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9303A - 일방향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킥보드 - Google Patents

일방향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9303A
KR20050009303A KR1020030048503A KR20030048503A KR20050009303A KR 20050009303 A KR20050009303 A KR 20050009303A KR 1020030048503 A KR1020030048503 A KR 1020030048503A KR 20030048503 A KR20030048503 A KR 20030048503A KR 20050009303 A KR20050009303 A KR 20050009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kickboard
coupled
transmission device
wa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복
Original Assignee
와이비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비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이비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8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9303A/ko
Publication of KR20050009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30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 B62M1/28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exible drive members, e.g.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3/00Guards for chain, chain drive or equivalent drive, e.g. belt drive
    • B62J13/04Guards for chain, chain drive or equivalent drive, e.g. belt drive completely enclosing the chain driv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5/00Foot-rests; Knee grips; Passenger hand-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2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unchangeable rati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1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movement having an axial compon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2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F16D41/28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향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킥보드에 일방향 동력전달장치를 구비하여 페달의 반복적인 상하운동을 통해 뒷바퀴에 회전운동을 유발하여 앞으로 전진하는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는 본체 프레임의 전후방에 회전가능한 바퀴가 설치되고, 전륜의 상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핸들이 구비되는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일방향 베어링이 구비된 2개의 동력전달부재를 결합한 일방향 동력전달장치와, 상기 일방향 동력전달장치의 양측 샤프트에 축삽되고 그 일단에 페달이 구비된 암과, 상기 암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 스프로켓의 회전력을 후륜에 전달하는 체인과, 상기 후륜의 회전축에 축삽되어 체인에 치합되는 피동 스프로켓으로 구성되는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방향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킥보드 {Quick board with one-way power transmission device}
본 발명은 일방향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킥보드에 일방향 동력전달장치를 구비하여 페달의 반복적인 상하운동을 통해 뒷바퀴에 회전운동을 유발하여 앞으로 전진하는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는 발판의 후방부와 전방부의 하면에 원형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발판의 전반부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해들부가 결합되는 구성이다.
사용자가 핸들부의 손잡이를 통해 진행방향을 조절하며, 주행시 안전을 유지하기 위하여 킥보드의 무게중심이 지면 가까이 위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킥보드를 통해 사용자는 한쪽 발을 발판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른 한쪽 발로는 지면을 밀어주어 킥보드가 앞으로 전진하며, 이를 통해 근거를 이동하거나 혹은 어린이들의 놀이기구로 이용된다.
그러나 상기한 킥보드는 이동시 한쪽 발은 발판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른 한쪽 발로는 계속하여 지면을 밀어주어야 앞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어 주행이 부드럽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공개번호 특2002-24013호에 페달구동형 킥보드가, 공개번호 특2003-15465호에 페달장치가 구비된 킥보드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번호 특2002-24013호에는 좌우 발판과, 상기 발판에 결합되어 뒷바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역회전방지부를 구비한 것이고, 공개번호 특2003-15465호는 전륜보다 큰 직경을 갖는 후륜과, 상기 후륜을 회전시키는 페달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킥보드는 사용자가 서있는 상태에서 페달을 밟아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고, 장시간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을 인해 상용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킥보드에 일방향 동력전달장치와 안장을 구비하여 앉은 상태에서 페달을 밟을 수 있어 편리하게 킥보드를 전진시킬 수 있고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킥보드로 사용할 수 있어 실제 제품으로 상용화할 수 있는 일방향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킥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 프레임의 전후방에 회전가능한 바퀴가 설치되고, 전륜의 상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핸들이 구비되는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일방향 베어링이 구비된 2개의 동력전달부재를 결합한 일방향 동력전달장치와, 상기 일방향 동력전달장치의 양측 샤프트에 축삽되고 그 일단에 페달이 구비된 암과, 상기 암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 스프로켓의 회전력을 후륜에 전달하는 체인과, 상기 후륜의 회전축에 축삽되어 체인에 치합되는 피동 스프로켓으로 구성되는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킥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보드의 전체적인 측면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나타낸 동력전달장치만의 정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체 프레임 부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전륜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동력전달 부위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의 전체적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안장부 200 : 핸들부
300 : 본체 프레임 400 : 동력전달수단
410 : 동력전달장치 500 : 전륜부
600 : 후륜부 700 : 프레임 커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인에 의해 선특허 출원된 일방향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해 킥보드에 킥보드를 전진하기 위한 동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장부(100), 핸들부(200), 본체 프레임(300), 동력전달수단(400), 전륜부(500), 후륜부(600)로 구성된다.
본체 프레임(300)은 대략 ㄴ자로 절곡되어 일단은 전륜부(500)의 포크(510)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륜(602)의 회전축(606)이 축삽되도록 후방이 개방된 후륜 지지대(604)가 양측에서 결합된다.
상기 후륜 지지대(604)가 결합된 본체 프레임(300)의 하방으로는 기저판(302)이 고정되어 동력전달수단 지지대(402)가 직각으로 고정되고, 안장 지지대(102)가 후방으로 경사지게 고정된다.
이때 동력전달수단 지지대(402)는 킥보드의 전면에서 보았을 때 기저판(302)의 양측 상부에서 돌출되고, 안장 지지대(102)는 기저판(302)의 중앙 부위에서 돌출된다.
상기 안장 지지대(102)와 본체 프레임(300)에는 가이드 본체(404)가 고정되고 가이드 본체(404)에는 롤러 지지대(406)가 입설되어 가이드 롤러(408)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본체 프레임(300)의 중앙 부위에는 길이 반대방향으로 상면에 받판 지지대(304)가 전후로 고정되고 발판(306)이 발판 지지대(304)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 지지대(402) 사이에는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2개의 동력전달부재를 결합한 일방향 동력전달장치(410)가 구비된다.
상기 일방향 동력전달장치는 도 2a와 도 2b의 구조를 갖는다.
좌측 동력전달부재(410a)는 조립링(412)에 형성된 장착홈(413)에 걸림수단인 스프링(414)과 걸쇠(415)를 장착하고, 하우징(420)에 삽입하되 조립링(412)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기어(421)의 양외측에 다수의 볼(490)을 위치시킨다.
다음 캡(425)을 조립링(412)에 맞대고 회전시켜 서로 나합시킨다.
이렇게 하여 조립링(412)과 하우징(420)이 결합되어 캡(425)에 의해 고정된다.
조립링(412)의 내주연에 샤프트(430)를 맞춘 다음 서로 나합시켜 좌측 동력전달부재(410a)의 조립이 완료된다.
우측 동력전달부재(410b)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한 상태에서 샤프트(470)에 결합 베어링(492)을 축삽시키면 된다.
조립이 완료된 우측 동력전달부재(410b)의 결합 베어링(492)을 좌측 동력전달부재(410a)의 샤프트(430)에 끼워 서로 맞춘 상태에서 볼트(494)를 회전시켜 끼우면 일방향 동력전달 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샤프트(430)를 일방향(도면에서는 시계반대 방향의 실선으로 표시)으로 회전시키면, 샤프트(420)에 나합된 조립링(412)도 샤프트(430)와 같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장착홈(413)에 장착된 걸쇠(415)가 스프링(414)에 의해 밖으로 밀려 나가 하우징(420)에 형성된 기어(421)에 걸리게되어 샤프트(430)의 일방향 회전력이 조립링(412)을 통해 하우징(420)에 전달되어 하우징(420)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샤프트(430)를 역방향(도면에서는 시계방향의 점선으로 표시)으로 회전시키면, 사프트(420)에 나합된 조립링(412)도 샤프트(430)와 같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장착홈(413)에 장착된 걸쇠(415)가 하우징(420)에 형성된 기어(421)에 걸리지 않아 조립링(412)이 공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샤프트(430)의 역방향 회전력이 하우징(420)에 전달되지 않아 하우징(420)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기한 동작이 2개의 동력전달부재(410a,410b)에서 각각 별도로 행해지기 때문에 좌우의 샤프트(430,470)가 별도로 움직이므로 2개의 샤프트를 서로 연동시켜 360°회전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샤프트(430,470)는 미도시된 베어링에 의해 동력전달수단 지지대(40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샤프트의 좌우 양측에는 암(480)이 고정되게 축삽된다.
샤프트의 일단에는 구동 스프로켓(482)이 축삽되어 체인(487)을 통해 후륜(602)에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암(480)의 일단에는 발로 밟을 수 있도록 페달(486)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연결봉(484)이 결합된다.
상기 연결봉(484)에는 와이어(440)가 고정되어 가이드 롤러(408)를 거쳐 반대편 연결봉(484)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페달(486)을 밟아 일측의 암(480)을 하강시키면 타측의 암이 저절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롤러(408)와 연결봉(484), 와이어(440)를 사용하지 않고 미도시된 비틀림 스프링을 양측 샤프트에 설치하여 페달(486)이 항상 상부에 위치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안장 지지대(102)에 상부에는 시트 포스트(104)가 결합되고 시트 포스트(104)에는 통상적인 안장(106)이 결합된다.
상기 후륜 지지대(604)에는 회전축(606)이 끼워지고 후륜 지지대(604) 사이의 회전축(604)에는 후륜(602)이 축삽되어 회전하게 된다.
후륜 지지대(604)와 후륜(602) 사이의 일측 회전축에는 피동 스프로켓(608)이 축삽되어 회전축(606)과 같이 회전되고 타측에는 드럼형 브레이크(610)가 설치된다.
상기 피동 스프로켓(608)은 동력전달수단(400)의 샤프트에 축삽된 구동 스프로켓(482)과 체인(487)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이 후륜(602)에 전달된다.
본체 프레임(300)의 앞단과 결합되는 포크(510)의 하부에는 전륜(50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륜의 림에는 브레이크(504)가 설치된다.
상기 후륜(602)의 브레이크(610)와 전륜(502)의 브레이크(504)는 통상적인 것으로 여기서는 설명을 약한다.
전진 방향을 조절하는 핸들부(200)는 포크(510) 상부와 절첩되게 결합되는 핸들 포스트(202)와, 핸들 포스트(202)의 상부에 좌우로 결합되는 손잡이(504)로구성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장치(410), 체인(487), 스프로켓(482,608) 등으로 구성되는 동력전달수단(400)은 암(480)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프레임 커버(700)로 덮혀져 보호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킥보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안장(106)에 앉은 상태에서 핸들(204)을 손으로 잡고 일측 페달(486)을 앞으로 밟아 하강시키면 페달 반대쪽 암의 일측 연결봉(484)이 상승하게 되고, 일측 연결봉에 연결된 와이어(440)에 의해 가이드 롤러(408)가 회전하면서 타측 연결봉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타측 연결봉의 반대쪽 암의 페달(486)은 저절로 상승하게 되고, 반대의 동작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이와 같이 한쪽 페달을 밟아 하강시키면 반대쪽 페달이 상승하게 되어 사용자는 페달을 밟기만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페달(486)을 번갈아 밟으면 도 2b의 동작으로 페달이 하강하는 쪽의 샤프트 회전력이 구동 스프로켓(482)에 전달되고, 페달이 상승하는 쪽의 샤프트의 회전력은 구동 스프로켓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페달을 일정각도로 번갈아 밟으면 양측 암이 교대로 상승 하강하게 되어 페달을 밟는 동안에만 구동 스프로켓이 힘을 받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구동 스프로켓(482)이 앞으로 회전을 하면 구동 스프로켓의 회전력이 체인(487)에 의해 후륜(602)의 피동 스프로켓(608)에 전달되어 후륜이 앞으로 회전하면서 자전거는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샤프트에 암(480)이 축삽되는 경우 암이 지면에 닿지 않아도 일방향으로 계속 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암의 길이를 크게 할 수 있어 똑같은 동력을 전달하는 경우 종래보다 힘이 적게 든다.
또한 2개의 샤프트를 서로 연동시켜 360°회전하지 않아도 되어 실제 힘이 소요되는 제한된 각도 내에서만 회전시켜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400)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킥보드처럼 사용자가 한쪽 발을 발판(306)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른 한쪽 발로 지면을 밀어주어 앞으로 전진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킥보드에 일방향 동력전달장치와 안장을 구비하여 앉은 상태에서 페달을 밟을 수 있어 편리하게 킥보드를 전진시킬 수 있고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킥보드로 사용할 수 있어 실제 제품으로 상용화할 수 있는 일방향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킥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Claims (10)

  1. 본체 프레임의 전후방에 회전가능한 바퀴가 설치되고, 전륜의 상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핸들이 구비되는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일방향 베어링이 구비된 2개의 동력전달부재를 결합한 일방향 동력전달장치와, 상기 일방향 동력전달장치의 양측 샤프트에 축삽되고 그 일단에 페달이 구비된 암과, 상기 암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 스프로켓의 회전력을 후륜에 전달하는 체인과, 상기 후륜의 회전축에 축삽되어 체인에 치합되는 피동 스프로켓으로 구성되는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킥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동력전달장치는 본체 프레임의 하면에 고정된 기저판의 양측에서 상부로 돌출된 동력전달수단 지지대 사이에 베어링에 의해 지지 설치됨을 특징으로 일방향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킥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재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끼워지는 조립링과,
    상기 조립링에 결합되어 조립링이 하우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캡과,
    상기 조립링에 결합되어 조립링과 같이 회전하는 샤프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킥보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연에 일방향만 향하도록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링의 외부에 형성된 장착홈에는 걸림수단이 장착되어,
    상기 샤프트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걸림수단이 기어에 걸려 샤프트의 회전력이 조립링을 통해 하우징에 전달되고, 상기 샤프트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조립링이 공회전하여 샤프트의 회전력이 하우징에 전달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동력전달장치 구비된 킥보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조립링이 일방향으로 회전시 하우징의 기어에 걸리는 걸쇠와, 외측으로 힘을 미치도록 상기 걸쇠를 탄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킥보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 고정된 가이드 본체에 입설된 롤러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 롤러와, 상기 페달이 구비된 암의 타단에 결합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고정되어 가이드 롤러를 거쳐 반대편 연결봉에 고정되는 와이어에 의해,
    일측의 암이 하강하면 타측의 암은 반대로 상승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킥보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 안장 지지대가 후방으로 경사지게 고정되고, 상기 안장 지지대에 상부에는 시트 포스트가 결합되며 시트 포스트에는 안장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킥보드.
  8. 청구항 1, 청구항 6, 청구항 7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길이 반대방향으로 받판 지지대가 전후로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발판 지지대의 상부에는 발판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킥보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안장이 있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전륜 부위d의 포크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킥보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프레임 커버에 의해 덮혀져 보호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킥보드.
KR1020030048503A 2003-07-16 2003-07-16 일방향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킥보드 KR200500093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503A KR20050009303A (ko) 2003-07-16 2003-07-16 일방향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503A KR20050009303A (ko) 2003-07-16 2003-07-16 일방향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킥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303A true KR20050009303A (ko) 2005-01-25

Family

ID=3722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503A KR20050009303A (ko) 2003-07-16 2003-07-16 일방향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930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829B1 (ko) * 2010-01-06 2010-02-25 이정우 킥보드 타입의 자전거
KR101127440B1 (ko) * 2009-07-15 2012-03-23 성민경 수동 주행기구
KR101275091B1 (ko) * 2012-08-16 2013-07-30 와이비씨 주식회사 자전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8743U (ko) * 1977-12-05 1979-06-23
JPH0346742A (ja) * 1989-07-13 1991-02-28 Nissin Electric Co Ltd イオン注入装置の制御方法
KR970051670U (ko) * 1996-02-24 1997-09-08 박춘길 자전거의 전진 구동장치
KR20000036372A (ko) * 2000-02-28 2000-07-05 서경임 유희용 놀이자전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8743U (ko) * 1977-12-05 1979-06-23
JPH0346742A (ja) * 1989-07-13 1991-02-28 Nissin Electric Co Ltd イオン注入装置の制御方法
KR970051670U (ko) * 1996-02-24 1997-09-08 박춘길 자전거의 전진 구동장치
KR20000036372A (ko) * 2000-02-28 2000-07-05 서경임 유희용 놀이자전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440B1 (ko) * 2009-07-15 2012-03-23 성민경 수동 주행기구
KR100943829B1 (ko) * 2010-01-06 2010-02-25 이정우 킥보드 타입의 자전거
KR101275091B1 (ko) * 2012-08-16 2013-07-30 와이비씨 주식회사 자전거
WO2014027860A1 (ko) * 2012-08-16 2014-02-20 와이비씨 주식회사 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8624B2 (en) Foot pump scooter
US6230586B1 (en) Electric drive device for a bicycle
US8403349B2 (en) Hand/foot powered bicycle
US6398244B1 (en) Propelling scooter
GB2387360A (en) Pedal scooter with flywheel
CA2151636C (en) A forward-drive apparatus for a bicycle
AU7456198A (en) Reversible drive device for bicycles
JP2009531220A (ja) チェーンセット/クランク‐アーム・システムを備え、乗り手の両足による垂直方向における交互の往復運動で推進される自転車
US20030098566A1 (en) Lever operated foot pump scooter
CA2627145A1 (en) Recumbent seat mechanism
KR20050009303A (ko) 일방향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킥보드
US6749211B1 (en) Bicycle with reciprocal pedal levers having shiftable pivot axis for transmission ratio change
JP3223611U (ja) 自転車
KR100850690B1 (ko) 스탭식 킥보드
WO2003008261A1 (en) Human powered vehicle with up-down-moving footplate
WO2022007393A1 (zh) 一种自行车
KR100584827B1 (ko) 다기능 체인 자전거의 구동장치
KR100825125B1 (ko) 전후 회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자전거
KR101213348B1 (ko) 자전거 동력장치
KR20120119811A (ko) 원호형 내치차 프레임으로 후륜을 구동하는 자전거
US6695331B2 (en) Kinetic energy generating mechanism
KR100491483B1 (ko) 일방향 동력전달 장치
KR20050029660A (ko) 페달구동형 킥보드
KR200292976Y1 (ko) 킥보드의 페달 구동장치
KR20030009205A (ko) 상하 왕복 운동하는 페달로 구동되는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