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9417A -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교육 시스템 및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교육 시스템 및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9417A
KR20050009417A KR1020030048724A KR20030048724A KR20050009417A KR 20050009417 A KR20050009417 A KR 20050009417A KR 1020030048724 A KR1020030048724 A KR 1020030048724A KR 20030048724 A KR20030048724 A KR 20030048724A KR 20050009417 A KR20050009417 A KR 20050009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rse
lecture
real
time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4873B1 (ko
Inventor
양기철
Original Assignee
양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기철 filed Critical 양기철
Priority to KR1020030048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873B1/ko
Publication of KR20050009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873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교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교재를 스캐너(380)를 통해 스캐닝하여 실시간으로 읽어들여 해당 교재의 스캔이미지에 강사의 강의 내용을 텍스트로 삽입하여 강의 스캔이미지로 만들고, 상기 강의 스캔이미지에 상응하는 강사의 음성 및 시스템 음향으로 이루어지는 강의 음향을 만들어, 정보 통신망(100)을 통하여 접속되는 수강생 컴퓨터(200)로 상기 강의 스캔이미지 및 강의 음향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강사 컴퓨터(300); 및 상기 강사 컴퓨터로부터 해당 강사에 관한 정보 및 해당 강사에 의해 개설되는 강좌에 관한 정보를 수신해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해당 강좌를 개설하며, 상기 수강생 컴퓨터에게 해당 강좌 및 강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수강 신청을 받아 해당 강좌에 접근할 수 있는 인증 권한을 주어 해당 실시간 스캔 방식의 강좌를 수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실시간 스캔 방식의 강좌를 VOD 파일 및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로 저장하여 수강생 컴퓨터에게 제공하는 교육허브 서버(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교육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EDUCATION USING REALTIME SCANNING MATERRIAL}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교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 교재를 실시간으로 스캔하고 이러한 스캐닝된 교재 자료를 이용하여 해당 강사의 시스템에서 바로 실시간으로 강의가 진행이되며 중앙의 교육허브 사이트는 단지 수강생인 회원의 인증을 통해 해당 강좌와 연결시켜줌으로써 미리 제작 완료된 컨텐츠를 준비하지 않고도 온라인 학원 사압을 진행할 수 있으며 강의가 진행되면 될수록 방대한 양의 강의 컨텐츠들이 축적될 수 있게 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교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온라인교육사이트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이 오히려 수강생들에게는 불편하고 초보자가 학습을 따라하기에도 많은 애로사항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보다 현실적인 학습을 위한 방법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교육의 방식보다 온라인교육사이트를 구축하는 사업자의 입장에서 개발이된 시스템이다.
초기 온라인교육사이트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최소한의 컨텐츠를 보유해야한다는 것인데, 그 이유는 유료사용자는 반드시 전체과정이 완료된 과정을 수강하려고 하기때문이며 이로인해 다양한 초기 컨텐츠가 사이트의 가동시점에 반드시 준비되어야 한다. 더불어 컨텐츠의 제작과정은 상당히 복잡하며 강사도 온라인강의를 위해 별도의 디지털저작물을 작성해야하는 애로사항을 가지게 된다. 결국 강의를 준비하는 입장에서도 매우 힘들고 결국 컨텐츠 제작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게 된다. 온라인교육사이트의 운영자는 더불어 상당한 대역폭을 필요로하며 아무리 자체압축포맷으로 압축이된 강좌들이라 하더라도 수강생의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는 과정에서 트랙픽이 네트웍에 중앙집중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요소들이 온라인교육을 도입하려는 업체나 교육기관에게 많은 부담으로 작용하여 저급의 교육 컨텐츠가 양산되는 경우도 있으며 결국, 이러한 요소들로 인한 피해는 최종 소비자들에게 돌아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가 각자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교재를 스캔하여 강의를 진행하는 시스템을 설치하고 중앙의 허브사이트에서는 다양한 실시간 강의 과목들에 대한 강의 일정을 게시하고 수강 신청을 받고 인증을 처리하는 과정을 수행하며 전달되어오는 실시간 강의 스트림을 링크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교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통신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사 컴퓨터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교재 스캔 화면의 일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제 스캔 강의 진행 화면의 일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강의화면의 일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교육 방법을 나타내는 전체적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스캔 강좌 제공 단계를 나타내는 상세 흐름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정보 통신망 200 : 수강생 컴퓨터
300 : 강사 컴퓨터 310 : 중앙 제어부
320 : 교안 스캔부 330 : 이미지 뷰어부
340 : 강의도구부 350 : 화면 캡쳐부
360 : 사운드 캡쳐부 370 : 실시간 방송부
380 : 스캐너 400 : 교육허브 서버
410 : 중앙처리장치 420 : 운영체제
430 : 메모리 장치 440 : 데이터 저장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교육 시스템은, 교재를 스캐너(380)를 통해 스캐닝하여 실시간으로 읽어들여 해당 교재의 스캔이미지에 강사의 강의 내용을 텍스트로 삽입하여 강의 스캔이미지로 만들고, 상기 강의 스캔이미지에 상응하는 강사의 음성 및 시스템 음향으로 이루어지는 강의 음향을 만들어, 정보 통신망(100)을 통하여 접속되는 수강생 컴퓨터(200)로 상기 강의 스캔이미지 및 강의 음향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강사 컴퓨터(300); 및 상기 강사 컴퓨터로부터 해당 강사에 관한 정보 및 해당 강사에 의해 개설되는 강좌에 관한 정보를 수신해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해당 강좌를 개설하며, 상기 수강생 컴퓨터에게 해당 강좌 및 강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수강 신청을 받아 해당 강좌에 접근할 수 있는 인증 권한을 주어 해당 실시간 스캔 방식의 강좌를 수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실시간 스캔 방식의 강좌를 VOD 파일 및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로 저장하여 수강생 컴퓨터에게 제공하는 교육허브 서버(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사 컴퓨터(300)는, 장착된 스캐너(380)상에 올려진 교재를 실시간으로 읽어들여 인식된 이미지의 그래픽 포맷을 강의에 적합한 크기로 편집하는 교안 스캔부(320); 상기 교안 스캔부를 통하여 전송되는 이미지를 해당 강사가 볼 수 있도록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이미지 뷰어부(330); 상기 이미지 뷰어부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해 해당 강사의 코멘트를 그래픽으로 표시하여 삽입시키도록 지원하는 강의도구부(340);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따라 해당 강의 화면을 캡쳐하여 강의 스캔이미지로 만드는 화면 캡쳐부(350);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상응하여 발생되는 강사의 음성 및 시스템상의 음향을 캡쳐하여 강의 음향으로 만드는 사운드 캡쳐부(360); 및 상기 화면 캡쳐부 및 사운드 캡쳐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강의 스캔이미지 및 강의 음향을 전송받아 실시간 강의를 진행하여 접속되는 수강생 컴퓨터(200)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해당 실시간 강의 파일을 교육허브 서버(400)로 전송시키는 실시간 방송부(3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교육 방법은 (a) 교육허브 서버가 정보 통신망을 통하여 강사 컴퓨터로부터 강사에 관한 정보 및 해당 강사에 의해 진행되는 스캔 방식의 실시간 강좌 개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 저장장치의 강좌관리 DB 에 저장하는 단계(S10); (b)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수강생 컴퓨터의 접속에 따라 회원 가입을 위한 수강생의 개인신상 정보 및 수강 신청을 위한 수강생의 수강신청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 저장장치의 수강관리 DB 에 저장하는 단계(S20); (c)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접속된 수강생 컴퓨터로부터 수강생 아이디, 비밀번호, 주민등록번호 및 수강생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수강생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30); (d)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상기 수강생 컴퓨터로 해당 수강생의 기신청한 강좌 및 이용 가능한 강좌의 리스트를 전송하고 해당 수강생 컴퓨터로부터 실시간 스캔 강좌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 (e) 실시간 스캔 강좌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상기 수강생 컴퓨터로 스캔 방식의 컨텐츠강좌 목록과 스캔 방식의 VOD 강좌 목록을 전송하고 수강생 컴퓨터의 선택에 따라 스캔 방식의 VOD 강좌를 시청하도록 지원하거나 이용기간 제한된 스캔 방식의 강좌 컨텐츠 파일을 해당 수강생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S60); (f) 실시간 스캔 강좌가 선택된 경우,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상기 수강생 컴퓨터에 의해 선택된 실시간 스캔 강좌에 대한 실시간 강의주소를 검색하고 해당 실시간 강의주소를 통해 상기 수강생 컴퓨터가 해당 강좌가 개설된 강사 컴퓨터로 연결되도록 지원하는 단계(S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e) 단계는,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스캔 방식의 VOD 강좌나 다운로드 가능한 강좌 컨텐츠에 대한 서비스 스캔강좌 선택신호를 수강생 컴퓨터로부터 수신하고 선택된 서비스 스캔강좌가 강좌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1-S62); 강좌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다운로드 가능한 강좌 컨텐츠 목록을 상기 수강생 컴퓨터로 전송하고 전송된 강좌 컨텐츠 목록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63-S64);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선택된 강좌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 및 다운로드 이용 요금에 관한 정보를 해당 수강생 컴퓨터로 전송하고 다운로드 이용료에 관한 결제정보를 수신해 저장하는 단계(S65);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결제된 해당 강좌 컨텐츠의 파일에 대하여 해당 파일의 파기를 위한 소정의 최대실행횟수 및 소정의 제한실행기간을 파일내에 설정하고 해당 다운로드 수신자의 ID 를 파일내에 기록하여 기간설정 파일로 생성시킨 후, 강좌실행 프로그램이 포함된 실행 파일로 상기 수강생 컴퓨터에 전송하는 단계(S66);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해당 수강생 컴퓨터로 다운로드된 강좌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수강생 ID, 다운로드 시스템 시간, 최대실행기간, 최대실행횟수 등을 포함하는 로그 데이터를 내부에 저장하는 단계(S67); 강좌 컨텐츠가 선택되지않은 경우,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이용가능한 VOD 강좌 목록을 상기 수강생 컴퓨터로 전송하고 전송된 VOD 강좌 목록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70-S71);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선택된 VOD 강좌에 대한 상세 정보 및 VOD 이용요금에 관한 정보를 해당 수강생 컴퓨터로 전송하고 VOD 이용료에 관한 결제정보를 수신해 저장하는 단계(S72); 및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해당 VOD 강좌에 대한 이용권한을 상기 수강생 컴퓨터에게 부여하고 해당 수강생 컴퓨터가 스캔 방식의 VOD 강좌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S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강사가 교재의 실시간 스캔을 통해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 컴퓨터와 이러한 강의를 이용하려는 수강생 컴퓨터를 연결하기 위하여 해당 수강생에게 다양한 실시간 강의 과목에 대한 강의 일정을 게시하고 수강 신청을 받아 인증 처리를 통해 해당 강의에 대한 실시간 스트리밍 수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이러한 스캔 방식의 강의에 대한 VOD 및 다운로드 서비스를 지원하여 인터넷상에서 시스템의 과부하 없이 실시간의 강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교육 시스템 및 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통신 시스템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사 컴퓨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통신 시스템은, 본 발명과 관련된 교육 서비스가 온라인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보 통신망(100), 다수의 수강생 컴퓨터(200), 강사 컴퓨터(300), 정유사 컴퓨터(300) 및 교육허브 서버(400)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통신망(100)은 유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TCP/IP 프로토콜과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WAP 프로토콜 등을 사용한 인터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을 위한 이동 전화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강생 컴퓨터(200)는 상기 교육허브 서버(400)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캔 방식의 실시간 교육을 이용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강사 컴퓨터(300)는 상기 교육허브 서버(400)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캔 방식의 실시간 교육을 진행하여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이러한 상기 수강생 컴퓨터(200) 및 상기 강사 컴퓨터(300)는 Pentium 급 이상의 씨피유, 64Mb 이상의 램, 하드디스크, CD롬과 마우스와 키보드를 포함하는 정보 입력장치, 모니터와 스피커와 프린터와 통신포트를 포함하는 정보출력장치를 포함하고, Windows 98 이상의 운영체제 등을 포함한 통신 가능한 컴퓨터 장치로서 웹 내용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고,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일 수 있다.
특히, 상기 강사 컴퓨터(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안 스캔부(320), 이미지 뷰어부(330), 강의도구부(340), 화면 캡쳐부(350), 사운드 캡쳐부(360), 실시간 방송부(370)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강사 컴퓨터(300)를 통해 해당 강사는 교재를 실시간으로 스캔하고 해당 스캔 자료를 통해 강의를 진행하게 되는데, 상기 교안 스캔부(320)는 해당 강사의 시스템에 장착된 스캐너(380)상에 올려져 있는 교재를 실시간으로 읽어들이며 이러한 인식된 이미지(교재 스캔 이미지)의 그래픽 포맷을 강의에 적합한 크기로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미지 뷰어부(330)는 상기 교안 스캔부(320)를 통하여 읽어 들여진 이미지를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인 화면에서 해당 강사의 원활한 강의 진행을 위해 전체 화면으로 표시시킨다.
상기 강의도구부(340)는 내부의 GDI(graphics device interface) 라이브러리에 구성된 펜과 도형들을 그릴 수 있는 그래픽 함수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뷰어부(330)에 의해 화면에 전체 화면으로 표시된 스캔 교재의 이미지에 대하여 펜과 도구들을 단축키로 호출하여 해당 강사가 이미지에 각종 표시 및 간단한 텍스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동감있는 강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화면 캡쳐부(350)는 화면을 캡쳐하여 후술되는 실시간 방송부(37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내부의 코덱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실시간 강의를 위한 고밀도 압축과 해제를 위한 함수들의 집합을 통해 화면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따라 강의 화면을 캡쳐하고 강의 스캔이미지로 만들어 상기 실시간 방송부(370)로 이를 전송하게 되며, 사운드 디코딩기능까지 포함된다.
상기 사운드 캡쳐부(360)는 해당 강사의 음성과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후술되는 실시간 방송부(37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바, 내부의 사운드인코딩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의 목소리와 강사 시스템상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포함하는 강의 음향을 고밀도 압축하여 상가 실시간 방송부(370)까지 전송하게 된다.
상기 실시간 방송부(370)는 상기 화면 캡쳐부(350) 및 상기 사운드 캡쳐부(360)를 통하여 전달되는 강의 스캔이미지 및 강의 음향, 즉, 강의의 실시간 스캔 강의의 이미지 화면과 이에 상응하는 강사의 음성 및 시스템 음향을 수신하여 실시간 강의를 진행함으로써 접속되는 수강생에게 해당 강사의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강의를 수강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이러한 실시간 방송부(37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진행되는 실시간 강의를 파일로 저장할 것인지 저장하지 않을 것이지를 결정하여 저장시 해당 실시간 강의 파일 자료를 상기 교육허브 서버(400)로 전송함으로써 이를 통해 다양한 강의 파일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교육허브 서버(400)가 방대한 양의 강의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강사 컴퓨터(300)를 통한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강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교재 스캔 화면의 일예시도이고, 도 3을 참조하면, 실제 교재를 스캐너에 올려놓고 강의를 시작하기 위해 읽어들이는 시간이 스캐너의 성능차이에 따라 차이가 있을수 있으나 매우 짧은 시간이며 미리교재를 스캔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제 스캔 강의 진행 화면의 일예시도이고, 도 4를 참조하면, 교재의 뷰어가 강의 교안을 전체화면으로 나타내고 강사는 펜을 사용하여강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키보드의 화살표키를 사용하여 상하 스크롤하며 강의를 진행할수 있다. 강의시 필기도구는 펜마우스나 디지타이저를 사용하여 글자를 쓰게 된다. 만일 화면이 강사의 글들로 가득 채어졌을 경우는 현재 화면을 지우고 계속 문제풀이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만일 파일형태로 저장되어 VOD서비스를 받는다면 수강생이 놓친 부분도 재반복 학습을 할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강의화면의 일예시도이고, 도 5를 참조하면, 실제 실시간강좌의 인터페이스는 교육허브사이트에서 만들어 제공할수 있으며 다양한 편의 기능을 부가하여 운영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교육허브 서버(400)는 상기 강사 컴퓨터(300)로부터 해당 강사에 관한 정보 및 해당 강사에 의해 개설되는 강좌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해당 강좌를 개설하며, 상기 수강생 컴퓨터(200)에게 다양한 강좌 및 강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수강생 컴퓨터(200)로부터 수강 신청을 받아 해당 강좌에 접근할 수 있는 인증 권한을 주어 해당 실시간 스캔 방식의 강좌를 수강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러한 실시간 스캔 방식의 강좌를 VOD 파일 및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로 생성하여 수강생 컴퓨터(200)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중앙처리장치(410), 별도의 운영체제(420), 메모리 장치(430), 데이터 저장장치(440),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마우스 및 키보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장치및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모니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410)는 대용량의 업무처리, 상호 정보교환시 수많은 수학적 계산을 실행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조사할 수 있어야만 하는 바, 일반적으로 32비트로 설계된 인텔사의 100MHz P54C, 모토롤라 120MHz 파워PC604 또는 선 마이크로 시스템의 166MHz 울트라SPARC-1 계열 이상의 중앙처리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장치(430)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1GB 이상의 메모리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440)에는 수강관리 DB, 강좌관리 DB, VOD강의 DB, 컨텐츠 DB, 결제정보 DB 가 포함되며, 일반적으로 오라클사가 제조한 데이타소프트웨어가 상기 DB 들을 생성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수강관리 DB 는 각종 강좌를 수강하는 수강생인 회원에 대한 성명, 주소, 주민등록 번호, ID, 비밀번호, 생년월일, 이동전화 번호, 전자우편 주소, 직업, 유료회원여부를 포함하는 수강생에 관한 정보 및 해당 수강생의 수강신청 정보를 저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강좌관리 DB 는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에 대한 성명, 주소, 주민등록 번호, ID, 비밀번호, 생년월일, 이동전화 번호, 전자우편 주소, 담당과목, 강사이력, 등급, 강좌갯수를 포함하는 강사 정보와, 각 강사에 의해 진행되는 강좌이름, 과목코드, 강사코드, 학생 ID, 평가방법, 강의시간, 강의시작일, 강의종료일, 수강료, 강의방식, 재수강여부, 실시간 강의주소 등을 포함하는 강좌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VOD강의 DB 는 회원이 이용할 수 있는 VOD 파일 및, 일련번호, 강의코드, 강의명, 수강기간, 강사이름, 수강료, 강의방식, VOD 강의 주소 등을 포함하는 VOD 강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컨텐츠 DB 는 회원이 다운로드할 수 있는 컨텐츠 파일 및, 일련번호, 강의코드, 강의명, 다운로드 사용자 ID, 수강방법, 컨텐츠 다운일, 수강료, 수강기간, 다운로드 횟수, 로그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다운로드 강의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결제정보 DB 는 일련번호, ID, 과목명, 이름, 결제일, 결제금액 등을 포함하는 회원의 실시간강의, VOD강의 및 컨텐츠강좌의 이용에 따른 요금 결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교육 방법을 나타내는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우선, 상기 교육허브 서버(400)의 중앙처리장치(410)는 상기 정보 통신망(100)을 통하여 상기 강사 컴퓨터(300)로부터 해당 강사에 의한 스캔 방식의 실시간 강좌 개설에 따른 해당 강좌를 진행하는 강사에 관한 정보 및 해당 강좌의 실시간 강의주소를 포함하는 실시간강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의 강좌관리 DB 에 저장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캔 방식의 실시간 강좌 개설에 따른 강좌관리 DB 구축 단계를 수행한다(S10).
이때, 상기 강좌관리 DB 는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에 대한 성명, 주소, 주민등록 번호, ID, 비밀번호, 생년월일, 이동전화 번호, 전자우편 주소, 담당과목, 강사이력, 등급, 강좌갯수를 포함하는 강사 정보와, 각 강사에 의해 진행되는 강좌이름, 과목코드, 강사코드, 학생 ID, 평가방법, 강의시간, 강의시작일, 강의종료일, 수강료, 강의방식, 재수강여부, 실시간 강의주소 등을 포함하는 강좌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수강생이 자신의 컴퓨터(200)를 이용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교육허브 서버(400)에 정보 통신망(100)을 통하여 접속하면, 상기 교육허브 서버(400)의 중앙처리장치(410)는 상기 수강생이 본 발명과 관련된 운영자 사이트의 회원으로 가입하기 위한 수강생의 개인 신상 정보 및 수강하고자 하는 강의에 참여하기 위한 해당 수강생의 수강신청 정보를 상기 정보 통신망(100)을 통하여 수신하고, 데이터 저장장치(420)는 이를 수강관리 DB 에 저장함으로써 본 발명과 관련된 교육허브 사이트의 회원가입 및 수강 신청 단계를 수행한다(S20).
상기 수강관리 DB 는 각종 강좌를 수강하는 수강생인 회원에 대한 성명, 주소, 주민등록 번호, ID, 비밀번호, 생년월일, 이동전화 번호, 전자우편 주소, 직업, 유료회원여부를 포함하는 수강생에 관한 정보 및 해당 수강생의 수강신청 정보를 저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보 통신망(100)을 통하여 상기 교육허브 서버(400)에 접속된 상태에서 수강생은 자신의 컴퓨터(200)를 이용하여 메인화면에 포함된 로그인 화면에 수강생 아이디, 비밀번호, 수강생 번호 및 주민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허브 사이트에 수강생 인증을 통한 로그인 단계를 수행한다(S30).
상기 중앙처리장치(410)는 상기 수강생 컴퓨터(200)로 해당 수강생이 기신청한 강좌 및 이용 가능한 강좌의 리스트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수강생이 이용하고자 하는 강좌를 선택하도록 한다(S40).
상기 중앙처리장치(410)는 상기 제 S40 단계를 통하여 전송된 강좌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상기 수강생 컴퓨터(20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해당 수강생 컴퓨터(200)가 선택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강좌가 실시간 스캔 강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
상기 제 S50 단계의 판단결과, 실시간 스캔 강좌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410)는 상기 수강생 컴퓨터(200)로 컨텐츠 DB 에 기저장된 컨텐츠강좌 목록과 VOD강의 DB 에 기저장된 VOD 목록을 제공하여 상기 수강생 컴퓨터가 원하는 스캔 방식의 VOD 강좌를 시청하도록 하거나 이용기간 제한된 스캔 방식의 강좌 컨텐츠를 직접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스캔 강좌 제공 단계를 수행한다(S60).
한편, 상기 제 S50 단계의 판단결과, 실시간 스캔 강좌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410)는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420)의 강좌관리 DB 로부터 해당 실시간 스캔 강좌에 대한 실시간 강의주소를 검색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수강생 컴퓨터(200)가 해당 강의가 개설된 강사 컴퓨터(300)로 연결되도록 지원한다(S80).
상기 제 S60 단계인 서비스 스캔 강좌 제공 단계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스캔 강좌 제공 단계를 나타내는 상세 흐름도이다.
상기 교육허브 서버(400)의 중앙처리장치(410)는 상기 정보 통신망(100)을 통하여 스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VOD 강좌나 다운로드 가능한 강좌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요청 신호인 서비스 스캔 강좌 선택 신호를 상기 수강생 컴퓨터(200)로부터 수신한다(S61).
상기 중앙처리장치(410)는 해당 수강생 컴퓨터(200)로 강좌 컨텐츠 또는 VOD 강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서비스 강좌 선택 화면을 전송함으로써 해당 수강생 컴퓨터(200)가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스캔 강좌가 강좌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2).
상기 제 S62 단계의 판단결과,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스캔 강좌가 강좌 컨텐츠가 아닌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410)는 이를 본 발명의 스캔 방식의 VOD 강좌를 이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420)의 VOD강의 DB 로부터 이용가능한 VOD 강좌 목록을 상기 수강생 컴퓨터(200)로 전송한다(S70).
이때, 상기 VOD강의 DB 는 회원이 이용할 수 있는 VOD 파일 및, 일련번호, 강의코드, 강의명, 수강기간, 강사이름, 수강료, 강의방식, VOD 강의 주소 등을 포함하는 VOD 강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410)는 전송된 VOD 강좌 목록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상기 정보 통신망(100)을 통하여 상기 수강생 컴퓨터(200)로부터수신한다(S71).
상기 중앙처리장치(410)는 상기 제 S71 단계에서 선택된 VOD 강좌에 대한 상세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420)의 VOD강의 DB 로부터 검색하여 해당 수강생 컴퓨터(200)로 제공하며 해당 VOD 강좌에 대한 이용료를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420)의 VOD강의 DB 로부터 검색하고 이러한 VOD 강좌 이용 요금에 관한 정보를 상기 수강생 컴퓨터(200)로 전송하여 해당 수강생 컴퓨터(200)로부터 VOD 강좌의 이용료에 대한 결제정보를 수신해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420)의 결제정보 DB 에 저장한다(S72).
이때, 상기 결제정보 DB 는 일련번호, ID, 과목명, 이름, 결제일, 결제금액 등을 포함하는 회원의 실시간강의, VOD강의 및 강의컨텐츠의 이용에 따른 요금 결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410)는 해당 VOD 강좌에 대한 이용권한을 상기 수강생 컴퓨터(200)에게 부여함으로써 해당 수강생 컴퓨터(200)가 스캔 방식의 VOD 강좌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본 발명의 VOD 서비스 단계를 수행한다(S73).
한편, 상기 제 S62 단계의 판단결과,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스캔 강좌가 강좌 컨텐츠인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410)는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420)의 컨텐츠 DB 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강좌 컨텐츠 목록을 상기 수강생 컴퓨터(200)로 전송한다(S63).
이때, 상기 컨텐츠 DB 는 회원이 다운로드할 수 있는 컨텐츠 파일 및, 일련번호, 강의코드, 강의명, 다운로드 사용자 ID, 수강방법, 컨텐츠 다운일, 수강료,수강기간, 다운로드 횟수, 로그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다운로드 강의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410)는 전송된 강좌 컨텐츠 목록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상기 정보 통신망(100)을 통하여 상기 수강생 컴퓨터(200)로부터 수신한다(S64).
상기 중앙처리장치(410)는 상기 제 S64 단계에서 선택된 강좌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420)의 컨텐츠 DB 로부터 검색하여 해당 수강생 컴퓨터(200)로 제공하며 해당 강좌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이용료를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420)의 컨텐츠 DB 로부터 검색하고 이러한 강좌 컨텐츠 다운로드 이용 요금에 관한 정보를 상기 수강생 컴퓨터(200)로 전송하여 해당 수강생 컴퓨터(200)로부터 강좌 컨텐츠의 다운로드 이용료에 대한 결제정보를 수신해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420)의 결제정보 DB 에 저장한다(S65).
상기 중앙처리장치(410)는 상기 수강생 컴퓨터(200)로부터 다운로드 요청되어 결제된 해당 강좌 컨텐츠의 파일에 대하여 해당 파일의 파기를 위한 소정의 최대 실행 횟수 및 소정의 제한 실행 기간을 설정하고 해당 다운로드 수신자의 ID 를 기록하여 기간설정 파일로 생성시킨 후, 해당 강좌 컨텐츠 파일을 강좌실행 프로그램이 포함된 실행 파일로서 상기 수강생 컴퓨터(200)로 전송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간설정 파일 생성 및 다운로드 단계를 수행한다(S66).
이와 같이, 해당 강좌 컨텐츠를 다운로드 수신자의 ID를 삽입하고 기간설정 파일로 만들어 다운로드시키는 것은 해당 강좌 컨텐츠가 다운로드된 후, 무단으로복제되어 다수의 사람들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인데, 즉, 컨텐츠 다운로드 방식의 서비스에 있어서는 다운로드 시점에 수강생이 구매한 컨텐츠의 유효기간을 컨텐츠 안에 셋팅을 하여 일정시간이나 횟수가 지나면 자동파기를 하는 기능을 첨부하였으며 기간체크의 방법으로는 온라인 연결이 된 상태에서는 컨텐츠 보기 실행 시점에 온라인 교육허브 서버(400)의 시간을 체크하여 파기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과 컨텐츠가 구동되는 수강생 컴퓨터(200)의 시스템 시간을 체크하여 파기를 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강생이 컨텐츠 다운로드 방식의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에는 강의를 컨텐츠 DB에서 다운로드되는 시점에 강의 실행프로그램내에 현재 교육허브 서버(400)의 시스템 시간을 기록하고 강좌마다 할당된 최대 실행횟수를 기록하여 유료 컨텐츠의 파기시점을 다운로드되는 컨텐츠 안에 삽입함으로써 수강생이 수강기간내에만 해당 컨텐츠에 대한 권리를 가질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이러한 파기에 대한 최대 기간설정 및 최대 실행횟수는 해당 강좌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중앙처리장치(410)는 상기 제 S67 단계에 의해 해당 수강생 컴퓨터(200)로 다운로드된 강좌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수강생 ID, 다운로드 시스템 시간, 최대실행기간, 최대실행횟수 등을 포함하는 로그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420)의 컨텐츠 DB 에 저장한다(S67).
이에 따라, 이후 수강생이 해당 강좌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해 파일을 실행하면 온라인 상태에서는 파일을 실행시키기 위한 강좌실행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교육허브 서버(400)에 접속되어 해당 강좌 컨텐츠의 로그 데이터를 통해 유효기간을 체크하여 유효하면 실행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온라인 상태가 아닌 경우, 해당 수강생 컴퓨터(200)의 시스템 시간과 비교하여 유효한가를 점검한 후, 실행기간이 남아 있으면 실행하고 아니면 실행횟수를 비교하여 아직 실행할 수 있는 횟수가 남아 있으면 실행하고 아니면 해당 강좌 컨텐츠를 파기하도록 함으로써 불법적인 컨텐츠의 유통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나타난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교육 시스템 및 방법은 전체강의 시스템에 대하여 충분히 부하가 분산이 될 수 있어 대역폭 문제로 인한 어려움을 충분히 해결할 수 있으며 일반 오프라인 학원과 동일하게 강사가 강의를 시작하는 시점부터 고급의 컨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고 온라인교육 사이트에 필요한 컨텐츠들도 빠른 시간 안에 모을 수가 있으며, 이에 따라 강사들이 온라인 강의를 위해 따로 준비하는 과정의 필요없이 실제 교제를 사용하여 강의와 문제풀이를 진행하게 되므로 수강생들은 피부에 와닿는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라인 교육 사이트를 구축하는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완료된 컨텐츠없이도 약속된 시간에 강사의 실시간 강의만 시작될수 있으면 얼마든지 컨텐츠를 확보하지 않고도 온라인교육사이트의 강의를 진행할수 있는 비용대비 위험부담이 확실히 줄일 수 있으며, 제작된 컨텐츠는 VOD나 다운로드방식의 서비스로도 부가가치를 창출할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컨텐츠 다운로드 방식의 서비스에 있어서는 다운로드 시점에 수강생들이 구매하게 되는 해당 컨텐츠의 유효기간을 컨텐츠안에 셋팅을 하여 일정시간이나 횟수가 지나면 자동파기를 하는 기능을 첨부하여 불법적인 컨텐츠의 유통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교재를 스캐너(380)를 통해 스캐닝하여 실시간으로 읽어들여 해당 교재의 스캔이미지에 강사의 강의 내용을 텍스트로 삽입하여 강의 스캔이미지로 만들고, 상기 강의 스캔이미지에 상응하는 강사의 음성 및 시스템 음향으로 이루어지는 강의 음향을 만들어, 정보 통신망(100)을 통하여 접속되는 수강생 컴퓨터(200)로 상기 강의 스캔이미지 및 강의 음향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강사 컴퓨터(300); 및
    상기 강사 컴퓨터로부터 해당 강사에 관한 정보 및 해당 강사에 의해 개설되는 강좌에 관한 정보를 수신해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해당 강좌를 개설하며, 상기 수강생 컴퓨터에게 해당 강좌 및 강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수강 신청을 받아 해당 강좌에 접근할 수 있는 인증 권한을 주어 해당 실시간 스캔 방식의 강좌를 수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실시간 스캔 방식의 강좌를 VOD 파일 및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로 저장하여 수강생 컴퓨터에게 제공하는 교육허브 서버(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교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사 컴퓨터(300)는,
    장착된 스캐너(380)상에 올려진 교재를 실시간으로 읽어들여 인식된 이미지의 그래픽 포맷을 강의에 적합한 크기로 편집하는 교안 스캔부(320);
    상기 교안 스캔부를 통하여 전송되는 이미지를 해당 강사가 볼 수 있도록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이미지 뷰어부(330);
    상기 이미지 뷰어부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해 해당 강사의 코멘트를 그래픽으로 표시하여 삽입시키도록 지원하는 강의도구부(340);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따라 해당 강의 화면을 캡쳐하여 강의 스캔이미지로 만드는 화면 캡쳐부(350);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상응하여 발생되는 강사의 음성 및 시스템상의 음향을 캡쳐하여 강의 음향으로 만드는 사운드 캡쳐부(360); 및
    상기 화면 캡쳐부 및 사운드 캡쳐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강의 스캔이미지 및 강의 음향을 전송받아 실시간 강의를 진행하여 접속되는 수강생 컴퓨터(200)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해당 실시간 강의 파일을 교육허브 서버(400)로 전송시키는 실시간 방송부(3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교육 시스템.
  3. (a) 교육허브 서버가 정보 통신망을 통하여 강사 컴퓨터로부터 강사에 관한 정보 및 해당 강사에 의해 진행되는 스캔 방식의 실시간 강좌 개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 저장장치의 강좌관리 DB 에 저장하는 단계(S10);
    (b)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수강생 컴퓨터의 접속에 따라 회원 가입을 위한 수강생의 개인신상 정보 및 수강 신청을 위한 수강생의 수강신청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 저장장치의 수강관리 DB 에 저장하는 단계(S20);
    (c)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접속된 수강생 컴퓨터로부터 수강생 아이디, 비밀번호, 주민등록번호 및 수강생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수강생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30);
    (d)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상기 수강생 컴퓨터로 해당 수강생의 기신청한 강좌 및 이용 가능한 강좌의 리스트를 전송하고 해당 수강생 컴퓨터로부터 실시간 스캔 강좌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
    (e) 실시간 스캔 강좌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상기 수강생 컴퓨터로 스캔 방식의 컨텐츠강좌 목록과 스캔 방식의 VOD 강좌 목록을 전송하고 수강생 컴퓨터의 선택에 따라 스캔 방식의 VOD 강좌를 시청하도록 지원하거나 이용기간 제한된 스캔 방식의 강좌 컨텐츠 파일을 해당 수강생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S60); 및
    (f) 실시간 스캔 강좌가 선택된 경우,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상기 수강생 컴퓨터에 의해 선택된 실시간 스캔 강좌에 대한 실시간 강의주소를 검색하고 해당 실시간 강의주소를 통해 상기 수강생 컴퓨터가 해당 강좌가 개설된 강사 컴퓨터로 연결되도록 지원하는 단계(S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교육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e) 단계는,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스캔 방식의 VOD 강좌나 다운로드 가능한 강좌 컨텐츠에 대한 서비스 스캔강좌 선택신호를 수강생 컴퓨터로부터 수신하고 선택된 서비스스캔강좌가 강좌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1-S62);
    강좌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다운로드 가능한 강좌 컨텐츠 목록을 상기 수강생 컴퓨터로 전송하고 전송된 강좌 컨텐츠 목록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63-S64);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선택된 강좌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 및 다운로드 이용 요금에 관한 정보를 해당 수강생 컴퓨터로 전송하고 다운로드 이용료에 관한 결제정보를 수신해 저장하는 단계(S65);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결제된 해당 강좌 컨텐츠의 파일에 대하여 해당 파일의 파기를 위한 소정의 최대실행횟수 및 소정의 제한실행기간을 파일내에 설정하고 해당 다운로드 수신자의 ID 를 파일내에 기록하여 기간설정 파일로 생성시킨 후, 강좌실행 프로그램이 포함된 실행 파일로 상기 수강생 컴퓨터에 전송하는 단계(S66);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해당 수강생 컴퓨터로 다운로드된 강좌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수강생 ID, 다운로드 시스템 시간, 최대실행기간, 최대실행횟수 등을 포함하는 로그 데이터를 내부에 저장하는 단계(S67);
    강좌 컨텐츠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이용가능한 VOD 강좌 목록을 상기 수강생 컴퓨터로 전송하고 전송된 VOD 강좌 목록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70-S71);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선택된 VOD 강좌에 대한 상세 정보 및 VOD 이용요금에 관한 정보를 해당 수강생 컴퓨터로 전송하고 VOD 이용료에 관한 결제정보를 수신해저장하는 단계(S72); 및
    상기 교육허브 서버가 해당 VOD 강좌에 대한 이용권한을 상기 수강생 컴퓨터에게 부여하고 해당 수강생 컴퓨터가 스캔 방식의 VOD 강좌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S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교육 방법.
KR1020030048724A 2003-07-16 2003-07-16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교육 시스템 및방법 KR100594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724A KR100594873B1 (ko) 2003-07-16 2003-07-16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교육 시스템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724A KR100594873B1 (ko) 2003-07-16 2003-07-16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교육 시스템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417A true KR20050009417A (ko) 2005-01-25
KR100594873B1 KR100594873B1 (ko) 2006-07-03

Family

ID=37222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724A KR100594873B1 (ko) 2003-07-16 2003-07-16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교육 시스템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48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0396A (ko) * 2012-05-22 2013-12-02 주식회사 성우모바일 교육매체 제작방법 및 교육매체 시스템
KR20150082075A (ko) * 2014-01-04 2015-07-15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가상채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및 가상채널 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066080A (ko) * 2014-11-30 2016-06-10 주식회사 윌드림 다양한 포멧의 컨텐츠 공유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영상 교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238B1 (ko) 2009-08-10 2011-08-25 코리아판서시스템(주) 판서 내용 녹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0396A (ko) * 2012-05-22 2013-12-02 주식회사 성우모바일 교육매체 제작방법 및 교육매체 시스템
KR20150082075A (ko) * 2014-01-04 2015-07-15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가상채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및 가상채널 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066080A (ko) * 2014-11-30 2016-06-10 주식회사 윌드림 다양한 포멧의 컨텐츠 공유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영상 교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4873B1 (ko) 2006-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3576B2 (en) Managed access to information over data networks
AU780938B2 (en) Internet-based educ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s
US7493396B2 (en) Internet-based educ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s
US65163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executing internet based lectures using public domain web page
US2003007306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training through an electronic network to remote electronic devices
US2003007455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eiving training through electronic data networks using remote hand held devices
US20030152904A1 (en) Network based educational system
US729906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the provision of training provided remotely through electronic data networks to users of remote electronic devices
US2003007306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gistering and authenticating recipients of training provided through data communications networks to remote electronic devices
US20070298401A1 (en) Educational System and Method Using Remote Communication Devices
CN101014922A (zh) 用于提供受保护内容的数字权限管理的系统、方法及计算机程序产品
WO2008030992A2 (en) Distributed learning platform system
US20090138508A1 (en) Network-based interactive media delivery system and methods
US200200624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on of virtual events
US2005027710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ve learning and other information exchanges, such as for use in a mobile learning environment
WO2019075822A1 (zh) 一种远程教学培训系统及访问控制方法
US2003007432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continuing legal education through an electronic data network to remote hand held devices
KR102048866B1 (ko) 멀티 디바이스를 이용한 양방향 온라인 동영상 교육 방법 및 시스템
Cochrane Mobilising learning: A primer for utilising wireless palm devices to facilitate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JP2002297011A (ja) 遠隔教育システム
JP3498057B2 (ja) 視聴覚端末、視聴覚認証システム、視聴覚を認証する方法、遠隔教育方法及び記録媒体
KR100594873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교재 스캔 방식의 교육 시스템 및방법
KR101620359B1 (ko) 온라인을 이용한 강의콘텐츠 제공시스템
KR101527741B1 (ko) 온라인 보팅 및 퀴즈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05684A (ko) 소프트 웨어의 원격 교육및 실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