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8483A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8483A
KR20050008483A KR1020040052965A KR20040052965A KR20050008483A KR 20050008483 A KR20050008483 A KR 20050008483A KR 1020040052965 A KR1020040052965 A KR 1020040052965A KR 20040052965 A KR20040052965 A KR 20040052965A KR 20050008483 A KR20050008483 A KR 20050008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mount
signal
image signal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2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무라히로후미
나카무라마키비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8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848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1Motion detection based on the imag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3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a processor, e.g. controlling the readout of an image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Abstract

화상 신호를 누적 가산하여 메모리에 기억하는 수단을 갖춘 촬상 장치에 있어서, 손 떨림 보정이 불충분한 화상 신호의 누적 가산을 방지하고, 메모리에 기억되는 화상 신호의 화질을 향상시키는(S/N비를 향상시킨다)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촬상부에서 촬영한 화상 신호를 누적 가산하여 메모리에 기억하는 수단을 갖춘 촬상 장치이며, 촬상부의 손 떨림에 의한 진동량을 검출하고, 검출한 손 떨림 진동량에 따른 손 떨림 신호를 출력하는 손 떨림 검출 수단과, 손 떨림 검출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손 떨림 신호에 따라 산출하는 손 떨림 보정량에 근거하여 촬상부에서 촬영한 화상 신호를 보정하는 손 떨림 보정 수단과, 화상 신호를 기록할 때의 기록 화상 사이즈를 설정하는 기록 화상 사이즈 설정 수단과, 기록 화상 사이즈 설정 수단에서 설정하는 기록 화상 사이즈와 촬상부의 촬상 소자에 있어서 촬상 가능한 범위인 유효 화상 사이즈에 근거하여, 화상 신호의 손 떨림을 보정하는 손 떨림 보정량의 최대치를 산출하는 최대 보정량 산출 수단과, 손 떨림 보정 수단으로 산출되는 손 떨림 보정량과 최대 보정량 산출 수단에서 산출한 손 떨림 보정량의 최대치를 비교하고, 메모리에 누적 가산하는 화상신호의 판별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판별 수단과, 화상 판별 수단에 따라서 손 떨림 보정 수단으로 보정한 화상 신호의 누적 가산 처리를 제어하는 누적 가산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Image pickup apparatus}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한 것은 손 떨림 보정이 불충분한 화상 신호의 누적 가산을 방지하고, 메모리에 기억되는 화상 신호의 화질을 향상시키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등, 화상을 촬영, 기록할 수 있는 촬상 장치에서는 촬영자의 손 떨림에 의한 진동에 의해서 촬영하는 화상이 흔들리거나, 기록한 화상이 열화(번지거나 어긋나거나)하는 것을 막기 위한 손 떨림 방지 기술이 여러가지 고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소정 기간 혹은 소정 회수의 사이에 취입한 화상(정지화면)으로부터 촬영시의 흔들림량을 검출하고, 흔들림량이 가장 작은 화상(정지화면)을 기록하는 촬상 장치 등이 고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 문헌 1 : 특개평 11-317904호 공보( 제 11-12 페이지, 도 1, 도 26)
그렇지만, 촬영한 화상 신호를 누적 가산하여 메모리에 기억하도록 촬상 장치에서는 본래,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 떨림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량의 최대치(이하, 최대 보정량)를 충분히 확보하고, 손 떨림을 완전하게 보정하여 누적 가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제로는 도 7b와 같이, 최대 보정량을 초과하는 화상 신호는, 최대 보정량까지의 손 떨림 보정 밖에 되지 않고 누적 가산되기 때문에, 번지거나 중복(어긋나거나)한 상태의 화상이 메모리에 기억되게 된다.
또, 화상 신호의 기록 사이즈(이하, 기록 화상 사이즈)를 미리 설정하기 때문에, 촬상 소자에 의해서 촬영 가능한 범위(이하, 유효 화상 사이즈)에 대하여, 설정하는 기록 화상 사이즈가 크면, 손 떨림 보정 가능한 범위(이하, 보정 범위)가 작아지고, 비교적 작은 손 떨림 진동에서도 보정 범위의 단부에 해당해 버린다.
이 보정 범위의 단부(이하, 보정단)에서 보정되는 화상 신호는 도 7b의 직선부에 상당하는 화상 신호이고, 손 떨림 보정의 처리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이러한 보정단에서 보정된 화상 신호가 누적 가산되면, 번지거나 중복(어긋나거나) 한 상태의 화상이 메모리에 기억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화상 신호를 누적 가산하여 메모리에 기억하는 수단을 갖춘 촬상 장치에 있어서, 손 떨림 보정이 불충분한 화상 신호의 누적 가산을 방지하고, 메모리에 기억되는 화상 신호의 화질을 향상시키는(S/N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주요한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낸 블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누적 가산 회로의 내부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손 떨림 보정량의 최대치(최대 보정량)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손 떨림 검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촬상 장치의 동작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화상 신호에 대한 보정량과 누적 가산하는 화상 신호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촬상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 신호에 대한 보정량과 누적 가산하는 화상 신호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10....촬상부 120....보정 회로
130....누적 가산 회로 131....가산기
132....메모리 133....스위치
140....승산기 150....기록부
160....마이크로컴퓨터 170....손 떨림 검출부
180....UI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촬상 장치는 다음과 같은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1) 촬상부에서 촬영한 화상 신호를 누적 가산하여 메모리에 기억하는 수단을 갖춘 촬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의 손 떨림에 의한 진동량을 검출하고, 이 검출한 손 떨림 진동량에 따른 손 떨림 신호를 출력하는 손 떨림 검출 수단과, 상기 손 떨림 검출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손 떨림 신호에 따라서 산출하는 손 떨림 보정량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부에서 촬영한 화상 신호를 보정하는 손 떨림 보정 수단과, 상기 화상 신호를 기록할 때의 기록 화상 사이즈를 설정하는 기록 화상 사이즈 설정 수단과, 상기 기록 화상 사이즈 설정 수단으로 설정하는 기록 화상 사이즈와 상기 촬상부의 촬상소자에 대해 촬상 가능한 범위인 유효 화상 사이즈에 근거하고, 상기 화상 신호의 손 떨림을 보정하는 손 떨림 보정량의 최대치를 산출하는 최대 보정량 산출 수단과, 상기 손 떨림 보정 수단에서 산출되는 손 떨림 보정량과 상기 최대 보정량 산출 수단으로 산출한 손 떨림 보정량의 최대치를 비교하고, 상기 메모리에 누적 가산하는 화상 신호의 판별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판별 수단과, 상기 화상 판별 수단에 따라서 상기 손 떨림 보정 수단으로 보정한 화상 신호의 누적 가산 처리를 제어하는 누적가산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촬상부에서 촬영한 화상 신호를 누적 가산하여 메모리에 기억하는 수단을 갖춘 촬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의 손 떨림에 의한 진동량을 검출하고, 이 검출한 손 떨림 진동량에 따른 손 떨림 신호를 출력하는 손 떨림 검출 수단과, 상기 손 떨림 검출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손 떨림 신호에 따라 산출하는 손 떨림 보정량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부에서 촬영한 화상 신호를 보정하는 손 떨림 보정 수단과, 상기 화상 신호를 기록할 때의 기록 화상 사이즈를 설정하는 기록 화상 사이즈 설정 수단과, 상기 기록 화상 사이즈 설정 수단으로 설정하는 기록 화상 사이즈와 상기 촬상부의 촬상소자에 대해서 촬상 가능한 범위인 유효 화상 사이즈에 근거하고, 상기 화상 신호의 손 떨림을 보정하는 손 떨림 보정량의 최대치를 산출하는 최대 보정량 산출 수단과, 상기 손 떨림 보정 수단에서 산출되는 손 떨림 보정량과 상기 최대 보정량 산출 수단으로 산출한 손 떨림 보정량의 최대치를 비교하고, 상기 메모리에 누적 가산하는 화상 신호의 판별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판별 수단과, 상기 화상 판별 수단에 따라서 상기 손 떨림 보정 수단으로 보정한 화상 신호의 누적 가산 처리를 제어하는 누적가산 제어 수단과, 상기 누적 가산 제어 수단에 의한 누적 가산 처리의 회수에 따라서 산출한 계수치와 상기 메모리에 누적 가산하여 기억되어 있는 화상 신호를 승산 처리하여 출력하는 화상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이러한 구성의 촬상 장치에 의해, 기록 화상 사이즈 설정 수단으로 설정한 기록 화상 사이즈 및 촬상부의 촬상 소자에 있어서 촬상 가능한 범위인 유효 화상 사이즈에 근거하여 산출한다. 손 떨림 보정량의 최대치와 손 떨림 보정 수단으로 산출되는 손 떨림 보정량을 비교하고, 손 떨림 보정 수단으로 보정한 화상 신호의 누적 가산 처리를 제어하므로, 손 떨림 보정 가능한 범위내에 있어서 적절히 보정된 화상 신호만을 누적 가산하여 메모리에 기억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촬상 장치에 의한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설명한다. 즉, 도면은 오로지 해설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촬상 장치에 있어서 주요한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낸 블록도이고, 촬상부(110), 보정 회로(120), 누적 가산 회로(130), 승산기(140), 기록부(150), 마이크로컴퓨터(160), 손 떨림 검출부(170), UI(유저 인터페이스)부(180) 등으로부터 구성된다.
촬상부(110)는 렌즈 및 CCD(Charge Coupled Device)등의 촬상 소자, 신호 처리 회로 등을 갖추고 있고, 렌즈를 거쳐서 입력되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촬상 소자에서 화상 신호로 변환하고, 신호 처리 회로에서 이 화상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보정 회로(120)에 송출한다.
보정 회로(120)는 마이크로컴퓨터(160)로부터 지정된 보정 벡터·데이터에 근거하고, 촬상부(110)로부터 보내져 오는 화상 신호를 보정하고, 누적 가산 회로(150)에 송출한다.
누적 가산 회로(1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산기(131), 메모리(132), 스위치(133)를 구비하고 있고, 마이크로컴퓨터(160)의 제어에 따르고, 캡쳐(capture)를 실시할 때마다, 보정 회로(120)로부터 보내져 오는 화상 신호를 시간축방향으로 누적 가산하여 메모리(132)에 기억한다.
누적 가산 회로(130)의 가산기(131)는 보정 회로(120)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와 메모리(13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신호를 가산 처리하여 출력하고, 메모리(132)는 스위치(205)가 온 일 때, 가산기(131)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를 기억하고, 보정 회로(120)로부터의 화상 신호가 입력되면 기억한 화상 신호를 가산기(131)에 송출한다. 또, 스위치(133)는 마이크로컴퓨터(160)의 제어에 따르고, 손 떨림 검출부(170)의 손 떨림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되고, 온 일 때에 가산기(131)의 출력(화상 신호)을 메모리(132)에 보낸다.
승산기(140)는 마이크로컴퓨터(160)의 제어에 따르고, 누적 가산 회로(130)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160)에서 지정된 계수치에 근거하여 승산 처리하여 기록부(150)에 출력한다.
기록부(150)는 마이크로컴퓨터(160)의 제어에 따르고, 승산기(140)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를 기록한다.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장치나 메모리 카드, 자기테이프, 광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화상 신호를 기록한다.
마이크로컴퓨터(160)는 미리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에 근거하여 촬상 장치내의 각 부, 각 회로의 제어를 실시한다.
예를 들면, 손 떨림 검출부(170)에서 검출된 손 떨림 신호에 근거하여 손 떨림을 보정하기 위해 손 떨림 보정량이나 보정 벡터·데이터를 산출하여 보정 회로(120)에 송출한다.
또, 촬상부(110)의 촬상 소자로 촬상 가능한 범위의 크기와 UI부(180)에 의해 설정되는 기록 화상 사이즈에 근거하여 손 떨림 보정량의 최대치(이하, 최대 보정량)를 산출하고, 산출한 최대 보정량과 손 떨림 보정량에 근거하여 누적 가산 회로(130)를 제어한다.
또한, 승산기(140)에 대한 계수치를 산출하여 송출하거나, 화상 신호를 기록부(150)에 기록할 때의 타이밍의 제어등도 실시한다.
손 떨림 검출부(170)는 촬상부(110)의 손 떨림에 의한 진동량을 검출하고, 검출한 진동량을 손 떨림 신호로서 마이크로컴퓨터(160)에 보낸다. 또한, 손 떨림 신호의 검출은 자이로 센서나 화상 인식 기술 등을 이용하여 실시하고, 화상 신호를 캡쳐(capture)(취입하는) 할때마다 손 떨림에 의한 진동량을 적분한 값을 손 떨림 신호로서 검출하고, 마이크로컴퓨터(180)에 송출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완전 적분을 나타내는 적분기에 있어서, 입력 신호(X(z)), 출력신호(Y(z))로 했을 경우, 손 떨림신호는 다음 식에서 나타낼 수 있다.
Y(z) = 1/{(1-Z 1)·X(z)}
UI(유저 인터페이스)부(18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160)에 소정의 설정·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 신호를 보낸다.
여기서, 최대 보정량의 산출 방법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촬상부(110)의 촬상 소자에 의해 촬상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유효 화상 영역(유효 화상 사이즈)과, 기록부(150)에 기록할 때의 화상 사이즈를 나타내는 실효 화상 영역(기록 화상 사이즈)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유효 화상 영역의 세로 방향의 길이를 bh, 가로 방향의 길이를 bw로 하고, 실효 화상 영역의 세로 방향의 길이를 ah, 가로 방향의 길이를 aw로 했을 경우, 예를 들면, 손 떨림의 보정을 실시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실효 화상 영역은 유효 화상 영역의 중앙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의 최대 보정량은 다음식에 의해서 산출할 수 있다.
세로 방향의 보정량:sh =(bh - ah)/2
가로 방향의 보정량:sw =(bw - aw)/2
단, bh≥ah, bw≥aw
이와 같은 구성의 촬상 장치에 있어서의 동작 플로우를 도 5의 플로차트(flow chart)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촬영을 개시하면, 우선, 마이크로컴퓨터(160)는 캡쳐(capture)한 화상 신호의 수(이하, 캡쳐(capture)수)를 카운트하는 캡쳐(capture) 카운터(이하, CC라고 한다)의 값이 「0」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T110).
CC가 「0」 일 때, 마이크로컴퓨터(160)는 보정 회로(120)에 대한 보정량을 「0」으로 클리어한다(ST111).
계속하여, 누적가산회로(130)의 스위치(133)를 온으로 하고, 촬상부(110)로 촬영한 화상 신호를 캡쳐(capture)하여 메모리(123)에 누적 가산하여 기억한다(ST112, ST113).
이것에 의해, 우선, 기준이 되는 최초의 화상 신호가 누적 가산 회로(130)의 메모리(132)에 기억된다. 이것은 최초의 화상 신호의 보정량은 「0」으로 클리어 되어 있고, 최대 보정량을 초과하지 않고, 이것 이후에 캡쳐(capture)되는 화상 신호에 있어서, 손 떨림의 보정량이 항상 최대 보정량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 화상 신호가 전혀 캡쳐(capture)되지 않는 것을 방지 한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160)는 CC의 값을 하나 증가시키고, 또한, 타임 카운터(이하, TC라고 한다)의 값을 하나 증가시켜 처리를 종료한다(ST114, ST115→엔드).
한편, CC가 「0」이 아닐 때, 누적 가산 회로(130)에는 캡쳐(capture)된 화상 신호가 누적 가산되어 있는 상태에 있고, 마이크로컴퓨터(160)는 다음에, CC의 값이 미리 설정된 캡쳐(capture)수의 최대치(이하, CCmax)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ST110→ST120).
여기서, CC의 값이 최대치(CCmax) 이상(CC≥CCmax) 일 때는 화상 신호를 기록부(150)로 기록하기 위한 처리로 이행 한다(ST120→ST130→···).
한편, CC의 값이 최대치(CCmax)보다 적을(CC<CCmax) 때는 마이크로컴퓨터(160)는 TC의 값이 소정의 설정 시간(이하, TCmax)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ST120→ST121).
여기서, TC의 값이 설정 시간(TCmax) 이상(TC≥TCmax) 일 때는 화상 신호를 기록부(150)에 기록하기 위한 처리로 이행한다(ST121→ST130→···).
한편, TC의 값이 설정 시간(TCmax)보다 적을(TC<TCmax) 때, 마이크로컴퓨터(160)는 손 떨림 검출부(170)로부터의 손 떨림 신호에 근거하여 손 떨림 보정량을 산출하고, 이 손 떨림 보정량에 근거하여 보정 벡터·데이터를 산출하여 보정 회로(120)에 보내고, 보정 회로(120)에서는 이 보정 벡터·데이터에 근거하여 촬상부(110)에서 보내져 오는 화상 신호를 보정한다(ST121→ST122).
계속 하여, 마이크로컴퓨터(160)는 산출한 손 떨림 보정량의 절대치와 촬상 소자의 사이즈와 UI부(180)에 의해 설정한 기록 화상 사이즈에 근거하여 산출한 최대 보정량을 비교한다(ST122→ST123).
손 떨림 보정량의 절대치가 최대 보정량 이하의 경우, 누적 가산 회로(130)의 스위치(133)를 온으로 하고, 메모리(132)에서 보정 회로(120)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누적 가산하여 기억한다(ST123→ST112, ST113).
다음으로, 마이크로컴퓨터(160)는 CC의 값을 하나 증가시키고, 또한, 타임 카운터(이하, TC라고 한다)의 값을 하나 증가시켜 처리를 종료한다(ST114, ST115→엔드).
한편, 손 떨림 보정량의 절대치가 최대 보정량을 넘고 있는 경우, TC의 값을 하나 증가시켜 처리를 종료한다(ST123→ST115→엔드).
또, 상술의 스텝(120)에 있어서, CC의 값이 CCmax 이상(CC≥CCmax) 일 때, 또는 상술의 스텝(121)에서 TC의 값이 TCmax 이상(TC≥TCmax) 일 때, 누적 가산 회로(130)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신호를 기록부(150)에 기록하기 위한 처리를 개시한다.
우선, 마이크로컴퓨터(160)는 CC의 값의 역수를 소정의 계수치로서 승산기(140)에 부여한다(ST120→ST130, 또는, ST121→ST130).
다음으로, 승산기(140)는 마이크로컴퓨터(160)로부터 주어진 소정의 계수치와 누적 가산 회로(130)에 누적 가산되어 있는 화상 신호를 승산 처리하여 기록부(150)에 출력하고, 기록부(150)는 승산기(140)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를 소정의 기록 매체(기록 장치)에 기록한다(ST131).
마이크로컴퓨터(160)는 기록부(150)에 화상 신호가 기록되면, CC의 값을 클리어 하고, 계속하여, TC의 값을 클리어 하고, 처리를 종료한다(ST132→ST133→엔드).
도 6은 상술한 도 5의 동작 플로우에 따라서 동작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손 떨림 신호에 근거하여 산출한 손 떨림 보정량과 누적 가산하는 화상 신호의 관계를 약시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의 그래프에 있어서, 최대 보정량 미만의 손 떨림 보정량에 의해서 보정한 화상 신호가 실선, 최대 보정량 이상의 보정량에 의해서 보정한 화상 신호가 점선에 대응하여 있고, 보정단에서 보정된 화상 신호, 즉, 최대 보정량 이상의 보정량으로 보정된 화상 신호(도 7의 직선부에 상당하는 화상 신호)는 누적 가산되지 않고, 최대 보정량 미만으로 보정한 화상 신호만이 누적 가산되어 메모리에 기억되게 된다.
설정한 기록 화상 사이즈와 촬상부의 촬상 소자에 있어서 촬상 가능한 범위인 유효 화상 사이즈에 근거하여 산출하는 손 떨림 보정량의 최대치(이하, 최대 보정량)와 촬상부의 손 떨림 진동량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손 떨림 보정량을 비교하고, 최대 보정량보다 작은 손 떨림 보정량으로 보정한 화상 신호만을 누적 가산하여 메모리에 기억하는 것으로써, 보정 처리가 불충분한 화상 신호(보정단에 해당되고, 최대 보정량으로 보정 처리된 것 같은 화상 신호)는 누적가산되지 않고, 적정하게 보정 처리된 화상 신호만을 누적 가산하므로, 메모리에 기억하는 화상 신호의 화질(S/N비)이 향상한다라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설정한 기록 화상 사이즈에 근거하여 최대 보정량이 산출하므로, 유효 화상 사이즈에 대해서 기록 화상 사이즈가 큰 경우, 즉, 손 떨림 보정하는 범위가 작은 경우에 있어서도, 적정하게 보정 처리된 화상 신호만을 누적 가산하고, 메모리에 기억하는 화상 신호의 화질(S/N비)가 향상한다라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신호를 누적 가산의 회수에 따른 계수치로 승산 처리하여 출력하므로, 화질(S/N비)이 좋은 화상 신호(정지화상)를 기록 매체나 기록 장치에 기록할 수 있다.

Claims (2)

  1. 촬상부에서 촬영한 화상 신호를 누적 가산하여 메모리에 기억하는 수단을 갖춘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의 손 떨림에 의한 진동량을 검출하고, 이 검출한 손 떨림 진동량에 따른 손 떨림 신호를 출력하는 손 떨림 검출 수단과,
    상기 손 떨림 검출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손 떨림 신호에 따라서 산출하는 손 떨림 보정량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부에서 촬영한 화상 신호를 보정하는 손 떨림 보정 수단과,
    상기 화상 신호를 기록할 때의 기록 화상 사이즈를 설정하는 기록 화상 사이즈 설정 수단과,
    상기 기록 화상 사이즈 설정 수단으로 설정하는 기록 화상 사이즈와 상기 촬상부의 촬상 소자에 있어서 촬상 가능한 범위인 유효 화상 사이즈에 근거하여, 상기 화상 신호의 손 떨림을 보정하는 손 떨림 보정량의 최대치를 산출하는 최대 보정량 산출 수단과,
    상기 손 떨림 보정 수단으로 산출되는 손 떨림 보정량과 상기 최대 보정량 산출 수단으로 산출한 손 떨림 보정량의 최대치를 비교하고, 상기 메모리에 누적 가산하는 화상 신호의 판별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판별 수단과,
    상기 화상 판별 수단에 따라서 상기 손 떨림 보정 수단으로 보정한 화상 신호의 누적 가산 처리를 제어하는 누적 가산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촬상부에서 촬영한 화상 신호를 누적 가산하여 메모리에 기억하는 수단을 갖춘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의 손 떨림에 의한 진동량을 검출하고, 이 검출한 손 떨림 진동량에 따른 손 떨림 신호를 출력하는 손 떨림 검출 수단과,
    상기 손 떨림 검출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손 떨림 신호에 따라 산출하는 손 떨림 보정량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부에서 촬영한 화상 신호를 보정하는 손 떨림 보정 수단과,
    상기 화상 신호를 기록할 때의 기록 화상 사이즈를 설정하는 기록 화상 사이즈 설정 수단과,
    상기 기록 화상 사이즈 설정 수단으로 설정하는 기록 화상 사이즈와 상기 촬상부의 촬상 소자에 있어서 촬상 가능한 범위인 유효 화상 사이즈에 근거하고, 상기 화상 신호의 손 떨림을 보정하는 손 떨림 보정량의 최대치를 산출하는 최대 보정량 산출 수단과,
    상기 손 떨림 보정 수단으로 산출되는 손 떨림 보정량과 상기 최대 보정량 산출 수단으로 산출한 손 떨림 보정량의 최대치를 비교하고, 상기 메모리에 누적 가산하는 화상 신호의 판별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판별 수단과,
    상기 화상 판별 수단에 따라서 상기 손 떨림 보정 수단으로 보정한 화상 신호의 누적 가산 처리를 제어하는 누적 가산 제어 수단과,
    상기 누적 가산 제어 수단에 의한 누적 가산 처리의 회수에 따라서 산출한 계수치와 상기 메모리에 누적 가산하여 기억되어 있는 화상 신호를 승산 처리하여 출력하는 화상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20040052965A 2003-07-15 2004-07-08 촬상 장치 KR200500084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74613A JP3867691B2 (ja) 2003-07-15 2003-07-15 撮像装置
JPJP-P-2003-00274613 2003-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483A true KR20050008483A (ko) 2005-01-21

Family

ID=33475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965A KR20050008483A (ko) 2003-07-15 2004-07-08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45408B2 (ko)
EP (1) EP1499115A3 (ko)
JP (1) JP3867691B2 (ko)
KR (1) KR20050008483A (ko)
CN (1) CN131291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2182B2 (ja) * 2005-03-07 2010-10-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12694B2 (ja) * 2006-02-23 2012-04-11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電子的ぶれ補正装置及び電子的ぶれ補正方法
JP2007306106A (ja) * 2006-05-09 2007-11-22 Sony Corp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311904A (ja) * 2006-05-16 2007-11-29 Victor Co Of Japan Ltd ドライブレコーダの映像修正方法、ドライブレコーダ及び、ドライブレコーダシステム
JP4750631B2 (ja) * 2006-06-28 2011-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9053530B2 (en) 2006-11-27 2015-06-09 Google Inc. Method for sliced inpainting
JP5832280B2 (ja) * 2011-12-27 2015-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0744A (en) * 1982-06-30 1984-12-25 Rca Corporation Smear reduction technique for CCD field-transfer imager system
US4907287A (en) * 1985-10-16 1990-03-06 Hitachi, Ltd. Image correction system for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EP0435319B1 (en) * 1989-12-28 1997-03-12 Olympus Optical Co., Ltd. Camera apparatus having drift detecting unit
EP0454481B1 (en) * 1990-04-27 1996-08-28 Canon Kabushiki Kaisha Movement vector detection device
JP3103897B2 (ja) * 1991-03-19 2000-10-30 ソニー株式会社 手振れ補正装置および手振れ補正方法
US5712474A (en) * 1993-09-29 1998-01-2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correcting blurring of an image photographed by a video camera
JPH11317904A (ja) 1998-05-01 1999-11-16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473363B2 (ja) 1999-05-26 2010-06-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手振れ補正装置およびその補正方法
JP3733828B2 (ja) 2000-03-29 2006-01-11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電子カメラ
JP4443735B2 (ja) * 2000-07-11 2010-03-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4639555B2 (ja) * 2001-08-31 2011-02-23 ソニー株式会社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および方法、手振れ補正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撮像装置
JP2003078808A (ja) * 2001-08-31 2003-03-14 Sony Corp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および方法、手振れ補正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78415A (zh) 2005-02-09
EP1499115A3 (en) 2007-02-28
EP1499115A2 (en) 2005-01-19
JP2005039530A (ja) 2005-02-10
US7545408B2 (en) 2009-06-09
US20050030385A1 (en) 2005-02-10
JP3867691B2 (ja) 2007-01-10
CN1312911C (zh)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775B1 (ko) 카메라의 손떨림 보정 방법 및 장치
US7454131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with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US8564674B2 (en) Image pickup apparatus equipped with function of detecting image shaking
US8290356B2 (en) Imaging device with image blurring reduction function
US7509039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with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EP1856909B1 (en) Moving image playback device with camera-shake correction function
JP2004180306A (ja) デジタルビデオカメラにおけるデジタルズーム
JP2007114466A (ja) 手ぶれ補正機能を有する撮影装置
KR20050008483A (ko) 촬상 장치
JP2000147371A (ja) 自動焦点検出装置
JP446859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1166351A (ja) 電子カメラ装置
JP4453290B2 (ja) 撮像装置
JP4378602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762486B2 (ja) ブレ補正装置
JP4449777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853096B2 (ja) 手ぶれ補正装置、撮影装置及び手ぶれ補正方法
JP4952462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KR20070032216A (ko) 촬상 방법 및 촬상 장치
JP3962480B2 (ja) 撮像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JP4389509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3658175B2 (ja) 撮像装置及び揺れ補正装置及び揺れ補正方法
JP4853746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H11239293A (ja) 撮像装置及び揺れ補正装置
JPH10210350A (ja) ビデオ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