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3240A -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용 사용자 선택가능한 경보 모드를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용 사용자 선택가능한 경보 모드를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3240A
KR20050013240A KR10-2004-7021066A KR20047021066A KR20050013240A KR 20050013240 A KR20050013240 A KR 20050013240A KR 20047021066 A KR20047021066 A KR 20047021066A KR 20050013240 A KR20050013240 A KR 20050013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alert
user
alarm
signal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1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코트 알랜 켄댈
개빈 리 존스톤
존 더글라스 머렐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50013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24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25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digital non-picture data, e.g. of text during the active part of a television fra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08B25/085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using central distribution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3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affect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4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comprising emergency warn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긴급 경보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는, 긴급 이벤트의 유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선택가능한 경보 모드에 따른 경보 출력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는, 긴급 이벤트의 유형을 나타내는 긴급 경보 신호를 포함하는 주파수를 튜닝하는 튜너(2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7)는 긴급 경보 신호에 응답하여 경보 출력을 인에이블하는데, 그 경보 출력은 긴급 이벤트의 유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선택가능한 경보 모드에 따라 제공된다.

Description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용 사용자 선택가능한 경보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SELECTABLE ALERT MODES FOR A TELEVISION SIGNAL RECEIVER}
악천후, 자연 재해, 화재, 민간 긴급 사태, 전쟁, 중독성 화학물 유출, 방사선 누출과 같은 긴급 이벤트, 또는 그러한 상황은, 준비되지 않은 개인을 황폐화시킬 수 있다. 날씨와 관련된 비상 사태에 있어서, National Weather Service(NWS) 및 National Oceanograph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NOAA)과 같은 기관은, 일반 대중에 앞서 악천후의 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 Doppler 레이더 및 기상 위성과 같은 현대적 기상 검출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NWS 및 NOAA는, 악천후 상황에 대한 초기 경보를 내려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경보가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계획된 수신자들과 통신되어야만 한다.
특정 라디오 및 스캐너는 NWS 및 NOAA에 의해 제공되는 긴급 경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디바이스는 수신용으로만 사용되며, 이러한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것 이상의 기능이 있더라도, 일반적으로 소비자에게는 거의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날씨와 관련된 긴급 사태의 진척된 경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소비자들은 가격이 비쌀 수도 있는 별도의 지정 디바이스를 구입해야 한다.
그러한 디바이스가 갖는 또다른 문제점은, 특정 긴급 사태에서 경보를 수신하는 방식에 관한 옵션을 소비자에게 제공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어떤 디바이스는, 긴급 이벤트에 의해 영향을 받는 특정 지리적 영역을 나타내는 Specific Area Message Encoding(SAME) 데이터, 긴급 이벤트의 유형(예, 토네이도, 중독성 화학물 유출, 방사선 누출, 민간 긴급 사태 등) 및 이벤트 경보의 만료 시간을 수신함으로써 긴급 이벤트를 검출한다. 그러한 디바이스를 사용하면, 긴급 이벤트가 발생할 때, 오디오 메시지와 같은 경보 출력이, 개인에게 긴급 이벤트의 경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는 긴급 이벤트 시 제공되는 경보 출력의 유형을 선택하지만, 경보 출력의 선택된 유형 또는 모드는, 모든 유형의 긴급 이벤트에 사용된다. 즉, 그러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소비자는 이벤트 대 이벤트 기반의 경보를 수신하는 방식을 지정하지 못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든 유형의 긴급 이벤트에 대한 공통 경보 모드는 소비자에게 혼란을 줄 수도 있고, 심지어는 소비자를 위험하게 할 수도 있는데, 이는, 특정 긴급 이벤트가 즉시 행동을 취할 수도 있는 이벤트(예, 토네이도 경보)인지, 또는 무시할 수도 있는 이벤트(예, 뇌우 주의보)인지를, 소비자가 경보 출력으로부터 용이하게 결정할 수 없기 때문일 수도 있다. 더욱이, 모든 유형의 긴급 이벤트에 대해 공통 경보 모드를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소비자를 경보 출력에 대해 무관심하게 할 수도 있는데, 이는, 모든 경보 출력이 비슷하거나 동일한 것처럼 보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소비자는 경보 출력을 무시하기 쉽고, 이로 인하여 위험한 상황에 노출되기 쉬울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예방하는 긴급 경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논점을 다룬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르면, 긴급 경보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를 개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는, 긴급 이벤트의 유형을 나타내는 긴급 경보 신호를 포함하는 주파수를 튜닝하기 위한 튜닝 수단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수단은 긴급 경보 신호에 응답하여 경보 출력을 인에블하는데, 그 경보 출력은 긴급 이벤트의 유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선택가능한 경보 모드에 따라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르면, 긴급 경보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긴급 이벤트의 유형을 나타내는 긴급 경보 신호를 포함하는 주파수를 튜닝하는 단계, 및 긴급 경보 신호에 응답하여 경보 출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그 경보 출력은 긴급 이벤트의 유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선택가능한 경보 모드에 따라 제공된다.
본 발명은 표시 디바이스를 구비 또는 구비하지 않은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긴급 이벤트의 유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선택가능한 경보 모드에 따른 경보 출력을 제공할 수 있는 긴급 경보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긴급 경보 기능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적당한 예시적인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의 또다른 다이어그램.
도 5는 도 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본 발명의 상술한 특성 및 장점, 그리고 이들을 이루기 위한 방식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여 좀더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정하는 예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며, 그러한 예시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하지는 않는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적당한 예시적인 환경(100)을 보여준다. 도 1에서, 환경(100)은, 신호 전송 소스(10)와 같은 신호 전송 수단, 거주 유닛(15)(예, 1, 2, 3...N, 여기서 N은 임의의 양의 정수)과 같은 거주 수단 및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와 같은 신호 수신 수단을 포함한다.
도 1에 있어서, 거주 유닛(15)은, 특정 지리적 영역에 위치한 주택, 회사 및/또는 거주지를 표현할 수도 있지만, 특정 대륙, 국가, 지역, 주, 시외 국번, 우편번호, 시, 군, 지방자치체, 구역, 및/또는 다른 정의가능한 지리적 영역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거주 유닛(15) 각각은, 긴급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긴급 경보 기능은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를 인에이블하여, 긴급 경보 신호를 수신하고, 긴급 이벤트를 개인에게 통지하는 하나 이상의 경보 출력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는, 긴급 이벤트의 유형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선택가능한 경보 모드에 따른 하나 이상의 경보 출력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전송 소스(10)는, 각각의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는 긴급 경보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긴급 경보 신호는, NWS와 같은 기관, 또는 정부 엔티티 등의 다른 기관으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다. 긴급 경보 신호에 응답하여, 각각의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는 하나 이상의 경보 출력을 제공하여, 긴급 이벤트를 개인에게 통지할 수도 있다. 신호 전송 소스(10)는 그러한 긴급 경보 신호를, 지상, 케이블, 위성, 광섬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및/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방송 및/또는 멀티캐스트 수단과 같은 임의의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에 전송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도 2에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는, 신호 수신 소자(21)와 같은 신호 수신 수단, 튜너(22)와 같은 튜닝 수단, 복조기(23)와 같은 복조 수단,오디오 증폭기(24)와 같은 오디오 증폭 수단, 스피커(25)와 같은 오디오 출력 수단, 디코더(26)와 같은 디코딩 수단, 프로세서 및 메모리(27)와 같은 프로세싱 수단 및 메모리 수단, 비디오 프로세서(28)와 같은 비디오 프로세싱 수단, 및 디스플레이(29)와 같은 영상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예를 들어 집적회로(IC)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의 종래의 구성 요소를 도 2에서는 도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신호 수신 소자(21)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신호 소스, 예를 들어 도 1의 신호 전송 소스(10)로부터 수신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디지털적으로 인코드된 긴급 경보 신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신호 수신 소자(21)는, 안테나, 입력 단말기 또는 다른 소자와 같은 임의의 신호 수신 소자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튜너(22)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튜닝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튜너(22)는 오디오 신호를 적어도 다음과 같은 지정 NWS 주파수에 튜닝할 수 있다: 162.400㎒, 162.425㎒, 162.450㎒, 162.475㎒, 162.500㎒, 162.525㎒ 및 162.550㎒. 다른 주파수도 또한 튜닝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그러한 오디오 신호는 디지털적으로 인코드된 긴급 경보 신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복조기(23)는 튜너(22)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복조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복조기(23)는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여, NWS 오디오 메시지, 경보 톤 및/또는 다른 오디오 콘텐츠와 같은 오디오 콘텐츠를 표현하는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오디오 증폭기(24)는 프로세서(27)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복조기(23)로부터의 오디오 신호 출력을 증폭한다. 스피커(25)는 오디오 증폭기(24)로부터 제공되는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청각적으로 출력한다.
디코더(26)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디코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26)는 복조기(23)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를 디코드하여, 긴급 이벤트를 나타내는 긴급 경보 신호를 표현한 디지털적으로 인코드된 주파수 편이 방식(FSK) 신호를 추출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긴급 경보 신호는 긴급 이벤트와 관련된 SAME 데이터를 구비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SAME 데이터는, 긴급 이벤트에 의해 영향을 받는 특정 지리적 영역, 긴급 이벤트의 유형(예, 토네이도, 중독성 화학물 유출, 방사선 누출, 민간 긴급 사태 등) 및 이벤트 경보의 만료 시간과 같은 정보를 표현하는 디지털 코드를 포함한다. SAME 데이터는 NWS 및 다른 기관에 의해 사용되어, 긴급 경보의 특수성을 향상시키며, 잘못된 경보의 빈도를 감소시킨다. 다른 데이터와 정보도 본 발명에 따른 긴급 경보 신호에 포함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27)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의 다양한 프로세싱 및 데이터 저장 기능을 수행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는 디코더(26)로부터 긴급 경보 신호를 수신하며,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의 긴급 경보 기능이, 긴급 경보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활성화되는지를 결정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는 긴급 경보 신호내의 데이터와, 메모리(27)에 저장된 사용자 셋업 데이터를 비교하여, 긴급 경보 기능이 활성화되는지를 결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의 긴급 경보 기능에 대한 셋업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적용가능한 지리적 영역과 같은 항목과, 긴급 경보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긴급 이벤트의 유형(예, 토네이도, 중독성 화학물 유출, 방사선 누출, 민간 긴급 사태 등)을 선택하도록 한다.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의 긴급 경보 기능이 활성화될 때, 프로세서(27)는, 다양한 동작을 인에이블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그러한 제어 신호는 하나 이상의 경보 출력(예, 청각 및/또는 시각)을 인에이블하여, 개인에게 긴급 이벤트를 통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러한 경보 출력은, 긴급 이벤트의 특정 유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선택가능한 경보 모드에 따라 제공된다. 그러한 제어 신호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의 다른 동작, 예를 들어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를 오프/스탠바이 모드에서 온 모드로 스위치되도록 인에이블할 수도 있다.
비디오 프로세서(28)는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프로세스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그러한 비디오 신호는, NWS 텍스트 메시지와 같은 임베디드 메시지 및/또는 긴급 이벤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는 다른 메시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디오 프로세서(28)는, 폐쇄형 캡션 표시를 인에이블하는 폐쇄형 캡션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29)는, 프로세서(28)로부터 제공되는 처리된 신호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시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9)는, 긴급 이벤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는 상술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시각적 표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30)를 보여준다. 예시 및 그에 대한 설명을 위하여, 도 3의 단계는 도 2의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의 단계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단계 31에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의 긴급 경보 기능에 대한 셋업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9)를 통해 표시되는 온-스크린 메뉴에 응답하여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예, 도시하지 않은 원격 제어 디바이스를 사용), 이러한 셋업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그러한 온-스크린 메뉴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기능의 부분일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계 31에서의 셋업 프로세스 동안, 적어도 다음의 항목을 선택할 수도 있다:
A.인에이블/디스에이블- 사용자는 긴급 경보 기능을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B.주파수 선택- 사용자는 긴급 경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튜닝할 모니터링 주파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다음의 NWS 전송 주파수 중 하나와 같은 주파수를 선택할 수도 있다: 162.400㎒, 162.425㎒, 162.450㎒, 162.475㎒, 162.500㎒, 162.525㎒ 및 162.550㎒.
C.이벤트 유형- 사용자는, 긴급 경보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긴급 이벤트의 하나 이상의 유형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민간 긴급 사태, 전쟁, 및/또는 토네이도 경보와 같은 이벤트는 긴급 경보 기능을 활성화시키지만, 뇌우 경보와 같은 이벤트는 긴급 경보 기능을 활성화시키지 않도록 지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NWS 및/또는 다른 경보 메커니즘에 의해 제공된 종래의 경보 오디오 톤이 긴급 경보 기능을 활성화시키는지를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이한 중대성 또는 경보 레벨(예, 성명(聲明), 주의보, 경보 등)은 상이한 "이벤트"를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뇌우 주의보는 뇌우 경보와 다른 이벤트로 간주될 수도 있다.
D.지리적 영역-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관심있는 지리적 영역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대륙, 국가, 지역, 주, 시외 국번, 우편 번호, 시, 군, 지방자치체, 구역, 및/또는 다른 정의가능한 지리적 영역을 선택할 수도 있다.
E.경보 모드- 사용자는, 긴급 경보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각 유형의 긴급 이벤트에 대한 하나 이상의 경보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긴급 경보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각 유형의 긴급 이벤트를 위해 제공될 시각 및/또는 청각적 출력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시각적 메시지(예, 폐쇄형 캡션 표시로서의 NWS 텍스트 메시지)를 표시, 및/또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를 특정 채널에 튜닝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경보 톤(예, 종소리, 사이렌 등) 및/또는 오디오 메시지(예, NWS 오디오 메시지)와, 각각의 소정의 볼륨을 청각적으로 출력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다른 유형의 경보 출력이 본 발명에 의해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단계 31에서 항목 C 및 E에 대한 사용자 선택은, 도 4에 도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0)와 같은 단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40,50)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의 또다른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특히, 도 4는, 단계 31의 항목 C 및 E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40)를 설명하고, 또한 경보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도 5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후술되는 또다른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50)을 보여준다.
도 4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40)는 이벤트 유형의 목록(41)(예, 항목 C), 이벤트 유형(41)에 대응하는 사용자 선택가능한 경보 모드(42∼44)(예, 항목 E) 및 예시적인 온-스크린 메시지(45)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에 영향을 미쳐(예, 도시하지 않은 원격 제어 디바이스를 사용함), 이벤트 유형(41)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경보 모드(42∼44)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양한 스크린 사이에서 토글(toggle)하여 상이한 이벤트 유형(41)을 볼 수도 있다. 도 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에 도시한 특정 이벤트 유형(41), 경보 모드(42∼44) 및 온-스크린 메시지(45)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그와 다른 이벤트 유형, 경보 모드 및 온-스크린 메시지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보 모드(42,43)의 사용자 선택으로 인하여, 체크 표시가 특정 이벤트 유형(41)에 대응하는 행(row)에 나타난다. 유사하게, 경보 모드(44)의 사용자 선택으로 인하여, 항목 "CHIME" 또는 "SIREN"이 특정 이벤트 유형(41)에 대응하는 행에 나타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사용자가, 특정 이벤트 유형(41)이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의 긴급 경보 기능을 활성화시키지 않도록 원한다면, 경보 모드(42,43)는 선택되지 않고(즉, 체크 표시가 없음), 경보 모드(44)는 "NONE"으로 설정된다(예, CHILD ABDUCTION EMERGENCY).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40)로 인하여, 사용자는 (1) 긴급 경보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이벤트 유형(즉, 단계 31의 항목 C)과, (2) 긴급 경보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각 이벤트 유형에 대한 대응 경보 모드(즉, 단계 31의 항목 E) 양쪽을 지정한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40)는, 사용자가 이벤트 대 이벤트 기반에 대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의 긴급 경보 기능에 의해 제공되는 경보 출력을 지정하도록 인에이블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설명하고 있는 것과는 다른 메뉴 선택이 단계 31에서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단계 31의 셋업 프로세스 동안,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프로세서(27)의 제어하에 메모리(27)에 저장된다.
단계 32에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는, 긴급 경보 신호를 위한 단계 31의 셋업 프로세스 동안,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즉, 항목 B)를 모니터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튜너(22)는 선택된 주파수를 모니터하여, 입력되는 긴급 경보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가 턴 온, 턴 오프될 때를 포함하는 모든 동작 모드 동안, 및/또는 기록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콘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주파수를 모니터링하여 긴급 경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33에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의 긴급 경보 기능이 활성화되는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는, 입력되는 긴급 경보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와, 단계 31의 셋업 프로세스로부터 메모리(27)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이러한 결정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긴급 경보 신호는, 긴급 이벤트의 유형(예, 토네이도, 중독성 화학물 유출, 방사선 누출, 민간 긴급 사태 등)과, 긴급 이벤트에 의해 영향을 받는 특정 지리적 영역을 포함하는 정보를 표현하는 SAME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는, SAME 데이터와, 메모리(27)에 저장된 단계 31의 셋업 프로세스로부터의 대응 데이터(즉, 항목 C 및 D)를 비교하여, 긴급 경보 기능이 활성화되는지를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의 긴급 경보 기능은, 긴급 경보 신호에 의해서 지시되는 긴급 이벤트가, 단계 31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지리적 영역 및/또는 이벤트 유형에 대응할 때에만 활성화된다.
단계 33에서의 결정이 부정적이면, 프로세스의 흐름은, 튜너(22)가 선택 주파수를 계속해서 모니터하는 단계 32로 다시 루프된다. 대안적으로, 단계 33에서의 결정이 긍정적이면, 프로세스의 흐름은,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가, 단계 31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경보 모드(즉, 항목 E)에 따른 하나 이상의 경보 출력을 제공하여, 개인에게 긴급 이벤트를 통지하는 단계 34로 진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그러한 경보 출력은 본질적으로 시각 및/또는 청각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NWS 텍스트 메시지와 같은 시각적 메시지는, 단계31의 셋업 프로세스 동안의 사용자 선택에 의해 디스플레이(29)를 통해 폐쇄형 캡션 표시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종소리, 사이렌 등과 같은 청각적 출력 및/또는 NWS 오디오 메시지 또는 모든 위험 경보 시스템(All Hazards Alert System)으로부터의 메시지와 같은 오디오 메시지는, 단계 31의 셋업 프로세스 동안의 사용자 선택에 의해 스피커(25)를 통해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31에서의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경보 출력이, 단계 34에서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보 출력은,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의 앞쪽 표시 패널상의 표시기(indicator) 소자를 통해 제공되어, 개인에게 긴급 이벤트를 통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경보 출력에 대해서는 단계 3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설명하고 있는 것과는 다른 유형의 청각 및/또는 시각적 경보 출력이, 본 발명에 따른 단계 34에서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단계 35에서, 사용자는, 도 4의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50)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경보 출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50)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의 앞쪽 표시 패널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0)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의 앞쪽 표시 패널과 별도로 포함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의 원격 제어 디바이스와 같은 또다른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는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50)는, 표시기 소자(51∼54)와 같은 표시기 수단과, 제어 소자(55∼57)와 같은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기 소자(51∼54)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의 긴급 경보 기능에 관한 시각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 소자, 액정 표시(LCD) 소자, 액체 수정 진동자 표시(LQD) 소자 및/또는 다른 표시기 소자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기 소자(51∼54)는, 단계 31에서의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지 않는 경보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표시기 소자(51∼54)는, 긴급 경보 기능이 활성화되는 매 시간마다 시각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표시기 소자(51∼54)는, 긴급 경보 기능이 활성화될 때, 적어도 하나의 경보 출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는 점을 보증한다. 예시를 위하여, 도 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50)가 네 개의 표시기 소자를 구비한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표시기 소자의 개수는 본 발명에 따른 설계적인 선택 사항일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기 소자(51)는 녹색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의 긴급 경보 기능이 사용 중이고, 긴급 경보 신호가 수신될 때 조명될 수도 있다. 또한, 표시기 소자(52∼54)는 상이한 색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긴급 이벤트에 관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도록 조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기 소자(52)는 노란색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성명 또는 권고 레벨의 경보를 표현하도록 조명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표시기 소자(53)는 오랜지색을 나타낼 수도 있고, 주의보 레벨의 경보를 표현하도록 조명될 수도 있으며, 표시기소자(54)는 빨간색을 나타낼 수도 있고, 경보 레벨의 경보를 표현하도록 조명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이한 경보 레벨은, 본 발명에 따른 상이한 긴급 이벤트를 표현할 수도 있다. 상술한 것과는 다른 색, 및/또는 도 5에 도시한 것과는 다른 표시기 소자(51∼54)용 레벨이,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기 소자(52∼54)는, 긴급 경보 기능이 활성화될 때, 지속적으로 조명되는 것보다는 번쩍일 수도 있는데(예, 동일한 간격의 밝음과 어둠을 이용하여 초당 4회 번쩍거림), 이는, 일반적으로 번쩍이거나 깜박거리는 빛이 사용자의 주의를 더 많이 끌기 때문이다. 그러나, 번쩍거림과 지속적인 조명의 결합도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성명 레벨의 경보가 발생하면, 표시기 소자(52)는 초기에 깜박거려 사용자의 주의를 끌 수도 있다. 이러한 깜박거림은,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동안, 또는 사용자가 제어 소자(55∼57) 중 하나를 경유하는 입력과 같은 입력을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에게 제공할 때까지 계속될 수도 있다.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가 경과하거나, 사용자가 입력을 제공하면, 표시기 소자(52)는 지속적으로 조명될 수도 있다. 표시기 소자(53,54)는, 주의보 레벨의 경보 및 경보 레벨의 경보에 대해서 각각 비슷하게 동작할 수도 있다. 표시기 소자(51∼54)의 번쩍거림과 지속적인 조명을 결합하기 위한 기술이,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소자(55∼57)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의 경보 출력의 사용자 제어를 인에이블하며, 예를 들어, 키, 버튼 및/또는사용자가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의 경보 출력을 제어하도록 인에이블하는 다른 제어 소자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시를 위하여, 도 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50)는 세 개의 제어 소자를 구비한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제어 소자의 개수는 본 발명에 따른 설계적인 선택 사항일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소자(55)는 토글 스위치로서 동작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디스플레이(29)를 통해 폐쇄형 캡션 표시로서 제공되는 NWS 텍스트 메시지와 같은 시각적 메시지를 턴 온 및 턴 오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9)에 시각적 메시지가 존재하면, 제어 소자(55)는 그 메시지를 턴 오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29)에 시각적 메시지는 없지만, 긴급 경보 기능이 활성화되면(예, 표시기 소자(52∼55) 중 하나가 깜박거림), 제어 소자(55)는 시각적 메시지를 턴 온하여, 그 메시지가 디스플레이(29)에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제어 소자(55)는, 특정 긴급 이벤트의 소정의 발생에 대한 경보 출력을 턴 온 및 오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가 오프/스탠바이 모드이면, 제어 소자(55)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를 온 모드로 스위치하며, 시각적 표시를 턴 온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소자(57)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스피커(25)를 통해 제공되는 종소리, 사이렌 등과 같은 경보음을 턴 오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보음이 활성화되면, 제어 소자(57)는 경보음을 턴 오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소자(55,56)도 경보음을 턴 오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그러한 경보음에 대한 세 가지 상이한 설정이 존재할 수도 있다: 오프, 종소리, 또는 사이렌(도 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의 경보 모드(44) 참조).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종소리는 조용하지만 인식가능한 소리인 반면, 사이렌은 시끄러우면서도 다급한 소리이다. 그러한 경보음은, 예를 들어 소정의 볼륨 레벨에서 시작하여,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최대 볼륨 레벨로 점차적으로 증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임의의 제어 소자(55∼57)를 사용하여 경보음을 턴 오프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매우 성가신 경보음이 되기 전에, 사용자가 경보음을 빨리 턴 오프하도록 인에이블하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소자(55∼57)는, 긴급 경보 기능이 활성화될 때 적어도 하나의 경보 출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표시기 소자(51∼54)를 완전하게 턴 오프하기 위해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한 것과는 다른 제어 소자(55∼57)용 라벨이, 본 발명에 의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50)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다른 유형의 표시기, 표시 및/또는 제어 수단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긴급 이벤트의 유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선택가능한 경보 모드에 따른 경보 출력을 제공할 수 있는 긴급 경보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표시 디바이스를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문구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는, 표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세트, 컴퓨터 또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 또는 장치, 세트톱 박스, 비디오 카세트 리코더(VCR),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플레이어, 비디오 게임 박스, 개인용 비디오 리코더(PVR), 표시 디바이스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는 컴퓨터 또는 다른 장치와 같은 시스템 또는 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설계를 구비한 것으로서 설명되지만, 본 개시물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사용하는 임의의 변형물, 사용물 또는 개조물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더욱이, 본 출원은, 본 발명의 개시에서는 벗어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되거나 관습적인 관례 내에 있고, 첨부되는 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1)

  1. 긴급 경보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로서,
    긴급 이벤트의 유형을 나타내는 긴급 경보 신호를 포함하는 주파수를 튜닝하는 튜너(22), 및
    상기 긴급 경보 신호에 응답하여 경보 출력-상기 경보 출력은 상기 긴급 이벤트의 유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선택가능한 경보 모드에 따라 제공됨-을 인에이블하는 프로세서(27)
    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경보 출력을 턴 온 및 오프하도록 인에이블하는 인터페이스(50)를 더 포함하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27)는 상기 긴급 경보 신호에 응답하여 다수의 경보 출력을 인에이블하며, 상기 다수의 경보 출력은 상기 긴급 이벤트의 유형에 대응하는 다수의 사용자 선택가능한 경보 모드에 따라 제공되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경보 출력 중 적어도 하나는 시각적 출력인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경보 출력 중 적어도 하나는 청각적 출력인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
  6.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경보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턴 온 및 오프하도록 인에이블하는 인터페이스(50)를 더 포함하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경보 출력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완전하게 턴 오프될 수 없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
  8. 긴급 경보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로서,
    긴급 이벤트의 유형을 나타내는 긴급 경보 신호를 포함하는 주파수를 튜닝하기 위한 튜닝 수단(22), 및
    상기 긴급 경보 신호에 응답하여 경보 출력-상기 경보 출력은 상기 긴급 이벤트의 유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선택가능한 경보 모드에 따라 제공됨-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프로세싱 수단(27)
    을 포함하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
  9.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경보 출력을 턴 온 및 오프하도록 인에이블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50)을 더 포함하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수단(27)은 상기 긴급 경보 신호에 응답하여 다수의 경보 출력을 인에이블하며, 상기 다수의 경보 출력은 상기 긴급 이벤트의 유형에 대응하는 다수의 사용자 선택가능한 경보 모드에 따라 제공되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경보 출력 중 적어도 하나는 시각적 출력인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경보 출력 중 적어도 하나는 청각적 출력인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경보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턴 온 및 오프하도록 인에이블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50)을 더 포함하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경보 출력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완전하게 턴 오프될 수 없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
  15. 긴급 경보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0)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30)으로서,
    긴급 이벤트의 유형을 나타내는 긴급 경보 신호를 포함하는 주파수를 튜닝하는 단계(32), 및
    상기 긴급 경보 신호에 응답하여 경보 출력-상기 경보 출력은 상기 긴급 이벤트의 유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선택가능한 경보 모드에 따라 제공됨-을 제공하는 단계(34)
    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경보 출력을 턴 온 및 오프하도록 인에이블하는 단계(35)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경보 신호에 응답하여 다수의 경보 출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경보 출력은 상기 긴급 이벤트의 유형에 대응하는 다수의 사용자 선택가능한 경보 모드에 따라 제공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경보 출력 중 적어도 하나는 시각적 출력인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경보 출력 중 적어도 하나는 청각적 출력인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경보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턴 온 및 오프하도록 인에이블하는 단계(35)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경보 출력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완전하게 턴 오프될 수 없는 방법.
KR10-2004-7021066A 2002-06-27 2003-06-19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용 사용자 선택가능한 경보 모드를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500132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9190802P 2002-06-27 2002-06-27
US39191002P 2002-06-27 2002-06-27
US60/391,910 2002-06-27
US60/391,908 2002-06-27
PCT/US2003/019519 WO2004004305A2 (en) 2002-06-27 2003-06-19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selectable alert modes for a television signal recei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240A true KR20050013240A (ko) 2005-02-03

Family

ID=30003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1066A KR20050013240A (ko) 2002-06-27 2003-06-19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용 사용자 선택가능한 경보 모드를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550305A4 (ko)
JP (1) JP2006515720A (ko)
KR (1) KR20050013240A (ko)
AU (1) AU2003243692A1 (ko)
CA (1) CA2490775A1 (ko)
MX (1) MXPA04012985A (ko)
WO (1) WO200400430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2988A1 (en) * 2004-12-15 2008-05-29 Gavin Lee Johnston Multi-Tuner Apparatus for Providing an Emergency Alert Function
EP2000999A1 (de) * 2007-06-09 2008-12-10 e* Message Wireless Information Services GmbH System und Verfahren zur Übermittlung einer Warnmeldung über ein Funknetzwerk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6488A (en) * 1983-03-23 1984-10-09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Control circuit for CATV alert system
US5121430C2 (en) * 1991-02-19 2002-09-10 Quad Dimension Inc Storm alert for emergencies
US5495283A (en) * 1993-09-13 1996-02-27 Albrit Technologies Ltd. Cable television video messaging system and headend facility incorporating same
JP3690531B2 (ja) * 1994-08-04 2005-08-31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出力装置
JP3132398B2 (ja) * 1996-09-20 2001-02-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割り込みサービス処理装置
US6543051B1 (en) * 1998-08-07 2003-04-01 Scientific-Atlanta, Inc. Emergency alert system
US6177873B1 (en) * 1999-02-08 2001-01-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eather warn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10030664A1 (en) * 1999-08-16 2001-10-18 Shulman Le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icon interactivity
US6278375B1 (en) * 1999-09-24 2001-08-21 Wade A. Hucker Severe storm warning device
KR20010102187A (ko) * 1999-12-16 2001-11-15 요트.게.아. 롤페즈 저전력 모드에서 라디오 및 텔레비전 수신기들로 비상경고들을 방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7114169B1 (en) * 2000-03-31 2006-09-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Geographically specific signal communications receiver
JP2002026833A (ja) * 2000-06-30 2002-01-25 Toshiba Corp 緊急放送受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04305A2 (en) 2004-01-08
CA2490775A1 (en) 2004-01-08
JP2006515720A (ja) 2006-06-01
AU2003243692A1 (en) 2004-01-19
EP1550305A4 (en) 2005-10-12
EP1550305A2 (en) 2005-07-06
AU2003243692A8 (en) 2004-01-19
WO2004004305A3 (en) 2004-03-25
MXPA04012985A (es) 200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29206A1 (en) Television signal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emergency alert signals
US20090141173A1 (en) Apparatus Having an Emergency Alert Function With Priority Override Feature
US200502738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selectable alert modes for a television signal receiver
KR20050077007A (ko) 긴급 경보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용 이벤트마스킹
KR20050074623A (ko) 비상 경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50121699A (ko) 응급 경보 기능이 있는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JP2006506902A (ja) 緊急警報機能を有する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MXPA05005215A (es) Aparato y metodo para proporcionar salidas de alerta.
US200902248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mergency Alert Function with Adjustable Volume Control
US20060123444A1 (en) Self-diagnostic test for apparatus having an emergency alert function
KR20050013240A (ko)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용 사용자 선택가능한 경보 모드를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6507584A (ja) 緊急警報機能を有する装置が再配置されたか否かを検知する方法
WO2007001280A1 (en) Apparatus having an emergency alert function capable of detecting redundant notifications
US20060156333A1 (en) Distance check for television signal receiver having an emergency alert function
KR20080020630A (ko) 중복 통보를 검출할 수 있는 긴급 경보 기능을 갖는 장치
KR20080032077A (ko) 우선 순위 무효화 특징을 가지는 비상 경보 기능을 구비한장치
KR20080016868A (ko) 로케이션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비상 경보 기능을 가지는장치
MXPA05010596A (en) Apparatus having an emergency alert function with single button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