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4990A - 니켈기 초내열합금 이종재 부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니켈기 초내열합금 이종재 부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4990A
KR20050004990A KR1020030044100A KR20030044100A KR20050004990A KR 20050004990 A KR20050004990 A KR 20050004990A KR 1020030044100 A KR1020030044100 A KR 1020030044100A KR 20030044100 A KR20030044100 A KR 20030044100A KR 20050004990 A KR20050004990 A KR 20050004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s
alloys
dissimilar material
temperature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6690B1 (ko
Inventor
나영상
박노광
염종택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44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690B1/ko
Publication of KR20050004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6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6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particular articles not mentioned below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2Hardening by precipi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재료용 이종재 부품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단일화된 열처리방식에 의해 고온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여 항공재료에 적합한 이종재 부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재료용 이종재 부품의 제조방법은, 열간정수압 등을 통하여 서로 확산접합된 이종재에 대하여, 상기 이종재를 850~ 900℃의 온도에서 15~ 20시간 동안 시효처리하고, 공냉한 다음, 다시 740~ 780℃의 온도에서 15~ 20시간 동안 시효처리를 한 후 공냉하거나, 또는 상기 이종재를, 1100~ 1150℃의 온도에서 3~ 5시간 동안 용체화처리하고, 공냉한 다음, 다시 700~ 800℃의 온도에서 20~ 25시간 동안 시효처리를 한 후 공냉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일 열처리방식은, 특히 Udimet 720계 합금과 Mar-M247계 합금으로 이루어진 이종재의 모재 및 접합부의 고온 기계적 특성의 향상에 매우 적합하다.

Description

니켈기 초내열합금 이종재 부품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Parts Consisted of Two Types of Ni-Based Superalloys}
본 발명은 항공재료용 이종재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개별적으로는 최적의 열처리 조건이 다른 두개의 니켈기 초내열합금 소재가 하나의 부품을 구성하고 있는 경우 단일화된 열처리를 통해 고온 기계적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니켈기 초내열합금 이종재 부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항공재료에 있어서 터빈이나 엔진 등의 부품 경량화와 효율 향상 등을 위해, 서로 다른 성질을 갖는 이종금속을 확산접합 등의 기술에 의해 부품을 일체로 하여 제조하고 있다. 예컨대, 항공재료 중 블리스크(Blisk)의 경우 확산접합 기술을 사용하여 분말성형품인 디스크(Disc)와 주조품인 블레이드(Blade)를 열간정수압(Hot Isostatic Pressing)을 통해 이종금속을 확산접합시키고 있다.
이러한 기술에 관한 대표적인 예로서, 본 출원인이 국내특허출원번호 제10-2003-18083호로 특허출원한 일체형 블리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기술에 의하면, Ni계 초내열합금인 Udimet 720 분말을 충전된 디스크부에 Mar- M 247합금 분말로 주조된 블레이드부를 일체형으로 결합시킨 후, 열간정수압을 통해 1050~ 1150℃의 온도에서 80~ 120MPa의 압력을 가하여 확산접합시켜 블리스크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종금속으로 확산접합된 이종재의 경우 열처리방식에 따라 제품 특성이 크게 달라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상기 Udimet 720계 소재의 경우, 약 1105℃에서 약 4시간 유지한 후, 공랭하고, 이어서 약 650℃에서 약 24시간 유지후 공랭하고, 계속하여 약 760℃에서 약 16시간 동안 유지하여 공랭하는 열처리방식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Mar-M247계 소재의 경우 약 1230℃에서 약 2시간 유지한 후, 급냉하고, 이어서 약 980℃에서 약 5시간 유지후 공랭하고, 계속하여 약 870℃에서 약 20시간 동안 유지하여 공랭하는 열처리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Udimet 720계 소재와는 다른 열처리방식을 채용하고 있었다. 이들 구체적인 열처리방식들은 각각의 개별 소재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이들 이종금속으로 이루어진 접합부를 이종재에 적용할 적당한 열처리방식이 제시되어 있질 않아,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소재의 고온 기계적 특성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이종재의 고온 기계적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단일 열처리방식을 통해 적어도 1개 이상의 소재에서 고온 기계적 특성 향상을 발휘하는 동시에 접합부에서의 고온 기계적 특성도 향상되는 니켈기 초내열합금 이종재 부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재의 열처리이력곡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종재에 대한 파단면 조직사진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니켈기 초내열합금 이종재를 확산접합하여 확산접합된 이종재의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확산접합된 이종재를 850~ 1150℃의 온도까지 가열하고, 가열된 이종재를 공냉한 다음, 공냉된 이종재를 다시 700~ 800℃의 온도까지 가열한 후 가열된 이종재를 공냉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서로 다른 성질을 갖는 이종금속이 서로 확산접합에 의해 얻어지는 항공재료용 이종재를 접합하여 적용하는 경우에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의 특징인 단일 열처리방식에 가장 적합한 이종재로는, 예컨대 Udimet 720와 Udimet 720Li와 같은 Udimet계 합금과, Mar-M247 또는 Mar-M247LC와 같은 Mar-M247계 합금을 들 수 있다. 이들 합금들에 대하여는 ASM Handbook 제5권, Code 4218 등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두 종류의 합금은, 모두 분말이어도 좋으며, 어느 하나는 성형품이라도 관계없다. 바람직하게는, 어느 한 쪽의 주조품에 다른 쪽의 합금을 분말로 충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확산접합된 이종재를 열처리할 때,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단일열처리로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먼저 850~ 1150℃의 온도까지 이종재를 가열하고, 가열된 이종재를 공냉하는 제1단계와, 다시 700~ 800℃의 온도까지 가열한 후 공냉하는 제2단계를 열처리한다.
상기 제1단계에서는 이종재를 850~ 1150℃의 온도까지 가열하여 유지하는데, 이때 가열유지온도가 850℃ 이하에서는 Udimet 소재에서 δ상이, Mar-M247 소재에서 γ'상이 과다하게 석출하여 소재의 연신율이 저하하며, 1150℃를 초과하면 Udimet 소재 및 Mar-M247 소재에서 국부적인 용해가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제2단계에서는 700~ 800℃의 온도까지 가열하는데, 이때 가열유지온도가 700℃ 이하에서는 γ' 상의 석출속도가 너무 느리고, 800℃를 초과하면 Udimet 소재에서 γ' 석출물의 양이 너무 감소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각 단계에서의 공냉은, 자연냉각 또는 송풍기에 의한 강제냉각을 모두 포함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단일열처리방식은 여러 패턴으로 조합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종재를 850~ 900℃의 온도에서 15~ 20시간 동안 시효처리한 후 공랭한 다음, 다시 740~ 780℃의 온도에서 15~ 20시간 동안 시효처리를 한 후 공랭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용체화처리 과정이 없이 2단계의 시효처리만 수행할 수 있어 실제 열처리 과정에서 바람직하다.
다른 열처리패턴으로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종재를 1100~ 1150℃의 온도에서 3~ 5시간 동안 용체화처리한 후 공냉한 다음, 다시 700~ 800℃의 온도에서 20~ 25시간 동안 시효처리를 한 후 공냉하는 패턴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용체화처리 과정을 포함하지만, 시효처리를 하나의 단계로 단순화할 수 있어 실제 열처리과정에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270mesh의 Udimet 720 분말에 정밀주조된 Mar-M247 소재를 약 100MPa로 가열하면서 1100℃에서 3시간 동안 열간정수압 성형하여 확산접합시켰다.
이 확산접합된 소재를 약 870℃에서 15시간 동안 시효처리를 행한 후, 공냉하고, 이어서 약 760℃에서 16시간 동안 시효처리를 행한 다음, 공냉시켰다(발명재 1).
또한, 상기 열처리방법과는 달리, 상기 확산접합된 소재를 약 1105℃에서 4시간 동안 용체화처리를 행한 후 공냉하고, 이어서 약 700℃에서 24시간 동안 시효처리를 행한 다음 공냉시켰다(발명재 2).
이와같이 열처리된 각각의 확산접합 소재에 대하여 열처리 전후에 있어서 상온 및 650℃의 고온에서 기계적 시험을 행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상온 고온(650℃) 비고
항복강도(MPa) 인장강도(MPa) 감면율(%) 연신율(%) 항복강도(MPa) 인장강도(MPa) 감면율(%) 연신율(%)
비교재 956 1365 17.1 13.8 863 1198 17.6 15.2 열처리전
발명재1 970 1420 15.6 13.0 850 1270 22.6 22.4 열처리후
발명재2 1268 1605 13.6 11.4 1141 1330 7.4 5.3 열처리후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열처리된 발명재의 경우 상온 및 고온 강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발명재의 경우 상온에서의 연신율은 감소하였으나, 실제 사용환경인 650℃의 고온에서 발명재(1)은 연신율이 크게 향상되었고, 발명재(2)는 비록 연신율이 감소되었으나 실제 부품 사용 측면에서는 충분한 연신율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상기 각 성형품에 대하여 열처리 전후의 확산접합부에서의 기계적 시험을 행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상온 고온(650℃) 비고
항복강도(MPa) 인장강도(MPa) 항복강도(MPa) 인장강도(MPa)
비교재 803 973 791 939 열처리전
발명재1 871 981 811 1070 열처리후
발명재2 879 965 992 1013 열처리후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열처리된 발명재의 경우 확산접합부에서의 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발명재(1)에 대하여 상온 및 고온에서의 파단면을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상온 및 고온에서의 파단면에 대한 조직사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재의 경우 파단이 접합부가 아닌 Mar-M247 주조합금에서 발생됨을 알 수 있는 데, 이는 본 발명재의 경우 확산접합부가 모재(Mar-M247 소재) 강도 이상의 고온 강도를 갖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개별 소재에 대해서만 존재하였던 열처리 조건을 새로이 단일 열처리방식을 통하여 행하므로써, 이종재로 이루어진 일체형 부품의 모재는 물론 접합부의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열처리 공정을 단순화함에 따라 열처리 설비나 비용 증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니켈기 초내열합금 이종재를 확산접합하여 확산접합된 이종재의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확산접합된 이종재를 850~ 1150℃의 온도까지 가열하고, 가열된 이종재를 공냉한 다음, 공냉된 이종재를 다시 700~ 800℃의 온도까지 가열한 후, 가열된 이종재를 공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기 초내열합금 이종재 부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재는 각각 Udimet 720계 합금과 Mar-M247계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기 초내열합금 이종재 부품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재는, 850~ 900℃의 온도에서 15~ 20시간 동안 시효처리하고, 시효처리된 이종재를 공냉한 다음, 공냉된 이종재를 다시 740~ 780℃의 온도에서 15~ 20시간 동안 시효처리를 한 후 시효처리된 이종재를 공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기 초내열합금 이종재 부품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재는, 1100~ 1150℃의 온도에서 3~ 5시간 동안 용체화처리하고, 용체화처리된 이종재를 공냉한 다음, 공냉된 이종재를 다시 700~ 800℃의 온도에서 20~ 25시간 동안 시효처리를 한 후 시효처리된 이종재를 공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기 초내열합금 이종재 부품의 제조방법.
KR10-2003-0044100A 2003-07-01 2003-07-01 니켈기 초내열합금 이종재 부품의 제조방법 KR100526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100A KR100526690B1 (ko) 2003-07-01 2003-07-01 니켈기 초내열합금 이종재 부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100A KR100526690B1 (ko) 2003-07-01 2003-07-01 니켈기 초내열합금 이종재 부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990A true KR20050004990A (ko) 2005-01-13
KR100526690B1 KR100526690B1 (ko) 2005-11-08

Family

ID=3721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100A KR100526690B1 (ko) 2003-07-01 2003-07-01 니켈기 초내열합금 이종재 부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6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38601A1 (en) * 2008-06-16 2009-12-30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A heat treatment method of a ni-based superalloy for wave-type grain boundary and a ni-based superalloy produced accordingly
KR101312317B1 (ko) * 2011-11-16 2013-09-27 국방과학연구소 이종 특성을 가진 부재들을 포함하는 일체형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256B1 (ko) * 2012-03-28 2014-03-11 한국과학기술원 확산 접합된 니켈계 합금의 열처리 방법
KR101373255B1 (ko) 2012-03-28 2014-03-11 한국과학기술원 확산 접합된 니켈계 합금의 열처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38601A1 (en) * 2008-06-16 2009-12-30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A heat treatment method of a ni-based superalloy for wave-type grain boundary and a ni-based superalloy produced accordingly
KR101312317B1 (ko) * 2011-11-16 2013-09-27 국방과학연구소 이종 특성을 가진 부재들을 포함하는 일체형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6690B1 (ko) 2005-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7016B2 (en) Techniques for controlling precipitate phase domain size in an alloy
US4608094A (en) Method of producing turbine disks
CN107427897B (zh) Ni基超耐热合金的制造方法
US5312497A (en) Method of making superalloy turbine disks having graded coarse and fine grains
US5527403A (en) Method for producing crack-resistant high strength superalloy articles
CA1229004A (en) Forging process for superalloys
MXPA02002839A (es) Reparacion de articulo de superelacion basado en cristal unico de niquel.
US4842652A (en) Method for improving fracture toughness of high strength titanium alloy
CN107427896A (zh) Ni基超耐热合金的制造方法
JP2003531731A (ja) ろう付け方法およびそれから製造された製品
GB2214192A (en) Heat treatment for improving fatigue properties of superalloy articles
JP2021172852A (ja) Ni基合金補修部材および該補修部材の製造方法
US4981528A (en) Hot isostatic pressing of single crystal superalloy articles
US11773724B2 (en) Wrought root blade manufacture methods
US4081295A (en) Fabricating process for high strength, low ductility nickel base alloys
KR100526690B1 (ko) 니켈기 초내열합금 이종재 부품의 제조방법
JP2000063969A (ja) Ni基超合金、その製造方法およびガスタービン部品
JPH09170016A (ja) In 706 タイプの鉄− ニッケル超合金より成る高温安定性物体の製造方法
US4345950A (en) Method for making a composite grained cast article
EP0362661A1 (en) Cast columnar grain hollow nickel base alloy article and alloy and heat treatment for making
JPS6117800B2 (ko)
US20050081968A1 (en) Method for reducing heat treatment residual stresses in super-solvus solutioned nickel-base superalloy articles
CA1243508A (en) Pre-hip heat treatment of superalloy castings
CN115287427A (zh) 一种Fe-Ni-Co基高温合金GH907合金棒材制备方法
GB2457998A (en) A method of working titanium allo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