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1943A - 무선 아이디 인식 기능이 있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및 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아이디 인식 기능이 있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및 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1943A
KR20050001943A KR1020030042950A KR20030042950A KR20050001943A KR 20050001943 A KR20050001943 A KR 20050001943A KR 1020030042950 A KR1020030042950 A KR 1020030042950A KR 20030042950 A KR20030042950 A KR 20030042950A KR 20050001943 A KR20050001943 A KR 20050001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stration
door lock
remote control
control key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2031B1 (ko
Inventor
고성범
Original Assignee
예지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지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예지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2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2031B1/ko
Publication of KR20050001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0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4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using microprocessor, printed circui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6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by sensing the presence of a person, e.g. body heat sens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79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Hertzian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아이디 인식 기능이 있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서 무선 수신부가 수신 대기 상태에 있는 동안 리모콘키의 무선 송신부로부터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등록ID가 수신된 경우 도어록에 미리 설정등록하여 저장되어 있는 입력등록ID에서 검색되는지 확인 후 검색되는 경우 도어록의 잠금장치를 해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등록ID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리모콘키; 와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부; 리모콘키로부터 송출되는 등록ID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리모콘키로부터 등록ID를 입력받아 입력등록ID로 설정등록하여 저장하는 등록ID입력저장부; 잠금장치를 시정/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모터 구동부; 및 사용자 감지신호를 수신할 경우 무선 수신부를 동작시켜 리모콘키로부터 송출되는 등록ID를 수신한 후 등록ID가 등록ID입력저장부에 입력등록ID로 등록되어 있을 경우 모터 구동부에 해정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도어록으로 이루어진 무선 아이디 인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아이디 인식 기능이 있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및 그 제어방법{Control method and device of digital door lock for recognizing ID by radio frequency}
본 발명은 무선 아이디 인식 기능이 있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서 무선 수신부가 수신 대기 상태에 있는 동안 리모콘키의 무선 송신부로부터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등록ID가 수신된 경우 도어록에 미리 설정등록하여 저장되어 있는 입력등록ID에서 검색되는지 확인 후 검색되는 경우 도어록의 잠금장치를 해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도어록의 무선 수신부의 수신 대기를 위한 사용자 감지수단은 적외선 감지부의 인체 감지신호가 있는 경우, 도어록의 실외측에 형성된 번호판 중 임의의 버튼 또는 미리 정하여진 소정의 버튼을 누름는 경우, 도어록의 실외측에 형성된 덮개 스위치의 신호에 의한 경우로 이루어지게 된다.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 장치로서 고주파 카드식 도어록 장치및 그 제어방법은 대한민국 특허 공개공보(특2001-0048060)를 통하여 알 수 있다. 종래의 이 발명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고 저장된 입력등록ID와 수신된 등록ID가 일치하는 경우 잠금장치 상태 해제/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사용자의 근접시에 이를 검출하여 사용자 근접 신호를 출력하는 적외선 감지 센서; 배터리 소모 검출 신호에 의한 경보음 그리고 도어록 장치의 제어 상태 정보를 음성으로 외부로 출력하는멜로디 발생부; 사용자 근접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에만 RF 무선 신호를 출력하고 RF 카드에서 송신되는 입력등록ID를 수신하는 RF 무선 신호 송/수신부; 배터리로 구성되어 시스템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도어 잠금장치 시정/해정 신호에 의해 도어를 시정/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고주파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이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카드식 도어록 장치에서는 도어록 장치 뿐만 아니라 RF 카드도 송신 장치와 함께 수신 장치도 구성되어져야 하는바 도어록 장치와 RF 카드의 구성이 복잡해 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RF 카드의 동작은 도어록 장치에 근접시킨 경우 RF 카드 내부에 있는 콘덴서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는데 이 전원이 미약한바 RF 카드를 도어록 장치에 근접시켜서 작동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도어록의 일정거리 이내에서 주기적으로 등록ID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를 구비한 리모콘키를 소지한 경우 별도의 동작이 이루어 지지 않고 무선 수신부를 구비한 도어록의 잠금장치를 해정하도록 하는 무선 아이디 인식 기능이 있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에서 리모콘키는 무선 송신부를 구비하며 도어록은 무선 수신부를 구비하는데 이와 같이 함으로써 종래의 무선 송/수신부를 모두구비하는 RF 카드 와 도어록 장치보다 구성이 간단해 질 수 있다.
또한, 리모콘키는 자체의 전원을 구비하여 주기적으로 등록ID를 송신하는바, 사용자가 도어록의 일정 거리(예를 들어, 5m) 이내로 진입한 경우(도어록 장치에 상당히 근접시킬 필요가 없음) 적외선 센서에 의한 사용자 감지를 통하여 도어록의 무선 수신부가 작동하여 보다 신속하게 도어록 잠금장치가 풀리도록 하는 무선 아이디 인식 기능이 있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등록ID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리모콘키;와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여 사용자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감지부; 상기 리모콘키로부터 송출되는 등록ID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리모콘키로부터 등록ID를 입력받아 입력등록ID로 설정등록하여 저장하는 등록ID입력저장부; 잠금장치를 시정/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모터 구동부; 및 상기 사용자 감지부로부터 사용자 감지신호를 수신할 경우 무선 수신부를 동작시켜 상기 리모콘키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등록ID를 수신한 후 상기 등록ID가 상기 등록ID입력저장부에 상기 입력등록ID로 등록되어 있을 경우 상기 모터 구동부에 해정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도어록으로 이루어진 무선 아이디 인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도어록의 잠금장치 시정/해정 여부를 판단하여 시정상태일 경우 리모콘키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대기모드 변환단계; 사용자 접근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 접근시 상기 리모콘키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는 수신 대기단계; 상기 리모콘키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로부터 등록ID를 수신하는 등록ID 수신단계; 기 저장된 입력등록ID로부터 상기 등록ID 수신단계에서 수신한 등록ID를 검색하는 등록ID 검색단계; 및 상기 등록ID 검색단계에서 상기 등록ID가 검색되면 상기 도어록의 잠금장치를 해정하는 해정단계로 이루어진 무선 아이디 인식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제어방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키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3은 실외측에서 바라본 도어록의 정면도,
도 4는 실내측에서 바라본 도어록의 정면도,
도 5는 리모콘키 스위치 동작에 따른 무선 송신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타임 챠트,
도 6은 리모콘키의 등록ID를 도어록의 등록ID입력저장부에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타임 챠트,
도 7은 도어록 적외선 감지부 동작에 따른 도어록 무선 수신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타임 챠트,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적외선 감지부에 의한 잠금장치 해정/시정 과정을 나타낸 타임 챠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도어록 실외측에 형성된 버튼 누름신호에 의한 도어록의 잠금장치 해정/시정 과정을 나타낸 타임 챠트,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해정/시정 과정과 도어의 오픈/클로즈 과정을 나타낸 플로트 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도어록, 110: 무선 수신부,
120: 적외선 감지부, 122: 적외선 송신부,
124: 적외선 수신부, 130: 등록ID입력저장부,
135: 프로그램 저장부, 140: 전원 공급부,
150: 마이크로프로세서, 160: 저전압 감지부,
165: 잠금장치 시정/해정 감지부,
168: 도어 오픈/클로즈 감지부,
170: 멜로디 발생부, 180: 키입력부,
181: 등록ID 입력/삭제 버튼, 182: 비밀번호 입력/삭제 버튼,
183: 잠금장치 시정/해정 버튼, 184: 강제 잠금 온/오프 스위치,
185: 번호판, 186: 덮개,
187: 덮개 스위치, 188: 수동 레버,
190: 모터 구동부, 195: 모터,
200: 리모콘키, 210: 무선 송신부,
220: 등록ID저장부, 230: 프로그램 저장부,
240: 전원 공급부, 250: 마이크로프로세서,
260: 저전압 감지부, 270: 멜로디 발생부,
280: 스위치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무선 아이디 인식 기능이 있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록(100, 도 1참조)에서 무선 수신부(110, 도 1참조)가 수신 대기 상태에 있는 동안에 리모콘키(200, 도 2참조)의 무선 송신부(210, 도 2참조)로부터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등록ID를 수신한 경우 이 등록ID가 도어록(100)에 미리 입력하여 등록되어 있는 입력등록ID에서 검색되는지 판단후 검색되는 경우 도어록의 잠금장치를 해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대략적인 블럭도이다. 도어록(100)은 무선수신부(110), 적외선 감지부(120), 등록ID저장부(130), 프로그램 저장부(135), 전원 공급부(140), 마이크로프로세서(150), 저전압 감지부(160), 잠금장치 시정/해정 감지부(165), 도어 오픈/클로즈 감지부(168), 멜로디 발생부(170), 키입력부(180), 모터 구동부(190), 모터(19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어록(100)의 동작 전반에 대하여는 마이크로프로세서(150)가 제어하게 된다. 도어록(100)은 무선 송신부를 두고 있지는 않으며 무선 수신부(110)를 통하여 무선 수신만 이루어 지게 된다.
무선 수신부(1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50)와 연결되어 있으며,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로부터 송신되어지는 등록ID를 포함한 무선 신호를 수신용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조 및 디지털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적외선 감지부(1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50)와 연결되어 있으며, 적외선 송신부(122)와 적외선 수신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감지부(120)에는 적외선 센서(IR sensor)로서 이는 슬립(Sleep)-웨이크(Wake)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적외선 감지부(120)와 지나가는 인체사이의 감지거리는 적당한 거리(예를 들어, 5 m 이내)로 정하여 진다. 이는 지나치게 감지거리가 먼 경우에는 주변에 지나쳐 가는 인체에 대하여도 반응 하기 때문이며, 또한 감지거리가 짧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도어록의 잠금장치를 해정함에 있어서 근거리로 가야 하는바 도어록 실외측에서 대기하여야 하는 점이 있다. 여기에서 적외선 감지부(120)의 슬립-웨이크 모드의 반복주기를 길게 하면 전력손실 방지 차원에서 유리하나 감지에 실패한 경우에 총 감지시간이 길어지므로 적당한 시간 차이를 둔다.
적외선 송신부(122)는 적외선 드라이버와 이를 송신하는 송신부로 구성되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50)는 인체 감지를 위해 적외선 드라이버를 구동시키게 되고, 적외선 드라이버는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따라 송신부를 구동시키게 된다. 송신부는 구동이 되면 적외선을 투사하게 되는데, 이렇게 투사되는 적외선은 도어록(100) 근처를 지나는 인체에 의하여 반사하게 된다.
적외선 수신부(124)는 신호변환기와 적외선을 수신하는 수신부로 구성되어 있다. 인체에서 반사되는 적외선을 수신하고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이를 증폭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50)에 인체 감지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적외선 감지부(120)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다.
등록ID입력저장부(1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50)와 연결되어 있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수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리모콘키(200)의 등록ID를 입력등록ID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저장될 수 있는 입력등록ID는 적어도 1개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는 등록ID입력저장부(130)에 미리 ID등록코드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ID등록코드는 리모콘키(200)의 스위치가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바뀌는 경우 무선 송신부(210)로부터 최초 1회 송신되어지는 ID등록개시코드와 비교하는 정보가 된다. 미리 저장되어 있는 ID등록코드는 통상 하나가 저장되어 있다. 그러나 ID등록코드는 하나 이상일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ID등록코드는 실제 제품 제작시에 도어록(100)의 등록ID입력저장부(130)에 저장함으로써, 리모콘키(200)의 ID등록개시코드와 상호 일치시 리모콘키(200)의 등록ID 설정등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도어록(100)과 리모콘키(200)가 동일한 회사의 제품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ID입력저장부(130)에서의 메모리부분은 전원이 없을때에도 기록된 자료가 지워지지 않도록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이나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를 사용할 수 있다. 플래쉬 메모리는 블럭(block) 단위로 지울 수도 있고 수정할 수도 있는 것이, 바이트 단위로 지우거나 수정하는 EEPROM과는 다르다.
프로그램 저장부(135)는 마이크로프로세서(150)와 연결되어 있으며, 도어록(100)의 작동을 위한 각종의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부분이다. 프로그램 저장부(135)에서의 메모리부분은 전원이 없을때에도 기록된 자료가 지워지지 않도록 EEPROM이나 플래쉬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50)를 포함한 도어록(100)의 각 구성부분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부(140)에서는 배터리를 통하여 도어록(100)의 각 구성부분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배터리는 일반 건전지를 연결하여 전원을 얻을 수 있으며 별도의 외부 전원 장치가 필요하지 않게 설계 할 수 있다. 그러나 나아가 배터리의 형태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별도의 외부 전원 장치 또는 외부 충전 장치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 하도록 설계 할 수도 있다.
저전압 감지부(160)는 배터리의 전압이 일정 전압이하로 떨어져서 도어록(100)의 작동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 할 수 있는바, 배터리의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로 되는지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저전압 감지부(160)는 현재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 검출수단과 검출된 전압을 일정한 기준전압과 비교 판단하여 배터리가 저전압임을 판단하기 위한 비교수단으로 구성된다. 저전압 감지부(160)는 배터리의 전압이 저전압임이 판단되는 경우에는 저전압 감지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150)로 보내게 된다.
잠금장치 시정/해정 감지부(165)는 마이크로프로세서(150)와 연결되어 있으며, 현재 도어록(100)의 잠금장치가 시정되어 있는지 해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이는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어 오픈(open)/클로즈(close) 감지부(168)는 마이크로프로세서(150)와 연결되어 있으며, 센서로 구성되어 있고 도어의 오픈/클로즈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어 오픈/클로즈 감지부(168)는 일반적으로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하는데 도어의 틀 사이에 설치되어진 자석체의 자력을 감지하여 도어의 오픈/클로즈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판별된 도어 오픈/클로즈 감지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150)로 보내게 된다.
멜로디 발생부(17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50)와 연결되어 있으며, 저전압 감지부(160)의 저전압 감지 신호가 마이크로프로세서(150)로 보내지면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멜로디 발생부(170)에서 음의 발생은 부저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로 하여금 도어록(100)이 저전압임을 알 수 있도록 하여 적절한 조치(예컨대, 배터리 교환 등)를 취하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로부터송신되어진 등록ID가 도어록(100)의 등록ID입력저장부(130)에 저장된 입력등록ID에서 검색되는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따라 검색 발생음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멜로디 발생부(170)는 도어를 오픈/클로즈 하는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설계 할 수 있다.
키입력부(18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50)와 연결되어 있으며, 등록ID 입력/삭제 버튼(181), 비밀번호 입력/삭제 버튼(182), 잠금장치 시정/해정 버튼(183), 강제잠금 온(on)/오프(off) 스위치(184), 덮개 스위치(187)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키입력부(180)를 통한 버튼 누름 신호 또는 스위치 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150)로 보내지게 된다.
모터 구동부(19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50)와 연결되어 있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따라 모터(195)를 구동시키는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잠금장치 시정/해정 감지부(165)는 모터(195)의 구동 상태를 파악하여 도어록(100)의 잠금장치 시정/해정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키의 대략적인 블럭도이다. 리모콘키(200)는 무선 송신부(210), 등록ID저장부(220), 프로그램 저장부(230), 전원 공급부(240), 마이크로프로세서(250), 저전압 감지부(260), 멜로디 발생부(270), 스위치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리모콘키(200)의 동작 전반에 대하여는 마이크로프로세서(250)가 제어하게 된다. 리모콘키(200)는 무선 수신부를 두고 있지는 않으며 무선 송신부(210)를 통하여 무선 송신만 하게 된다.
무선 송신부(2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250)와 연결되어 있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250)의 제어에 의해 등록ID저장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리모콘키(200)의 ID등록개시코드 및 등록ID를 받아 각각의 신호에 대하여 변조 및 증폭의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을 거쳐서 얻어진 각각의 신호에 대한 해당하는 무선 주파수를 외부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등록ID저장부(2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250)와 연결되어 있으며, 리모콘키(200)의 ID등록개시코드 및 등록ID가 저장되어 있는 부분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250)의 추출명령에 따라 해당하는 ID등록개시코드와 등록ID를 마이크로프로세서(250)로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등록ID저장부(220)에서의 메모리부분은 전원이 없을 때에도 기록된 자료가 지워지지 않도록 EEPROM이나 플래쉬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2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250)와 연결되어 있으며, 리모콘키(200)의 작동을 위한 각종의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부분이다. 프로그램 저장부(230)에서의 메모리부분은 전원이 없을때에도 기록된 자료가 지워지지 않도록 EEPROM 이나 플래쉬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250)를 포함한 리모콘키(200)의 각 구성부분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부(240)에서는 배터리를 통하여 리모콘키(200)의 각 구성부분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배터리는 장기간동안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리튬 전지 2개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일반 건전지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구성 할 수 있다.
저전압 감지부(260)는 배터리의 전압이 일정 전압이하로 떨어져서 리모콘키(200)의 작동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 할 수 있는바, 배터리의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로 되는지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저전압 감지부(260)는 현재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 검출수단과 검출된 전압을 일정한 기준전압과 비교 판단하여 배터리가 저전압임을 판단하기 위한 비교수단으로 구성된다. 저전압임이 판단되는 경우에는 저전압 감지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250)로 보내게 된다.
멜로디 발생부(270)는 저전압 감지부(260)의 저전압 감지 신호가 마이크로프로세서(250)로 보내지면 마이크로프로세서(250)의 제어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멜로디 발생부(270)에서 음의 발생은 부저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로 하여금 리모콘키(200)가 저전압임을 알 수 있도록 하여 적절한 조치(예컨대, 배터리 교환 등)를 취하게 할 필요가 있다.
스위치부(280)는 리모콘키(200)의 일면에 위치하여 리모콘키(200)의 전원을 온/오프 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장거리 여행 등 당분간 리모콘키(200)의 사용이 없을 시에는 스위치를 오프시켜 전력소모를 줄여서 리모콘키(200)의 사용기간을 연장 할 수 있다. 스위치부(200)는 온(on)/오프(off) 스위치에 의할 수도 있으며, 비교적 동작시키기 용이한 택트(tact) 스위치에 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서는 ID등록개시코드를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럼으로써 등록ID저장부(220)에서는 ID등록개시코드는 저장되어 있지 않으며, 등록ID만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무선 송신부(210)에서는 ID등록개시코드는 송신되지 않으며, 등록ID 만이 송신되어 지게 된다. 이 경우에는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는 스위치부(280)가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바뀌는 경우에 최초 ID등록개시코드는 송출되지 않으며 등록ID가 주기적으로 송출되게 된다.
도 3은 실외측에서 바라본 도어록의 정면도, 도 4는 실내측에서 바라본 도어록의 정면도이다.
도어록(100)의 실외측에는 적외선 송신부(120), 적외선 수신부(125), 번호판(185), 덮개(186), 덮개 스위치(18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덮개(186)는 적외선 송신부(120)와 적외선 수신부(125)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데, 덮개(186)를 상부로 슬라이딩시키면 그 내부에 형성된 번호판(185)이 있다. 또한 번호판(185)은 덮개(186)없이 바로 도어록(100)의 실외측에 개방되어 형성되어 질 수도 있다.
번호판(185)중에 형성되어 있는 여러 가지 버튼 중에서 소정의 버튼을 단축버튼(예를 들어, #버튼)으로 정하여, 이와 같은 단축버튼을 누름으로써 생성되는 단축버튼 누름 신호를 통하여 도어록(100)의 실외측에 사용자가 있음을 감지 할 수 있다. 또는 번호판(185) 중에서 임의의 하나의 버튼(예를 들어, 숫자 6 버튼 또는 * 버튼)을 누른 경우에 임의의 버튼 누름 신호를 통하여 도어록(100)의 실외측에 사용자가 있음을 감지 할 수도 있다. 어느 형태를 취하느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부분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150)는 단축버튼 누름 신호 또는 임의의 버튼 누름 신호를 감지하여 도어록(100)의 실외측에 사용자가 있음을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번호판(185)에서의 임의의 버튼 또는 소정의 버튼은 사용자 감지 수단의 하나로써, 적외선 감지부(120)에 의하여 사용자를 감지 하지 않고 번호판(185)에서의 임의의 버튼 또는 소정의 버튼누름 신호에 의하여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덮개(186)를 설치한 경우에는 덮개의 슬라이딩시키는 위치 상부측 내부에는 덮개 스위치(187)를 장착할 수 있는데, 덮개(186)를 상부로 올리는 경우 덮개 스위치(187)가 온상태로 되며 덮개(186)를 하부로 내리는 경우에 덮개 스위치(187)는 오프상태가 되도록 설치한다. 덮개(186)를 상부로 올림으로써 덮개 스위치(187)가 온상태가 되는 경우에 온상태 신호를 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50)는 도어록(100)의 실외측에 사용자가 있음을 감지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덮개 스위치(187)는 사용자 감지 수단의 하나로써, 적외선 감지부(120)에 의하여 사용자를 감지 하지 않고 덮개 스위치(187)의 온상태 신호에 의하여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번호판(185)에 형성된 버튼들을 순차적으로 누름으로써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50)는 미리 도어록(100)에 저장되어진 비밀번호와 비교후 상호 일치시 잠금장치 해정을 제어 할 수도 있다.
도어록(100)의 실내측에는 등록ID 입력/삭제 버튼(181), 비밀번호 입력/삭제 버튼(182), 잠금장치 시정/해정 버튼(183), 강제잠금 온/오프 스위치(184), 수동레버(188)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등록ID 입력/삭제 버튼(181)은 리모콘키(200)의 등록ID를 도어록(100)의 등록 ID입력저장부(130)에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저장되어 있는 리모콘키(200)의 등록ID를 삭제하고자 하는 이를 눌러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 버튼을 약1초간 누르고 있고, 삭제 하는 경우에는 약 3초간 누르고 있게 하여 입력/삭제 여부를 구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과 관련되어서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비밀번호 입력/삭제 버튼(182)은 도어록(100)의 비밀번호를 도어록(100)의 비밀번호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를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를 눌러서 사용할 수 있다. 이 버튼을 누르고 난 후 미리 정하여진 소정의 방법으로 도어록(100)의 실외측에 구성된 번호판을 눌러서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 버튼을 약 1초간 누르고 있고,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약 3초간 누르고 있게 하여 입력/삭제 여부를 구별할 수 있다. 이 방법과 관련되어서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잠금장치 시정/해정 버튼(183)은 사용자가 실내측에서 도어록(100)의 잠금장치를 시정하거나 해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를 눌러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장치 시정/해정 버튼(183)을 통하여 잠금장치를 해정하고자 하는 경우 버튼을 한 번 눌러 주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의해 잠금장치는 해정되고, 다시 해정되어 있는 잠금장치를 시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버튼을 한번 눌러 줌으로써 잠금장치는 시정되게 된다. 이와같이, 잠금장치 시정/해정 버튼(183)은 마이크로프로세서(150)가 잠금장치 시정/해정 감지부(168)로부터 현재 잠금장치 상태를 파악한후 시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정으로, 해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정으로 변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방법과 관련되어서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잠금장치 시정/해정 버튼(183)을 구분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강제잠금 온/오프 스위치(184)는 사용자가 이 스위치를 온상태로 한 경우에 강제잠금모드가 된다. 강제잠금모드인 경우에는 외부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아이디 인식 기능이 있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의하거나 또는 비밀번호 입력에 의하여도 도어록을 해정할 수 없게 된다. 여기에서 강제잠금 온/오프 스위치(184)는 좌우로 이동하여 온(on)/오프(off)하는 온/오프 스위치 형태일 수도 있으며 버튼식으로도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수동 레버(188)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좌우 또는 상하의 일정한 각도로 회전이 가능한 레버를 돌림으로써, 수동으로 도어록(100)의 잠금장치를 시정/해정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리모콘키 스위치 동작에 따른 무선 송신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타임 챠트이다.
(a)단계에서는 리모콘키(200) 스위치가 오프상태에 있다가 온상태로 바뀌는시점이다. 이 시점에는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는 아직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상태이다.
(b)단계에서는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시점으로, ID등록개시코드가 송신되는 시점이다.
이와 같은 ID등록개시코드는 리모콘키(200)의 스위치가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바뀌었을 경우에 최초로 보내지는 신호로서, ID등록개시코드 뒤에 나오는 등록ID를 도어록(100)의 등록ID입력저장부(120)에 등록시키게 하도록 하는 신호이다. 또한 이와 같은 ID등록개시코드는 리모콘키(200)와 도어록(100)이 동일한 회사 제품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서로 호환 가능한 회사의 제품의 경우에 ID등록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a)단계에서 (b)단계까지의 구간은 사용자가 리모콘키(200) 스위치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바꾸고 난 후 리모콘키(200)가 무선 송신을 하기 전까지의 시간 지연 구간이다.
(c)단계에서는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로부터 등록ID 송신이 개시되는 시점이다.
이 등록 ID는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에 수신되는 경우 첫째 등록ID입력저장부(120)에 등록될 수 있고, 둘째 미리 등록ID입력저장부(120)에 저장된 입력등록ID와 비교되어 도어록(100)의 잠금장치 해정 여부를 판별하는 정보가 된다.
(b)단계와 (c)단계사이의 구간에서는 리모콘키(200)의 ID등록개시코드가 송신되는 구간이다.
(d)단계에서는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를 통한 무선 송신 동작이 정지하는 시점이다.
(c)단계와 (d)단계사이의 구간에서는 리모콘키(200)의 등록ID가 송신되는 구간이다.
(e)단계에서는 다시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의 동작이 개시되는 시점이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ID등록개시코드는 송신되어 지지 않고, 등록ID 만이 무선 송신부(210)에 의하여 송신되어지게 된다.
(d)단계와 (e)단계사이의 구간에서는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를 통한 무선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간이다.
이후의 단계에서는 리모콘키(200)의 스위치부(280)가 계속 온상태로 있을 경우에는 리모콘키(200)는 주기적으로 등록ID를 외부로 송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로부터 온상태로 바뀌는 경우 최초 1회의 ID등록개시코드와 주기적인 등록ID가 송신되는 것을 보였지만,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리모콘키(200)에서 ID등록개시코드는 송신되지 않고 등록ID만 송신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리모콘키(200)의 스위치를 온 시킨 경우에도 (b)단계와 (c)단계사이의 구간, 즉 ID등록개시코드가 송신되는 구간은 나타나지 않게 된다. 또한, 리모콘키(200)의 등록ID저장부(220)에는 ID등록개시코드는 저장되어 있지 않으며 등록ID만 저장되어 있게 된다. 이 경우 등록은 등록ID가 도어록(100)에 등록하기 적합한 코드로 오는 경우에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따라 등록ID입력저장부(130)에 저장되게 된다.
도 6은 리모콘키의 등록ID를 도어록의 등록ID입력저장부에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타임 챠트이다. 사용자는 리모콘키(200)의 등록ID를 도어록(100)의 등록ID입력저장부(130)에 등록시켜야 한다. 리모콘키(200)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바꾸는 경우에 마이크로프로세서(250)의 제어에 따라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를 통하여 최초 1회의 ID등록개시코드와 주기적인 등록ID가 송신되게 된다.
(f)단계에서는 도어록(100)의 실내측에 위치한 등록ID 입력/삭제 버튼(181)을 누름으로써 무선 수신부(110)가 무선 수신 대기를 하기 시작하는 시점이다.
등록ID 입력버튼(181)을 누르기 전에는 무선 수신부(110)는 무선 수신 대기 상태가 이루어 지고 있지 않다.
(g)단계에서는 리모콘키 1의 스위치가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바뀌는 시점이다.
(h)단계에서는 리모콘키 1의 스위치가 온상태로 바뀜으로써 리모콘키 1의 무선 송신부를 통하여 ID등록개시코드를 송신하기 시작하는 시점이다.
(i)단계에서는 리모콘키 1의 등록ID를 송신하기 시작하는 시점이다.
(h)단계와 (i)단계사이의 구간에서는 리모콘키 1의 ID등록개시코드가 송신되는 구간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150)는 무선 수신부(110)를 통하여 이를 수신하게 되는데 이 수신 ID등록개시코드와 등록ID입력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ID등록코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색하게 된다.
(j)단계에서는 리모콘키 1의 스위치는 온이 되어 있으나 리모콘키 1의 무선 송신부를 동작을 정지하는 시점이다.
(i)단계와 (j)단계사이의 구간에서는 리모콘키 1의 등록ID가 송신되는 구간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150)는 리모콘키(200)의 ID등록개시코드가 등록ID입력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ID등록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리모콘키(200)로부터 송신되는 등록ID를 등록ID입력저장부(13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k)단계에서는 리모콘키 1의 스위치가 오프상태로 바뀌는 시점이다. 리모콘키 1의 스위치가 오프상태로 됨으로써 리모콘키 1의 무선 송신부에서의 등록ID 송신도 중단되게 된다.
(j)단계와 (k)단계 사이의 구간은 리모콘키 1의 무선 송신부를 통한 등록ID 송신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구간이다.
(l)단계에서는 리모콘키 2가 리모콘키 1과 같이 상기 (h)단계를 수행하는 시점이다. 이후에는 리모콘키 1과 같이 하나 이상의 리모콘키(200)의 등록ID를 도어록(100)에 저장시키는 과정이 반복되게 된다.
그리고 모든 리모콘키(200)의 등록ID를 등록ID입력저장부(130)에 저장하고 난 후에는 ID등록 입력버튼(181)을 다시 한 번 누름으로써 리모콘(100)에 리모콘키(200)의 등록ID를 등록시키는 과정이 종료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로부터 온상태로 바뀌는 경우 최초 1회의 ID등록개시코드와 주기적인 등록ID가 송신되는 것을 보였지만,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리모콘키(200)에서 ID등록개시코드는 송신되지 않고 등록ID만 송신 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리모콘키(200)의 스위치를 온 시킨 경우에도 (g)단계와 (h)단계사이의 구간, 즉 ID등록개시코드가 송신되는 구간은 나타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등록은 등록ID가 도어록(100)에 등록하기 적합한 코드로 오는 경우에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따라 등록ID입력저장부(130)에 저장되게 된다. 또한, 리모콘키(200)로부터 주기적인 등록ID가 송신되어지는바, 이미 도어록(100)의 등록ID입력저장부(130)에 리모콘키(200)의 등록ID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복적으로 저장되지 않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150)는 이를 제어하게 된다.
도 7은 도어록 적외선 감지부 동작에 따른 도어록 무선 수신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타임 챠트이다.
(m)단계에서는 적외선 송신부(122)에서 적외선을 투사하기 시작하는 시점이다. (m)단계 이전에는 적외선 송신부(122)는 일정한 주기로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따라 송신부를 구동시켜서 적외선을 투사하고 있다.
(n)단계에서는 적외선 송신부(122)에서 투사한 적외선이 인체에 의하여 반사하여 적외선 수신부(124)에 감지되기 시작하는 시점이다. 그러나 아직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는 무선 수신 대기하고 있지 않고 있다.
(o)단계에서는 적외선 수신부(124)를 통한 인체 감지신호가 마이크로프로세서(150)로 전달되어 무선 수신부(110)가 작동하기 시작하는 시점이다.
(n)단계와 (o)단계사이의 구간은 적외선 수신부(124)를 통하여 인체를 감지한 시점부터 무선 수신부(110)가 수신을 대기하기 전까지의 시간 지연 구간으로, 이 구간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150)는 적외선 수신부(124)의 인체 감지신호를 받아서 무선 수신부(110)에 수신을 대기하는 명령을 내리는 구간이다.
(o)단계 이후에서는 무선 수신부(110)에서는 수신 대기 명령을 받고 일정한 시간동안 수신 대기를 하고 있게 된다.
(p)단계에서는 적외선 송신부(122)에서의 적외선 투사가 종료되는 시점이다. 이 시점에서 적외선 수신부(124)에서는 계속 인체에서 반사된 적외선을 수신하고 있으며 무선 수신부(110)는 계속 수신 대기상태로 있다.
(q)단계에서는 적외선 수신부(124)에서의 적외선 수신이 종료되는 시점이다. 이 시점에서 무선 수신부(110)는 계속 수신 대기상태로 있다.
(p)단계와 (q)단계사이의 구간은 적외선 송신부(122)에서의 적외선 투사가 종료한 시점부터 적외선 수신부(124)에서의 적외선 수신이 종료하는 시점까지의 시간 지연 구간이다.
(r)단계에서는 무선 수신부(110)가 수신 대기를 하고 있다가 일정 시간(예를 들어, 3초) 경과 할 동안 마이크로프로세서(150)에 리모콘키(200)의 등록ID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수신부(110)를 슬립상태로 바꾸게 되는 시점이다.
(q)단계와 (r)단계 사이의 구간은 무선 수신부(110)는 동작하고 있으나, 적외선 송신부(122)와 적외선 수신부(124)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
(s)단계에서는 다시 적외선 송신부(122)를 통한 적외선 투사가 개시되는 시점이다.
(r)단계와 (s)단계사이의 구간은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수신부(110)가 슬립상태로 바뀌는 시점부터 적외선 송신부(122)가 다시 적외선을 투사하기 까지의 시간지연구간이다. 이와 같이 적외선 송신부(122)를 무선 수신부(110)가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슬립상태로 바뀌면 다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도어록(100)의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후에는 일정한 주기로 적외선 송신부(122)는 적외선을 투사하며, 적외선 수신부(124)는 인체에서 반사되는 적외선이 있는 경우에 이를 수신하게 된다. 적외선 수신부(124)에 의한 인체감지 신호를 수신한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의해,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는 일정한 시간동안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로부터 등록ID 송신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수신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일정시간 경과 후에도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로부터 등록ID 송신이 없는 경우에는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는 작동을 멈추고 슬립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여기에서는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가 일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리모콘키(200)의 등록ID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대한 설명이나, 다음 도 8에서 보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가 리모콘키(200)의 등록ID를 수신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적외선 감지부에 의한 잠금장치 해정/시정 과정을 나타낸 타임 챠트이다.
(a')단계에서는 적외선 송신부(122)에서 한주기 적외선을 투사하기 시작하는 시점이다. (a')단계 이전에는 리모콘키(200)는 온상태에 있음으로써, (a')단계 이전에는 무선 송신부(210)는 일정한 주기로 리모콘키(200)의 등록ID를 외부로 송신하고 있다고 본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어록(100)의 잠금장치 해정 과정에서 리모콘키(200)가 온상태가 되어 있지 않으면 리모콘키(200)의 등록ID를 외부로 송신하지 못하는바 도어록(100)의 잠금장치 해정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어록(100)의 적외선 송신부(122)는 일정한 주기로 적외선을 투사하고 있다. 여기에서 무선 송신부(210)에서의 등록ID 송신 주기와 적외선 송신부(122)에서의 적외선 송신 주기는 상호 불일치 할 수 있다.
(b')단계에서는 적외선 송신부(122)에서 적외선을 투사하고 있으나 아직 인체에서 반사된 적외선이 적외선 수신부(124)에 수신되어 지지 않고 있으며,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는 한주기 등록ID를 송신하기 시작하는 시점이다.
(c')단계에서는 적외선 송신부(122)에서 투사한 적외선이 인체에 의하여 반사하여 적외선 수신부(124)에 적외선이 감지하기 시작하는 구간이다. 그러나 아직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는 수신대기 상태로 작동하고 있지는 않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에서 등록ID 송신 시점이 (a')단계와 (c')단계의 사이이지만 이는 임의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그 시점은 (a')단계 전이거나 (c')단계 후일수도 있으며 (a')단계와 동일 또는 (c')단계와 동일 시점일수도 있다.
(d')단계에서는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는 웨이크(wake)되어서 수신 대기상태로 바뀌는 구간이다. 이 시점부터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는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로부터 송신되는 등록ID를 수신하게 된다. 여기에서 등록ID를 수신하고 있으나 완전한 등록ID를 수신하고 있지는 않다.
(e')단계에서는 적외선 송신부(122)에서의 한주기 적외선 투사가 종료되는 시점이다. 이 시점에서 적외선 수신부(124)에서는 인체에서 반사된 적외선을 수신하고 있으며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는 계속 수신 대기상태로 있어서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로부터 송신되어 지는 등록ID를 수신하고 있다.
(f')단계에서는 적외선 수신부(124)의 적외선 수신이 종료되는 시점이다. 이 시점에서 무선 수신부(110)는 계속 수신 대기상태로 있어서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로부터 송신되어 지는 등록ID를 수신하고 있다.
(g')단계에서는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로부터 한주기 등록ID 송신이 종료되는 시점이다. 이 시점에서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는 계속 수신 대기상태로 있게 된다.
여기에서 무선 수신부(110)를 통하여 리모콘키(200)의 등록ID는 일부 수신하였으나 완전한 등록ID를 수신하지는 못했다. 그럼으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의한 잠금장치 해정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도어록(100)의 잠금장치의 해정은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로부터 송신되어지는 등록ID와 미리도어록(100)의 등록ID입력저장부(130)에 저장된 등록ID가 상호 일치하는 경우에만 이루어지게 된다.
(h')단계에서는 무선 송신부(210)에서의 한주기 등록ID 송신이 다시 이루어지기 시작하는 시점이다. 이 시점에서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는 계속 수신 대기상태로 있게 된다.
(i')단계에서는 무선 송신부(210)에서의 한주기 등록ID 송신이 종료되는 시점이다. 이 시점에서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는 계속 수신 대기상태로 있게 된다.
(j')단계에서는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의 수신 대기상태가 슬립모드로 바뀌는 시점이다.
(i')단계와 (j')단계사이의 구간은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를 통하여 송출되는 완전한 등록ID를 무선 수신부(110)를 통하여 수신한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의해 무선 수신부(110)를 슬립모드로 바꾸는 명령을 내리는 구간이다.
(k')단계에서는 도어록(100)의 잠금장치가 해정되기 시작하는 시점이다. 도어록(100)의 잠금장치의 해정은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의하여 모터구동부(190)의 구동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j')단계와 (k')단계사이의 구간은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로부터 송신되어지는 완전한 등록ID가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에 수신되어 도어록(1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50)를 통하여 모터구동부(190)를 구동하는 시간지연을 나타낸다.
(l')단계에서는 도어 오픈/클로즈 감지부(168)에 의하여 도어가 오픈되었음을 감지하는 시점이다. 여기에서는 사용자가 도어를 오픈함으로써 마그네틱으로 되어있는 도어 오픈/클로즈 감지부(168)가 이를 감지하는 것이다.
(k')단계와 (l')단계에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지연이 있을 수 있다.
(m')단계에서는 도어 오픈/클로즈 감지부(168)에 의하여 도어가 클로즈되었음을 감지하는 시점이다. 여기에서는 사용자가 도어를 클로즈함으로써 마그네틱으로 되어있는 도어 오픈/클로즈 감지부(168)가 이를 감지하는 것이다.
(n')단계에서는 잠금장치 시정/해정 감지부(165)를 통하여 잠금장치가 시정되었음을 감지하는 시점이다.
(m')단계와 (n')단계사이의 구간은 일정한 시간 지연이다. 이 구간은 도어가 클로즈 되었음을 감지하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후에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의해 모터 구동부(190)를 구동시키는 명령을 내리는 구간이다.
(o')단계에서는 다시 적외선 송신부(122)를 통한 적외선 투사가 개시되는 시점이다.
여기에서는 도 7과는 달리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가 웨이크모드로 동작하고 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무선 수신부(110)를 통하여 등록ID를 수신함으로써 슬립모드로 되었는바 여기에서는 적외선 송신부(122)에서의 적외선 투사는 잠금장치가 해정후 다시 시정되고 난 이후부터 이루어지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도어록 실외측에 형성된 버튼 누름신호에 의한 도어록의 잠금장치 해정/시정 과정을 나타낸 타임 챠트이다.
(p')단계에서는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는 한주기 등록ID를 송신하기 시작하는 시점이다. (p')단계 이전에는 리모콘키(200)는 온상태에 있으며 무선 송신부(210)는 일정한 주기로 리모콘키(200)의 등록ID를 외부로 송신하고 있다. 반면에, 리모콘키(200)가 (p')단계 이전에 온상태가 되어 있지 않으면 리모콘키(200)는 등록ID를 외부로 송신하지 못하게 된다.
(q')단계에서는 도어록(100)의 실외측에 설치되어 미리 정하여진 소정의 단축버튼(미도시)이 눌려지는 시점이다. 그러나 아직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는 수신대기 상태로 작동하고 있지는 않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에서 등록ID 송신 시점이 (q')단계 전에 있지만 이는 임의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그 시점은 (q')단계 후일수도 있으며 (q')단계와 동일한 시점일수도 있다.
(r')단계에서는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는 수신 대기상태로 바뀌는 구간이다. 이 시점부터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는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로부터 송신되는 등록ID를 수신하게 된다. 여기에서 등록ID를 수신하고 있으나 완전한 등록ID를 수신하고 있지는 않다.
(q')단계와 (r')단계사이의 구간은 도어록(100)의 단축버튼을 누른 시점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의해 무선 수신부(110)의 수신 대기상태까지의 시간 지연 구간이다.
(s')단계에서는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로부터 한주기 등록ID 송신이 종료되는 시점이다. 이 시점에서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는 계속 수신 대기상태로 있게 된다.
여기에서 무선 수신부(110)를 통하여 리모콘키(200)의 등록ID는 일부 수신하였으나 완전한 등록ID를 수신하지는 못했다. 그럼으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의한 잠금장치 해정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도어록(100)의 잠금장치의 해정은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로부터 송신되어지는 등록ID와 미리 도어록(100)의 등록ID입력저장부(130)에 저장된 등록ID가 상호 일치하는 경우에만 이루어지게 된다.
(t')단계에서는 도어록(100)의 단축 버튼 입력 신호가 종료되는 시점이다.
여기에서 도어록(100)의 단축 버튼 입력 신호 종료시점은 (r')단계 전일 수도 있으며 (r')단계와 (s')단계 사이일 수도 있으면 (r')단계 또는 (s')단계와 동일한 시점일 수도 있다.
(u')단계에서는 무선 송신부(210)에서의 한주기 등록ID 송신이 개시되는 시점이다. 이 시점에서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는 계속 수신 대기상태로 있게 된다.
(v')단계에서는 무선 송신부(210)에서의 한주기 등록ID 송신이 종료되는 시점이다. 이 시점에서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는 계속 수신 대기상태로 있게 된다.
(w')단계에서는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의 수신 대기상태가 슬립모드로 바뀌는 시점이다.
(v')단계와 (w')단계사이의 구간은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를 통하여 송출되는 완전한 등록ID를 무선 수신부(110)를 통하여 수신한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의해 무선 수신부(110)를 슬립모드로 바꾸는 명령을 내리는 구간이다.
(x')단계에서는 도어록(100)의 잠금장치가 해정되기 시작하는 시점이다. 도어록(100)의 잠금장치의 해정은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의하여 모터구동부(190)의 구동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w')단계와 (x')단계사이의 구간은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로부터 송신되어지는 완전한 등록ID가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에 수신되어 도어록(1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50)를 통하여 모터 구동부(190)를 구동하는 시간지연을 나타낸다.
(y')단계에서는 도어 오픈/클로즈 감지부(168)에 의하여 도어가 오픈되었음을 감지하는 시점이다. 여기에서는 사용자가 도어를 오픈함으로써 마그네틱센서로 되어있는 도어 오픈/클로즈 감지부(168)가 이를 감지하는 것이다.
(x')단계와 (y')단계에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지연이 있을 수 있다.
(z')단계에서는 도어 오픈/클로즈 감지부(168)에 의하여 도어가 클로즈되었음을 감지하는 시점이다. 여기에서는 사용자가 도어를 클로즈함으로써 마그네틱으로 되어있는 도어 오픈/클로즈 감지부(168)가 이를 감지하는 것이다.
(z'')단계에서는 잠금장치 시정/해정 감지부(165)를 통하여 잠금장치가 시정되었음을 감지하는 시점이다.
(z')단계와 (z'')단계사이의 구간은 일정한 시간 지연이다. 이 구간은 도어가 클로즈 되었음을 감지하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후에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의해 모터 구동부(190)를 구동시키는 명령을 내리는 구간이다.
이후에서는 다시 도어록(100) 실외측에 형성된 버튼의 누름 신호가 있는지 여부에 의하여 사용자를 감지하는 여부를 대기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잠금장치의 해정/시정 과정과 도어의 오픈/클로즈 과정을 나타낸 플로트 챠트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어록(1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50)가 이 과정을 제어하게 된다.
단계S10에서는 잠금장치 시정/해정 감지부(165)를 통하여 현재 도어록(100)의 잠금장치가 시정되었는지 해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10의 판단결과, 잠금장치가 시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S20으로 진행하여 대기 모드로 변환한다. 한편, 단계S10의 판단결과 잠금장치가 해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S90으로 점프하여 진행하게 된다.
대기 모드 상태에서는 적외선 감지부(120)만 작동하여 도어록(100)의 실외측에 인체를 감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적외선 감지부(120)만 작동함으로써 도어록(100)의 전원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또는 대기 모드 상태에서는 도어록(100)의 실외측 덮개(185)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번호판 중에서 미리 정하여진 소정의 단축버튼 누름 감지 여부에만 전원을 사용하여 전력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일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30으로 진행하여 적외선 감지부(120)를 통하여 사용자 접근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접근 검출여부는 적외선 송신부(122)를 통하여 투사되는 적외선이 인체에 반사되어 적외선 수신부(124)로 수신되는지 여부로 판단하게 된다. 또는 도어록(100)의 실외측 덮개(185)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번호판중에서 미리 정하여진 소정의 버튼(단축버튼) 또는 임의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사용자 접근 검출이 가능할 수 있다.
단계S30에서의 판단결과, 사용자의 접근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 단계S30이 진행하게 된다. 한편, 단계S30에서의 판단결과, 사용자의 접근이 검출되어 인체 감지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S40으로 진행하여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는 수신대기 상태로 되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S50으로 진행하여 리모콘키(200)의 무선 송신부(210)를 통하여 송신되어지는 등록ID를 수신대기 상태에 있는 도어록(100)의 무선 수신부(110)에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50에서의 판단결과, 리모콘키(200)의 등록ID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단계S55로 진행하여 일정시간 경과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55의 판단결과, 일정시간이 경과 하지 못한 경우 단계S40으로 리턴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단계S30으로 리턴하여 진행한다. 한편, 단계S50에서의 판단결과 리모콘키(200)의 등록ID를 수신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S60으로 진행하여 미리 저장된 입력등록ID에 등록I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60에서의 판단결과, 검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40으로 리턴하여 진행한다. 한편, 단계S60에서의 판단결과 등록ID 검색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단계S70으로 진행하여 멜로디 발생부(170)를 통하여 검색 발생음을 출력한다. 여기에서 검색 발생음 출력 여부는 선택적인 사항으로 단계S60에서 바로 단계S80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검색 발생음을 출력 시키는 것이 아니라 도어록(100)의 실외측에 별도의 발광다이오드(미도시)를 설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도어록(100)의 잠금장치가 동작하였음을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80으로 진행하여 모터 구동부(190)를 구동시켜 모터(195)를 통하여 도어록(100)의 잠금장치를 해정시킨다.
여기에서 단계S70과 단계S80은 동시에 일어 날 수 도 있는바, 도어록(100)의 잠금장치를 해정시키면서 검색 발생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계S90으로 진행하여 도어 오픈/클로즈 감지부(168)를 통하여 도어가 오픈(open)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90에서의 판단결과, 도어가 오픈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S95로 진행하여 일정시간 경과 하였는지 판단한다. 한편, 단계S95에서의 판단결과 일정시간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S120으로 진행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의해 도어록(100)의 잠금장치를 시정시켜 다시 잠김모드로 변환하게 된다.
한편, 단계S90에서의 판단결과, 도어가 오픈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S100으로 진행하여 단계S90에서 오픈 되었던 도어가 다시 클로즈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100에서의 판단결과 도어가 클로즈 되었다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단계S100을 반복하고, 단계S100에서의 판단결과 도어가 클로즈 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S110으로 진행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110에서의 판단결과, 일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S110을 반복하여 일정 시간 경과할 때 까지 대기하게 된다. 한편, 단계S110에서의 판단결과, 도어가 클로즈되고 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단계S120으로 진행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제어에 의해 도어록(100)의 잠금장치를 시정시켜 다시 잠김모드로 변환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 아이디 인식 기능이 있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도어록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모콘키의 등록ID는 무선으로 송신되어 도어록의 잠금장치 해정을 하는바, 사용자에게 있어서 별도의 수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도어록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각종 편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둘째, 도어록의 전력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록이 시정되어 있는 대기모드상태에서는 리모콘키의 등록ID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수신부의 동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만 도어록의 실외측에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감지부 또는 도어록의 실외측에 설치한 단축버튼 누름 감지여부만 동작이 이루어짐으로써 도어록의 전력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셋째, 도어록이 해정되는 시간이 비교적 짧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외선 수신부로부터 인체를 감지하는 시점부터 도어록이 해정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이루어진다. 그럼으로써, 사용자는 도어록을 해정하기 위하여 실외에서 대기하는 시간이 줄어들거나 또는 대기하는 시간이 없이 바로 도어를 오픈하면서 실내로 들어올 수 있게 된다.
넷째, 리모콘키 분실시 보안상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키를 분실한 경우에는 이의 복제에 의하여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나, 리모콘키를 분실한 경우에는 바로 리모콘키 등록ID를 삭제하여 분실 리모콘키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배터리가 저전압 상태로 되는 경우 이를 경보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모콘키 또는 도어록의 배터리가 일정 전압이하로 떨어지면 저전압 감지부를 통하여 이를 감지 후 멜로디 발생부를 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0)

  1. 등록ID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리모콘키; 와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여 사용자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감지부;
    상기 리모콘키로부터 송출되는 등록ID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리모콘키로부터 등록ID를 입력받아 입력등록ID로 설정등록하여 저장하는 등록ID입력저장부;
    잠금장치를 시정/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모터 구동부; 및
    상기 사용자 감지부로부터 사용자 감지신호를 수신할 경우 무선 수신부를 동작시켜 상기 리모콘키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등록ID를 수신한 후 상기 등록ID가 상기 등록ID입력저장부에 상기 입력등록ID로 등록되어 있을 경우 상기 모터 구동부에 해정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도어록으로 이루어진 무선 아이디 인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키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에는 상기 등록ID를 상기 도어록의 입력등록ID로 설정등록 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ID등록개시코드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등록ID입력저장부에는 상기 리모콘키로부터 수신한 ID등록개시코드에 대응하는 ID등록코드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아이디 인식 기능을 잦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키는
    전원을 온/오프 하는 스위치부;
    등록ID를 저장하는 등록ID저장부;
    상기 등록ID를 무선 주파수 신호로 송출하는 무선송신부; 및
    상기 스위치부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등록ID저장부의 등록ID를 상기 무선송신부를 통해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아이디 인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키는
    전원을 온/오프 하는 스위치부;
    ID등록개시코드와 등록ID를 저장하는 등록ID저장부;
    상기 ID등록개시코드와 등록ID를 무선 주파수 신호로 송출하는 무선송신부; 및
    상기 스위치부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등록ID저장부의 ID등록개시코드와 등록ID를 상기 무선송신부를 통해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아이디 인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
    상기 사용자 감지부는 상기 도어록의 실외측에 형성된 적외선 감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아이디 인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감지부는 상기 도어록의 실외측에 형성된 번호판에서 임의의 번호버튼 또는 소정의 번호버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아이디 인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감지부는 상기 도어록의 실외측에 형성된 덮개의 내부에 형성된 덮개 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아이디 인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8. 도어록의 잠금장치 시정/해정 여부를 판단하여 시정상태일 경우 리모콘키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대기모드 변환단계;
    사용자 접근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 접근시 상기 리모콘키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는 수신 대기단계;
    상기 리모콘키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로부터 등록ID를 수신하는 등록ID 수신단계;
    기 저장된 입력등록ID로부터 상기 등록ID 수신단계에서 수신한 등록ID를 검색하는 등록ID 검색단계; 및
    상기 등록ID 검색단계에서 상기 등록ID가 검색되면 상기 도어록의 잠금장치를 해정하는 해정단계로 이루어진 무선 아이디 인식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등록ID는
    상기 도어록의 등록ID 입력/삭제 버튼을 선택하는 선택단계;
    상기 리모콘키로부터 등록ID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통해 상기 도어록의 등록ID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아이디 인식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제어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등록ID는
    상기 도어록의 등록ID 입력/삭제 버튼을 선택하는 선택단계;
    상기 리모콘키의 전원 스위치를 온하는 경우 송신되는 ID등록개시코드를 수신한 후 상기 ID등록개시코드로부터 허가된 리모콘키 신호인지를 검색하는 검색단계; 및
    상기 검색단계에서 허가된 리모콘키 신호로 검색되면 상기 리모콘키로부터 등록ID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통해 상기 도어록의 등록ID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아이디 인식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제어방법.
KR10-2003-0042950A 2003-06-28 2003-06-28 무선 아이디 인식 기능이 있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522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950A KR100522031B1 (ko) 2003-06-28 2003-06-28 무선 아이디 인식 기능이 있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및 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950A KR100522031B1 (ko) 2003-06-28 2003-06-28 무선 아이디 인식 기능이 있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및 그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943A true KR20050001943A (ko) 2005-01-07
KR100522031B1 KR100522031B1 (ko) 2005-10-14

Family

ID=3721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950A KR100522031B1 (ko) 2003-06-28 2003-06-28 무선 아이디 인식 기능이 있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및 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20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545B1 (ko) * 2006-04-10 2007-09-20 주식회사 코웰테크 응용장치 잠금 및 위치 인식 시스템
KR100885544B1 (ko) * 2007-03-07 2009-02-26 (주)대양디앤티 근접 센서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제어방법
KR101479764B1 (ko) * 2014-05-20 2015-01-07 지티앤피주식회사 아이디 자동등록기능을 가지는 모터싸이클용 스마트 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68141A (ko) * 2014-12-05 2016-06-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버튼 접근 사전 감지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545B1 (ko) * 2006-04-10 2007-09-20 주식회사 코웰테크 응용장치 잠금 및 위치 인식 시스템
KR100885544B1 (ko) * 2007-03-07 2009-02-26 (주)대양디앤티 근접 센서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제어방법
KR101479764B1 (ko) * 2014-05-20 2015-01-07 지티앤피주식회사 아이디 자동등록기능을 가지는 모터싸이클용 스마트 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68141A (ko) * 2014-12-05 2016-06-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버튼 접근 사전 감지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2031B1 (ko) 200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8257A (en) Keyless vehicle entry system employing portable transceiver having low power consumption
US8077011B2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nitiating sequence of vehicle functions
US20070120645A1 (en) On-vehicle equipment control system
US20070008088A1 (en) A multipower passive entry fob
WO2005020007A3 (en) Keyless entry module and method
JPH0544367A (ja) 遠隔操作装置
JP2001254549A (ja) 制御装置
TWM506183U (zh) 門禁系統
US5940001A (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for controlling locking/unlocking operation of key
KR100522031B1 (ko) 무선 아이디 인식 기능이 있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및 그제어방법
KR20050010546A (ko) 보안모드 설정 기능을 가진 무선 아이디 인식 디지털도어록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571257A (ja) 基地局の機能を制御する遠隔制御装置
KR100666071B1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절전형 출입문 개폐시스템
JP4369625B2 (ja) 施錠/解錠システム及び施錠/解錠方法
KR102323784B1 (ko) Rf 신호를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키 도어락 시스템
KR20040106668A (ko) 절전형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100534305B1 (ko) 차량의 무선도어 잠금장치
KR20000074031A (ko) 무선 주파수 키를 이용한 전자식 도어 개폐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4458688B2 (ja) 施錠/解錠システム及び施錠/解錠方法
JP2005141394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US12008851B2 (en) Method for unlocking a lock using real-time wireless power supply
JP2004133797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における警戒モードの切替方法
JPH09296638A (ja) 電気錠装置
US20230343157A1 (en) Method for Unlocking a Lock Using Real-Time Wireless Power Supply
KR100422775B1 (ko) 현관출입용 자동잠금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