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8339A - 홍채인식을 이용한 보안기능을 갖춘 휴대폰 - Google Patents

홍채인식을 이용한 보안기능을 갖춘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8339A
KR20050008339A KR1020030048404A KR20030048404A KR20050008339A KR 20050008339 A KR20050008339 A KR 20050008339A KR 1020030048404 A KR1020030048404 A KR 1020030048404A KR 20030048404 A KR20030048404 A KR 20030048404A KR 20050008339 A KR20050008339 A KR 20050008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is
user
iris information
mobile phon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8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8339A/ko
Publication of KR20050008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833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채인식을 이용한 보안기능을 갖춘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홍채 정보를 읽은 뒤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홍채 정보 인식수단; 미리 입력된 정당한 사용자의 홍채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상기 인식 수단에서 얻은 사용자의 홍채 정보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홍채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휴대폰의 사용을 결정하는 제어수단; 통화내용을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수단; 및 사용자가 휴대폰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않아도 되며, 인식 오차가 거의 없고, 타인에 의한 도용 가능성이 극히 희박한 휴대폰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홍채인식을 이용한 보안기능을 갖춘 휴대폰{A mobile phone having security system using eye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홍채인식을 이용한 보안기능을 갖춘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당한 사용자의 홍채 정보를 미리 휴대폰의 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휴대폰의 카메라를 통해 홍채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홍채 정보를 분석하여 이를 저장되어 있는 정당한 사용자의 홍채 데이터와 비교한 뒤 그 결과를 휴대폰의 사용 여부 또는 결제 수단 등과 같은 보안키로 사용할 수 있는 홍채인식을 이용한 보안기능을 갖춘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휴대폰은 단순한 4 자리의 숫자로 조합된 번호를 사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왔다. 타인에 의한 부당한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휴대폰이 꺼진 상태에서 TURN-ON 될 때는 반드시 상기 4 자리로 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 했으며,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휴대폰을 사용하려고 할 때마다 상기 4 자리의 비밀번호를 휴대폰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하여야 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휴대폰에서 사용한 4 자리의 비밀번호는 경우의 수가 0000부터 9999까지 일만 개 밖에 없기 때문에 타인에 의해 노출되기 쉽고 또는 약간의 시간을 들이면 누구나 쉽게 알아낼 수 있었다. 더욱이, 최근에는 휴대폰 암호판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누구나 쉽고 간단하게 타인 휴대폰의 비밀번호를 알아낼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타인의 휴대폰을 습득하거나 고의적으로 훔친 후, 휴대폰에 입력되어 있던 비밀번호를 해제하고 전화번호를 변경하여 판매하거나 또는 다른 범죄에 사용하는 경우가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비밀번호 방식에 의할 경우, 정당한 사용자라도 오랫동안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자신의 휴대폰의 비밀번호를 잊어 버려 곤란한 상황에 처하게 되는 경우도 종종 일어난다.
따라서, 지금까지 사용한 비밀번호에 의한 보안 방식은 정당한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잊을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부당한 사용자에 의해 쉽게 비밀번호가해제되어 정당한 사용자가 선의의 피해를 입게 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특히나, 최근 휴대폰이 단순한 전화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점차 각종 신용거래의 결제 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그 문제의 심각성은 커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비밀번호에 의한 휴대폰 보안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폰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않아도 되며, 인식 오차가 거의 없고, 타인에 의한 도용 가능성이 극히 희박한 홍채인식을 이용하여 정당한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보안기능을 갖춘 휴대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홍채인식 기능을 갖는 휴대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폰의 전원이 TURN-ON 될 때 홍채인식을 이용하여 정당한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카메라 20.....홍채 추출 수단
30.....디지털 신호 처리기 40.....제어수단
50.....비휘발성 메모리 60.....RF 송수신 수단
70.....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인 홍채인식을 이용한 보안기능을 갖춘 휴대폰은, 사용자의 홍채 정보를 읽은 뒤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홍채 정보 인식수단; 미리 입력된 정당한 사용자의 홍채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상기 인식 수단에서 얻은 사용자의 홍채 정보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홍채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휴대폰의 사용을 결정하는 제어수단; 통화내용을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수단; 및 사용자가 휴대폰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비밀번호에 의한 보안 방식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생체인식 기술 중 하나인 홍채인식 기술을 이용한다. 현재, 생체인식을 통한 개인인증 기술에는 지문인식이 대표적이며, 그 외에도 망막인식, 음성인식, 서명인식, DNA 인식 등이 있지만, 그 중에서 홍채인식은 다른 생체인식 방식에서는 얻을 수 없는 뛰어난 장점이 있다. 홍채(虹彩)란 눈알의 각막과 수정체 사이에서 동공을 둘러싸고 있는 둥근 막으로서 눈의 조리개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 홍채는 보통 생후 6개월 이내에 무늬 패턴이 형성하기 시작하는데, 그 후 약 1~2년간 빗살 무늬 형태로 변화하고, 2~3세에 이르면 고유한 패턴을 가지게 되며 그 이후엔 변하지 않는다. 특히, 홍채는 유전적인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생체인식에서 이용되는 다른 신체 부분과는 달리 일란성 쌍둥이인 경우에도 완전히 다른 홍채 패턴을 가지며, 동일인이라도 오른쪽과 왼쪽의 홍채 패턴은 완전히 다르다. 홍채인식 기술에서 사용되는 홍채의 특징 부분은 266개인데,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동일한 홍채를 가질 확률은 10억분의 1이다. 따라서, 홍채인식에 의한 개인 인증은 어떠한 생체인식 방법보다도 훨씬 완벽한 보안 및 인증을 보장한다. 더욱이, 장님 또한 홍채를 가지고 있어서 홍채인식이 가능하고, 눈의 표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눈의 질병이나 충혈 등에 영향을 받지 않아 상당히 뛰어난 안정성도 갖는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은 본 발명에 따른 홍채인식 기능을 갖는 휴대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홍채인식을 이용한 보안기능을 구비한 휴대폰은 사용자의 홍채 정보를 읽은 뒤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홍채 정보 인식수단(10,20,30), 미리 입력된 정당한 사용자의 홍채 정보를기억하고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50), 상기 인식 수단에서 얻은 사용자의 홍채 정보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홍채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휴대폰의 사용을 결정하는 제어수단(40), 통화내용을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RF 송수신 수단(60), 및 사용자가 휴대폰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7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홍채 정보 인식수단(10,20,30)은 다시, 사용자의 홍채를 디지털 영상 정보로 생성하기 위한 디지털 카메라(10), 상기 카메라에서 생성된 영상이 홍채 정보 추출에 적당한 품질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영상으로에서 홍채 부분의 영상만을 추출하는 홍채추출수단(20), 및 상기 홍채 영상을 웨이블릿 변환하여 홍채 특징 코드를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처리기(30)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10)는 휴대폰에 장착되는 소형 카메라로서 홍채인식에 충분한 품질의 영상을 얻기 위해서 통상의 소형 카메라와는 달리 근거리 줌인(zoom in)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디지털 카메라(10)에 의해 찍힌 영상은 홍채뿐만 아니라 눈 주위의 전체 형상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홍채추출수단(20)은 상기 디지털 카메라(10)에서 찍은 영상에서 홍채 부분만을 분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홍채추출수단(20)은 먼저, 홍채 인식에 적합한 품질의 눈 영상을 획득하였는지 검사한다. 만약, 영상의 품질이 충분하지 않다면 이를 제어수단(40)에 알려 사용자에게 다시 시도할 것을 지시한다. 영상의 품질이 충분하다면, 눈 주위의 전체 영상으로부터 홍채 영역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홍채 영역의 영상으로부터 홍채 패턴의 gray 값의 변화를 조사하여 홍채의 특징을 추출한다. 이렇게 획득된 홍채의 특징은디지털 신호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DSP)(30)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DSP(30)는 상기 홍채 특징에 대한 웨이블릿 변환을 실시하여 고유의 특징 코드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특징 코드는 제어수단(40)으로 전달된다. 제어수단(40)은 휴대폰 단말기의 모든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하는 핵심적인 수단으로, 신호송수신을 제어하여 휴대전화 기능이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하고, 여러 가지 부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이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수단(40)은 휴대폰 단말기에 하나의 칩 형태로 내장되는데, 통상 MSM(Mobile Station Modem)이라고 불린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수단(40)에 홍채 특징 코드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휴대폰의 사용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DSP(30)로부터 특징 코드를 전달받은 제어수단(40)은 메모리(50)에 저장되어 있는 특징 코드와 비교한다. 상기 메모리(50)에 저장되어 있는 특징 코드는 정당한 사용자가 홍채인식을 통해 사전에 입력한 것이다. 양호하게는, 사용자는 휴대폰의 구입시에 자신의 특징 코드를 저장시킬 것이다. 여기서, 메모리(50)는 양호하게는 휴대폰의 전원이 꺼지는 경우에도 기억할 수 있도록 비휘발성 메모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5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인 것이 적당하다. 제어수단(40)은 상기 두 특징코드를 비교하여 만약 동일하다면, 사용자 인증이 된 것이므로 정상적인 휴대폰의 사용을 허락한다. 그러나, 두 특징코드가 동일가 동일하지 않다면,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것으로 휴대폰의 사용을 금지하고 다시 시도할 것을 지시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폰의 전원이 TURN-ON 될 때 홍채인식을 이용하여 정당한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에 전원이 인가되면 휴대폰은 여러 가지 장치들을 테스트하고 초기화한다. 휴대폰의 전체 상태가 정상이고 모든 장치들이 성공적으로 초기화되었으면, 사용자가 휴대폰을 사용하기 위해서 홍채인식을 시도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미 상술한 것처럼, 사용자가 휴대폰에 내장된 카메라(10)를 이용하여 자신의 눈을 찍으면, 홍채추출수단(20)과 DSP(30)를 거쳐 제어수단(40)이 메모리(50)에 미리 저장된 홍채 정보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만약, 동일하다면 응용 소프트웨어를 실해하여 사용자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 상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 휴대폰의 경우 단순한 4자리의 숫자로 조합된 비밀번호 사용으로 인해 타인이 휴대폰을 습득하여 간단한 암호판독 프로그램을 통해 불법 복제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경우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홍채정보를 받아들여 이미 저장되어 있는 홍채 정보와 비교하여 휴대폰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그러한 염려가 없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않아도 되며, 인식 오차가 거의 없고, 타인에 의한 도용 가능성이 극히 희박한 휴대폰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사용자의 홍채 정보를 읽은 뒤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홍채 정보 인식수단;
    미리 입력된 정당한 사용자의 홍채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상기 인식 수단에서 얻은 사용자의 홍채 정보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홍채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휴대폰의 사용을 결정하는 제어수단;
    통화내용을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수단; 및
    사용자가 휴대폰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을 이용한 보안기능을 갖춘 휴대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홍채 정보 인식수단은:
    사용자의 홍채를 디지털 영상 정보로 생성하기 위한 디지털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생성된 영상이 홍채 정보 추출에 적당한 품질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영상으로에서 홍채 부분의 영상만을 추출하는 홍채추출수단; 및
    상기 홍채 영상을 웨이블릿 변환하여 홍채 특징 코드를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처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인식을 이용한 보안기능을 갖춘 휴대폰.
KR1020030048404A 2003-07-15 2003-07-15 홍채인식을 이용한 보안기능을 갖춘 휴대폰 KR200500083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404A KR20050008339A (ko) 2003-07-15 2003-07-15 홍채인식을 이용한 보안기능을 갖춘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404A KR20050008339A (ko) 2003-07-15 2003-07-15 홍채인식을 이용한 보안기능을 갖춘 휴대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339A true KR20050008339A (ko) 2005-01-21

Family

ID=37221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404A KR20050008339A (ko) 2003-07-15 2003-07-15 홍채인식을 이용한 보안기능을 갖춘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83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204B1 (ko) * 2012-05-23 2013-11-20 최경용 초소형 자립형 홍채 인식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204B1 (ko) * 2012-05-23 2013-11-20 최경용 초소형 자립형 홍채 인식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7800B2 (en) Biometric identification device and methods of use
KR101358444B1 (ko)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위한 바이오메트릭 휴대용 메모리 칩
US6484260B1 (en) Personal identification system
EP1521161A2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eventing unauthorized use and a device with a function of preventing unauthorized use
US7979714B2 (en) Authentication and access control device
JP2004227589A (ja) ユーザ認証方法及び装置
WO1999056429A1 (en) Personal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CA238717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biometric identification of a person
CN110048998B (zh) 基于Token的身份验证方法及其系统、智能门锁
US20120117633A1 (en) Enhanced Security For Pervasive Devices Using A Weighting System
US20080222426A1 (en) Security Device
KR101511916B1 (ko) 다중 인식이 가능한 생체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050045773A (ko) 3차원 얼굴 표현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의얼굴 인증과 검색 방법 및 장치
KR20000030122A (ko) 멀티바이오메트릭정보를 이용한 사용자인증방법 및사용자인증시스템
KR20050008339A (ko) 홍채인식을 이용한 보안기능을 갖춘 휴대폰
JPH11262059A (ja) 移動通信用携帯端末及び個人識別方法
CN110930154A (zh) 身份验证方法和装置
KR20040025004A (ko) 지문이 조합된 비밀번호 인증시스템
KR101906141B1 (ko)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다중 레벨 홍채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020018496A (ko)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한 통신단말기 보안방법 및 그 장치
KR101796691B1 (ko) 착탈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KR20200046566A (ko) 지문센서를 이용한 입력기기 제어장치
KR102133984B1 (ko) 지문센서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장치
KR200336965Y1 (ko) 지문 인식을 이용한 휴대폰 잠금장치
JP2002047840A (ja) バイオメトリックスデータ認証装置を備えたスイッチ機構、バイオメトリックスデータ認証を併用するスイッチ方法及びバイオメトリックスデータ認証を併用するスイッチング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