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2600A - 고온에서 사용 가능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온에서 사용 가능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2600A
KR20050012600A KR1020030051718A KR20030051718A KR20050012600A KR 20050012600 A KR20050012600 A KR 20050012600A KR 1020030051718 A KR1020030051718 A KR 1020030051718A KR 20030051718 A KR20030051718 A KR 20030051718A KR 20050012600 A KR20050012600 A KR 20050012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carbide
weight
mixture
ad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0209B1 (ko
Inventor
백일현
박상도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51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209B1/ko
Publication of KR20050012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2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42Use of binding agents;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ed sorb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12Metals or metal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B01D2253/104 or B01D2253/1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700℃ 이상의 고온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탄화물과 부재료로서 무기바인더 및 첨가제를 혼합하고 이의 혼합물에 시드와 유기바인더를 첨가하여 성형한 후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여 700℃ 이상의 고온에서 이산화탄소의 흡착, 탈착이 가능하고 장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온에서 사용 가능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은
탄화물과 부재료를 혼합하는 단계와,
탄화물과 부재료의 혼합물에 시드를 주입하고 유기바인더를 첨가하여 성형하는 단계와,
성형 후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온에서 사용 가능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arbondioxide adsorbent in using high temperature}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700℃ 이상의 고온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화석연료 사용 시스템은 연료를 공기(산소농도 21vol%)와 반응시킨 후 발생되는 연소열을 이용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때 지구온난화의 주요물질로 알려진 이산화탄소의 분리는 연소배가스 중 함유되어 있는 이산화탄소(5∼15%)를 분리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는 재래식 분리방법으로 연소 후 탈탄소화(post-combustion decarbonization)라고 칭하고 있다. 이러한 재래식 이산화탄소 분리방법으로 흡수법, 흡착법, 막분리법, 하이브리드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중 흡착법은 연소배가스 중에서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제올라이트, 활성탄 등의 고체 흡착제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재래식 이산화탄소 분리방법은 100℃ 이하의 온도에서 이산화탄소와 흡착제와의 물리적인 친화력에 의하여 연소배가스 중 이산화탄소를 흡착한 후 분리할 수 있으나, 700℃ 이상의 고온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분리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현재 개발 중인 화석연료 사용 시스템은 순수 산소를 사용하여 연소하거나, 수소를 산소와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공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은 신개념의 이산화탄소 분리와 연계되는 기술로 연소배가스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반응 중 이산화탄소를 분리함으로써 기존 분리공정 없이 이산화탄소를 원천 분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연소 전 탈탄소화(pre-combustion decarbonization)라고 칭하고 있다. 이 공정은 재래식 분리방법의 경제성 제고를 통한 이산화탄소 분리에 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700℃ 이상의 고온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분리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한국 특허출원 제2000-0045429호에 알칼리 금속 대 마그네슘의 원자비를 0.006 내지 2.60 범위로 한 산화마그네슘 함유 고체 흡착제,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으로 개선시킨 산화마그네슘 함유 고체 흡착제를 사용하여 300℃ 내지 500℃의 온도 범위에서 가스 스트림(stream)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흡착하는 것에 관한 내용이 있다. 또한 한국 특허출원 제1996-0071539호에 종래의 흡착제 또는 흡착제로서 사용가능한 물질로 된 담지체에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산화물 혹은 수산화물 혹은 탄산염 등을 담지시킴으로써 이산화탄소에 대한 흡착제 표면의 친화도를 높여, 냉각단계 없이 100℃∼250℃ 온도의 이산화탄소 함유 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분리, 흡착시킬 수 있는 이산화탄소 고온분리용 흡착제 및 그의 제조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본원발명의 내용과 그 기술적 구성이 다르고, 또한 본원발명의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700℃ 이상의 고온에서도 이산화탄소의 흡착능을 보여종래 기술 보다 발명의 효과에 있어서 우수하다.
본원발명은 탄화물과 부재료로서 무기바인더 및 첨가제를 혼합하고 이의 혼합물에 시드와 유기바인더를 첨가하여 성형한 후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여 700℃ 이상의 고온에서 이산화탄소의 흡착, 탈착이 가능하고 장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흡착제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이산화탄소 흡착제 사진.
도 3은 열중량천칭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흡착제에 대한 10회 흡착, 탈착 반복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흡착제에 대한 1회 소성한 후 주사현미경 사진(2,500배).
도 5는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10회 흡착, 탈착 반복실험 후 주사현미경 사진(2,500배).
도 6은 고정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이산화탄소 10회 흡착, 탈착 반복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제립기를 나타낸 사진.
도 8은 시험예 2에서 사용한 반응기를 나타낸 사진.
본 발명의 고온에서 사용 가능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은
탄화물과 부재료를 혼합하는 단계와,
탄화물과 부재료의 혼합물에 시드를 주입하고 유기바인더를 첨가하여 성형하는 단계와,
성형 후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탄화물은 탄산칼슘(CaCO3)을 70∼96중량%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부재료는 무기바인더와 첨가제를 포함한다.
무기바인더는 성형성 유지를 위해 벤토나이트, 점토, 몬모릴로나이트, 운모, 고령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바인더 1∼5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성형성 유지를 위해 첨가하는 바인더를 1중량% 미만 사용하면 성형성 유지에 부족하며,5중량% 초과하면 성형성 유지에 뚜렷한 효과의 상승이 없어 성형성 유지를 위한 바인더는 1∼5중량%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소결성 유지를 위해 장석, 플로오르화칼륨(KF), 플로오르화나트륨(NaF) 플로오르화칼슘(CaF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바인더 1∼5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소결성 유지를 위해 첨가하는 바인더를 1중량% 미만 사용하면 소결성 유지에 부족하며, 5중량% 초과하면 소결성 유지에 뚜렷한 효과의 상승이 없어 소결성 유지를 위한 바인더는 1∼5중량% 사용하는 것이 좋다.
첨가제는 흡착제의 강도증진을 위해 칼슘티타네이트(calcium titanate, CaTiO3), 전분, 젤라틴(gelatin), 메틸셀룰로우스(methylcellulos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1∼7중량%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흡착제의 강도증진을 위해 사용하는 첨가제를 1중량% 미만 사용하면 흡착제의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있고, 7중량% 초과하여 사용하면 흡착제의 강도에 별다를 차이가 없어 본 발명에서 흡착제의 강도증진을 위해 사용하는 첨가제는 1∼7중량%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흡착제의 기공성 향상을 위해 그래파이트, 펄라이트, 버미규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1∼7중량%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흡착제의 기공성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첨가제는 1중량% 미만 사용하면 흡착제의 기공성이 적어지는 문제가 있고, 7중량% 초과하여 사용하면 흡착제의 기공성 향상에 차이가 없어 본 발명에서 흡착제의 기공성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첨가제는 1∼7중량% 사용하는 것이 좋다.
탄화물과 부재료는 분말상태로 하여 혼합하고 회전식 제립기 내에 분말상태의 탄화물과 부재료의 혼합물을 넣은 후 회전시키면서 혼합물에 시드를 주입한다. 이때 회전속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탄화물과 부재료의 혼합물이 잘 혼합시키기 위해서 100∼1,000rpm으로 회전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에서 탄화물과 부재료를 응집시키는 역할을 하는 시드(seed)는 탄화물과 부재료를 응집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드의 일예로서 산화알루미륨(Al2O3), 산화티탄(TiO2), 산화세륨(CeO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입자를 사용하거나 또는 유리, 세라믹, 석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무기물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시드는 탄화물 중량에 대해 0.5∼2%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드의 입자경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예로 0.05∼0.2mm의 입자경을 가지는 시드를 사용할 수 있다.
탄화물과 부재료의 혼합물에 시드를 주입한 후 유기바인더로서 폴리비닐알콜, 폴리에칠렌옥사이드, 폴리에칠렌글리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1∼10중량% 첨가한 수용성 용액을 탄화물 중량에 대해 2∼10%를 첨가하여 흡착제를 성형한다. 이때 흡착체의 성형체는 표면적이 넓은 구형(求刑)으로 성형하는 것이 좋다.
성형된 흡착제는 탄산염의 소성온도에 따라 900∼1100℃의 온도에서 소성하여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제조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이산화탄소 흡착제를포함한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이들에 의해 본원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를 도 1의 제조공정도에 의해 설명하고자 한다.
탄화물로 순도 99.9%, 입자크기 0.5㎛인 탄산칼슘 80중량%을 사용하였다.
무기바인더로서 하기 표 1의 성상을 가지는 장석 5중량% 및 벤토나이트 5중량%를 사용하였다. 첨가제로서 칼슘티타네이트 5중량% 및 그래파이트 5중량%를 사용하였다.
상기의 탄산칼슘과 장석, 벤토나이트, 칼슘티타네이트 및 그래파이트를 분말상태로 하여 혼합하였다.
상기의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도 7의 회전식 제립기에 넣고 100∼200rpm 회전속도를 유지하면서 0.05∼0.2mm의 입자경을 가지는 시드(seed)를 첨가하고 유기바인더인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을 탄산칼슘 중량에 대해 4%을 스프레이로 분사시켜 구형으로 성형된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이때 시드는 무기물입자로서 산화알루미늄을 탄산칼슘 중량에 대해 30% 사용하였다.
전기의 구형 흡착제를 900∼950℃ 온도의 로에서 소성하여 도 2와 같은 지름 3±0.05cm인 구형의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표 1. 장석 및 벤토나이트 성상
성분 SiO2 Al2O3 Fe2O3 CaO MgO K2O Na2O TiO2 MnO P2O5 기타
장석(%) 69.6 16.9 1.77 0.59 0.27 4.62 4.63 0.06 0.43 0.02 1.11
벤토나이트(%) 45.4 34.1 5.09 0.26 0.41 0.63 0.61 0.38 0.07 0.02 13.03
<실시예 2>
탄산칼슘 84중량% 장석 4중량%, 벤토나이트 4중량%, 칼슘티타네이트 4중량%, 그래파이트 4중량%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형의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탄산칼슘 88중량% 장석 3중량%, 벤토나이트 3중량%, 칼슘티타네이트 3중량%, 그래파이트 3중량%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형의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열중량천칭을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흡착제에 대하여 이산화탄소 흡착, 탈착 반복실험을 통한 신뢰성 및 내구성을 조사하였다.
반복실험에서는 이산화탄소 10%와 질소 90%가 혼합된 가스를 100㎖/min으로 연속적으로 흘려보내면서 반응온도 750℃에서 2시간 흡착 후 950℃에서 2시간 탈착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의 흡착, 탈착 반복실험한 결과 실험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흡착량은 일정함을 보이고 있다. 또한 1회 흡착반응보다는 반복실험이 증가할수록 안정된 흡착능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흡착제를 1회 소성한 후 나타낸 사진인 도 4와 이산화탄소의 흡착, 탈착을 10회 반복실험 후 나타낸 사진인 도 5와 같이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비교할 때, 흡착제를 1회 소성한 후 보다 흡착, 탈착을 10회 반복실험 후 흡착제 구성 입자조직이 치밀해졌기 때문에 흡착반응의 안정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신뢰성 및 내구성이 좋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고정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흡착제에 대하여 이산화탄소 흡착, 탈착 반복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때 흡착실험은 도 8의 2.54cm 반응기를 이용하였다. 흡착제 충진은 반응기 중심에 케이 타입 열전대를 설치한 후 반응기 하단에 알루미나 볼을 충진한 다음 중앙에 흡착제를 충진하였다.
질소가스를 100cc/min으로 반응기내로 흘러보내면서 흡착 설정온도까지 상승시키다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질소가스 대신 흡착실험용 가스(이산화탄소 10% + 질소 90%)로 전환시킨 후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흡착실험 후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이산화탄소 분석기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도 6은 1기압, 750℃에서 흡착 2시간과 탈착 1시간을 10번 반복 수행한 결과이다. 반복실험에서는 흡착제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흡착시 재현성을 관찰하는 것이 목적임으로 흡착곡선, 즉 파과곡선만을 도시하였다. 도 6에서 흡착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파과곡선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C/Co = 시간 경과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농도 변화/이산화탄소 초기 농도
흡착실험에서 10회 반복실험의 최대 흡착량은 0.92±0.2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제조된 흡착제는 반복운전시 재현성이 있음을 보이고 있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시험예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700℃ 이상의 고온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장기간 흡착, 탈착 반복운전시 재현성 있는 흡착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기존의 연소 후 이산화탄소를 분리공정의 경제성을 제고시켜 연소전 이산화탄소 원천분리공정의 핵심 흡착재료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흡착제를 분리재료로 사용하여 저비용 이산화탄소 원천분리공정을 개발한다면, 앞으로 기후변화협약에 대비한 경제성이 제고된 이산화탄소 분리기술을 개발할 수 있다.

Claims (10)

  1. 탄화물과 부재료를 혼합하는 단계와,
    탄화물과 부재료의 혼합물에 시드를 주입하고 유기바인더를 첨가하여 성형하는 단계와,
    성형 후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에서 사용 가능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탄화물은 탄산칼슘(CaCO3) 70∼96중량%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에서 사용 가능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부재료는 벤토나이트, 점토, 몬모릴로나이트, 운모, 고령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바인더 1∼5중량%와 장석, 플로오르화칼륨(KF), 플로오르화나트륨(NaF) 플로오르화칼슘(CaF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바인더 1∼5중량%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에서 사용 가능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부재료는 강도증진을 위해 칼슘티타네이트, 전분, 젤라틴, 메틸셀룰로우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1∼7중량%와 기공성 향상을 위해 그래파이트, 펄라이트, 버미규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1∼7중량%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에서 사용 가능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탄화물과 부재료의 혼합물을 100∼1,000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시드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에서 사용 가능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시드(seed)는 산화알루미륨(Al2O3), 산화티탄(TiO2), 산화세륨(CeO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입자를 탄화물 중량에 대해 0.5∼2%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에서 사용 가능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시드는 유리, 세라믹, 석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무기물입자를 탄화물 중량에 대해 0.5∼2%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에서 사용 가능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유기바인더는 폴리비닐알콜, 폴리에칠렌옥사이드, 폴리에칠렌글리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1∼10중량% 첨가한 수용성 용액을 탄화물 중량에 대해 2∼10%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에서 사용 가능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소성은 900∼1100℃에서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에서 사용 가능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10.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이산화탄소 흡착제.
KR1020030051718A 2003-07-26 2003-07-26 고온에서 사용 가능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KR100550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718A KR100550209B1 (ko) 2003-07-26 2003-07-26 고온에서 사용 가능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718A KR100550209B1 (ko) 2003-07-26 2003-07-26 고온에서 사용 가능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600A true KR20050012600A (ko) 2005-02-02
KR100550209B1 KR100550209B1 (ko) 2006-02-08

Family

ID=37224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718A KR100550209B1 (ko) 2003-07-26 2003-07-26 고온에서 사용 가능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020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933B1 (ko) * 2004-07-31 2007-01-12 한국전력공사 고비표면적을 갖는 이산화탄소 회수용 건식 재생 흡수제의제조방법
KR100725266B1 (ko) * 2006-05-03 2007-06-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산화탄소 흡착종이, 그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착소자 및그의 제조방법
KR100771230B1 (ko) * 2006-09-13 2007-10-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산화탄소 흡착제와 촉매를 함유하는 세라믹 화이버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1052829A1 (ko) * 2009-10-30 2011-05-05 한국전력공사 배가스용 이산화탄소 흡수제 및 그 제조방법
US10906024B2 (en) 2015-03-23 2021-02-02 Basf Corporation Carbon dioxide sorbents for indoor air quality control
US11229897B2 (en) 2016-02-12 2022-01-25 Basf Corporation Carbon dioxide sorbents for air quality contro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303B1 (ko) 2009-10-30 2012-06-12 한국전력공사 배가스용 이산화탄소 흡수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34834A (ko) * 2010-10-01 2012-04-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아민계 물질이 함침된 입상형 이산화탄소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933B1 (ko) * 2004-07-31 2007-01-12 한국전력공사 고비표면적을 갖는 이산화탄소 회수용 건식 재생 흡수제의제조방법
KR100725266B1 (ko) * 2006-05-03 2007-06-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산화탄소 흡착종이, 그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착소자 및그의 제조방법
KR100771230B1 (ko) * 2006-09-13 2007-10-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산화탄소 흡착제와 촉매를 함유하는 세라믹 화이버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1052829A1 (ko) * 2009-10-30 2011-05-05 한국전력공사 배가스용 이산화탄소 흡수제 및 그 제조방법
GB2490261A (en) * 2009-10-30 2012-10-24 Korea Electric Power Corp Carbon dioxide absorbent for exhaust ga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9138682B2 (en) 2009-10-30 2015-09-22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Carbon dioxide absorbent for exhaust ga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GB2490261B (en) * 2009-10-30 2017-03-08 Korea Electric Power Corp Carbon dioxide absorbent for exhaust ga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10906024B2 (en) 2015-03-23 2021-02-02 Basf Corporation Carbon dioxide sorbents for indoor air quality control
US11229897B2 (en) 2016-02-12 2022-01-25 Basf Corporation Carbon dioxide sorbents for air quality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0209B1 (ko) 2006-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One-step synthesis of porous Li4SiO4-based adsorbent pellets via graphite moulding method for cyclic CO2 capture
Yu et al. Activation strategies for calcium-based sorbents for CO2 capture: a perspective
Valverde Ca-based synthetic materials with enhanced CO 2 capture efficiency
EP1682264B1 (en) Pre-treatment of lime-based sorbents using hydration
Florin et al. Synthetic CaO-based sorbent for CO2 capture
Wang et al. Molten sodium-fluoride-promoted high-performance Li4SiO4-based CO2 sorbents at low CO2 concentrations
Bretado et al. A new synthesis route to Li4SiO4 as CO2 catalytic/sorbent
JP5457962B2 (ja) 二酸化炭素捕捉材
RU2008125057A (ru) Корковый катализатор,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окисления метанола в формальдегид,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0550209B1 (ko) 고온에서 사용 가능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JP2013184163A (ja) 二酸化炭素吸着剤、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二酸化炭素捕集モジュール
US9108859B2 (en) Engineered process of manufacturing calcium aluminate carbonates for medium-high temperature CO2 capture
KR20130109061A (ko) 이산화탄소 흡착제,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모듈
US7744845B2 (en) Synthesis of lithium zirconate
KR20090033300A (ko) 저온 재생 가능한 알칼리 금속계 이산화탄소 분리용 고체흡수제
KR100293204B1 (ko) 이산화탄소고온분리용흡착제및그제조방법
KR101735174B1 (ko) 이산화탄소 제거를 위한 리튬실리케이트 기반 고온용 건식 흡수제의 제조 방법 및 고온용 이산화탄소 건식 흡수제
JP2004358390A (ja) 二酸化炭素吸収材
RU2745486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ысокотемпературных сорбентов со2
KR101623712B1 (ko) 산화 마그네슘계 이산화탄소 흡수제의 제조방법
JP3857667B2 (ja) 炭酸ガス吸収材、炭酸ガス吸収材の製造方法、炭酸ガスの吸収方法、炭酸ガス分離方法及び炭酸ガス分離装置
JPS62294424A (ja) 廃ガスを浄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Izidoro et al. Application of high-purity zeolite A synthesized from different coal combustion by-products in carbon dioxide capture
JPH11104491A (ja) COおよびNOxの酸化触媒
KR101910805B1 (ko) 강도가 향상된 이산화탄소 흡수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강도가 향상된 이산화탄소 흡수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