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1810A - 접힘이 가능한 바퀴를 갖는 신발 - Google Patents

접힘이 가능한 바퀴를 갖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1810A
KR20050001810A KR1020030042146A KR20030042146A KR20050001810A KR 20050001810 A KR20050001810 A KR 20050001810A KR 1020030042146 A KR1020030042146 A KR 1020030042146A KR 20030042146 A KR20030042146 A KR 20030042146A KR 20050001810 A KR20050001810 A KR 20050001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hoe
wheel
plate
wh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최상희
최병헌
권영만
최민영
Original Assignee
(주)에스이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이레 filed Critical (주)에스이레
Priority to KR1020030042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1810A/ko
Publication of KR20050001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81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8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retractable wheel, i.e. movable relative to the chassis out of contact from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1)에 바퀴가 형성되어 인라인 스케이트 기능을 갖는 신발 구조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신발(1)에 바퀴가 형성되어 인라인 스케이트 기능을 갖는 신발 구조에 있어서, 지지판(4)과, 상기 지지판(4)의 측부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바퀴(2)와 그 바퀴(2)를 고정하는 축(8) 및 브라켓(7)을 포함하는 힌지판(6)과, 상기 힌지판(6)의 일단에 형성되어 힌지판(6)을 선회시키는 힌지(3)와, 상기한 힌지판(6)을 신발의 바닥에서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퀴는, 신발(1)의 전후방에 2 개 설치되며, 상기한 힌지(3)의 한 측부에는 힌지(3)와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 2 힌지축(11)을 더 포함하며, 상기한 고정 수단은, 신발(1)의 지지판(4)에는 체결편(22)을 형성하고, 상기한 힌지판(6)에는 고정핀(21)을 형성하여, 고정핀(21)이 상기한 체결편(22)에 고정되게 하며, 상기한 지지판(4)의 측부엔 스프링(23)을 포함하는 버튼(5)을 형성하여, 버튼(5)의 삽입에 의하여 상기한 체결편(22)의 고정핀(21) 물림을 해제하도록 구성하며, 상기한 힌지판(6)의 선단부는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한 힌지(3)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며, 또한 상기한 고정 수단은, 지지판(4)이 자성을 가지며, 이에 부착되는 힌지판6)은 철재질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힘이 가능한 바퀴를 갖는 신발{shoes possible to fold wheels}
본 발명은 접힘이 가능한 바퀴를 갖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바퀴가 있는 신발로는 신발의 굽 부위에 하나의 바퀴가 달린 것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그 바퀴가 하나이어서 사용자가 익숙하기 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신발의 선단을 들고 타야 하므로 사용자가 불편한 단점잉 있다
또 그러한 사용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많은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신발은 바퀴가 작고 하나이어서 그 이동 속도가 떨어지고, 또한 바닥면이 심하게 불규칙한 면에서는 타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인라인 스케이트같이 속도감과 안전성을 구비하고, 또한 간편하게 접을 수 있는 구조의 바퀴가 있는 신발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한 구성예
도 2 는 도 1 의 "a" 방향에서 본 평면 구성도로 그 상태에서 힌지판(6)을 힌지(3)에서 분해 하여 본 상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에 장칙되는 바퀴를 전방으로 접은 후 2 차로 측방으로 접는 상태를 보여 주는 도면
도 4 는 바퀴가 신발의 저부에 고정되는 상태를 보여 주기 위한 설명도
도 5 는 상기한 도 4 에 의거 체결된 바퀴를 신발의 측부에서 해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발(1)에 바퀴가 형성되어 인라인 스케이트 기능을 갖는 신발 구조에 있어서, 지지판(4)과, 상기 지지판(4)의 측부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바퀴(2)와 그 바퀴(2)를 고정하는 축(8) 및 브라켓(7)을 포함하는 힌지판(6)과, 상기 힌지판(6)의 일단에 형성되어 힌지판(6)을 선회시키는 힌지(3)와, 상기한 힌지판(6)을 신발의 바닥에서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퀴는, 신발(1)의 전후방에 2 개 설치되며, 상기한 힌지(3)의 한 측부에는 힌지(3)와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 2 힌지축(11)을 더 포함하며, 상기한 고정 수단은, 신발(1)의 지지판(4)에는 체결편(22)을 형성하고, 상기한 힌지판(6)에는 고정핀(21)을 형성하여, 고정핀(21)이 상기한 체결편(22)에 고정되게 하며, 상기한 지지판(4)의 측부엔 스프링(23)을 포함하는 버튼(5)을 형성하여,버튼(5)의 삽입에 의하여 상기한 체결편(22)의 고정핀(21) 물림을 해제하도록 구성하며, 상기한 힌지판(6)의 선단부는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한 힌지(3)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며, 또한 상기한 고정 수단은, 지지판(4)이 자성을 가지며, 이에 부착되는 힌지판6)은 철재질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힌지판(6)의 선단엔 제 3 힌지(31)를 형성하고, 이 제 3 힌지(31)에 브라켓(7), 축(8) 및 바퀴(2)를 연결하여,제 3 힌지(31)에서 1 번 더 꺽을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특징 외의 다른 추가적인 특징과 구성에 대하여 이하, 이해가 쉽게 첨부 도면과 함께 추가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접힘이 가능한 바퀴를 장착한 신발에 대한 측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신발(1)의 전후에 바퀴(2)를 설치하였다. 이 바퀴(2)는 힌지(3)를 중심으로 전후로 접힘이 가능하다
신발(1)의 전후 바닥면에는 지지판(4)을 일정 길이 설치한다
이 지지판(4) 아래에는 바퀴(2)가 고정 설치된다
이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단의 구조는 후술한다
또한 바퀴(2)를 도면과 같이 설치하여 신발(1)을 신고 주행하다가 바퀴를 힌지(3)를 중심으로 앞으로 제끼고자 할 경우엔 버튼(5)을 눌러 바퀴(2)와 지지판(4) 사이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여 선회시킨다
힌지(3)는 힌지판(6)과 연결되어 있고 힌지판(6)에는, 바퀴(2)를 지지하기위한 축(8)과 브라켓(7)이 설치된다
도 2 는 도 1 을 " a "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 그 상태에서 힌지(3)에서 힌지판(6)을 분리한 상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판(6)과 그 힌지판(6)에 일체로 설치된 바퀴(2) 조립체를 필요에 따라 분리할 수 있게 만들 수도 있다
도 2 에서 힌지판(6)은 2 차로 "b" 방향으로 선회 시킬 수 있다. 즉, 제 2 힌지축(11)을 중심으로 직각으로 꺽을 수 있다. 그러면 도 3 과 같이 꺽여진 상태가 된다
도 4 는 도 1 에서 힌지판(6)이 지지판(4)에 고정되는 것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판(6)에는 그 선단부에 지지판(4)으로 향하는 예들들어 화살형의 고정핀(21)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고정핀(21)을 탄성적으로 잡아 주는 체결편(22)을 지지판(4) 위에 일체로 형성하여 둔다. 그리하여 고정핀(21)을 삽입하였을 경우, 체결편(22)이 벌어 지면서 도면과 같이 고정핀(21)이 고정되어 쉽게 빠져 나오지 못하고 물리게 된다
이러한 체결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도 5 에 도시되었다
도 1 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1)의 측면에 버튼(5)을 형성시켜 이 버튼(5)을 누르면 고정핀(21)이 해제된다
버튼(5)은 그 축에 스프링(23)이 형성되어 있고 버튼(5)의 끝단은 체결편(22)을 벌릴 수 있는 예들들어, 화살형의 벌림 가능한 구조가 되어 버튼(5)을 누르면 체결편(22)이 벌어지게 만든다. 이와 같이 벌어진 상태에서 즉,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바퀴(2)을 아래로 내려 당기면 고정핀(21)이 체결편(22)에서 쉽게 해제되어 바퀴(2)를 전방으로 펼칠 수 있다.
상기한 체결 구성 즉 고정 수단은 다른 예로도 할 수 있다
예들들어 지지판(4)을 자석으로 만들고 힌지판(6)을 자석에 붙을 수 있는 철재질로 만들 경우, 상술한 복잡한 체결 구조가 필요 없이 자석에 의한 부착력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도 6 은 본 고안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퀴(2)의 폭이 큰 롤러 형상으로 만들었다. 이 경우, 어린이 등이 안전하게 탈 수 있는 구조이다. 힌지판(6)은 전체적으로 상면 면적이 넓은 판상으로 만들거나 또는 도면과 같이, 얇은 직선형으로 만들수도 있다
이런 구조에서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은 제 2 힌지축(11)의 구조가 없이 만들며, 바퀴를 타지 않을 경우엔, 도 7 과 같이 270도 정도 회전 시킨 상태에 의하여 바퀴(2)가 고정되게 한다.
여기서 신발의 선단에 브레이크(3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브레이크는 고무 등의 재질로 만들어 고정하며 브레이크 잡을 경우에 사용된다
이 브레이크(30)에 의해 바퀴를 즉 신발의 굽 위를 눌러서 고정할때 더욱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뒷바퀴의 경우엔 뒤로 더 제꼈을 경우 그 제껴지는 동작에 따라 힌지(3) 자체가 그 회전을 제어하는 구조로 만들어서, 도 7 과 같이 제껴진 상태로도 고정이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앞바퀴의 경우도 힌지(3)에서 그러한 회전 제어가 가능한 구조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축상에서의 회전 정도에 따라 회전이 제한되게 하는 구조는 공지된 힌지 구조로 얼마든지 나와 있는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 이를 구조적으로 굳이 한정하여 그 구조를 표현 할 필요는 없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판(6)의 선단에 또 다른 제 3 힌지(31)를 형성하고 이 제 3 힌지(31)에 브라켓(7)과 바퀴(2)와 축(8)이 형성되게 한다
그리하여 도면과 같이, 힌지(3)에서 꺽은 후, 2 차로 제 3 힌지(31)에서 한번 더 꺽어 도 8 과 같은 상태로 만들어 걸을 수 있다.
도 9 는 뒷바퀴를 앞선 도 8 과 같이 2 단으로 꺽는 과정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이런 구조에서는 앞뒤 바퀴 모두 2 단으로 꺽어 신발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길게 형성시키면 걷을때 바퀴로 인해 걷기 불편함을 해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고 이러한 본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의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인라인 스케이트와 같이 타고 다니다가 필요시 전방으로 꺽거나 또는 2 차로 측방으로 꺽어 주면 일반 신발과 같이 걸을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신발의 힐에 바퀴가 하나 있는 종래의 것에 비해 사용자가 쉽게 탈 수있고, 신발의 선단을 힘을 주고 들 필요 없이 편안하게 탈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줄이고, 이동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바닥면이 불규칙한 면에서도 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신발(1)에 바퀴가 형성되어 인라인 스케이트 기능을 갖는 신발 구조에 있어서,
    지지판(4)과,
    상기 지지판(4)의 측부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바퀴(2)와 그 바퀴(2)를 고정하는 축(8) 및 브라켓(7)을 포함하는 힌지판(6)과,
    상기 힌지판(6)의 일단에 형성되어 힌지판(6)을 선회시키는 힌지(3)와,
    상기한 힌지판(6)을 신발의 바닥에서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이 가능한 바퀴를 갖는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퀴는, 신발(1)의 전후방에 2 개 설치되며, 상기한 힌지(3)의 한 측부에는 힌지(3)와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 2 힌지축(1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접힘이 가능한 바퀴를 갖는 신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 수단은, 신발(1)의 지지판(4)에는 체결편(22)을 형성하고, 상기한 힌지판(6)에는 고정핀(21)을 형성하여, 고정핀(21)이 상기한 체결편(22)에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이 가능한 바퀴를 갖는 신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판(4)의 측부엔 스프링(23)을 포함하는 버튼(5)을 형성하여, 버튼(5)의 삽입에 의하여 상기한 체결편(22)의 고정핀(21) 물림을 해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이 가능한 바퀴를 갖는 신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힌지판(6)의 선단부는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한 힌지(3)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이 가능한 바퀴를 갖는 신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 수단은, 지지판(4)이 자성을 가지며, 이에 부착되는 힌지판6)은 철재질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이 가능한 바퀴를 갖는 신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힌지판(6)의 선단엔 제 3 힌지(31)를 형성하고, 이 제 3 힌지(31)에 브라켓(7), 축(8) 및 바퀴(2)를 연결하여,제 3 힌지(31)에서 1 번 더 꺽을 수 있게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이 가능한 바퀴를 갖는 신발
KR1020030042146A 2003-06-26 2003-06-26 접힘이 가능한 바퀴를 갖는 신발 KR200500018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146A KR20050001810A (ko) 2003-06-26 2003-06-26 접힘이 가능한 바퀴를 갖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146A KR20050001810A (ko) 2003-06-26 2003-06-26 접힘이 가능한 바퀴를 갖는 신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118U Division KR200330173Y1 (ko) 2003-07-05 2003-07-05 접힘이 가능한 바퀴를 갖는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810A true KR20050001810A (ko) 2005-01-07

Family

ID=37217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146A KR20050001810A (ko) 2003-06-26 2003-06-26 접힘이 가능한 바퀴를 갖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18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8450A1 (ko) * 2015-05-07 2016-11-10 이영주 신발용 롤러 모듈 및 이를 갖는 바퀴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8450A1 (ko) * 2015-05-07 2016-11-10 이영주 신발용 롤러 모듈 및 이를 갖는 바퀴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3469A (en) In-line skate with collapsible wheel assembly
ATE333309T1 (de) Rollschuhe mit verbessertem aussehen und funktion als laufschuhe
DE69318262T2 (de) Rollschuh mit Bremsvorrichtung
AU2015371760A1 (en) Scooter
US20050116430A1 (en) Turnable wheeled skate
EP0599043A2 (en) Braking device on a rollerskate
ATE228875T1 (de) Snowboardbindung
ATE324316T1 (de) Fahrradpedal
KR20050001810A (ko) 접힘이 가능한 바퀴를 갖는 신발
KR200330173Y1 (ko) 접힘이 가능한 바퀴를 갖는 신발
ATE320372T1 (de) Fahrradpedal
EP0681857B1 (en) Braking device particularly for skates
US7377524B2 (en) Roller skate
JP3223072U (ja) スクータ
DE69507371D1 (de) Rollschuh mit einer Bremsvorrichtung
EP0781579B1 (en) Roller skate
WO2005032909A3 (en) Snow sled
EP0908209B1 (en) Inline skate
KR20200023771A (ko) 레포츠신발장치
US20030214109A1 (en) Miniature skateboard
KR200327755Y1 (ko) 접힘이 가능한 밑창을갖는 롤러신발
KR200308217Y1 (ko) 인라인 스케이트
KR100522768B1 (ko) 롤러장치를 구비한 신발
GB2368324A (en) Scooter provided with means to enhance manoeuverability thereof
JP3104366U (ja) 靴べら兼用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