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2679A -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 - Google Patents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2679A
KR20050002679A KR1020040068283A KR20040068283A KR20050002679A KR 20050002679 A KR20050002679 A KR 20050002679A KR 1020040068283 A KR1020040068283 A KR 1020040068283A KR 20040068283 A KR20040068283 A KR 20040068283A KR 20050002679 A KR20050002679 A KR 20050002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cover
coupler
present
protecti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김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1020040068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2679A/ko
Publication of KR20050002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67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22Balustrades
    • B66B23/24Handrail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이송장치에 관련된 핸드레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핸드레일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을 구비하며, 하부면에 핸드레일이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된 유연 재질의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Cover for protecting handrail}
본 발명은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와 같은 이송장치의 핸드레일에 보호커버를 씌워 작업현장에서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핸드레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 에 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Escalator) 또는 무빙워크(Moving walkway)는 컨베이어의 일종으로,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계단형 또는 평판형 발판을 구동시켜 사람 또는 물건을 연속적으로 승강시키는 장치이며, 단시간에 많은 사람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기 때문에, 유동인구가 많은 공항, 백화점, 대형 쇼핑센터, 지하철역, 빌딩 등에 주로 설치된다.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는 발판과 함께 이송되는 승객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발판의 양측에 난간형태의 지지가이드를 설치하고, 지지가이드의 상부에 발판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핸드레일을 장착하여 탑승객이 핸드레일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핸드레일은 폐루프 형태로 설치되어 구동원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서 지지가이드의 상면과 미끄럼접촉을 하면서 일정한 궤도를 반복적으로 순환 이동하기 때문에, 진행방향으로의 굴곡성, 이송 궤도로부터의 이탈방지를 위한 높은 개구력, 내굴곡성과 치수안정성, 지지가이드와의 미끄럼 접촉시 발생하는 마찰열로부터 재료의 손상을 배제하기 위한 내열성, 성형제작의 용이성 등이 요구된다.
전술한 특징을 갖추기 위해 핸드레일은 통상적으로 지지가이드와 슬라이딩 접촉되는 저면을 직포(woven fabric)로 형성하고, 상부는 일정 두께의 화장고무로 형성하며, 중간에는 고강도의 스틸코드 등이 매입된 항장고무 및 다수 겹의 직포를 개재한 형태의 적층체 구조를 취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핸드레일은 재질 및 물성이 상이한 재료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작 단계에서 품질관리 요소(factor)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성형 공정이복잡하여 제조원가가 과다하게 소요된다.
그러므로, 핸드레일은 교체시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기 때문에, 파손되지 않도록 상당한 주의를 요하는데, 신축 건물의 대부분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의 설치공사를 종료한 상태에서 건축공사를 진행하거나 마감공사를 진행하게 된다.
공사현장에서는 핸드레일에 접촉시 파손을 야기하는 끝이 예리한 중량물과 같은 자재의 운반이 빈번하고,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를 이동통로로 사용함에 따라 핸드레일 파손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 때문에, 핸드레일을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게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사용중인 건물의 내부 개량공사(Renovation)시에는 건축물 내장재 등의 철거공사가 수반되므로 핸드레일의 파손 위험은 더욱 커질 우려가 있다.
종래에는 핸드레일 제작시 핸드레일 표면에 비닐을 씌워 핸드레일을 보호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핸드레일을 먼지나 페인트 등의 오염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핸드레일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부족하였으며, 특히 사용중인 건물의 개량 공사시에 적용할 수 있는 핸드레일의 보호수단은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의 핸드레일의 파손 위험이 있는 작업을 진행할 때 손쉽게 착탈이 가능한 커버를 씌움으로써, 핸드레일을 각종 위험요소들로 부터 보호할 수 있는 커버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징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장치에 관련된 핸드레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핸드레일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을 구비하며, 하부면에 핸드레일이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된 유연 재질의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몸체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인접하는 몸체가 길이방향을 따라 커플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몸체의 재질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커플러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인접하는 몸체의 단부를 외측으로부터 가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10)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와 같은 이송장치에 관련된 핸드레일의 파손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유연 재질의 몸체(12)로 이루어진다.
몸체(12)는 핸드레일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을 구비하고, 하부면에는 핸드레일이 삽입되는 개구(14)가 형성되며, 유연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장비 없이 핸드레일에 손쉽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핸드레일의 단면은 "C"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몸체(12)의 단면 또한 "C"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몸체(12)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인접하는 다른 몸체(12)와 길이방향을 따라 커플러(2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몸체(12)의 양단에는 상부 및 양 측부에 연결홈(16)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커플러(20)의 연결돌기(22)가 삽입되도록 한다.
커플러(20)는 몸체(12)와 인접하는 다른 몸체(12)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몸체(12)의 단부를 외측으로부터 가압하는 형태일 수 있다.
커플러(20)의 내측에서 몸체(12)의 연결홈(16)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연결돌기(22)가 형성되며, 커플러(20)가 인접하는 두 개의 몸체(12)를 연결시킬 때, 연결돌기(22)가 연결홈(16)에 삽입된다.
또한, 커플러(20)의 단면 또한 몸체의 단면과 유사한 "C"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단면상에서의 양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분리편(24)을 형성한다.
마감부재(40)는 핸드레일에 장착된 몸체(12)들 중 선두에 위치하는 몸체(12)와 선미에 위치하는 몸체(12)를 핸드레일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커플러(20)와 마찬가지로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몸체(12)의 단부를 외측으로부터 가압하는 형태이며, 커플러(20)보다 폭을 작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몸체(12)와 커플러(20)는 도 1의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을 갖으나, 연결홈(16)과 연결돌기(22)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몸체(12)의 일단에는 옴(Ω)형상의 결합돌기(19)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에는 결합돌기(19)가 삽입 가능한 결합홈(18)이 형성되며, 결합홈(18)과 결합돌기(19)의 형상은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하나의 몸체(12)의 결합홈(18) 또는 결합돌기(19)가 다른 몸체(12)의 결합돌기(19) 또는 결합홈(18)과 상호 결합됨으로써, 다수의 몸체(12)가 일렬로 연결되어 핸드레일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결합홈(18)과 결합돌기(19)의 결합부위에 커플러(20)가 장착되어 몸체(12)를 가압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일정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커버(10)가 핸드레일에 장착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외부로 노출되는 핸드레일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커버(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핸드레일에 커버(10)를 장착한 후, 커버(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커플러(20)를 장착함으로써, 커버(10)와 핸드레일간의 결합을 견고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는 에스컬레이터(30), 무빙워크 등의 이송장치의 핸드레일(32)에 설치되어 핸드레일(32)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에스컬레이터(30)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첫 번째 커버(10)의 개구(14)측 부위를 외측으로 벌려 핸드레일(30)에 장착하고, 두번째 커버(10)를 동일한 방법으로 핸드레일(30)의 길이방향으로 장착하며, 동일한 방법으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핸드레일(30) 전체에 커버(10)를 장착한다.
커버(10)와 커버(10)의 접촉부위에 커플러(20)를 장착한다. 이때, 커플러(20)의 연결돌기(22)이 커버(10)의 연결홈(16)에 삽입되도록 하며, 커플러(20)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이기 때문에, 외측으로부터 몸체(12)를 가압하 여 커버(10)들이 핸드레일(32)에 고정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난간부(36)와 핸드레일 이동레일(34)이 설치되고, 핸드레일 이동레일(34)에 핸드레일(32)이 설치되며, 핸들레일(32)의 외측에 본 발명에 따른 커버(10)가 장착되고, 커버(10)의 외측에 커플러(20)가 장착된 것을 알 수 있다.
커버(10)의 선두 및 선미에 위치하는 몸체(12)에는 마감부재(40)를 사용하여 핸드레일(32)과 고정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드레일(32)에 커버(10)를 장착한 후, 작업을 진행한다. 작업이 완료되면, 펜치 등을 이용하여 분리편(24)에 압력을 가하여 커플러(20)를 제거하고, 커버(10)를 씌울 때와 마찬가지로 외측으로 벌려 손쉽게 분리한다.
이와 같이, 커버(10)를 씌움으로써 작업현장에서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로부터 핸드레일(32)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변경하거나 변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경이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에 서술되는 특허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드레일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유닛은 각종 위험요소가 내포되어 있는 작업현장에서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의 핸드레일에 커버를 씌운 후 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고가의 핸드레일이 페인트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각종 위험요소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핸드레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드레일의 오염과 파손을 사전에 방지함에 따라, 오염 제거작업과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비용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이송장치에 관련된 핸드레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상기 핸드레일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을 구비하며, 하부면에 상기 핸드레일이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된 유연 재질의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며, 인접하는 몸체가 길이방향을 따라 커플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인접하는 몸체의 단부를 외측으로부터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재질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보호용커버.
KR1020040068283A 2004-08-28 2004-08-28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 KR20050002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283A KR20050002679A (ko) 2004-08-28 2004-08-28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283A KR20050002679A (ko) 2004-08-28 2004-08-28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133U Division KR200325985Y1 (ko) 2003-06-25 2003-06-25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679A true KR20050002679A (ko) 2005-01-10

Family

ID=37218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283A KR20050002679A (ko) 2004-08-28 2004-08-28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26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93646A1 (en) * 2017-09-25 2019-03-28 Lg Electronics Inc. Reciprocating type compress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93646A1 (en) * 2017-09-25 2019-03-28 Lg Electronics Inc. Reciprocating type compres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22347D1 (de) Verbindungssystem für oberflächenbeläge
DE60104139D1 (de) Fahrtreppeantriebsmaschine mit treibriemen zum gleichzeitigen antrieb von handlauf und förderfläche
ES2193743T3 (es) Pasamanos.
WO1999043601A3 (en) Dual sheave rope climber using flat flexible ropes
KR200325985Y1 (ko)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
PL377039A1 (pl) Adhezja pomiędzy tekstylnym materiałem wzmacniającym i gumą
KR20050002679A (ko) 핸드레일 보호용 커버
US3740799A (en) Safety splice for handrail break
AU652678B2 (en) Handrail guard housing shield
ES2135983T3 (es) Ascensor de escalera.
JP2005350159A (ja)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接続装置及びその接続方法
JP6433624B1 (ja) 乗客コンベアのステップ持上げ支援装置
KR20050004705A (ko) 디딤판 보호용 커버
KR200326945Y1 (ko) 디딤판 보호용 커버
JP2007084204A (ja) 乗客コンベアのガイドレール清掃装置及びガイドレール清掃装置の運転制御方法
JP2003184249A (ja) 携帯用スロープ
JP3429408B2 (ja) 手すり及びその製造法
JP2009221013A (ja) エスカレータの駆動ローラ取替作業用具
CN215047880U (zh) 一种便于检修维护的电梯
KR101276296B1 (ko) 미끄럼 방지용 줄사다리 발판고정기구
WO2019186826A1 (ja) エレベーターのシーブ軸部グリス清掃治具
WO2018016046A1 (ja) マンコンベアの床板装置
JP2008265915A (ja) 乗客コンベヤ
ITBS980044U1 (it) Maniglione con inserto antiscivolo particolarmente per vasche da bagno e simili
JP2003012263A (ja) エスカレータ作業用安全具の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