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4398A - 다기능 냉장고 - Google Patents

다기능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4398A
KR20050004398A KR1020030044565A KR20030044565A KR20050004398A KR 20050004398 A KR20050004398 A KR 20050004398A KR 1020030044565 A KR1020030044565 A KR 1020030044565A KR 20030044565 A KR20030044565 A KR 20030044565A KR 20050004398 A KR20050004398 A KR 20050004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water tank
ice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기
Original Assignee
안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현기 filed Critical 안현기
Priority to KR1020030044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4398A/ko
Publication of KR20050004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39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8Supports
    • B67D3/0083Supports for the liquid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1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1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filter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6Controll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6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 정수, 냉수, 온수 및 자동 제빙 기능을 갖는 다기능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측의 냉장실과 저수통을 수납할 수 있는 하측의 수납실이 횡격벽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는 본체와, 본체의 수납실에 저수통을 거꾸로 세워 놓을 수 있도록 설치되며 저수통으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저수하는 수원조와, 수원조의 물을 양수하는 펌프와,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얼음으로 제빙하는 제빙기와,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냉수로 냉각하는 냉수기와,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온수로 가열하는 온수기로 구성된다. 또한, 냉동기는 냉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압축기, 응축기, 제1 팽창밸브, 제1 증발기와, 제빙기와 연계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제2 팽창밸브, 제2 증발기와, 냉수기와 연계되어 냉수를 생성하는 제3 팽창밸브, 제3 증발기를 가지며, 압축기, 응축기, 제1 내지 제3 팽창밸브, 제1 내지 제3 증발기는 냉각사이클을 이루도록 냉매라인에 의하여 연결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수통을 수원으로 이용하면서도 냉장, 정수, 냉수, 온수 및 자동 제빙 기능에 의하여 편의성과 기능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의 하측에 구성되어 있는 수납실로부터 저수통을 거꾸로 세워 놓을 수 있는 수원조를 인출하여 저수통을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으며, 저수통의 교환작업 중에 저수통의 마개를 펀치에 의하여 천공하는 구조에 의하여 물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냉장고{MULTI-FUNCTION REFRIGERATOR}
본 발명은 다기능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 정수, 냉수, 온수 및 자동 제빙 기능을 갖는 다기능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과 증발기로 구성되는 냉동사이클을 통하여 생성되는 냉기를 냉장실과 냉동실에 공급하여 식품을 보관하는 장치로 다양한 모델이 개발되어 있다. 근래에는 냉장 및 냉동 기능 이외에도 냉수 및 자동 제빙 기능을 부가하여 편의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킨 냉장고가 보급되고 있다. 한편, 사람들이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물의 제공을 위한 정수기, 냉온수기, 냉온정수기에도 냉장 및 자동 제빙 기능이 부가되어 보급되고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57107호와 제164363호의 냉장고에는 냉수 기능을 위하여 냉장고의 외부로부터 수돗물을 펌프에 의하여 양수하여 원수(原水)로 공급하며, 원수는 냉장실의 디스펜서(Dispenser)로 공급하여 냉장실의 냉기에 의하여 냉각하고 있다. 그리고 디스펜서의 냉수는 콕밸브(Cock valve)를 통하여 유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 기술들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냉장고의 구조상 저수통과 디스펜서가 소용량으로 구성되어 가정 등의 제한적인 장소에서 적은 인원이 사용하는데는 편리하나, 사무실, 휴게실 등의 공공장소에서 많은 인원이 공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특히, 수돗물의 공급이 여의치 않은 사무실, 휴게실 등의 공공장소에서는 사용하기 부적합한 단점을 수반하고 있다.
한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171171호의 냉장고에는 냉수와 온수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등록실용신안 제167097호와 제192820호의 냉온수기에는 냉장실을 구비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등록실용신안 제142635호의 냉온수기와 제199036호의 냉온정수기에는 제빙 기능을 구비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들은 흔히 생수통이라 부르고 있는 약 19리터의 물을 저수할 수 있는 대용량의 저수통을 이용하여 물을 공급하고 있는 바, 저수통은 냉온수기의 상부에 거꾸로 세워서 올려놓도록 구성되어 사용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 즉, 대용량 저수통은 직경 275mm, 높이 490mm 정도로 상당히 크고 무겁기 때문에 일부 노약자나 여성은 저수통 자체를 들어올릴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남성의 경우에 있어서도 저수통의 병목을 냉온수기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거꾸로 세워서 맞추는데 힘이 많이 들고, 저수통을 거꾸로 세우는 동작 중에 물을 쏟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저수통을 놓쳐 떨어뜨리는 경우도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수통을 수원으로 이용하면서도 냉장, 정수, 냉수, 온수 및 자동 제빙 기능에 의하여 편의성과 기능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다기능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의 하측에 구성되어 있는 수납실로부터 저수통을 거꾸로 세워 놓을 수 있는 수원조를 인출하여 저수통을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는 다기능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수통의 교환작업 중에 저수통의 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마개를 펀치에 의하여 천공하는 구조에 의하여 물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다기능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상측의 냉장실과 저수통을 수납할 수 있는 하측의 수납실이 횡격벽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는 본체와; 본체의 수납실에 저수통을 거꾸로 세워 놓을 수 있도록 설치되며, 저수통으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저수하는 수원조와; 수원조의 물을 양수하는 펌프와; 본체에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얼음으로 제빙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빙기와; 본체에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냉수로 냉각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냉수기와; 본체에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온수로 가열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온수기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냉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압축기, 응축기, 제1 팽창밸브, 제1 증발기와, 제빙기와 연계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제2 팽창밸브, 제2 증발기와, 냉수기와 연계되어 냉수를 생성하는 제3 팽창밸브, 제3 증발기를 가지며, 압축기, 응축기, 제1 내지 제3 팽창밸브, 제1 내지 제3 증발기는 냉각사이클을 이루도록 냉매라인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냉동기를 포함하는 다기능 냉장고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실로부터 수원조를 인출한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저수통과 수원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수원조와 인출장치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기, 냉수기, 온수기와 냉동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계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저수통 5: 마개
10: 본체 11: 횡격벽
12: 냉장실 13: 수납실
20: 컨트롤패널 23: 컨트롤러
30: 수원조 31: 저수실
40: 펀치 50: 인출장치
51: 가이드레일 52: 트레이
53: 슬라이드레일 55: 슬라이딩베어링
56: 로커 57: 후크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냉장고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기능 냉장고에 있어서 수원(水源)으로는 통상적으로 19리터 정도의 대용량 저수통(1)이 사용된다. 저수통(1)의 몸통(2)과 병목(3)은 요크부(Yoke portion: 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병목(3)의 입구(3a)는 사용자가 잡아당겨 찢어낼 수 있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제작되어 유연성을 갖는 마개(5)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기능 냉장고는 외관을 구성하는 상자 형상의 본체(10)를 구비하며, 본체(10)는 내부의 대략 중간에 형성되어 있는 횡격벽(11)에 의하여 상측의 냉장실(12)과 저수통(1)을 수납할 수 있는 하측의 수납실 (13)로 구획되어 있다. 냉장실(12)은 냉장실도어(14)에 의하여 열고 닫을 수 있으며, 수납실(13)은 투명한 수납실도어(15)에 의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체(10)의 하면 전방에는 본체(10)의 높이를 조절하여 수평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쌍의 나사결합식 레그(Leg: 16)가 장착되어 있으며 하면 후방에는 본체(10)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쌍의 캐스터(Caster: 17)가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레그(16)와 캐스터(17)의 숫자 및 위치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에 컨트롤패널(20)이 구성되어 있으며, 컨트롤패널(20)의 전면에는 냉장고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21)들과 냉장고의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22)가 장착되어 있다. 표시장치(22)는 액정표시장치나 표시램프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패널(20)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수단으로 컨트롤러 (23)는 냉장고의 작동을 제어하며, 컨트롤러(23)는 마이크로컴퓨터(Microcomputer)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에는 컨트롤패널(20)이 냉장실도어(14)와 근접하는 위치에 구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컨트롤패널(20)의 위치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의 수납실(13)에는 저수통(1)을 거꾸로 세워서 놓을 수 있으며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실(31)을 갖는 사각 형상의 수원조(水源槽: 30)가 구비되어 있다. 저수실(31)은 수원조(20)의 후면에 장착되어 있는 콕밸브(Cork valve: 32)와 배출통로(33)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으며, 저수실(31)의 바닥은 저수실(31)의 물이 배출통로(33)에 모이도록 배출통로(33)를 향하여 경사져 있다. 따라서, 콕밸브(32)의 개방상태에서 저수실(31)의 물은 배출통로(33)를 통하여 완전히 배출시킬 수 있다.
수원조(30)의 상면에는 거꾸로 세워지는 저수통(1)을 지지할 수 있는 요크링 (Yoke ring: 34)이 장착되어 있다. 요크링(34)은 저수통(1)의 요크부(4)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방을 향하는 원호형 지지면(34a)과 그 중앙에 저수통(1)의 병목(3)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관통되어 있는 구멍(34b)을 갖는다. 저수통(1)의 입구(3a)를 통하여 유출되는 물은 요크링(34)의 구멍(34b)과 연통되어 있는 수원조 (30)의 저수실(31)에 저수된다. 수원조(30)의 양측면 전후방에는 수원조(30)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바퀴(35)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ㄷ"자형상의 홈(36)이 형성되어 있다. 수원조(30)의 홈(36)에는 손잡이(37)가 수용되어 있다. 손잡이(37)의 말단에는 수원조(30)의 홈(36)을 따라 운동함과 동시에 홈(36)의 전방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피봇(37a)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수원조(30)의 홈(36)에 수용되어 있는 손잡이(37)를 빼내 전방으로 잡아당기고, 손잡이(37)의 피봇(37a)이 홈(36)의 전방에 걸리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봇(37a)을 중심으로 손잡이(37)를 회전시켜 사용자가 편리하게 잡아 견인할 수 있도록 수원조 (30)의 전방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수원조(30)의 저수실(31)에는 저수실(31)에 저수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38)가 장착되어 있고, 수위센서(38)의 감지신호는 컨트롤러(23)에 입력된다. 컨트롤패널(20)의 컨트롤러(23)와 수원조(30)의 수위센서(38)는 케이블어셈블리(Cable assembly: 39)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어셈블리(39)의 잭(Jack: 39a)은 수위센서(38)와 접속되어 수원조(30)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있고, 잭(39a)에 접속되는 플러그(Plug: 39b)는 컨트롤러(23)에 접속되어 있는 케이블 (39c)에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원조(30)의 저수조(31)에는 요크링(34)의 구멍(34b)을 통하여 진입되는 저수통(1)의 마개(5)를 천공할 수 있는 중공관형 펀치(Punch: 40)가 설치되어 있다. 펀치(40)의 외면에는 보어(Bore: 41)와 연통되도록 다수의 구멍(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날카로운 칼날(43)이 형성되어 있다. 펀치(40)의 하단은 요크링(34)의 구멍(34b)의 하부에 결합되는 어댑터(Adapter: 44)의 보스(45)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어댑터(44)에는 저수조(31)와 요크링(34)의 구멍(34b)을 연통시키는 다수의 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펀치(40)는 요크링(34)의 구멍(34b)에 동축을 이루도록 저수조 (31)의 바닥에 수직하게 고정시켜 설치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기능 냉장고는 본체(10)의 수납실 (13)로부터 수원조(30)를 서랍식 구조에 의하여 인출할 수 있는 인출장치(50)를 구비한다. 인출장치(50)는 수납실(13)의 양측에 서로 평행하도록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한쌍의 가이드레일(51)과, 가이드레일(51)을 따라 운동하여 수납실(13)의 외측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수원조(30)를 탑재할 수 있는 트레이(Tray: 52)로 구성되어 있다. 트레이(52)는 가이드레일(51)에 신축시킬 수 있도록 끼워져 장착되며 수원조(30)의 바퀴(35)를 지지하는 한쌍의 슬라이드레일(53)과, 슬라이드레일(53)을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고정대(54)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레일 (51)과 슬라이드레일(53) 사이에는 슬라이드레일(53)의 운동을 보조하는 슬라이딩베어링(55)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인출장치(50)는 트레이(52)의 이동을 구속하는 로킹수단으로 가이드레일(51)의 후단에 장착되어 있는 로커(56)와, 이 로커(56)에 대응하는 관계로 로킹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레일(53)의 후단에 장착되어 있는 후크(57)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로커(56)는 수납실(13)의 후방 중앙에 장착하고, 후크(57)는 트레이(52)의 후방에 위치되는 고정대(54)의 중앙에 장착할 수도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기능 냉장고는 수원조(30)의 저수실 (31)로부터 물을 양수하는 펌프(60)를 구비한다. 펌프(60)의 흡입구(60a)는 제1 급수라인(61)에 의하여 수원조(30)의 콕밸브(32)에 연결되어 있다. 제1 급수라인(61)은 펌프(60)의 흡입구(60a)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유연성을 갖는 호스(61a)와, 호스(61a)의 타단을 콕밸브(32)에 착탈할 수 있도록 접속하는 호스커플러(Hose coupler: 61b)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호스커플러(61b)는 잘 알려진 원터치(One touch) 방식의 퀵커플러(Quick coupler)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펌프(60)의 배출구(60b)에는 제2 급수라인(62)이 연결되어 있으며, 제2 급수라인(62)에는 물을 정수할 수 있도록 정수기(63)를 구성하는 다수의 필터(Filter: 63a)가 직결되어 있다. 필터(63a)는 카본 필터, 중공사막 멤브레인필터, 역삼투압 필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2 급수라인(62)은 필터 (63a)를 지나 제1 급수관(62a), 제2 급수관(62b)과 제3 급수관(62c)으로 분기되어 있다. 제2 급수라인(62)의 제1 내지 제3 급수관(62a∼62c) 각각에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솔레노이드밸브(64a), 제2 솔레노이드밸브(64b)와 제3 솔레노이드밸브(64c)가 장착되어 있고, 제1 내지 제3 솔레노이드밸브(64a∼64c)의 작동은 컨트롤러(23)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2 급수라인(62)의 제1 급수관(62a)은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70)의 냉동실린더(71)에 연결된다. 제빙기(70)의 냉동실린더(71)에는 모터(72)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어 냉동실린더(71)에서 생성되는 얼음을 얼음저장조(73)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루(74)가 장착되어 있다. 이송스크루(74)의 상단에는 냉동실린더(71)로부터 송출되는 얼음을 소정 크기의 조각으로 분산시키는 교반날개(75)가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얼음저장조(73)의 상부는 뚜껑(76)에 의하여 밀폐되고, 뚜껑(76)의 하면에는 얼음저장조(73)에 저장되는 얼음의 양을 감지하여 컨트롤러(23)에 입력하는 센서(77)가 장착되어 있다. 얼음저장조(73)의 일측에 얼음을 배출할 수 있도록 얼음배출라인(78)이 연결되어 있으며, 얼음배출라인(78)에는 얼음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콕밸브(79)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 급수라인(62)의 제2 급수관(62b)은 냉수를 생성하는 냉수기(80)의 냉수급수조(81)에 연결되어 있으며, 냉수조(81)에는 수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23)에 입력하는 수위센서(82)가 장착되어 있다. 냉수조(81)의 하부에는 냉수를 배출하는 냉수배출라인(83)이 연결되어 있고, 냉수배출라인(83)에는 냉수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콕밸브(84)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냉수기(80)의 냉수조(81)에는 제빙기(70)의 얼음저장조(73)로부터 응축수를 배출하는 배수라인(85)이 연결되어 있다.
제2 급수라인(62)의 제3 급수관(62c)은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기(90)의 온수조(91)에 연결되어 있으며, 온수조(91)에는 수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23)에 입력하는 수위센서(92)가 장착되어 있다. 온수조(91)의 하부에는 온수를 배출하는 온수배출라인(93)이 연결되어 있고, 온수배출라인(93)에는 온수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콕밸브(94)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온수조(91)의 외측에는 온수조(91)에 열에너지를 가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히터(95)가 설치되어 있으며, 히터(95)는 온수조 (91)의 외면에 감겨지는 코일형 히터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빙기(70)의 콕밸브(79), 냉수기(80)의 콕밸브(84)와 온수기(90)의 콕밸브 (94) 각각은 횡격벽(11)의 전면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콕밸브(79,84, 94)들의 하방에는 콕밸브(79, 84, 95)들로부터 낙수되는 물을 저수하는 낙수저수조(96)가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도 5와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기능 냉장고는 냉장실(12)에 냉기를 공급하고 제빙기(70)와 냉수기(80) 각각에 연계되어 얼음과 냉수를 생성시키는 냉동기(100)를 구비한다. 냉동기(100)의 압축기(101), 응축기(102), 제1 팽창기 (103), 제2 팽창기(104), 제3 팽창기(105), 제1 증발기(106), 제2 증발기(107)와 제3 증발기(108)가 냉매라인(109)에 의하여 냉매를 순환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냉동사이클을 구성한다. 응축기(102)는 냉각팬(102a)의 구동에 의한 강제송풍방식에 의하여 냉각된다. 제2 증발기(107)는 제빙기(70)의 냉동실린더(71)에 감겨지는 코일형 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3 증발기(108)는 냉수기(80)의 냉수조(81)에 감겨지는 코일형 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냉매라인(109)은 압축기(101)와 응축기(102)를 연결하는 제1 냉매관(109a)과, 응축기(102)를 지나 분기되는 제2 내지 제4 냉매관(109b∼109d)과, 제1 내지 제3 증발기(106∼108)로부터의 냉매를 압축기(101)로 회수하는 제5 내지 제7 냉매관(109e∼109g)으로 구성되어 있다. 냉매라인(109)의 제2 냉매관(109b)은 응축기 (102), 제1 팽창밸브(103)와 제1 증발기(106)를 연결하며, 제5 냉매관(109e)은 압축기(101)와 제1 증발기(106)를 연결하고 있다. 냉매라인(109)의 제3 냉매관(109c)은 응축기(102), 제2 팽창밸브(104)와 제2 증발기(107)를 연결하며, 제6 냉매관 (109f)은 압축기(101)와 제2 증발기(107)를 연결하고 있다. 냉매라인(109)의 제4 냉매관(109d)은 응축기(102), 제3 팽창밸브(105)와 제3 증발기(108)를 연결하며,제7 냉매관(109g)은 압축기(101)와 제3 증발기(108)를 연결하고 있다.
한편, 제1 증발기(106)의 주위에 생성되는 냉기는 송풍기(110)의 구동에 의하여 덕트(111)를 통하여 냉장실(12)로 공급된다. 냉매라인(109)의 제2 및 제3 냉매관(109b, 109c)에는 제1 및 제2 팽창밸브(103, 104)의 상류에 위치되어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4 솔레노이드밸브(112)와 제5 솔레노이드밸브(113)가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제4 및 제5 솔레노이드밸브(112, 113)의 작동은 컨트롤러(23)에 의하여 제어된다. 냉매라인(109)의 제4 냉매관(109d)에는 제3 팽창밸브(105)의 상류에 위치되어 냉수기(80)의 냉수조(81)에서 성애 및 결빙의 발생으로 인하여 냉수가 얼지 않도록 제3 증발기(108)의 냉매압력을 제어하는 증발기압력조절기(114)가 장착되어 있고, 증발기압력조절기(114)의 작동은 컨트롤러(23)에 의하여 제어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23)는 수원조(30)의 수위센서 (38), 제빙기(70)의 센서(77), 냉수기(80)의 수위센서(81)와 온수조(90)의 수위센서(9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펌프(60)의 구동을 제어한다. 컨트롤러(23)는 수원조(30)의 수위센서(3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처리하여 수원조(30)의 수위가 설정 수위보다 내려가면 저수통(1)의 교환시기를 표시장치(22)에 표시한다. 그리고 컨트롤러(23)는 압축기(101), 냉각팬(102a)과 송풍팬(110)의 작동을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한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냉장고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본체(10)의 수납실(13)로부터 수원조(30)를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수납실도어(15)를 열고, 수원조(30)의 홈(36)에 수용되어 있는 손잡이(37)를 빼내 전방으로 잡아당긴다. 계속해서, 손잡이(37)의 피봇(37a)이 홈(36)의 전방에 걸리면 피봇(37a)을 중심으로 손잡이(37)를 회전시켜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수원조(30)는 수납실(13)로부터 인출되기 시작한다. 수원조 (30)의 바퀴(53)에 스토퍼(53a)가 걸려 있는 트레이(52)의 슬라이드레일(53)은 수원조(30)의 인출과 병행하여 가이드레일(51)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운동되면서 인출된다. 이때, 후크(57)는 로커(56)로부터 분리되어 슬라이딩레일(53)의 슬라이딩운동을 허용하고, 슬라이딩베어링(55)은 슬라이드레일(53)의 슬라이딩운동을 원활하게 보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출장치(50)의 가이드레일(51)로부터 트레이 (52)의 슬라이드레일(53)이 빠져 나오는 것에 의하여 본체(10)의 수납실(12)로부터 수원조(30)를 완전히 인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체(10)의 수납실(12)로부터 수원조(30)를 인출한 후, 마개(5)가 막혀 있는 저수통(1)을 거꾸로 세워서 병목(3)을 요크링(34)의 구멍(34b)에 끼운다. 요크링(34)의 구멍(34b)에 진입되던 저수통(1)의 마개(5)는 펀치(40)의 칼날(43)에 의하여 천공되고, 거꾸로 세워진 저수통(1)의 요크부(4)는 요크링(34)의 지지면(34a)에 지지되면서 수직하게 세워진다. 이와 같이 저수통(1)의 입구(3a)를 마개(5)에 의하여 막은 상태에서 저수통(1)을 요크링 (34)의 구멍(34b)에 끼워 펀치(40)의 칼날(43)에 의하여 마개(5)를 천공하여 물을 유출시킴으로써, 저수통(1)을 거꾸로 세우는 동작 중에 물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수원조(30)의 요크링(34)은 실내의 바닥에 근접하는 낮은 높이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 저수통(1)을 들어 수원조(30)의 요크링(34)에 간편하게 거꾸로 세워 놓을 수 있다. 저수통(1)의 물은 마개(5)를 뚫고 진입되어 있는 펀치(40)의 보어(41), 구멍(42)과 어댑터(44)의 보스(45), 구멍(46)을 통하여 수원조(30)의 저수실(31)에 저수된다.
도 1,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수원조(30)의 요크링(34)에 저수통(1)을 거꾸로 세운 후, 앞에서 설명한 인출동작과 반대로 수원조(30)를 본체(10)의 수납실 (13)에 밀어 넣으면, 인출장치(50)의 가이드레일(51)에 트레이(52)의 슬라이드레일 (53)이 끼워지면서 도 2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의 수납실(13)로 수원조(30)의 수납을 허용한다.
도 2,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수원조(30)의 콕밸브(32)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컨트롤패널(20)의 조작에 의하여 냉장고를 운전한다. 펌프(60)의 구동에 의하여 수원조(30)의 저수실(31)에 저수되어 있는 물을 양수시키면, 저수실(31)의 물은 제1 급수라인(61)을 통하여 정수기(63)의 필터(63)로 보내진다. 정수기(63)의 필터 (63)에 의하여 여과된 물, 즉 정수는 제2 급수라인(62)의 제1 내지 제3 급수관(62a∼62c)과 제1 내지 제3 솔레노이드밸브(64a∼64c)를 통하여 제빙기(70)의 냉동실린더(71), 냉수기(80)의 냉수조(81)와 온수기(90)의 온수조(91) 각각에 급수된다.
다음으로, 냉동기(100)의 냉동사이클을 살펴보면, 압축기(101)의 압축에 의하여 생성되는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는 냉매라인(109)의 제1 냉매관(109a)을 통하여 응축기(102)로 보내지고,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는 응축기(102)를 거치면서 냉각팬 (102a)의 냉각에 의하여 상온고압의 액체냉매된다. 상온고압의 액체냉매는 냉매라인(109)의 제2 냉매관(109b), 제1 팽창밸브(103)를 경유하면서 증발하기 쉬운 기액혼합상태의 저압으로 감압되어 제1 증발기(106)로 보내지며, 기액혼합상태의 냉매는 제1 증발기(106)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냉기를 생성한다. 제1 증발기(106)의 주위에 생성되는 냉기는 송풍기(110)의 작동에 의하여 덕트(111)를 통하여 냉장실 (12)로 공급된다. 제1 증발기(106)를 지난 냉매는 냉매라인(109)의 제5 냉매관 (109e)을 통하여 압축기(101)로 되돌아간다.
또한, 냉동기(100)의 압축기(101)와 응축기(102)에 의하여 생성되는 상온고압의 기체냉매는 냉매라인(109)의 제3 냉매관(109c), 제2 팽창밸브(103)와 제2 증발기(107)로 보내져 기화된 후, 냉매라인(109)의 제6 냉매관(109f)을 통하여 압축기(101)로 되돌아간다. 제빙기(70)의 냉동실린더(71)에 공급되는 물은 제2 증발기 (107)에서 기화되는 냉매의 잠열에 의한 냉각작용으로 얼려져 얼음으로 된다. 즉, 제2 증발기(107)에서의 기화에 의하여 냉동실린더(71)의 온도가 대략 -15 내지 -20℃로 유지되면서 얼음을 생성시킨다. 모터(72)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루 (74)는 냉동실린더(72)의 얼음을 얼음저장조(73)로 송출시키며, 얼음저장조(73)로 송출되는 얼음은 교반날개(75)에 의해 소정 크기의 조각으로 분산된다. 센서(77)는 얼음저장조(73)에 저장되는 얼음의 양을 감지하여 컨트롤러(23)에 입력하고, 컨트롤러(23)는 센서(77)로부터 입력되는 얼음의 양이 설정되어 있는 저장량에 도달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1 솔레노이드밸브(64a)를 폐쇄시킨다. 그리고 얼음저장조(73)의 얼음은 얼음배출라인(78)의 콕밸브(79)를 열어 배출시킨다.
한편, 냉동기(100)의 압축기(101)와 응축기(102)에 의하여 생성되는 상온고압의 기체냉매는 냉매라인(109)의 제4 냉매관(109d), 제3 팽창밸브(104)와 제3 증발기(108)로 보내져 기화된 후, 냉매라인(109)의 제7 냉매관(109g)을 통하여 압축기(101)로 되돌아간다. 냉수기(80)의 냉수조(81)에 공급되어 있는 물은 제3 증발기 (108)에서 기화되는 냉매의 잠열에 의한 냉각작용으로 냉수로 된다. 이때, 증발기압력조절기(114)는 냉수조(81)의 물이 얼지 않도록 냉매압력을 제어하여 냉수조 (81)의 온도를 대략 0 내지 -5℃로 유지시킨다. 이 결과, 냉수기(80)의 냉수조(81)에서는 성애 및 결빙의 발생 없이 냉수가 생성된다. 수위센서(82)는 냉수조(81)의 수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23)에 입력하고, 컨트롤러(23)는 수위센서(82)로부터 입력되는 냉수조(81)의 수위가 설정되어 있는 수위에 도달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2 솔레노이드밸브(64b)를 폐쇄시킨다. 그리고 냉수조(81)의 냉수는 냉수배출라인 (83)의 콕밸브(84)를 열어 배출시킨다.
온수기(90)의 온수조(91)에 저수되어 있는 물은 온수조(91)를 가열하는 히터 (95)에 의하여 온수로 되며, 온수조(91)의 온수는 온수배출라인(93)의 콕밸브(94)를 열어 배출시킨다. 수위센서(92)는 온수조(91)의 수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23)에 입력하고, 컨트롤러(23)는 수위센서(92)로부터 입력되는 온수조(91)의 수위가 설정되어 있는 수위에 도달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3 솔레노이드밸브(64c)를 폐쇄시킨다.
도 2와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수원조(30)의 소독작업 등을 위하여 수원조 (30)를 본체(10)의 수납실(13)로부터 인출하여 다른 장소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동작으로 인출장치(50)의 가이드레일(51)로부터 트레이(52)의 슬라이드레일(53)을 빼내서 본체(10)의 수납실(13)로부터 수원조 (30)를 인출한다. 그리고 슬라이드레일(53)의 스토퍼(53a)에 걸려 있는 수원조(30)의 바퀴(35)를 스토퍼(53a) 위로 들어올리면서 슬라이드레일(53)로부터 바퀴(35)를 완전히 빼내 분리할 수 있다. 수원조(30)의 콕밸브(32)를 폐쇄하고, 콕밸브(32)와 제1 급수라인(61)의 호스커플러(61b)를 분리한다. 케이블어셈블리(39)의 잭(39a)으로부터 플러그(39b)를 분리하면 수원조(30)는 바퀴(35)에 의하여 다른 장소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냉장고에 의하면, 저수통을 수원으로 이용하면서도 냉장, 정수, 냉수, 온수 및 자동 제빙 기능에 의하여 편의성과 기능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의 하측에 구성되어 있는 수납실로부터 저수통을 거꾸로 세워 놓을 수 있는 수원조를 인출하여 저수통을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으며, 저수통의 교환작업 중에 저수통의 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마개를 펀치에 의하여 천공하는 구조에 의하여 물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이고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상측의 냉장실과 저수통을 수납할 수 있는 하측의 수납실이 횡격벽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납실에 상기 저수통을 거꾸로 세워 놓을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저수통으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저수하는 수원조와;
    상기 수원조의 물을 양수하는 펌프와;
    상기 본체에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얼음으로 제빙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빙기와;
    상기 본체에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냉수로 냉각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냉수기와;
    상기 본체에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온수로 가열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온수기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냉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압축기, 응축기, 제1 팽창밸브, 제1 증발기와, 상기 제빙기와 연계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제2 팽창밸브, 제2 증발기와, 상기 냉수기와 연계되어 냉수를 생성하는 제3 팽창밸브, 제3 증발기를 가지며, 상기 압축기, 응축기, 제1 내지 제3 팽창밸브, 제1 내지 제3 증발기는 냉각사이클을 이루도록 냉매라인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냉동기를 포함하는 다기능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수납실로부터 상기 수원조를 인출할 수 있는 인출수단을 더 구비하는 다기능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수단은,
    상기 본체의 수납실에 서로 평행하도록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수원조를 탑재하여 운반하는 것으로 상기 한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신축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는 한쌍의 슬라이드레일과, 상기 한쌍의 슬라이드레일을 연결하는 복수의 고정대를 갖는 트레이로 구성되는 다기능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이동을 구속하는 로킹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후단에 장착되어 있는 로커와, 상기 로커에 대응하는 관계로 로킹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레일의 후단에 장착되어 있는 후크로 구성되는 다기능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원조에는 상기 저수통의 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마개를 천공하여 상기 저수통으로부터 물을 유출할 수 있는 펀치가 더 장착되는 다기능 냉장고.
  6.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원조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바퀴와 견인이 가능하도록 손잡이가 더 구비되는 다기능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 냉수기와 온수기의 상류에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다수의 필터를 갖는 정수기가 설치되는 다기능 냉장고.
KR1020030044565A 2003-07-02 2003-07-02 다기능 냉장고 KR200500043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565A KR20050004398A (ko) 2003-07-02 2003-07-02 다기능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565A KR20050004398A (ko) 2003-07-02 2003-07-02 다기능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398A true KR20050004398A (ko) 2005-01-12

Family

ID=37219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565A KR20050004398A (ko) 2003-07-02 2003-07-02 다기능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439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981B1 (ko) * 2005-05-19 2007-11-15 정달도 제빙장치를 내장한 냉온수기
KR100853445B1 (ko) * 2007-04-10 2008-08-21 정휘동 제빙기능을 구비한 냉온수기
WO2009044971A1 (en) * 2007-10-01 200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interface compatibility based on component model
EP4343242A1 (en) * 2022-09-22 2024-03-27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a water storage tank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981B1 (ko) * 2005-05-19 2007-11-15 정달도 제빙장치를 내장한 냉온수기
KR100853445B1 (ko) * 2007-04-10 2008-08-21 정휘동 제빙기능을 구비한 냉온수기
WO2009044971A1 (en) * 2007-10-01 200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interface compatibility based on component model
EP4343242A1 (en) * 2022-09-22 2024-03-27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a water storage tan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6453A (en) Filtered water dispensing cabinet
US5573142A (en) Bottled water dispensing cabinet
KR100674573B1 (ko) 냉장고
US6060092A (en) Cooling and CO2 -enrichment of drinking water
KR100853445B1 (ko) 제빙기능을 구비한 냉온수기
CN206989352U (zh) 改进的空调单元
KR20160106555A (ko) 심미적으로 세련된 다용도 통 디스펜서
US20220221212A1 (en) Free-standing ice or beverage dispensing appliance
EP1912032B1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a water dispenser
US8495893B2 (en) Hybrid apparatus for cooling water and air and heating water
US11326825B2 (en) Stand-alone ice and beverage appliance
KR20050004398A (ko) 다기능 냉장고
JP2001153523A (ja) 飲料用温水器及び飲料用冷水器及び飲料用温水・冷水器
JP2020532465A (ja) 飲料分注システム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70044247A (ko) 냉장고
CN104757879A (zh) 供水设备
CN217031643U (zh) 一种咖啡机用的制冰和制冷水两用装置及咖啡机
KR102101729B1 (ko) 냉장고
CN204520338U (zh) 供水设备
KR100555216B1 (ko) 생맥주 판매 장치
CN208905556U (zh) 嵌入式净饮机
WO2002074414A1 (en) Wet towel manufacturing machine with purified water dispensing function
CN208905547U (zh) 嵌入式净饮机
KR20100123100A (ko) 소형 자동판매기용 급수장치
KR200172423Y1 (ko) 냉온정수기 겸용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