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7265A - 복령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령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7265A
KR20050007265A KR1020040114522A KR20040114522A KR20050007265A KR 20050007265 A KR20050007265 A KR 20050007265A KR 1020040114522 A KR1020040114522 A KR 1020040114522A KR 20040114522 A KR20040114522 A KR 20040114522A KR 20050007265 A KR20050007265 A KR 20050007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water
hot water
absorption
absor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계룡
Original Assignee
방계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계룡 filed Critical 방계룡
Priority to KR1020040114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7265A/ko
Publication of KR20050007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26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령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수로 주출한 복령의 생약성분을 쌀에 흡수시킴으로서 쌀의 기능성을 향상시킨 복령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백미를 세척하여 탈수하는 청결 미 제조단계와, 복령에 물을 가하여 생약성분을 함유한 열수 주출액을 조제하는 단계와, 청결미와 복령의 열수 주출 액을 배합하여 흡수 조에 침지시켜 균일하게 흡수시키기 위해 첨가한 생약제의 열수주출 액이 쌀 조직 속으로 완전히 흡수되기까지 일정시간 방치하는 흡수단계와, 압축공기를 취입(吹入)하여 여분의 수분을 분리한 후 온풍으로 건조하는 단계와, 쌀 속의 생약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차 침지와 건조를 반복하는 재 처리단계로 이루어지며 복령의 혈당하강작용과 위궤양발생예방, 건위, 이뇨, 진정, 심계(心悸)항진등에 효능이 있는 유용한 생약성분을 쌀에 함유시켜 함께 섭취함으로 건강증진 및 성인병예방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령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Rice of absorbed herb medicine}
본 발명은 복령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수로 주출한 복령의 유용성분을 쌀에 흡수시켜 기능성을 향상시킨 복령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주식으로 먹는 도정하기 전 쌀에는 인체에 유용한 단백질, 섬유소, 비타민등 영양소가 골 고루 함유되어 있으며 그 중 단백질은 고혈압과 동맥경화 같은 심장질환을 유발하는 중성지방과 비정상적인 혈당치를 낮춰준다는 것이 동물실험을 통해 밝혀지고 있다.
또한 섬유질은 위장의 공복 감을 덜 느끼게 하고 음식물 흡수를 악화시켜 콜레스테롤을 걸러내서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혈관 계통 질환을 비롯한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쌀을 도정하여 외피를 깎아낼 때 함유된 섬유질과 배아 속의 영양분도 함께 소실되어 탄수화물을 위주로 하는 영양분만 남게 됨으로 현미의 섭취를 권장하고 있으나 식미(食味)가 좋지 않고 소화흡수가 잘 되지 않음으로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밥맛과 영양분을 제고시킬 목적으로 녹차, 인삼, 다시마 등의 주출 액을 쌀에 흡수시킨 다양한 기능성 쌀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각종 야채나 인삼등을 압착하거나 혹은 열수로 처리하여 얻은 주출 액을 쌀에 흡수시켜 영양소 함량의 제고를 도모하였지만 주출 액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농도가 희박하고 위 주출 액이 쌀에 흡수되는 양도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한두번 침지하는 것만으로는 영양소 함량이 뚜렷하게 증가되지 않음으로 성인병의 예방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게다가 습관화된 육식 위주의 식생활과 운동부족과 심한 스트레스는 인체기능을 해치고 급기야는 당뇨병, 고혈압등 성인병 발생빈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건강을 위해서는 뭐보다 콜레스테롤이 많은 음식의 섭취를 피하고 자극성이 없고 섬유질이 많은 채소와 쌀 중심의 식생활만이 성인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지만 실천이 용이하지 않다.
현대인에게 많은 성인병은 일단 이환 되면 장기간의 투병에도 쉽게 완치되지않으며 미리부터 식생활을 개선해서 예방해야 할 질병이지만 일단 이환되면 부득이 약으로 치료해야 될 때가 많다.
약에는 화학적인 조작에 의해 얻어지는 현대약과 동식물에서 얻은 생약이 있고 생약은 여러 가지 질병을 다스리는 치료제로 민간에서 전승되어 온 민간약과 한방에서 생약제를 처방에 의해 배합한 한방약이 있으며 만간 약은 한두 가지의 약제를 합친 것이 쓰이는데 반해 한방약은 몇 가지의 약제를 결합한 처방을 사용한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병으로는 고혈압과 당뇨병 외에 기력과 체력의 감퇴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런 증세에는 오래 전부터 전해오는 민간약과 한방약으로 치료하고 있다.
고혈압의 예방과 치료에는 미나리, 신선초, 마늘, 생강, 두릅나무, 영지, 해당화와 마황(麻黃), 황기(黃耆), 괴화(槐花), 현삼(玄蔘), 산사자(山査子), 두충(杜沖), 신이(辛夷)등과
당뇨병과 그 합병증에는 양파, 보리쌀, 녹두, 두릅껍질, 솔입,무화과, 나팔꽃 산수유와 시호, 반하, 황금, 작약(芍藥), 대조(大棗), 인삼, 감초, 생강, 지황, 복령, 맥문동, 천궁, 황련, 천화분, 연육, 오매등과
기력과 체력이 쇠(衰)한데에는 인삼(人蔘), 황기(黃耆), 백술(白鉥), 복령(茯笭), 지황(地黃), 천궁(川芎), 작약(芍藥), 계지(桂枝), 감초(甘草), 황련(黃蓮)외에 수많은 약제들이 사용되어왔다.
그 중 복령은 혈당하강작용과 위궤양발생예방, 건위, 이뇨, 진정, 심계(心悸)항진등 광범위에 쓰이며 복려이 쓰이는 처방으로는 청심연자음(情心運子飮)과가감현기탕(加減賢氣湯), 황령지황탕(黃蓮地黃湯)등이 있다.
(한방의학 동의보감 책임감수 홍문화)
복령에는 포도탕의 다당체인 파시맨(pachyman)과 이뇨 진정효과가 있는 트리테루페논 계열의 파치민 산(pachymic acid), 폴리포레인산(polyporenic acid) 및 스테로이드로서 이르고스테롤(ergosterol)이 함유되어 있으며 한국산 복령에는 메틸 튜무로세이트(methyltumulosate 외에 알부민등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기능성식품의 천연물과학 박졸철 저: 현대생약학 생약학 연구회 저)
그러나 성인병에 효험이 있는 약제의 생약성분을 열수로 주출하여 쌀에 흡수시킬 때 밥맛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황련, 황금 등같이 혈압강하작용이 있지만 쓰기 때문에 감초와 함께 사용하여 그 쓴맛을 감소시키고 또한 산수유 같이 올레아놀 산((oleanolic acid)와 우르솔 산(ursolic acid) 와 같은 항 당뇨 활성성분이 있지만 맛이 시고 떫기 때문에 산수유 등을 함유한 처방의 주출액은 본 발명에 적용할 때 흡수와 건조공정을 적절하게 조절한다.
위와 같이 생약은 그 성분이 알려진 것도 있고 또한 알려져 있는 경우에도 그 약리작용을 설명할 수 없는 것도 있다. 그러나 오랜 동안 우리의 병을 다스려 왔고 그 효능이 알려져 있지만 탕약(湯藥)을 조제하여 먹어야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이것을 섭취하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래 전부터 보익 강장과 고혈압치료와 예방 외에 다양한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복령의 생약성분을 열수로 주출하여 쌀에 흡수시킬 때 흡수와 건조를 반복함으로서 쌀에 흡수되는 생약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키면서 심한 탕약의 냄새를 없앰으로 밥 본래의 맛과 영양을 그대로 유지하며 이 쌀로 밥을 지어먹을 때 탕약(湯藥)을 조제해서 달여 먹는 번거로움 없이 같은 효과를 가지는 복령의 생약 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령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청결미 200. 복령의 열수주출액
300. 복령의 열수주출액을 함유한 쌀
본 발명은 복령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준비된 쌀을 정수한 청결수로 3회 이상 세척하고 탈수하는 청결미 제조공정과, 별도로 세척한 복령과 물을 주출기에 넣고 가열하여 복령의 생약성분을 열수로 주출하는 열수주출액 제조공정과, 청결미와 복령의 열수주출 액을 침지조에 넣고 침지 흡수시키는 흡수공정과, 복령의 열수주출액을 흡수한 쌀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건조시키는 건조공정과, 공정을 종료한 쌀은 재차 흡수공정과 건조공정을 3회이상 반복 처리 후 소분하여 포장하는 포장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령이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청결미 제조공정
시판 백미를 깨끗한 물로 3-4번 세척하여 하부에 망이 부착된 밀폐용기에 넣고 압축공기를 통하여 물을 분리한다. (S110)
물에 팽윤(衝潤)된 쌀은 입자강도가 약해서 약간의 충격이나 외부압력에 의해 파쇄되어 불완전미가 생성되는 원인이 됨으로 원심분리기나 진동채(篩)를 사용한 탈수는 피해야 한다.
또한 수분함량이 15.4%인 쌀을 세척할 때 세척 후 7.5%의 물을 더 흡수하고 한시간 후에는 13.5%의 물을 더 흡수함으로 열수 주출액의 최대량을 흡수시키기 위해서는 세척시간을 단축해야 하며 장시간동안 수중에 방치한 후 건져내면 팽윤하면서 균열이 생겨 불완전미가 생성되는 원인이 됨으로 신속하게 세척 처리를 해야 한다. 그러나 야채의 주출 액이나 열수주출액을 흡수시킨 쌀은 조심스럽게 다루면 균열이 생기지 않는다.
쌀에 흡수되는 수분의 양은 물에 함유된 전해질이나 단백질 및 기타 성분의 함량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일반 수돗물일 때 12시간 후에 흡수되는 물의 양은 28.5%이지만 4% 식염수의 흡수 량은 32%이며 두유나 미나리의 압착 주출 액처럼 단백질과 무기질을 함유한 주출액은 46%까지 흡수되며 그 이상 방치해도 흡수량은 증가하지 않지만 두유나 미나리를 흡수시킨 쌀을 건조와 흡수를 반복했을 때 흡수 량은 50%이상 증가하며 유효성분의 함량도 등차급수 적으로 증가하지만 6회 이상 반복하면 쌀 입자는 파열되어 20-30mesh정도의 입자가 된다.
제 2공정: 생약성분의 열수 주출액 제조공정
깨끗하게 세척한 생약제의 유효성분을 효율적으로 주출하기 위하여 생약제에 계산량의 물을 넣고 2-3시간동안 화력을 조절하면서 가열하여 열수로 주출하고 첨가한 물의 양이 7내지 8활이 될 때까지 달인 후 잔사와 분리하여 생약성의 열수 주출액을 제조한다.
일차 주출한 생약제 잔사에 처음 첨가한 물의 양의 40%를 첨가하여 재탕을 하고 첨가한 물의 6내지 7활이 될 때까지 달이고 처음에 얻은 열수 주출 액과 합하여 생약성분의 열수 주출공정을 완료한다. (S120)
제 3공정: 침지 흡수공정
침지 흡수조는 쌀의 투입과 배출을 쉽게 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놓인, 상하 2개로 분활되고, 원통형의 용기 양 측면 원판의 중심에 회전축이 부착되고, 운전중에는 내부 주출 액이 새나오지 않게 고리를 걸어 잠그는 구조로 되어있다.
흡수조에 쌀과 계산 량의 생약제의 열수주출 액을 투입하고 뚜껑을 밀폐한 후 주출 액의 균일한 침지와 흡수를 위하여 2시간에 한번씩 상하를 전도(顚倒)시킨다. 12시간 후 침지와 흡수를 종료한다. (S130)
침지와 흡수가 완료된 쌀은 흡수 조에서 배출하여 건조공정에 보낸다. 일차 흡수후 내용물은 곤죽모양의 반 유동성 상태가 되어 퍼내기 어렵지만 2차 흡수 후부터는 시루떡모양으로 뭉쳐서 덩어리가 되기 때문에 배출이 용이하다. 그러나 그 화학적 기구는 불명하다.
제 4공정: 건조공정
침지와 흡수공정을 종료한 쌀은 밴드형(Band type) 건조기로 건조한다. 기류건조기나 유동건조기는 쌀을 몹시 유동시킴으로 습윤(濕潤)상태의 쌀은 파괴되어 불완전미가 되기 쉽기 때문에 밴드형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한다. ((S140)
밴드형 건조기는 밴드형의 채(篩)로 된 콘베어 위에 건조시킬 쌀을 적재하고 위에서 콘베어를 향해 0.1-1.5m/sec의 난풍(55℃ 미만)을 불어 넣고 측면에서 배풍한 바람을 위에서 다시 밴드에 불어넣어 순환시키며 채(篩)로 된 콘베어는 서서히 전진하면서 건조된 쌀을 배출구에서 배출한다.
건조된 쌀은 계산 량의 열수 주출 액과 함께 다시 침지 흡수 조에 넣고 흡수와 건조공정을 반복하여 복령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을 완성하며 흡수와 건조공정은 3회 이상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령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 예
동의보감에서 복령이 들어가는 처방으로 청심연자음(情心蓮子飮)과 가감현기탕(加減賢氣湯), 황련지황탕(黃蓮地黃湯)등이 있으며 그 중 황련지황탕의 처방은 황련(黃蓮)4.0gr, 생지황(生地黃)4.0gr, 천화분4.0gr, 오미자(五味子)4.0gr, 당귀(當歸)4.0gr, 인삼(人蔘)4.0gr, 건갈(乾葛)4.0gr, 백복령(白茯笭)4.0gr, 맥문동(麥門冬)4.0gr, 감초(甘草)4.0gr(총량 40gr)에 생강(生薑) 두 편(片), 조(棗) 1매, 죽엽(竹葉) 10매를 넣는 다고 기술되어 있으며 여기에 물 500내지 600cc를 혼합하여 물의 양이 7내지 8활이 될 때까지 2 내지 3시간 달이고 주출 잔사를 분리하면 350내지 420gr의 탕약(한 첩 분량)이 생성되며 이것을 매일 2내지 3번에 나누어 음복한다고 되어 있다.
위 처방 분량의 10배 즉 10첩의 처방은 황련(黃蓮)40gr, 생지황(生地黃)40gr, 천화분40gr, 오미자(五味子)40gr, 당귀(當歸)40gr, 인삼(人蔘)40gr, 건갈(乾葛)40gr, 백복령(白茯笭)40gr, 맥문동(麥門冬)40gr, 감초(甘草)40gr에(총량 400gr)에 생강(生薑) 20 편(片), 조(棗) 20매, 죽엽(竹葉)100매를 넣는다.
본 발명에 따른 복령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를 위하여 황련지황탕 처방의 10첩에 해당되는 양인 복령 40gr의 유효성분을 효율적으로 주출하기 위하여 물 5lit를 가하여 100℃ 에서 4시간동안 가열하여 3500cc를 얻고 잔여 유효성분을 주출하기 위해 물 2lit를 추가하여 다시 3시간동안 가열하여 열수 주출하고 주출액 700cc를 얻어 처음 열수 주출 액과 합하여 4200gr를 얻는다.
별도로 백미 800gr를 깨끗한 물로 씻은 청결미에 위 열수주출액 320gr를 혼합하여 원통형 침지 용기에 넣고 균일하게 흡수시키기 위해 가끔 상 하부를 전도시킨다. 12시간 후 320gr의 열수 주출 액 대부분이 흡수된다. 이것을 60℃의 열풍이 순환하는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일차처리를 끝내고 위실시 예와 같이 2차 처리를 한다.
일차처리가 끝난 쌀은 다시 침지용기에 투입하고 400gr의 열수 추출액을 혼합하여 흡수와 건조처리를 반복하여 2차 처리를 완료하고 다시 400gr의 열수 주출 액을 첨가하여 흡수와 건조처리를 반복하여 3차 처리를 완료하면 쌀 800gr(실제로 흡수된 주출액 중의 고형물중량 만큼 증가함)에 흡수된 열수 주출 액의 총량은 1120gr이며 쌀300gr(밥 세그릇 분)에 복령의 열수 주출 액 420gr(황련지황탕 한 첩 속의 복령의 함량)이 함유되어 있음으로 위 복령 열수 주출 액을 함유한 쌀을 매일 섭취했을 때 황련지황탕 한 첩 속에 함유된 것과 동일한 양의 복령의 유효성분을 먹는 결과가 되며 복령에 함유된 파시맨(pachyman)과 트리테루페논 계열의 파치민 산(pachymic acid), 폴리포레인 산(polyporenic acid), 스테로이드계열의 이르고스테롤(ergosterol), 메틸 튜무로세이트(methyltumulosate 및 알부민등은 물이 끓는 온도에서는 휘발하지 않기 때문에 침지와 건조공정을 반복할 때마다 등차급수 적으로 증가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혈당하강과 위궤양예방, 건위, 이뇨, 진정, 심계(心悸)항진등 다양한 증세에 효험이 있는 복령에 함유된 생약성분의 열수 주출액을 쌀에 흡수시킬 때 흡수와 건조를 반복하여 쌀에 흡수되는 생약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키면서 심한 탕약의 냄새를 없앰으로 본래의 맛과 영양을 그대로 유지하며
건조 시 공존하는 단백질의 열변성에 의해 생기는 단백질의 겔에 생약성분이 흡착되어 흡수와 건조를 반복할 때마다 휘발성 물질 이외의 유효성분은 등차급수 적으로 그 함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이 쌀로 밥을 지어먹을 때 탕약(湯藥)을 조제해서 달여 먹는 번거로움 없이 복령의 혈당하강작용과 위궤양발생예방, 건위, 이뇨, 진정, 심계(心悸)항진 등 다양한 증세에 효험을 가지는 생약성분을 함께 섭취함으로 그 효용성은 매우 높다.

Claims (1)

  1. 준비된 백미를 정수한 청결수로 3회 이상 세척하고 탈수하는 청결미 제조공정(S110)과;
    별도로 세척한 복령과 물을 주출기에 넣고 가열하여 복령의 생약성분을 열수로 주출하는 열수주출 액의 제조공정(S120)과;
    위 청결미와 복령의 열수주출액을 침지 조에 넣고 침지 흡수시키는 흡수공정(S130)과;
    상기 침지 흡수 공정(S130)에서 복령의 열수주출액을 흡수한 쌀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건조시키는 건조공정(S140)과;
    상기 건조공정(S140)공정을 거친 생약성분을 흡수한 쌀은 재차 흡수공정(S130)과 건조공정(S140)을 3회 이상 반복 처리 후 소분하여 포장하는 포장 공정(S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령의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쌀과 그 제조방법.
KR1020040114522A 2004-12-24 2004-12-24 복령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07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522A KR20050007265A (ko) 2004-12-24 2004-12-24 복령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522A KR20050007265A (ko) 2004-12-24 2004-12-24 복령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265A true KR20050007265A (ko) 2005-01-17

Family

ID=3722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4522A KR20050007265A (ko) 2004-12-24 2004-12-24 복령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72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685B1 (ko) * 2022-09-15 2022-12-12 (주)한국데리카후레쉬 복원용 밥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685B1 (ko) * 2022-09-15 2022-12-12 (주)한국데리카후레쉬 복원용 밥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18846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통유탕(通幽湯)의 생약성분을 함유한쌀의 제조방법
KR20050018877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보허탕(補虛湯)의 생약성분을 함유한쌀의 제조방법
KR20050007265A (ko) 복령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08589A (ko) 하수오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07271A (ko) 구기자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07266A (ko) 백출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08587A (ko) 당귀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07272A (ko) 지골피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07267A (ko) 황금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18847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교밀탕(膠密湯)의 생약성분을 함유한쌀의 제조방법
KR20050008588A (ko) 산약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08585A (ko) 황기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07268A (ko) 청궁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09258A (ko) 지모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08590A (ko) 지황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07273A (ko) 계지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07274A (ko) 산수유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07270A (ko) 가시오가피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07269A (ko) 맥문동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07264A (ko) 산조인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08586A (ko) 작약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18785A (ko) 대황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07263A (ko) 생강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07262A (ko) 두충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18875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우귀음(右歸飮)의 생약성분을 함유한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