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5100A -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5100A
KR20050015100A KR1020030053612A KR20030053612A KR20050015100A KR 20050015100 A KR20050015100 A KR 20050015100A KR 1020030053612 A KR1020030053612 A KR 1020030053612A KR 20030053612 A KR20030053612 A KR 20030053612A KR 20050015100 A KR20050015100 A KR 20050015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switch
information
switch unit
selection signal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여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3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5100A/ko
Publication of KR20050015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10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정보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간편화된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는 정보 단말기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라인을 통해 이동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회전 스위치부, 및 회전 스위치부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소정 영역의 정보를 하이라이트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프로그램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수단인 회전 스위치부를 이용하여 정보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USER INTERFAC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면 스크롤 및 디스플레이된 정보의 특정 영역을 하이라이트시킬 수 있는 보다 간편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정보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정보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이하, 정보 단말기라 칭함)는 이동통신 단말기, PDA, 노트북, 핸드헬드(Hand-held)형 피씨(PC)과 같은 휴대 가능한 컴퓨팅 시스템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일반인들에게 보편화 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 단말기는 동작 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수단으로 표시부를 갖는데, 표시부는 정보 단말기 자체의 사이즈에 의해 디스플레할 수 있는 정보가 한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정보가 한정적인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많은 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그버튼(jog button), 스크롤바(scroll bar), 상하버튼과 같은 기능 버튼이 정보 단말기 구비된다.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그버튼은 위로올림/아래로 내림/누름의 3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도록 하고 있으나, 사용에 익숙해지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의 학습 시간이 요구되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준다.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롤바(1)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서 한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많은 양의 정보를 위아래로 끌어 당기며 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사용자에게 쉽게 인식되지 못하고 터치 스크린 화면이 아닌 경우에는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는 조절이 섬세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하버튼(2)은 위/아래 방향으로 눌려지면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드버튼을 누르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에 대한 피드백이 확실하지만,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는 조절이 섬세하지 못하므로 사용자가 자신이 읽던 위치에 혼란을 가져오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한번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정보가 제한적인 디스플레이부에서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섬세한 페이지 선택이 고려되고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에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회전 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해당되는 디스플레이 정보가 하이라이트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정보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간편화된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 스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정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보다 직관적이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입력 컨트롤러에서 사용자의 회전 스위치부 선택에 따라 상응하는 선택 신호를 발생되면, 프로그램 실행부에서 선택 신호에 따라 화면 스크롤 및 디스플레이된 정보의 특정 영역이 하이라이트(high-light)되도록 디스플레이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전 스위치부는 하이라이트 기능을 선택하는 버튼 스위치(이하, 제 1 스위치라 칭함), 하이라이트 방법을 선택 하는 모드 스위치(이하, 제 2 스위치라 칭함),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화면 스크롤하는 스크롤 스위치(이하, 제 3 스위치라 칭함)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회전 스위치부는 정보 단말기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라인을 통해 상/하 이동되며, 가이드 라인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소정의 영역에 디스플레된 정보를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선택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스위치부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는 정보 단말기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라인을 통해 이동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회전 스위치부, 및 회전 스위치부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소정 영역의 정보를 하이라이트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프로그램 실행부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는 회전 스위치부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발생하는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정보 단말기 몸체에 형성되는 회전 스위치부가 선택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회전 스위치부가 선택되면 상기 회전 스위치부로부터 발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 및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회전 스위치부의 위치정보 및 상기 선택 신호에 해당되는 소정영역의 정보를 하이라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판별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스크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대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프로그램 실행부에서 회전 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되는 선택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화면 스크롤하거나 하이라이트되도록 하는 방법을 통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 또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정보 단말기 내부에 구비되는 그래픽 처리 수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화면 스크롤하거나 하이라이트되도록 하는 방법으로의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하이라이트 방법을 대표적인 하이라이트 방법인 밑줄, 확대, 조명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 또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강조되도록 하는 방법으로의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계층적 구조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단말기는 크게 회전 스위치(100), 하드웨어 계층(Hardware layer:300), 소프트웨어 계층(Software layer:500)를 포함한다.
회전 스위치부(100)는 정보 단말기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라인을 통해 상/하 이동하며, 화면 스크롤 및 디스플레이된 정보의 특정 영역이 하이라이트(high-light)되도록 선택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해, 회전 스위치부(100)는 하이라이트 기능을 실행 또는 종료하는 제 1 스위치, 하이라이트 방법을 선택하는 제 2 스위치,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화면 스크롤하는 제 3 스위치로 구성된다.
하이라이트 기능은 디스플레이된 정보 가운데 회전 스위치부(100)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소정의 영역을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하여, 하이라이트 여역에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다양한 하이라이트 방법을 적용시켜 강조하는 것이다.
하이라이트 영역은 정보 단말기 출력화면의 일부분을 선택하는 것으로, 일 예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 라인, 소정의 픽셀(600*20) 값을 갖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하이라이트 방법은 정보에 밑줄을 가하거나, 정보의 문자를 확대시키거나, 부분 반전 효과를 통해 정보가 조명되도록 하는 등의 방법이 대표적으로 이용된다.
일 예로, 사용자가 정보 단말기의 e-book 기능을 통해 소설책을 보는 경우, 정보 단말기의 출력화면에는 책 내용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정보 단말기 측면의 가이드 라인을 따라 회전 스위치부(100)를 이동시킨 후 제 1 스위치(110)를 누르면 회전 스위치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출력화면 상의 데이터 라인이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선택된다.
그 다음, 사용자가 제 2 스위치(120)를 스위칭하여 하이라이트 방법을 선택하면 선택되는 하이라이트 방법에 따라 데이터 라인이 강조되고, 사용자가 제 3 스위치(130)를 선택하면 선택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책 내용이 스크롤된다.
이러한 제 3 스위치(130)를 이용한 화면 스크롤에 의해 출력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책의 내용은 하이라이트 영역에서 강조되면서 스크롤된다.
하드웨어 계층(300)에는 위치 센서(310), 입력 컨트롤러(310)가 포함된다.
위치 센서(310)는 가이드 라인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회전 스위치부(1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위치 이동가 이동되면, 해당되는 위치 정보를 발생한다.
입력 컨트롤러(310)는 회전 스위치부(10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되는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제 1 스위치(110)가 눌려지면(Push) 하이라이트 기능 실행 또는 종료를 위한 버튼 선택 신호를 발생하고, 제 2 스위치(120)가 스위칭되면 선택되는 특정 하이라이트 방법에 상응하는 모드 선택 신호를 발생하고, 제 3 스위치(130)가 업/다운(Up/Down)되면 선택되는 방향에 상응하는 스크롤 신호를 발생한다.
소프트웨어 계층(500)에는 프로그램 실행부(510), 디스플레이부(520)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실행부(510)는 정보 단말기 운용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전반적으로 동작 제어하는 것으로, 입력 컨트롤러(310)를 통해 입력되는 회전 스위치 선택 신호에 따라 상응하는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즉, 프로그램 실행부(510)에서는 입력 컨트롤러(310)를 통해 회전 스위치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 종류를 판단하여 회전 스위치부(100) 입력에 따라 회전 스위치부(100)의 위치정보를 요청하여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하거나, 회전 스위치부(100)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520)의 위치에 하이라이트 영역을 표시하거나, 특정 하이라이트 방법을 현재 하이라이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에 적용시키거나, 디스플레이부(520)에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상/하 스크롤시킨다.
디스플레이부(520)는 프로그램 실행부(510)의 동작 제어에 따라 프로그램 실행부(51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이하, GUI라 칭함) 화면으로 제공한다.
참고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하드웨어 계층 및 소프트웨어 계층은 각 모듈이 모두 하드웨어로 구성되거나, 일부 모듈이 소프트웨어로 구성되거나, 또는 전체 모듈이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것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로 구성됨에 따른 수정과 변경이 부가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프로그램 실행부(510)에서는 정보 단말기 운용 과정에서 입력 컨트롤러(320)로부터 입력되는 회전 스위치 선택 신호를 통해 회전 스위치부(100)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1).
판별결과 회전 스위치 선택 신호가 아니면, 회전 스위치부(100) 선택 판단 루틴으로 리턴하고, 판별결과 회전 스위치 선택 신호이면, 입력된 회전 스위치 선택 신호를 통해 입력 종류를 판별한다(S2).
판별 결과 입력된 회전 스위치 선택 신호가 위치 입력 신호이면, 프로그램 실행부(510)에서는 회전 스위치부(100)가 가이드라인 상에서 위치 이동한 것으로 감지하고, 입력 컨트롤러(320)로 회전 스위치부(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S3).
이에 따라, 입력 컨트롤러(320)에서는 위치 센서부(310)를 통해 얻어지는 회전 스위치부(1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프로그램 실행부(510)로 전송하고, 프로그램 실행부(510)에서는 수신된 위치 정보를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한다(S4).
판별 결과 입력된 회전 스위치 선택 신호가 버튼 입력 신호이면, 프로그램 실행부(510)에서는 회전 스위치부(100)의 제 1 스위치(110)가 눌린것으로 감지하고, 입력 컨트롤러(320)로부터 입력된 회전 스위치 선택 신호를 통해 하이라이트 기능을 실행시키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5).
판별결과 하이라이트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이면, 메모리부에 저장된 회전 스위치부(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디스플레이부(520)의 해당 위치에서 하이라이트 영역을 활성화시킨다(S6).
판별결과 하이라이트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가 아니면, 디스플레이부(520)에 활성화된 하이라이트 영역을 해제하기 위한 신호로 판단하여 하이라이트 영역을 해제시킨다(S7).
판별 결과 입력된 회전 스위치 선택 신호가 모드 입력 신호이면, 프로그램 실행부(510)에서는 회전 스위치부(100)의 제 2 스위치(120)가 스위칭된 것으로 감지하고, 입력 컨트롤러(320)로부터 입력된 회전 스위치 선택 신호를 통해 하이라이트 방법을 결정한다(S8).
그 다음, 프로그램 실행부(510)에서는 결정된 하이라이트 방법에 따라 하이라이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강조시킨다(S9).
즉, 디스플레이된 정보에 밑줄을 긋거나, 확대시키거나, 조명되도록 한다.
판별 결과 입력된 회전 스위치 선택 신호가 스크롤 입력 신호이면, 프로그램 실행부(510)에서는 회전 스위치부(100)의 제 3 스위치(130)가 선택된 것으로 감지하고, 입력 컨트롤러(320)로부터 입력된 회전 스위치 선택 신호를 통해 화면 스크롤 다운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10).
판별 결과 입력된 회전 스위치 선택 신호가 화면 스크롤 다운 방향이면, 프로그램 실행부(510)에서는 디스플레이부(520)로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화면 스크롤 다운시켜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한다(S11).
판별 결과 입력된 회전 스위치 선택 신호가 화면 스크롤 업 방향이면, 프로그램 실행부(510)에서는 디스플레이부(520)로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화면 스크롤 업시켜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한다(S12).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입력 컨트롤러(320)로부터 입력된 회전 스위치 선택 신호에 따른 동작 제어를 수행한 프로그램 실행부(51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종료 신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13).
판별결과 종료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회전 스위치부(100) 선택 판단 루틴으로 리턴하고, 판별결과 종료 신호가 발생되면, 정보 단말기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스위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스위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PDA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PDA의 몸체에 회전 스위치부(100)가 구비되면, 사용자는 소정의 문서를 읽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된 문서 중 현재 어느 부분을 읽고 있는지 구분하기 어려울 때 회전 스위치부(100)를 이용함으로써, 읽고 있는 부분을 신속하게 확인하면서 문서 내용을 읽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디스플레이된 문서를 읽는 중에 PDA의 측면에 구비되는 회전 스위치부(100)를 이동시키면, 프로그램 실행부(510)에서는 입력 컨트롤러(320)를 통해 회전 스위치부(100)의 이동을 감지한다.
이에 따라, 프로그램 실행부(51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 스위치부(100)가 이동된 현재 위치의 위치 정보를 입력 컨트롤러(320)를 통해 위치 센서(310)로부터 제공받고,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이 과정에서, 도 5의 a와 같이, 회전 스위치부(100)의 제 1 스위치(110)가 사용자에 의해 눌리면, 입력 컨트롤러(320)에서는 해당되는 선택신호를 발생시켜 프로그램 실행부(510)로 입력한다.
이에 따라, 프로그램 실행부(510)에서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회전 스위치부(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검출된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위치에 하이라이트 영역을 표시한다.
그 다음, 도 5의 b와 같이, 회전 스위치부(100)의 제 2 스위치(120) 또는 제 3 스위치(130)가 사용자에 의해 스위칭되면, 입력 컨트롤러(320)에서는 해당되는 회전 스위치 선택신호를 발생시켜 프로그램 실행부(510)로 입력한다.
이에 따라, 프로그램 실행부(510)에서는 입력된 회전 스위치 선택신호를 통해 모드 입력 또는 스크롤 입력을 감지하고 상응하는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즉,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회전 스위치(100)의 제 2 스위치(120)를 위칭시켜 하이라이트 방법으로 밑줄(Unerline)을 선택하면, 하이라이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인 'Internet services. The'이 밑줄로 강조된다.
그 다음, 사용자가 회전 스위치부(100)의 제 1 스위치(110)를 다시 눌러 하이라이트 영역을 해제시킨 후, 회전 스위치부(100)를 위치 이동시켜 회전 스위치부(100)의 제 1 스위치(110)를 선택하면, 회전 스위치(100)의 위치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부(520)의 위치가 하이라이트 영역이 활성화된다.
그 다음,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회전 스위치부(100)의 제 2 스위치(120)를 스위칭시켜 하이라이트 방법으로 조명(Light)을 선택하면, 하이라이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인 'commissioned a study'가 조명되어 강조된다.
그 다음, 사용자가 다시 회전 스위치부(100)를 이동시키고, 도 6의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스위치(120)를 스위칭시켜 하이라이트 방법으로 강조(Zoom)을 선택하면, 하이라이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인 'how the mobile'이 확대되어 강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수단인 회전 스위치부를 이용하여 정보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보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보다 직관적이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의 a, b는 종래의 화면 스크롤 방법에 따른 화면 스크롤 수단의 확대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계층적 구조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5의 a,b는 도 4의 회전 스위치부에 대한 상세 동작도이다.
도 6의 a,b,c,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모드가 반영되는 출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회전 스위치부 110 : 버튼 스위치
120 : 모드 스위치 130 : 스크롤 스위치
310 : 위치 센서 320 : 입력 컨트롤러
510 : 프로그램 실행부 520 : 디스플레이부

Claims (6)

  1. 정보 단말기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라인을 통해 이동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회전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소정 영역의 정보를 하이라이트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프로그램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스위치부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발생하는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스위치부는 하이라이트 기능을 실행 또는 종료하는 제 1 스위치, 하이라이트 방법을 선택하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스위치부는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스크롤하는 제 3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5. 정보 단말기 몸체에 형성되는 회전 스위치부가 선택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회전 스위치부가 선택되면 상기 회전 스위치부로부터 발생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회전 스위치부의 위치정보 및 상기 선택 신호에 해당되는 소정영역의 정보를 하이라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스크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030053612A 2003-08-02 2003-08-02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방법 KR200500151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612A KR20050015100A (ko) 2003-08-02 2003-08-02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612A KR20050015100A (ko) 2003-08-02 2003-08-02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100A true KR20050015100A (ko) 2005-02-21

Family

ID=37225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612A KR20050015100A (ko) 2003-08-02 2003-08-02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51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8987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similar operations for different gestures
US10088975B2 (en) User interface
US6037937A (en) Navigation tool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US88261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ving a cursor and selecting objects on a touchscreen using a finger pointer
US6310610B1 (en) Intelligent touch display
US6340979B1 (en) Contextual gesture interface
US9785329B2 (en) Pocket computer and associated methods
FI116425B (fi) Menetelmä ja laite laajan näppäimistön integroimiseksi pieneen laitteeseen
US20050223342A1 (en) Method of navigating in application views, electronic device,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6963349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readable memory
US20090315841A1 (en) Touchpad Module which is Capable of Interpreting Multi-Object Gesture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4238927B (zh) 智能终端应用程序的控制方法和装置
JP2004272906A (ja) 小型ディスプレイ上で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をナビゲート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30097820A (ko) 두 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들을 구비한 장치들 상에디스플레이된 조화 이미지들
WO2014075470A1 (zh) 一种终端及终端屏幕显示信息控制方法
JP2011227854A (ja) 情報表示装置
US20090203408A1 (en) User Interface with Multiple Simultaneous Focus Areas
JP200415198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2259001A (ja) ウィンドウ操作方法及び装置
CN114764304A (zh) 一种屏幕显示方法
JPWO2009022671A1 (ja) 接触型入力装置、接触型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008676A (ja) 電子書籍表示装置
JP2001195170A (ja) 携帯型電子機器、入力制御装置、及び記憶媒体
CN114327726A (zh) 显示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050015100A (ko)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