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0758A - 광학 필터와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필터와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0758A
KR20050010758A KR10-2004-7013413A KR20047013413A KR20050010758A KR 20050010758 A KR20050010758 A KR 20050010758A KR 20047013413 A KR20047013413 A KR 20047013413A KR 20050010758 A KR20050010758 A KR 20050010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ance
optical filter
support
wavelength
filt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카오노리히사
다카하시다이키
후카사와히로요시
마츠다히데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50010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75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7Means associated with the outside of the vessel for shielding, e.g. magnetic shiel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9Optical or photographic arrangements structurally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9Optical or photographic arrangements structurally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the vessel
    • H01J29/898Spectral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필터와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광학 필터(100)는 투광성을 갖는 지지체를 포함하며, 450∼650nm의 파장 영역에서 575±20nm의 범위 내의 특정 파장에서 최대 흡수율을 갖고, 이 광학 필터(100)는 지지체의 중앙부의 소정 파장(λ)에서의 투과율을 “T1(λ)”이라고 하고, 상기 지지체의 주변부의 소정 파장(λ)에서의 투과율을 “T2(λ)”로 했을 때,
의 관계를 만족하며, 또 400∼700nm의 임의의 2 파장(λ1, λ2)에서의 투과율에 대해,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학 필터와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OPTICAL FILTER AND DISPLAY UNIT PROVIDED WITH THIS}
표시 장치로서 대표적인 음극선관에 대해, 예를 들면 특허 제2801600호 공보에 의하면 콘트라스트를 개선하기 위해, 특정 파장(예를 들면 450nm, 530nm, 550nm, 630nm 등)에서의 투과율의 비가 소정 범위가 되는 광 필터가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에서는 진공 외관용기의 내부가 높은 진공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진공 외관용기에 압축 응력 및 인장 응력이 생기고 있다. 이 때문에 진공 외관 용기에 기계적 충격이 가해지면 폭축(爆縮)을 일으킬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진공 외관 용기의 페이스패널은 음극선관으로서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목적으로 주변부가 중앙부 보다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최근, 페이스패널의 플랫화로의 요구가 높아져, 페이스패널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목적으로, 주변부와 중앙부와의 두께 차가 더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페이스패널에서는 중앙부의 투과율이 높고, 주변부의 투과율이 현저히 저하하게된다. 이와 같은 투과율 차가 커질수록 휘도 불균형으로서 눈으로 확인하기 쉬워지고, 표시 화상이 품위 저하가 생긴다. 상기 특허 제2801600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 기술에서는 이와 같은 페이스패널의 두께 차에 기인한 투과율 차에 대해 충분히 고려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투과율 차를 보정하기 위해,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11-283530호 공보에 의하면 그라데이션 코팅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페이스패널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의 투과율이 높고, 두께가 얇은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의 투과율이 낮은 착색막을 페이스패널 외표면에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충분한 콘트라스트 특성을 얻는 것이 어렵다. 즉, 콘트라스트 특성의 개선 효과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BCP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BCP는 기준이 되는 음극선관에서의 휘도에 대한 평가 대상의 음극선관에서의 휘도의 저하 비율을 “ΔB”, 기준의 음극선관에서의 외광 반사율에 대한 평가 대상의 음극선관에서의 외광 반사율의 저하 비율을 “ΔRf”로 하면,
로 표시된다. 이 BCP는 특정 파장에서 최대 흡수율을 갖지 않는, 즉 가시광 영역의 광에 대해 대략 일정한 투과율을 갖는 뉴트럴필터층을 구비한 음극선관을 기준으로 생각한 경우의 콘트라스트 개선비에 상당한다.
뉴트럴 필터층을 구비한 음극선관에서는 투과율에 관계없이 BCP는 대략 1.0이 되어, 콘트라스트의 개선은 충분하지 않다. 특정 파장에서 최대 흡수율을 가진광선택 흡수 필터층을 구비한 음극선관에서는 투과율이 높아짐에 따라서 BCP의 열화가 보인다. 즉, 콘트라스트의 저하가 현저하다. 또, 이와 같은 광 선택 흡수 필터층을 구비한 음극선관의 경우, 투과율이 너무 낮아지면 BCP가 개선되어,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광 선택 흡수 필터층에 포함되는 산화네오듐 등의 장파장에 주 흡수대를 갖는 성분의 영향으로 인해 외광에 의해 광 선택 흡수 필터층 자체의 막의 색이 변화한다. 특히, 백열전구 아래에서는 광 선택 흡수 필터층의 막의 색이 적색이 된다. 이 때문에, 그라데이션 코팅 방법을 적용하면 표시 화상에서 국소적으로 붉은 기가 가해져, 표시 품위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광학 필터와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극선관 등의 표시 장치의 페이스패널의 외면에 배치된 광학 필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칼라음극선관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필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필터의 다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광학 필터의 중앙부 및 주변부에서의 분광 투과율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광 선택 흡수 필터층만을 그라데이션 코팅했을 때의 중앙부 및 주변부에서의 분광 투과율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뉴트럴 필터 재료 및 광선택 흡수 필터 재료를 혼합하여 그라데이션 코팅했을 때의 중앙부 및 주변부에서의 분광 투과율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필터를 음극선관에 조합했을 때의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향하는 투과율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화면 전역에서의 휘도를 균일화하고, 품위가 양호한 표시 화상을 표시 가능한 광학 필터 및 이 광학 필터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의한 광학 필터는,
투광성을 갖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450∼650nm의 파장 영역에서 575±20nm의 범위 내의 특정 파장에서 최대 흡수율을 갖는 광학 필터로서,
상기 지지체의 중앙부의 소정 파장(λ)에서의 투과율을 “T1(λ)”이라고 하고, 상기 지지체의 주변부의 소정 파장(λ)에서의 투과율을 “T2(λ)”로 했을 때,
의 관계를 만족하며, 또 400∼700nm의 임의의 2 파장(λ1, λ2)에서의 투과율에 대해,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의한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된 광학 필터를 구비한 표시 장치로서,
상기 광학 필터는 투광성을 갖는 지지체를 포함하며, 450∼650nm의 파장 영역에서 575±20nm의 범위 내의 특정 파장에서 최대 흡수율을 갖고, 또
상기 지지체의 중앙부의 소정 파장(λ)에서의 투과율을 “T1(λ)”이라고 하고, 상기 지지체의 주변부의 소정 파장(λ)에서의 투과율을 “T2(λ)”로 했을 때,
의 관계를 만족하고, 또 400∼700nm의 임의의 2 파장((λ1, λ2)에서의 투과율에 대해,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로서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칼라음극선관 장치는 유리에 의해 형성된 진공 외관용기(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진공 외관용기(10)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페이스패닐(22)과, 상기 페이스패널(22)에 일체로 접합된 퍼넬(24)을 구비하고 있다. 페이스패널(22)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부(20)와, 유효부(20)의 둘레부로부터 관축(Z)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스커트부(21)를 구비하고 있다. 유효부(20)의 외면은 대략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유효부(20)의 내면은 임의의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형광체스크린(27)은 페이스패널(22)의 유효부(20)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형광체스크린(27)은 적, 녹, 청으로 각각 발광하는 도트 형상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3색 형광체층과, 이들의 3색 형광체층의 사이를 매립하는 광흡수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자총 구체(36)는 퍼넬(24)의 소직경부에 상당하는 원통 형상의 넥(34)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전자총 구체(36)는 형광체 스크린(27)을 향해 수평축(H)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3 전자빔(35R, 35G, 35B)을 방출한다. 또, 이 전자총 구체(36)는 페이스패널(22)의 유효부(20)의 중심을 통과하여 페이스패널(22)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연장된 관축(Z)과 대략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색선별 기능을 가진 섀도우마스크(29)는 진공 외관용기(10)의 내부에서 형광체스크린(27)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섀도우마스크(29)는 전자총 구체(36)에서 방출된 3 전자빔(35R, 35G, 35B)이 통과하는 슬릿 형상의 복수의 개구 구멍(18)을 구비하고 있다.
편향 요크(37)는 퍼넬(24)의 대직경부에서 넥(34)에 걸친 외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이 편향 요크(37)는 전자총 구체(36)에서 방출된 3 전자빔(35R, 35G, 35B)을 수평축(H) 방향 및 수직축(V) 방향으로 편향하기 위한 비균형 편향 자계를 발생한다.
이와 같은 칼라음극선관 장치에서는 전자총 구체(36)에서 방출된 3 전자빔(35R, 35G, 35B)은 섀도우마스크(29)의 개구 구멍(18) 부근에서 컨버전스하면서, 편향요크(37)에서 발생된 편향자계에 의해 편향된다.
이에 의해 3 전자빔(35R, 35G, 35B)은 섀도우마스크(29)를 통해 형광체스크린(27)을 수평축(H) 방향 및 수직축(V) 방향으로 주사한다. 이 때, 각 전자빔(35R, 35G, 35B)을 정형하여 특정 색의 형광체층에 랜딩함으로써 칼라 화상이 표시된다.
그러나, 상기 칼라음극선관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 즉 페이스패널(22)의 외면에 배치된 광학 필터(10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광학 필터(100)가 음극선관 장치의 페이스패널(22)상에 직접 배치될 경우에는 페이스패널(22) 자체가 투광성을 갖는 지지체로서 기능한다.
또, 이 광학 필터(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투광성을 갖는 고분자 재료에 의해 형성된 필름 또는 시트를 지지체(101)로서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광학 필터(100)는 지지체(101)를 통해 페이스패널(22) 상에 배치된다.
이 광학 필터(100)는 450∼650nm의 파장 영역에서 575±20nm의 범위 내의 특정 파장에서 최대 흡수율을 갖고 있다. 이 최대 흡수율을 갖는 특정 파장을 최대 흡수 파장이라고 한다. 또, 이 광학 필터(100)는 표시 화면의 중앙부의 소정 파장(λ)에서의 투과율을 “T1(λ)”이라고 하고, 표시 화면의 주변부의 소정 파장(λ)에서의 투과율을 “T2(λ)”로 했을 때,
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광학 필터(100)는 400∼700nm의 임의의 2 파장((λ1, λ2)에서의 투과율에 대해,
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광학 필터(100)에서는 표시 화면의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고, 중앙부에서의 투과율을 저하시켜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면서, 주변부에서의 투과율을 콘트라스트가 저하하지 않을 정도로 향상시킨다. 이에 의해 광학 필터(100)는 중앙부에서의 투과율이 주변부 보다 낮아지는 투과율 특성을 갖게 된다.
그리고, 주변부에서의 투과율(T2(λ)에 대한 중앙부에서의 투과율(T1(λ)의 비(T1(λ)/T2(λ))는 75% 이상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임의의 2 파장(λ1 및 λ2)에서의 투과율 비(T1(λ)/T2(λ))/(T1(λ2)/T2(λ2))는 95% 이상 10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실질적으로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투과율 특성을 갖는 광학 필터(100)를 적용함으로써 표시 장치에있어서 표시 화면 전역에서의 투과율 차를 균일화할 수 있고, 표시 품위가 양호한 표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이 광학 필터(100)의 구체적인 구조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이스패널(22) 상에 직접 배치된 광학 필터(100)는 특정 파장에서 최대 흡수율을 갖지 않는, 즉 가시광 영역의 파장의 광에 대해 대략 일정한 투과율을 갖는 뉴트럴 필터층(110)과, 450∼650nm의 파장 영역에서 575±20nm의 범위 내의 특정 파장에서 최대 흡수율을 갖는 광 선택 흡수 필터층(12)을 구비하고 있다.
뉴트럴 필터층(110)은 예를 들면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이 뉴트럴 필터층(110)은 그 투과율이 BCP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중앙부에서 주변부를 향해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뉴트럴 필터층(110)은 페이스패널 중앙부(22A)의 막두께 보다도 주변부(22B)에서의 막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페이스패널(22)의 중앙부(22A)와 주변부(22B)의 두께 차에 의한 투과율차에 기인한 휘도 불균형을 보정할 수 있다.
광 선택 흡수 필터층(120)은 예를 들면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이 광 선택 흡수 필터층(120)은 전면에서 균일한 투과율 특성이 얻어지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선택 흡수 필터층(120)은 전면에서 막두께가 균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바디 칼라는 전면에서 균일한 붉은 기를 띠는 경우는 있지만, BCP 특성은 전면에서 균일해져, 양호한 표시 품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광성 지지체(101)를 포함하는 광학 필터(100)에서도 페이스패널(22)에 직접 배치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도 2에 도시한 광학 필터(10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광학 필터(100)는 액상 뉴트럴 필터 재료 및 광 선택 흡수 필터 재료를 차례로 도포 성막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광학 필터(100)의 뉴트럴 필터층(110) 및 광 선택 흡수 필터층(120)은 스핀코팅법이나 스프레이코팅법 등에 의해 도포된다.
두꺼운 막에 분포를 갖는 뉴트럴 필터층(110)을 스핀코팅법으로 형성하는 경우, 지지체의 중앙부가 주변부 보다 고온이 되는 온도 분포를 형성한 후, 뉴트럴 필터 재료를 도포하여 중앙부의 막두께를 주변부 보다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또, 광 선택 흡수 필터층(120)을 형성하는 경우, 지지체의 온도 분포를 전면에서 균일하게 한 후, 광 선택 흡수 필터 재료를 도포하여 대략 균일한 막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두꺼운 막에 분포를 갖는 뉴트럴 필터층(110)을 스프레이코팅법으로 형성하는 경우, 뉴트럴 필터 재료를 도포할 때, 스프레이 노즐과 지지체와의 상대적인 거리를 바꾸거나(중앙부에서의 거리를 주변부에서의 거리 보다 가깝게 하는 궤도로 스프레이 노즐을 이동한다), 또는 스프레이 노즐과 지지체와의 상대적인 이동 속도를 바꾸는(중앙부에서의 이동 속도를 주변부에서의 이동 속도 보다 느리도록 스프레이 노즐을 이동한다) 등의 방법에 의해 중앙부의 막 두께를 주변부 보다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또, 광 선택 흡수 필터층(120)을 형성하는 경우, 광 선택 필터 재료를 도포할 때, 스프레이 노즐과 지지체와의 상대 거리를 일정하게 하거나 또는 스프레이 노즐과 지지체와의 상대 속도를 일정하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대략 균일한 막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뉴트럴 필터층(110)은 중앙부 보다 주변부의 막 두께를 얇게 하여 중앙부에서 주변부를 향해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구성하였지만, 투과율은 그 막 두께에만 의존하지 않으므로 뉴트럴 필터층(110)의 구조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지지체 상에 뉴트럴 필터층(110)을 배치하고, 또 뉴트럴 필터층(110)상에 광 선택 흡수 필터층(120)을 적층하였지만, 적층 순서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BCP 특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광 선택 흡수 필터층을 표면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광학 필터(100)를 구성하는 층의 수는 상기한 2층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더 늘려도 관계없다.
또, 뉴트럴 필터층(110) 및 광 선택 흡수 필터층(120)의 적어도 한쪽이 도전성 입자를 함유해도 좋다. 이에 의해 페이스패널(22) 표면의 광학 필터(100)의 대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광학 필터(100)의 저항값을 103Ω이하로 함으로써 페이스패널(22)을 통해 방사되는 전자파를 저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계속해서, 상기 구성의 광학 필터(100)의 분광 투과율의 측정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또, 여기서 중앙부라는 것은 광학 필터의 기하학적 중심에 상당하고, 주변부라는 것은 중앙부에서 가장 떨어진 코너부에 상당하는 것으로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의 광학 필터(100)는 광 선택 흡수 필터층(120)이 전면에 균일한 막 두께로 배치된 것에 의해, 전면에서 붉은 기를 띠고 있지만, 중앙부 및 주변부에서의 분광 투과율은 최대 흡수 파장에 거의 차가 없고,절대값만 다르고 대략 동등한 분포를 갖고 있다. 즉, 400∼700nm의 임의의 2 파장(λ1, λ2)에서의 투과율에 대해,
0.95≤(T1(λ1)/T2(λ1))/T1(λ2)/T2(λ2))≤1.05
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또, 도 4에 도시한 예에서는 소정 파장(λ)에서의 중앙부 및 주변부의 투과율비(T1(λ)/T2(λ)는 약 0.75이다. 이 투과율비(T1(λ)/T2(λ)가 0.75를 하회하면 중앙부에서의 휘도가 너무 저하하여 화면 전체가 어둡게 보인다. 또, 이 투과율비(T1(λ)/T2(λ))가 0.90을 상회하면 중앙부와 주변부와의 투과율 차를 충분히 보정할 수 없다. 따라서, 투과율비(T1(λ)/T2(λ)는 0.75 이상 0.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광선택 흡수 필터층에서만 중앙부에서 주변부를 향해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구성한 경우, 도 5에 도시한 분광 투과율이 된다. 즉, 중앙부 및 주변부에서의 분광 투과율은 최대 흡수 파장에 차가 생긴다. 즉, 중앙부는 붉은 기가 있고, 주변부로 향할수록 붉은 기가 옅어져, 바디 칼라에 차가 생기고, 위화감이 생긴다. 또, BCP 특성은 전면에서 균일하게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표시 품위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또, 뉴트럴 필터 재료와 광 선택 흡수 필터 재료를 혼합하여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향해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구성한 경우, 도 6에 도시한 분광 투과율이 된다. 즉, 투과율 보정 효과를 갖는 뉴트럴 필터층의 그라데이션 코팅에 의해 중앙부와 주변부의 투과율비(T1(λ)/T2(λ))가 약 0.75가 되고, 표시 화면에 배치했을때의 투과율 차를 보정할 수 있다. 그러나, 중앙부 및 주변부에서의 분광 투과율은 최대 흡수 파장에 차가 생긴다. 즉,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바디 칼라에 차가 생겨, 위화감을 생기게 한다. 이 때문에 표시 품위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의 광학 필터에 의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자체의 투과율이 중앙부에서 주변부를 향할수록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일점쇄선). 표시 장치로서 주변부에서의 유리의 두께가 중앙부 보다 두꺼운 음극선관에서는 중앙부의 투과율이 주변부 보다 높다(실선). 이와 같은 투과율차를 갖는 음극선관에 상기 광학 필터를 조합함으로써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와 주변부의 투과율 차를 동등하게 할 수 있다(파선). 이 때문에 화면 전역에서의 휘도를 균일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광학 필터 전면에서 균일한 바디 칼라가 되고, 화면 전체에서 양호한 BCP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이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즉,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 음극선관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주변부와 중앙부에서 다른 휘도 분포를 갖는 표시 장치이면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고,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각 실시 형태는 가능한한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되어도 좋고, 그 경우 조합에 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화면 전역에서의 휘도를 균일화하고, 품위가 양호한 표시 화상을 표시 가능한 광학 필터 및 상기 광학 필터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투광성을 갖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450∼650nm의 파장 영역에 대해서 575±20nm의 특정 파장에서 최대 흡수율을 갖는 광학 필터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중앙부의 소정 파장(λ)에서의 투과율을 “T1(λ)”이라고 하고, 상기 지지체의 주변부의 소정 파장(λ)에서의 투과율을 “T2(λ)”로 했을 때,
    의 관계를 만족하며, 또 400∼700nm의 임의의 2 파장(λ1, λ2)에서의 투과율에 대해,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투광성을 갖는 유리 재료 또는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상에 특정 파장에서 최대 흡수율을 갖는 광 선택 흡수 필터층과, 450∼650nm의 파장 영역에서 거의 일정한 투과율을 갖는 뉴트럴 필터층을 적층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선택 흡수 필터층 및 상기 뉴트럴 필터층의 적어도 한쪽은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뉴트럴 필터층은 상기 지지체의 중앙부의 막 두께 보다도 주변부의 막 두께가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터.
  6.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된 광학 필터를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터는 투광성을 갖는 지지체를 포함하며, 450∼650nm의 파장 영역에 대해서 575±20nm의 특정 파장에서 최대 흡수율을 갖고, 또
    상기 지지체의 중앙부의 소정 파장(λ)에서의 투과율을 “T1(λ)”으로 하고, 상기 지지체의 주변부의 소정 파장(λ)에서의 투과율을 “T2(λ)”로 했을 때,
    의 관계를 만족하고, 또 400∼700nm의 임의의 2 파장((λ1, λ2)에서의 투과율에대해,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터는 내면에 형광체스크린을 구비한 유리 재질의 페이스패널 외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패널의 외면은 대략 평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4-7013413A 2002-11-21 2003-11-20 광학 필터와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0500107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38043A JP2004170788A (ja) 2002-11-21 2002-11-21 光学フィルタ及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JP-P-2002-00338043 2002-11-21
PCT/JP2003/014805 WO2004046773A1 (ja) 2002-11-21 2003-11-20 光学フィルタ及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758A true KR20050010758A (ko) 2005-01-28

Family

ID=32321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413A KR20050010758A (ko) 2002-11-21 2003-11-20 광학 필터와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29981B2 (ko)
JP (1) JP2004170788A (ko)
KR (1) KR20050010758A (ko)
CN (1) CN1692289A (ko)
WO (1) WO20040467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320B1 (ko) * 2005-07-01 2013-04-05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적색 착색막, 적색 착색 조성물, 컬러 필터 및 액정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5947A (ja) 2008-08-28 2010-03-11 Canon Inc カラー画像表示装置用のフェイスパネル、該フェイスパネルを用いたカラー画像表示装置用のパネル、および、該パネルが搭載されたカラー画像表示装置
US8321010B2 (en) * 2009-09-04 2012-11-27 Konstantin Georgievich Korotkov Method for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a biological object and device for mak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1600B2 (ja) 1988-06-22 1998-09-21 株式会社東芝 陰極線管
US5189337A (en) * 1988-09-09 1993-02-23 Hitachi, Ltd. Ultrafine particles for use in a cathode ray tube or an image display face plate
US5660876A (en) * 1991-06-07 1997-08-26 Sony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cathode ray tube with a nonglare multi-layered film
JP3074116B2 (ja) * 1994-12-12 2000-08-07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ドアクロージャ
JPH11283530A (ja) 1998-03-26 1999-10-15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陰極線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3576032B2 (ja) * 1999-03-31 2004-10-13 富士通株式会社 ガス放電表示装置
JP2001101984A (ja) 1999-09-30 2001-04-13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JP2001194524A (ja) * 2000-01-13 2001-07-19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フィルター、これを用いた前面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1210260A (ja) * 2000-01-25 2001-08-03 Hitachi Ltd カラー受像管
KR100360189B1 (ko) 2000-01-29 2002-11-08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칼라 음극선 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320B1 (ko) * 2005-07-01 2013-04-05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적색 착색막, 적색 착색 조성물, 컬러 필터 및 액정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29981B2 (en) 2008-02-12
CN1692289A (zh) 2005-11-02
US20050179357A1 (en) 2005-08-18
JP2004170788A (ja) 2004-06-17
WO2004046773A1 (ja) 200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1030A (en) Absorption filters for chlor display devices
US4245242A (en) Contrast enhancement of multicolor displays
JP3271565B2 (ja) カラー陰極線管パネル
US4914510A (en) Method for improving the white field uniformity of a projection color TV using CRTs having interference filters, projection color TV and CRTs resulting from the method
KR20050010758A (ko) 광학 필터와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8654039B2 (en) Face panel for color image display apparatus, panel for color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lor image display apparatus
EP0836215B1 (en) Color image receiving tube
JPH11283530A (ja) 陰極線管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228955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282536B1 (ko) 음극선관
US4914511A (en) Projection color TV using CRTs having interference filters with different number of layers
US7148615B2 (en) Color cathode ray tube
US5903089A (en) Monochrome CRT having curved display window with reduced transmission and projection color TV incorporating same
JPH02210486A (ja) カラー情報表示装置用フィルタ
KR100432114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284337B1 (ko) 음극선관
US5877823A (en) Projection television device
US5146322A (en) Projection television apparatus for reducing red-emphasized peripheral screen portions
JPH0451107A (ja) 投写型テレビジョン装置
KR200211333Y1 (ko) 칼라음극선관의 패널
EP0375064A2 (en) Projection color television display devices with improved white field uniformity
JP2008047499A (ja) 陰極線管
KR19990053586A (ko) 음극선관
WO2003041040A2 (en) Display device
KR20050005269A (ko) 음극선관의 코팅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