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5525A - 파력 용기 - Google Patents

파력 용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5525A
KR20050015525A KR1020030054387A KR20030054387A KR20050015525A KR 20050015525 A KR20050015525 A KR 20050015525A KR 1020030054387 A KR1020030054387 A KR 1020030054387A KR 20030054387 A KR20030054387 A KR 20030054387A KR 20050015525 A KR20050015525 A KR 20050015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body
disposed
gear
propeller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4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렁핀 후앙
Original Assignee
렁핀 후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렁핀 후앙 filed Critical 렁핀 후앙
Priority to KR1020030054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5525A/ko
Publication of KR20050015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52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F03B13/2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to produce a flow of air, e.g. to drive an air turb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파력 용기(1, 2)는 외부 몸체(11, 21) 상에 현수 부재(110, 233)에 의해 현수되며 상승 및 하강하는 조수에 따라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 개의 플로트 부재들(131, 231)을 구비한다. 기어열들 또는 압력 펌프들과 같은 복수 개의 동력 유닛들(13, 23)은 일방향으로 구동 축(1541, 2531)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플로트 부재들(131, 231)에 각기 체결되어 프로펠러(12, 22)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외부 몸체(111, 21)를 전방으로 추진시킨다.

Description

파력 용기{Wave powered vessel}
본 발명은 무한한 에너지원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력(wave powered) 용기에 관한 것이다.
석유 자원 및 인류가 기본적으로 요구하는 에너지의 점차적인 고갈에 따라, 대체 연료의 개발이 더욱 더 중요해지고 있다. 전력을 생산하는 데 있어 태양 에너지, 풍력 에너지 및 해양 조수 등과 같은 재생 에너지 자원을 이용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생 에너지 자원들을 이용하는 장치는 여러 가지 결점을 안고 있다. 예를 들면, 태양 에너지의 변환은 충분하지 못하며,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수많은 열 수집기들을 필요로 하게 된다.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풍력의 이용은 바람이 많은 지역이라는 점에서 제한된다. 해양 조수를 이용한 전력 생산 또한 조수 간만이 충분한 연안 지역이라는 점에서 제한을 받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동에 의한 프로펠러의 회전으로 용기를 추진시킬 수 있는 파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력 용기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몸체, 상기 외부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물 속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상기 외부 몸체를 전방으로 추진시키는 프로펠러, 그리고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장착되는 구동축을 포함한다.
구동 전달 축은 회전축에 대한 상기 외부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외부 몸체 내에 배치되며, 수직 상방으로 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게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시킨다. 현수 부재는 상기 외부 몸체에 대해 장착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복수 개의 플로트 부재들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상기 현수 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현수 부재에 의해 현수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플로트 부재들은 각기 상기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며 수면 아래로 잠기거나 수면 상으로 부유하도록 배치되는 저면 벽 및 상면 벽, 그리고 상기 상면 벽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게 배치되는 힘 전송 로드를 구비한다. 상기 힘 전송 로드는, 상기 플로트 부재들 가운데 대응하는 하나가 상승 및 하강하는 조수에 따라 상방 및 하방으로 각기 움직일 때, 상기 힘 전송 로드와 함께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게 배치되는 래크부를 구비한다. 복수 개의 기어열들이 상기 외부 몸체 상에 장착된다. 상기 기어열들은 각기 일방향 기어 유닛 및 종차를 포함한다. 상기 일방향 기어 유닛은 상기 래크부와 맞물리게 배치되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톱니바퀴, 그리고 상기 톱니바퀴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상기 톱니바퀴와 함께 동축선 상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톱니바퀴에 연결되는 일방향 기어 휠을 포함한다. 상기 종차는 상기 일방향 기어 휠의 하류에 배치되어 상기 일방향 기어 휠의 회전을 상기 구동 전달 축에 전달하여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 구동시킨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용기를 Ⅱ-Ⅱ선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용기를 Ⅲ-Ⅲ선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력 용기(1)는,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몸체(11), 프로펠러(12), 동력 전환 유닛(15), 구동 전달 축(14), 그리고 복수 개의 동력 유닛들(13)을 구비한다.
상기 프로펠러(12)는 상기 외부 몸체(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체가 물속에 잠기도록 배치되어 상기 외측 몸체(11)를 전방으로 추진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환 유닛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 전환 유닛(15)은 알려진 구성을 가지며, 발전기(151), 저장 배터리(152), 모터(153) 및 기어 박스(154)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 박스(154)는 상기 프로펠러(12)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장착된 구동축(1541)을 구비한다.
상기 구동 전달 축(14)은 상기 외측 몸체(11)에 대해 회전축선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외측 몸체(11) 내에 배치되며, 수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되게 위치한다. 상기 구동 전달 축(14)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동력 전환 유닛(15)의 기어 박스(154)의 구동축(1541)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프로펠러(120)를 회전 구동시킨다.
현수 부재(suspending member)(110)는 상기 외측 몸체(11)에 체결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슬리브들을 구비한다.
각 동력 유닛(13)은 플로트 부재들(131), 복수 개의 가이드 로드들(133), 제1 기어열(gear train)(132), 그리고 제2 기어열(135)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4개의 가이드 로드들(133)이 제공된다.
상기 동력 유닛(13)의 모든 플로트 부재들(131)은 함께 수면 상에서 상기 용기(1)를 지지할 수 있는 부력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부력은 상기 플로트 부재들(131)의 절반이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플로트 부재들(131)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된다.
각 플로트 부재(131)는 서로 수직 방향으로 대향하며 각기 상기 수면 아래로 잠기거나 수면 상에 부유하는 저면 벽(1311) 및 상면 벽(1312), 그리고 상면 벽(1312)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힘 전송 로드(130)를 구비한다. 상기 힘 전송 로드(130)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래크부(1301, 1302)를 포함한다. 상기 플로트 부재(131)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조수에 따라 상방 및 하방으로 움직일 때 상기 제1 및 제2 래크부(1301, 1302)는 수직 및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여 상기 힘 전송 로드(130)와 함께 이동한다.
상기 가이드 로드(133)는 각기 상부 및 하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는 각기 플로트 부재(131)의 상면 벽(1312)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연결되며, 상기 하부는 상기 현수 부재(110)를 통해 수직 상방으로 상기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현수 부재(110)로부터 플로트 부재(131)가 매달리게 함으로써, 상기 수직 방향으로 현수 부재(110)에 대한 각 플로트 부재(131)의 상방 및 하방으로의 이동을 안내한다. 또한, 상부 및 하부 제한 부재(134)는 각기 가이드 로드(133)의 상부 및 하부 상에 배치되어 각 플로트 부재(131)의 과도한 상방 및 하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제1 기어열(132)은 제1 일방향 기어 유닛과 제1 종차(driven wheel)(137)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일방향 기어 유닛은 제1 톱니바퀴(136) 및 제1 일방향 기어 휠(138)을 포함한다. 제1 톱니바퀴(136)는 제1 축선을 둘러싸며 상기 힘 전송 로드(130)의 제1 래크부(1301)와 맞물리게 배치되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 일방향 기어 휠(138)이 지지축(161)에 의해 제1 톱니바퀴(136)에 결합됨으로써, 제1 일방향 기어 휠(138)은 제1 톱니바퀴(136)와 지지축(161)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톱니바퀴(13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일방향 기어 휠(138)과 지지축(161) 사이에 배치되는 일방향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제1 톱니바퀴(136)와 함께 동축선 상에서 회전한다.
상기 제1 종차(137)는 상기 제1 일방향 기어 휠(138)에 맞물리게 배치되며, 상기 일방향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 전달 축(14)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일방향 기어 휠(138)의 회전을 전달하여 상기 구동 전달 축(14)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펠러(12)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2 기어열(135)은 제1 일방향 기어 유닛과 제2 종차(137')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일방향 기어 유닛은 상기 제1 축선에 평행한 제2 축선을 둘러싸며, 상기 힘 전송 로드(130)의 제2 래크부(1302)에 맞물리게 배치되는 제2 톱니바퀴(136')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톱니바퀴(136)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 톱니바퀴(136')도 이에 대응하여 반시계 방향 및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일방향 기어 유닛은 제1, 제2 및 제3 기어 휠들(138')을 가지는 복수 개의 제2 일방향 기어 휠들(138')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기어 휠(138')은 지지축(162)에 의해 제2 톱니바퀴(136')에 체결되며, 제2 기어 휠(138')에 맞물린다. 상기 제2 기어 휠(138')은 또한 제3 기어 휠(138')에 맞물린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일방향 베어링들(139)이 각기 상기 제1, 제2 및 제3 기어 휠들(138')과 대응하는 지지축들(162, 163, 164)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톱니바퀴(13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상기 지지축들(162, 163, 164)이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 종차(137')는 상기 제3 기어 휠(138')에 맞물리게 배치되며, 상기 구동 전달 축(14)에 체결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일방향 기어 휠(138) 및 제1 기어 휠(138')은 상기 구동 전달 축(14)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플로트 부재(131)가 상승 및 하강하는 조수에 의해 상방 및 하방으로 움직일 때 상기 구동 전달 축(14)뿐만 아니라 상기 프로펠러(12)가 연속적인 회전 운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각 동력 유닛(13)의 플로트 부재(131)가 상승하는 조수에 의해 상방으로 움직일 때, 상기 힘 전송 로드(130)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톱니바퀴(136)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상기 제1 톱니바퀴(136)의 회전력은 상기 제1 일방향 기어 휠(138) 및 제1 종차(137)로 전달되어 상기 구동 전달 축(14)을 구동시킨다. 한편, 상기 힘 전송 로드(130)의 상방 운동은 상기 제2 톱니바퀴(13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상기 일방향 베어링들(139)이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제1 톱니바퀴(136')의 반시계 방향 회전력은 상기 제2 일방향 기어 휠들(138')로 전달되지 않아 상기 제2 톱니바퀴(136')는 아이들 상태(idle state)에 있게 된다.
각 동력 유닛(13)의 상기 플로트 부재(131)가 하강하는 조수에 의해 하방으로 움직일 때, 상기 힘 전송 로드(130)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톱니바퀴(136')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상기 제2 톱니바퀴(136')의 회전력은 상기 제1 일방향 기어 휠들(138') 및 제2 종차(137')로 전달되어 상기 구동 전달 축(14)을 회전하게 한다. 한편, 상기 힘 전송 로드(130)의 하방 이동은 상기 제1 톱니바퀴(136)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상기 일방향 베어링들(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제1 톱니바퀴(136)의 반시계 방향 회전력은 상기 제1 일방향 기어 휠(138)에 전달되지 않아 상기 제1 톱니바퀴(136)는 아이들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톱니바퀴(136, 136')의 시계 방향 회전력은 상기 구동 전달 축(14)에 선택적으로 전달 가능하게 됨으로써, 상승 및 하강하는 조수에 따라 상기 구동 전달 축(14)뿐만 아니라 상기 프로펠러(12)를 연속적으로 구동하게 된다.
상기 기어 박스(154)는 상기 프로펠러(12)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프로펠러(12)를 조향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부분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력 용기(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몸체(21), 상기 외부 몸체(2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물 속에 잠기도록 배치되어 상기 외부 몸체(22)를 전방으로 추진시키는 프로펠러(22), 동력 전환 유닛(25), 복수 개의 동력 유닛들(23), 그리고 압축 공기 챔버(24)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환 유닛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동력 잔환 유닛(25)은 알려진 바와 같이 압축 공기 탱크(251), 로터 부재(252), 그리고 상기 프로펠러(22)를 회전시키도록 장착되는 구동 축(2531)과 함께 기어 박스(253)를 구비한다.
상기 압축 공기 챔버(24)는 튜브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 몸체(21) 내에 배치되어 수직 상방으로 수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압축 공기 챔버(24)는 상기 동력 전환 유닛(25)을 향하여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압축 공기 탱크(251)에 연통되고 상기 압축 공기 챔버(24) 내의 공기 압력이 소정의 값보다 높을 때 상기 압축 공기 탱크(251) 내로의 공기 흐름의 유출을 가능케 하는 유출 밸브(241)에서 종료한다. 상기 압축 공기 챔버(24)는 상기 유출 밸브(241)의 상류에 배치되며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떨어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유입 체크 밸브들(242)을 더 구비한다.
상기 동력 전환 유닛(25)의 로터 부재(252)는 상기 유출 밸브(241)로부터 급격히 유출되는 공기 흐름에 의해 구동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로터 부재(252)는 상기 로터 부재(252)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기어 박스(253)의 구동 축(2531)에 체결되어 상기 프로펠러(22)를 회진시키는 출력축을 포함한다.
현수 부재(233)는 상기 외부 몸체(21) 상에 장착되며,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동력 유닛들(23)은 각기 플로트 부재(231), 복수 개의 연결 레버들(235), 압력 펌프(235) 및 공기 덕트(234)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력 유닛(23)들의 모든 플로트 부재들(213)은 상기 용기(2)를 수면 상에 떠있게 하는 부력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상기 플로트 부재들(231)의 수는 상기 용기(2)의 이송 능력에 비례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플로트 부재들(231)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플로트 부재(231)는 상기 현수 부재(232)에 의해 매달리게 되며, 상기 현수 부재(232)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플로트 부재(231)는 서로 수직 방향으로 대향하고 수면 아래로 잠기거나 수면 상으로 부유하도록 배치된 저면 벽(2311) 및 상면 벽(2312)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 레버(235)는 상기 현수 부재(232) 및 상기 플로트 부재(2312)의 상면 벽(2312)에 대해 피봇하여 상기 플로트 부재(231)의 운동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압력 펌프(232)는 상기 플로트 부재(231)와 상기 현수 부재(233)를 수면에 대하여 경사진 라인을 따라 상호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압력 펌프(232)는 피스톤(2321) 및 실린더(2322)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2321)은 상기 경사진 라인을 따라 상기 플로트 부재(231)의 상면 벽(2312)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2312)는 상기 피스톤(2321)에 연결된다. 상기 공기 덕트(234)는 상기 실린더(2321)와 상기 압축 공기 챔버(24)의 유입 체크 밸브들(242) 중 대응하는 하나를 상호 연통되게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피스톤(2321)은 상기 실린더(2322)에 대하 왕복 이동 가능하여 상기 플로트 부재(231)가 상승 및 하강하는 조수에 의해 각기 상방 및 하방으로 움직일 때 각 왕복 운동 동안 공기 흡입 행정 및 공기 압축 행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압축된 공기는 상기 공기 덕트(24) 및 상기 체크 밸브(242)를 통해 각 공기 압축 행정 동안 상기 압축 공기 챔버(24)로 전달된다. 압축된 공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상기 로터 부재(252)와 상기 로터 부재(252)의 회전력을 상기 프로펠러(22)에 전달할 수 있는 기어 박스(253)에 의하여, 상기 프로펠러(22)가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외부 몸체(21)를 전방으로 추진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력 용기는 무한한 에너지원인 파력에 따른 프로펠러의 회전으로 용기를 추진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용기를 Ⅱ-Ⅱ선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용기를 Ⅲ-Ⅲ선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환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력 잔환 유닛의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파력 용기 11, 21:외부 몸체
12, 22:프로펠러 13, 23:동력 유닛
14:구동 전달 축 15, 25:동력 전환 유닛
24:압축 공기 챔버 110, 233:현수 부재
130:힘 전송 로드 131, 231:플로트 부재
132:제1 기어열 133:가이드 로드
134:상부 및 하부 제한 부재 135:제2 기어열
136:제1 톱니바퀴 136':제2 톱니바퀴
137:제1 종차 137': 제2 종차
138:제1 일방향 기어 휠 138':제2 일방향 기어 휠
139:일방향 베어링 151:발전기
152:저장 배터리 153:모터
154, 253:기어 박스 162, 163, 164:지지축
234:공기 덕트 235:연결 레버
241:유출 밸브 242:유입 체크 밸브
251:압축 공기 탱크 252:로터 부재
1301:제1 래크부 1302:제2 래크부
1311, 2311:저면 벽 1312, 2312:상면 벽
1541, 2531:구동 축 2321:피스톤
2322:실린더

Claims (4)

  1.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몸체(11);
    상기 외부 몸체(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물 속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상기 외부 몸체(11)를 전방으로 추진시키는 프로펠러(12); 및
    상기 프로펠러(12)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장착되는 구동 축(1541)을 포함하는 파력 용기(1)에 있어서,
    회전축에 대한 상기 외부 몸체(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외부 몸체(11) 내에 배치되고, 수직 상방으로 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구동 축(1541)에 연결되게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프로펠러(12)를 회전시키는 구동 전달 축(14);
    상기 외부 몸체(11)에 대해 장착되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현수 부재(110); 및
    상기 수직 방향으로 현수 부재(1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현수 부재(110)에 의해 현수되며,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플로트 부재들(131)을 구비하며,
    상기 플로트 부재들(131)은,
    각기 상기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며 수면 아래로 잠기거나 수면 상으로 부유하도록 배치되는 저면 벽(1311) 및 상면 벽(1312), 그리고
    상기 상면 벽(1312)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게 배치되는 힘 전송 로드(130)를 구비하며,
    상기 힘 전송 로드(130)는, 상기 플로트 부재들(131) 중 대응하는 하나가 상승 및 하강하는 조수에 따라 상방 및 하방으로 각기 움직일 때, 힘 전송 로드(130)와 함께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게 배치되는 제1 래크부(1301); 및 복수 개의 제1 기어열(132)을 포함하며,
    상기 각 제1 기어열(132)은,
    제1 축선을 둘러싸며 상기 제1 래크부(1301)와 맞물리게 배치되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톱니바퀴(136), 그리고 상기 제1 톱니바퀴(13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상기 제1 톱니바퀴(136)와 함께 동축선 상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톱니바퀴(136)에 연결되는 제1 일방향 기어 휠(138)을 포함하는 제1 일방향 기어 유닛, 및
    상기 제1 일방향 기어 휠(138)의 하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일방향 기어 휠(138)의 회전을 상기 구동 전달 축(14)에 전달하여 상기 프로펠러(12)를 회전 구동시키는 제1 종차(13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 용기(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힘 전송 로드(130)는 상기 수직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횡단 반향을 따라 상기 제1 래크부(1301)에 대항하게 배치되며, 상기 힘 전송 로드(130)와 함께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는 제2 래크부(1302)를 더 구비하며,
    상기 파력 용기(1)는, 복수 개의 제2 기어열(135)을 포함하며,
    상기 각 제2 기어열(135)은,
    상기 제1 축선에 평행한 제2 축선을 둘러싸며 상기 제2 래크부(1302)와 맞물리게 배치되어 상기 제1 톱니바퀴(136)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에 대응하여 반시계 방향 및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톱니바퀴(136'), 그리고 상기 제2 톱니바퀴(136')에 대해 체결되어 상기 제2 톱니바퀴(13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상기 제2 톱니바퀴(136')와 함께 동축선 상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제2 톱니바퀴(136')에 대해 체결되는 제2 일방향 기어 휠(138')을 포함하는 제2 일방향 기어 유닛, 및
    상기 제2 일방향 기어 휠(138')의 하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일방향 기어 휠들(138, 138')이 상기 구동 전달 축(144)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플로트 부재들(131)이 상기 조수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각기 상방 및 하방으로 움직일 때 상기 구동 전달 축(14) 및 상기 프로펠러(12)가 연속적인 회전 운동을 하게 하는 제2 종차(13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 용기(1).
  3. 제2항에 있어서, 각기 상기 플로트 부재들(131) 중의 대응하는 하나의 상면 벽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하부 및 상기 플로트 부재들(131)의 상방 및 하방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상기 현수 부재(110)를 통하여 상기 하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로드들(133); 그리고
    각기 상기 가이드 로드들(133)의 상부 및 하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플로트 부재들(131)의 과도한 움직임을 제한하는 복수 개의 상부 및 하부 제한 부재들(13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 용기(10).
  4.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몸체(21);
    상기 외부 몸체(2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물 속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상기 외부 몸체(21)를 전방으로 추진시키는 프로펠러(22); 및
    상기 프로펠러(22)를 회전하게 구동시키도록 장착되는 구동 축(2531)을 포함하는 파력 용기(2)에 있어서,
    상기 외부 몸체(21) 내에 배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구동 축(2531)을 향해 연장되고, 압축 챔버(24) 내의 공기 압력이 소정의 값 보다 높을 때 공기 흐름을 유출하는 유출 밸브(241)에서 종료되며, 상기 유출 밸브(241)의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차례로 위치하는 복수 개의 유입 체크 밸브들(242)을 포함하는 압축 공기 챔버(24);
    상기 유출 밸브(241)로부터 분출되는 공기 흐름에 의해 구동되게 배치되고, 로터 부재(252)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구동 축(2531)에 연결되어 상기 프로펠러(22)를 회전 구동시키는 출력축을 포함하는 로터 부재(252);
    상기 외부 몸체(21)에 대해 장착되며,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현수 부재(233);
    상기 수직 방향으로 현수 부재(233)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현수 부재(233)에 의해 현수되며,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차례로 위치하며, 각기 상기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상기수면 아래로 잠기거나 수면 상에 부유하도록 설치되는 저면 벽(2311) 및 상면 벽(2312)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플로트 부재들(231); 및
    각기 상기 플로트 부재들(231) 중 대응하는 하나와 상기 현수 부재(233)를 상기 수면에 대해 경사진 라인을 따라 상호 연결하게 배치되며, 각기 상기 플로트 부재들(231) 중 대응하는 하나의 상기 상면 벽(2312)으로부터 상기 경사진 라인들 따라 연장되게 배치되는 피스톤(2321) 그리고 상기 피스톤(2321)에 연결되는 실린더(2322)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압력 펌프들(232)을 구비하되, 상기 피스톤(2321)이 상기 실린더(2322)에 대해 왕복 운동 가능하여 상기 플로트 부재들(231) 중 대응하는 하나가 상기 상승 및 하강하는 조수에 따라 각기 상방 및 하방으로 움직일 때 각 왕복 운동 동안 공기 흡입 행정 및 공기 압축 행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공기 압축 행정 동안 상기 체크 밸브들(242) 중 대응하는 하나를 통하여 압축된 공기를 상기 압축 공기 챔버(24)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 용기(2).
KR1020030054387A 2003-08-06 2003-08-06 파력 용기 KR20050015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387A KR20050015525A (ko) 2003-08-06 2003-08-06 파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387A KR20050015525A (ko) 2003-08-06 2003-08-06 파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525A true KR20050015525A (ko) 2005-02-21

Family

ID=3722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387A KR20050015525A (ko) 2003-08-06 2003-08-06 파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55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9401A1 (ko) * 2014-02-07 2015-08-13 이경녕 다원통형 발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9401A1 (ko) * 2014-02-07 2015-08-13 이경녕 다원통형 발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4633B1 (en) Wave powered vessel
EP2322792B1 (en) An oceanic wave energy utilization system
US7989973B2 (en) Fluid-responsive oscillation power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1952583B (zh) 用于脱盐及电力的海浪能量
JPH05501901A (ja) 水流エネルギー変換機
US8925312B2 (en) Propulsion or motor device for converting energy into power, using the forces generated by the surface movement of a liquid or fluid or the like
CN104314741A (zh) 一种利用水轮机的双浮体式波浪能发电装置
WO2013013534A1 (zh) 漂浮式水浪能量采集转换系统
CN109915310A (zh) 单阀式u型管振荡水柱对装双冲动透平波力发电装置
MX2014001059A (es) Sistema de generacion de energia accionado por ondas.
US4568836A (en) Ocean wave electric generators
CN101929418B (zh) 波浪能发电单元及发电装置
CN207777061U (zh) 船用波浪能聚能发电装置
KR20050015525A (ko) 파력 용기
CA2436187A1 (en) Wave powered vessel
US201500768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green energy from a tidal body of water
CN1170798A (zh) 波浪能发电及其流程
CN101302988B (zh) 波浪发电系统
EP1502850A1 (en) Wave powered vessel
CN208669505U (zh) 一种海洋中组合型发电装置
CN201802549U (zh) 波浪能发电单元及发电装置
CN106194568B (zh) 基于stewart平台原理的下沉式水浪发电装置
US20190032627A1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Generating-Green Energy Source- using the weight of Tidal Body of Water
CN206221136U (zh) 仿海带液压式波浪能发电装置
TWI790159B (zh) 多向驅動式海浪發電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