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7289A - 기관총용 격발 핀 - Google Patents

기관총용 격발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7289A
KR20050007289A KR10-2004-7009665A KR20047009665A KR20050007289A KR 20050007289 A KR20050007289 A KR 20050007289A KR 20047009665 A KR20047009665 A KR 20047009665A KR 20050007289 A KR20050007289 A KR 20050007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machine gun
bore
shaft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9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뵈르너에른스트
스투삭마틴
Original Assignee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07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28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9/00Firing or trigger mechanisms; Cocking mechanisms
    • F41A19/06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 F41A19/13Percussion or firing pins, i.e. fixed or slidably-mounted striker elements;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Toy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보어에 수용되는, 특히 기관총용 격발 핀(17)에 관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원통형인 격발 핀 샤프트와, 타격용 돌출부(15) 및 팁을 포함하며, 팁은 편평한 돔(19)처럼 형성되며, 원통형 샤프트에 직접 연결된다. 약간 확대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섹션(13)이 상기 샤프트를 따라서 배치되며, 상기 편평한 돔(19)은 가이드 섹션을 절단한다.

Description

기관총용 격발 핀{FIRING PIN IN PARTICULAR FOR A MACHINE GUN}
유사한 격발 핀이 독일 특허 제 570 920 C 호, 독일 특허 제 300 692 C 호, 미국 특허 제 2 842 885 호 및 미국 특허 제 2 245 434 호에 개시되어 있다.
격발 핀은 예를 들어 기관총의 노리쇠 기구(breech mechanism) 또는 버섯형 뇌리쇠 헤드(breech mushroom head)의 노리쇠 뭉치에 형성된 보어를 관통하며, 카트리지가 확실하게 격발되도록 상기 카트리지의 장약 캡(priming cap)에 강하게 충돌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격발 핀은 전방을 향하여 병 또는 원추 형상으로 점점 가늘어지고, 매우 가느다란 팁에서 종단되며, 이 팁은 노리쇠 뭉치의 보어를 약간의 간극을 가지고 관통한다. 팁의 작은 직경으로 인해, 장약 캡상에 높은 표면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따라서 격발 핀이 매우 약하게 충돌한 경우에도 확실한 발사를 기대할수 있다. 또한, 작은 직경을 가진 노리쇠 뭉치의 보어로 인해, 소위 뇌관 고장(primer failure)을 방지하거나 또는 가능한 한 그 빈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캡의 구리, 톰백(tombac) 또는 황동 플레이트가 발사중에 파열되어, 가스가 노리쇠 기구의 후방으로 빠져나가, 후방으로 밀려난 격발 핀과 노리쇠 뭉치의 보어의 에지 사이에 캡의 시트 금속이 낄 수 있다. 격발 핀의 잼(jamming)이 발생할 수 있다.
뇌관 고장은 제 1 중앙 발사 카트리지를 사용하던 19세기 말에 자주 발생하였다. 당시에 사람들은 캡 시트 금속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거의 경험이 없었다. 또한, 전쟁중에 생산된 버든형 캡(Berdan cap)을 가진 카트리지의 경우, 카트리지의 뇌관 보어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기도 하였다. 오늘날에는, 특히 복서형 캡(Boxer cap)을 이용하는 경우, 지나치게 큰 뇌관 보어로 인한 뇌관 고장을 걱정할 이유가 거의 없다. 그러나, 뇌관 고장의 위험은 여전히 존재하며, 예를 들어 전쟁중에 제품 검사를 생략함으로써 카트리지의 생산이 증가되면, 캡 시트 금속에 대체 재료를 사용하여야 할 필요가 발생하며, 카트리지의 생산에 있어서 사보타쥬(sabotage)의 가능성도 고려되어야 한다(예를 들어, 뇌관 보어의 부재).
다른 이유는, 종래의 격발 핀에 있어서, 전방으로 오프셋된 격발 핀이 어떠한 상황에서도 보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지 못하여, 재장전이 불가능해진다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손상되지 않은 격발 핀에만 한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점을 위해 지불하여야 할 비용이 증가하며, 따라서 노리쇠 기구 또는 버섯형 뇌리쇠 헤드에 보어를 가공하는 것은 어려우며, 오목부 아래에에어 쿠션이 형성되면 발사가 어려우며, 격발 핀은 특히 파손되기 쉬운 가느다란 팁의 루트에서 경화(hardening)시키는 것이 어렵다. 예를 들어 기관총이 장시간 연속 발사된 경우에, 격발 핀이 매우 고온이 되면 이러한 위험이 증가한다. 또한, 그러한 보어는 세척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소비에트 PPSh 41과 같은 경기관총의 경우, 격발 핀은 삼각형 단면을 갖는 짧은 핀으로 교체되었으며, 삼각형 형상으로 인하여 에어 쿠션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각각의 총기에는 교환식 격발 핀이 공급되었기 때문에, 파손되거나 휘어진 격발 핀은 비상시에 신속히 교체될 수 있었다. 그러나, 전투중에 파손이 발생하면, 사수는 이러한 장점을 활용할 수 없었다.
발명의 요약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특히 기관총용 격발 핀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격발 핀은 상당한 길이를 갖는 경우에도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단순화된 보어를 갖는 노리쇠 기구 또는 버섯형 뇌리쇠 헤드가 가능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격발 핀은 원통형 샤프트에 직접 결합된 편평한 포인트로서 팁이 형성되도록 개선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격발 핀의 샤프트를 향해 오프셋된 기존의 가느다란 팁은 교체되지 않고 폐기된다.
그러한 설계를 아무도 안출해 내지 못한 주요한 이유는 캡과의 보다 큰 접촉면으로 인한 뇌관 고장의 위험을 우려하기 때문이며, 또한 뇌관 고장시에 지나치게 큰 접촉면은 격발 핀에 불리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실험은 그와 반대라는 사실을 입증한다. 격발 핀은 보다 작은 깊이 및 훨씬 큰 반경으로 장약 캡을 관통하며, 그 결과 캡의 시트 금속이 결함을 갖거나 손상된 경우에도 현저히 적은 뇌관 고장이 발생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카트리지에 뇌관 배기구가 결여되어 캡이 떨어져 나가면, 그 결과 캡의 부하가 심각하게 낮아진다.
또한, 격발 핀의 가느다란 팁의 파손은 더 이상 불가능한데, 이는 본 발명의 격발 핀이 그러한 가느다란 팁을 구비하지 않기 때문이다. 고온인 경우에도 격발 핀의 팁에 열의 축적이 발생하지 않는다. 과잉 장약된 카트리지의 경우, 캡의 복귀는 어떠한 파손도 야기하지 않는다.
이러한 타입의 격발 핀은 특히 발사 노리쇠 구조체(후방 위치에 걸리는 노리쇠 기구)에 적합한데, 이는 본 발명의 격발 핀이 노리쇠 기구와 함께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고, 발사중에 노리쇠 폐쇄 스프링을 부가한 전체 노리쇠 기구 질량이 뇌관에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격발 핀의 파단된 가느다란 팁은 쐐기의 역할을 하며, 의도하지 않은 발사를 유발할 수 있지만, 이러한 위험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격발 핀 및 관련된 노리쇠 기구의 보어는 보다 단순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다. 보어에 오일에 채워진 경우에 에어 쿠션에 의해 격발 핀이 완충되는 위험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 중요한 것은, 좁아진 보어의 오염이 더 이상 불가능하고, 다른 어려움이 없이 예를 들어 위크(wick) 또는 두꺼운 파이프 클리너에 의해 세척하는 것이가능한 것이다.
총괄하여, 본 발명의 격발 핀은 처음에 설명한 종래의 격발 핀에 비해 기계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훨씬 안정적이며, 따라서 현저히 높은 사용 수명을 갖는다. 본원 발명의 격발 핀 및 가이드 보어의 제조는 보다 단순하고 저렴하다. 오염 및 탄약 결함에 의한 파손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다.
정밀한 제조 및 오염 방지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공지된 바와 같이, 샤프트를 따라 약간 두꺼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섹션이 배치된다. 가이드 섹션은 횡방향 진동에 대한 지지부의 역할 및 보어의 세척을 보장하는 피스톤 링의 역할을 한다.
제조 공정에 있어서, 편평한 포인트는 가이드 섹션의 절단부인 것이 바람직하다(청구범위 제 1 항). 그 결과, 포인트는 가장 큰 반경을 갖는 반면, 샤프트는 그리 두껍지 않으며, 따라서 격발 핀은 그리 무겁지 않다. 그 결과, 중량의 감소 및 보다 빠른 격발이 가능하다.
다음의 치수는 특히 적절한 것으로 입증된 것들이다. 샤프트의 길이는 60 내지 100mm이며, 75 내지 85mm가 보다 바람직하며, 약 80mm가 최적이다. 샤프트의 직경 또는 두께는 약 3mm(청구범위 제 2 항)이다. 포인트의 직경은 장약 캡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며, 필요한 경우, 원통형 장약 캡 가장자리의 시트 두께와, 카트리지 및 노리쇠 기구 보어의 동심형 구조를 위한 공차를 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시예의 도면을 이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원통형인 기다란 격발 핀 샤프트(firing pin shaft), 정지부 및 팁을 구비한, 특히 기관총(machine gun)용 격발 핀에 관한 것이다(청구범위 제 1 항의 첫 부분).
도 1은 종래의 기관총용 버섯형 뇌리쇠 헤드의 전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격발 핀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버섯형 뇌리쇠 헤드내에 설치된 본 발명의 격발 핀을 나타내는 도면.
도 1은 종래의 기관총의 노리쇠의 머시룸 헤드(1)를 종방향으로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러한 노리쇠의 머시룸 헤드(1)는 중심 축(21)을 가지며, 이 중심 축(21)은 총기의 보어의 축과 정렬된다. 노리쇠 뭉치(3)는 중심 축의 전방측상에 보어의 축에 대하여 중심 정렬되며, 상기 노리쇠 뭉치는 카트리지의 바닥을 유지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격발 핀(7)을 유지 및 안내하기 위한 중심 보어(5)가 제공되며, 상기 보어(5)는 노리쇠 뭉치(3)에서 종단된다. 보어(5)의 접합 단부는 축소부(narrowing)(9)를 구비하며, 이것은 많은 노력과 비용에 의해서만 제조될 수 있다. 특히, 표면 마무리가 우수한 축소부(9)를 가진 보어(5)를 제조하는 것은 어렵다.
격발 핀(7)은 이 보어(5)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격발 핀(7)은 테이퍼진 가느다란 팁(11)을 구비하며, 이것은 축소부(9)를 관통하며, 격발 핀(7)이 최전방 위치에 있을 때 축소부(9) 밖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하도록 치수가 결정된다.
발사중에, 가느다란 팁은 카트리지의 장약 캡을 때려서, 그것을 발사시킨다. 카트리지가 없는 총기를 발사하는 경우, 격발 핀(7)은 그 좌측 단부의 도시되지 않은 정지부 또는 압축 스프링에 의해 유지된다.
첫 번째 기관총의 제조로부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된 후에 제조된 교체용 격발 핀(7)의 경우에도, 이 정지부는 기관총이 항상 확실하게 발사될 수 있도록 공차를 가져야 한다. 공차가 부적절한 경우에, 카트리지가 발사되지 않으면, 격발 핀(7)의 샤프트와 가느다란 팁(11) 사이의 트랜지션부가 보어의 축소부(9)에 충돌한다. 이 경우, 격발 핀(7)이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오차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가느다란 팁(11)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보다 길게 설계되었으며, 그에 의해 충돌시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며, 또한 이것은 격발 핀의 파손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격발 핀(17)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그것의 축척은 도 1의 버섯형 뇌리쇠 헤드(1)의 것보다 작다. 격발 핀(17)은 그 길이의 대부분에 걸쳐 원통형이며, 격발 핀(17)을 보어내로 안내하는 다소 돌출된 가이드 섹션(13)을 구비한다. 단부는 두께 증가부(15)를 가지며, 필요한 경우 이것은 정지를 위해 격발 핀 스프링과 협동한다.
그러나, 공지된 격발 핀의 경우와 같이 전방 단부는 오프셋되어 있지 않으며 가느다랗지만, 편평한 포인트(19)를 구비한다. 이 포인트(19)는 카트리지의 장약 캡의 확실한 발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포인트(19)는 가이드 섹션(13)의 단부를 형성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격발 핀은 어떠한 축소부(9)도 갖지 않으며 따라서 저렴하고, 신속하며, 재 리밍(re-reaming)에 의해 용이하게 측정될 수 있도록 마무리되기 때문에 높은 정밀도로 제조될 수 있는 연속적인 원통형 보어를 버섯형 뇌리쇠 헤드(1)내에 요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격발 핀의 길이는 약 85mm이며, 가이드 섹션 영역에서의 직경이 약 3mm이다. 이러한 치수는 종래의 격발 핀의 2배 또는 3배이다. 격발 핀(17)으로부터의 어떠한 잔류 오일도 보어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에어 쿠션의 형성을 우려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먼지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써, 먼지는 축소부(9)에 축적될 수 없다.
도 3은 도 2의 격발 핀(17)이 도 1의 버섯형 뇌리쇠 헤드(1)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Claims (2)

  1. 원통형 보어에 수용되는 특히 기관총용 격발 핀(17)으로서, 기본적으로 원통형인 기다란 격발 핀 샤프트와, 정지부(15) 및 팁(11)을 구비하며, 상기 팁은 원통형 샤프트에 직접 접합되는 편평한 포인트(19)로서 설계된, 기관총용 격발 핀(17)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를 따라서 약간 두껍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섹션(13)이 배치되며,
    상기 편평한 포인트(19)는 가이드 섹션(13)의 절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총용 격발 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직경 또는 두께는 약 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총용 격발 핀.
KR10-2004-7009665A 2002-07-18 2003-07-17 기관총용 격발 핀 KR200500072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10885U DE20210885U1 (de) 2002-07-18 2002-07-18 Schlagbolzen besonders für Maschinengewehr
DE20210885.6 2002-07-18
PCT/EP2003/007795 WO2004010071A1 (de) 2002-07-18 2003-07-17 Schlagbolzen besonders für maschinengeweh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289A true KR20050007289A (ko) 2005-01-17

Family

ID=7973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9665A KR20050007289A (ko) 2002-07-18 2003-07-17 기관총용 격발 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523647A1 (ko)
KR (1) KR20050007289A (ko)
CA (1) CA2467524A1 (ko)
DE (1) DE20210885U1 (ko)
WO (1) WO2004010071A1 (ko)
ZA (1) ZA2004021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V14316B (lv) * 2011-02-11 2011-05-20 Bruno Mellis Detaļu slēgsavienojuma veidošanas ierīce, tā veidošanas paņēmiens un pielietojumi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0114C (de) * WAFFENFABRIK MAUSER in Oberndorf a. Neckar, Württemberg Kupplung des Schlagbolzens mit der Schlagbolzenmutter an Gewehr-Cylinderverschlüssen
DE423928C (de) * 1924-11-25 1926-01-14 Ludwig Bayerl Vorderladerzimmerstutzen mit Scheibenbuechsenverschluss
US2842885A (en) * 1954-07-27 1958-07-15 High Standard Mfg Corp Firing pin with plastic sleeve for firearms
DE1205425B (de) * 1964-02-18 1965-11-18 Heckler & Koch Gmbh Automatische Pist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23647A1 (de) 2005-04-20
ZA200402126B (en) 2005-05-17
WO2004010071A1 (de) 2004-01-29
CA2467524A1 (en) 2004-01-29
DE20210885U1 (de) 200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899B1 (ko) 화기용 탄피 제거 장치, 리시버, 및 탄피 제거 장치를 구비한 화기
US10006733B2 (en) Non-fouling trigger
US5069110A (en) Impact buffering recoil mechanism
US20180087857A1 (en) Biased pivoting cartridge extractor for blowback bolt firearms
EP0717254A1 (fr) Arme à feu
KR101384941B1 (ko) 브리치 장치를 위한 브리치 안내 장치 및 브리치 안내 장치를 구비한 고속 발사 무기
CA2653036C (en) Locking mechanism of a hand firearm
CA2278214C (en) Safety mechanism for a firing pin
US4227439A (en) Anti-bounce apparatus for reciprocating bolt assemblies of automatic cannon
KR100654480B1 (ko) 공포탄 장치 및 자동 화기
MXPA05003838A (es) Arma de fuego con una cara de perno facilmente intercambiable.
KR20050007289A (ko) 기관총용 격발 핀
US4161836A (en) Breechblock assembly and an operating mechanism for a fire-arm automatic loading
JPS5824232B2 (ja) 火薬作動固定具打込工具
US20210003359A1 (en) Biased pivoting cartridge extractor for blowback bolt firearms
US20050132627A1 (en) Firing pins and breechblocks for firearms
CN108139185B (zh) 枪中的枪栓止动缓冲装置
US1441807A (en) Firearm
US3930433A (en) Automatic firearms with bolt assisted by an additional mass
US2842885A (en) Firing pin with plastic sleeve for firearms
US1292505A (en) Percussion-fuse for projectiles.
EP3800427A1 (en) Firearm with an ejector
US2912779A (en) Firearm with means for extraction and ejection of rimfire cartridges
US3631622A (en) Extractor-ejector system for firearms
US6260297B1 (en) Case ejecting device for a large-caliber barrel weap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