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7871A - 수장고비 - Google Patents

수장고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7871A
KR20050007871A KR1020030047480A KR20030047480A KR20050007871A KR 20050007871 A KR20050007871 A KR 20050007871A KR 1020030047480 A KR1020030047480 A KR 1020030047480A KR 20030047480 A KR20030047480 A KR 20030047480A KR 20050007871 A KR20050007871 A KR 20050007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torage
closing
cabinet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관
김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공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공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공테크
Priority to KR1020030047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7871A/ko
Priority to CNB2003101015701A priority patent/CN1289777C/zh
Publication of KR20050007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87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26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중한 문화재를 안전하게 보존관리할 수 있는 수장고비에 관한 것으로,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좌,우측 및 상측 문틀과 수장고비의 좌,우측 및 상측들은 기밀가스켓에 의하여 기밀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수장고비가 좌,우측 문틀 중 일측 문틀에 경첩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장고비의 외부 전면에 설치된 다이얼의 회전조작에 의해 개폐작동되는 다이얼 박스를 상기 수장고비 내부에 장착하며, 상기 수장고비의 외부 전면에 설치된 도어 실린더에 삽입된 키에 의하여 개폐작동되는 키박스를 상기 수장고비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수장고비의 외부 전면에 설치되는 메인 핸들로서 수장고비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개폐장치가 구비된 수장고비에 있어서, 상기 수장고비의 일측 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안내공을 관통하여 일측 문틀에 형성된 잠금공에 선단이 삽입 또는 이완되는 다수의 개폐봉 후단에 용접되어 상기 일측 프레임 내측에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개폐작동간과; 상기 개폐작동간의 중간부분에 용접되어 상기 메인 핸들의 축에 고정 설치된 개폐용 기어에 치합되도록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메인 래크기어와; 상기 메인 래크기어의 위쪽에 위치하여 상기 개폐작동간에 일단이 용접된 상태에서 수장고비 내부를 향해 수평상으로 설치되며, 자유단에는 수장고비 내벽에 고정된 수평안내핀봉에 지지된 채 수평상으로 일정간격의 범위내에서 수평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수평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작동간과; 상기 중간작동간의 자유단측에 고정 설치된 고정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며, 타단은 상기 중간작동간에 고정 돌출된 제어핀에 걸림되는 수직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 양측에는 다이얼박스 및 키박스 각각에서 수직방향으로 승강작동되는 개폐봉이 삽입 및 이완되는 괘·해정공이 각각 형성된 괘·해정간이 형성된 괘·해정 작동간과; 상기 개폐작동간의 상,하측 각각에 일단이 용접된 상태에서 수장고비 내부를 향해 수평상으로 설치되며, 자유단에는 수장고비 내벽에 고정된 수평안내핀봉에 지지된 채 수평상으로 일정간격의 범위내에서 수평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수평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하측 작동간과; 상기 상측작동간 상방에 돌출된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측작동간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수직장공을 관통하는 제1 편심봉이 편심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상측회전판과; 및 상기 상측작동간의 상방에 수직상으로 설치되며, 중간부분에 형성된 수직장공이 수직안내핀봉에 지지된 채 상기 수직장공의 범위내에서 상,하 수직방향으로 승강이동하면서 상단에 용접된 상부개폐봉을 상측 문틀에 형성된 잠금공에 삽입 또는 이완시키는 한편 하단에는 상기 상측 회전판의 제2 편심봉을 수용하는 수평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개폐간으로 이루어진 메인 개폐장치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수장고비{Door of storehouse}
본 발명은 귀중한 문화재를 안전하게 보존관리할 수 있는 수장고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나라에서는 자국의 귀중한 문화재를 발굴, 보존하여 그 가치를 널리 알리고 영구히 보존관리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각 관련 학계나 문화재 박물관 및 보존과학분야에서 활발히 연구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박물관 등에 설치되는 수장고비는 귀중한 문화재를 훼손시키는 충균해가 수장고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항온항습의 기능을 지속시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화재와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 먼지, 충·균, 유해가스 등 외부오염인자의 침투를 막기 위하여 밀폐성을 갖추어야 한다.
그리고 일반적인 수장고비는 문을 양쪽으로 여닫고 관리자가 출입할 수 있는 작은 문이 설치된 쌍여닫이 쪽문 방식과, 문을 양쪽으로 여닫고 쪽문이 없는 쌍여닫이 방식 및 문이 하나로 되어 있고 쪽문이 없는 외문여닫이 방식이 있다.
상기한 여러 방식의 수장고비에 있어 종래에는 쪽문이 없는 외문여닫이 방식을 많이 채택하고 있는 바, 이러한 수장고비는 잠금장치가 일측의 문틀에만 잠금되도록 구성되므로 잠금상태에 완벽성을 기대할 수 없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수장고 내부에 사람이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외부에서 수장고비를 잠금조작하였을 때 내부에 있는 사람이 수장고비를 열 수 있는 비상해정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것도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특히 수장고 출입구의 내·외부 바닥은 문화재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턱을 없애고 수평한 바닥으로 형성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수장고비의 하측에는 문틀을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수장고비의 좌,우측과 상측은 문틀 또는 수장고비 자체에 기밀가스켓을 설치할 수 있는 반면에 바닥에 문틀이 없는 수장고비의 하측에는 기밀가스켓을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수장고비의 하측을 통해 수장고의 내·외부 공기가 유통하는 상태가 되어 수장고 내부의 온·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없을 뿐 아니라 외부의 오염인자가 수장고 내부로 침입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수장고비의 좌측 또는 우측에는 물론이고 상측에도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로서 수장고비의 잠금력을 높여 줌과 더불어 수장고비를 외부에서 잠금조작한 경우 내부에서도 잠금장치를 해정할 수 있는 비상해정장치를 구비하여 문화재 관리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수장고 내부에 사람이 갇혔을 때 상기 비상해정장치를 조작하여 수장고비를 열고 나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특히 수장고비의 내부 하측에는 잠금장치의 잠금조작시에는 하강하여 바닥에 기밀하게 접촉하는 한편, 잠금장치를 해정조작하였을 때에는 상승하여 바닥에서 이완되는 기밀가스켓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외부 공기가 수장고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수장고 내부의 온·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 외부의 오염인자가 내부로 침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좌,우측 및 상측 문틀과 수장고비의 좌,우측 및 상측들은 기밀가스켓에 의하여 기밀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수장고비가 좌,우측 문틀 중 일측 문틀에 경첩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장고비의 외부 전면에 설치된 다이얼의 회전조작에 의해 개폐작동되는 다이얼 박스를 상기 수장고비 내부에 장착하며, 상기 수장고비의 외부 전면에 설치된 도어 실린더에 삽입된 키에 의하여 개폐작동되는 키박스를 상기 수장고비 내부에 장착하고, 상기 수장고비의 외부 전면에 설치되는 메인핸들로서 수장고비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개폐장치가 구비된 수장고비에 있어서,
상기 수장고비의 일측 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안내공을 관통하여 일측 문틀에 형성된 잠금공에 선단이 삽입 또는 이완되는 다수의 괘·해정봉의 후단에 용접되어 상기 일측 프레임 내측에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개폐작동간과;
상기 개폐작동간의 중간부분에 용접되어 상기 메인핸들의 축에 고정 설치된 개폐용 기어에 치합되도록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메인 래크기어와;
상기 메인 래크기어의 위쪽에 위치하여 상기 개폐작동간에 일단이 용접된 상태에서 수장고비 내부를 향해 수평상으로 설치되며, 자유단에는 수장고비 내벽에 고정된 수평안내핀봉에 지지된 채 수평상으로 일정간격의 범위내에서 수평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수평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작동간과;
상기 중간작동간의 자유단측에 고정 설치된 고정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며, 타단은 상기 중간작동간에 고정 돌출된 제어핀에 걸림되는 수직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 양측에는 다이얼박스 및 키박스 각각에서 수직방향으로 승강작동되는 괘·해정봉이 삽입 및 이완되는 괘·해정공이 각각 형성된 괘·해정간이 형성된 괘·해정 작동간과;
상기 개폐작동간의 상,하측 각각에 일단이 용접된 상태에서 수장고비 내부를 향해 수평상으로 설치되며, 자유단에는 수장고비 내벽에 고정된 수평안내핀봉에 지지된 채 수평상으로 일정간격의 범위내에서 수평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수평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하측 작동간과;
상기 상측작동간 상방에 돌출된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측작동간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수직장공을 관통하는 제1 편심봉이 편심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상측회전판과; 및
상기 상측작동간의 상방에 수직상으로 설치되며, 중간부분에 형성된 수직장공이 수직안내핀봉에 지지된 채 상기 수직장공의 범위내에서 상,하 수직방향으로 승강이동하면서 상단에 용접된 괘·해정봉을 상측 문틀에 형성된 잠금공에 삽입 또는 이완시키는 한편 하단에는 상기 상측 회전판의 제2 편심봉을 수용하는 수평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개폐간;
으로 이루어진 메인 개폐장치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메인 래크기어와 중간작동간을 수용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과 수장고비 내벽 각각에 설치된 지지베어링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고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양단이 지지되는 비상해정용 축과;
상기 비상해정용 축의 중간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작동간의 중간부분에 일단이 용접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래크기어와 중간작동간 사이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비상해정용 래크기어와 치합되는 비상해정용 기어와;
상기 비상해정용 축의 중간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비상해정용 기어와 당접하는 부분의 외경은 작고 수장고비 내벽에 당접하는 부분의 외경은 큰 경사진 외주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괘·해정 작동간을 상승작동시키는 원추형 작동구와; 및
상기 비상해정용 축의 일단에 축착되어 상기 비상해정용 축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과 동시 회전작동시키는 비상해정용 핸들;
로 이루어진 비상해정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개폐작동간 하측에 일단이 용접된 하측 작동간의 하방에 돌출된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하측회전판과;
상기 하측회전판의 편심된 위치에 돌출되어 상기 하측 작동간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수직장공에 끼워져 상기 하측 작동간이 수평이동될 때 하측회전판을 회전작동시키는 제1 편심봉과;
상기 제1 편심봉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위치에 돌출된 제2 편심봉이 삽입되는 수평장공은 상단에 형성되며, 수장고비 내벽의 하측에 돌출된 수직안내핀봉에 지지된 채 수직상으로 승강작동을 허용하는 수직장공은 하단에 형성되는 기밀용 작동간과;
상기 기밀용 작동간의 하측에 수평상으로 용접되는 수평고정간과;
상기 수평고정간의 양단에 수직상으로 용접된 한쌍의 가스켓 취부간과; 및
상기 한쌍의 가스켓 취부간 각각의 하단에 고정 부착되어 수장고비의 출입구 바닥을 기밀하게 밀착 및 이완되는 기밀용 가스켓;
으로 이루어지는 출입구 기밀장치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출입구 기밀장치의 기밀용 가스켓은 한쌍의 가스켓 취부간 각 하단에 형성된 끼움홈에 삽입되는 상단삽입부와 출입구 바닥에 탄력적으로 기밀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중공부가 마련된 하단접촉부를 형성한 것과, 상기 기밀용 가스켓의 상부에는 가스켓 취부간 하단에 형성된 삽입돌편이 삽입되는 취부홈과 상기 취부홈을 감싸듯 내장된 탄성강판과 상기 취부홈의 양측 내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삽입돌편을 강하게 붙잡아주는 협지돌기와 출입구 바닥에 탄력적으로 기밀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하단접촉부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수장고비의 전면과 이면 각각에 훈증용 급기해치와 훈증용 배기해치를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수장고비의 전면과 중간면 사이에 내화재를 충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수장고비의 기계장치부에 장착된 각 장치들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메인개폐장치 폐쇄작동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장고비 메인개폐장치의 개방작동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메인개폐장치의 확대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A-A선, B-B선, C-C선 단면도로서, 비상해정장치의 각 부분별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상부개폐간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출입구 기밀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9는 도 1의 D-D선 단면도로서 출입구 기밀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10은 출입구 기밀장치의 기밀용 가스켓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수장고비에 장착된 각 해치의 배열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수장고비에 장착된 각 해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장고비 2 : 메인핸들
3 : 메인 개폐장치 4 : 상측작동간
5 : 하측작동간 6 : 상측회전판
7 : 하측회전판 8 : 출입구 기밀장치
9 : 비상해정장치 11,12 : 좌,우측 프레임
13 : 상측 프레임 14 : 투약용 해치
15a,15b : 훈증용 급기해치 16a,16b : 훈증용 배기해치
17 : 샘플용 해치 21 : 개폐용 기어
31 : 개폐작동간 32 : 메인 래크기어
33 : 중간작동간 333,41,51,65,85 : 수평장공
331 : 고정핀 334,42,52 : 수평안내핀봉
311,68 : 괘·해정봉 341,43,53,67,86,88 : 수직장공
34 : 괘·해정 작동간 35 : 다이얼박스
36 : 키박스 351,361 : 개폐봉
37,38 : 괘·해정간 64 : 상부 개폐간
81 : 기밀용 작동간 82 : 수평고정간
83a,83b : 가스켓 취부간 84 : 기밀용 가스켓
91 : 비상해정용 래크기어 92 : 고정 브라켓
93a,93b : 지지베어링 94 : 비상해정용 축
95 : 비상해정용 핸들 96 : 비상해정용 기어
97 : 원추형 작동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수장고비의 기계장치부에 장착된 각 장치들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메인개폐장치 폐쇄작동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수장고비 메인개폐장치의 개방작동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메인 개폐장치의 확대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A-A선, B-B선, C-C선 단면도로서 비상해정장치의 각 부분별 작동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상부개폐간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출입구 기밀장치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9는 도 1의 D-D선 단면도로서 출입구 기밀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며, 도 10은 출입구 기밀장치의 기밀용 가스켓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수장고비에 장착된 각 해치의 배열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수장고비에 장착된 각 해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수장고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수장고비(1)는 전면(1a)과 이면(1b) 및 그 사이에 중간면(1c)이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3중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장고비(1)의 전면(1a)와 중간면(1c) 사이에는 내화재(1d)가 충진되어 있고 상기 이면(1b)과 중간면(1c) 사이에는 각 장치들을 설치할 수 있는 기계장치 설치공간(1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장고비(1)의 전면(1a)에는 다이얼과 도어 실린더정 및 메인핸들(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장고비(1) 내부에 설치되는 중간면(1c)에는 좌,우측 프레임(11)(12)과 상측 프레임(13)만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프레임이 없이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각 프레임들과 접촉하는 좌,우측 및 상측 문틀과의 사이에는 기밀용 가스켓(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장고비(1)의 기계장치설치공간(1e)에는 도면상으로 볼 때 우측 프레임(12)에는 회전힌지가 부착되어 우측 문틀에 고정 부착된 고정힌지에 조립되어 수장고비(1)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좌측 프레임(11)에는 메인 개폐장치(3)를 구성하고 있는 개폐작동간(31)에 일정간격으로 부착된 다수의 괘·해정봉(311)이 관통하는 안내공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측 프레임(11)이 접촉하는 도면상 좌측 문틀에는 상기한 다수의 괘·해정봉(311)들의 잠금작동을 허용하는 잠금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 개폐장치(3)는 개폐작동간(31)의 중간부분에 일단이 용접되어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메인 래크기어(32)와, 상기 메인핸들(2)의 축에 축착되어 상기한 메인 래크기어(32)에 치합되는 개폐용 기어(21)와, 상기 메인 래크기어(32)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개폐작동간(31)에 일단이 용접되어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중간작동간(33)과, 상기 중간작동간(33)의 자유단측과 그 반대측에 각각 고정 돌출된 고정핀(331)과 제어핀(332)에 의하여 지지되는 괘·해정 작동간(34) 및 상기 괘·해정 작동간(34)의 하단 양측에 고정 부착되어 다이얼박스(35)와 키박스(36) 각각의 개폐봉(351)(361)이 삽입 및 이완되는 괘·해정공(371)(381)이 형성되는 괘·해정간(37)(38)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작동간(33)은 그 자유단에 형성된 수평장공(333)이 수장고비(1)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 수평안내핀봉(334)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상기 중간작동간(33)은 상기 수평장공(333)의 범위내에서 수평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 개폐장치(3)를 구성하고 있는 괘·해정 작동간(34)의 일단은 고정핀(331)을 기점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한편 타단은 제어핀(332)에 지지되는 수직장공(341)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괘·해정 작동간(34)은 수직장공(341)의 범위 내에서만 고정핀(331)을 기점으로 하여 회전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정상적인 상태 즉, 후술하는 비상해정 작동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괘·해정 작동간(34) 자체는 그 일단이 고정핀(331)에 지지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고정핀(331)을 기점으로 하여 타단이 밑으로 회전한 상태가 되어 그 타단측에 형성된 수직장공(341)의 상단부분이 제어핀(332)에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수장고비(1) 전면에 설치된 다이얼과 도어 실린더정이 괘정상태로 조작되어 다이얼박스(35)와 키박스(36) 각각의 개폐봉(351)(361)이 괘정작동된 상태 즉, 상향으로 올라간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개폐봉(351)(361)의 상단이 괘·해정간(37)(38)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괘·해정공(371)(381)에 삽입된 상태가 되어 메인 개폐장치(3)는 잠금작동된 상태(괘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한편, 다이얼과 도어 실린더정을 해정상태로 조작하게 되면 상기한 개폐봉(351)(361)이 밑으로 내려가면서 상기 괘·해정간(37)(38)의 괘·해정공(371)(381)에서 이완되므로 이때에는 메인 개폐장치(3)가 풀림작동된 상태(해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메인 개폐장치(3)의 개폐작동간(31)의 상,하측에는 상,하측 작동간(4)(5) 각각의 일단을 용접하여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하는데, 상기 상,하측 작동간(4)(5) 각각의 타단은 수장고비(1) 내벽에 고정 부착되어 수평장공(41)(51) 각각을 관통하는 수평안내핀봉(42)(52)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상,하측 작동간(4)(5)은 개폐작동간(31)의 개폐작동에 따라 수평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측작동간(4)의 중간부분 상방에는 수장고비(1) 내벽에 고정 부착된 고정축(61)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상측회전판(6)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상측작동간(4)과 겹쳐지는 상측회전판(6)의 하측부분에 형성된 제1 편심봉(62)은 상측작동간(4)의 중간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장공(43)에 끼워진 상태로서 상기 상측작동간(4)이 수평이동함에 따라 제1 편심봉(62)이 수직장공(43)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측회전판(6)을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측작동간(4) 상방에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상부개폐간(64)의 하단은 수평장공(65)에 상측회전판(6)의 제2 편심봉(63)이 끼워진 상태로 겹쳐지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개폐간(64)은 그 중간부분에 형성된 수직장공(67)을 관통하는 수장고비(1)의 내벽에 고정 부착된 수직안내핀봉(66)에 의하여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개폐간(64)은 상기 상측회전판(6)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제2 편심봉(63)에 의하여 상향으로 이동작동을 하는 한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제2 편심봉(63)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작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부개폐간(64)의 상단에 용접된 괘·해정봉(68)이 수장고비(1)의 상측프레임(13)을 관통하여 상측 문틀에 형성된 잠금공에 삽입되는 잠금작동과 상측 문틀의 잠금공에서 이완되는 풀림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작동간(5)의 중간부분 하방에는 수장고비(1)의 내벽에 고정 부착된 고정축(71)에 회전가능하게 하측회전판(7)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측회전판(7)의 상측부분으로서 하측작동간(5)과 겹쳐진 부분에 형성된 제1 편심봉(72)은 하측작동간(5)의 수직장공(53)에 끼워진 상태로 조립되어 상기 하측작동간(5)이 수평이동함에 따라 상기 하측회전판(7)이 도면상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작동을하게 되며, 또한 상기 하측작동간(7) 하방에는 출입구 기밀장치(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출입구 기밀장치(8)는 기밀용 작동간(81)과 수평고정간(82) 및 한쌍의 가스켓 취부간(83a)(83b) 그리고 기밀용 가스켓(84)으로 구성되는데, 상기한 기밀용 작동간(81)은 하측작동간(5)의 중간부분에 수직상으로 설치되어 그 상단에 형성된 수평장공(85) 부분이 하측회전판(7)에 겹쳐진 상태에서 제2 편심봉(73)에 끼워진 상태이며, 또한 상기 기밀용 작동간(81)의 중간부분 또는 하부에 형성된 수직장공(86)은 수장고비(1) 내벽에 고정 부착된 수직안내핀봉(87)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회전판(7)의 회전작동에 따라 상기 기밀용 작동간(81)이 상,하방향으로 승강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출입구 기밀장치(8)의 수평고정간(82)는 상기 기밀용 작동간(81)의 하단측에 수평상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고정간(82)의 양단에는 한쌍의 가스켓 취부간(83a)(83b)이 수직상으로 용접되어 있는데, 이들 한쌍의 가스켓 취부간(83a)(83b) 역시 각각의 상단에 형성된 수직장공(88)이 수장고비(1) 내벽에 고정된 수직안내핀봉(89)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장공(88)의 범위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출입구 기밀장치(8)의 기밀용 가스켓(84)은 한쌍의 가스켓 취부간(83a)(83b) 각각의 하단에 형성된 끼움홈(831)에 삽입되는 상단삽입부(841)과 수장고의 출입구 바닥에 탄력적으로 압축되면서 닿을 수 있도록 중공부(842)가 형성된 하단접촉부(843)으로 구성된 것(도 9 참조)과, 또는 상기 기밀용 가스켓(84)의상부에는 가스켓 취부간(83a)(83b) 각 하단에 형성된 삽입돌편(832)이 삽입되는 취부홈(844)과 상기 취부홈(844)을 감싸듯 내장된 탄성강판(845)과 상기 취부홈(844)의 양측 내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삽입돌편(832)을 강하게 붙잡아주는 협지돌기(846)와 출입구 바닥에 탄력적으로 기밀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중공부(842)가 형성된 하단접촉부(843)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 있다.(도 10 참조)
다음, 수장고비(1)의 내부에는 메인 개폐장치(3)의 잠금상태를 해정할 수 있는 비상해정장치(9)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비상해정장치(9)는 상기 메인 개폐장치(3)의 메인 래크기어(32)와 중간작동간(33) 사이에 위치하여 개폐작동간(31)에 일단이 용접된 채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비상해정용 래크기어(91)와, 상기한 메인 래크기어(32)와 중간작동간(33)을 감싼 상태에서 수장고비(1)의 내벽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92)과, 상기 고정브라켓(92) 및 수장고비(1) 내벽 각각에 설치된 지지베어링(93a)(93b)에 양단이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비상해정용 축(94)과, 상기 고정브라켓(92)에서 돌출된 비상해정용 축(94)의 일단에 축착되는 비상해정용 핸들(95)과, 상기 비상해정용 축(94) 상에 고정 축착된 비상해정용 기어(96) 및 원추형 작동구(9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추형 작동구(97)의 상방에 설치되는 괘·해정 작동간(34)은 정상적인 작동상태에서는 상기한 원추형 작동구(97)의 작은 외경 부위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비상해정용 핸들(95)을 잡아당겨 비상해정용 축(94)이 도면상 우측(도 4 참조)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한 비상해정용 축(94)과 함께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는 원추형 작동구(97)의 경사진 외주면을 타고 상측으로 이동하여 큰 외경 부위에 위치(도 4의 가상선부분 참조)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한 괘·해정 작동간(34)은 고정핀(331)을 기점으로 하여 상향(도 3의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와 같이 괘·해정 작동간(34)이 상향으로 회전하는 상태가 되면 괘·해정간(37)(38)이 다이얼박스(35) 및 키박스(36) 각각의 개폐봉(351)(361)에서 이완된 상태가 되며 이어서 비상해정용 핸들(95)을 해정방향으로 회전조작하게 되면 메인 개폐장치(3)가 해정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수장고비(1)에는 수장고에 보관되고 있는 각종 문화재에 발생하는 충균을 제거하기 위하여 훈증약제를 투약하는 투약용 해치(14)와 투약된 약제를 수장고 내부에 확산시키기 위한 훈증용 급기해치(15) 및 수장고 내부에서 훈증약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배기시키는 훈증용 배기해치(16) 그리고 수장고 내부에 훈증약제가 제거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샘플링용 해치(17)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각 장치별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 개폐장치(3)를 잠금상태로 작동시키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장고비(1)를 닫고 메인핸들(2)을 잠금방향으로 회전조작하게 되면 개폐용 기어(21)가 메인 래크기어(32)를 도면상 좌측 프레임(11)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개폐작동간(31)도 좌측 프레임(11)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한 개폐작동간(31)이 좌측 프레임(11)쪽으로 이동하게 될 때에는 그 상,하측에 용접되어 있는 상,하측 작동간(4)(5)도 함께 좌측으로 수평이동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작동간(31)에 일정간격으로 용접되어 있는 다수의 괘·해정봉(311)은 좌측 문틀의 잠금공속으로 삽입되며, 상측작동간(4)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수직장공(43)은 상측회전판(6)의 제1 편심봉(62)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상기 상측회전판(6)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측개폐간(64)의 수평장공(65)에 끼워져 있는 제2 편심봉(63)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부 개폐간(64)을 상향으로 수직이동 시키게 되므로 상부개폐간(64) 상단에 용접되어 있는 개폐봉(68)은 상측 프레임(13)을 관통하여 상측 문틀에 형성된 잠금공속으로 삽입되므로 수장고비(1) 자체는 개폐작동간(31)에 일정간격으로 용접된 다수의 괘·해정봉(311)과 상부개폐간(64) 상단에 용접된 괘·해정봉(68)에 의하여 잠금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개폐작동간(31)이 좌측 프레임(11)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하측작동간(5)도 좌측 프레임(11)쪽을 향해 수평이동하는 상태이므로 하측작동간(5)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수직장공(53)에 끼워져 있는 하측회전판(7)의 제1 편심봉(72)도 좌측으로 이동하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하측회전판(7)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와 같이 하측회전판(7)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기밀용 작동간(81) 상단의 수평장공(85)에 끼워져 있는 제2 편심봉(7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기밀용 작동간(81)을 하향으로 수직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출입구 기밀장치(8)의 기밀용 작동간(81)이 하향으로 수직이동하게 되면 그 하측에 수평상으로 용접되어 있는 수평고정간(82)과 그 양단에 고정부착된 한쌍의 가스켓 취부판(83a)(83b)도 하강작동하게 되므로 상기 한쌍의 가스켓 취부간(83a)(83b) 하단 각각에 취부되어 있는 기밀용 가스켓(84)도 하강하면서수장고의 출입구 바닥에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 기밀용 가스켓(84)은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와 같이 수장고 출입구 바닥에 닿는 하단접촉부(843)에 속이 빈 중공부(84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기밀용 가스켓(84)이 수장고의 출입구 바닥에 닿을 때 하단접촉부(843)이 탄력적으로 압축되면서 닿게 되므로 기밀력이 증대되는 작용을 기대할 수 있게 되므로 수장고비(1)는 그 좌,우측 및 상측 프레임과 좌,우측 문틀 및 상측 문틀 사이에 설치된 가스켓과 함께 출입구 바닥에 탄력적을 압축되면서 밀착되는 기밀용 가스켓(84)에 의하여 완벽한 기밀작용을 기대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상기 메인 개폐장치(3)를 잠금상태로 작동시킨 다음 수장고비(1)의 전면(1a)에 설치된 다이얼을 잠금조작함과 동시 도어 실린더정을 키로서 잠금조작하게 되면 다이얼박스(35)와 키박스(36)의 각 개폐봉(351)(361) 상단이 괘·해정 작동간(34) 하단에 형성된 괘·해정간(37)(38)의 괘·해정공(371)(381)에 끼이게 되므로 수장고비(1)는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 개폐장치(3)의 풀림작동상태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수장고비(1) 전면의 다이얼을 풀림조작하고 이어서 도어 실린더정을 키로서 풀림조작하게 되면 다이얼박스(35) 및 키박스(36) 각각의 개폐봉(371)(381)이 괘·해정간(37)(38)에서 이완되므로 중간작동간(33)이 풀림상태로 수평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메인핸들(2)을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개폐용 기어(21)가 메인 래크기어(32)를 풀림방향(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게 되며, 이에따라 개폐작동간(31)이 풀림작동되어 다수의 괘·해정봉(311)들이 좌측 문틀의 잠금공에서 이완되는 한편, 개폐작동간(31)의 상,하측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상,하측 작동간(4)(5)도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수평이동되는데, 이때 상,하측 회전판(6)(7) 각각은 잠금상태와는 반대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부개폐간(64)은 하강작동되는 한편 출입구 기밀장치(8)의 기밀용 작동간(81)은 상승작동된다.
따라서 상부개폐간(64) 상단에 용접된 괘·해정봉(68)은 상측 문틀의 잠금공에서 이완되고, 출입구 기밀장치(8)의 기밀용 가스켓(84)은 출입구 바닥에서 상방으로 이완되는 상태가 되므로 수장고비(1)를 열 때 기밀용 가스켓(84)이 출입구 바닥에 닿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수장고비(1)의 열림작동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또한 수장고비(1)를 열 때 기밀용 가스켓(84)이 바닥에 닿아 마모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수장고 내부에 사람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수장고비(1)를 외부에서 잠금조작하였을 때 수장고 내부에 갇혀있는 사람이 수장고비(1) 내부에서 비상해정장치(9)를 이용하여 수장고비(1)를 열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수장고에 갇힌 사람이 비상해정장치(9)를 이용하여 수장고비(1)를 해정하는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장고비(1)의 이면(1b)에 돌출되어 있는 비상해정용 핸들(95)을 잡고 잡아당기면 비상해정용 축(94)은 양측 지지베어링(93a)(93b)에서 수평으로 슬라이딩 되며, 이에 따라 비상해정용 기어(96)와 원추형 작동구(97)가 고정브라켓(92)쪽으로 수평이동하는데, 상기 비상해정용 기어(96)는 비상해정용 래크기어(91)에 치합된 상태로 수평이동하게 되는 한편 상기 원추형 작동구(97)는 괘·해정 작동간(34)을 상향으로 들어올리게 된다.(도 4 가상선부분 참조)
상기와 같이 원추형 작동구(97)가 괘·해정 작동간(34)을 상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괘·해정 작동간(34)은 고정핀(331)을 기점으로 하여 상향으로 회전하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괘·해정 작동간(34) 하단의 괘·해정간(37)(38)도 상향으로 이동하여 다이얼박스(35) 및 키박스(36) 각각의 개폐봉(351)(361)의 상단에서 벗어난 상태가 되므로 괘·해정 작동간(34)과 중간작동간(33)이 수평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비상해정용 핸들(95)을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비상해정용 래크기어(1)가 풀림방향(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수평이동하면서 개폐작동간(31)을 해정작동시키게 되므로서 괘·해정봉(311)(68)들은 좌측 및 상측 문틀의 잠금공에서 이완됨과 동시 출입구 기밀장치(8)의 기밀용 가스켓(84)가 상방으로 상승작동되어 수장고비(1)를 열 수 있게 되어 수장고 내부에 사람이 갇히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나타낸다.
상기 비상해정장치(9)를 이용하여 수장고비(1)를 비상해정한 다음에는 비상해정용 핸들(95)을 원위치로 밀어주게 되면 괘·해정 작동간(34)은 원래의 상태 즉, 정상적인 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한편, 수장고에 보관되고 있는 각종 문화재에 충균이 발생하여 이를 박멸시키고자 할 때에는 수장고비(1)를 닫은 상태에서 훈증약제를 투약하고 훈증시키게 되는데, 이때의 훈증약제의 투약과정과 훈증급기 및 배기과정 그리고 훈증약제가완전히 제거되었는지의 여부를 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문화재에 발생된 충균을 제거하는 훈증약제는 산화에틸렌(C2H4O), 취화메틸(CH3Br) 등이 혼합된 것으로 인체에 매우 유독한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취급에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훈증약제를 투약하기 전에 수장고비(1)의 전면(1a)과 이면(1b) 각각에 설치된 훈증용 급·배기해치(15),(16)를 열어놓고 급기호스와 배기호스를 삽입시키는데, 이때에는 급기 및 배기호스가 삽입된 각 해치공을 기밀처리한 다음 투약용 해치(14)를 열고 훈증약제를 투약한 후 닫아준다.
상기와 같이 투약용 해치(14)로 투약된 훈증약제는 투약된 즉시로 기화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급기호스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기화되는 훈증약제는 공급된 공기에 의하여 수장고 내부로 확산되어 문화재에서 발생하는 충균을 박멸시키게 되는 것이며, 훈증약제의 살포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급기호스로 공기를 공급하면서 배기호스로는 수장고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주게 되며 수장고 내부에 확산되었던 훈증약제의 배기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훈증약제의 배기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수장고 내부에 훈증약제가 잔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여야만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훈증약제의 유무를 확인하는 벌레를 병속에 넣고 이를 샘플용 해치(17)를 열고 투입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그 병을 꺼내어 벌레가 살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므로서 수장고 내부에 훈증약제가 안전할 정도로 제거되었는지를 확인한 다음안전하다고 인정될 때 비로서 작업자는 수장고비(1)를 열고 수장고 내부에 들어가 문화재의 보존상태를 점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장고비(1)의 전면(1a)과 중간부(1c) 사이에는 내화성이 우수한 재질의 내화재(1d)가 충진되어 있으므로 수장고비(1)의 외부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수장고의 내부 온·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문화재를 수납 보존하는 수장고비의 잠금작동이 견고하고 나아가 수장고의 출입구 바닥을 기밀용 가스켓으로 기밀하게 밀폐할 수 있으므로 수장고 내부에 수납된 문화재를 보다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수장고비를 열 때에는 수장고비 하단에 설치된 기밀용 가스켓이 출입구 바닥에서 상방으로 이완되게 하여 수장고비를 열고 닫을 때 기밀용 가스켓이 바닥에 닿지 않게 하므로 기밀용 가스켓의 설치수명을 현저하게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수장고 내부에 사람이 갇히게 될 경우에는 그 갇힌 사람이 수장고비 내측에 설치된 비상해정장치를 조작하는 수단으로 수장고비를 열 수 있도록 하므로서 수장고에 사람이 갇히게 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다주는 등 외부 오염인자의 침입을 방지하여 문화재를 보다 안전하게 보존함과 더불어 수장고 내부에 사람이 갇히는데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수장고에 보관중인 각종 문화재에 충균이 발생되어 이를 박멸하고자 할 때에도 충균을 박멸하는 훈증약제의 투입하여 고르게 확산, 살포 및 배출시킬 수 있고 화재발생시에도 수장고의 내부를 일정한 온·습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등 이점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좌,우측 및 상측 문틀과 수장고비(1)의 좌,우측 및 상측 프레임(11)(12)(13)들은 기밀가스켓에 의하여 기밀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수장고비가 좌,우측 문틀 중 일측 문틀에 힌지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장고비의 전면(1a)에 설치된 다이얼의 회전조작에 의해 개폐작동되는 다이얼박스(35)를 상기 수장고비(1)의 기계장치설치공간(1e)에 장착하며, 상기 수장고비의 전면(1a)에 설치된 도어 실린더에 삽입된 키에 의하여 개폐작동되는 키박스(36)를 상기 수장고비의 기계장치설치공간(1e)에 장착하고, 상기 수장고비의 전면에 설치되는 메인핸들(2)로서 수장고비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개폐장치가 구비된 수장고비에 있어서,
    상기 수장고비(1)의 일측 프레임(11)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안내공을 관통하여 일측 문틀에 형성된 잠금공에 선단이 삽입 또는 이완되는 다수의 괘·해정봉(311) 후단에 용접되어 상기 일측 프레임 내측에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개폐작동간(31)과;
    상기 개폐작동간(31)의 중간부분에 용접되어 상기 메인핸들(2)의 축에 고정설치된 개폐용 기어(21)에 치합되도록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메인 래크기어(32)와;
    상기 메인 래크기어(32)의 위쪽에 위치하여 상기 개폐작동간(31)에 일단이 용접된 상태에서 수장고비(1) 기계장치설치공간(1e)을 향해 수평상으로 설치되며, 자유단에는 수장고비(1) 중간부(1c)에 고정된 수평안내핀봉(334)에 지지된 채 수평상으로 일정간격의 범위내에서 수평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수평장공(333)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작동간(33)과;
    상기 중간작동간(33)의 자유단측에 고정 설치된 고정핀(331)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며, 타단은 상기 중간작동간(33)에 고정 돌출된 제어핀(332)에 걸림되는 수직장공(34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 양측에는 다이얼박스(35) 및 키박스(36) 각각에서 수직방향으로 승강작동되는 개폐봉(351)(361)이 삽입 및 이완되는 괘·해정공(371)(381)이 각각 형성된 괘·해정간(37)(38)이 형성된 괘·해정 작동간(34)과;
    상기 개폐작동간(31)의 상,하측 각각에 일단이 용접된 상태에서 수장고비(1)기계장치설치공간(1e)을 향해 수평상으로 설치되며, 자유단에는 수장고비 중간부(1c)에 고정된 수평안내핀봉(42)(52)에 지지된 채 수평상으로 일정간격의 범위내에서 수평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수평장공(41)(51)이 형성되어 있는 상,하측 작동간(4)(5)과;
    상기 상측작동간(4) 상방에 돌출된 고정축(6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측작동간(4)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수직장공(43)을 관통하는 제1 편심봉(62)이 편심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상측회전판(6)과; 및
    상기 상측작동간(4)의 상방에 수직상으로 설치되며, 중간부분에 형성된 수직장공(67)이 수직안내핀봉(66)에 지지된 채 상기 수직장공(67)의 범위내에서 상,하 수직방향으로 승강이동하면서 상단에 용접된 괘·해정봉(68)을 상측 문틀에 형성된 잠금공에 삽입 또는 이완시키는 한편 하단에는 상기 상측회전판(6)의제2편심봉(63)을 수용하는 수평장공(65)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개폐간(64);
    으로 이루어진 메인 개폐장치(3)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장고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래크기어(32)와 중간작동간(33)을 수용하는 고정 브라켓(92)과;
    상기 고정 브라켓(92)과 수장고비(1)의 중간부(1c) 각각에 설치된 지지베어링(93a)(93b)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고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양단이 지지되는 비상해정용 축(94)과;
    상기 비상해정용 축(64)의 중간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작동간(31)의 중간부분에 일단이 용접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래크기어(32)와 중간작동간(33) 사이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비상해정용 래크기어(91)와 치합되는 비상해정용 기어(96)와;
    상기 비상해정용 축(94)의 중간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비상해정용 기어(96)와 당접하는 부분의 외경은 작고 수장고비(1)의 중간부(1c)에 당접하는 부분의 외경은 큰 경사진 외주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괘·해정 작동간(34)을 상승작동시키는 원추형 작동구(97)와; 및
    상기 비상해정용 축(94)의 일단에 축착되어 상기 비상해정용 축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과 동시 회전작동시키는 비상해정용 핸들(95);
    로 이루어진 비상해정장치(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장고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작동간(31) 하측에 일단이 용접된 하측작동간(5)의 하방에 돌출된 고정축(7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하측회전판(7)과;
    상기 하측회전판(7)의 편심된 위치에 돌출되어 상기 하측작동간(5)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수직장공(53)에 끼워져 상기 하측작동간(5)이 수평이동될 때 하측회전판(7)을 회전작동시키는 제1 편심봉(72)과;
    상기 제1 편심봉(72)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위치에 돌출된 제2 편심봉(73)이 삽입되는 수평장공(85)은 상단에 형성되며, 수장고비(1) 내벽의 하측에 돌출된 수직안내핀봉(87)에 지지된 채 수직상으로 승강작동을 허용하는 수직장공(86)은 하단에 형성되는 기밀용 작동간(81)과;
    상기 기밀용 작동간(81)의 하측에 수평상으로 용접되는 수평고정간(82)과;
    상기 수평고정간(82)의 양단에 수직상으로 용접된 한쌍의 가스켓 취부간(83a)(83b)과; 및
    상기 한쌍의 가스켓 취부간(83a)(83b) 각각의 하단에 고정 부착되어 수장고비(1)의 출입구 바닥에 기밀하게 압착 및 이완되는 기밀용 가스켓(84);
    으로 이루어지는 출입구 기밀장치(8)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장고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기밀장치(8)의 기밀용 가스켓(84)은 한쌍의 가스켓 취부간(83a)(83b) 각 하단에 형성된 끼움홈(831)에 삽입되는 상단삽입부(841)와 출입구 바닥에 탄력적으로 압축되면서 접촉될 수 있도록 중공부(842)가 마련된 하단접촉부(84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장고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기밀장치(8)의 기밀용 가스켓(84)의 상부에는 가스켓 취부간(83a)(83b) 하단에 형성된 삽입돌편(832)이 삽입되는 취부홈(844)과 상기 취부홈(844)을 감싸듯 내장된 탄성강판(845)과 상기 취부홈(844)의 양측 내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삽입돌편(832)을 강하게 붙잡아주는 협지돌기(846)와 출입구 바닥에 탄력적으로 기밀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중공부(842)가 마련된 하단접촉부(84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장고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장고비(1)에는 수장고에 보관되고 있는 각종 문화재에 발생하는 충균을 제거하기 위하여 훈증약제를 투약하는 투약용 해치(14)와 투약된 약제를 수장고 내부에 확산시키기 위한 훈증용 급기해치(15) 및 수장고 내부에서 훈증약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배기시키는 훈증용 배기해치(1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장고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장고비(1)의 전면(1a)과 중간부(1c) 사이에 내화재를 충진하여 수장고비 외부에서 화재가 발생되더라도 수장고의 내부 환경을 오랫동안 일정한 온·습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장고비.
KR1020030047480A 2003-07-11 2003-07-11 수장고비 KR20050007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480A KR20050007871A (ko) 2003-07-11 2003-07-11 수장고비
CNB2003101015701A CN1289777C (zh) 2003-07-11 2003-10-10 用于仓库的门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480A KR20050007871A (ko) 2003-07-11 2003-07-11 수장고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871A true KR20050007871A (ko) 2005-01-21

Family

ID=3458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480A KR20050007871A (ko) 2003-07-11 2003-07-11 수장고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50007871A (ko)
CN (1) CN1289777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004B1 (ko) * 2006-05-09 2007-06-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KR101324014B1 (ko) * 2011-11-25 2013-10-31 주식회사 선일 금고
KR20200113759A (ko) *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진성피엘티 항온항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5851A (zh) * 2015-04-15 2015-07-15 上海道生门业有限公司 一种地铁区间联络通道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004B1 (ko) * 2006-05-09 2007-06-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KR101324014B1 (ko) * 2011-11-25 2013-10-31 주식회사 선일 금고
KR20200113759A (ko) *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진성피엘티 항온항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76502A (zh) 2005-02-09
CN1289777C (zh) 200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70854B1 (en) Safety cabinet with improved latch and handle
CA2830421A1 (en) Locking mechanism
JP2002531738A (ja) 改良された安全キャビネットラッチシステム
KR100407378B1 (ko) 수장고비
WO2015164891A2 (en) Structure
KR20050007871A (ko) 수장고비
KR20200143118A (ko) 방화문 셔터
EP3263297B1 (en) Isolator door
CN101037905B (zh) 用于框架上的罩或盖的使用钥匙的锁定和打开装置
KR100566715B1 (ko) 문화재 전시용 5면 독립형 진열장
EP1692052B1 (en) Residual gas removal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101101242B1 (ko) 불활성-공기 분위기 핫셀 간의 소형장치 및 소형물질 이송장치
JP2006023029A (ja) 空気調和機
KR20130040314A (ko) 대피공간 전용 창호
CN220267534U (zh) 一种设有预警自锁机构的安全防护门
CN214786979U (zh) 一种具有更高适用性的双扇防护门
CN217975586U (zh) 核酸采样设备及操作台
JP3809433B2 (ja) クリアランス遮蔽構造を備えた遮蔽扉
CN212079056U (zh) 一种煤气柜
JP2003320494A (ja) 圧縮減容機
KR100485693B1 (ko) 문화재 전시용 4면 독립형 진열장
KR20130024575A (ko) 탈출구를 가지는 방화문
KR101405132B1 (ko) 로타리식 정제 성형기의 도어 개폐장치
KR100515930B1 (ko) 옥내 화재발생 시 안전한 대피를 가능하게 하는 건축용 창구조
JP2007284228A (ja) エレベータの操作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