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2923A -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네비게이팅하는 방법 및 그러한방법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네비게이팅하는 방법 및 그러한방법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2923A
KR20050002923A KR10-2004-7015723A KR20047015723A KR20050002923A KR 20050002923 A KR20050002923 A KR 20050002923A KR 20047015723 A KR20047015723 A KR 20047015723A KR 20050002923 A KR20050002923 A KR 20050002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movable physical
physical member
electronic device
use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5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0089B1 (ko
Inventor
닐슨레이프
베르그토마스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03/002302 external-priority patent/WO2003083634A1/en
Publication of KR20050002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0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전자 장치의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네비게이팅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의 사용자 표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적용함으로써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가 제어되고, 한 방향으로의 네비게이션은 설정 시간 제한내에 사용자 표면으로부터 손가락을 떼어냄으로써 및 사용자 표면에서 손가락을 재적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는 손가락이 사용자 표면에 적용되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감지 수단은 손가락이 사용자 표면으로부터 떼어질 때 카운팅을 시작하고 손가락이 사용자 표면에 재적용될 때 카운팅을 중단하도록 배치되는 타이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네비게이팅하는 방법 및 그러한 방법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A METHOD OF NAVIGATING IN A VIRTUAL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AND AN ELECTRONIC DEVICE EMPLOYING SUCH METHO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가상 3 차원 환경"이란 용어는 예를 들어, 컴퓨터, 이동 전화, PDA(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등과 같은 전자 장치에서 통상적으로 잘 알려진 계층적으로 조직화된 메뉴 시스템(hierarchically structured menu system)으로써 이해되어야 한다.
전자 장치의 그러한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네비게이팅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들 방법은 누룰 수 있는 키, 조이스틱, 디스플레이 상에 포함된 소프트-키(soft-key)의 사용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이동 전화에서, 네비게이션은 "YES"와 "NO" 키 사용 및 두 키(상/하 또는 좌/우)를 포함하는 일종의 스크롤 키를 사용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최소한 세개 또는 가능한 네개의 키는 가상 3 차원 환경의 계층에서 양 옆과 위와 아래를 네비게이트하는데 필요하다. 이것은 네이게이팅하기 위해 이용되는 손가락이 이런 여러 가지 키 사이를 이동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네비게이팅하기 위해 조이스틱 같은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를 이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조이스틱은 동일 평면에서 네 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눌려질 수 있다. 동일 평면에서 네 개의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조이스틱을 이동시킴으로써, 가상 3 차원 환경의 메뉴 시스템을 통해 네비게이트가 가능해지고, 조이스틱을 누름으로써 실제 명령이 전자 장치에 입력된다. WO 01/28199는 네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 될 수 있고, 눌려질 수 있는 조이스틱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조이스틱이 오랜 시간 눌려진다면 제1의 기능을 달성하고 조이스틱이 단지 짧은 시간 눌려지면 또 다른 기능을 달성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유사한 누름 시간 의존 기능(depressing-time dependent function)은 US-A-5 923 327에서 개시되는데, 눌려지기 위한 키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통합되고 사용자는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네비게이팅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화면을 터치한다.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네비게이팅 할 때 서로 여섯개의 직각의 방향으로 네비게이트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것은 다수의 하드 키(hard key) 및/또는 소프트 키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데, 키가 눌려질 때각각의 키는 한개의 방향 또는 두개의 방향으로 이동을 나타내고, 또는 조이스틱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데, 조이스틱은 다수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네비게이팅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공지된 전자 장치의 단점은 명령의 계층에서 상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가능하다면 사전 설정된 시간의 기간 동안 특수키 또는 조이스틱을 눌러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상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키 또는 조이스틱을 누르는 것은 사용자의 손가락의 이동이 정확히 반대 방향 즉, 하향으로 눌려져야 하기 때문에 비논리적이다. 이 문제는 여섯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JP-8050532에 개시된 조이스틱에 의해서 해결된다. 이런 조이스틱의 사용으로, 단지 조이스틱을 상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향으로 네비게이트가 가능해졌다.
그러나, 이 해결법은 네비게이션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의한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가 이동 전화와 같은 전자 장치인 경우처럼 소형이라면 비실용적이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네비게이팅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movable physical member)는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네비게이팅하기 위해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적용함으로써 제어되는데, 상기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는, 자신의 사용자 표면에 적용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제어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은 후속의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기술되어질 것이다.
도 1은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가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팅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그러므로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에서 손가락을 적용함으로써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네비게이팅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며, 이런 방법 및 전자 장치로 상술된 단점이 극복될 것이다.
설정된 시간 제한내에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로부터 손가락을 떼고,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에 손가락을 재적용함으로써 한 방향으로의 네비게이션이 달성되도록 하는 서두에 언급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그것으로서 한 방향으로 네비게이팅하는 새롭고 간단한 방법이 얻어지며, 상기 방법은 그러한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의 이동 또는 눌려질 다른 키로의 손가락의 이동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에 적용되는 손가락의 특별한 이동을 요구한다.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에서 손가락을 재적용하기 위한 시간 제한은 어떤 바람직한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 장치와 대부분 사용자가 그러한 시간 제한내에 손가락을 뗄 수 있고, 재적용 할 수 있는 적당한 시간, 즉 몇 초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써 달성된 네비게이션은 가상 3 차원 환경의 명령의 계층에서 계단식으로 샹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상 3 차원 환경의 계층에서 상향하는 네비게이션은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에서 재적용되기 전에 상향으로 이동되거나 들어올려지는 손가락의 이동과 일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서 언급된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를 갖는 전자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상기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는 손가락이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의 사용자 표면에 적용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포함하고, 감지 수단은 손가락이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의 사용자 표면에서 떼어질 때 카운팅을 시작하고 손가락이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의 사용자 표면에 재적용될 때 카운팅을 중단하도록 배치된 타이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자 장치는 타이머 카운팅이 설정 제한 미만이라면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한방향으로의 네비게이션이수행되도록 배치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감지 수단은 손가락이 적용되거나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의 사용자 표면의 근처에 있을 때 손가락에 의해 IR광선이 IR 다이오드에서 IR 검출기로 반사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치된 IR(적외선) 다이오드 및 IR 검출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써 네비게이션 수행이 바람직하려면 손가락이 시간의 단 주기내에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의 사용자 표면에서 떼어지거나 재적용되어야 한다. 손가락은 IR 광선이 손가락에 의해 더이상 반사되지 않는 거리로 이동되어야 한다.
IR 다이오드 및 IR 검출기는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 근저에 위치하고, 두 개의 광선 가이드는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 근저에서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의 사용자 표면으로 뻗어있다.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는 IR 다이오드 및 IR 검출기가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에 통합된다면 그렇게 함으로써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는 보다 더 소형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감지 수단은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의 사용자 표면에 제공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하는데, 손가락이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의 사용자 표면에 적용될 때 마이크로 스위치는 눌려진다.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의 사용자 표면과 연결된 마이크로 스위치를 사용함으로써 손가락이 사용자 표면에 적용되는지 아닌지를 쉽게 기록한다.
제3 실시예에서 감지 수단은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의 사용자 표면에서 두 개의 전도성 영역을 포함하는데, 손가락이 사용자 표면에 적용될 때 전기적으로 쇼트-서킷이 되도록 두개의 전도성 영역을 배치한다. 이런 방식으로 또한 손가락이 사용자 표면에서 적용되는지 아닌지를 쉽게 기록한다.
가상 3 차원 환경은 계층적으로 조직화된 메뉴 시스템을 포함하고, 달성된 네비게이션 방향은 가상 3 차원 환경의 명령의 계층에서 계단식으로 상향한다.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계단식으로 상향하도록 달성된 네비게이션을 제공함으로써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의 사용자 표면으로부터 손가락을 떼어낼 때 통상적으로 또한 상향하게 될 손가락의 이동과 일치하게 한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가상 3 차원 환경을 통해 자신의 네비게이션을 돕도록 메뉴 시스템의 최소 부분에서 그래픽식으로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한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전자 장치를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는 조이스틱이다.
본 발명은 특히 이동 전화 같은 이동 통신 장치처럼 소형의 전자 장치에 적합하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포함하는"이라는 용어가 현재 언급된 특징, 통합, 단계 또는 성분을 특정하기 위해 사용될 때, 이것이 다른 특징, 통합, 단계, 성분 또는 그들의 조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강조되어진다.
도 1은 하우징(2)을 포함하는 이동 전화(1)의 모양인 전자 장치를 보여주는데, 하우징(2)은 키를 위한 구멍(3), 디스플레이(4), 마이크로폰(5) 및 라우드 스피커(6)를 갖는다. 모든 이런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발명에서 알려져 있지만 본 발명의 부분은 아니다.
게다가, 이동 전화(1)는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를 포함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동 전화(1)에서 제공된 가상 3 차원 환경을 통해 네비게이팅하기 위해 이동전화(1)는 조이스틱의 기능을 갖고, 디스플레이(4) 상에 그래픽식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는 사용자 표면(8)이 제공되고 쌍의 화살표 P1과 P2으로써, 및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의 가장 낮은 끝 지점에 대해 기울어짐으로써 나타내진 것처럼 네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이런 방향들 중 어느 한 방향으로의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의 이동은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수행되기 위한 정확한 계단식 네비게이션의 원인이 된다. 수행되는 네비게이션 단계는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이동 전화(1)와 실제 위치의 상태에 의존한다.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는 가상 3 차원 환경에서의 어떤 선택된 요구를 활동시키기 위해 눌려짐으로써 배치된다.
더군다나, 본 발명에 따라,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는 손가락 또는 그와 같은 것이 사용자 표면(8)에 적용되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을 포함한다. 감지 수단은 이동 전화(1)안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타이머에 연결되고 프로세서가 설정 시간 제한내에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의 사용자 표면(8)으로부터 손가락이 떼어지고 사용자 표면(8)에서 손가락이 재적용되는 것을 기록하면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미리정의된 네비게이션 단계가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달성된 네비게이션 단계는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상향하는 또는 역행하는 이동이 있다. 그러한 계단식 네비게이션은 설정 시간 제한내에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의 사용자 표면(8)에서 손가락을 떼어내거나 재적용하는 활동에 의한 것으로써 손가락의 이동(상향하는)이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바람직한 이동의 방향과 완벽하게 일치한다. 다른 계단식 네비게이션도 바람직하다면 활동에 기인될 것이다.
도 2는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는 막대 모양이고 도 1에서 도시된 이동 전화(1)와 같은 전자 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공지된 방법으로 자세하게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전자 장치에 숙련된 당업자는 그러한 연결을 쉽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로 상술된 것처럼,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는 손가락(9)이 적용될 사용자 표면(8)을 포함하고 쌍의 화살표 P1과 P2의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게 배치된다.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는 또한 화살표 P3의 방향으로 눌려질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배치된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공지되었다.
상술된 규정은 그렇다고 하고,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는 손가락이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의 사용자 표면(8)에 적용되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을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감지 수단은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의 근저(12)에 제공된 IR(적외선) 다이오드(10)와 IR 검출기를 포함한다.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는 제1 광선 가이드(13)와 제2 광선 가이드(14)를 제공하는데, 각각의 광선 가이드는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의 근저(12)에서 그것의 사용자 표면(8)까지 뻗어있다. IR 다이오드(10)는 광선 가이드(13)를 통해 화살표 L에 의해 도시된 IR 광선을 방출하는데, IR 광선은 사용자 표면(8)으로 가이드된다. 손가락(9)이 사용자 표면(8)에 적용되거나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 표면(8)의 근처에 있다면, 광선 가이드(13)로부터 IR 광선(L)은 손가락(9)에 의해서 반사될 것이고 광선 가이드(14)를 통해 IR 검출기(11)로 이동될 것이다. 이런 실시예에 "사용자 표면(8)에 손가락(9)을 적용하는 것"의 용어는 IR 광선(L)이 반사되는 손가락(9)의 위치가 어딘지를 의미하는데, 즉, 손가락(9)이 사용자 표면(8)과 물리적접촉하는 상황 뿐만 아니라 손가락(9)이 사용자 표면(8)의 근처에 위치한 상황을 의미한다.
현재, 손가락(9)이 사용자 표면(8)으로부터 떼어지거나 사용자 표면의 근처에서 멀어진다면, IR 광선(L)은 더이상 반사되지 않을 것이며 IR 광선(L)은 전자 장치에 기록되지 않을 것이다. 설정 시간 제한내에 손가락이 사용자 표면(8)에 재적용된다면 IR 광선(L)의 반사가 다시 기록됨으로써,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바람직한 네비게이션이 수행된다. 손가락(9)이 사용자 표면(8)에 재적용되지 않으면, 네비게이션은 수행되지 않을 것이다.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IR 검출기(11)는 타이머(15)에 연결되고 차례로 타이머(15)는 전자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16)에 연결된다. 타이머(15)는 손가락(9)이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의 사용자 표면(8)으로부터 떼어지거나 사용자 표면의 근처에서 멀어질 때 카운팅을 시작하게 프로그램되고 손가락(9)이 사용자 표면(8)에서 재적용될 때 카운팅을 중단하게 프로그램되었다. 프로세서(16)는 카운팅을 기록하고 카운팅이 설정 제한내이면 즉, 손가락(9)이 설정 시간 제한내에 사용자 표면(8)에서 재적용되었거나 사용자 표면의 근처에 있다면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정확한 미리 결정된 네비게이션이 수행된다.
타이머(15)는 프로세서내에서 소프트웨어처럼 제공되지만, 그것도 또한 나눠진 전자 성분이다. 디스플레이(4)는 프로세서(16)에 연결되고 수행된 네비게이션을 그래픽식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의 제2 실시예는 도 3에 도시한다. 이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도 쌍의 화살표 P1과 P2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할 뿐만 아니라 화살표 P3의 방향으로 눌려질 수 있다.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는 사용자 표면(8')을 포함하는데 사용자 표면(8')은 마이크로 스위치(17)의 부분이며 마이크로 스위치는 손가락이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의 사용자 표면(8')에 적용될 때마다 서킷(circuit) 된다. 마이크로 스위치(17)는 매우 민감하고 손가락(9)이 사용자 표면(8')에서 적용될 때 항상 서킷 될 것이다.
이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도 타이머(15)에 연결되는데 타이머(15)는 손가락(9)이 사용자 표면(8')으로부터 떼어질 때 즉, 마이크로 스위치(17)가 서킷되지 않을 때, 카운팅을 시작하고, 손가락(9)이 사용자 표면(8')에서 재적용될 때, 즉, 마이크로 스위치(17)가 다시 서킷 될 때, 카운팅을 중단한다. 타이머(15), 프로세서(16) 및 디스플레이(14)의 구조와 관계는 상술된 것처럼 도 2를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의 제3 실시예는 도 4에 도시한다. 이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도 쌍의 화살표 P1과 P2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살표 P3의 방향으로 눌려질 수 있다.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는 사용자 표면(8'')을 포함하는데, 사용자 표면(8'')은 손가락(9)이 사용자 표면(8'')에 적용될 때 쇼트-서킷되게하는 두개의 전도하는 판(18, 19)을 포함한다. 그러한 저항성의 그리고/또는 전기 용량성의 커플링은 통상적으로 공지된 기술로서, 사용자 표면(8'')에서 손가락(9)의 애플리케이션을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이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도 타이머(15)에 연결되는데 타이머(15)는 손가락(9)이 사용자 표면(8'')으로부터 떼어질 때 즉, 두개의 전도하는 판(18, 19)이 더이상 쇼트-서킷이 아닐 때 카운팅을 시작하고, 손가락(9)이 사용자 표면(8')에 재적용될 때, 즉, 두개의 전도하는 판(18, 19)이 다시 쇼트-서킷될 때 카운팅을 중단한다. 타이머(15), 프로세서(16) 및 디스플레이(14)의 구조와 관계는 상술된 것처럼 도 2를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전자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프로세스는 이 프로세스를 설명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하는 후속의 도 5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프로세스에서 초기 단계는 손가락(9)이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 7', 7'')의 사용자 표면(8, 8', 8'')에 적용되는지 아닌지를 탐지한다. 손가락(9)이 사용자 표면(8, 8', 8'')에 적용될 때 손가락이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 7', 7'')의 사용자 표면(8,8', 8'')으로부터 떼어지면 탐지되어야 하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3 차원 환경에서 네비게이션이 수행되는 것을 나타낼 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손가락(9)이 사용자 표면(8, 8', 8'')으로부터 떼어지는 것이 탐지 될 때 타이머(15)는 카운팅을 시작한다. 손가락(9)이 설정 시간 제한내에 사용자 표면(8, 8', 8'')에 재적용되지 않는다면 타이머는 카운팅을 멈추고, 네비게이션은 수행되지 않을 것이다. 이런 경우 프로세스는 손가락(9)이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 7', 7'')의 사용자 표면(8, 8', 8'')에 적용되는지 아닌지를 탐지함으로써 다시 시작될 것이다.
그러나, 손가락이 설정 시간 제한내에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 7', 7'')의 사용자 표면(8, 8', 8'')에 재적용된다면 타이머는 카운팅을 멈추고 본 발명에 따라 네비게이션이 수행된다.
바람직한 네비게이션을 얻기 위해 시간 제한내에 손가락(9)이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 7', 7'')의 사용자 표면(8, 8', 8'')에 재적용되어야 바람직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시간 제한은 몇 초 미만이고 예를 들면, 0.5초로 설정되어야 바람직하다.
설정 시간 제한내에 손가락(9)이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 7', 7'')의 사용자 표면(8, 8', 8'')에 재적용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당해의 네비게이션을 수행하는데 바람직한 것으로 기록된다. 손가락(9)이 설정 시간 제한내에 재적용되지 않으면, 전자 장치는 네비게이트하는데 바라는 것으로 손가락(9)의 떼어냄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간단히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 7', 7'')의 사용자 표면(8, 8', 8'')으로부터 손가락을 떼어내는 것으로 다룰 것이고, 계단식 네비게이션은 수행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포함된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의 세가지 실시예를 참조로 기술된다. 그러나,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의 다른 실시예는 가능하다면 손가락이 사용자 표면에 적용되는지 아닌지를 탐지시키게 한다.

Claims (12)

  1. 전자 장치(1)의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네비게이팅하는 방법에서,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 7', 7'')는 사용자의 손가락(9)을 상기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 7', 7'')에 적용함으로써 제어되는 네비게이팅하는 방법으로서,
    한방향으로의 네비게이션이 설정 시간 제한내에 상기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 7', 7'')로부터 손가락을 떼어냄으로써 및 상기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 7', 7'')에서 손가락을 재적용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팅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 제한이 몇 초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팅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달성된 네비게이션 방향은 상기 가상 3 차원 환경의 명령 계층에서 계단식으로 상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팅하는 방법.
  4.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네비게이팅하기 위해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 7', 7'')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상기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 7', 7'')의 사용자 표면(8, 8', 8'')에 적용되는 사용자의 손가락(9)에 의해 제어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 7', 7'')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 7', 7'')는 손가락(9)이 상기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 7', 7'')의 사용자 표면(8, 8', 8'')에 적용되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을 제공하는데, 상기 감지 수단은 손가락(9)이 상기 이동가능한 물리적 수단(7, 7', 7'')의 사용자 표면(8, 8', 8'')으로부터 떼어질 때 카운팅을 시작하고 손가락(9)이 상기 이동가능한 물리적 수단(7, 7', 7'')의 사용자 표면(8, 8', 8'')에 재적용될 때 카운팅을 중단하도록 배치되는 타이머(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타이머 카운팅이 설정 제한 미만이라면 상기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한 방향으로의 네비게이션을 수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IR(적외선) 다이오드(10)와 IR 검출기를 포함하는데 IR 다이오드(10)과 IR 검출기(11)는 손가락이 상기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의 사용자표면(8)에서 적용되거나 사용자 표면(8)의 근처에 있을 때 손가락에 의해 IR 광선이 상기 IR 다이오드(10)에서 상기 IR 검출기(11)로 반사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IR 다이오드(10)와 상기 IR 검출기는 상기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의 근저에 위치하게 되고, 두개의 광선 가이드는 상기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의 근저에서 상기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의 상기 사용자 표면(8)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의 사용자 표면(8')에 제공되는 마이크로 스위치(17)을 포함하는데, 손가락이 상기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의 상기 사용자 표면(8')에서 적용될 때 눌려지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의 상기 사용자 표면(8'')에 두개의 전도성의 영역(18, 19)을를 포함하는데, 손가락(9)이 상기 사용자 표면(8'')에 적용될 때 전기적으로 쇼트-서킷이 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두개의 전도성의 영역(18, 19)을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3 차원 환경은 계층적으로 조직화된 메뉴 시스템을 포함하고, 달성된 상기 네비게이션 방향은 상기 가상 3 차원 환경의 명령 계층에서 계단식으로 상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1)는 상기 메뉴 시스템의 최소 부분에서 그래픽식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4)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 4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물리적 멤버(7, 7', 7'')는 조이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 4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1)는 이동 전화와 같은 이동 통신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047015723A 2002-04-03 2003-03-04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네비게이팅하는 방법 및 그러한방법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KR100910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388029.7 2002-04-03
EP02388029.7A EP1351120B1 (en) 2002-04-03 2002-04-03 A method of navigating in a virtual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and an electronic device employing such method
US37125402P 2002-04-09 2002-04-09
US60/371,254 2002-04-09
PCT/EP2003/002302 WO2003083634A1 (en) 2002-04-03 2003-03-04 A method of navigating in a virtual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and an electronic device employing such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923A true KR20050002923A (ko) 2005-01-10
KR100910089B1 KR100910089B1 (ko) 2009-08-13

Family

ID=27838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5723A KR100910089B1 (ko) 2002-04-03 2003-03-04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네비게이팅하는 방법 및 그러한방법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1351120B1 (ko)
KR (1) KR1009100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009B1 (ko) * 2005-06-21 2006-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외선데이터 통신기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64092B (en) * 1997-04-04 1999-07-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 load sensor and a pointing equipment incorporating the same
US7256770B2 (en) * 1998-09-14 2007-08-1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sponsive to sensing a physical presence proximate to a computer inpu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009B1 (ko) * 2005-06-21 2006-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외선데이터 통신기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51120B1 (en) 2017-10-25
EP1351120A1 (en) 2003-10-08
KR100910089B1 (ko) 200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14723B2 (ja) 選択的入力信号拒否及び修正
JP7061465B2 (ja) 指紋認識を用いる操作方法、装置、およびモバイル端末
JP559365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384734B2 (ja) 仮想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の生成指示方法、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装置
US20070247431A1 (en) Keypad and sensor combination to provide detection region that overlays keys
US200200180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objects on a touchscreen display
US20110043491A1 (en) Data input device and data input method
KR20140002563A (ko) 햅틱 피드백을 갖는 단축 터치 제스처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056559A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기기 그리고 이의명령 입력방법
JP5485154B2 (ja) 入力装置、特にコンピュータ用マウス
US9372537B2 (en) Providing non-visual feedback for non-physical controls
US9001041B2 (e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movements of a movable object
JP2009252241A (ja) 光ポインティング装置および光ポインティング装置を用いたクリック認識方法
CN1523773A (zh)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接触垫技术
KR100910089B1 (ko) 가상 3 차원 환경에서 네비게이팅하는 방법 및 그러한방법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JP4347703B2 (ja) 仮想的な三次元環境内をナビゲートする方法および当該方法を採用する電子装置。
JP2003521060A (ja) マウス
KR20060041898A (ko) 포인터를 이용한 휴대기기용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휴대기기
CN101273325B (zh) 具有触敏输入、硬件模块和用户接口的电子设备
KR100893820B1 (ko) 전자 장치 및 게임 제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