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3928A - 주차장 고휘도 영상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장 고휘도 영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3928A
KR20050003928A KR1020030045467A KR20030045467A KR20050003928A KR 20050003928 A KR20050003928 A KR 20050003928A KR 1020030045467 A KR1020030045467 A KR 1020030045467A KR 20030045467 A KR20030045467 A KR 20030045467A KR 20050003928 A KR20050003928 A KR 20050003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high reflection
projector
vehicl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용
Original Assignee
최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해용 filed Critical 최해용
Priority to KR1020030045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3928A/ko
Publication of KR20050003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92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장 영상 감상장치에 있어서, 특히 낮에도 선명한 영상을 감상 할 수 있게끔 그 표면의 반사율을 4∼40%의 반사율로 구성하되, 스크린의 영상이 핫스팟현상 없이 화면 전체가 균일한 고반사 화면을 시현하게끔 스크린의 형태를 곡률이 있는 곡면 또는 구면형으로 하고 동 구면형태와 반사면이 형성하는 초점위치에 프로젝터를 위치하게 구성하므로서, 고반사 스크린으로 입사한 프로젝터의 빛은 직진 반사하게 하여, 각 자동차 앞의 스크린 영상만 시청 가능하게 하므로서, 자동차 단위로 영상 시청이 가능함은 물론, 4∼40배의 고휘도 영상으로 낮에도 시청이 가능한 것이 특징인 주차장 고휘도 영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차장 고휘도 영상시스템{High Gain Visual System For Packing Lot}
본 발명은 고반사 스크린을 이용하여 주차장에서 종래보다 4배 이상 40배까지 밝은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주차장 고휘도 영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주차장 극장은 일반적 스크린을 사용하였고, 또한 암실 설치에 한계가 있어서 밤에만 사용이 가능하여 이용시간에 불편함이 많았고, 낮에는 밝기와 선명도가 떨어져 낮 시간에 중계되는 스포츠중계 등은 사실상 시청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승용차 단위로 승차한 상태에서 영화를 감상하고자 할 시는, 도1과 같이 자동차(1)의 관객(2)은 옆 자동차(1A)의 스크린의 영상을 볼 수 없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자동차(1)의 앞좌석은 물론 뒷좌석 관객도 동일한 밝기의 스크린 영상 시청이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1) 단위로 각개의 영상을 선택하여 시청하는 만큼 옆 자동차에서는 자체의 앞에 설치한 스크린 영상 외에는 시청이 곤란하여야 하고,
무엇보다도 낮에 영상시청이 가능한 정도의 선명한 밝기가 시현되어야 하며,
뒷좌석까지도 동일한 밝기의 선명한 영상 관측이 가능한 기술적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크린은 스크린 좌우길이 이내에서 직진 반사하는 구조의 반사 스크린을 구성하여 옆 차량에서 시청이 불가능하게 하고,
스크린을 구면 또는 곡면형으로 하되, 동 구면이 이루는 초점위치에 프로젝터를 위치하게 하여 초점위치에서 입사하는 프로젝터 빛은 직진 반사하게 하므로서,
스크린 표면의 반사율이 높다하더라도 핫스팟현상이 없는 균일한 영상 시현이 가능하게 하고,
스크린의 위치는 자동차(1)내의 관객의 눈높이와 같은 반사축을 갖게 하므로서, 자동차(1) 뒷좌석의 관객까지 동일한 밝기의 선명한 영상감상이 가능하게 할 목적으로 이를 하기 구성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설치한 평면 구조 설명도
도2는 본 발명을 설치한 측면 구조 설명도
도3은 고반사 스크린의 구조 설명도
도면의 부호에 대한 명치의 간략한 설명
1. 자동차 2. 관객 3. 프로젝터 4. 고반사 스크린 5. 지지대
5A. 각도조정장치 F: 초점위치 D1: 투사거리 D2: 스크린 가로길이
D3: 자동차가로길이 R: 스크린의 곡률 S: 표면 반사율
H: 스크린의 높이
도1 및 도2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각 자동차(1) 전면에 높은 반사율을 갖는 고반사 스크린(4)을 구성하되, 지지대(5) 내부에 각 고반사 스크린(4)의 반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각도 조정장치(5A)가 부착한지지대(5)에 양방 또는 일방에 고반사 스크린(4)을 구성한다.
고반사 스크린(4)의 스크린가로길이(D2)는 자동차의 가로길이(D3)에 대비 100%에서 120%이내 길이가 적합하다.
이러한 이유는 고반사 스크린(4)의 스크린가로길이(D2)가 자동차 가로길이(D3)보다 작을 경우는 화면 시야각이 불편하고, 자동차 가로길이(D3) 대비 120%이상 클 시는 좌,우 다른 자동차 주차범위에 지장이 있기 때문이다.
실예를 들면, 자동차 가로길이(D3)가 1.4m라면 고반사 스크린(4)의 스크린가로길이(D2)는 1.4∼1.68m가 적합하다.
이러한 고반사 스크린(4)의 높이(H)는 자동차(1) 좌석내의 관객(2)의 눈높이와 고반사 스크린(4)의 중심이 이루는 높이(H1)와 같게 하는 것이 좋다.
즉 이러한 구조는, 고반사 스크린(4)의 반사 중심축이 자동차 내부 관객(2)과 뒷좌석 관객(2)까지 동일한 선명 영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음은 고반사 스크린(4)의 구성이 매우 중요한 바, 도3과 같이 프로젝터(3)의 투사거리(D1)의 2배의 길이를 곡률 반경으로 하여 스크린의 곡률(R)로 한다.
즉 역으로 설명하면, 곡면 또는 구면 곡률에 의한 스크린의 곡률(R)의 1/2 되는 지점이 고반사 스크린(4)의 초점위치(F)가 되므로 초점위치(F)와 프로젝터(3)의 투사거리(D1)를 같게 하는 것이다.
좀더 설명하면, 스크린가로길이(D2)가 1.5m의 화면을 시현하기 위한 프로젝터(3)의 투사거리(D1)가 3m라고 하면 스크린의 곡면 또는 구면 곡률에 의한 스크린의 곡률(R)은 6m(=6000R)로 구성하는 것이다.
다음은 고반사 스크린(4)의 표면 반사율(S)이다.
표면 반사율(S)은 반사율 4%∼40%로 한다.
일반 스크린의 표면반사율은 1%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4%의 표면반사율(S)은 일반 스크린의 4배, 40%의 반사율은 40배의 밝기를 시현한다.
그런데 주차장의 밝기는 차이는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사방이 막힌 실내의 낮 기준 밝기 기준인 500럭스의 약 5배에서 20배인 2,500럭스에서 10,000럭스까지 밝기가 올라간다.
예컨데, 2,000안시루멘의 프로젝터(3) 영상은 40인치 기준이므로 본 발명에서 주로 사용될 약 80인치 스크린에서는 그 면적이 4배로 확대한 만큼 밝기는 1/4초 떨어져 500안시(럭스) 수준으로 떨어지며, 따라서 스크린의 밝기인 반사율이 4배 이상 40배가 되어야 2,000안시 프로젝터(3)에서 2,000∼20,000럭스의 밝기가 가능한 것이다.
물론 밝기인 표면반사율(S) 4%이하는 옥외에서 시청할 시는 선명도가 떨어지고 40배 이상 초과할 시는 해상도의 저하와 민감한 반사율에 의하여 시야각이 좁아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스크린의 표면반사율(S)이 낮은 4%∼10%미만일 시는 상기와 같은 논리로 곡면 스크린이 제조경비상 유리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반사 스크린(4)의 곡면 또는 곡률 구면인 스크린의 곡률(R)이 갖는 초점 위치(F)에 위치한 프로젝터(3)의 영상은 고반사 스크린(4)에서 직진 반사한다.
자동차(1)의 위치는 고반사 스크린(4)의 직진 반사범위인 스크린가로길이(D2) 이내이므로, 스크린가로길이(D2)이내를 벗어난 다른 자동차(1)에서는 자기 앞면의 고반사 스크린(4)외의 다른 스크린의 영상은 사실상 시청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각 자동차(1)의 관객은 자신의 앞면의 스크린 영상만 시청할 수 있으므로, 각 자동차(1)마다 각기 다른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고반사 스크린(4)의 표면 반사율(S)은 4%∼40%로 종래 일반 스크린 밝기 1%대비 4∼40배의 밝기를 시현하므로 밝은 장소에서도 선명 영상 시청이 가능하므로 낮에도 영화감상이 가능함은 물론, 시간적 제한이 있는 스포츠 중계 감상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고반사 스크린(4)과 자동차(1) 내부의 관객(2)의 눈 높이가 같은 높이로 고반사 스크린(4)의 반사축이 각도 조정장치(5A)에 의해 반사각을 조정,천장에서 투사된 프로젝터(3)의 빛을 직진 반사하게 하므로, 자동차(1) 내부 전,후면 관객이 모두 동일한 영상시청이 가능한 것이다.
고반사 스크린(4)의 곡면 또는 구면곡률에 의한 스크린의 곡률(R)의 초점위치(F)와 프로젝터(3)의 투사거리를 동일하게 위치한 본 발명은 4∼40%의 높은 반사율의 영상도 핫스팟현상 없이 화면 전면이 균일하게 시현하므로, 높은 반사면에서도 선명한 영상 시청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 대비 4∼40배의 높은 고반사 스크린(4)에 의해 밝은 장소에서 선명한 영상 시현이 가능하고,
초점위치(F)에서 투사한 프로젝터(3)의 빛은 고반사 스크린(4)의 스크린가로길이(D2) 이내에서 직진 반사하게 하므로, 자신의 앞 스크린의 영상만 시청가능하고, 옆 스크린의 영상은 볼 수 없게 하므로서, 각 자동차(1) 별로 영상 선택이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각도조정장치(5A)에 의한 반사각 조정에 따라 고반사 스크린(4)의 반사축을 조정하므로서 자동차(1) 내부의 전,후 좌석에서 모두 선명영상시청이 가능하므로,
낮과 밤 모두 선명한 영상을 자동차(1) 별로 감상 할 수 있으므로 영화뿐만 아니라, 스포츠 중계방송 시청은 물론, 인터넷, 전자게임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주차장 극장 장치 구조에 있어서, 주차한 자동차(1) 전면에 프로젝터(3)와 스크린을 구성함에 있어서, 스크린은 스크린표면 반사율(S) 4∼40%의 고반사 스크린(4)으로 구성하되, 상기 고반사 스크린(4)은 구면 곡률이 있는 구면형 스크린으로 구성하고, 동구면 고반사 스크린(4)의 스크린의 곡률(R)이 갖는 초점위치(F)에 프로젝터(3)를 구성하므로서, 프로젝터(3)은 영상은 고반사 스크린(4)에서 직진 반사하게 하여, 자동차(1) 별로 별개의 영화 감상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낮에도 선명한 영상 감상이 가능하게 한 것이 특징인 주차장 고휘도 영상 시스템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제1항의 고반사 스크린(4)을 지지대(5)에 의해 구성한 것이 특징인 주차장 고휘도 영상 시스템
  3.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항의 고반사 스크린(4)을 곡면 형태로 구성한 것이 특징인 주차장 고휘도 영상 시스템
KR1020030045467A 2003-07-04 2003-07-04 주차장 고휘도 영상시스템 KR20050003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467A KR20050003928A (ko) 2003-07-04 2003-07-04 주차장 고휘도 영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467A KR20050003928A (ko) 2003-07-04 2003-07-04 주차장 고휘도 영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928A true KR20050003928A (ko) 2005-01-12

Family

ID=37218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467A KR20050003928A (ko) 2003-07-04 2003-07-04 주차장 고휘도 영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392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2961A1 (en) * 2006-05-12 2007-11-22 Dae-Hoon Lee Digital indoor drive-in image system
KR100833964B1 (ko) * 2006-06-27 2008-06-03 윤구현 자동차 복합상영관 및 자동차 복합상영관 시스템
KR101410620B1 (ko) * 2005-04-15 2014-06-20 최해용 출입구용 스크린 영상광고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620B1 (ko) * 2005-04-15 2014-06-20 최해용 출입구용 스크린 영상광고 장치
WO2007132961A1 (en) * 2006-05-12 2007-11-22 Dae-Hoon Lee Digital indoor drive-in image system
KR100833964B1 (ko) * 2006-06-27 2008-06-03 윤구현 자동차 복합상영관 및 자동차 복합상영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9351B1 (en) Spherical image projection system using a convex reflecting image dispersing element
US7158298B2 (en) Rear projection screen and diffusing sheet
US20020008461A1 (en) Display screen
US20070115547A1 (en) High contrast projection system
JP2002082387A (ja) 投射表示装置
JP4645123B2 (ja) 反射型スクリーン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H0519346A (ja) 投写型画像表示装置
JPH04204591A (ja) 投射型液晶表示装置
JPS59205878A (ja) 背面投射式テレビジョン表示装置
KR100440498B1 (ko) 광시야 고휘도 영상 시스템(廣視野 高輝度 映像係)
KR20050003928A (ko) 주차장 고휘도 영상시스템
Dewald et al. Advances in contrast enhancement for DLP projection displays
US7061676B2 (en) Rear projection screen and rear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US5264941A (en) Large screen display apparatus utilizing a transparent plate to display an image over an entire surface of a diffusing surface
JP3163648B2 (ja) 投射型表示装置
US5179399A (en) Theatre in the round proj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2973594B2 (ja) 投写型画像表示装置
KR200273340Y1 (ko) 반사스크린 영상박스의 구조
JP3180498B2 (ja) 液晶リアプロジェクタ装置
CN211454219U (zh) 抗光背投式硬幕
JPH0643417A (ja) 液晶プロジェクタ
CN101109894A (zh) 台式大尺寸成像设备
JP2005275287A (ja) 映像表示システム
KR200190584Y1 (ko) 반사형 스크린 시스템
JP2542103B2 (ja)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