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2218A - 디스플레이 기기의 번인(Bur in-in)으로 인한화질차이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의 번인(Bur in-in)으로 인한화질차이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2218A
KR20050002218A KR1020030043571A KR20030043571A KR20050002218A KR 20050002218 A KR20050002218 A KR 20050002218A KR 1020030043571 A KR1020030043571 A KR 1020030043571A KR 20030043571 A KR20030043571 A KR 20030043571A KR 20050002218 A KR20050002218 A KR 20050002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information
burn
screen
protec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3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3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2218A/ko
Publication of KR20050002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21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기기의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기의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는 장치는, 전체화면 중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일부 영역을 설정하는 보호영역 설정부;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받아 디지털화된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이미지 버퍼부; 제공된 영상정보 중 상기 보호영역 설정부에서 설정된 보호영역의 영상정보를, 그레이바(gray bar) 효과 또는 그라데이션(gradation) 효과가 나타나도록, 소정의 함수로 필터링하는 화면보호 처리부; 및 필터링된 영상정보를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영상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필터링 처리된 보호영역과 동영상 영역에 발생한 번인(burn-in)으로 인한 화질 차이가 감소하며, 번인(burn-in)으로 인한 화질 열화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도를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의 번인(Bur 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decreasing difference of screen from burn-in effects on screen of display device and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고 이를 인지적 차원에서 줄여 주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중인 프로젝션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는 CRT(cathode-ray tube)를 사용함으로써 영상에 대하여 번인(burn-in) 현상이 발생한다. 즉, 영상이 계속 영사되는 경우, 그 부분의 형광체가 손상되어 영상이 영사되지 않던 다른 부분과 휘도가 달라지는 것을 말한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4:3 화면의 동영상을 일정시간 영사하면, 동영상이 영사되지 않는 바깥쪽 고정 영역(101)은 번인(burn-in)이 일어나지 않는 반면, 안쪽 화면 영역(이러한 영상을 필라박스(pillar box)라고도 함)은 번인(burn-in)이 나타나 두 영역간에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도 1b는 16:9 화면의 동영상을 영사한 경우로서, 바깥쪽 고정 영역(102)은 번인(burn-in)이 일어나지 않는 반면, 안쪽 화면 영역(이러한 영상을 레터박스(letter box)라고도 함)은 번인(burn-in)이 나타나 두 영역간에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도 1c는 화면의 특정 영역에 방송국 로고(103)나 게임 스코어(104), 또는 고정적인 자막(105) 등 영상이 계속 영사되는 경우에, 해당 영역에 발생하는 번인(burn-in)으로 화면의 다른 부분과 화질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번인(burn-in) 현상으로 인한 화질 차이는 CRT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에서는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존 방식 중 하나는, 번인(burn-in) 차이를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 동영상이 영사되는 영역을 늘려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부분적 번인(burn-in)으로 인한 화질 열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방식은 4:3 또는 16:9 등과 같이 사용자가 요구하는 화면비로 영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는 고정 자막 등의 문제에 대응하지 못한다.
기존 방식 중 다른 하나(한국 공개특허 1997-0078552)는 화면의 특정부분이 장시간에 걸쳐 동일 패턴을 출력할 때, 그 부분의 휘도를 낮추어 브라운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변화가 미세한 동영상의 경우 고정된 영상으로 보지 않아 전술한 처리를 하지 못함으로, 이 부분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어렵다. 또한, 동영상이 전체화면을 못채우는 경우, 즉 필라박스나 레터박스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고정된 영상은 주로 검은색(black)으로 표시되어 낮은 휘도 값을 가지므로, 고정된 영상의 특정영역의 휘도를 낮추는 것은 번인(burn-in)에 따른 화면의 차이를 방지하는데 별다른 효과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의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고 이를 인지적 차원에서 줄여 주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나타낸 그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적용한 화면의 그림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기의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전체화면 중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일부 영역을 설정하는 보호영역 설정부;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받아 디지털화된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이미지 버퍼부; 제공된 영상정보 중 상기 보호영역 설정부에서 설정된 보호영역의 영상정보를, 그레이바(gray bar) 효과 또는 그라데이션(gradation) 효과가 나타나도록, 소정의 함수로 필터링하는 화면보호 처리부; 및 필터링된 영상정보를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영상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보호영역 설정부는, 사용자로부터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화면의 위치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가 발생한 위치를 검색하여, 보호영역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면보호 처리부는, 설정된 보호영역에 블랙바(black bar) 영상대신 그레이바(gray bar) 영상이 출력되도록, 설정된 보호영역의 영상정보 값을 전체화면의 영상정보의 평균값으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화면보호 처리부는, 설정된 보호영역의 경계부분에 그라데이션(gradation) 효과가 나타나도록, 경계부분의 영상정보 값을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필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필터링을 위한 함수에는 상기 경계부분의 영상정보의 평균값을 이용하거나 또는 소정의 비율로 경계부분의 영상정보 값을 변환하는 함수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전체화면 중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보호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b) 설정된 보호영역의 영상정보를, 그레이바(gray bar) 효과 또는 그라데이션(gradation) 효과가 나타나도록, 소정의 함수로 필터링하는 단계; 및 (c) 필터링된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b)단계는, (b1) 설정된 보호영역에 블랙바(black bar) 영상대신 그레이바(gray bar) 영상이 출력되도록, 설정된 보호영역의 영상정보 값을 전체화면의 영상정보의 평균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b2) 설정된 보호영역의 경계부분에 그라데이션(gradation) 효과가 나타나도록, 경계부분의 영상정보 값을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b2)단계는 상기 경계부분의 영상정보의 평균값을 이용하거나 또는 소정의 비율로 경계부분의 영상정보 값을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는 장치(1)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는 장치(1)는 보호영역 설정부(102), 이미지 버퍼부(103), 화면보호 처리부(101), 및 영상출력부(104)를 구비한다.
보호영역 설정부(102)는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고자하는 영역(이하 '보호영역'이라 함)을 설정한다. 사용자로부터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화면의 위치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가 발생한 위치를 검색하여 보호영역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1a의 필라박스의 바깥쪽 영역(101)이나, 도 1b의 레터박스의 바깥쪽 영역(102)을 보호영역으로 설정 할 수 있다. 또한 도 1c의 고정된 로고나 텍스트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미지 버퍼부(103)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받아 화면보호 처리부에 디지털화된 영상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화된 영상정보란 각 화소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X(i,j) (단 i, j는 해상도에 따라 가변함)와 같은 형태로 화면보호 처리부(101)에 제공된다.
화면보호 처리부(101)는 이미지 버퍼부(103)로부터 제공된 영상정보 중 설정된 보호영역의 영상정보를, 그레이바(gray bar) 효과(필라박스 및 레터박스의 바깥쪽 영역에 대해) 또는 그라데이션(gradation) 효과(필라박스 및 레터박스의 바깥쪽 영역, 고정된 영상정보에 대해)가 나타나도록, 소정의 함수로 필터링한다.
필터링을 위한 함수로는 설정된 보호영역의 영상정보 값을 전체화면의 영상정보의 평균값으로 변환하는 함수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정된 보호영역에 블랙바(black bar) 영상대신 그레이바(gray bar) 영상이 출력된다. 따라서, 휘도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그레이바 영상이 영사되는 경우 동영상 화면과 번인(burn-in)으로 인한 화질차이가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또한, 번인(burn-in)으로 인한 화질차이가 어느 정도 발생되더라도 본 화면과의 구별성이 낮아져, 사용자가 번인(burn-in)이 발생한 사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한다.
또한, 경계부분의 영상정보 값을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필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링을 위한 함수에는, 경계부분의 일정 영역의 영상정보를 해당 영역의 영상정보의 평균값으로 변환하거나, 경계부분의 일정 영역의 영상정보 값을 일정한 비율로 변환하는 함수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영역의 주변 5 라인의 원래 화소값을 해당영역의 화소값의 평균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단, 경계부분의 라인수는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영역의 주변 3 또는 4 라인 정도의 화소값을 1:2:1 또는 1:2:2:1 등의 비율로 점점 흐려지도록 변환할 수 있다. 단, 경계부분의 라인수 및 화소값의 비율은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영역의 경계부분이 전체화면과 연결된 것처럼 흐리게 보이도록 한다. 이를 그라데이션(gradation) 효과라 한다. 즉, 번인(burn-in)이 발생하는 필라박스나 레터박스의 경계부분이 직선으로 분명하게 드러나는 대신, 경계선 부분이 희미하게 표시되므로, 번인(burn-in)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고정된 로고나 텍스트 등에 그라데이션 효과를 줌으로써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 밖에 경계부분의 영상정보를 변환하기 위하여 다양한 필터링 함수가 이용될 수 있다. 즉, 그라데이션 효과를 줄 수 있는 함수라면, 기존의 필터링 함수이든, 새로 개발되는 필터링 함수든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영상출력부(104)는 필터링된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전체 영상정보를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 고정 영상 영역(101 또는 102)에도 블랙바 대신 그레이바가 출력되므로 번인(burn-in)으로 인한 화질의 차이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이미 발생한 번인(burn-in)으로 인한 화질의 차이를 사용자가 쉽게 인지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경계부분이 흐리게 처리됨으로써, 자연스럽게 본 화면과 연결되어 보이며, 설령 번인(burn-in)으로 인한 화질의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사용자가 이를 쉽게 인지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먼저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는 화면보호 기능이 선택되었는지 확인한다(301 단계). 화면보호 기능이 선택되지 않았다면, 본 화면을 바로 출력한다(307 단계). 만약 화면보호 기능이 선택되었다면, 보호영역을 새로 설정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정보를 확인한다(302 단계). 새로운 보호영역을 선택하지 않았다면, 기존에 선택된 영역에 대한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는 화면보호 처리를 하고(306 단계) 처리된 화면을 출력한다(307 단계). 새로운 보호영역을 설정하도록 선택(303 단계)된 경우에는 보호영역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설정할지(304 단계),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보호영역을 수동으로 설정할지(305 단계)를 결정한다. 보호 영역이 설정된 경우에는 해당영역에 전술한 필터링 함수를 이용하여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는 화면 보호 처리를 하고(306 단계), 처리된 화면을 출력한다(307 단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적용한 화면의 그림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호영역(401)에 그레이바가 출력되어, 본 화면과의 구별이 적어져,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가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경계부분(402)에는 일정 부분을 흐리게 처리하여, 사용자가 번인(burn-in)으로 인한 화질의 차이를 상대적으로 덜 인지하도록 처리된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선택된 보호영역을 그레이바로 처리하여 블랙바인 경우보다 번인(burn-in)으로 인한 화질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덜 발생한다. 설령, 번인(burn-in)으로 인한 화질의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블랙바의 경우보다 본 화면과의 구별성이 적어, 번인(burn-in)으로 인한 화질의 차이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경계부분을 본 화면과 이어지도록 부드럽게 처리하여, 사용자는 번인(burn-in)으로 인한 화질의 차이를 상대적으로 덜 느낄 수 있다.

Claims (8)

  1. 디스플레이 기기의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전체화면 중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일부 영역을 설정하는 보호영역 설정부;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받아 디지털화된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이미지 버퍼부;
    제공된 영상정보 중 상기 보호영역 설정부에서 설정된 보호영역의 영상정보를, 그레이바(gray bar) 효과 또는 그라데이션(gradation) 효과가 나타나도록, 소정의 함수로 필터링하는 화면보호 처리부; 및
    필터링된 영상정보를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영상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영역 설정부는 사용자로부터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화면의 위치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가 발생한 위치를 검색하여, 보호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보호 처리부는, 설정된 보호영역에 블랙바(black bar) 영상대신 그레이바(gray bar) 영상이 출력되도록, 설정된 보호영역의 영상정보 값을 전체화면의 영상정보의 평균값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보호 처리부는, 설정된 보호영역의 경계부분에그라데이션(gradation) 효과가 나타나도록, 경계부분의 영상정보 값을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을 위한 함수에는 상기 경계부분의 영상정보의 평균값을 이용하거나 또는 소정의 비율로 경계부분의 영상정보 값을 변환하는 함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디스플레이 기기의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전체화면 중 번인(Burin-in)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보호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b) 설정된 보호영역의 영상정보를, 그레이바(gray bar) 효과 또는 그라데이션(gradation) 효과가 나타나도록, 소정의 함수로 필터링하는 단계; 및
    (c) 필터링된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설정된 보호영역에 블랙바(black bar) 영상대신 그레이바(gray bar) 영상이 출력되도록, 설정된 보호영역의 영상정보 값을 전체화면의 영상정보의 평균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b2) 설정된 보호영역의 경계부분에 그라데이션(gradation) 효과가 나타나도록, 경계부분의 영상정보 값을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2)단계는 상기 경계부분의 영상정보의 평균값을 이용하거나 또는 소정의 비율로 경계부분의 영상정보 값을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0043571A 2003-06-30 2003-06-30 디스플레이 기기의 번인(Bur in-in)으로 인한화질차이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022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571A KR20050002218A (ko) 2003-06-30 2003-06-30 디스플레이 기기의 번인(Bur in-in)으로 인한화질차이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571A KR20050002218A (ko) 2003-06-30 2003-06-30 디스플레이 기기의 번인(Bur in-in)으로 인한화질차이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218A true KR20050002218A (ko) 2005-01-07

Family

ID=37217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3571A KR20050002218A (ko) 2003-06-30 2003-06-30 디스플레이 기기의 번인(Bur in-in)으로 인한화질차이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22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738A (ko) * 2015-03-05 201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번-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90023659A (ko) * 2017-08-29 2019-03-08 김지용 디스플레이에서 번-인 감소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738A (ko) * 2015-03-05 201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번-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90023659A (ko) * 2017-08-29 2019-03-08 김지용 디스플레이에서 번-인 감소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4932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EP1475964A1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video display method
US2007028648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508978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511159A (ja) 周囲のビデオコンテンツに基づくクローズキャプション・テキストの適合
JP3847006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記録媒体
US758654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on-screen display
JP2007324763A (ja) テレビジョン受像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方法
KR101488343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미지 처리 장치
KR20050002218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번인(Bur in-in)으로 인한화질차이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US63848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laced image enhancement
KR100768819B1 (ko) 표시장치의 자동 영상처리방법
KR100510144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번인으로 인한 화질차이를 보상하는방법 및 그 장치
US20070035784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3046807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4746892B2 (ja) 画像表示装置のフレア補正回路、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フレア補正方法
JP4379029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投射装置
JP2969408B2 (ja) 映像表示装置
KR20050004911A (ko) 영상 프로세싱
US8073249B2 (en) Image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2009278227A (ja) 画像補正装置及び方法
JPH05300448A (ja) 映像表示装置
KR980007782A (ko)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한 색보정 특성계수를 결정하는 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
JPH08185145A (ja) 液晶表示装置
US200300207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n screen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