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4088A -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4088A
KR20050014088A KR20030052549A KR20030052549A KR20050014088A KR 20050014088 A KR20050014088 A KR 20050014088A KR 20030052549 A KR20030052549 A KR 20030052549A KR 20030052549 A KR20030052549 A KR 20030052549A KR 20050014088 A KR20050014088 A KR 20050014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ll mode
terminal
called
c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52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8020B1 (ko
Inventor
안병익
김학준
박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20030052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8020B1/ko
Publication of KR20050014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020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호 설정시 통화 모드별로 통화로를 구분하여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은 착신 단말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 식별자 및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포함하는 호 접속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망의 구성에 따라 발신 단말 또는 교환기에서 통화 모드를 인식하는 단계, 모드 인식 주체에 따라 해당 통화로를 요구 또는 할당하는 단계, 착신 단말로 해당 통화 모드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착신 단말을 호출하는 단계, 통화 모드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착신 단말이 응답하면,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사이에 통화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통화 모드 구분자는 발신 단말에서 착신 단말 식별자와 동시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a channel using a call mode selected by a calling party}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호 설정시 다이얼링 번호에 포함된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이용하여 통화 모드별로 통화로를 구분하여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전화기는 사람 간의 음성 통화만을 지원함에 따라 단순히 해당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통해 발신 전화기와 착신 전화기 사이에 통화로를 설정하는 데 주로 사용되었다. 한편, 전자, 통신 분야 등의 기술 발전에 힘입어 전화기 간에 통화하는 모드가 늘어남에 따라 현재에는 도 1a에 도시한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에서 발신 전화기와 착신 전화기가 여러 가지 통화 모드로 통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통화 모드는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동영상 통화, 정지 영상 통화, 데이터 통화 등을 말한다.
이처럼 이동 통신 단말기를 포함한 전화기를 이용하면, 발신 전화기와 착신 전화기가 다양한 통화 모드로 통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신 전화기와 착신 전화기는 음성 통화 모드, 화상 통화 모드, 채팅 통화 모드, 네트워크 게임 통화 모드, 파일 전송 통화 모드, 데이터 세션 통화 모드 등으로 통화할 수 있다. 특히, 휴대폰, PDA 폰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면, 장소에 제한됨이 없이 자유롭게 통신 서비스와 인터넷 등을 이용할 수있다. 앞서 언급한 여러 가지 통화 모드에 대하여 아래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사이의 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HTTP) 통화 모드를 간략히 설명한다. HTTP 통화 모드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서버 단말기간의 일대일 메시지 교환 구조를 갖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POP3 등의 메일 클라이언트도 HTTP 통화 모드와 같은 메시지 교환 구조를 갖는다. 즉 HTTP 통신 모드의 경우, 클라이언트의 HTTP 브라우저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서버로 'GET' 요청(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서버는 그에 따라 '200' OK(요구를 처리하여 데이터를 전송함) 또는 '404' Not found(해당 문서 없음) 등의 응답(Response) 메시지를 회신한다. 한편, HTTP 통신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게시판에 글을 올리는 경우 클라이언트는 'PUT'이나 'POST' 요청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그 내용을 처리했다는 '200' OK 메시지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서버 단말기는 HTTP 통신 모드로 통화한다. 다음은 좀더 복잡한 프로토콜을 이용한 화상 통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메시지를 이용한 화상 통화를 위한 신호 처리 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SIP의 호 설정은 코덱(Codec)이나 단말기 기능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Session)에 대한 정보를 교섭(Negotiation)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요청-응답(Request-Response) 구조가 아니라 Request(INVITE), Provisional Response(180 Ringing: 벨소리 울림), Final Response(200 OK) 및Acknowledgement(ACK)의 3단계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호를 설정하자는 INVITE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201). 서버는 착신측에서 벨이 울리고 있다는 의미의 180 Ringing 메시지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단계 203). 또한, 서버는 착신측이 전화를 받았다는 200 OK 메시지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단계 205). 그 후, 클라이언트가 200 OK 메시지로 수신한 착신측 기능을 확인하였다는 ACK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한다(단계 207). 이러한 과정의 수행 결과,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는 호 설정이 이루어지고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화상 통화한다(단계 209).
화상 통화 중에 클라이언트는 화상 이외의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INFO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한다(단계 211). 서버는 INFO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INFO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하는 200 OK 메시지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단계 213). 이때, INFO 메시지와 200 OK 메시지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여러 번 왕복될 수 있다. 그 후, 호를 끊고자 하는 경우,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BYE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215). BYE 메시지를 수신한 서버는 200 OK 메시지를 상대편으로 전송하다(단계 217). 이 과정의 결과,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화상 통화 모드는 해제된다.
이처럼, 화상 통화를 위해서는 약간 복잡한 프로토콜을 이용해야 한다. 즉, 최종 응답(Final response)이 오기 전까지 정보 응답 또는 사전 응답(informational/provisional response)이라고 하는 처리 과정을 반복하면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처리해야 한다. 이때, 여러 개의 요청과 응답이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종래의 H.323 프로토콜을 이용한 화상 통화를 위한 신호 처리 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H.323 프로토콜을 이용한 화상 통화는 발신측 클라이언트와, 단말기의 망 접속을 관장하는 RAS(Registration, Administration and Status) 서버, 및 수신측 서버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H.323 프로토콜을 이용한 화상 통화에서는 채널을 할당하는 H.225 프로토콜, 발착신간의 호를 연결하고 끊는 Q.731 프로토콜, 설정될 논리 채널과 단말기 기능을 설정(Set up)하고 논리 채널을 열고 닫는 H.245 프로토콜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호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는 RAS 서버로 채널 연결 허가를 받기 위해서 ARQ(Admission ReQuest) 메시지를 보낸다(단계 301). 접속이 허락된 단말이면, RAS 서버는 클라이언트로 ACF(Admission ConFirm) 메시지를 보낸다(단계 303). 그 다음에, 클라이언트는 착신측 서버와 호를 열기 위한 Setup 메시지를 보낸다(단계 305).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Setup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수신을 확인하는 Call Proceeding 메시지를 클라이언트로 보낸다(단계 307).
착신측 서버도 발신측 클라이언트의 경우와 유사하게 RAS 서버에 채널 연결 허가 절차를 밟는다. 즉 착신측 서버는 RAS 서버로 채널 연결 허가를 받기 위해서 ARQ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309). 접속이 허락된 단말이면, RAS 서버는 착신측 서버로 ACF 메시지를 보낸다(단계 311).
그 후, 착신측 서버는 Q.731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발신측 클라이언트에게 벨을 울렸다는 Alerting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313). 또 착신측 서버는 착신 단말 가입자가 수화기를 들었다는 Connect 메시지를 보낸다(단계 315). 위의 과정의 수행 결과, 클라이언트측 발신 단말기와 서버측 착신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로 통화한다(단계 317).
위에서 언급한 단계 317 중에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는 H.245 프로토콜을 교환하여 화상 통화한다. 즉 H.245 프로토콜 교환은 단말기 기능을 상대방에게 알리는 TerminalCapabilitySet과 그 응답인 TerminalCapabilitySetAck, 그리고 호 설정 및 호 관리에 있어서 마스터(Master)와 슬래이브(Slave)를 결정하기 위한 MasterSlaveDetermination과 MasterSlaveDeterminationAck, 여러 가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구분해내기 위해 Multiplex Entry를 교환하는 MultiplexEntrySend와 MultiplexEntrySendAck, 및 논리적 채널을 여는 OpenLogicalChannel과 OpenLogicalChannelAck 메시지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H.245 프로토콜 교환은 Q.731 메시지의 옵션으로 FastStart를 사용한 경우에 생략된다.
그 다음에, 클라이언트측 발신 단말기와 서버측 착신 단말기는 H.225 프로토콜로 CloseLogicalChannel과 CloseLogicalChannelAck를 주고받아서 채널을 끊는다(단계 319, 단계 321). 또한 발신 단말기는 ReleaseComplete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시그널링 채널을 제거한다(단계 323). 그 후,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는 DRQ(Disengage ReQuest) 메시지를 RAS 서버로 각각 전송한다(단계 325, 단계 327). 그리고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는 RAS 서버로 호 종료를 알리는 DCF(Disengage ConFirm) 메시지를 전송하고 접속을 종료한다(단계 329, 단계 331).
위에서 언급한 여러 가지 통화 모드를 이용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에 대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4는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통화 모드로 통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발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발신 단말 가입자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음성 통화를 시도한다(단계 401). 이때 발신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자동적으로 음성 통화 모드 상태가 된다(단계 403). 사용자가 발신 단말기의 통화 버튼을 누르면, 발신 호는 이동 통신망 내의 교환기를 통해 착신 단말기로 전달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는 음성 통화 모드로 접속된다(단계 405). 이러한 과정의 수행 결과,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는 음성 통화 모드로 통화한다.(단계 407). 발신 단말기 또는 착신 단말기에 의해 통화가 종료되면, 음성 통화 모드는 해제된다(단계 409).
한편, 발신 단말 가입자가 다시 발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데이터 통화를 시도한다(단계 411). 이때 발신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를 여러 단계에 걸쳐 단계적으로 선택함으로써, 패킷 데이터 통화 모드 상태가 된다(단계 413). 사용자가 발신 단말기의 통화 버튼을 누르면, 발신 호는 이동 통신망 내의 교환기에 전달되고, 이동 통신망 내의 교환기와 망 연동 장치 등에 의해 발신 단말기가 핸드폰, 웹 서버 등의 착신 단말기와 접속된다(단계 415).
그 후, 발신 단말기는 패킷 데이터 통화 모드로 착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화상 통화, 채팅, 네트워크 게임, 파일 송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단계 417). 발신 단말기 또는 착신 단말기가 패킷 데이터 통화 모드를 종료하면, 패킷 데이터 통화 모드는 해제된다(단계 419).
이와 같이, 기존의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통화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발신 단말 가입자는 음성 통화 모드 이외의 특정 통화 모드에 대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여러 단계에 걸쳐 조작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과정에 대하여 아래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5는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특정 통화 모드의 조작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신 단말 가입자가 네트워크 게임을 하고자 하는 경우, 발신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 모드로 해당 서버에 접속하기 위하여 준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발신 단말 가입자는 발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특정 키 또는 메뉴를 선택한 후 일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야 한다.
즉, 발신 단말 가입자는 발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특정 키 또는 메뉴를 순차적으로 눌러 데이터 통신 모드의 특정 메뉴를 선택하고, 접속 버튼을 눌러 해당 사이트의 서버에 접속을 시도한다. 그 후, 해당 사이트에 접속되면, 발신 단말 가입자는 해당 사이트의 서버에서 제공하는 메뉴를 선택하고, 선택한 메뉴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게임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그러나 종래에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여러 가지 통화 모드를 이용하여통화하거나 동시에 2개 이상의 통화 모드로 통화하는 것이 가능하였지만, 실질적으로 각 통화 모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여러 단계에 걸쳐 조작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즉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다양한 통화 모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음성 통화 이외에 화상 통화, 채팅, 네트워크 게임, 파일 전송 등의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여러 단계에 걸쳐 조작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음성 통화를 위한 번호만으로 각각의 통화 모드를 연결하는 데에 있어서 착신자가 동일한 경우 각 통화 모드를 구분할 방법이 없었다. 다시 말해서, 현재의 다이얼링 번호는 정보통신부 세칙에 따라 통신망 번호, 지역 번호, 가입자 국번호, 가입자 개별 번호의 체계를 가진 국내 번호 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전화번호로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여러 가지 통화 모드를 지원하는 데 한계가 있다.
구성요소 통신망번호 지역번호 가입자번호
국번호 가입자개별번호
자리수 2 - 4 1 - 2 1 - 4 4
또한, 여러 가지 버튼이나 메뉴를 이용하여 각 통화 모드를 구분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으나, 위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그것은 사용자가 통화 시도 중 지속적으로 화면을 보면서 버튼을 조작해야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 행동을 요구하기 때문에 통화 조작의 용이성을 떨어뜨린다. 게다가, 단축 다이얼이나 전화번호부 상에서 한 사람 또는 하나의 착신 단말기에 대해 여러 가지로 접근하는 방법에있어서도 일관성을 유지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접속 망을 포함하고 진화하는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다이얼링 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모드 또는 특정 통화 모드의 접속망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는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 및 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채팅, 네트워크 게임, 파일 전송 등의 여러 가지 통화 모드를 다이얼링 번호를 누르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는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에서 다이얼링 번호를 이용하여 특정 통화 모드를 미리 설정함으로써,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호 설정시 통신 네트워크 내의 불필요한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는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일반적인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b는 이동 통신 단말기 간의 여러 가지 통화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SIP 메시지를 이용한 화상 통화를 위한 신호 처리 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3은 종래의 H.323 프로토콜을 이용한 화상 통화를 위한 신호 처리 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4는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통화 모드로 통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통화 모드의 조작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서비스를 적용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서비스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링 넘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과정에서 착신 단말의 응답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듈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서비스를 위한 발신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01 : 발신 단말 603 : 발신측 교환기
605 : 착신 단말 607 : 착신측 교환기
609 : 통신 네트워크 611 : 서비스 제공 장치
1000 : 이동 통신 단말기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발신 단말을 관리하는 발신측 교환기(MSC) 및 적어도 하나의 착신 단말을 관리하는 착신측 교환기(MSC)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발신측 교환기에서 통화 모드별로 통화로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호 접속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호 접속 요구 신호는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 단말 식별자, 상기 착신 단말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 식별자 및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포함함-; 홈 위치 등록기(HLR)로부터 얻은 착신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측 교환기에 ISUP 호 접속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ISUP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착신측 교환기는 상기 착신 단말을 호출함-; 및 상기 착신 단말의 응답에 따라 상기 착신측 교환기와 연동하여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과의 사이에 통화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통화로는 상기 통화 모드 구분 코드에 상응하는 통화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은 상기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인식하는 서비스 교환기(SSP)를 포함하는 무선 지능망(WIN)에 결합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통화 모드 구분 코드에 대한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발신 단말을 관리하는 발신측 교환기(MSC) 및 적어도 하나의 착신 단말을 관리하는 착신측 교환기(MSC)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내에서 상기 발신 단말에서 통화 모드별로 통화로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 호 접속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호 접속 요구 신호는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 단말 식별자, 상기 착신 단말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 식별자, 및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포함함-; 및 상기 발신측 교환기와 상기 착신측 교환기의 연동에 의해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단말 사이에 통화로가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은 상기 통화로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 모드 구분 코드에 상응하는 통화 모드로 통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화 모드 구분 코드는 확장 구분자 및 통화 모드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화 모드는 음성 통화 모드, 회선 데이터 통화 모드 및 패킷 데이터 통화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화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 통화 모드, 상기 회선 데이터 통화 모드 및 상기 패킷 데이터 통화 모드는 음성 망, 회선 교환 망 및 패킷 교환 망을 각각 이용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발신 단말을 관리하는 발신측 교환기(MSC) 및 적어도 하나의 착신 단말을 관리하는 착신측 교환기(MSC)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내에서 통화 모드별로 통화로를 설정하는 발신측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호 접속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호 접속 요구 신호는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 단말 식별자, 상기 착신 단말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 식별자 및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포함함-; 홈 위치 등록기(HLR)로부터 얻은 착신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측 교환기에 ISUP 호 접속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ISUP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착신측 교환기는 상기 착신 단말을 호출함-; 및 상기 착신 단말의 응답에 따라 상기 착신측 교환기와 연동하여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과의 사이에 통화로를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통화로는 상기 통화 모드 구분 코드에 상응하는 통화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측 교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신측 교환기는 상기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인식하는 서비스 교환기(SSP)를 포함하는 무선 지능망(WIN)에 결합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통화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발신 단말을 관리하는 발신측 교환기(MSC) 및 적어도 하나의 착신 단말을 관리하는 착신측 교환기(MSC)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내에서 통화 모드별로 통화로를 설정하는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결합되고, 송신 및 수신 주파수를 분리하는 듀플렉서를 포함하는 고주파 처리부; 상기 고주파 처리부에 결합되고,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 및 주변 장치를 포함하는 기저대역 처리부;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포함한 다이얼링 번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주변 장치; 및 상기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 및 상기 주변 장치에 결합되고, 상기 다이얼링 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모드를 구분 처리하는 통화 모드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서비스를 적용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신자가 발신 단말(601)을 이용하여 착신 단말(605)측으로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포함한 전화번호(이하 '다이얼링 넘버(Dialing Number)'라 한다)를 전송하면, 발신측 교환기(603)는 착신 단말(605)의 위치를 파악한 후, 착신측 교환기(607)로 이동 통신망(609)을 통하여 호 접속 요구 신호를 전송한다. 통화 모드 구분 코드는 확장 구분자와 통화 모드 번호를 포함한다. 그 후, 발신측 교환기(603)는 다이얼링 넘버에 포함된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인식하고 통화 모드 구분 코드에 상응하는 통화 모드 또는 접속/교환 망을 이용하여 착신측 교환기(607)로 호 접속을 요구한다. 한편, 발신측 교환기는 발신자가 가입되어 있는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서비스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지능 주변 장치(Intelligent Peripheral; IP)인 서비스 제공 서버(611)로부터 통화 모드 구분 코드에 대한 인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발신자 및 착신자는 발신자가 선택한 통화 모드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서비스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서비스는 이동 통신 단말(발신 단말)에서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포함한 다이얼링 넘버가 발신되면, 통신망 내의 교환기가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판단하고 특정 통화 모드를 이용하여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사이에 호 설정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다이얼링 넘버에 포함된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판단하는 것은 교환기 이외에 교환기에 결합된 별도의 통화 모드 판단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교환기는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지능망 서비스 호로 인식하는 지능 주변 장치(IP)를 통해 인식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호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지능 주변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한다.
다시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서비스는 이동 통신 단말(발신 단말)이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포함한 다이얼링 넘버를 발신할 때, 이동 통신 단말이 다이얼링 넘버에 포함된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판단한 후, 발신측 교환기로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 단말 식별자와 착신 단말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 식별자를 포함한 호 접속 요구 신호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통신망 내의 교환기는 기존의 방식대로 호 접속 요구 신호에 포함된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따라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사이에 호 설정을 수행한다.
또 다시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서비스는 이동 통신 단말(발신 단말)이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포함한 다이얼링 넘버를 발신할 때, 이동 통신 단말이 다이얼링 넘버에 포함된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판단한 후, 특정 접속 망에 결합된 발신측 교환기로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제외한 호 접속 요구 신호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발신측 교환기는 이동 통신 단말에 의해 선택된 접속 망을 통해 기존의 방식대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사이에 호 설정을 수행한다. 접속 망은 패킷 데이터망, 회선 데이터망, 음성망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이얼링 번호만으로 특정 통화 모드를 선택하여 통화할 수 있다. 즉 발신 단말은 특정 통화 모드를 조작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번거롭게 여러 단계에 걸쳐 조작할 필요가 없다. 또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은 통신망 또는 발신 단말에서부터 선택된 특정 통화 모드로 음성, 데이터 또는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통화할 수 있다. 상기 다이얼링 번호에 대하여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링 번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링 번호는 통신망 번호, 지역 번호, 가입자 국번호, 가입자 개별 번호, 확장 구분자 및 통화 모드 번호로 이루어진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망 번호와 지역 번호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국번호 및 가입자 개별번호는 사용 지역 또는 국가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게다가, 확장 구분자 및 통화 모드 번호는 두 자리수 이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정 자리수로 제한되지 않고 세 자리수 이상의 임의의 자리수로 설정될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다이얼링 번호에 대한 일예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No. 다이얼링 번호 통화 모드 설명
1 02-1234-5678 일반 음성 통화
2 016-111-2246-#-2 데이터 통화 - 착신 단말에 이미지 전송
3 02-2016-1234-*-1 데이터 통화 - 특정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4 016-234-4567-**-01 데이터 통화 - 채팅 사이트 접속
5 018-432-6789-##-03 데이터 통화 - 네트워크 게임 사이트 접속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에서 여러 가지 통화 모드를 구분하기 위하여 확장 구분자 및 통화 모드 번호를 포함한 다이얼링 번호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이용하고자 원하는 통화 모드를 매우 간편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다이얼링 번호를 단축키로 지정함으로써 여러 가지 통화 모드를 더욱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10번 다이얼 단축키에 최근 인기 있는 네트워크 게임 서버에 데이터 통신 모드로 접속하기 위한 다이얼링 번호를 지정 저장하고, 20번 다이얼 단축키에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에 화상 통화 모드로 접속하기 위한 다이얼링 번호를 지정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여러 단계에 걸쳐 반복적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이 매우 간편하게 특정 통화 모드로 접속하여 통화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이 다이얼링 번호를 인식하는 기능을 지원하면,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자는 이동 통신망 내의 교환기에 상관없이 다이얼링 번호를 편리하게 임의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적어도 착신 단말에 대한 전호번호와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포함한 다이얼링 번호를 이동 통신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매우 편리하게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표 2 참조).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또한,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발신측 교환기가 먼저 발신 단말로부터 호 접속 요구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701). 이때, 호 접속 요구 신호는 발신 단말 가입자가 발신 단말에서 다이얼링 번호를 입력하고 통화 버튼을 누름으로써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호 접속 요구 신호는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 단말 식별자와 착신 단말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 식별자 및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포함한다. 통화 모드 구분 코드는 확장 구분자와 통화 모드 번호를 포함한다. 여기서, 확장 구분자는 전화기에 있어서 별표(*) 버튼 및 우물정자(#) 버튼 중 두 번의 버튼 입력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의미한다. 또한, 통화 모드 번호는 전화기에 있어서 0번 버튼 및 1번 내지 9번 버튼 중 두 번의 버튼 입력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의미한다. 물론, 본 발명은 확장 구분자 및 통화 모드 번호가 각각 두 번의 버튼 입력에 의해 생성된 신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사용자 편의를 고려하여 제시한 것이므로, 적절하게 변경가능하다.
이때, 발신 단말로부터 호 접속 요구 신호를 수신한 발신측 교환기는 호 접속 요구 신호에서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검출한다(단계 703). 물론 이때 발신측 교환기는 확장 구분자 뒤에 결합된 통화 모드 번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기존의 호설정 절차에 따라 호 설정을 수행한다. 그 후, 발신측 교환기는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해석한다(단계 705).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해석한 발신측 교환기는 통화 모드 구분 코드에 상응하는 통화 모드 또는 접속 망을 선택한다(단계 711). 이때, 발신측 교환기는 발신 단말 가입자에 의해 선택된 통화 모드에 대하여 여러 차례에 걸친 복잡한 확인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즉 발신측 교환기는 사용자의 통화 모드 구분 코드에 따라 바로 호 설정 과정에 착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간의 호 설정에 있어서, 특정 통화 모드를 지원하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화로 설정할 때, 교환기내 또는 교환기 간의 내부 신호 교환에 따른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후, 발신측 교환기는 착신측 교환기와 연동하여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과의 사이에 호를 설정한다(단계 713). 예를 들면, 발신측 교환기는 홈 위치 등록기(HLR)로부터 얻은 착신 위치 정보에 따라 착신측 교환기에 ISUP 호 접속 요구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발신측 교환기는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ISUP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착신측 교환기는 착신 단말을 호출한다. 그리고 착신 단말이 응답하면,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사이에 호(통화로)가 형성된다.
위 과정의 수행 결과,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은 발신 단말 가입자에 의해 선택된 통화 모드로 설정된 통화로를 이용하여 통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통화 모드 사용에 대한 편리성을 제공한다.
한편,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은 발신측 교환기가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인식하거나 판단하지 않고, 발신측 교환기에 결합된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통화 모드 구분 코드에 대한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단계 707 및 단계 709).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통화 모드 구분 코드에 대한 인식 정보를 발신측 교환기에 전달하므로, 발신측 교환기에서는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서비스를 위한 통화 모드 구분 코드 인식을 위하여 교환기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업그레이드 하거나 교환기에 별도의 하드웨어를 장착할 필요가 없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서비스 제공 장치가 서비스 제어점(SCP)과 결합된 서비스 교환기(SSP)와 연동하는 것으로 주로 언급하였지만, 본 발명은 물론 SCP를 통해 SSP가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인식하고 그 정보를 발신측 교환기에 전달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과정에서 착신 단말의 응답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단말은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서비스를 위한 통화 모드 처리 기능을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발신 단말)에서 발신 단말 가입자에 의해 다이얼링 번호가 입력(단계 800)되면, 발신 단말은 통화 모드 처리부에 의해 다이얼링 번호를 인식한다(단계 801). 그 후, 발신 단말은 다이얼링 번호내에 특정 통화 모드 구분 코드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803). 판단 결과, 특정 통화 모드 구분 코드가 존재하면, 발신 단말은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인식/해석한다(단계 805). 이때, 발신 단말은 통화 모드 구분 코드에 상응하여 설정된 접속 망 및/또는 통화 모드를 메모리 등의 저장 장치에서 읽어낸다. 즉 발신 단말은 착신 단말과의 접속에 사용할 접속 망을 선택한다(단계 807). 또한 발신 단말은 착신 단말과의 접속에 사용할 통화 모드를 선택한다(단계 809). 위의 단계 807 및 단계 809에 있어서 발신 단말 가입자는 발신 단말을 통해 접속 망만을 선택하거나 또는 통화 모드만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발신 단말은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제외한 호 접속 요구 신호를 발신측 교환기로 전송한다(단계 811). 발신측 교환기는 기존의 호 설정 절차에 따라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사이에 호 설정 작업을 수행한다. 위 과정의 수행 결과,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은 발신 단말 가입자에 의해 선택된 통화 모드로 설정된 통화로를 이용하여 통화한다(단계 813).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착신 단말이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단계 901)하면, 착신 단말은 상기 호출 신호에 응답한다(단계 903). 이때, 착신 단말은 특정 통화 모드를 이용한 통화(단계 905)인 경우, 먼저 자체적으로 상기 특정 통화 모드를 지원하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907). 그 판단 결과, 착신 단말이 특정 통화 모드를 지원하면, 착신 단말은 발신 단말 가입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통화 모드로 발신 단말과 통화한다(단계 909). 만약, 착신 단말이 특정 통화 모드를 지원하지 않으면, 착신 단말은 통화 가능한 통화 모드 또는 기본 통화 모드를 이용하여 발신 단말과 통화한다(단계 911). 예를 들어, 화상 통화인 경우, 착신 단말이 화상통화 모드를 지원하지 않으면, 착신 단말은 음성 통화 모드를 설정한 후, 발신 단말과 음성 통화 모드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만을 수행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 주파수 방식의 CDMA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1000)은 안테나(1001), 고주파 처리부(1003) 및 기저대역 처리부(1015)를 포함한다. 고주파 처리부(1003)는 안테나에 결합되고, 송신 및 수신 주파수를 분리하는 듀플렉서(1005), 수신부(Rx; 1007), 송신부(Tx; 1009), 중간 주파수부(IF; 1011, 1013)를 포함한다. 중간 주파수는 1.7~1.8㎓ 대역을 두 단계에 걸쳐서 낮출 때 사용된다. 즉 중간 주파수는 제1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서 100㎒ 부근과 제2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서 5㎒ 부근을 포함한다.
기저대역 처리부(1015)는 모뎀칩(Mobile Station Modem; 1017)을 포함한다. 모뎀칩(1017)은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있는 단말기의 핵심 부품을 말한다. 모뎀칩(1017)은 고주파 처리부(1003)의 중간 주파수부(1011, 1013)에 결합되고 디지털 신호 처리와 호 처리(Call processing)를 담당한다.
또한, 기저대역 처리부(1015)는 주변 장치(1019)를 포함한다. 주변 장치(1019)는 메모리 등의 저장 수단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입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포함한 다이얼링번호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기저대역 처리부(1015)는 통화 모드 처리부(1021)를 포함한다. 통화 모드 처리부(1021)는 모뎀칩(1017) 및 주변 장치(1019)에 결합되고, 상기 다이얼링 번호에 포함된 통화 모드 구분 코드에 따라 통화 모드를 처리한다. 통화 모드는 음성 통화, 화상 통화, 채팅, 네트워크 게임, 파일 전송 등을 위한 음성 통화 모드, 회선 데이터 통화 모드 및 패킷 데이터 통화 모드를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듈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은 다양한 운영체계(OS: Operating System)를 시스템의 OS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OS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1100)에 상위 레벨 명령어를 제공하여 각 응용 모듈(1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동 통신 단말은 API(1100)로부터 제공되는 상위 레벨 명령어에 따라 각 응용 모듈을 식별하고, 상위 레벨 명령어를 디코딩하여 해당 응용 모듈로 제공하는 상위 레벨 명령어 처리부(1103)를 포함한다. 응용 모듈 제어부(1110)는 상위 레벨 명령어 처리부(1103)로부터 제공된 명령어에 따라 응용 모듈(1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위 레벨 명령어 처리부(1103)는 API(1100)를 통하여 제공된 상위 레벨 명령어에 따라 해당 응용 모듈(1120)이 존재하는지를 식별하고, 해당 응용 모듈(1120)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응용 모듈(1120)에서 인식할 수 있는 명령어로디코딩하여 해당 매핑부에 전송하거나 메시지 전송을 제어한다. 여기서, 응용 모듈(1120)은 다이얼링 번호 처리 모듈(1122), 통화 모드 구분 코드 처리 모듈(1124), 통화 모드 처리 모듈(1126) 및 접속 모드 처리 모듈(1128)을 포함한다. 응용 모듈 제어부(1110)는 각 응용 모듈에 대한 매핑부(1112, 1114, 1116, 1118)와 인터페이스부(1113, 1115, 1117, 1119)를 각각 포함한다.
다이얼링 번호 처리 모듈 매핑부(1112)는 상위 레벨 명령어 처리부(1103)로부터 다이얼링 번호의 입력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상위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다이얼링 번호 처리 모듈(1122)에서 처리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그것을 다이얼링 번호 처리 모듈 인터페이스부(1113)를 통하여 다이얼링 번호 처리 모듈(1122)로 제공한다.
통화 모드 구분 코드 처리 모듈 매핑부(1114)는 이동 통신 단말에서 지원하는 통화 모드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통화 모드 설정 정보를 메모리 내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를 요구하는 지를 판단하고 처리하기 위한 부분이다. 즉 통화 모드 구분 코드 처리 모듈 매핑부(1114)는 상위 레벨 명령어 처리부(1103)로부터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처리하기 위한 상위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통화 모드 구분 코드 처리 모듈(1124)이 인식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그것을 통화 모드 구분 코드 처리 모듈 인터페이스부(1115)를 통하여 통화 모드 구분 코드 처리 모듈(1124)로 제공한다.
통화 모드 처리 모듈 매핑부(1116)는 통화 모드 구분 코드 처리 모듈(1124)에 의해 처리된 특정 통화 모드를 이용하여 발신 단말이 특정 통화 모드 상태로 착신 단말과 통화할 수 있도록 발신 단말의 통화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즉 통화 모드 처리 모듈 매핑부(1116)는 상위 레벨 명령어 처리부(1103)로부터 단말기의 특정 통화 모드 상태로 착신 단말과 통화하기 위한 상위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통화 모드 처리 모듈(1126)이 인식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그것을 통화 모드 처리 모듈 인터페이스부(1117)를 통하여 통화 모드 처리 모듈(1126)로 제공한다.
접속 모드 처리 모듈 매핑부(1118)는 통화 모드 구분 코드 처리 모듈(1124)에 의해 처리된 특정 통화 모드에 상응하는 특정 접속 망을 이용하여 착신 단말과의 사이에 통화로를 설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즉 접속 모드 처리 모듈 매핑부(1118)는 상위 레벨 명령어 처리부(1103)로부터 발신 단말이 특정 접속 망을 통해 착신 단말과 접속될 수 있도록 특정 접속 망을 선택하기 위한 상위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접속 모드 처리 모듈(1128)이 인식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그것을 접속 모드 처리 모듈 인터페이스부(1119)를 통하여 접속 모드 처리 모듈(1128)로 제공한다. 앞서 언급한 특정 접속 망은 음성 망, 회선 교환망 및 패킷 교환망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 망을 포함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서비스를 위한 발신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은 자체적으로 통신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통신 모드 설정을 위해 먼저 이동 통신 단말의 초기 화면(1201)에서 통신 모드 설정에 대한 메뉴를 선택한다. 그 후, 사용자는 하위 메뉴 화면(1203)에서 통신 모드를 설정, 변경, 또는 삭제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하위 메뉴 화면(1203)에서 통신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선택한 후, 사용자는 선택한 하위 메뉴에 대한 선택 화면(1205)에서 원하는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확장 구분자와 통화 모드 번호를 입력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링 번호를 참조부호 1207과 같이 설정한다.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다이얼링 번호에 단축키를 설정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표 2와 같이 특정 통화 모드 또는 접속 망을 선택하도록 설정된 다이얼링 번호를 저장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매우 간편하게 특정 통화 모드로 설정된 통화로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과 통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포함한 다이얼링 번호를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접속망을 포함하면서 진화하는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통화 모드 또는 특정 접속망을 간편하게 설정하여 통화할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 통화, 화상 통화, 채팅, 네트워크 게임, 파일 전송 등의 여러 가지 통화 모드를 발신 단말의 다이얼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설정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통신망 내의 교환기 또는 이동 통신 단말에서 특정 통화 모드를 미리 설정함으로써, 진화하는 통신 네트워크 내의 망 연동 장치의 부하를 부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발신 단말을 관리하는 발신측 교환기(MSC) 및 적어도 하나의 착신 단말을 관리하는 착신측 교환기(MSC)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발신측 교환기에서 통화 모드별로 통화로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호 접속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호 접속 요구 신호는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 단말 식별자, 상기 착신 단말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 식별자 및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포함함-;
    홈 위치 등록기(HLR)로부터 얻은 착신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측 교환기에 ISUP 호 접속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ISUP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착신측 교환기는 상기 착신 단말을 호출함-; 및
    상기 착신 단말의 응답에 따라 상기 착신측 교환기와 연동하여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과의 사이에 통화로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통화로는 상기 통화 모드 구분 코드에 상응하는 통화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인식하는 서비스 교환기(SSP)를 포함하는 무선 지능망(WIN)에 결합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통화 모드 구분 코드에 대한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
  3. 적어도 하나의 발신 단말을 관리하는 발신측 교환기(MSC) 및 적어도 하나의 착신 단말을 관리하는 착신측 교환기(MSC)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내에서 상기 발신 단말에서 통화 모드별로 통화로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 호 접속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호 접속 요구 신호는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 단말 식별자, 상기 착신 단말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 식별자, 및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포함함-; 및
    상기 발신측 교환기와 상기 착신측 교환기의 연동에 의해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사이에 통화로가 형성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은 상기 통화로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 모드 구분 코드에 상응하는 통화 모드로 통화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모드 구분 코드는 확장 구분자 및 통화 모드 번호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모드는 음성 통화 모드, 회선 데이터 통화 모드 및 패킷 데이터 통화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화 모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 모드, 상기 회선 데이터 통화 모드 및 상기 패킷 데이터 통화 모드는 음성 망, 회선 교환 망 및 패킷 교환 망을 각각 이용하여 설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
  7. 적어도 하나의 발신 단말을 관리하는 발신측 교환기(MSC) 및 적어도 하나의 착신 단말을 관리하는 착신측 교환기(MSC)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내에서 통화 모드별로 통화로를 설정하는 발신측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호 접속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호 접속 요구 신호는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 단말 식별자, 상기 착신 단말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 식별자 및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포함함-;
    홈 위치 등록기(HLR)로부터 얻은 착신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측 교환기에 ISUP 호 접속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ISUP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착신측 교환기는 상기 착신 단말을 호출함-; 및
    상기 착신 단말의 응답에 따라 상기 착신측 교환기와 연동하여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과의 사이에 통화로를 설정하는 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통화로는 상기 통화 모드 구분 코드에 상응하는 통화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측 교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인식하는 서비스 교환기(SSP)를 포함하는 무선 지능망(WIN)에 결합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통화 모드 구분 코드에 대한 인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측 교환기.
  9. 적어도 하나의 발신 단말을 관리하는 발신측 교환기(MSC) 및 적어도 하나의 착신 단말을 관리하는 착신측 교환기(MSC)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내에서 통화 모드별로 통화로를 설정하는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결합되고, 송신 및 수신 주파수를 분리하는 듀플렉서를 포함하는 고주파 처리부;
    상기 고주파 처리부에 결합되고,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 및 주변 장치를 포함하는 기저대역 처리부;
    통화 모드 구분 코드를 포함한 다이얼링 번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주변 장치; 및
    상기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 및 상기 주변 장치에 결합되고, 상기 다이얼링 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모드를 구분 처리하는 통화 모드 처리부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30052549A 2003-07-30 2003-07-30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0568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2549A KR100568020B1 (ko) 2003-07-30 2003-07-30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2549A KR100568020B1 (ko) 2003-07-30 2003-07-30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088A true KR20050014088A (ko) 2005-02-07
KR100568020B1 KR100568020B1 (ko) 2006-04-05

Family

ID=3722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52549A KR100568020B1 (ko) 2003-07-30 2003-07-30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802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538B1 (ko) * 2006-01-16 2008-03-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서비스의 통화 음질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20852B1 (ko) * 2006-11-27 2008-04-11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08129B1 (ko) 2007-06-29 2009-07-1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메시지의 콜백을 이용한 통화 종류 선택 방법 및 시스템
WO2010017038A3 (en) * 2008-08-07 2010-05-14 Ringcentral, Inc. Remote call control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s and services
US8369847B1 (en) 2010-09-13 2013-02-05 Ringcentral, Inc. Mobile devices having a common communication mode
US8467514B1 (en) 2012-04-09 2013-06-18 Ringcentral, Inc. Cross-platform presence
US8831597B1 (en) 2010-09-02 2014-09-09 Ringcentral, Inc. Unified caller identification across multiple communication modes
US8838082B2 (en) 2008-11-26 2014-09-16 Ringcentral, Inc. Centralized status server for call management of location-aware mobile devices
US8885809B2 (en) 2007-09-28 2014-11-11 Ringcentral, Inc. Techniques for bypassing call screening in a call messaging system
US9084186B2 (en) 2008-11-24 2015-07-14 Ringcentral, Inc. Call management for location-aware mobile devices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538B1 (ko) * 2006-01-16 2008-03-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서비스의 통화 음질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20852B1 (ko) * 2006-11-27 2008-04-11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08129B1 (ko) 2007-06-29 2009-07-1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메시지의 콜백을 이용한 통화 종류 선택 방법 및 시스템
US9258673B2 (en) 2007-09-28 2016-02-09 RingControl, Inc. Centralized status server for call management of location-aware mobile devices
US9948775B2 (en) 2007-09-28 2018-04-17 Ringcentral, Inc. Techniquest for bypassing call screening in a call messaging system
US9736756B2 (en) 2007-09-28 2017-08-15 Ringcentral, Inc. Centralized status server for call management of location-aware mobile devices
US9571641B2 (en) 2007-09-28 2017-02-14 Ringcentral, Inc. Techniques for bypassing call screening in a call messaging system
US8885809B2 (en) 2007-09-28 2014-11-11 Ringcentral, Inc. Techniques for bypassing call screening in a call messaging system
US8369265B2 (en) 2008-08-07 2013-02-05 Ringcentral, Inc. Remote call control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s and services
WO2010017038A3 (en) * 2008-08-07 2010-05-14 Ringcentral, Inc. Remote call control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s and services
US9084186B2 (en) 2008-11-24 2015-07-14 Ringcentral, Inc. Call management for location-aware mobile devices
US8838082B2 (en) 2008-11-26 2014-09-16 Ringcentral, Inc. Centralized status server for call management of location-aware mobile devices
US8831597B1 (en) 2010-09-02 2014-09-09 Ringcentral, Inc. Unified caller identification across multiple communication modes
US9002350B1 (en) 2010-09-02 2015-04-07 Ringcentral, Inc. Unified caller identification across multiple communication modes
US9215317B2 (en) 2010-09-02 2015-12-15 Ringcentral, Inc. Unified caller identification across multiple communication modes
US8954059B1 (en) 2010-09-13 2015-02-10 Ringcentral, Inc. Mobile devices having a common communication mode
US9743439B2 (en) 2010-09-13 2017-08-22 Ringcentral, Inc. Mobile devices having a common communication mode
US8369847B1 (en) 2010-09-13 2013-02-05 Ringcentral, Inc. Mobile devices having a common communication mode
US8817963B2 (en) 2012-04-09 2014-08-26 Ringcentral, Inc. Cross-platform presence
US8467514B1 (en) 2012-04-09 2013-06-18 Ringcentral, Inc. Cross-platform pres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8020B1 (ko)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77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xed mode personal communication
US5699413A (en) Voice data modem, voice data method and voice data modem system
KR100396280B1 (ko) 착신호 전환 방법
US8077853B2 (en) VoIP adapter, IP network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advanced VoIP functions
WO2011003192A1 (en) Two-way radio based unified communications system
KR101013368B1 (ko) 휴대 단말기의 다자간 통화처리방법 및 장치
KR100568020B1 (ko)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 및 장치
CA213579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bound cal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fixed communication units coupled to a telephone system by a telephone line shared in common
US8014383B2 (en) Communication system
US20070288600A1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file transfers from voice endpoints
US8744517B2 (en) Mobile terminal with the function of wired communication
US20030114147A1 (en) Hold service on wireless calls
WO2002009372A1 (en) Internet video phone
KR100607703B1 (ko) 듀얼모드 착발신 전화 단말기
KR20070013325A (ko) 개선된 통신 접속을 개시하는 방법 및 전기 통신 시스템
KR100393633B1 (ko) 웹폰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 호와 전화망 호 간의 외부 호포워딩방법
KR1005213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상태 서비스 방법
KR101207035B1 (ko) 다자간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다자간 통화 서비스 방법
KR100574656B1 (ko) 그룹 착신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4129157A (ja) 電話装置
JP3125616B2 (ja) パーソナル移動通信装置
KR100470545B1 (ko)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화상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20070121605A1 (en) Telephone line switching apparatus, telephone line switching system, telphone relay system, telephone relay method, telephone relay program
KR20050117875A (ko) 유엠티에스 시스템에서 안내방송을 이용한 공중망단말기와의 서비스 처리 방법
KR10066341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상태정보 확인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