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9306A - 음원 합성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음원 합성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9306A
KR20050009306A KR1020030048511A KR20030048511A KR20050009306A KR 20050009306 A KR20050009306 A KR 20050009306A KR 1020030048511 A KR1020030048511 A KR 1020030048511A KR 20030048511 A KR20030048511 A KR 20030048511A KR 20050009306 A KR20050009306 A KR 20050009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information
function
ca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준
Original Assignee
한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준 filed Critical 한재준
Priority to KR1020030048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9306A/ko
Publication of KR20050009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30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이동전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능키 및 숫자키를 조작하여 음원을 통화정보에 삽입하도록 한다. 통화가 연결되면, 음원 삽입에 관한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판단하고, 설정된 기능에 따라 음원을 통화정보에 삽입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배경음원을 통화내용에 포함하여 듣게 되므로 통화분위기가 좋아질 수 있다.

Description

음원 합성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A mobile telephone having audio source mixing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이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음원발생 기능을 갖는 셀룰러나 PCS 등의 이동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휴대 정보 단말기(이하, 이동 전화기라 지칭한다)는 생활의 필수품이 되어 있을 정도로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사용 계층도 점차 유년 및 노년층으로 다양화되고 있다.
한편, 이동 통신 서비스를 하는 회사들은 문자메시지 전송, 메일 서비스, 인터넷 서비스 제공 등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동 전화기의 기능도 다양화되어 카메라 기능까지 갖춘 이동 전화기가 등장하였으며, 소비자들은 더 많은 편의 기능을 갖는 새로운 이동 전화기를 원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러한 고객들의 편리함을 추구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통화중에 음원을 삽입하여 통화의 분위기를 좋게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이동 전화 시스템은,
외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으로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
음원정보 및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키보드부;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아 선택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해 놓고, 통화중에 상기 선택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을 삽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이동 전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기능키 및 숫자키를 조작하여 음원을 통화정보에 삽입하도록 이동 전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방법으로서,
통화가 연결되면, 음원 삽입에 관한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제1 단계;
음원 삽입에 관한 기능중 제1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미리 지정된 음원을통화 정보에 합성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 시스템은,
외부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으로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20);
메뉴에 관한 선택을 하는 기능키부(51)와 숫자를 입력받기 위한 숫자키부(52)를 구비하는 키보드부(50)
음원정보 및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1);
상기 기능키부(51)의 제1, 제2 기능을 입력받고 통화중이 되면, 제1 기능 지정시에 미리 지정된 음원을 통화정보에 삽입하고, 제2 기능 지정시에는 해당 숫자키에 대응하는 음원을 상기 통화정보에 삽입하는 마이컴(10);
상기 마이컴(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의 음원정보를 상기 통화정보에 삽입하는 오디오부(14);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오디오부로 출력하는 마이크(40);
오디오부(14)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30);
상기 마이컴(1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60)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 시스템의 동작에 관하여 도1 및 도2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를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의 동작이 시작된다.
동작이 시작된후, 사용자는 키보드부(50)의 기능키(51)를 조작하여 음원을 설정하는 제1 기능 내지 제3 기능을 선택한다. 여기서, 제1 기능은 이 기능을 설정하고 음원을 지정하면, 통화시에 지정된 음원을 송신음에 삽입하여 송신하고, 통화음의 수신시에도 이 음원을 삽입하여 사용자에게 들려주는 기능이다. 음원에는, 사람 말소리, 동물의 울음소리, 바람소리, 시냇물소리, 새소리, 유행가, 클래식 음악 등 다양한 종류의 음원을 포함한다. 제2 기능은 통화시에 숫자키부(52)의 숫자버튼을 누르면 원하는 음원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숫자 1에는 "사랑해"라는 멘트의 음원을 지정하고, 숫자 2에는 분위기 있는 음악의 음원을 지정하는 방법으로 여러 음원을 숫자키에 대응시켜 저장하고, 통화시에 해당 숫자키를 누르면 숫자키에 대응하는 음원이 통화정보에 삽입된다. 이때, 숫자키를 누를 때 발생하는 신호음은 무음처리되도록 마이컴(12)이 제어를 한다. 또한, 제3 기능 지정시에는 미리 지정된 발신 전화번호에 따라 다른 음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지정되지 않은 전화번호도 미리 하나의 음원 또는 음원이 없도록 지정할 수 있다. 특히, 이 기능을 사용하면 연인과의 통화시에 분위기 있는 음악을 음원으로 지정하여 통화를 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가지 기능을 예시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음원 삽입기능을 추가할 수 있으며, 시간대에 따라 지정된 음원을 삽입하는 제4 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키에 의해 어떤 정보를 선택하는 기술은 이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제1 기능 내지 제3 기능중 하나 내지 모두가 선택된 후, 이동 전화 사용자가 키보드부(50)의 키를 조작하여 통화를 연결하도록 하면, 마이컴(12)은 이를 인지하고, 송수신부(13)를 제어하여 안테나(20)를 통해 기지국으로 호연결을 시도한다. 그리고 나서 상대방이 전화를 받으면 통화가 연결된다. 한편, 외부에서 사용자의 이동 전화(100)로 호 연결을 시도할 경우는 안테나(20)를 통해 신호가 수신되어 송/수신부(13)를 거쳐 마이컴(13)으로 착신신호가 수신되고, 마이컴(13)의 제어에 의해 발신자 전화번호가 표시장치(60)에 표시됨과 동시에 오디오부(14)가 스피커(30)를 통해 벨소리를 출력할 때 사용자가 폴더를 열거나 하면 통화가 연결된다. 물론, 무음모드시에는 설정에 따라 마이컴(12)이 발광다이오드(90)가 깜박이도록 하거나 모터(80)가 진동하도록 하여 착신을 알린다. 이러한 통화 연결 과정은 이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10).
통화가 연결되면, 마이컴(12)은 통화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메모리(11)를 검색하여 제1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20).
제1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마이컴(12)은 제1 기능에서 미리 저장된 음원파일을 메모리(11)에서 오디오부(14)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오디오부(14)는 음원파일을 통화정보에 삽입하게 된다(S20). 즉, 마이크(40)에서 음성으로 입력되어 변환된 신호와 음원파일을 합성하여 송수신부(13) 및 안테나(20)를 통해 상대방으로 송신하게 되고,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음원파일을 합성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통화자들은 수신음성과 음원파일이 발생하는 음악 또는 음향 등의 음원을 동시에 듣게 된다.
한편, 제1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마이컴(12)은 제3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40).
제3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마이컴(12)은 발신번호를 판단한다. 이때 발신번호는 발신한 경우에는 메모리에 저장된 발신정보로부터 가져오고, 수신한 경우에는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를 가입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받아 이용한다. 발신번호가 검색되면, 마이컴(12)은 제3 기능에서 지정한대로 발신번호에 해당하는 음원파일을 메모리(11)에서 오디오부(14)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오디오부(14)는 해당 음원파일을 통화정보에 삽입하게 된다(S50).
그리고 나서, 제1 기능이 설정되었거나, 제3 기능이 설정되지 않았으면, 마이컴(12)은 제2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판단한다(S60).
제2 기능이 설정되었으면, 마이컴(12)은 사용자가 통화중에 임의의 숫자 버튼을 눌렀는가를 감지하여, 감지된 숫자 버튼에 해당하는 음원파일을 상기 메모리(11)에서 오디오부(14)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오디오부(14)는 음원파일을 통화정보에 삽입하게 된다(S70).
그리고 나서, 마이컴(12)은 통화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하여 통화가 종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과정을 반복하고, 통화가 종료되면, 모든 루틴을 종료한다(S80).
상기 과정은 마이컴(12)에 의해 처리되는 과정이므로 시간적으로 매우 빠르게 진행되어 사람의 청각으로는 구별이 어려우므로 동시에 들리는 효과가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모든 기능을 동시에 삽입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시간대별로 다른 음원을 지정받아 GPS로부터 수신되는 시간정보에 따라 지정된 음원을 통화정보에 삽입하여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이와 같은 기능은 다양한 순서로 바꾸어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이 발명은 이동 전화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양방향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다른 이동통신기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화중에 사람의 통화자의 음성 이외에 음악이나 말소리 음향 등의 배경 음원을 합성하여 들려주어 분위기를 고조시켜 사람의 마음을 즐겁게 할 수 있다.

Claims (8)

  1. 외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으로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
    음원정보 및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키보드부;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아 선택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해 놓고, 통화중에 상기 선택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을 삽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
  2. 외부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으로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메뉴에 관한 선택을 하는 기능키부와 숫자를 입력받기 위한 숫자키부를 구비하는 키보드부;
    음원정보 및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기능키부의 입력에 따라 제1, 제2 기능을 설정하고, 통화중이 되면, 제1 기능 설정시에 미리 지정된 음원을 통화정보에 삽입하고, 제2 기능 설정시에는 해당 숫자키에 대응하는 음원을 상기 통화정보에 삽입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의 음원정보를 상기 통화정보에 삽입하는 오디오부;
    상기 오디오부로부터 수신되는 통화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오디오부로 출력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
  3. 외부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으로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메뉴에 관한 선택을 하는 기능키부와 숫자를 입력받기 위한 숫자키부를 구비하는 키보드부;
    음원정보 및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기능키부로부터 입력에 따라 제1, 제2, 제3 기능을 설정하고, 통화중이 되면, 제1 기능 설정시에 미리 지정된 음원을 통화정보에 삽입하고, 제2 기능 지정시에는 상기 숫자키부의 해당 숫자키에 대응하는 음원을 상기 통화정보에 삽입하며, 제3 기능 지정시에는 발신번호에 대음하는 음원을 상기 통화정보에 삽입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의 음원정보를 상기 통화정보에 삽입하는 오디오부;
    상기 오디오부로부터 수신되는 통화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오디오부로 출력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
  4. 외부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으로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메뉴에 관한 선택을 하는 기능키부와 숫자를 입력받기 위한 숫자키부를 구비하는 키보드부;
    음원정보 및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기능키부로부터 입력에 따라 제1, 제2, 제3 제4 기능을 설정하고, 통화중이 되면, 제1 기능 설정시에 미리 지정된 음원을 통화정보에 삽입하고, 제2 기능 지정시에는 상기 숫자키부의 해당 숫자키에 대응하는 음원을 상기 통화정보에 삽입하며, 제3 기능 지정시에는 발신번호에 대음하는 음원을 상기 통화정보에 삽입하고, 제4 기능 지정시에는 시간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을 삽입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의 음원정보를 상기 통화정보에 삽입하는 오디오부;
    상기 오디오부로부터 수신되는 통화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오디오부로 출력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
  5. 기능키 및 숫자키를 조작하여 음원을 통화정보에 삽입하도록 이동 전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방법으로서,
    통화가 연결되면, 음원 삽입에 관한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제1 단계;
    음원 삽입에 관한 기능중 제1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미리 지정된 음원을 통화 정보에 합성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음원 삽입에 관한 기능중 제2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숫자키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통화 정보에 합성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음원 삽입에 관한 기능중 제3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발신번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통화 정보에 합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음원 삽입에 관한 기능중 제4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현재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통화 정보에 합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30048511A 2003-07-16 2003-07-16 음원 합성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09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511A KR20050009306A (ko) 2003-07-16 2003-07-16 음원 합성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511A KR20050009306A (ko) 2003-07-16 2003-07-16 음원 합성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306A true KR20050009306A (ko) 2005-01-25

Family

ID=37222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511A KR20050009306A (ko) 2003-07-16 2003-07-16 음원 합성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93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2125B2 (en) Voice activated dialing for wireless headsets
US7650168B2 (en) Voice activated dialing for wireless headsets
US7248900B2 (en) Compound ring tunes
CN100358381C (zh) 移动电话设备及其控制方法
JP2003319062A (ja) ハンズフリー携帯電話機およびハンズフリー切替プログラム
KR20020013808A (ko)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
GB2382274A (en) A mobile phone with selectable ring tone sequence.
KR20100015606A (ko) 메시징 시스템
US7519377B2 (en) Calling system from accessory to portable device
KR20090081170A (ko) 문자메시지 출력기능을 갖는 무선 헤드셋 및 문자메시지출력방법
KR100705163B1 (ko) 배경음악 송출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장치 및 신호 전송방법
KR20050009306A (ko) 음원 합성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69987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인 비서 기능을 갖는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JPH11187084A (ja) 呼出音登録方法、受信装置、及び呼出音登録装置
JP2003188948A (ja) 携帯端末装置
KR20030056068A (ko) 착발신시 통화 상대방 음성 알림 방법
KR100294463B1 (ko) 호착신음녹음이가능한이동통신단말기및호착신음지정방법
KR10095363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수신음 설정 방법
KR20020061800A (ko) 이동 통신 단말의 착신음 설정 방법
JPH11163971A (ja) 無線電話端末の着信通知方式
KR20040076910A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
KR100439224B1 (ko) 휴대전화기 매너모드의 발신자번호 확인장치와 그 운용방법
KR200315201Y1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
KR2003002609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착신모드 전환방법
KR20100027690A (ko) 모드 변경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벨소리 모드로 수신 모드를 전환하는 전화 단말의 수신 모드 변환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