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5253A - 인터넷 서버 기반의 디지털 유언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서버 기반의 디지털 유언 시스템 및 그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5253A
KR20050015253A KR1020030053999A KR20030053999A KR20050015253A KR 20050015253 A KR20050015253 A KR 20050015253A KR 1020030053999 A KR1020030053999 A KR 1020030053999A KR 20030053999 A KR20030053999 A KR 20030053999A KR 20050015253 A KR20050015253 A KR 20050015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stament
password
internet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대
Original Assignee
김성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대 filed Critical 김성대
Priority to KR1020030053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5253A/ko
Publication of KR20050015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25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 문서, 인터넷 문서, 음성파일, 이미지 파일, 동영상파일, CD및 DVD 등의 다중 매체로 작성 및 제작된 유언 내용을 디지털 데이터화하여 인터넷 관리서버에 저장 후, 생존확인 프로그램과 이-메일 발송으로 사용자(유언자)의 생존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약정된 방식에 따른 사용자의 사망 확인 후 이를 지정된 수신인에게 유언이 기록된 다중매체를 전달함으로써, 절차 및 보관이 간편하고도 안전한 효과가 있는 인터넷 서버 기반의 디지털 유언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 상에서 유언 관리서버에 접속하고 유언 내용을 작성·입력하고 인터넷 접속시, 생사 확인 프로그램 및 이-메일 발송을 수행하여 해당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의 생사 확인 자료를 데이터 베이스 화하여 특정기간 동안의 자료를 자동 송부하지 않은 사용자와 비밀번호가 오류인 사용자를 산출해 내고, 약정된 방식에 따른 사용자의 사망이 확인되면, 이 사실을 지정된 수신인에게 유언이 기록된 해당 다중매체로 전달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에서 전송된 다양한 다중매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수신인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터넷 서버 기반의 디지털 유언 시스템 및 그 방법{DIGITAL TESTAMENT SYSTEM BASED ON INTERNET SERV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언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매체로 작성 및 제작된 유언 내용을 디지털 데이터화하여 인터넷 관리서버에 저장 후, 생존확인 프로그램과 이-메일 발송으로 사용자(유언자)의 생존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약정된 방식에 따른 사용자의 사망 확인 후 이를 지정된 수신인에게 유언이 기록된 다중매체를 전달하는 인터넷 서버 기반의 디지털 유언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산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유언장을 작성해 두지 않고 사망한 경우에 유산은 법에 따라 분배되는데, 이러한 분배방법은 사망한 사람이 원하는 분배방법이 아닐 수도 있다.
또한, 언제 어디서 닥칠지 모르는 불의의 사고 등에 의하여 갑자기 죽음을 당할 경우를 대비하여 평소 생존해 있는 동안에 하고 싶었던 유언을 남기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절차 및 보관의 번거로움으로 인해서 차일피일 미루고 있다가, 뜻하지 않은 불의의 사고로 인하여 사망을 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중 매체로 작성 및 제작된 유언 내용을 디지털 데이터화하여 인터넷 관리서버에 저장 후, 생존확인 프로그램과 이-메일 발송으로 사용자(유언자)의 생존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약정된 방식에 따른 사용자의 사망 확인 후 이를 지정된 수신인에게 유언이 기록된 다중매체를 전달하는 인터넷 서버 기반의 디지털 유언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버 기반의 디지털 유언 시스템은, 인터넷 상에서 유언 관리서버에 접속하고 아이디(ID)와 비밀번호(Pass word)를 부여받음과 동시에 유언을 보관할 수 있는 고유의 계정(User Account)을 할당받으며, 인터넷 문서 유언, 편지 유언, 실시간 전화 녹음 유언, 음성 자동 응답 시스템(ARS) 전화 녹음 유언 또는 동영상(Audio/ Video) 녹화 유언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유언 내용을 작성 및 입력하고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한편, 인터넷 접속시, 컴퓨터 창에 대화상자가 나타나 사용자의 ID의 비밀 번호를 묻는 창이 나타나면, 사용자가 본 창에 비밀 번호를 타이핑함으로써 생사 확인 프로그램 및 이-메일 발송을 수행하여 해당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된 유언 내용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해당 IP 주소와 ID, 비밀 번호를 통하여 사용자의 생사 확인 자료를 데이터 베이스 화하여 특정기간 동안의 자료를 자동 송부하지 않은 사용자와 비밀번호가 오류인 사용자를 산출해 내고, 미 회신 및 비밀번호 오류 생사 확인 자료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해 놓은 1인 이상의 제3의 생사 확인 당사자에게 이-메일 또는 유무선 전화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사여부를 확인 받는 실시간 생존 확인 프로그램과, 사용자가 등록시 미리 지정한 이-메일 주소로 정기적으로 생존 확인 이-메일을 발송하고, 약정된 기간 이내에 상기 이-메일을 자신의 등록 ID의 비밀 번호를 기재하여 관리서버로 회신하는 이-메일로 사용자의 생존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한편, 약정된 방식에 따른 사용자의 사망이 확인되면, 이 사실을 지정된 수신인에게 유언이 기록된 해당 다중매체로 전달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에서 전송된 종이 문서, 인터넷 문서, 음성파일, 이미지 파일, 동영상파일, CD 및 DVD 등의 다중매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수신인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버 기반의 디지털 유언 방법은, 인터넷 상에서 유언 관리서버에 접속하고 아이디(ID)와 비밀번호(Pass word)를 부여받음과 동시에 유언을 보관할 수 있는 고유의 계정(User Account)을 할당받으며, 인터넷 문서 유언, 편지 유언, 실시간 전화 녹음 유언, 음성 자동 응답 시스템(ARS) 전화 녹음 유언 또는 동영상(Audio/ Video) 녹화 유언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유언 내용을 작성 및 입력하고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된 유언 내용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인터넷 접속시, 컴퓨터 창에 대화상자가 나타나 사용자의 ID의 비밀 번호를 묻는 창이 나타나면, 사용자가 본 창에 비밀 번호를 타이핑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해당 IP 주소와 ID, 비밀 번호를 통하여 사용자의 생사 확인 자료를 데이터 베이스 화하여 특정기간 동안의 자료를 자동 송부하지 않은 사용자와 비밀번호가 오류인 사용자를 산출해 내고, 미 회신 및 비밀번호 오류 생사 확인 자료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해 놓은 1인 이상의 제3의 생사 확인 당사자에게 이-메일 또는 유무선 전화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사여부를 확인 받는 실시간 생존 확인 프로그램 수행 단계; 사용자가 등록시 미리 지정한 이-메일 주소로 정기적으로 생존 확인 이-메일을 발송하고, 약정된 기간 이내에 상기 메일을 자신의 등록 ID의 비밀 번호를 기재하여 관리서버로 회신하는 이-메일로 사용자의 생존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단계; 약정된 방식에 따른 사용자의 사망이 확인되면, 이 사실을 지정된 수신인에게 유언이 기록된 해당 다중매체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전송된 종이 문서, 인터넷 문서, 음성파일, 이미지 파일, 동영상파일, CD및 DVD 등의 다중매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버 기반의 디지털 유언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버 기반의 디지털 유언 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중 매체(종이 문서, 인터넷 문서, 전화녹음, 사진, 동영상파일, CD 및 DVD)로 작성 및 제작된 유언 내용을 디지털 데이터화하여 인터넷 서버에 저장 후, 생존확인 프로그램과 이-메일로 사용자(유언자)의 생존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약정된 방식에 따른 사용자의 사망 확인 후 이를 지정된 수신인에게 유언이 기록된 다중매체를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인터넷(20) 상에서 유언 관리서버(30)에 접속하고 아이디(ID)와 비밀번호(Pass word)를 부여받음과 동시에 유언을 보관할 수 있는 고유의 계정(User Account)을 할당받으며, 인터넷 문서 유언, 편지 유언, 실시간 전화 녹음 유언, 음성 자동 응답 시스템(ARS) 전화 녹음 유언 또는 동영상(Audio/ Video) 녹화 유언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유언 내용을 작성 및 입력하고 상기 관리서버(30)에 전송하는 한편, 인터넷 접속시, 컴퓨터 창에 대화상자가 나타나 사용자의 ID의 비밀 번호를 묻는 창이 나타나면, 사용자가 본 창에 비밀 번호를 타이핑함으로써 생사 확인 프로그램 및 이-메일 발송을 수행하여 해당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30)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1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전송된 유언 내용을 데이터 베이스(40)에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해당 IP 주소와 ID, 비밀 번호를 통하여 사용자의 생사 확인 자료를 데이터 베이스(40) 화하여 특정기간 동안의 자료를 자동 송부하지 않은 사용자와 비밀번호가 오류인 사용자를 산출해 내고, 미 회신 및 비밀번호 오류 생사 확인 자료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해 놓은 1인 이상의 제3의 생사 확인 당사자에게 이-메일 또는 유무선 전화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사여부를 확인 받는 실시간 생존 확인 프로그램과, 사용자가 등록시 미리 지정한 이-메일 주소로 정기적으로 생존 확인 이-메일을 발송하고, 약정된 기간 이내에 상기 메일을 자신의 등록 ID의 비밀 번호를 기재하여 관리서버(30)로 회신하는 이-메일로 사용자의 생존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한편, 약정된 방식에 따른 사용자의 사망이 확인되면, 이 사실을 지정된 수신인에게 유언이 기록된 해당 다중매체로 전달하는 관리서버(30)와; 상기 관리서버(30)에서 전송된 종이 문서, 인터넷 문서, 음성파일, 이미지 파일, 동영상파일, CD및 DVD 등의 다중매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수신인 단말기(5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언 작성 및 보관 방법을 살펴보면, 유언 작성자(이하 사용자라 칭함)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인터넷(20) 상에서 유언 관리서버(30)에 접속하고 아이디(ID)와 비밀번호(Pass word)를 부여받음과 동시에 유언을 보관할 수 있는 고유의 계정(User Account)을 할당받으며, 다음의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유언 내용을 작성하고 보관한다. 이때, 본 발명의 관리서버는 별도의 보안 모듈을 통하여 보안 및 관리된다.
첫째, 인터넷 문서 유언으로써, 사용자는 시스템 관리서버(30)에 접속하여 본인의 ID와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자신의 고유 계정에 들어가 텍스트 또는 HTML형태로 유언을 작성 한 후 본 문서를 보관한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일정 용량 이하의 별도 파일(File), 문서(Document), 그림 또는 사진 등 이미지(Image), 음성(Audio), 동영상(Movie)을 첨부하여 보관한다.
둘째, 일반적인 편지 유언으로써, 사용자는 종이 문서에 유언을 작성 한 후, 상기 종이 문서를 시스템 관리서버(30) 관리자에게 송부하며, 관리자는 이를 스캔(SCAN)하여 이미지(Image) 파일로 생성 후, 시스템 관리서버 데이터 베이스(40)의 해당 사용자 계정에 보관한다.
셋째, 실시간 전화 녹음 유언으로써, 사용자는 유무선 전화로 관리자에게 직접 통화하여 자신의 신원과 통화 목적을 알린 후 유언을 구술하며, 관리자는 자신의 신원을 밝히고 구술 된 유언을 청취 및 녹음하였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전화 유언의 증인됨을 구술함을 끝으로 전화 녹음을 종료하며, 전화 녹음을 오디오(Audio)파일 형태로 시스템 관리서버(30) 데이터 베이스(40)의 해당 사용자 계정에 보관한다.
넷째, 음성 자동 응답 시스템(ARS) 전화 녹음 유언으로써, 사용자는 유무선 전화로 관리자의 음성 자동 응답 시스템(ARS) 에 직접 통화하여 상기 시스템의 안내에 따라 자신의 신원 및 전화 유언 내용을 구술하여 녹음을 완성한 후, 관리자에 의하여 녹음은 오디오(Audio)파일 형태로 시스템 관리서버(30) 데이터 베이스(40)의 해당 사용자 계정에 보관한다.
다섯째, 동영상(Audio/ Video) 녹화 유언으로써, 사용자는 미리 녹화(Recording) 해놓은 동영상 유언 파일을 시스템 관리서버에 파일 올리기(Upload) 하거나 또는, 별도의 저장 매체(CD/DVD등)에 파일 복사 후 이를 관리자에게 우송하면 관리자는 본 파일을 시스템 관리서버(30)의 해당 사용자 계정에 동영상 파일로 보관한다.
이후, 관리서버(30)에서는 생존확인 프로그램과 이-메일로 사용자(유언자)의 생존을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즉, 사용자의 생사 확인 관리 과정은 실시간 생존 확인 프로그램에 의한 생사 관리와, 생존 확인 이-메일 송수신 의한 생사(生死) 관리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실시간 생존 확인 프로그램에 의한 생사 관리 과정을 살펴보면, 관리자에 의해 개발된 인터넷 기반 실시간 생존 확인 프로그램을 시스템 관리서버(30)에 파일 올리기(Upload) 해놓아 사용자들이 이를 파일 받기(Download)하여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 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시스템 관리서버(30)에서 본 프로그램을 파일 받기(Download)하여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하며, 프로그램 메뉴에 자신의 기 등록 ID(시스템 관리서버에 기 등록해 ID와 동일)를 기재함으로써 설치를 완료한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인터넷 접속시, 본 프로그램이 정기적으로 자동 실행되어 컴퓨터 창에 대화상자가 나타나 사용자의 ID의 비밀 번호(시스템 관리서버 접속 비밀번호와 동일)를 묻는 창이 나타나면, 사용자가 본 창에 비밀 번호를 타이핑함으로써 생사 확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비밀번호가 입력된 프로그램은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해당 IP 주소와 ID, 비밀 번호를 시스템 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 관리자는 관리서버(30)로 수신된 사용자의 생사 확인 자료를 데이터 베이스(40) 화하여 특정기간 동안의 자료를 자동 송부하지 않은 사용자와 비밀번호가 오류인 사용자를 산출해 낸다. 관리자는 미 회신 및 비밀번호 오류 생사 확인 자료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해 놓은 1인 이상의 제3의 생사 확인 당사자 즉, 수신인에게 이-메일 또는 유무선 전화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사여부를 확인 받는다.
다음으로, 생존 확인 이-메일 송수신 의한 생사 관리 과정을 살펴보면, 관리자는 사용자가 등록시 미리 지정한 이-메일 주소로 정기적으로 생존 확인 이-메일을 발송한다. 메일을 수신 받은 사용자는 사전에 약정된 기간 이내에 상기 메일을 자신의 등록 ID의 비밀 번호를 기재하여 관리서버(30)로 회신한다. 관리자는 관리서버(30)로 수신된 사용자의 회신 자료를 데이터 베이스(40)화 하여 특정기간 동안 메시지를 회신하지 않은 사용자를 산출해 낸다. 관리자는 미 회신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해 놓은 1인 이상의 제3의 생사 확인 당사자, 즉 수신인에게 이-메일 또는 유무선 전화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사여부를 확인 받는다.
이와 같이 생존을 확인하여 약정된 방식에 따른 사용자의 사망이 확인되면, 이 사실을 지정된 수신인에게 유언이 기록된 다중매체(종이 문서, 인터넷 문서, 음성파일, 이미지 파일, 동영상파일, CD및 DVD)를 전달한다.
즉, 다중 매체 유언의 전달 과정은 관리자와 사용자간의 약정된 생사확인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사망으로 확인 된 사용자의 지정된 수신인 단말기(50)에 전달되는 유언매체는 그 방식이 사전에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되며 그 예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상의 문서 우송 방식으로써, 상기 인터넷문서, 편지 유언은 각각 문서로 프린트 출력하여 우편으로 수신인에게 발송한다. 둘째, 이-메일 전송 방식으로써, 상기 인터넷문서, 편지 유언은 이 메일로 수신인에게 전송한다. 셋째, 파일 내려 받기(Download) 방식으로써, 상기 전화녹음 유언, 동영상 녹화 유언을 수신인이 직접 관리서버(30)에서 파일 받기 하여 전달한다. 넷째, 저장매체 우송 방식으로써, 상기 전화 녹음 유언, 동영상 녹화 유언을 저장 매체(CD, DVD등)에 담아 수신인에게 우송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버 기반의 디지털 유언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종이 문서, 인터넷 문서, 음성파일, 이미지 파일, 동영상파일, CD 및 DVD 등의 다중 매체로 작성 및 제작된 유언 내용을 디지털 데이터화하여 인터넷 관리서버에 저장 후, 생존확인 프로그램과 이-메일 발송으로 사용자(유언자)의 생존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약정된 방식에 따른 사용자의 사망 확인 후 이를 지정된 수신인에게 유언이 기록된 다중매체를 전달함으로써, 절차 및 보관이 간편하고도 안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버 기반의 디지털 유언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버 기반의 디지털 유언 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사용자(유언자) 단말기
20 : 인터넷
30 : 관리서버
40 : 데이터 베이스
50 : 수신인 단말기

Claims (2)

  1. 인터넷(20) 상에서 유언 관리서버(30)에 접속하고 아이디(ID)와 비밀번호(Pass word)를 부여받음과 동시에 유언을 보관할 수 있는 고유의 계정(User Account)을 할당받으며, 인터넷 문서 유언, 편지 유언, 실시간 전화 녹음 유언, 음성 자동 응답 시스템(ARS) 전화 녹음 유언 또는 동영상(Audio/ Video) 녹화 유언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유언 내용을 작성 및 입력하고 상기 관리서버(30)에 전송하는 한편, 인터넷 접속시, 컴퓨터 창에 대화상자가 나타나 사용자의 ID의 비밀 번호를 묻는 창이 나타나면, 사용자가 본 창에 비밀 번호를 타이핑함으로써 생사 확인 프로그램 및 이-메일 발송을 수행하여 해당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30)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10);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전송된 유언 내용을 데이터 베이스(40)에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해당 IP 주소와 ID, 비밀 번호를 통하여 사용자의 생사 확인 자료를 데이터 베이스(40)화하여 특정기간 동안의 자료를 자동 송부하지 않은 사용자와 비밀번호가 오류인 사용자를 산출해 내고, 미 회신 및 비밀번호 오류 생사 확인 자료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해 놓은 1인 이상의 제3의 생사 확인 당사자에게 이-메일 또는 유무선 전화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사여부를 확인 받는 실시간 생존 확인 프로그램과, 사용자가 등록시 미리 지정한 이-메일 주소로 정기적으로 생존 확인 이-메일을 발송하고, 약정된 기간 이내에 상기 메일을 자신의 등록 ID의 비밀 번호를 기재하여 관리서버(30)로 회신하는 이-메일로 사용자의 생존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한편, 약정된 방식에 따른 사용자의 사망이 확인되면, 이 사실을 지정된 수신인에게 유언이 기록된 해당 다중매체로 전달하는 관리서버(30)와;
    상기 관리서버(30)에서 전송된 종이 문서, 인터넷 문서, 음성파일, 이미지 파일, 동영상파일, CD및 DVD 등의 다중매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수신인 단말기(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서버 기반의 디지털 유언 시스템.
  2. 인터넷(20) 상에서 유언 관리서버(30)에 접속하고 아이디(ID)와 비밀번호(Pass word)를 부여받음과 동시에 유언을 보관할 수 있는 고유의 계정(User Account)을 할당받으며, 인터넷 문서 유언, 편지 유언, 실시간 전화 녹음 유언, 음성 자동 응답 시스템(ARS) 전화 녹음 유언 또는 동영상(Audio/ Video) 녹화 유언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유언 내용을 작성 및 입력하고 상기 관리서버(30)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전송된 유언 내용을 데이터 베이스(40)에 저장하는 단계;
    인터넷 접속시, 컴퓨터 창에 대화상자가 나타나 사용자의 ID의 비밀 번호를 묻는 창이 나타나면, 사용자가 본 창에 비밀 번호를 타이핑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해당 IP 주소와 ID, 비밀 번호를 통하여 사용자의 생사 확인 자료를 데이터 베이스(40) 화하여 특정기간 동안의 자료를 자동 송부하지 않은 사용자와 비밀번호가 오류인 사용자를 산출해 내고, 미회신 및 비밀번호 오류 생사 확인 자료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해 놓은 1인 이상의 제3의 생사 확인 당사자에게 이-메일 또는 유무선 전화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사여부를 확인 받는 실시간 생존 확인 프로그램 수행 단계;
    사용자가 등록시 미리 지정한 이-메일 주소로 정기적으로 생존 확인 이-메일을 발송하고, 약정된 기간 이내에 상기 메일을 자신의 등록 ID의 비밀 번호를 기재하여 관리서버(30)로 회신하는 이-메일로 사용자의 생존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단계;
    약정된 방식에 따른 사용자의 사망이 확인되면, 이 사실을 지정된 수신인에게 유언이 기록된 해당 다중매체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30)에서 전송된 종이 문서, 인터넷 문서, 음성파일, 이미지 파일, 동영상파일, CD및 DVD 등의 다중매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서버 기반의 디지털 유언 방법.
KR1020030053999A 2003-08-05 2003-08-05 인터넷 서버 기반의 디지털 유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15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999A KR20050015253A (ko) 2003-08-05 2003-08-05 인터넷 서버 기반의 디지털 유언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999A KR20050015253A (ko) 2003-08-05 2003-08-05 인터넷 서버 기반의 디지털 유언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253A true KR20050015253A (ko) 2005-02-21

Family

ID=3722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999A KR20050015253A (ko) 2003-08-05 2003-08-05 인터넷 서버 기반의 디지털 유언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525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957B1 (ko) * 2005-05-03 2006-08-28 (주)실비토스 음성저장서비스 제공방법, 음성저장서비스에 사용되는시스템 및 음성저장서비스 제공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1449806B1 (ko) * 2012-10-19 2014-10-13 (주)에어패스 디지털 정보 상속 방법
KR20200057316A (ko) 2018-11-16 2020-05-26 김재호 유언 관리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957B1 (ko) * 2005-05-03 2006-08-28 (주)실비토스 음성저장서비스 제공방법, 음성저장서비스에 사용되는시스템 및 음성저장서비스 제공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1449806B1 (ko) * 2012-10-19 2014-10-13 (주)에어패스 디지털 정보 상속 방법
KR20200057316A (ko) 2018-11-16 2020-05-26 김재호 유언 관리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5596B2 (en)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notifications
US86068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portunistic image sharing
US8488751B2 (en) Unified messenging system and method
US6633630B1 (en) System for integrated electronic communications
JP5513131B2 (ja) ボイスメールのフィルタリングおよび転記
US5841966A (en) Distributed messaging system
US8068589B2 (en) Interface for a multi-messaging system
JP5513132B2 (ja) ボイスメールのフィルタリングおよび転記
CN102272789B (zh) 通过自动语音邮件预览的增强的语音邮件使用
JP4343483B2 (ja) 標準電子メールクライアントを介しての統一メッセージングシステムユーザデータへのアクセス
JP4179375B2 (ja) 会話サーバ
US89493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opportunistic data and image sharing
US200802288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sh-to-email communication with location information
JP4003753B2 (ja) 会話サーバ
JP3033113B2 (ja) マルチメディアメール処理システム
US8750465B2 (en) Voice message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CN101610277B (zh) 一种信息传输处理的方法
US20070211713A1 (en) Content relay server, content replay system, content relay method, and program using the same
KR20050015253A (ko) 인터넷 서버 기반의 디지털 유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19448A (ko) 그룹 멀티미디어 메시지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173799A1 (en) Enrichment, management of multimedia content and setting up of a communication according to enriched multimedia content
JP5446376B2 (ja) 転送装置、電話サーバ装置、転送方法及び転送システム
JP3830496B2 (ja) 自動で受信者の許諾を取得した上でファクシミリ送信をする装置
JP3695080B2 (ja) 電子メールサーバ装置及び電子メール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4300107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と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