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771A - 레포츠신발장치 - Google Patents

레포츠신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771A
KR20200023771A KR1020180100142A KR20180100142A KR20200023771A KR 20200023771 A KR20200023771 A KR 20200023771A KR 1020180100142 A KR1020180100142 A KR 1020180100142A KR 20180100142 A KR20180100142 A KR 20180100142A KR 20200023771 A KR20200023771 A KR 20200023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oupled
unit
front wheel
s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헬스앤스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헬스앤스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헬스앤스릴
Priority to KR1020180100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3771A/ko
Publication of KR20200023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16Skating boots
    • A43B5/1608Skating boots size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86Roller skates adjustable in length to fit the size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포츠신발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발이 안착되며 상기 신발 사이즈에 따라 X축 방향의 길이가 조절되는 안착유닛, 상기 안착유닛의 전방 하부와 힌지결합되는 힌지유닛, 일단이 상기 안착유닛의 전방 하부와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힌지유닛의 하부와 결합되는 탄성부, 상기 힌지유닛과 결합되며 회전하여 상기 안착유닛 및 상기 힌지유닛을 이동시키는 앞바퀴유닛, 및 상기 안착유닛의 후방 하부와 결합되며 회전하여 상기 안착유닛을 이동시키는 뒷바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포츠신발장치{SHOE DEVICE FOR LEPORTS}
본 발명은 레포츠신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퀴가 구비된 신발은 신발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바퀴를 장착하여 신발을 신고 걷는 대신에 장착된 바퀴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도로를 활주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롤러 스케이트, 인라인 스케이트, 바퀴달린 신발 등이 있다.
롤러 스케이트나 인라인 스케이트는 특정 신발 본체의 저면에 바퀴 조립체가 고정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활주를 즐기기 위해서는 일반 신발 이외에 별도의 스케이팅용 신발을 항상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별도의 스케이팅용 신발이 아닌 일반 신발을 이용하여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는 신발이 필요하다.
바퀴달린 신발은 신발 뒷축에 바퀴가 결합되어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바퀴달린 신발은 평상시 일반적인 신발로서 착화하여 보행하면서 뒷축의 바퀴를 이용한 롤링동작으로 스케이팅 등의 스포츠와 액션을 즐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 바퀴달린 신발은 바퀴가 뒷축 저부에 결합되어 바퀴의 롤링작동에 의한 스케이팅을 제공하는 것이지만 바퀴가 단순히 전후로만 회전작동하여 단순한 스케이팅 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다양한 액션과 더욱 역동적이고 활발한 액션감과 스포츠감으로 폭 넓은 동작기능의 놀이를 즐기고자 욕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종래의 바퀴달린 신발, 인라이스케이트, 스카이콩콩, 자전거 등 기존 레포츠 제품은 단순하게 주행만을 즐기거나 점프만을 즐기는 한 가지 특화된 기능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빠른 싫증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레포츠 제품은 신발 사이즈가 정해져 있어 가족 구성원 등이 함께 즐기기 위해서는 별도로 여러 개를 구매해야 하거나 어린이들이 자라게 되면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변화하는 다양한 최근 트렌드인 스피드, 스릴, 운동, 및 재미 등을 동시에 갖춘 다양한 기능의 제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0364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착유닛, 힌지유닛, 탄성부, 및 바퀴유닛 등을 이용하여 소정 범위에서 신발 사이즈와 무관하게 누구나 이용할 수 있고 하나의 장치에서 진행과 점프가 가능한 레포츠신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포츠신발장치는 신발이 안착되며 상기 신발 사이즈에 따라 X축 방향의 길이가 조절되는 안착유닛, 상기 안착유닛의 전방 하부와 힌지결합되는 힌지유닛, 일단이 상기 안착유닛의 전방 하부와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힌지유닛의 하부와 결합되는 탄성부, 상기 힌지유닛과 결합되며 회전하여 상기 안착유닛 및 상기 힌지유닛을 이동시키는 앞바퀴유닛, 및 상기 안착유닛의 후방 하부와 결합되며 회전하여 상기 안착유닛을 이동시키는 뒷바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유닛은, 상기 안착유닛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힌지유닛과 결합되는 제1 바닥, 및 상기 제1 바닥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안착유닛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뒷바퀴유닛과 결합되는 제2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닥부는, 상기 제2 바닥부측으로 개구된 제1 연결홈을 포함하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연결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일측이 상기 제1 몸체부와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닥부는, 상기 연결부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 바닥부측으로 개구된 제2 연결홈을 포함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에 삽입된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2 몸체부를 결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타측이 상기 제2 연결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2 몸체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안착유닛의 X축 방향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안착유닛은, 상기 제1 바닥부와 결합되며 상기 신발의 앞부분을 수용하는 오목한 곡면을 포함하는 전방수용부, 및 상기 제2 바닥부와 결합되며 상기 신발의 뒷부분이 안착되며 곡면을 포함하는 후방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유닛은, 힌지축부, 상기 안착유닛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상부힌지부, 상기 힌지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상부힌지부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앞바퀴유닛이 결합되는 제1 하부힌지부, 및 상기 힌지축부에 삽입결합되며 상측이 상기 안착유닛에 접촉되며 하측이 상기 제1 하부힌지부에 접촉되어 상기 안착유닛을 지지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유닛은, 좌힌지축부, 상기 좌힌지축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가상의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우힌지축부, 상기 안착유닛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좌힌지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좌상부힌지부, 상기 제2 좌상부힌지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안착유닛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우힌지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우상부힌지부, 상기 제2 좌상부힌지부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좌힌지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앞바퀴유닛이 결합되는 제2 좌하부힌지부, 상기 제2 좌하부힌지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2 우상부힌지부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우힌지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앞바퀴유닛이 결합되는 제2 우하부힌지부, 상기 제2 좌하부힌지부 및 상기 제2 우하부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좌하부힌지부의 일부와 제2 우하부힌지부의 일부를 결합하는 하부힌지연결부, 상기 좌힌지축부에 삽입결합되며 상측이 상기 안착유닛과 접촉되고 하측이 상기 제2 좌하부힌지부와 접촉되어 상기 안착유닛을 지지하는 좌스프링부, 및 상기 좌스프링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우힌지축부에 삽입결합되며 상측이 상기 안착유닛과 접촉되고 하측이 상기 제2 우하부힌지부와 접촉되어 상기 안착유닛을 지지하는 우스프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앞바퀴유닛은, 상기 힌지유닛과 결합되는 앞바퀴지지부, 상기 앞바퀴지지부를 Y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앞바퀴축부, 및 상기 앞바퀴축부가 관통되며 상기 앞바퀴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앞바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앞바퀴부는, 좌앞바퀴부, 및 상기 좌앞바퀴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우앞바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앞바퀴지지부는, 상기 좌앞바퀴부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좌앞바퀴지지부, 및 상기 좌앞바퀴지지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우앞바퀴부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우앞바퀴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앞바퀴축부는, 상기 좌앞바퀴지지부와 결합되는 좌앞바퀴축부, 및 상기 우앞바퀴지지부와 결합되며, 상기 좌앞바퀴축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가상의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우앞바퀴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뒷바퀴유닛은, 상기 안착유닛 후방 하부와 결합되며 대칭되는 형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뒷바퀴지지부, 한 쌍의 상기 뒷바퀴지지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뒷바퀴축부, 및 상기 뒷바퀴축부가 관통되며 상기 뒷바퀴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뒷바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포츠신발장치는 상기 안착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신발을 결속하는 결속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제1 바닥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바닥부의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1 힌지결합부, 한 쌍의 상기 제1 힌지결합부와 결합되며 상기 신발을 결속하는 제1 결속부, 상기 제2 바닥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2 바닥부의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2 힌지결합부, 및 한 쌍의 상기 제2 힌지결합부와 결합되며 상기 신발을 결속하는 제2 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결속부는 벨크로 또는 탄성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기존제품은 단순하게 주행만을 하거나 점프기능만을 하는 한 가지 기능을 제공하나 본 발명은 안전하게 주행과 스릴의 점프를 동시에 병행할 수 있어 재미가 있고 칼로리 소비를 증가시켜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신발을 착탈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발 사이즈에 맞춰 안착유닛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방수용부와 후방안차부는 사용자가 주행하거나 점프 등을 할 때 사용자의 신발이 앞뒤로 안착유닛을 벗어나지 못하게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고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힌지유닛에 좌우 2개의 스프링부를 배치하여 주행을 가능하게 하고, 앞바퀴유닛에 대한 탄성축으로 탄성부를 배치하여 주행과 점프를 병행하게 하는 2중 탄성 구조로 구성을 효율화하여 가볍게 휴대할 수 있다.
앞바퀴유닛이 뒷바퀴유닛보다 높게 제작되고 역삼각형구조로 배치되어 안정감을 확보하고 앞바퀴부는 두 개로 구성하여 균형감을 유지함으로써 발목에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포츠신발장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포츠신발장치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포츠신발장치 일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포츠신발장치 일실시예의 연결부 이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포츠신발장치 일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포츠신발장치 다른 실시예의 힌지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포츠신발장치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포츠신발장치(9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포츠신발장치(900)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포츠신발장치(900)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포츠신발장치(900) 일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포츠신발장치(900) 일실시예의 연결부(115) 이동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포츠신발장치(900)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레포츠신발장치(900)는 안착유닛(100), 힌지유닛(200), 탄성부(300), 앞바퀴유닛(400), 뒷바퀴유닛(500), 결속유닛(6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포츠신발장치(900)는 신발(10)이 안착되며 신발(10) 사이즈에 따라 X축 방향의 길이가 조절되는 안착유닛(100), 안착유닛(100)의 전방 하부와 힌지결합되는 힌지유닛(200), 일단이 안착유닛(100)의 전방 하부와 결합되며 타단이 힌지유닛(200)의 하부와 결합되는 탄성부(300), 힌지유닛(200)과 결합되며 회전하여 안착유닛(100) 및 힌지유닛(200)을 이동시키는 앞바퀴유닛(400), 및 안착유닛(100)의 후방 하부와 결합되며 회전하여 안착유닛(100)을 이동시키는 뒷바퀴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유닛(100)은, 안착유닛(100)의 전방에 위치되며 힌지유닛(200)과 결합되는 제1 바닥부(110), 및 제1 바닥부(1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안착유닛(100)의 후방에 위치되어 뒷바퀴유닛(500)과 결합되는 제2 바닥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바닥부(110)는, 제2 바닥부(120)측으로 개구된 제1 연결홈(112)을 포함하는 제1 몸체부(111), 및 제1 연결홈(112)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일측이 제1 몸체부(111)와 결합되는 연결부(115)를 포함하며, 제2 바닥부(120)는, 연결부(115)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제1 바닥부(110)측으로 개구된 제2 연결홈(122)을 포함하는 제2 몸체부(121), 및 제2 몸체부(121)에 삽입된 연결부(115)와 제2 몸체부(121)를 결합하는 고정부(125)를 포함하고, 연결부(115)는 타측이 제2 연결홈(122)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2 몸체부(121)에 결합됨으로써 제1 몸체부(111)와 제2 몸체부(121)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안착유닛(100)의 X축 방향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안착유닛(100)은, 제1 바닥부(110)와 결합되며 신발(10)의 앞부분을 수용하는 오목한 곡면을 포함하는 전방수용부(130), 및 제2 바닥부(120)와 결합되며 신발(10)의 뒷부분이 안착되며 곡면을 포함하는 후방안착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착유닛(100)은 안착되는 신발(10)의 사이즈에 따라 X축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것으로, 길이가 조절되어 소정 범위에서 사용자의 신발(10) 크기와 무관하게 신발(10)을 안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바닥부(110, 120), 전방수용부(130), 및 후방안착부(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바닥부(110)는 안착유닛(100)의 전방에 위치되며 후술하는 힌지유닛(200)과 결합되는 것으로, 신발(10)의 바닥 부분과 접촉되어 신발(10)의 앞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몸체부(111), 및 연결부(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부(111)는 제1 바닥부(110)의 본체를 이루는 것으로, 내부에 후술하는 제2 바닥부(120) 방향으로 개구된 제1 연결홈(1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부(115)는 일측이 제1 연결홈(112)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이 후술하는 제2 연결홈(122)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일측이 제1 몸체부(111)와 결합되고 타측이 제2 몸체부(121)와 결합되어 제1 바닥부(110)와 제2 바닥부(12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안착유닛(100)의 X축 방향 길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바닥부(120)는 제1 바닥부(1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안착유닛(100)의 후방에 위치되어 뒷바퀴유닛(500)과 결합되는 것으로, 신발(10)의 바닥 부분과 접촉되어 신발(10)의 뒷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2 몸체부(121), 및 고정부(12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몸체부(121)는 제2 바닥부(120)의 본체를 이루는 것으로, 내부에 제1 바닥부(110) 방향으로 개구된 제2 연결홈(12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25)는 제2 몸체부(121)에 삽입된 연결부(115)의 타측과 제2 몸체부(121)를 결합하는 것으로, 연결부(115)를 제2 몸체부(121)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수용부(130)는 제1 바닥부(110)와 결합되며 신발(10)의 앞부분 형태와 대응하는 오목한 곡면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신발(10)의 앞부분을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후방안착부(140)는 제2 바닥부(120)와 결합되며 신발(10)의 뒷부분 형태와 대응하는 곡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신발(10)의 뒷부분을 안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7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수용부(130)와 후방안착부(140)는 사용자가 주행하거나 점프 등을 할 때 사용자의 신발(10)이 앞이나 뒤로 안착유닛(100)을 벗어나지 못하게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고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포츠신발장치(900) 일실시예의 저면도이다.
힌지유닛(200)은, 좌힌지축부(250), 좌힌지축부(25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가상의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우힌지축부(251), 안착유닛(100)과 일체로 형성되며 좌힌지축부(25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좌상부힌지부(260), 제2 좌상부힌지부(26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안착유닛(100)과 일체로 형성되며 우힌지축부(25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우상부힌지부(261), 제2 좌상부힌지부(260) 하측에 위치되어 좌힌지축부(25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앞바퀴유닛(400)이 결합되는 제2 좌하부힌지부(270), 제2 좌하부힌지부(27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2 우상부힌지부(261) 하측에 위치되며 우힌지축부(25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앞바퀴유닛(400)이 결합되는 제2 우하부힌지부(271), 제2 좌하부힌지부(270) 및 제2 우하부힌지부(271)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2 좌하부힌지부(270)의 일부와 제2 우하부힌지부(271)의 일부를 결합하는 하부힌지연결부(280), 좌힌지축부(250)에 삽입결합되며 상측이 안착유닛(100)과 접촉되고 하측이 제2 좌하부힌지부(270)와 접촉되어 안착유닛(100)을 지지하는 좌스프링부(290), 및 좌스프링부(29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우힌지축부(251)에 삽입결합되며 상측이 안착유닛(100)과 접촉되고 하측이 제2 우하부힌지부(271)와 접촉되어 안착유닛(100)을 지지하는 우스프링부(291)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유닛(200)은 안착유닛(100)의 제1 바닥부(110)와 힌지결합되고 후술하는 탄성부(300) 및 앞바퀴유닛(400)과 결합되는 것으로, 탄성부(300) 및 제1 바닥부(1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좌힌지축부(250), 우힌지축부(251), 제2 좌상부힌지부(260), 제2 우상부힌지부(261), 제2 좌하부힌지부(270), 제2 우하부힌지부(271), 하부힌지연결부(280), 좌스프링부(290), 및 우스프링부(29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좌힌지축부(250)는 Y축 방향으로 왼편에 위치되며 후술하는 제2 좌상부힌지부(260)와 제2 좌하부힌지부(270)가 결합되는 것으로, 제2 좌상부힌지부(260)와 제2 좌하부힌지부(270)가 회전되는 기준축 역할을 할 수 있다. 우힌지축부(251)는 Y축 방향으로 오른편에 위치되며 후술하는 제2 우상부힌지부(261)와 제2 우하부힌지부(271)가 결합되는 것으로, 제2 우상부힌지부(261)와 제2 우하부힌지부(271)가 회전되는 기준축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우힌지축부(251)는 좌힌지축부(25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가상의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좌상부힌지부(260)는 Y축 방향으로 왼편에 위치되어 안착유닛(100)의 제1 바닥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좌힌지축부(25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좌힌지축부(25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우상부힌지부(261)는 제2 좌상부힌지부(26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Y축 방향으로 오른편에 위치되는 것으로, 안착유닛(100)의 제1 바닥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우힌지축부(25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우힌지축부(251)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좌하부힌지부(270)는 제2 좌상부힌지부(260) 하측에 위치되어 좌힌지축부(25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좌힌지축부(25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후술하는 앞바퀴유닛(400)은 제2 좌하부힌지부(270)의 하부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우하부힌지부(271)는 제2 좌하부힌지부(27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2 우상부힌지부(261) 하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우힌지축부(25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우힌지축부(251)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후술하는 앞바퀴유닛(400)은 제2 우하부힌지부(271)의 하부와 결합될 수 있다.
하부힌지연결부(280)는 제2 좌하부힌지부(270)와 제2 우하부힌지부(27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2 좌하부힌지부(270)의 일부와 제2 우하부힌지부(271)의 일부를 결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하부힌지연결부(280)는 좌힌지축부(250)와 결합되는 방향의 제2 좌하부힌지부(270) 부분과 우힌지축부(251)와 결합되는 방향의 제2 우하부힌지부(271) 부분 사이에 홈이 형성되도록 제2 좌하부힌지부(270)와 제2 우하부힌지부(271)의 X축 방향으로 전방 측을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스프링부(290)는 좌힌지축부(250)에 삽입결합되며 상측이 안착유닛(100)과 접촉되고 하측이 제2 좌하부힌지부(270)와 접촉되는 것으로, 안착유닛(100)과 제2 좌하부힌지부(270) 사이에 위치되어 안착유닛(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우스프링부(291)는 좌스프링부(29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우힌지축부(251)에 삽입결합되는 것으로, 상측이 안착유닛(100)과 접촉되고 하측이 제2 우하부힌지부(271)와 접촉되도록 안착유닛(100)과 제2 우하부힌지부(271) 사이에 배치되어 안착유닛(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좌스프링부(290) 및 우스프링부(291)는 비틀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안착유닛(100)과 하부힌지부(270, 271) 사이에 2 개의 스프링부(240, 290, 291)가 배치되어 구조적으로 좀더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안착유닛(100)을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300)는 일단이 안착유닛(100)의 제1 바닥부(110)와 결합되며 타단이 힌지유닛(200) 하부와 결합되는 것으로, 안착유닛(100)의 제1 바닥부(110)를 지지하고 안착유닛(100)과 후술하는 앞바퀴유닛(400)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점핑을 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7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부(300)는 사용자가 뒷꿈치를 들고 점프를 하거나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탄성부(300)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7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탄성부(300)는 하부힌지연결부(280)의 상부와 결합되거나 제2 좌하부힌지부(270), 하부힌지연결부(280), 및 제2 우하부힌지부(271)의 상부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탄성부(300)는 앞바퀴유닛(400)에 대한 탄성축으로 작용하여 사용자의 주행과 점프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앞바퀴유닛(400)은, 힌지유닛(200)과 결합되는 앞바퀴지지부(410), 앞바퀴지지부(410)를 Y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앞바퀴축부(420), 및 앞바퀴축부(420)가 관통되며 앞바퀴축부(42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앞바퀴부(430)를 포함하며, 앞바퀴부(430)는, 좌앞바퀴부(431), 및 좌앞바퀴부(43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우앞바퀴부(432)를 포함하고, 앞바퀴지지부(410)는, 좌앞바퀴부(431)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좌앞바퀴지지부(411), 및 좌앞바퀴지지부(41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우앞바퀴부(432)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우앞바퀴지지부(412)를 포함하며, 앞바퀴축부(420)는, 좌앞바퀴지지부(411)와 결합되는 좌앞바퀴축부(421), 및 우앞바퀴지지부(412)와 결합되며, 좌앞바퀴축부(42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가상의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우앞바퀴축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앞바퀴유닛(400)은 힌지유닛(20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안착유닛(100)과 힌지유닛(200)을 지지하고 회전하여 안착유닛(100)과 힌지유닛(20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앞바퀴지지부(410), 앞바퀴축부(420), 및 앞바퀴부(4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앞바퀴지지부(410)는 힌지유닛(200)과 결합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앞바퀴축부(420)가 결합되어 앞바퀴축부(420)와 결합되어 회전 이동되는 앞바퀴부(4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좌앞바퀴지지부(411)와 우앞바퀴지지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좌앞바퀴지지부(411)는 제2 좌하부힌지부(270)의 하부와 결합되며 후술하는 좌앞바퀴부(431) 양측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좌앞바퀴축부(421)가 Y축 방향으로 결합되어 좌앞바퀴축부(421)와 결합되는 좌앞바퀴부(43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좌앞바퀴지지부(411)는 좌앞바퀴부(431) 양측으로 배치되는 부분이 대칭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우앞바퀴지지부(412)는 좌앞바퀴지지부(41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2 우하부힌지부(271)의 하부와 결합되며 후술하는 우앞바퀴부(432) 양측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우앞바퀴축부(422)가 Y축 방향으로 결합되어 우앞바퀴축부(422)와 결합되는 우앞바퀴부(43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우앞바퀴지지부(412)는 우앞바퀴부(432) 양측으로 배치되는 부분이 대칭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앞바퀴축부(420)는 앞바퀴지지부(410)를 Y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앞바퀴지지부(410)와 결합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앞바퀴부(43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어 앞바퀴부(430)가 회전되는 기준축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좌앞바퀴축부(421)와 우앞바퀴축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앞바퀴축부(421)는 좌앞바퀴지지부(411)를 Y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좌앞바퀴지지부(411)와 결합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좌앞바퀴부(431)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어 좌앞바퀴부(431)가 회전되는 기준축 역할을 할 수 있다. 우앞바퀴축부(422)는 좌앞바퀴축부(42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가상의 일직선상에 위치되며 우앞바퀴지지부(412)를 Y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우앞바퀴지지부(412)와 결합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우앞바퀴부(43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어 우앞바퀴부(432)가 회전되는 기준축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좌앞바퀴축부(421)와 우앞바퀴축부(422)는 대칭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앞바퀴부(430)는 앞바퀴축부(420)가 관통되는 관통홀(435)을 포함하여 관통홀(435)을 통해 앞바퀴축부(42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것으로, 안착유닛(100)과 힌지유닛(200)을 지지하고 회전 이동하여 안착유닛(100)과 힌지유닛(20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좌앞바퀴부(431)와 우앞바퀴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앞바퀴부(431)는 좌앞바퀴축부(421)가 관통되는 관통홀(435)을 포함하여 관통홀(435)을 통해 좌앞바퀴축부(42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것으로, 안착유닛(100)과 힌지유닛(200)을 지지하고 회전 이동하여 안착유닛(100)과 힌지유닛(20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우앞바퀴부(432)는 좌앞바퀴부(43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우앞바퀴축부(422)가 관통되는 관통홀(435)을 포함하여 관통홀(435)을 통해 우앞바퀴축부(42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것으로, 안착유닛(100)과 힌지유닛(200)을 지지하고 회전 이동하여 안착유닛(100)과 힌지유닛(20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좌앞바퀴부(431)와 우앞바퀴부(432)는 대칭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뒷바퀴유닛(500)은, 안착유닛(100) 후방 하부와 결합되며 대칭되는 형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뒷바퀴지지부(510), 한 쌍의 뒷바퀴지지부(510)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뒷바퀴축부(520), 및 뒷바퀴축부(520)가 관통되며 뒷바퀴축부(52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뒷바퀴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뒷바퀴유닛(500)은 안착유닛(100)의 제2 바닥부(120)와 결합되는 것으로, 안착유닛(100)을 지지하고 회전 이동하여 안착유닛(10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뒷바퀴지지부(510), 뒷바퀴축부(520), 및 뒷바퀴부(5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뒷바퀴지지부(510)는 제2 바닥부(120)와 결합되며 후술하는 뒷바퀴부(530) 양측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뒷바퀴축부(520)가 Y축 방향으로 결합되어 뒷바퀴축부(520)와 결합되는 뒷바퀴부(5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뒷바퀴지지부(510)는 뒷바퀴부(530) 양측으로 배치되는 부분이 대칭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뒷바퀴축부(520)는 뒷바퀴지지부(510)를 Y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뒷바퀴지지부(510)와 결합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뒷바퀴부(53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어 뒷바퀴부(530)가 회전되는 기준축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뒷바퀴부(530)는 뒷바퀴축부(520)가 관통되는 관통홀(531)을 포함하여 관통홀(531)을 통해 뒷바퀴축부(52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것으로, 안착유닛(100)을 지지하고 회전 이동하여 안착유닛(10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뒷바퀴부(530)는 좌앞바퀴부(431)나 우앞바퀴부(432)보다 Y축 방향의 바퀴 폭이 크게 형성되어 뒷바퀴부(530)가 하나인 단점을 보완하여 구조적인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일례로, 앞바퀴유닛(400)이 뒷바퀴유닛(500)보다 높게 제작되고 역삼각형구조로 배치되어 안정감을 확보하고 앞바퀴부(430)는 두 개로 구성하여 균형감을 유지함으로써 발목에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레포츠신발장치(900)는 안착유닛(100)과 결합되며 신발(10)을 결속하는 결속유닛(600)을 더 포함하며, 결속유닛(600)은, 제1 바닥부(110)와 결합되며 제1 바닥부(110)의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1 힌지결합부(610), 한 쌍의 제1 힌지결합부(610)와 결합되며 신발(10)을 결속하는 제1 결속부(620), 제2 바닥부(120)와 결합되며 제2 바닥부(120)의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2 힌지결합부(650), 및 한 쌍의 제2 힌지결합부(650)와 결합되며 신발(10)을 결속하는 제2 결속부(660)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결속부(620, 660)는 벨크로 또는 탄성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결속유닛(600)은 일단이 안착유닛(100)과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발(10)을 결속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 힌지결합부(610, 650), 제1 및 제2 결속부(620, 6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힌지결합부(610)는 제1 바닥부(110)의 양측에 대칭되는 위치에 한 쌍이 결합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제1 결속부(620)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신발(10)을 결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힌지결합부(610)는 제1 바닥부(110)와 힌지결합될 수 있으며 상부에 제1 결속부(620)가 결합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힌지결합부(610) 한 쌍은 대칭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결속부(620)는 한 쌍의 제1 힌지결합부(610)와 결합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신발(10)을 결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결속부(620)는 탄성소재를 포함하여 신축됨으로써 일단이 일측의 제1 힌지결합부(610)에 결합되고 타단이 타측의 제1 힌지결합부(610)에 결합하여 신발(10)을 결속할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결속부(620)는 벨크로나 버튼(똑딱이)을 이용하여 제1 결속부(620)를 체결함으로써 사용자 신발(10)을 결속할 수 있다.
제2 힌지결합부(650)는 제2 바닥부(120)의 양측에 대칭되는 위치에 한 쌍이 결합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제2 결속부(660)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신발(10)을 결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2 힌지결합부(650)는 제2 바닥부(120)와 힌지결합될 수 있으며 상부에 제2 결속부(660)가 결합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힌지결합부(650) 한 쌍은 대칭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결속부(660)는 한 쌍의 제2 힌지결합부(650)와 결합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신발(10)을 결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2 결속부(660)는 탄성소재를 포함하여 신축됨으로써 일단이 일측의 제2 힌지결합부(650)에 결합되고 타단이 타측의 제2 힌지결합부(650)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신발(10)을 결속할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2 결속부(660)는 벨크로나 버튼을 이용하여 제2 결속부(660)를 체결함으로써 사용자 신발(10)을 결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발(10)이 사용자의 신발(10) 사이즈에 따라 길이가 신축되는 안착유닛(100)에 안착되며, 제1 바닥부(110)와 결합되는 힌지유닛(200)과 탄성부(300)를 이용하여 점프가 가능하고, 힌지유닛(200)과 결합되는 앞바퀴유닛(400)과 제2 바닥부(120)와 결합되는 뒷바퀴유닛(50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주행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점프와 주행을 하나의 장치로 수행 가능한 레포츠신발장치(900)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본 발명을 착용하고 주행할 때는 힌지유닛(200)에 구성된 스프링부(240, 290, 291)의 작용으로 하중의 무게를 지지함으로써 탄성부(300)의 작동을 최소화하여 주행만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주행하면서 점프를 하고자 할 때는 앞꿈치에 하중을 줌으로써 탄성부(300)의 스프링이 작동되도록하여 점프할 수 있다.
기존제품은 단순하게 주행만을 하거나 점프기능만을 하는 한 가지 기능을 제공하나 본 발명은 안전하게 주행과 점프를 동시에 병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발(10)을 탈부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발(10) 사이즈에 맞춰 안착유닛(100)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방수용부(130)와 후방안착부(140)는 사용자가 주행하거나 점프 등을 할 때 사용자의 신발(10)이 앞이나 뒤로 안착유닛(100)을 벗어나지 못하게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고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힌지유닛(200)에 좌우 2개의 스프링부(240)를 배치하여 주행을 가능하게 하고, 앞바퀴유닛(400)에 대한 탄성축으로 탄성부(300)를 배치하여 주행과 점프를 병행하게 하는 2중 탄성 구조로 구성을 효율화하여 가볍게 휴대할 수 있다. 앞바퀴유닛(400)이 뒷바퀴유닛(500)보다 높게 제작되고 역삼각형구조로 배치되어 안정감을 확보하고 앞바퀴부(430)는 두 개로 구성하여 균형감을 유지함으로써 발목에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포츠신발장치(9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포츠신발장치(900) 다른 실시예의 힌지유닛(2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레포츠신발장치(900)는 안착유닛(100), 힌지유닛(200), 탄성부(300), 앞바퀴유닛(400), 뒷바퀴유닛(500), 및 결속유닛(6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안착유닛(100), 탄성부(300), 앞바퀴유닛(400), 뒷바퀴유닛(500), 및 결속유닛(600) 등에 대하여는 앞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포츠신발장치(900)에 대한 설명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유닛(200)은, 힌지축부(210), 안착유닛(100)과 일체로 형성되며 힌지축부(2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상부힌지부(220), 힌지축부(2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상부힌지부(220) 하측에 위치되며 앞바퀴유닛(400)이 결합되는 제1 하부힌지부(230), 및 힌지축부(210)에 삽입결합되며 상측이 안착유닛(100)에 접촉되며 하측이 제1 하부힌지부(230)에 접촉되어 안착유닛(100)을 지지하는 스프링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유닛(200)은 안착유닛(100)의 제1 바닥부(110)와 힌지결합되고 탄성부(300) 및 앞바퀴유닛(400)과 결합되는 것으로, 탄성부(300) 및 제1 바닥부(1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힌지축부(210), 제1 상부힌지부(220), 제1 하부힌지부(230), 및 스프링부(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힌지축부(210)는 Y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되며 후술하는 제1 상부힌지부(220)와 제1 하부힌지부(230)가 결합되는 것으로, 제1 상부힌지부(220)와 제1 하부힌지부(230)가 회전되는 기준축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상부힌지부(220)는 안착유닛(100)의 제1 바닥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힌지축부(2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힌지축부(21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하부힌지부(230)는 제1 상부힌지부(220) 하측에 위치되어 힌지축부(2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힌지축부(21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앞바퀴유닛(400)은 제1 하부힌지부(230)의 하부와 결합될 수 있다.
도 3 또는 도 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240)는 힌지축부(210)에 삽입결합되며 상측이 안착유닛(100)과 접촉되고 하측이 제1 하부힌지부(230)와 접촉되는 것으로, 안착유닛(100)과 제1 하부힌지부(230) 사이에 위치하여 안착유닛(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스프링부(240)는 비틀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신발 100 : 안착유닛
110 : 제1 바닥부 111 : 제1 몸체부
112 : 제1 연결홈 115 : 연결부
120 : 제2 바닥부 121 : 제2 몸체부
122 : 제2 연결홈 125 : 고정부
130 : 전방수용부 140 : 후방안착부
200 : 힌지유닛 210 : 힌지축부
220 : 제1 상부힌지부 230 : 제1 하부힌지부
240 : 스프링부 250 : 좌힌지축부
251 : 우힌지축부 260 : 제2 좌상부힌지부
261 : 제2 우상부힌지부 270 : 제2 좌하부힌지부
271 : 제2 우하부힌지부 280 : 하부힌지연결부
290 : 좌스프링부 291 : 우스프링부
300 : 탄성부 400 : 앞바퀴유닛
410 : 앞바퀴지지부 411 : 좌앞바퀴지지부
412 : 우앞바퀴지지부 420 : 앞바퀴축부
421 : 좌앞바퀴축부 422 : 우앞바퀴축부
430 : 앞바퀴부 431 : 좌앞바퀴부
432 : 우앞바퀴부 500 : 뒷바퀴유닛
510 : 뒷바퀴지지부 520 : 뒷바퀴축부
530 : 뒷바퀴부 600 : 결속유닛
610 : 제1 힌지결합부 620 : 제1 결속부
650 : 제2 힌지결합부 660 : 제2 결속부
900 : 레포츠신발장치

Claims (9)

  1. 신발이 안착되며 상기 신발 사이즈에 따라 X축 방향의 길이가 조절되는 안착유닛;
    상기 안착유닛의 전방 하부와 힌지결합되는 힌지유닛;
    일단이 상기 안착유닛의 전방 하부와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힌지유닛의 하부와 결합되는 탄성부;
    상기 힌지유닛과 결합되며 회전하여 상기 안착유닛 및 상기 힌지유닛을 이동시키는 앞바퀴유닛; 및
    상기 안착유닛의 후방 하부와 결합되며 회전하여 상기 안착유닛을 이동시키는 뒷바퀴유닛;을 포함하는 레포츠신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유닛은,
    상기 안착유닛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힌지유닛과 결합되는 제1 바닥부; 및
    상기 제1 바닥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안착유닛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뒷바퀴유닛과 결합되는 제2 바닥부;를 포함하는 레포츠신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닥부는,
    상기 제2 바닥부측으로 개구된 제1 연결홈을 포함하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연결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일측이 상기 제1 몸체부와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닥부는,
    상기 연결부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 바닥부측으로 개구된 제2 연결홈을 포함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에 삽입된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2 몸체부를 결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타측이 상기 제2 연결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2 몸체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안착유닛의 X축 방향 길이를 조절하는 레포츠신발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착유닛은,
    상기 제1 바닥부와 결합되며 상기 신발의 앞부분을 수용하는 오목한 곡면을 포함하는 전방수용부; 및
    상기 제2 바닥부와 결합되며 상기 신발의 뒷부분이 안착되며 곡면을 포함하는 후방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레포츠신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유닛은,
    힌지축부;
    상기 안착유닛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상부힌지부;
    상기 힌지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상부힌지부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앞바퀴유닛이 결합되는 제1 하부힌지부; 및
    상기 힌지축부에 삽입결합되며 상측이 상기 안착유닛에 접촉되며 하측이 상기 제1 하부힌지부에 접촉되어 상기 안착유닛을 지지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레포츠신발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유닛은,
    좌힌지축부;
    상기 좌힌지축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가상의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우힌지축부;
    상기 안착유닛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좌힌지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좌상부힌지부;
    상기 제2 좌상부힌지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안착유닛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우힌지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우상부힌지부;
    상기 제2 좌상부힌지부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좌힌지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앞바퀴유닛이 결합되는 제2 좌하부힌지부;
    상기 제2 좌하부힌지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2 우상부힌지부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우힌지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앞바퀴유닛이 결합되는 제2 우하부힌지부;
    상기 제2 좌하부힌지부 및 상기 제2 우하부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좌하부힌지부의 일부와 제2 우하부힌지부의 일부를 결합하는 하부힌지연결부;
    상기 좌힌지축부에 삽입결합되며 상측이 상기 안착유닛과 접촉되고 하측이 상기 제2 좌하부힌지부와 접촉되어 상기 안착유닛을 지지하는 좌스프링부; 및
    상기 좌스프링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우힌지축부에 삽입결합되며 상측이 상기 안착유닛과 접촉되고 하측이 상기 제2 우하부힌지부와 접촉되어 상기 안착유닛을 지지하는 우스프링부;를 포함하는 레포츠신발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유닛은,
    상기 힌지유닛과 결합되는 앞바퀴지지부;
    상기 앞바퀴지지부를 Y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앞바퀴축부; 및
    상기 앞바퀴축부가 관통되며 상기 앞바퀴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앞바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앞바퀴부는,
    좌앞바퀴부; 및
    상기 좌앞바퀴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우앞바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앞바퀴지지부는,
    상기 좌앞바퀴부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좌앞바퀴지지부; 및
    상기 좌앞바퀴지지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우앞바퀴부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우앞바퀴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앞바퀴축부는,
    상기 좌앞바퀴지지부와 결합되는 좌앞바퀴축부; 및
    상기 우앞바퀴지지부와 결합되며, 상기 좌앞바퀴축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가상의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우앞바퀴축부;를 포함하는 레포츠신발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유닛은,
    상기 안착유닛 후방 하부와 결합되며 대칭되는 형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뒷바퀴지지부;
    한 쌍의 상기 뒷바퀴지지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뒷바퀴축부; 및
    상기 뒷바퀴축부가 관통되며 상기 뒷바퀴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뒷바퀴부;를 포함하는 레포츠신발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착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신발을 결속하는 결속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제1 바닥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바닥부의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1 힌지결합부;
    한 쌍의 상기 제1 힌지결합부와 결합되며 상기 신발을 결속하는 제1 결속부;
    상기 제2 바닥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2 바닥부의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2 힌지결합부; 및
    한 쌍의 상기 제2 힌지결합부와 결합되며 상기 신발을 결속하는 제2 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결속부는 벨크로 또는 탄성소재를 포함하는 레포츠신발장치.
KR1020180100142A 2018-08-27 2018-08-27 레포츠신발장치 KR20200023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142A KR20200023771A (ko) 2018-08-27 2018-08-27 레포츠신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142A KR20200023771A (ko) 2018-08-27 2018-08-27 레포츠신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771A true KR20200023771A (ko) 2020-03-06

Family

ID=69802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142A KR20200023771A (ko) 2018-08-27 2018-08-27 레포츠신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37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4770B2 (en) * 2017-05-22 2022-11-01 Stian SELVIK Construction of skat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647A (ko) 2013-07-01 2015-01-09 김영천 빠르게 걷는 신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647A (ko) 2013-07-01 2015-01-09 김영천 빠르게 걷는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4770B2 (en) * 2017-05-22 2022-11-01 Stian SELVIK Construction of skat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2120A (en) Roller-ski
JP4778424B2 (ja) 人体移動装置
US4351538A (en) Spring assisted roller skates
AU765883B2 (en) Roller skate
US5435579A (en) Skate
US4460187A (en) Roller ski having a bridle
US5295701A (en) In line roller skate assembly having training wheels
CN100435893C (zh) 滑冰鞋
CN101745213B (zh) 滑板
US5908196A (en) Apparatus for roller skating and roller blading and method thereof
KR20090003996U (ko) 균형이 쉽게 잡히는 에스보드
CA2055565C (en) Roller ski
KR20200023771A (ko) 레포츠신발장치
US6039329A (en) Roller skate shock absorber system
US5979939A (en) Accessory for in-line skates
KR20110100897A (ko) 인라인 스케이트
US5435580A (en) Braking device particularly for skates
JPH1015145A (ja) ローラースケート
KR100722369B1 (ko) 인라인 스케이트 및 프레임 유니트
US20210275898A1 (en) Wide Wheel Inline Roller Skate
KR100728168B1 (ko) 옆으로 가는 지치발
RU210753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вижения человека
KR101837426B1 (ko) 투 인 원 롤러보드
KR200330218Y1 (ko) 보행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회전바퀴 고정.스탠딩장치
KR20030034841A (ko) 스포츠 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