중앙부에 배출구(12)를 설치하고 있어서, 하단의 개구부(13)로부터 배출구(12)까지의 배출통로에는 이것을 밀폐하는 부재는 존재하지 않고, 관통하여 있다. 또한, 원통형상부재(9) 하단의 개구부(13)는, 그 일부가 윗쪽으로 향하여 작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원주형상부재(10)의 하단도 아래쪽으로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하여 둠으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로드(Rod) 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용기 본체(2)로부터의 내용물이 틈에 유입되기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이 테이퍼 형상이 없으면, 배출시의 유입저항이 커지게 되어, 배출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원통형상부재(9)의 내경은 원주형상부재(10)의 외경보다 약간 크고, 원주형상부재(10)를 원통형상부재(9)에 삽입한 때에, 양쪽의 사이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형상부재(10)의 측면과 상단에 있어서 각각 종방향의 주면틈새 14와 횡방향의 평면틈새 15가 형성되게 되어 있다. 이들의 틈새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형상부재(10)의 측면의 길이방향(지면(紙面)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수개(도면에서는 4개)의 돌출부(16)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돌출부(16)의 높이가 틈새의 높이로 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이 돌출부(16)는 원주형상부재(10)의 상단(18)으로도 연장되어 있고, 원통형상부재(9)의 내면 하단(17)과 원주형상부재(10)의 상단(18) 사이의 틈새 형성을 하고 있다. 이와같이, 일정 높이의 돌출부(16)를 설치함으로써, 양쪽을 조립한 평상시 상태의 BB 횡단면(도 5)에 있어서, 양쪽에서 형성되는 주면틈새 14 및 도 2에 나타나는 상단 틈새(15)의 틈새치수가 일정하게 확보된다. 더욱이, 이 돌출부(16)는 돌기로 대신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주면틈새 14는 이렇게 원통형상체와 봉(棒)상태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간편하지만, 소위 만곡한 면끼리를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 주면틈새 14는, 여기를 유통하는 내용물(액체)이 일정한 압력 이하에서는, 그 자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으로 통로를 막아버려서, 유통할 수 없을 정도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즉, 내용물의 점도가 낮을수록 틈새는 좁고, 반대로 점도가 높으면, 틈새는 넓게되어 좋은 것으로 된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일정 압력이란, 주로 용기 본체(2)를 손으로 압압하는 등으로 하여 내용물을 압출한 후에, 용기 본체(2)의 탄성복원력 등으로 용기 본체내에 생기는 내용물을 용기 본체내로 복귀시키려고 하는 힘(부압)의 크기를 말한다. 평면틈새 15는 주면틈새 14로부터 유출되는 내용물이 배출구(12)를 향하여 흐름방향을 바꿀 때의 통하는 곳으로도 되어 있다.
더욱이, 이 틈새치수의 확보수단에 관하여는, 상기 방법에 의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6)를 원통형상부재(9)의 내면에 설치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형상부재(10)의 외주상의 상단 부근(19)에 원통형상부재(9)의 내경에 적합하는 직경의 결합부(20)를 설치하여, 결합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후자의 경우, 결합부(20)의 소망 위치에 절결부(21)를 설치하여 내용물의 통로로 하고 있다. 또한, 결합부(20)는 원통형상부재(9)측에 설치하여도 좋고, 원주형상부재(10)의 하단측에 설치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도 7 및 도 9는, 각각 도 6와 도 8에서의 CC 횡단면도 및 DD 횡단면도이다.
이상과 같이, 틈새통로는 원통형상부재의 내주면과 원주상부재의 외주면이라는 한쌍의 면으로 구성되는 것 이외에, 도 11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형상이 다각형이면, 3개 이상의 면으로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더욱이, 이하 모든 각 실시예에 있어서, 틈새의 형성방법은 본 실시예에 나타난 방법의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그 밖의 확실하게 틈새가 균일하고 안정하게 확보되는 방법이 적용된다.
이상과 같이 형성한 본 발명의 노즐 및 그것을 구비한 이 용기의 사용에 있어서는 아래와 같다.
도 10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은 용기 본체(2)의 외부를 손 등으로 압압되는 것에 의한 내압상승으로 배출구측으로 압출되어, 본 발명의 노즐(8)의 하단의 틈새입구(13)로 들어간다. 입구가 좁으므로, 약한 압압력으로는 내용물이 주면틈새 14로 들어갈 수는 없지만, 일정한 압압력을 초과하는 압압력이 용기 본체(2)에 걸리게 되면, 내용물은 주면틈새 14로 진입하여 배출구까지 흘러서 배출된다.
그리고, 소망량의 내용물을 배출한 후에, 용기 본체(2)의 압압을 중지한 때에는, 본래적으로 용기 본체(2)는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용기 본체(2)의 표면이 받는 대기압에 저항하여 복원하려고 하므로, 용기 본체내에는 부압이 생기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면틈새 14, 평면틈새 15 및 배출통로내의 내용물에는 용기 본체내로 끌려 들어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그 부압정도에서는 내용물은 그 자체의 점도나 표면장력 및 통로내 저항에 의해 유통이 제한되어, 통로내의 저항에 저항하여 흐를 수 없으므로, 스스로가 틈새를 막는 형태로 되어 통로내에 잔류한 채로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노즐(8)을 경계에, 배출구(12)에는 그 개구면적에 대기압이 걸리고, 한편, 용기 본체내에는 용기 본체(2)의 표면이 받는 대기압과 용기 본체(2)의 복원력과의 차분(差分)의 힘에 의해 부압이 생기는 것으로 되지만, 상압하에서는 본 발명의 노즐(8)이 감압 오리피스(Orifice)로서 기능함으로써 양쪽을 밸런스(Balance) 시켜버리므로, 압력차이에 의한 내용물의 이동이 제한된다. 즉, 용기 본체내로 복귀되는 일이 없는 것이다.
따라서, 재차 내용물을을 배출시키려고 할 때에는, 용기 본체(2)를, 내용물이 통로내 저항에 저항하여 배출되는데 필요한 힘으로 압압하면, 바로 배출구(12)로부터 배출된다. 종래의 용기와 같이, 용기 본체내로 끌려 들어간 공기를 우선 최초로 배출한 후에 내용물을 압출한다는 프로세스(Process)가 없으므로, 외압에 대하여 매우 반응이 좋은 용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더욱이, 용기 본체내로 공기가 끌려 들어가지 않으므로, 산화에 약한 내용물에는 적합하다.
또한, 배출구(12)의 선단에 있어서는, 내용물은 근소하게 끌려 들어갈 수 있지만, 캡(7)의 안쪽에 캡(7)을 닫았을 때에 이 배출구(12)에 접촉하는 씰(Seal)을 설치하거나, 또는 배출구 내경에 적합하는 도시하지 않는 돌기를 설치하는 등으로 하여 최전선에 있는 내용물이 공기에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용물과 공기와의 접촉을 거의 없게 할 수가 있다.
더욱이, 이들의 작용은, 본 발명의 노즐(1)이 가동부품을 일체 사용함이 없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장나는 일은 없고 영구적으로 기능 및 성능을 지속한다.
내용물의 배출 용이성 (흐름 용이성) 및 역류방지기능(흐름 곤란성)의 밸런스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의 유로로 되는 각 틈새 등, 즉, 원통형상부재(10)에 있어서 그 측면의 주면틈새 14의 치수 W1, 상단의 평면틈새 15의 치수 W2 및 배출구(12)의 내경 W3의 각 치수를 적당히 조정하면 좋다.
(실시예2)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의 제2의 실시예 및 그것을 구비한 용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노즐의 분해도, 도 15는 개구부 부근의 요부 중앙 종단면도이며,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1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용기(1)의 원통형상부(3)의 안쪽에, 본 발명의 노즐(8)이 삽입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면틈새 14 및 평면틈새 15의 각각이 복수의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실시예1과 같이 본 발명의 노즐(8)은, 원통형상부재(9)의 안쪽에 원주형상부재(10)가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16은 도 15에서의 EE 횡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부재(9)는, 상단에 평면부(11)를 설치하고, 그 중앙부에 배출구(12)를 설치함과 함께, 그 안쪽에도 배출구(12)와 거의 같은 관형상부(22)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하단의 개구부(13)로부터 배출구(12)까지의 배출통로에는 이것을 막는 부재는 존재하지 않고, 관통하여 있다.
원주형상부재(10)에는, 그 상단에, 상기 원통형상부재(9)의 관형상부(22)가, 그 측면에 틈새 14B를, 그 하단에 틈새 15B를 거쳐 삽입되도록 요부(凹部, 23)가 설치되어 있다. 요부(23)의 저부는 구면(球面)형상으로 되어 있고, 틈새 15B가 큰 공간으로 되어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틈새 14B로부터의 유출이 보다 원활하게 된다. 그렇지만, 역류시에는 이 큰 공간으로부터 틈새 14B로의 통로가 급격하게 좁아지므로, 감압효과를 얻을 수 있어 역류방지 효과를 높힐 수 있다. 원통형상부재(9)의 내경은 원주형상부재(10)의 외경보다 약간 크고, 원주형상부재(10)를 원통형상부재(9)에 삽입한 때에, 양쪽 사이에는 원주형상부재(10)의 측면과 상단에 있어서 소망하는 주면틈새 14 및 평면틈새 15A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원주형상부재(10)의 내경은 원통형상부재(9)의 관형상부(22)의 외경보다 약간 크고, 원주형상부재(10)의 상단과 원통형상부재(9)에 있어서 소망 틈새 14B, 15B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 주면틈새 14A 및 14B는, 실시예1에 나타난 방법과 같이 여기를 유통하는 내용물(액체)이 일정한 압력이하에서는, 그 자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으로 통로를 막아버려서, 유통할 수 없을 정도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형상부(22)와 요부(23)에 의해, 복수의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평면틈새 15에 관하여는, 15A가 주면틈새 14A에서 14B로의 흐름의 U턴(U-Turn)부로 되고, 주면틈새 15B는 평면틈새 14B로부터 배출구(12)로의 흐름방향을 바꾸는 통하는 곳으로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형성한 본 발명의 노즐 및 그것을 구비한 이 용기의 사용에 있어서는 아래와 같다.
도17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은 용기 본체(2)의 외부로부터의 압압에 의한 내압상승으로 배출구측으로 압출되고, 이 노즐(8)의 하단의 틈새입구(13)로 들어간다. 입구가 좁으므로, 약한 압압력으로는 내용물이 주면틈새 14A로 들어갈 수는 없지만, 일정한 압압력을 초과하는 압압력이 용기 본체에 걸리게 되면, 내용물은 주면틈새 14A로 진입하여 일단 평면틈새 15A까지 흐르고, 거기에서 U턴하여 본래의 흐름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더 흘러서 주면틈새 14B로 유입된다. 그리고, 주면틈새 14B로부터 평면틈새 15B를 통하여 배출구(12)까지 흘러서 배출된다.
그리고, 소망량의 내용물을 배출한 후에, 용기 본체(2)의 압압을 중지한 때에는 실시예1과 같은 작용에 의해, 내용물 및 외기는 용기 본체내로 복귀되는(역류하는) 일이 없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면틈새 14 및 평면틈새 15가 복수 구비되어 있음과 함께 흐름의 반전에 의해, 유로저항이 실시예1보다 커지므로, 보다 저점도 액체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내용물의 배출 용이성(흐름 용이성) 및 역류방지기능(흐름 곤란성)의 밸런스는, 상기 실시예1과 같이 내용물의 유로를 구성하는 각틈의 치수를 적당히 조정하면 좋다.
도 18 및 도 19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원주형상부재(10)의 상단 요부(23)의 저부(低部)를 평면형상으로 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좁은 통로가 직각으로 절곡됨으로써 복귀의 유로저항은 보다 커지게 되고고, 역류방지 성능은 향상된다.
(실시예3)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의 제3의 실시예 및 그것을 구비한 용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개구부 부근의 요부 중앙 종단면도이며,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1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용기(1)의 원통형상부(3)의 안쪽에 본 발명의 노즐(8)이 삽입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면틈새 14 및 평면틈새 15의 각각이 복수의 구성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실시예2와 비교하여도 평면틈새 15가 1개 많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노즐(8)은, 원통형상부재(9)의 안쪽에 캡형상부재(24)에 삽입되고, 더욱이 그 내부에 원통형상부재(25)가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22는 도 20에서의 FF 횡단면도이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부재(9)는 상단에 평면부(11)를 설치하고, 그 중앙부에 배출구(12)를 설치하고 있어서, 하단의 개구부(13)로부터 배출구(12)까지의 배출통로에는 이것을 막는 부재는 존재하지 않고, 관통하여 있다.
원통형상부재(9)에 결합되는 캡형상부재(24)는 원통형상의 상단에 평면부를 구비한 형상을 하고 있고, 개구부를 아래로 향하여 원통형상부재(9)의 내부에 삽입된다. 더욱이, 이 캡형상부재(24)의 내부에 결합되는 원통형상부재(25)는, 원통형상부(26)의 하단에 상기 원통형상부재(9)의 하단 개구부(13)를 막기 위한 플랜지(Flange, 27)를 구비한 종단면이 역 T자형상을 보이고 있다. 플랜지(27)의 중심에는 개구(28)를 구비하여 원통형상부(26)가 관통하여 있다. 그리고, 각 구성부재 9, 24, 25는 각각 틈새를 형성하도록 상기 실시예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치수를 결정할 수 있고, 삽입되어 일체화된다. 그리고,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방향의 틈새는 14A, 14B과 두개의 틈새가, 또한 횡방향의 평면틈새는 15A, 15B 및 15C와 세개의 틈새가 각각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형성한 본 발명의 노즐 및 그것을 구비한 이 용기의 사용에 있어서는 아래와 같다.
도 23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은 용기 본체(2)의 외부로부터의 압압에 의한 내압상승으로 배출구로 압출되고, 이 원통형상부재(25)의 하단 입구(개구, 28)로 들어간다. 입구로 되는 원통형상부재(25)의 원통형상부(26)의 내부통로는 비교적 커서 내용물이 들어가기 쉽지만, 평면틈새 15A에서 갑자기 방향전환을 강요당한 뒤, 주면틈새 14A의 입구가 좁으므로, 약한 압압력으로는 내용물이 주면틈새 14A로 들어갈 수는 없지만, 일정한 압압력을 초과하는 압압력이 용기 본체(2)에 걸리게 되면, 내용물은 평면틈새 15A에서 U턴하여 본래의 흐름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흘러서 주면틈새 14A로 진입하여 평면틈새 15B까지 흐르고, 거기에서 더 U턴하여 주면틈새 14B로 유입된다. 그리고, 평면틈새 15C를 거쳐서 배출구(12)까지 흘러서 배출된다.
그리고, 소망량의 내용물을 배출한 후에, 용기 본체(2)의 압압을 중지한 때에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1과 같은 작용에 의해, 내용물 및 외기는 용기 본체내로 복귀되는(역류하는) 일이 없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면틈새 14 및 평면틈새 15가 복수 구비되는 것에 덧붙여서, 2도의 심한 반전에 의해, 통로저항이 실시예2 보다 크게 되므로, 보다 저점도 액체에 이용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내용물의 배출 용이성(흐름 용이성) 및 역류방지기능(흐름 곤란성)의 밸런스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의 유로를 구성하는 각 틈14 및 15의 치수를 적당히 조정하면 좋다.
(실시예4)
도 26 내지 도 35는, 본 발명의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의 제4의 실시예 및 그것을 구비한 용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6은 캡을 제거한 상태의 전체 사시도이며, 또한 도 27는 본 발명의 용기의 개구부 부근의 요부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26 및 도 27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용기(1)는 상기 실시예1과 같이 용기 본체(2)의 상부에 원통형상부(3)를 일체로 설치하고, 그 내부에 본 발명의 노즐(8)을 구비함과 함께, 원통형상부(3)에는 외주에 수나사(6)가 설치되어 중앙에 배출구(12)를 돌설하게 한 노즐 캡(29)이 나사결합되고(도 27에 있어서는 파선으로 표시), 그 노즐(8)의 플랜지(32)를 삽입하여 원통형상체(3)의 상단에 고정하여 있다. 노즐 캡(29)의 선단 배출구(12)의 외주에는 수나사(6)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나사(6)로 캡(7)이 나사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용기 본체(2)는 튜브 용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노즐(8)은 원통형상부(3)의 안쪽에 원주형상부재(30)와 원통형상부재(31)가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에 플랜지(32)를 구비한 원주형상부재(30)에는, 플랜지(32)의 바로 아래에 원주방향으로 가는 홈(33)이 설치되고, 또한, 플랜지(32)의 중앙에는, 깊이가 이 가는 홈 위치와 같게 되도록 배출통로(34)가 설치되고, 더욱이 이 배출통로(34)의 저부와 가는 홈(33)의 저부를 연통하는 통로(35)가 반경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통로(35)는, 도 28에 있어서는 단면이 원인 관형상 통로이지만, 배출통로(34)와 가는 홈(33)이 연통하면, 어떤 단면형상으로도 상관없다. 그리고, 더욱이 가는 홈(33) 보다 아래쪽은 하단으로 향하여 직선부(Straight)(36)로 되어 있다.
원통형상부재(31)는 거의 단순한 관형상체이고, 그 상단은 내경이 원주형상부재(31)의 플랜지(32)와 가는 홈(33) 사이의 외경에서 결합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형상부재(31)의 내주면과, 원주형상부재(30)의 직선부(36)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실시예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주면틈새 14를 형성한다.
도 29 및 도 30은 각각 도 27에서의 GG 횡단면도 및 HH 횡단면도이다.
이상과 같이 형성한 본 발명의 노즐 및 그것을 구비한 이 용기의 사용에 있어서는 아래와 같다.
도 31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은 용기 본체(2)의 외부로부터의 압압에 의한 내압상승으로 배출구측으로 압출되고, 이 노즐(8)의 하단의 원통형상부재(31) 하단의 개구부(37)로부터 주면틈새 14의 입구로 들어간다. 입구가 좁으므로, 약한 압압력으로는 내용물이 주면틈새 14로 들어갈 수는 없지만, 일정한 압압력을 초과하는 압압력이 용기 본체(2)에 걸리게 되면, 내용물은 주면틈새 14로 진입하여 일단 가는 홈(33)까지 흐르고, 거기에서 직각으로 흐름의 방향을 바꾸고, 통로(35)를 통하여 배출통로(34)로 빠져 나가고, 노즐 캡(29)의 배출구(12)까지 흘러서 배출된다.
그리고, 소망량의 내용물을 배출한 후에, 용기 본체(2)의 압압을 중지한 때에는,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은 용기내로 복귀시키려고 하지만, 상기 실시예1과 같은 작용에 의해 내용물과 외기는 용기 본체내로 복귀되는(역류하는) 일이 없다.
내용물의 배출 용이성(흐름 용이성) 및 역류방지기능(흐름 곤란성)의 밸런스는,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의 유로를 구성하는 각 틈새 등, 즉, 원통형상부재(30)에 있어서 그 측면의 주면틈새 14의 치수 W1, 횡통로(35)의 치수 W2, 배출통로(34)의 내경 W3 및 배출구(12)의 내경 W4의 각 치수를 적당히 조정하면 좋다.
도 34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원통형상부재(31)의 하단에 저부(38)를 설치함과 함께, 개구부(37)를 보다 작은 직경의 구멍으로 함으로써, 원주형상부재(30)의 하단과 원통형상부재(31)의 저면 안쪽 사이에도 횡방향의 틈새 15를 형성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더욱이, 도 35는 이 경우에 있어서, 원통형상부재(30)의 하단에 요부(39)를 설치함으로써, 개구부(37)로부터의 유입과 횡방향으로의 방향전환이 보다 원활하게 되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5)
도 36내지 도 42는 본 발명의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의 제5의 실시예 및 그것을 구비한 용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6은, 개구부 부근의 요부 중앙 종단면도이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1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용기(1)의 원통형상부(3)의 안쪽에 본 발명의 노즐(8)이 삽입되어 있다. 거의 실시예1과 같은 틈새 구성이지만, 내용물의 본 발명의 노즐(8)로의 유입구를 보다 배출구(12)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도 3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노즐(8)은,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쪽에 개구부(40)를 구비한 컵(Cup)형상부재(41)에 원통형상부재(31)가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되 있다.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형상부재(41)는 상단에 플랜지(32)를 설치함과 함께, 그 원주부를 더 윗쪽으로 일으켜서 단차(42)를 형성하고 있다. 원통형상부재(31)도 상단에 플랜지(32)를 설치함과 함께, 그 플랜지(32)로부터 어느정도 내려간 위치에 원주방향의 가는 홈(33)이 형성되고, 더욱이, 하단에도 원주위로 단차(42)가 설치되어 있다. 원통형상부재(31)의 플랜지(32)는, 그 직경이 컵형상부재(41)의 플랜지(32)의 단차(42)의 내경에 적합하는 치수로 되어 있어서, 원통형상부재(31)의 플랜지(32)가 컵형상부재(41)의 단차(42)에 결합되어 일체화된다. 컵형상부재(41)에는, 플랜지(32)의 아래위치에 내부를 연통시키는 통로(35)가 설치되어있고, 그 위치는 내부에 삽입된 원통형상부재(31)의 가는 홈(33)과 적합한 위치로 되어 있다.
원통형상부재(31)의 가는 홈 아래의 직선부분(43)은 그 직경이 컵형상부재의 원통형상부(44)의 내경 보다 어느정도 작은 것으로 되어 있고,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에서 주면틈새 14를, 또한, 원통형상부재(31)의 하단과 컵형상부재(41)의 안쪽 바닥 사이에서 평면틈새 15를, 상기 실시예1과 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한다.
도 39는 도 37에서의 JJ횡단면도이다.
이상과 같이 형성한 본 발명의 노즐을 구비한 이 용기의 사용에 있어서는 아래와 같다.
도 40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은 용기 본체(2)의 외부로부터의 압압에 의한 내압상승에서 배출구측으로 압출되어, 이 원통형상부(3)와 본 발명의 노즐(8)과의 틈새를 용기 개구부 방향으로 흐르고, 통로(35)의 입구로 들어간다. 통로(35)로부터 들어간 내용물은, 그 속에 홈(33)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들어가고, 일단 체류하면서 흐름의 방향을 주면틈새 14의 방향으로 바꾼다. 주면틈새 14의 입구가 좁으므로, 약한 압압력으로는 내용물이 주면틈새 14로 들어갈 수는 없지만, 일정한 압압력을 초과하는 압압력이 용기 본체(2)에 걸리게 되면, 내용물은 가는 홈내에서 방향전환하고, 본래의 흐름방향과는 반대의 용기 본체방향으로 흘러서 원통형상부재(31)의 하단에 설치한 단차(42)에서 형성되는 공간으로 들어 간다. 이 공간은 상기 가는 홈(33)과 같이 내용물이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소위 통로이고, 일단 축압(蓄壓)되어 평면틈새 15로 흐르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평면틈새 15를 거쳐서 관형상부재(31)내의 배출통로(34)를 통하여 배출구(12)까지 흘러서 배출된다.
그리고, 소망량의 내용물을 배출한 후에, 용기 본체(2)의 압압을 중지한 때에는,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로내에 체류하여 있는 내용물에 용기 본체내로 복귀시키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지만, 상기 실시예1과 같은 작용에 의해, 내용물 및 외기는 용기 본체내로 복귀되는(역류하는) 일이 없다.
내용물의 배출 용이성(흐름 용이성) 및 역류방지기능(흐름 곤란성)의 밸런스는,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의 유로를 구성하는 각 틈새 즉, 원통형상부재(31)에 있어서 그 측면의 주면틈새 14의 치수 W1, 하단부(20)의 평면틈새 15의 치수 W2, 배출통로(34)의 내경 W3 및 배출구(12)의 내경 W4의 각 치수를 적당히 조정하면 좋다.
도 43 및 도 44는, 각각 원통형상부재(31)의 홈(33) 및 하단부의 단차(42)의 형상의 변경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같이, 흐름의 방향전환을 위한, 소위 통하는 곳으로 틈새통로의 소망 위치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홈(33) 및 단차(42)의 형상은 사각형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6)
도 45 내지 도 51은, 본 발명의 노즐의 제6의 실시예 및 그것을 구비한 용기를 도시한 것이고, 상기 실시예4의 간소형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용기의 개구부 부근의 요부 중앙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노즐(8)은 상기 실시예1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용기(1)의 원통형상부(3)의 안쪽에, 원주형상부재(30)가 직접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45 및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에 플랜지(32)를 구비한 원주형상부재(30)에는, 플랜지(32)의 바로 아래에 원주방향으로 홈(33)이 설치되고, 또한, 플랜지(32)의 중앙에는, 깊이가 상기 가는 홈 위치와 같게 되도록 배출통로(34)가 설치되고, 더욱이 이 배출통로(34)의 저부와 가는 홈(33)의 저부를 연통하는 통로(35)가 반경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통로(35)는, 도면에 있어서는, 단면이 원의 관형상 통로이지만, 배출통로(34)와 가는 홈(33)이 연통하면, 어떤 단면형상으로도 상관없다. 그리고, 더욱이 가는 홈(33) 보다 아래쪽 부분은 하단을 향하여 직선부(36)로 되어 있다.
원통형상부(3)는 원주형상부재(30)의 직선부(36)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그 내경과, 원주형상부재(30)의 직선부(36) 사이에 상기 실시예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주면틈새 14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통형상부(3)의 안쪽에 원주형상부재(30)가 직접 적합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틈새의 정밀도와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원통형상부(3)의 안쪽의 성형에는 상응한 정밀도(평행도)가 요청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원통형상부(3)에는 외주에 수나사(6)가 설치되어서 중앙에 배출구(12)를 돌출설치하게 한 노즐 캡(29, 도 45에 있어서 파선으로 표시)이 나사결합되고, 그 원주형상부재(30)의 플랜지(32)를 끼워넣어서 원통형상체 상단에 고정하고 있다.
도 47 및 도 48은 각각 도 45에서의 KK 횡단면도 및 LL 횡단면도이다.
이상과 같이 형성한 본 발명의 노즐 및 그것을 구비한 이 용기의 사용에 있어서는 아래와 같다.
도 49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은 용기 본체(2)의 외부로부터의 압압에 의한 내압상승으로 배출구측으로 압출되고, 본 발명의 노즐(8)의 주면틈새 14의 입구로 들어간다. 입구가 좁으므로, 약한 압압력으로는 내용물이 주면틈새 14로 들어갈 수는 없지만, 일정한 압압력을 초과하는 압압력이 용기 본체에 걸리게 되면, 내용물은 주면틈새 14로 진입하여 일단 홈(33)에서 흐르고, 거기에서 직각으로 흐름의 방향을 바꾸고, 통로(35)를 통하여 배출통로(34)로 빠져 나가고, 노즐 캡(29)의 배출구(12)까지 흘러서 배출된다.
그리고, 소망량의 내용물을 배출한 후에, 용기 본체(2)의 압압을 중지한 때에는,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로내에 체류하여 있는 내용물에 용기 본체내로 복귀시키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지만, 상기 실시예1과 같은 작용에 의해, 내용물 및 외기는 용기 본체내로 복귀되는(역류하는) 일이 없다.
내용물의 배출 용이성(흐름 용이성) 및 역류방지기능(흐름 곤란성)의 밸런스는,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의 유로를 구성하는 각 틈새 등, 즉, 원주형상부재(30)에 있어서 그 측면의 주면틈새 14의 치수 W1, 횡통로(35)의 치수 W2, 배출통로(34)의 내경 W3 및 배출구(12)의 내경 W4의 각 치수를 적당히 조정하면 좋다.
(실시예7)
도 52 내지 도 58은 본 발명의 노즐의 제7의 실시예 및 그것을 구비한 용기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노즐(8)은 상기 실시예1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용기(1)의 원통형상부(3)의 안쪽에, 노즐 피스(46)가 직접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 노즐 피스(46)는 거의 H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에는 2개의 홈 33A, 33B가 원주방향으로 상하에 병렬로 설치되어 있고, 더욱이 높이방향의 상하단에 각각 배출통로(34)와 입구통로(4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2의 NN 횡단면도인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배출통로(34)와 입구통로(47)는 양쪽 통로와 직경방향으로 설치한 통로 35A에 의해 상기 홈 33A와 연통하여 있다. 통로 35B와 홈 33B와의 관계도 마찬가지로 도 53에 도시되는 통로 35B로 연통되어 있다.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피스(46)의 외주면은 2개의 홈 33A, 33B를 구비함으로써, 이 2개의 가는 홈 33A, 33B로 분단되도록 하여 3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3개의 돌출부중, 최상부는 플랜지(32)를 형성함과 함께, 플랜지(32)와 위의 가는 홈 33B 사이에는 단차(42)가 있다. 한복판의 돌출부는 직선부(36)로서 상하의 돌출부보다 직경이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최하부의 돌출부(48)는 상기 단차(42)와 같은 원통형상부(3)의 내경에 적합하는 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 노즐 피스(46)를 용기 본체(2)의 원통형상부(3)에 장착할 경우는, 노즐 피스(46)를 플랜지(32)가 원통형상부(3)의 단면(45)에 접촉할때 까지 원통형상부(3)내로 압입하고, 단차(42)와 최하부의 돌출부(48)를 원통형상부(3)의 내경에 결합시킨다. 그러면, 중앙의 직선부(36)와 원통형상부(3)의 내경 사이에 주면틈새 14가 생기고, 상하 2개의 가는 홈 33A, 33B가 이 주면틈새 14에 의해 연통하게 된다. 이 주면틈새 14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실시예1에 개시한 방법이 적용된다. 또한, 이전 실시예6과 같이 원통형상부(3)의 안쪽에 노즐 피스(46)가 직접 적합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틈새의 정밀도와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원통형상부(3)의 안쪽의 성형에는 상응한 정밀도(평행도)가 요구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원통형상부(3)에는, 외주에 수나사(6)가 설치되어서 중앙에 배출구(12)를 돌출설치하게 한 노즐 캡(29)이 나사결합되고, 그 노즐 피스(46)의 플랜지(32)를 끼워넣어서 원통형상체 상단(45)에 고정하고 있다.
도 54 및 도 55는 각각 도 52에서의 MM 횡단면도 및 NN 횡단면도이다.
이상과 같이 형성한 본 발명의 노즐 및 그것을 구비한 이 용기의 사용에 있어서는 아래와 같다.
도 56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은 용기 본체(2)의 외부로부터의 압압에 의한 내압상승으로 배출구측으로 압출되고, 이 노즐 피스(46)의 입구통로(47)의 입구로 들어간다. 안까지 접촉하면, 횡방향의 통로 35A의 입구를 향하여 방향전환한다. 통로 35A를 빠져 나가서 가는 홈 33A로 들어가고, 일단 체류하면서 윗쪽을 향하여 방향전환한다. 주면틈새 14의 입구가 좁으므로, 약한 압압력으로는 틈새 14로 들어갈 수는 없지만, 일정한 압압력을 초과하는 압압력이 용기 본체(2)에 걸리게 되면, 내용물은 주면틈새 14로 진입하여 일단 가는 홈 33B까지 흐르고, 거기에서 직각으로 흐름의 방향을 바꾸고, 통로 35B을 통하여 배출통로(34)로 빠져 나가고, 노즐 캡(29)의 배출구(12)까지 흘러서 배출된다.
그리고, 소망량의 내용물을 배출한 후에, 용기 본체(2)의 압압을 중지한 때에는,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로내에 체류하여 있는 내용물에 용기 본체내로 복귀시키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지만, 상기 실시예1과 같은 작용에 의해, 내용물 및 외기는 용기 본체내로 복귀되는(역류하는) 일이 없다.
내용물의 배출 용이성(흐름 용이성) 및 역류방지기능(흐름 곤란성)의 밸런스는,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의 유로를 구성하는 각 틈새 등, 즉, 입구통로의 직경 W1, 횡통로 35A의 직경 W2, 주면틈새 14의 치수 W3, 횡통로 35B의 치수 W4, 배출통로(34)의 내경 W5 및 배출구(12)의 내경 W6의 각 치수를 적당히 조정하면 좋다.
도 59 및 도 60은 각각 노즐 피스(46)의 홈 33A, 33B의 단면형상의 변경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같이, 흐름의 방향전환을 위한, 소위 통하는 곳으로서 틈새통로의 소망 위치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홈의 형상은 사각형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8)
도 61 내지 도 70은 본 발명의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의 제8의 실시예 및 그것을 구비한 용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1은 본 발명의 용기의 개구부 부근의 요부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6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1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용기(1)의 원통형상부(3)의 안쪽에 본 발명의 노즐(8)이 삽입되어 있다. 본 발명의 노즐(8)은 원통형상부재(9)의 안쪽에 복수의 평면틈새 15를 병설한 틈새 피스(49)가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6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부재(9)는 상단에 평면부(11)를 설치하고, 그 중앙부에 배출구(12)를 설치하고 있어서, 하단의 개구부(13)로부터 배출구(12)까지가 관통하여 있다. 또한, 원통형상부재(9) 하단의 개구부(13)는 그 일부가 윗쪽을 향하여 작아지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하여 둠으로써, 용기 본체(2)로부터의 내용물이 평면틈새 15로 유입하기가 용이하도록 하여 있다.
원통형상부재(9)의 내경 및 틈새 피스(49)의 외경은 상호 결합되는 치수로 하고, 원통형상부재(9)의 외경은 원통형상부(3)의 내경과 결합되는 치수로 되어 있다. 더욱이, 이 틈새 피스(49)를 원통형상부내에 삽입하기 위하여는, 용기 본체(2)의 하단을 용착(溶着)하기 전에 하단 개구로부터 삽입한 후에 하단을 용착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도 63은 도 61에서의 PP 횡단면도이다.
틈새 피스(49)는 도 62 및 도 64 내지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복수의 평면틈새 15를 병설한 원통형상부재에서, 그 상단은 원통형상부재(9)의 안쪽 하단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확보하기 위하여 소망 치수의 오목하게 들어간 요부(50)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중앙부의 평면틈새 15를 통과한 내용물이 그 자체의 세력으로 배출구(12)로부터 배출되지 않도록, 요부(50)의 중앙에는 배출구(12)와 거의 동일한 직경의 장해판(障害板, 51)이 설치되어 있다.
도 64 및 도 65는 각각 틈새 피스(43)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66는 RR 횡단면도이다.
이 틈새 14는, 상기 각 실시예와 같이 내용물의 점도에 따른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형성한 본 발명의 노즐 및 그것을 구비한 이 용기의 사용에 있어서는 아래와 같다.
도 67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은 용기 본체(2)의 외부로부터의 압압에 의한 내압상승에서 배출구측으로 압출되어, 이 노즐(8)의 하단의 틈새입구(13)로 들어간다. 그 즉시 평면틈새 15의 입구에 도달하지만, 입구가 좁으므로 약한 압압력으로는 내용물이 평면틈새 15로 들어갈 수는 없지만, 일정한 압압력을 초과하는 압압력이 용기 본체(2)에 걸리게 되면, 내용물은 평면틈새 15로 진입하여 배출구(12)까지 흘러서 배출된다. 도 68은 도 61에서의 QQ 단면도이지만, 이 때에, 틈새 피스(43)의 중앙부근의 평면틈새 15로 진입한 내용물은, 도 6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해판(51)의 배면(背面)에 있어서 배출구(12)를 향하여 직선적으로 흐를 수 없고, 장해판(51)을 우회하여 배출구(12)로 흐른다.
그리고, 소망량의 내용물을 배출한 후에, 용기 본체(2)의 압압을 중지한 때에는,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로내에 체류하고 있는 내용물에 용기 본체내로 복귀시키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지만, 상기 실시예1과 같은 작용에 의해, 내용물 및 외기는 용기 본체내로 복귀되는(역류하는) 일이 없다.
내용물의 배출 용이성(흐름 용이성) 및 역류방지기능(흐름 곤란성)의 밸런스는, 도 7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의 유로를 구성하는 각 틈새 등, 즉, 평면틈새 15의 치수 W1 및 배출구(12)의 내경 W2의 각 치수를 적당히 조정하면 좋다.
(실시예9)
도 71 내지 도 77는 본 발명의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의 용기의 제9의 실시예 및 그것을 구비한 용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1은 본 발명의 용기의 개구부 부근의 요부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7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1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용기(1)의 원통형상부(3)의 안쪽에 본 발명의 노즐(8)이 삽입되어 있다. 본 발명의 노즐(8)은, 서로 구면형상의 요철부를 구비한 상하 2개의 피스가 상호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71 및 도 7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上)피스(52)는 그 중앙부에 배출구(12)을 돌출설치하고 있어서 상하로 관통하여 있다. 또한, 하단은 구면상의 요부 52를, 또한 외주 하부에는 하(下)피스가 결합되는 단차(42)가 형성되어 있다. 하피스(53)는 얕은 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중앙부에 상기 상피스(52)의 구면 요부 54에 소망 구면(球面) 틈새 14를 거쳐 적합되는 구(球)형상 돌기(56)가 형성되어 있다. 도 73 및 도 74는 각각 도 71에서의 SS 횡단면도 및 TT 횡단면도이다.
또한, 구형상 돌기(56)의 주위에는, 하피스(53)의 하면(55)과 연통하는 통로 (35)가 소망수 설치되어 있다. 이 통로(35)는, 도 7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드시 원형 단면일 필요는 없고, 용기 본체내에서 상기 구면 요부 54와 구면 돌기(56)로 형성되는 구면 틈새 14에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개구하여 있으면, 어떤 형상이라도 좋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이 구면 틈새 14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실시예1에 개시한 방법이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노즐(8)을 원통형상부내에 삽입하기 위하여는, 상기 실시예8의 틈새 피스(49)와 같이 용기 본체(2)의 하단을 용착하기 전에 하단 개구로부터 삽입한 후에 하단을 용착하는 것이라면 좋다.
이상과 같이 형성한 본 발명의 노즐 및 그것을 구비한 이 용기의 사용에 있어서는 아래와 같다.
도 75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은 용기 본체(2)의 외부로부터의 압압에 의한 내압상승으로 배출구측으로 압출되고, 이 노즐(8)의 하단의 통로(35)의 입구로 들어간다. 통로(35)를 통과한 내용물은, 바로 구면 틈새 14의 입구에 도달하지만, 입구가 좁으므로 약한 압압력으로는 내용물이 구면 틈새 14로 들어갈 수는 없지만, 일정한 압압력을 초과하는 압압력이 용기 본체(2)에 걸리게 되면, 내용물은 구면 틈새 14로 진입하여 배출통로(34)를 통하여 배출구(12)까지 흘러서 배출된다.
그리고, 소망량의 내용물을 배출한 후에, 용기 본체(2)의 압압을 중지한 때에는, 도 7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로내에 체류하고 있는 내용물에 용기 본체내로 복귀시키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지만, 상기 실시예1과 같은 작용에 의해, 내용물 및 외기는 용기 본체내로 복귀되는(역류하는) 일이 없다.
내용물의 배출 용이성(흐름 용이성) 및 역류방지기능(흐름 곤란성)의 밸런스는, 도 77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의 유로를 구성하는 각 틈새 등,의 치수 즉, 통로(35)의 내경치수 W1, 틈새 14의 치수 W2 및 배출구(12, 배출통로(34))의 내경 W3의 각 치수를 적당히 조정하면 좋다.
(실시예10)
도 78 내지 도 87은, 본 발명의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의 제10의 실시예 및 그것을 구비한 용기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1의 실시예가, 액체통로를 주면틈새 14로 형성한 것에 대하여, 미세통로로 구성한 것이다. 즉, 도 1의 AA 단면도인 도 78 및 도 7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형상부재(10)의 측면의 길이방향(도 7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서는 상하방향)으로 무수한 가는 홈(60)이 형성되어 있어서, 각 홈(60)이 원통형상부재(9)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가는 통로(이하, '미세통로', 6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1과 같이 원통형상부재(9)의 내부 하단면(16)과 원주형상부재(10)의 상단면(17) 사이에는, 평면틈새 15가 형성된다. 이 평면틈새 15를 일정하게 확보하기 위하여, 도 7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틈새의 높이 치수의 돌기(62)를 설치하면 좋다.
이 미세통로(61)는, 여기를 유통하는 내용물(액체)이 일정한 압력 이하에서는, 그 자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으로 통로를 막아버려서, 유통할 수 없을 정도의 치수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즉, 내용물의 점도가 낮을수록 통로는 좁고, 반대로 점도가 높으면, 통로는 넓게되어 좋은 것으로 된다. 즉, 그 통로의 단면적의 크기는, 도 78에서 보면, 홈(60)의 폭이나 깊이로 결정된다. 그리고, 여기에서 말하는 일정 압력이란, 주로 용기 본체(2)를 압압하는 등으로 하여 내용물을 압출한 후에, 용기 본체(2)의 탄성복원력 등으로 용기 본체내에 생기는 내용물을 용기 본체내로 복귀시키려고 하는 힘(부압)의 크기를 말한다. 평면틈새 15는 이 치수를 작게 하면, 원주형상부재의 상단의 각부(角部)의 통로가 직각으로 굽어지게 되어서 더 유로저항으로 된다. 이러한 저항을 기피하는 경우는 원주형상부재(10)의 상단의 각부를 면취(面取)하면 좋다. 한편, 이 치수를 크게 하면, 미세통로(61)로부터 유출된 내용물이 배출구를 향하여 흐름의 방향을 바꿀 때의 통로로 되므로, 내용물은 배출하기 쉬어진다.
더욱이, 이 미세통로(61)의 형성방법에 관하여는, 상기 방법에 의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즉, 도 8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79의 무수한 미세 홈(60)을 돌출부(63)로 대체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또는 도 8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물방 형상으로 형성한 홈(60) 또는 돌출부(63)로 하여도 좋다. 이는, 소위 로렛트(64)로서, 사출성형 이외에 전조(轉造) 등에 의해 형성된다. 도 82는 대부분의 로 렛트(64)를 생략하여 기재하고 있는 것이다. 도 81 및 도 83은 각각 도 80 및 도 82에서의 UU 횡단면도 및 VV 횡단면도이다. 더욱이, 도 8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의 홈(60)이나 돌출부(63) 등의 구성을 원통형상부재(9)의 내면1에 설치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도 85는 WW 횡단면도이다. 또한, 이와같이 미세통로(61)의 형성에 있어서는, 도 86 및 도 8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60) 또는 돌출부(63)를 원주형상부재(10)의 외주(도 86 및 도 87의 (a)) 또는 원통형상부재(9)의 내주(도 86 및 도 87의 (b))의 어느쪽에 설치하여도 좋다. 즉, 미세통로(61)는 도 8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세한 홈(60)과 그 병렬하는 산부(山部)가 접하는 평면으로 형성되든지의 어느쪽에 의해, 횡단면이 미세한 통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통로의 횡단면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도 8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거의 반원형이라도, 도 8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거의 삼각형이라도, 또는 도시하지 않는 사각형 형상이라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더욱이, 이하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미세통로의 형성방법은 본 실시예에 나타낸 방법의 어느쪽이거나 또는, 그 밖의 확실하게 미세통로가 균일하게 되고 안정하게 확보되는 방법이 적용된다.
이상과 같이 형성한 본 발명의 노즐 및 그것을 구비한 이 용기의 사용에 있어서는 아래와 같다.
원용(援用)하는 실시예1의 도 10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은 용기 본체(2)의 외부로부터의 압압에 의한 내압상승에서 배출구측으로 압출되고, 본 발명의 노즐(8)의 하단의 미세통로 입구(개구, 13)로 들어간다. 입구가 좁으므로, 약한 압압력으로는 내용물이 미세통로(61, 도 10에서의 14)로 들어갈 수는 없지만, 일정한 압압력을 초과하는 압압력이 용기 본체(2)에 걸리게 되면, 내용물은 미세통로(61)로 진입하여 배출구(12)까지 흘러서 배출된다.
그리고, 소망량의 내용물을 배출한 후에, 용기 본체(2)의 압압을 중지한 때에는, 본래적으로 용기 본체(2)는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용기 본체(2)의 표면이 받는 대기압에 저항하여 복원하려고 하므로, 용기 본체내에는 부압이 생기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세통로(61) 및 배출통로내의 내용물에는 용기 본체내(2)로 끌려 들어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내용물의 배출 용이성(흐름 용이성) 및 역류방지기능(흐름 곤란성)의 밸런스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의 유로 즉, 원통형상부재(10)에 있어서 그 측면의 미세통로(61, 도 13에 있어서 14)의 치수 W1, 상단의 틈새 15의 치수 W2 및 배출구(12)의 내경 W3의 각 치수를 적당히 조정하면 좋다.
(실시예11)
도 88은 본 발명의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의 제11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기 실시예 2의 도 15에서의 EE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도 상기 실시예10과 같이, 상기 실시예2에서의 주면틈새 14를 미세통로(61)로 치환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미세통로(61) 및 평면틈새 15의 각각이 복수의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실시예2의 주면틈새 14가 미세통로(61)로 교체한 것 이외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실시예2와 같다. 따라서, 미세통로(61)의 구성에 대하여는 상기 실시예10의 설명을, 또한 실시예2의 설명에 있어서 주면틈새 14를 미세통로(61)로 대체하여 원용한다.
(실시예12)
도 89 및 도 90은 본 발명의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의 제12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9는 노즐의 분해도, 도 90은 실시예3의 도 20에서의 FF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도 상기 실시예10과 같이, 상기 실시예3에서의 주면틈새 14를 미세통로(61)로 치환한 것이고, 실시예3의 주면틈새 14가 미세통로(61)로 교체한 것 이외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실시예3과 같다. 따라서 미세통로(61)의 구성에 대하여는 상기 실시예10의 설명을, 또한 실시예3의 설명에 있어서 주면틈새 14를 미세통로(61)로 대체하여 원용한다.
(실시예13)
도 91 및 도 92는 본 발명의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의 제13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1은 노즐의 분해도, 도 92는 실시예4의 도 24에서의 HH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도 상기 실시예10과 같이, 상기 실시예4에서의 주면틈새 14를 미세통로(61)로 치환한 것이고, 실시예4의 주면틈새 14가 미세통로(61)로 교체한 것 이외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실시예4와 같다. 따라서 미세통로(61)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10의 설명을, 또한 실시예4의 설명에 있어서 주면틈새 14를 미세통로(61)로 대체하여 원용한다.
(실시예14)
도 93 및 도 94는 본 발명의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의 제14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3은 노즐의 분해도, 도 94는 실시예5의 도 37에서의 JJ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도 상기 실시예10과 같이, 상기 실시예5에서의 주면틈새 14를 미세통로(61)로 치환한 것이고, 실시예5의 주면틈새 14가 미세통로(61)로 교체한 것 이외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실시예5와 같다. 따라서 미세통로(61)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10의 설명을, 또한 실시예5의 설명에 있어서 주면틈새 14를 미세통로(61)로 대체하여 원용한다.
(실시예15)
도 95 내지 도 97는 본 발명의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의 제15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5는 노즐의 분해도, 도 96 및 도 97는 각각 실시예6의 도 42에서의 KK 횡단면도, LL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도 상기 실시예10과 같이, 상기 실시예6에서의 주면틈새 14를 미세통로(61)로 치환한 것이고, 실시예6의 주면틈새 14가 미세통로(61)로 교체한 것 이외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실시예6과 같다.
따라서 미세통로(61)의 구성에 대하여는 상기 실시예10의 설명을, 또한 실시예6의 설명에 있어서 주면틈새 14를 미세통로(61)로 대체하여 원용한다.
(실시예16)
도 98 내지 도 100는 본 발명의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의 제16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8은 노즐의 분해도, 도 99 및 도 100은 각각 실시예7의 도 52에서의 MM 횡단면도, NN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도 상기 실시예10과 같이, 상기 실시예7에서의 주면틈새 14를 미세통로(61)로 치환한 것이고, 실시예7의 주면틈새 14가 미세통로(61)로 교체한 것 이외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실시예7과 같다. 따라서 미세통로(61)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10의 설명을, 또한 실시예7의 설명에 있어서 주면틈새 14를 미세통로(61)로 대체하여 원용한다.
(실시예17)
도 101 내지 도 106은 본 발명의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의 제17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이 노즐을 구비한 용기의 전체도는 상기 도 26과 같다.
도 101은 본 발명의 용기의 개구부 부근의 요부 중앙 종단면도이다.
용기 본체(2) 및 원통형상부(3)는 상기 각 실시예과 같이 폴리에틸렌이나 복합소재로 통상의 방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상부(3)의 안쪽에는, 본 발명의 노즐(8)이 삽입되어 있다. 본 발명의 노즐(8)은 상피스(65)의 안쪽에 하피스(66)가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102는 도 101에서의 XX 횡단면도이다.여기서 (a)은 상하 피스간에 형성되는 액체통로가 주면틈새 14인 경우의 횡단면도이고, (b)는 미세통로(61)인 경우의 횡단면도이다. 도 103은 본 발명의 노즐(8)의 분해도이다.
도 10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피스(65)는 그 안쪽에 동심원의 벽(67)을 복수 설치하고, 그 중앙부에 배출통로(34)를 설치하고 있다. 하피스(66)에도 상피스(65)와 같이 내부에 동심원의 벽(67)을 설치하고 있어서, 도 10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의 동심원벽(67)은 종단면이 빗살형상으로 되고 상호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에 양쪽의 벽(67)의 사이에 내용물이 유통하는 통로(68)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용기 본체(2)로부터 배출구(12)를 향하는 본래의 배출방향과 역방향으로 흐르는 역류통로를 구비하고,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0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도의 역류를 행하는 것으로 되고, 용기의 개구부의 좁은공간내에 협소통로를 절첩(折疊)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지극히 긴 길이의 통로를 설치할 수 있다. 통로가 길면, 관내저항이 커지게 되므로, 저점도 액체에도 적용할 수 있는 이론이다. 다만, 본 발명의 노즐(8)로의 내용물 입구로부터 배출통로(34) 까지의 사이에는 그 통로를 막는 것은 존재함이 없이 관통하여 있다. 도 103중 62는 하피스(66)를 상피스(65)에 삽입한 때에 상단이 접촉하게 되지만, 그 부분에 통로(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돌기이고 스톱퍼(Stopper)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액체통로(68)의 도중에 내용물이 반전하는 공간(69)을 형성하고 있다.
이 액체통로(68)는, 여기를 유통하는 내용물(액체)이 일정한 압력 이하에서는, 그 자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으로 통로를 막아버려서, 유통할 수 없을 정도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즉, 내용물의 점도가 낮을수록 통로는 좁고, 반대로 점도가 높으면, 통로는 넓게되어 좋은 것으로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일정 압력이란, 주로 용기 본체(2)를 압압하는 등으로 하여 내용물을 압출한 후에, 용기 본체(2)의 탄성복원력 등으로 용기 본체내에 생기는 내용물을 용기 본체내로 복귀시키려고 하는 힘(부압)의 크기를 말한다.
이상과 같이 형성한 본 발명의 노즐(8) 및 그것을 구비한 이 용기(1)의 사용에 있어서는 아래와 같다.
도 104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은 용기 본체(2)의 외부로부터의 압압에 의한 내압상승으로 배출구측으로 압출되고, 본 발명의 노즐(8)의 하단의 통로입구로 들어간다. 통로(68)의 입구가 좁으므로, 약한 압압력으로는 내용물이 통로(68)로 들어갈 수는 없지만, 일정한 압압력을 초과하는 압압력이 용기 본체(2)에 걸리게 되면, 내용물은 통로(68)로 진입하여, 반전(反轉) 공간(69)에서 반전하면서 배출구(12)까지 흘러서 배출된다.
그리고, 소망량의 내용물을 배출한 후에, 용기 본체(2)의 압압을 중지한 때에는, 본래적으로 용기 본체(2)는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용기 본체(2)의 표면이 받는 대기압에 저항하여 복원하려고 하므로, 용기 본체내에는 부압이 생기고, 도 10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로(68)내의 내용물에는 용기 본체내로 끌려 들어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그 부압정도에서는 내용물은 그 자체의 점도나 표면장력 및 통로내 저항에 의해 유통이 제한되어, 통로내의 저항에 저항하여 흐를 수 없으므로 통로(68)를 막는 형태로 되어 통로내에 잔류한 채로 된다.
내용물의 배출 용이성(흐름 용이성) 및 역류방지기능(흐름 곤란성)의 밸런스는, 도 10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의 각 유로치수 즉, 액체통로(68)의 틈새치수 W1, 반전 공간(69)의 치수 W2, 배출통로(34)의 내경 W3 및 배출구(12)의 내경 W4의 각 치수를 적당히 조정하면 좋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로(68)는 주면틈새통로로 하든지 미세통로로 하든지 의 2종류가 고려된다. 통로의 형성방법은 전술한 각 실시예와 같은 방법이 적용된다.
(실시예18)
도 107 내지 도 114는 본 발명의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의 제18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7는 개구부 부근의 요부 중앙 종단면도이고, 도 26에 도시한 본 발명의 용기(1)의 원통형상부(29)의 안쪽에, 본 발명의 노즐(8)이 삽입되어 있다.
본 발명의 노즐(8)은, 도 10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아우터(Outer, 70)의 내부에 인너(Inner, 71)가 삽입되어 있다. 아우터(70)는 원통형상부재의 상단에 평면부를 구비하고 중앙에 배출구(12)을 입설(立設)한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하단 개구로부터 상단의 배출구(12)까지는 관통하여 있다.
인너(71)는 길이방향의 도중(도 107에서는 2개소)에 크기방향으로 슬릿(Slit, 72)이 직경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슬릿(72)은, 상기 실시예24의 액체통로(68)와 같이 여기를 유통하는 내용물(액체)이 일정한 압력 이하에서는, 그 자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으로 통로를 막아버려서, 유통할 수 없을 정도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슬릿(72)을 연락하도록 플랫부(7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랫부(73)는 슬릿(72)과 상하의 단부를 잇는 위치에도 설치되어 있다. 도 108(a)(b)는 각각 도 107의 Y1-Y1 및 Y2-Y2 횡단면도이다. 또한, 도 110은 Y3-Y3 종단면도이고 도 111은 Y4-Y4 종단면도이다.
이렇게 복수 회수에 걸쳐 반전을 반복하고, 용기의 개구부의 좁은공간내에 협소통로를 절첩하도록 구비하는 것으로 지극히 긴 길이의 통로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노즐(8)은,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상부(3) 내부에 용기 본체측에서 삽입되도록 하여 있다. 그리고, 원통형상부(3)에 설치한 나사(6)에 직접 캡(7)을 부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형성한 본 발명의 노즐(8) 및 그것을 구비한 이 용기의 사용에 있어서는 아래와 같다.
도 112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은 용기 본체(2)의 외부로부터의 압압에 의한 내압상승으로 배출구측으로 압출되고, 인너(71)의 하단의 플랫부(73)로 들어 가서, 제1의 슬릿(72)의 입구로 들어간다. 슬릿(72)의 입구가 좁으므로, 약한 압압력으로는 내용물이 슬릿(72)으로 들어갈 수 없지만, 일정한 압압력을 초과하는 압압력이 용기 본체(2)에 걸리게 되면, 내용물은 도 112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1의 슬릿(72)을 지면 상단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흐르고, 플랫부(73)에서 방향전환한 후, 제2의 슬릿(72)으로 들어 간다. 그리고 더욱이 제2의 슬릿(72)을 빠져 나가고, 제2의 플랫부(73)에서 다시 방향을 바꾸어서 배출구(12)까지 흘러서 배출된다.
그리고, 소망량의 내용물을 배출한 후에, 용기 본체(2)의 압압을 중지한 때에는 실시예1과 같은 작용에 의해, 내용물 및 외기는 도 1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로내에 잔류하여 있는 내용물에 작용하는 부압에 저항하여 용기 본체내로 복귀되는(역류하는) 일이 없는 것이다.
내용물의 배출 용이성(흐름 용이성) 및 역류방지기능(흐름 곤란성)의 밸런스는, 도 1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의 각 유로치수 즉, 플랫부(73)의 두께 치수 W1, 슬릿(72)의 치수 W2 및 배출구(12)의 내경 W3의 각 치수를 적당히 조정하면 좋다.
(실시예19)
도 115 내지 도 118는 본 발명의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의 제19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5는 개구부 부근의 요부 중앙 종단면도이며, 본 발명의 용기(1)의 원통형상부(3)의 상단 개구부에, 본 발명의 노즐(8)이 삽입되어 노즐 캡(5)으로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노즐(8)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32)를 구비한 원통형상의 상피스(65)에는 수나사(6)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것과 적합하는 암나사를 내경에 구비한 컵형상의 하피스(66)가 나사결합하여 있다. 양쪽은 나사결합하는 나사에 있어서 소망 틈새를 거쳐 나사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이 틈새은, 상기 실시예24의 액체통로(68)와 같이 여기를 유통하는 내용물(액체)이 일정한 압력 이하에서는 그 자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으로 통로(68)을 막아버려서, 유통할 수 없을 정도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나사산을 따라 나선형상의 통로(74)를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나선형상으로 함으로써, 용기의 개구부의 좁은공간내에 지극히 긴 길이의 통로를 설치하고 있다. 도 115중 75는 하피스(66)의 상단에 설치한 나선통로(74)에의 연락통로로 되는 개구이다.
이상과 같이 형성한 본 발명의 노즐 및 그것을 구비한 이 용기의 사용에 있어서는 아래와 같다.
도 116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은 용기 본체(2)의 외부로부터의 압압에 의한 내압상승으로 배출구측에 압출되고, 하피스(66)와 원통형상부(3) 사이로 유입하여 하피스(66)의 상단 개구(75)에 도달한다. 거기에서 개구(75)로 들어가 나선형상 통로(74)로 진입한다. 나선형상 통로(74)의 입구가 좁으므로, 약한 압압력으로는 내용물이 나선형상 통로(74)로 들어갈 수는 없지만, 일정한 압압력을 초과하는 압압력이 용기 본체(2)에 걸리게 되면, 내용물은 나선형상 통로내를 본래의 배출방향과는 반대로 용기 본체측을 향하여 흐른다. 하피스(66)의 저부까지 도달하면, 상피스(65)의 하단과의 사이를 중심부 방향을 향하여 흐르고, 배출통로(34)로부터 배출구(12)까지 흘러서 배출된다.
그리고, 소망량의 내용물을 배출한 후에, 용기 본체(2)의 압압을 중지한 때에는 실시예1과 같은 작용에 의해, 내용물 및 외기는 도 1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로내에 잔류하여 있는 내용물에 작용하는 부압에 저항하여 용기 본체내로 복귀되는(역류하는) 일이 없는 것이다.
내용물의 배출 용이성(흐름 용이성) 및 역류방지기능(흐름 곤란성)의 밸런스는, 도 1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의 각 유로치수 즉, 나선형상 통로(75)의 틈새치수 W1, 배출통로의 내경 W2 및 배출구(12)의 내경 W3의 각 치수를 적당히 조정하면 좋다. 도 119 및 도 20는 이 실시예에서의 것 이외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9는 한쪽의 나사산 (도면에서는 하피스(66)의 암나사)의 선단부(頂部)를 삭제하고, 다른쪽의 나사(도면에서는 상피스(65)의 수나사(6))의 골짜기부(谷部)와의 사이에서 나선형상 통로(75)를 형성하고 있다. 도 120는 나사산을 한쪽만 형성하고, 다른쪽은 직선인 채로서 압입하는 것으로 나사의 골짜기부 전체를 통로로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나사산을 이용하는 경우는, 나사의 형상은 상관없다.
(실시예20)
도 121 내지 도 127는 본 발명의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의 제20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1은 개구부 부근의 요부 중앙 종단면도이며, 본 발명의 용기(1)의 원통형상부(3)의 상단개구부에, 본 발명의 노즐(8)이 삽입되어 노즐 캡(29)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 12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노즐(8)은, 도 123 및 도 1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32)를 구비한 원통형상의 상피스(65)에는 소용돌이 형상의 돌출부(75)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것과 소망 틈새를 거쳐 적합하는 같은 형상의 소용돌이 형상의 돌출부(76)를 구비한 하피스(66)가 상하로 결합되어 있다. 도 123은 도 122의 ZZ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이 틈새는 상기 실시예24의 액체통로(68)와 같이 여기를 유통하는 내용물(액체)이 일정한 압력 이하에서는, 그 자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으로 통로를 막아버려서, 유통할 수 없을 정도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돌출부(76)를 따라 소용돌이 형상의 통로(77)를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소용돌이 형상으로 함으로써, 용기의 개구부의 좁고 얇은 공간내에 지극히 긴 길이의 통로를 설치하고 있다. 도 122중 78은 통로(77)로의 유입구이다. 또, 통로(77)는 도 12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76)를 한쪽만에 형성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도면에서는 하피스(66)만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형성한 본 발명의 노즐 및 그것을 구비한 이 용기의 사용에 있어서는 아래와 같다.
도 126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은 용기 본체(2)의 외부에서의 압압에 의한 내압상승으로 배출구측으로 압출되고, 하피스(66)의 외주에 설치한 유입구(78)로부터 소용돌이 형상 통로(77)로 진입한다. 소용돌이 형상 통로(77)의 입구가 좁으므로, 약한 압압력으로는 내용물이 소용돌이 형상 통로(77)로 들어갈 수는 없지만, 일정한 압압력을 초과하는 압압력이 용기 본체(2)에 걸리게 되면, 내용물은 소용돌이 형상 통로(77)내를 중심을 향하여 흐른다. 하피스(66)의 중심까지 도달하면, 배출통로(34)로 흘러 들어 오고, 배출구(12)까지 흘러서 배출된다.
그리고, 소망량의 내용물을 배출한 후에, 용기 본체(2)의 압압을 중지한 때에는 실시예1과 같은 작용에 의해, 내용물 및 외기는 통로내에 잔류하여 있는 내용물에 작용하는 부압에 저항하여 용기 본체내로 복귀되는(역류하는) 일은 없는 것이다.
내용물의 배출 용이성(흐름 용이성) 및 역류방지기능(흐름 곤란성)의 밸런스는, 도 1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의 각 유로치수, 즉 소용돌이 형상 통로(77)의 틈새치수 W1, W2 및 배출구(6)의 내경의 각 치수를 적당히 조정하면 좋다.
(실시예21)
도 128 및 도 129는 본 발명의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의 제21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노즐(8)의 사시도이다. 전체를 거의 원통형상으로 형성한 노즐(8)은 상하 단면에 각각 관통하지 않는 통로를 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하단측을 입구통로(79), 상단측을 배출통로(34)로 하고 있다. 외주에는 적정위치에 슬릿(80)을 설치한 양단면에 평행한 격벽(81)이 길이방향으로 소망 틈새를 가져서 병설(竝設)되어 있다.
그리고 이 틈새는, 상기 실시예24의 액체통로(68)와 같이 여기를 유통하는 내용물(액체)이 일정한 압력 이하에서는, 그 자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으로 통로를 막아버려, 유통할 수 없을 정도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각 격벽간의 틈새과 슬릿(80)을 잇는 미로형상의 통로(82)를 형성하고 있다. 도 129중 83은 미로형상 통로(82)의 하단에서의 입구통로(79) 및 배출통로(34)의 연락통로이다. 이렇게 미로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용기의 개구부의 좁은 공간내에 지극히 긴 길이의 통로를 설치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형성한 본 발명의 노즐(8) 및 그것을 구비한 이 용기의 사용에 있어서는 아래와 같다.
도 129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은 용기 본체(2)의 외부로부터의 압압에 의한 내압상승으로 배출구측으로 압출되고, 입구통로(79)로 진입한다. 입구통로(79)로부터 연락통로(83)를 통하여 미로형상 통로(82)로 흘러 나온다. 미로형상 통로(82)가 좁으므로, 약한 압압력으로는 내용물이 미로형상 통로(82)로 들어 갈 수 없지만, 일정한 압압력을 초과하는 압압력이 용기 본체(2)에 걸리게 되면, 내용물은 미로형상 통로(82)내를 상단을 향하여 흐른다. 미로형상통로(82)의 상단까지 도달하면 연락통로(83)를 통하여 배출통로(84)로 유입되어, 배출구(12)까지 흘러서 배출된다.
그리고, 소망량의 내용물을 배출한 후에, 용기 본체(2)의 압압을 중지한 때에는 실시예1과 같은 작용에 의해, 내용물 및 외기는 통로내에 잔류하여 있는 내용물에 작용하는 부압에 저항하여 용기 본체내로 복귀되는(역류하는)일이 없는 것이다.
도 130내지 도 132는 이 미로형 통로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0은 상기 격벽(81)을 대신하여 무수한 돌기(84)를 설치한 것이다. 내용물은 이 돌기(84)기 형성하는 틈새를 미로형 액체통로(82)로 하고 있다.
도 131은 노즐(8)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의 홈을 설치하고, 입구통로(79)로부터 연락통로(83)를 통하여 흘러 나온 내용물이 윗쪽을 향하여 지그재그식으로 흐르는 미로형 액체통로(82)를 형성하고 있다.
도 132는 상하에 지그재그식으로, 더욱이 원주방향으로 흐르는 미로형 액체통로(82)를 형성한 것이다. 도 131 및 도 132에 있어서, 액체통로(82)는 폭이 넓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 통로를 형성하는 틈새은, 상기 실시예24의 액체통로(68)와 같이 여기를 유통하는 내용물(액체)이 일정한 압력 이하에서는 그 자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으로 통로를 막아버려, 유통 할 수 없을 정도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22)
도 133 및 도 134는 본 발명의 배출노즐의 제22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3은 본 발명의 용기(1)의 개구부 부근의 요부 중앙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1 내지 21까지의 구성에, 더욱이 본 발명의 노즐(8)의 상단 개구부의 상부에 이 개구부를 막도록 평판형상의 역류방지밸브(85, 이하, '역지밸브')가 설치되어서 노즐 캡(3)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평판형상 역지밸브(85)에는 적어도 1개의 슬릿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4는 역지밸브(85)에 설치하는 슬릿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역지밸브(85)는 고무 등의 탄성체를 판형상으로 성형된 것으로서, (a) 내지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1개의 슬릿(8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86)은 평상시 상태에서는 닫혀져 있고, 용기 본체내의 압력상승에 의해서만 개구하고, 반대로는 개구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형성한 본 발명의 노즐(6) 및 그것을 구비한 이 용기(1)의 사용에 있어서는 아래와 같다.
도 135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은 용기 본체(2)의 외부로부터의 압압에 의한 내압상승으로 배출구측으로 압출되고, 본 발명의 노즐(8)의 하단의 미세통로 입구(개구, 13)로 들어간다. 입구가 좁으므로, 약한 압압력으로는 내용물이 제1의 통로(14A)로 들어갈 수는 없지만, 일정한 압압력을 초과하는 압압력이 용기 본체(2)에 걸리게 되면, 내용물은 제1의 통로(14A)로 진입하여 층계참 공간(15)까지 흐른다. 그리고, 이 공간(15)에서 반전하여 제2의 통로(14B)로 진입한다. 제2의 통로(14B)를 흘러 나온 내용물은 배출구(12)를 향하여 다시 반전하고, 역지밸브(85)를 눌러 넓혀서 배출구(12)로부터 배출된다.
그리고, 소망량의 내용물을 배출한 후에, 용기 본체(2)의 압압을 중지한 때에는, 본래적으로 용기 본체(2)는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용기 본체(2)의 표면이 받는 대기압에 저항하여 복원하려고 하므로, 용기 본체내에는 부압이 생기고, 도 1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통로내의 내용물에는 용기 본체내로 끌려 들어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그 부압정도에서는 내용물은 그 자체의 점도나 표면장력 및 통로내 저항에 의해 유통이 제한되어, 통로내의 저항에 저항하여 흐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역지밸브(85)가 작용하여 노즐 배출구(12)를 막는 형태로 되므로, 통로내에 내용물이 잔류된 채로 된다. 따라서, 내용물은 용기 본체내로 복귀되는(역류하는) 일이 없는 것이다.
따라서, 재차 내용물을 배출시키려고 할 때는, 용기 본체(2)를, 내용물이 통로내 저항에 저항하여 배출되는데 필요한 힘으로 압압하면, 바로 배출구(12)로부터 배출된다.
본 실시예의 작용은 이전 실시예까지 개시한 본 발명의 노즐(8)이 기본적으로는 가동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구성하여 있는 것도 관계없이 고장이나 성능이 저하하는 일은 없고 영구적으로 기능을 지속하지만, 이것에 역지밸브(85)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강력한 역류방지 구조로 할 수가 있다.
(실시예23)
도 137 및 도 138은 본 발명의 제23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역지밸브로서 플랩형상의 가동밸브를 채용하고 있다. 이 경우는 내용물의 점성이 높으면, 도 138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배출한 후에 밸브체(85)가 작동되지 않게 되어서 노즐(8)의 배출구(12)를 막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점성이 낮은 액체에 채용가능하다. 또한, 이 밸브체(85)를 스프링 등으로 상시 닫히도록 구성하면 좋다.
(실시예24)
도 139 및 도 140은 본 발명의 제24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역지밸브로서 볼형상의 가동밸브를 채용하고 있다. 이 경우도 내용물의 점성이 높으면, 도 140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배출한 후에 밸브체(85)가 작동되지 않게 되어서 노즐(8)의 배출구(12)을 막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점성이 낮은 액체에 채용가능하다. 또한, 이 밸브체(85)를 스프링 등으로 상시 닫히도록 구성하면 좋다. 또한, 밸브체(85)는 볼형상체에 한정되는 일은 없다. 도 139중 87은 밸브체(85)의 스톱퍼이다. 이 스톱퍼(87)가 없으면 내용물과 함께 밸브체가 상승하여, 배출구(12)을 막아버린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체용기에 의하면,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룰수 없었던 이하와 같은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다.
즉, 튜브와 같은 외압으로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액체용기에 있어서, 소망량의 내용물을 배출한 후에, 용기 본체의 압압을 중지한 때에는, 본래적으로 용기 본체는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복원하려고 하므로, 용기 본체내에는 부압이 생기고, 틈새통로 및 토출통로내의 내용물에는 용기 본체내로 끌려 들어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그 부압정도에서는 내용물은 그 자체의 점도나 표면장력 및 통로내 저항에 의해 유통이 제한되어, 통로내의 저항에 저항하여 흐를 수 없으므로, 틈새를 막는 형태로 되어 통로내에 잔류된 채로 되고, 용기 본체내로 복귀되는(역류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재차 내용물을 배출시키려고 할 때는, 용기 본체를, 내용물이 통로내 저항에 저항하여 배출되는데 필요한 힘으로 압압하면, 바로 토출구로부터 배출된다. 종래의 용기와 같이 용기 본체내로 끌려 들어간 공기를 우선 최초로 배출한 후에, 내용물을 압출한다는 프로세스가 없으므로, 외압에 대하여 매우 반응이 좋은 용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더욱이, 용기 본체내로 공기가 끌려 들어가지 않으므로, 산화에 약한 내용물에는 적합하다.
또한, 토출구 말단에 있어서는, 캡의 안쪽에 캡을 닫았을 때에 이 토출구 말단에 접촉하는 패킹을 설치하거나, 또는 토출구 내경에 적합하는, 도시하지 않은 돌기를 설치하는 등으로 하여 최전선에 있는 내용물이 공기에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용물과 공기와의 접촉을 거의 없게 할 수가 있다.
더욱이, 이들의 작용은 본 발명의 노즐이 가동부품을 일체 사용함이 없이 구성하여 있으므로, 고장나는 일은 없고 영구적으로 기능을 지속한다.
이러한 작용은, 종래는 통로내를 유통하는 액체의 흐름을 중지할 경우에는, 가동식의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상식이었던 바, 본 발명의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노즐은 종래와 같은 가동식 밸브를 구비하지 않고, 상시 개구형인 것에도 관계하지 않고 실현할 수 있었던 것은 극히 획기적이다.
내용물은 고점도 액체는 물론, 물과 같은 저점도 액체에 있어서도 우수한 작용을 나타내므로, 종래에 곤란하게 되었던 튜브용기의 저점도 액체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더욱이 이러한 구성에 역지밸브를 가함으로써, 보다 성능이 좋은 확실한 역류방지의 이득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33)

  1. 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Nozzle)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의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상시(常時)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통로(隙間通路)로 구성되고, 그 틈새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常壓)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 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押壓)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이 만곡한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이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이 구면(球面)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5. 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미소 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로 구성되고, 그 미세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 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통로가, 가는 홈과 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통로가, 돌출부와 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8. 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액체통로는 상압하에서는 내용물이 그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통로내에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협소 치수로 되고, 더욱이 그 액체통로는 적어도 1회 용기 본체로부터 배출구를 향하는 배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역류통로를 가짐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9. 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액체통로는 상압하에서는 내용물이 그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통로내에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협소 치수로 되고, 더욱이 그 액체통로는 적어도 1회 용기 본체로부터 배출구를 향하는 배출방향에 대하여 내용물의 흐름방향을 굴절하게 하는 굴절통로를 가짐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통로의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로 구성된 틈새통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통로의 일부가 미소 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통로가, 가는 홈과 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통로가, 돌출부와 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14. 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 및 미소 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로 구성된 것이며, 그 틈새통로와 미세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 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15. 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 또는 미소한 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로 구성된 것이며, 또한 그 통로는 적어도 1회 용기 본체로부터 배출구를 향하는 배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역류통로를 갖는 왕복통로를 구성하고, 그 틈새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 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16. 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 또는 미소한 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로 구성된 것이고, 또한 그 통로는 적어도 1회 용기 본체로부터 배출구를 향하는 배출방향에 대하여 내용물의 흐름방향을 굴절하게 하는 굴절통로를 갖고, 그 틈새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 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17. 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 및 미소한 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로 구성된 것이고, 또한 그 통로는 적어도 1회 용기 본체로부터 배출구를 향하는 배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역류통로를 갖는 왕복통로를 구성하고, 그 틈새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 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18. 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 및 미소한 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로 구성된 것이고, 또한 그 통로는 적어도 1회 용기 본체로부터 배출구를 향하는 배출방향에 대하여 내용물의 흐름방향을 굴절하게 하는 굴절통로를 갖고, 그 틈새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 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19. 제14항 내지 제1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이 만곡한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20. 제14항 내지 제1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이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21. 제14항 내지 제1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이 구면(球面)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22. 제14항 내지 제1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통로가, 가는 홈과 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23. 제14항 내지 제1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통로가, 돌출부와 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24. 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 또는 미소한 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로 구성된 것이고, 또한 그 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서 평상시 상태에서의 내용물의 유통을 제한하고, 또한 그 통로는 용기 본체로부터 배출구를 향하는 유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역류통로를 2개 이상 구비함으로써 용기배출구의 한정된 공간내에 충분히 긴 관길이를 확보하고,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25. 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 또는 미소한 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로 구성된 것이고, 또한 그 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서 평상시 상태에서의 내용물의 유통을 제한하고, 또한 그 통로는 용기 본체로부터 배출구를 향하는 유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있어서 반전하면서 배출구에 도달하도록 한 배출통로를 구비함으로써 용기배출구의 한정된 공간내에 충분히 긴 관길이를 확보하고,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26. 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 또는 미소한 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로 구성된 것이고, 또한 그 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서 평상시 상태에서의 내용물의 유통을 제한하고, 더욱이 그 통로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용기 배출구의 한정된 공간내에 충분히 긴 관길이를 확보하여,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27. 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 또는 미소한 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로 구성된 것이고, 또한 그 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서 평상시 상태에서의 내용물의 유통을 제한하고, 또한 그 통로는 소용돌이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용기 배출구의 한정된 공간내에 충분히 긴 관길이를 확보하여,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28. 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용기 본체측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사이가 관통하여 있음과 함께,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 또는 미소한 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로 구성된 것이고, 또한 그 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서 평상시 상태에서의 내용물의 유통을 제한하고, 또한 그 통로는 미로(迷路)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용기 배출구의 한정된 공간내에 충분히 긴 관길이를 확보하여,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 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29. 외압에 의해 변형시켜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연성 용기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배출노즐에 있어서,
    그 노즐내의 액체통로는 그 일부가 복수의 면으로 끼워진 틈새 또는 미소횡단면을 갖는 미세통로로 구성된 것이고, 그 액체통로는 내용물 액체의 점성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압하에서는 체류하여 용이하게 유통하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 함과 함께, 배출 개구부에 역지밸브를 설치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용기 본체를 압압함으로써 배출가능하지만, 그 압압력을 배제한 때에는그 배출노즐의 액체통로내의 내용물 및 외기가 용기 본체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역지밸브가 탄성체 플레이트(Plate)에 평상시 상태에 있어서 닫히는 적어도 1개의 슬릿(Slit)을 설치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역지밸브가 그 노즐의 배출 개구부를 평상시 상태(常態)에 있어서 폐쇄하는 판형상의 밸브를 설치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역지밸브가 그 노즐의 배출 개구부를 평상시 상태에 있어서 폐쇄하는 구형상(球狀) 또는 말굽형상의 밸브를 설치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구형 배출노즐.
  33. 제1항 내지 제32항중 어느 한항의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배출노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KR10-2004-7017746A 2002-05-08 2002-06-21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배출노즐 및 그것을구비한 액체용기 KR20050016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17746A KR20050016389A (ko) 2002-05-08 2002-06-21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배출노즐 및 그것을구비한 액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32979 2002-05-08
JPJP-P-2002-00132981 2002-05-08
JPJP-P-2002-00132980 2002-05-08
JPJP-P-2002-00132978 2002-05-08
JPJP-P-2002-00132982 2002-05-08
JPJP-P-2002-00132983 2002-05-08
KR10-2004-7017746A KR20050016389A (ko) 2002-05-08 2002-06-21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배출노즐 및 그것을구비한 액체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389A true KR20050016389A (ko) 2005-02-21

Family

ID=4178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746A KR20050016389A (ko) 2002-05-08 2002-06-21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배출노즐 및 그것을구비한 액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63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7306A (en) Foam producing apparatus
US4432496A (en) Foam liquid dispensing device
US7249694B2 (en) Valve mechanism for tube-type fluid container
KR100701225B1 (ko) 튜브형 유체용기용 밸브 메커니즘
US3581940A (en) Multiple compartment dispenser container with check valves
JP2018011973A (ja) 液体ディスペンサ装置
DE60111290T2 (de) Rückschlagventil
DE4018147A1 (de) Ventilkoerper
JP3492600B2 (ja) 逆流防止容器
PL199156B1 (pl) Dysza do dozownia piany
EP1520797A1 (en) Discharge nozzle with function for preventing backflow of content and liquid container comprising discharge nozzle
DE102013218741B4 (de) Spendersystem
US4671428A (en) Dispenser for fluent masses
DE102006021564B3 (de) Selbstschließendes Ventil mit Ventildeckel
WO2004083699A1 (de) Einbauteil zum einsetzen in eine gas- oder flüssigkeitsleitung
US9599242B2 (en) Anti-siphon one-way valve
KR20050016389A (ko) 내용물의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한 배출노즐 및 그것을구비한 액체용기
WO2004054722A1 (en) Pump-action nozzle arrangements
DE602004000312T2 (de) Handbetätigbare Pumpe zur Abgabe von zerstäubten Flüssigkeiten in der Überkopfstellung
EP1728559A1 (de) Manuell betätigbarer Spender für ein Medium
JP4331952B2 (ja) 弁機構
JP2005320011A (ja) 内容物の逆流防止機能を備えた常時開口型排出ノズル及びそれを備えた液体容器
JP2005320006A (ja) 内容物の逆流防止機能を備えた排出ノズル及びそれを備えた液体容器
JP2005320010A (ja) 内容物の逆流防止機能を備えた常時開口型排出ノズル及びそれを備えた液体容器
JP2005320008A (ja) 内容物の逆流防止機能を備えた常時開口型排出ノズル及びそれを備えた液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