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3664A - 파이프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3664A
KR20050013664A KR1020050004193A KR20050004193A KR20050013664A KR 20050013664 A KR20050013664 A KR 20050013664A KR 1020050004193 A KR1020050004193 A KR 1020050004193A KR 20050004193 A KR20050004193 A KR 20050004193A KR 20050013664 A KR20050013664 A KR 20050013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on
pipe members
coupl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상
Original Assignee
이경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상 filed Critical 이경상
Priority to KR1020050004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3664A/ko
Publication of KR20050013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66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을 가지며 상,하 수직으로 위치하는 파이프부재들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상호간의 접촉력으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하 수직으로 서로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단부에 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제 1,2파이프부재와, 그 제 1,2파이프부재의 내부로 상,하단부가 각각 수용되어 결합되며 일측과 타측이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며 그 분리된 상,하부에 체결공이 각각 형성된 제 1,2연결부와, 그 제 1,2연결부의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어 그 나사 결합으로 제 1,2연결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결합부재로 대별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 1,2파이프부재 및 연결구 상호간의 결합시 내부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작동소음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를 삭제하여 단순구조로 외관상 미려함을 줄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PIPE}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경이 동일하며 상,하 수직으로 연결되는 파이프부재들 사이에 마련되어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함과 아울러, 연결된 후에 파이프들의 유동이 억제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길이가 길며 속이 빈 둥근 형태로 이루어져 액체 및 가스등의 유로를 형성하는 것 뿐만 아니라, 가로등이나 속이 빈 상태의 긴 제품을 제작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산업 건설용 및 일반 가정용 물품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파이프는 단품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개가 연결되어 보다 긴 길이를 요구하는 곳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연결을 위해 파이프들간의 연결부위를 용접이나 별도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서로 분리되어 있던 파이프들을 하나로 일체화시켜 사용하고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여기서는 가정용 물품, 일 예로 침대 프레임에 채용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그 파이프들의 연결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수직으로 서로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통공(12)(22)이 각각 형성되는 제 1,2파이프부재(10)(20)와, 상,하단부가 그 제 1,2파이프부재(10)(20)의 내부로 수용되며 중간부위에 환형의 플랜지부(35)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통공(12)(22)들에 대응되는 체결구멍(34)이 각각 형성되며 중공(32)이 형성된 연결구(30)와, 제 1,2파이프부재(10)(20)의 외측에 위치하며 연결구(30)를 제 1,2파이프부재(10)(20)에 각각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구(40)가 마련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 결합구(40)는 제 1,2파이프부재(10)(20)의 통공(12)(22)들과 연결구(30)의 체결구멍(34)에 대응하는 결합공(42)이 각각 상,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는, 볼트 또는 나사등의 체결부재(50)가 결합구(40)의 결합공과 제 1,2파이프부재(10)(20)들의 통공(12)(22)을 각각 관통하여 연결구(30)의 체결구멍(34)에 나사 결합되어 체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 파이프 연결구조는, 연결구(30)의 플랜지부(35)를 기준으로 상,하부가 제 1,2파이프부재(10)(20)들의 내경과 접촉되도록 끼움 결합시키고, 이어서 연결구(30)의 체결구멍(34)과 제 1,2파이프부재(10)(20)들의 통공(12)(22)을 각각 수평으로 일치시킨 후에, 결합구(40)를 그 결합된 부위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체결부재(미도시)를 결합공(42)과 통공(12)(22)에 관통시켜 연결구(30)의 체결구멍(34)에 나사 결합시킨다.
이때, 그 연결구(30)는 체결부재(50)의 체결시 조임력에 의해 제 1,2파이프부재(10)(20)들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고, 그 플랜지부(35)가 상,하로 연결된 제 1,2파이프부재(10)(20)들의 연결부위의 틈새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 1,2파이프부재(10)(20)는 연결구(30) 및 결합구(40)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화되어 침대 모서리에 위치하는 프레임의 일부분을 구성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결합과정을 갖는 종래 파이프 연결구조는 연결구(30)가 제 1,2파이프부재(10)(20)들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결합구(40)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그 연결구의 외경과 제 1,2파이프부재(10)(20)들의 내경 사이에 약간의 틈새로 인한 유격이 발생하게 되고, 이 유격으로 인해 상,하로 연결된 제 1,2파이프부재(10)(20)들의 좌,우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침대 프레임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때 외부로부터 힘이 전달될 경우 서로 부딪혀 소음이 발생하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결합구가 외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파이프부재들을 연결구로 연결할 때 내부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단순구조로 외관상 미려함을 줄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파이프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파이프 연결구조의 일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2연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2연결부가 결합된 상태로 제 1,2파이프부재들중 하나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파이프부재의 내부에 삽입된 제 1,2연결부의 하부를 외측으로 팽창시켜 파이프부재의 내주면에 밀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제 2파이프부재의 내부에 일부 삽입된 제 1,2연결부의 상부측에 제 1파이프부재를 결합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 제 1파이프부재에 삽입된 제 1,2연결부의 상부를 조임 상태를 풀어서 외측으로 팽창시켜 제 1파이프부재의 내주면에 밀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1,2파이프부재의 내부에 제 1,2연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상태도이다.
도 9a, 9b는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구가 다른 파이프부재에 채용되는 실시예들을 각각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0 : 제 1,2파이프부재 12,22 :(제 1,2파이프부재의)통공
110,120 : 제 1,2연결부 112,122 : 연결 프레임
114,116,124,126 : 제 1,2연결면
210,220 : 체결공 212,222 : (체결공의)나사산
310 : 돌기 410 : 결합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 수직으로 서로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제 1,2파이프부재와,
상기 제 1,2파이프부재의 내부로 상,하단부가 각각 수용되고 일측과 타측이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며 상,하부에 나사산을 갖는 체결공이 각각 형성된 제 1,2연결부와,
상기 제 1,2연결부의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 1,2연결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 상기 제 1,2연결부는 상기 체결공이 상,하부에 형성되고 양측단이 서로 대칭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연결 프레임과,
상기 연결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2파이프부재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 1,2연결면으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제 1,2연결면의 상,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각각 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조는,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조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하 수직으로 서로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단부에 통공(12)(22)이 각각 형성되는 제 1,2파이프부재(10)(20)와, 그 제 1,2파이프부재(10)(20)의 내부로 상,하단부가 각각 수용되어 결합되며 일측과 타측이 서로대칭되는 형상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며 그 분리된 상,하부에 체결공(210,220)이 각각 형성된 제 1,2연결부(110)(120)와, 그 제 1,2연결부(110)(120)의 체결공(210,220)에 나사 결합되어 그 나사 결합으로 제 1,2연결부(110)(12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결합부재로 대별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제 1,2연결부(110)(120)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되며 상,하부에 체결공(210,220)이 각각 형성되고 양측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되는 연결 프레임(112)(122)과, 그 연결 프레임(112)(122)의 좌,우 측단의 양측에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제 1,2파이프부재(10)(2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 1,2연결면(114,124)(116,126)으로 구성된다.
또, 그 체결공(210,22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212,22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결합부재(410)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제 1,2연결부(110)(120)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다.
그리고, 결합부재(410)는 체결공(210,220)의 나사산(212,222)과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사 또는 볼트(무드볼트)를 채용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나사로 표현하기로 한다.
또한, 제 1,2연결면(114,124)(116,126)에는 그 상,하부에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310)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으며, 이는 제 1,2연결면(114,124)(116,126)의 상부와 하부중 하나가 제 1,2파이프부재(10)(20)들중의 하나에 해당되는 내주면과 먼저 접촉됨에 따라 접촉되지 않은 부위가 오므라들게 되어 파이프부재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구조는, 제 1,2연결부(110)(120)의 체결공(210,220)들이 결합부재(410)에 의해 조여져 서로 적정 간격을 갖도록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그 제 1,2연결부(110)(120)의 하부를 제 2파이프부재(20)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삽입시키고, 이어서 제 2파이프부재(20)의 통공(22)을 통해서 드라이버를 관통시켜 결합부재(4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조임력을 다소 완화시키면, 제 1,2연결부(110)(120)의 양측 체결공(210,220)에 체결된 결합부재(410)가 풀리게 됨에 따라 제 1,2연결부(110)(120)간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면서 각기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 2파이프부재(20)의 내주면과 면접촉된다.
그 제 1,2연결부(110)(120)의 제 1,2연결면(114,124)(116,126)은 그 하부가 각각 제 2파이프부재(20)의 내주면에 면접촉되고, 이때 그 하부에 형성된 돌기(310)가 먼저 제 2파이프부재(20)의 내주면에 접촉되므로, 그 반작용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 제 1,2연결부(110)(120)의 상부가 도면에서와 같이 상호간의 간격이 오므라드는 형태로 좁아지게 되어 내측으로 좁아드는 간격(ℓ)만큼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 1,2연결부(110)(120)의 상부가 끼움 결합되는 제 1파이프부재(10)와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서, 그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제 1파이프부재(10)의 통공(12)을 통해 제 1,2연결부(110)(120)의 상부 체결공(210,220)에 체결된 결합부재(410)를 일방향으로 풀어서 그 조임력을 다소 해제시키면, 제 1,2연결부(110)(120)의 상부 또한 앞서 동작된 하부와 마찬가지로 상호간의 간격이 더 멀어지게 되어 제 1파이프부재(10)의 내주면과 면접촉되도록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과정을 갖게 된다.
한편, 결합된 제 1,2파이프부재(10)(20)를 탈거하고자 할 때에는, 다시 결합부재(410)를 조여서 제 1,2연결부(110)(120)와의 간격을 밀착시키면 제 1,2파이프부재(10)(20)와의 면 접촉력이 해제되어 쉽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a 및 도 9b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구조가 형태가 다른 파이프부재들의 연결부위에도 채용될 수 있으며, 이는 제 1,2연결부(110)(120)로 이루어진 파이프 연결구가 상,하측에 위치하는 제 1,2파이프부재(10)(20)의 내부에 삽입 수용되어 결합부재(410)의 조임력에 의해 외측으로 확장 및 수축 가능하도록 된 구조로 된 것이다.
즉, 제 1,2연결부(110)(120)의 외측면이 제 1,2파이프부재(10)(20)의 형태에 따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그 파이프부재들의 형태나 크기에 관계없이 연결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중공을 가지며 상,하 수직으로 위치하는 파이프부재들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상호간의 접촉력으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호간의 결합시 내부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작동소음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를 삭제하여 단순구조로 외관상 미려함을 줄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갖는다.

Claims (3)

  1. 상,하 수직으로 서로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통공(12)(22)이 각각 형성되는 제 1,2파이프부재(10)(20)와,
    상기 제 1,2파이프부재(10)(20)의 내부로 상,하단부가 각각 수용되고 일측과 타측이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며 상,하부에 나사산(212,222)을 갖는 체결공(210,220)이 각각 형성된 제 1,2연결부(110)(120)와,
    상기 제 1,2연결부(110)(120)의 체결공(210,220)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 1,2연결부(110)(12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결합부재(41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연결부(110)(120)는 상기 체결공(210,220)이 상,하부에 형성되고 양측단이 서로 대칭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연결 프레임(112)(122)과,
    상기 연결 프레임(112)(122)의 좌,우 양측에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2파이프부재(10)(2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 1,2연결면(114,124)(116,12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연결면(114,124)(116,126)의 상,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310)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조.
KR1020050004193A 2005-01-17 2005-01-17 파이프 연결구조 KR20050013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193A KR20050013664A (ko) 2005-01-17 2005-01-17 파이프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193A KR20050013664A (ko) 2005-01-17 2005-01-17 파이프 연결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399U Division KR200380541Y1 (ko) 2005-01-17 2005-01-17 파이프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664A true KR20050013664A (ko) 2005-02-04

Family

ID=3722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193A KR20050013664A (ko) 2005-01-17 2005-01-17 파이프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36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3665A (zh) * 2021-12-27 2022-04-01 安徽京深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防侧翻升降机标准节连接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3665A (zh) * 2021-12-27 2022-04-01 安徽京深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防侧翻升降机标准节连接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0541Y1 (ko) 파이프 연결구조
KR101137201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구조
KR20050013664A (ko) 파이프 연결구조
JP3228071U (ja) 加工しやすい縮径管を用いる取付用構造
KR100747253B1 (ko) 엔진 본체와 엔진커버 결합장치
KR20010002131U (ko) 주방가구의 다리 체결장치
KR100542147B1 (ko) 관이음용 플랜지
KR200392716Y1 (ko) 스프링클러 리듀서 장착장치
KR101054220B1 (ko) 테이블용 결합유니트
KR20050026801A (ko) 가요전선관의 커넥터
KR200375670Y1 (ko) 식탁 또는 탁자용 연결 고정구
KR200417340Y1 (ko) 커튼봉 고정구
KR20200123920A (ko) 슬리브형 나사 연결구
CN109778605A (zh) 一种新型插接式钢轨接头
KR100653917B1 (ko) 전해조용 케이스
KR200187865Y1 (ko) 배관용 파이프 고정구의 파이프행어와 연결부재 체결상태고정구조
KR200232203Y1 (ko) 수도관이음용니플
KR200241013Y1 (ko) 행거용 프레임 연결구
KR200411288Y1 (ko) 파이프 조립구조
KR200141762Y1 (ko) 자동차 도어트림의 취부구조
KR200306421Y1 (ko) 감시용 돔 카메라 케이블 고정장치
KR920003999Y1 (ko) 조립식 장식블럭의 체결장치
KR200261538Y1 (ko) 광접속함체의 결합구조
KR0130323Y1 (ko) 침대의 측판 연결부재
KR200295600Y1 (ko) 벨트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