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5722A - 전원 온오프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온오프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5722A
KR20050015722A KR1020030054663A KR20030054663A KR20050015722A KR 20050015722 A KR20050015722 A KR 20050015722A KR 1020030054663 A KR1020030054663 A KR 1020030054663A KR 20030054663 A KR20030054663 A KR 20030054663A KR 20050015722 A KR20050015722 A KR 20050015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rotating cap
pow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4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홍
신동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30054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5722A/ko
Publication of KR20050015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72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0Structural association of antennas with earthing switches, lead-in devices or lightning prot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01Q1/103Latching means; ensuring extension or retra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0Resilient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를 고정부와 회전캡으로 분리하고, 고정부와 회전캡 내부에 각각 스위치편과 접점편을 구비시켜 회전캡을 회전시키는 것으로도 단말기의 전원 온오프가 가능하도록 한 전원 온오프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2) 일측에 구비되는 안테나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결합공(10)에 결합되는 고정부(20)와, 상기 고정부(2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회전캡(40)과, 상기 고정부(20)의 상부 내측에 구비되며 본체(2) 내부에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6s)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접점편(22) 및 상기 회전캡(40)의 내측에 고정된 소정의 스위치편(42)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폴더를 닫은 채로도 단말기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대되고, 긴급하게 단말기의 전원을 온오프해야 할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원 온오프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장치 {The Antenna Apparatus of mobile phone which could be able to control power on and off}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테나를 고정부와 회전캡으로 분리하고, 고정부와 회전캡 내부에 각각 스위치편과 접점편을 구비시켜 회전캡을 회전시키는 것으로도 단말기의 전원 온오프가 가능하도록 한 전원 온오프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액정창을 확장시키고 키패드를 보호하기 위해 플립 또는 폴더형으로 제작되며,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도 1에 도시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는 키패드(1)가 구비된 본체(2)와, 이 본체(2)의 배면에 구비되어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배터리팩(4)과, 상기 본체(2)와 힌지결합되며 액정창이 구비된 폴더(5)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단말기의 전원을 온(On)하거나 오프(Off)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폴더(5)를 열어서 키패드(1) 상의 종료키(3)를 길게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여야 했다.
즉, 종래에는 키패드(1)의 구성을 단순화시키기 위해 통상 전원키를 통화 종료키(3)와 혼용하고 있기 때문에 종료키(3)를 짧게 누르면 통화를 종료시키고, 길게 누르면 단말기의 전원을 온시키거나 오프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눌려지는 종료키(3)는 하측의 접점부(미도시)를 길게 압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접지 신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4a)와 메인회로부(2a) 사이에 구비된 스위칭 제어부(6)로 송신되어 메인회로부(2a)로의 전원공급을 중지 또는 개시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 2에서의 전원공급부(4a)는 상기 배터리팩(4)을 포함한 전원공급수단을 나타내고, 메인회로부(2a)는 본체(2)를 포함한 단말기의 전원수요처를 나타내며, 키 스위치부(7)는 키패드(1) 상의 종료키(3)와 같은 전원 온오프수단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전원을 온오프시킬 때마다 상기 폴더(5)를 개폐시켜야 하므로 사용시 번거로움이 있었고, 폴더(5)를 닫은 상태에서 단말기를 온오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여 시급하게 단말기를 온오프시키고자 할 경우 시간이 지체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키패드(1) 상의 종료키(3)는 실수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 키 반응성이 늦도록 설계되어 있어 사용자의 키 조작이 불편한 문제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안테나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전원을 간편하게 온오프할 수 있도록 한 전원 온오프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장치를 제공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 일측에 구비되는 안테나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회전캡과, 상기 고정부의 상부 내측에 구비되며 본체 내부에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칭제어부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접점편 및, 상기 회전캡의 내측에 고정된 소정의 스위치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캡을 회전시키면 스위치편과 접점편이 접지되어 단말기를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 또는 회전캡의 내주연에는 돌기 및 레일부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 및 회전캡의 내측면에는 일단부가 고정부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회전캡의 내측면에 고정된 인장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장스프링의 신축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커버가 상기 고정부 또는 회전캡의 내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2) 일측에 구비되는 안테나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결합공(10)에 결합되는 고정부(20)와, 상기 고정부(2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회전캡(40)과, 상기 고정부(20)의 상부 내측에 구비되며 본체(2) 내부에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6s)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접점편(22) 및 상기 회전캡(40)의 내측에 고정된 소정의 스위치편(4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부(20)의 내부에는 단말기에 전파를 상호 전달하는 도체부(26)가 구비되고, 상기 도체부(26)의 상단에는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코일(28)이 감겨있다.
상기 고정부(20)의 하측에는 상기 결합공(10)의 소정위치에 걸림되도록 후크부(30)가 구비되고, 상기 후크부(30)의 양측으로는 내부에 스프링(미도시)이 함입되며 상기 접점편(22)과 연결된 제 1접촉수단(32)과 상기 도체부(26)와 연결된 제 2접촉수단(34)이 구비된다.
상기 제 1접촉수단(32)은 본체(2)의 연결단자(12)와 접촉하여 후술하는 스위칭제어부(6s)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2접촉수단(34)은 본체(2)의 전파 송수신 회로와 연결된다.
상기 접점편(22)과 스위치편(42)은 형상에 대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는게 접촉면적이 크고 설치가 용이하도록 봉 형상 또는 사각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하여 직접 또는 소정의 지지대(46)를 매개로 고정부(20) 또는 회전캡(40)의 내측면에 설치한다.
상기 고정부(20)의 외주면 또는 회전캡(40)의 내주연에는 돌기(24) 및 레일부(44)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고, 도 3 및 도 4에서는 상기 고정부(20)의 외주면에 돌기(24)가 형성되고 회전캡(40)의 내주연에는 레일부(44)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캡(40)은 고정부(20) 상측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며 회전캡(40)의 회전시 상기 스위치편(42) 또한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접점편(22)과 접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부가 상기 고정부(2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회전캡(40)의 내측면에 고정된 인장스프링(50)이 상기 고정부(20) 및 회전캡(40)의 내측면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20)의 내측면과 회전캡(40)의 내측면에는 소정의 고리부(50a)가 구비되며, 상기 인장스프링(50)은 고정부(20)와 회전캡(40)의 높이 단차를 감안하여 중앙부가 절곡되어 상하로 걸쳐지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인장스프링(50)은 회전캡(40)의 회전방향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신축되어야 탄성복원력이 극대화되므로, 인장스프링(50)의 신축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커버(52)가 상기 고정부(20) 또는 회전캡(40)의 내측에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커버(52)는 인장스프링(50)이 삽입되도록 중공의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20) 또는 회전캡(40)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캡(40)을 회전시키면 회전캡(40)의 내측면에 고정된 인장스프링(50)은 가이드 커버의 내측을 신축되었다가, 회전캡(4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최초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기 회전캡(40)을 회전시켜 상기 스위치편(42)과 접점편(22)이 접지 상태를 소정시간 유지하면 단말기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 상태로 변환되는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편(42)이 접점편(22)과 접촉하여 발생되는 접지신호는 전원공급부(4a)와 메인회로부(2a) 사이에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6s)로 송신되어 메인회로부로(2a)의 전원공급을 중지 또는 개시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안테나 스위치부(11)는 상기 접점편(22)과 스위치편(42)을 포함한 안테나의 접지신호 발생수단을 나타낸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안테나장치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6과 도 7에서는 단말기의 전원 온오프 전후의 상태를 사시도와 평면도로 각각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을 오프 또는 온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회전캡(40)을 고정부(20)의 상측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하면, 회전캡(40)의 내측에서 스위치편(42)도 소정거리 회전되어 고정부(20)의 접점편(22)과 접촉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인장스프링(50)도 회전거리만큼 늘어나게 된다.
도 7에서는 상기 접점편(22)과 스위치편(42)이 접촉되어 있고, 상기 인장스프링(50)이 늘어나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접점편(22)과 스위치편(42)의 접촉상태가 소정시간 지속되면 접지신호는 하측의 연결단자(12)를 통해 스위칭 제어부(6s)로 전송되고, 스위칭 제어부(6s)는 단말기의 전원이 온 상태일 경우에는 전원공급이 중단되고, 반대로 전원이 오프 상태일 경우에는 전원공급을 개시하게 된다.
이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사용자가 상기 회전캡(40)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상기 회전캡(40)은 인장스프링(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원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더 개폐와 관계없이 안테나장치의 회전캡(40)을 회전시킴으로써 손쉽게 전원 온오프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인장스프링(50)에 의해 회전캡(40)이 임의로 회동하지 못하므로 오작동으로 인한 전원 온오프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더를 닫은 채로도 단말기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대되고, 긴급하게 단말기의 전원을 온오프해야 할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안테나가 임의로 회동하지 않아 오작동으로 인한 전원 온오프가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종래의 키패드를 통한 온오프수단과 병행해서 사용할 수도 있어 활용폭이 매우 크다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 온오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테나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안테나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 온오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안테나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본체 20 : 고정부
22 : 접점편 40 : 회전캡
42 : 스위치편 50 : 인장스프링
52 : 가이드 커버

Claims (4)

  1.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2) 일측에 구비되는 안테나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결합공(10)에 결합되는 고정부(20)와;
    상기 고정부(2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회전캡(40)과;
    상기 고정부(20)의 상부 내측에 구비되며 본체(2) 내부에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6s)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접점편(22) 및;
    상기 회전캡(40)의 내측에 고정된 소정의 스위치편(42);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캡(40)을 회전시키면 스위치편(42)과 접점편(22)이 접지되어 단말기를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온오프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의 외주면 또는 회전캡(40)의 내주연에는 돌기(24) 및 레일부(44)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온오프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 및 회전캡(40)의 내측면에는 일단부가 고정부(2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회전캡(40)의 내측면에 고정된 인장스프링(5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온오프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스프링(50)의 신축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커버(52)가 상기 고정부(20) 또는 회전캡(40)의 내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온오프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장치.
KR1020030054663A 2003-08-07 2003-08-07 전원 온오프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장치 KR200500157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663A KR20050015722A (ko) 2003-08-07 2003-08-07 전원 온오프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663A KR20050015722A (ko) 2003-08-07 2003-08-07 전원 온오프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722A true KR20050015722A (ko) 2005-02-21

Family

ID=3722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663A KR20050015722A (ko) 2003-08-07 2003-08-07 전원 온오프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57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61824B1 (en) Foldable portable telephone with improved antenna gain
US5995052A (en) Flip open antenna for a communication device
EP0703691B1 (en) Portable and foldable telephone
US5909653A (en) Portable radio device
JP2867863B2 (ja) 携帯無線機
KR20010045785A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
KR20050015722A (ko) 전원 온오프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장치
KR100337086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10058431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0350478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장치
KR100438123B1 (ko) 휴대폰 안테나
KR200174761Y1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20020067163A (ko) 폴더 타입 휴대폰의 플립 개폐장치
JP2845810B2 (ja) 携帯電話機
KR100789664B1 (ko) 슬라이드 폴딩 개폐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20050031035A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04001539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표시화면 전원제어장치
KR10058573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식 카메라 정지장치
KR100612926B1 (ko) 통신단말기용 개폐장치
JP2003087375A (ja) 折り畳み式携帯無線機
KR10134802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JP2004056703A (ja) 携帯無線通信端末
KR100635181B1 (ko) 무정전 상태에서 카드의 교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0165285A (ja) 携帯電話機
KR100597492B1 (ko) 사선 방향 슬라이딩형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