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1055A - 댁내망 내 가전기기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댁내망 내 가전기기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1055A
KR20050001055A KR1020030042113A KR20030042113A KR20050001055A KR 20050001055 A KR20050001055 A KR 20050001055A KR 1020030042113 A KR1020030042113 A KR 1020030042113A KR 20030042113 A KR20030042113 A KR 20030042113A KR 20050001055 A KR20050001055 A KR 20050001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home appliance
appliance
management information
ur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4556B1 (ko
Inventor
박재성
강춘운
이내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2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556B1/ko
Publication of KR20050001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5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 H04L61/3015Name registration, generation or assig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댁내망 내 가전기기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는 광역망을 경유하여 소정의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초대 메시지를 수신하는 초대 메시지 수신부;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서 초대 메시지 수신부에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가전기기 URI인 경우, 검색된 가전기기 URI를 갖는 가전기기에 관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독출하는 가전기기 관리 정보 독출부; 가전기기 관리 정보 독출부에서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 중 댁내망에서 인식될 수 있는 댁내망 주소를 추출하고,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 따라 추출된 댁내망 주소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가전기기 관리 기능 수행부; 및 댁내망을 경유하여 가전기기 관리 기능 수행부에서 관리 기능이 수행된 가전기기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초대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며, 사용자에게 친숙한 가전기기 아이디만으로 임의의 외부기기를 사용하여 직접 댁내망 내의 가전기기들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가전기기가 외부에 인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댁내망 내 가전기기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home appliance in home network}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고, 특히 댁내망의 가전기기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광역망과 댁내망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댁내망(home network)에 존재하는 가전기기들을 외부에서 제어하기 위해 각 가정마다 게이트웨이(gateway)를 설치하였다. 즉, 외부기기인 노트 PC, PDA, 모바일 폰 등에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입력된 제어 명령은 광역망 및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해당 가전기기에 도달된다.
도 2는 종래의 댁내망 내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댁내망에 존재하는 각 가전기기들은 802.11b, 이더넷(ethernet),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RS-485, AV 케이블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였다. 또한,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한 공적 주소(public address)를 사용하지 않고, 댁내망 내에서만 유용한 사설 주소(private address)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한 공적 주소를 사용하는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댁내망내의 각 가전기기들을 유지 및 관리하였다. 외부에서 댁내망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게이트웨이와 고정적으로 연결된 홈 패드 등과 외부기기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임의의 외부기기를 사용하여 직접 댁내망 내의 가전기기들에 접근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부에서댁내망(home network)에 존재하는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것은 어떤 식으로든 구현이 가능하나(예를 들면 상기와 같이 게이트웨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댁내망에 존재하는 가전기기를 사용하여 외부기기로 어떤 신호를 보내려고 할 때 각 가전기기들의 주소는 게이트웨이의 주소처럼 인식이 되어 외부에서 인지가 될 수 없기 때문에 가전기기를 사용하여 외부기기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부기기와 가전기기간에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핵심 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적용하려는 경우, 외부기기와 게이트웨이의 연결, 게이트웨이와 가전기기의 연결은 서로 다른 연결이므로 하나의 세션(session)으로 설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SIP 적용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에게 친숙한 가전기기 아이디만으로 임의의 외부기기를 사용하여 직접 댁내망 내의 가전기기들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가전기기가 외부에서 인지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 이러한 기능들을 보유한 지능형 댁내망을 구축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역망과 댁내망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댁내망 내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댁내망 구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정보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 프레임 포맷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댁내망 내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댁내망 구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는 광역망을 경유하여 소정의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초대 메시지를 수신하는 초대 메시지 수신부;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서 상기 초대 메시지 수신부에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 상기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가전기기 URI인 경우, 상기 검색된 가전기기 URI를 갖는 가전기기에 관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독출하는 가전기기 관리 정보 독출부; 상기 가전기기 관리 정보 독출부에서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 중 댁내망에서 인식될 수 있는 댁내망 주소를 추출하고, 상기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추출된 댁내망 주소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가전기기 관리 기능 수행부; 및 상기 댁내망을 경유하여 상기 가전기기 관리 기능 수행부에서 관리 기능이 수행된 가전기기로 상기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초대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댁내망 구축 시스템은 광역망을 경유하여 소정의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초대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가전기기 URI인 경우, 상기 가전기기 URI를 갖는 가전기기에 관한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 URI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댁내망을 경유하여 상기 관리 기능이 수행된 가전기기로 상기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 및 상기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에서 전송된 초대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가전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방법은 (a) 광역망을 경유하여 소정의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초대 메시지를수신하는 단계; (b)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서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 상기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가전기기 URI인 경우, 상기 검색된 가전기기 URI를 갖는 가전기기에 관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 중 댁내망에서 인식될 수 있는 댁내망 주소를 추출하고, 상기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추출된 댁내망 주소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댁내망을 경유하여 상기 (c) 단계에서 관리 기능이 수행된 가전기기로 상기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댁내망 구축 방법은 (a) 광역망을 경유하여 소정의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초대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가전기기 URI인 경우, 상기 가전기기 URI를 갖는 가전기기에 관한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 URI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댁내망을 경유하여 상기 관리 기능이 수행된 가전기기로 상기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전송된 초대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임의의 외부기기를 사용하여 직접 댁내망 내의 가전기기들에 접근하고, 댁내망 내의 가전기기를 사용하여 외부기기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 가전기기에 사설 주소에 대응되는 아이디를 매칭시켜 전송할 수도 있으나, 확장성과 이동성의 측면에서 불리하고, 외부기기와 게이트웨이의 연결, 게이트웨이와 가전기기의 연결은 서로 다른 연결이라는 한계를 극복할 수 없기 때문에, 외부기기와 가전기기를 하나의 세션으로 설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가전기기들에 댁내망 내에서 유일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부여하고, 이 URI를 레지스트라르에 기록함으로서, 외부에서도 URI로 가전기기에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고, 댁내망 내부에서 외부로 어떤 신호를 전송할 때 가전기기의 URI로서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지스트라르는 다른 서버로서 게이트웨이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달리 게이트웨이 내부에 공존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댁내망의 문제점을 SIP로 해결하려는 이유는 차세대 망(NGN, Next Generation Network)에 사용될 킬러 프로토콜이 SIP이고, 여러 OS 벤더들에 의해 임베디드(embedded) OS에 새로이 탑재될 기본 프로토콜이 SIP이기 때문이다.
종래에는 하나의 가전기기가 댁내망에서 빠지고, 다른 가전기기가 들어가는 경우, 각각의 세팅을 다시 해주고, 게이트웨이에 기록해주는 과정을 거쳐야 했다. 그러나, SIP을 댁내망에 적용하게 되면, 가전기기가 구동할 때 자신의 URI와 위치 정보(사설 주소)를 레지스트라르에 자동으로 등록하게 되므로, 댁내망에 붙였다 떼었다 하여도 게이트웨이에 다른 세팅 없이 댁내망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 없이, 사설 주소를 유동적으로 게이트웨이에서 할당받도록 한다면,최초의 주소 세팅 과정도 필요 없게 된다.
종래의 레지스트라르는 URI와 사설 주소를 매핑시켜, 가전기기의 실제 위치를 찾아내는데 목적이 있었다. URI와 매핑되는 사설 주소 외에 가전기기의 파워 온/오프, 가전기기의 상태, 지원되는 제어 기능 등의 필드를 추가하여, 해당 URI를 갖는 가전기기의 관리를 일원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댁내망 구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능형 댁내망 구축 시스템은 외부기기(11), 프럭시(21), 광역망(22), 프럭시(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 23), 레지스트라르(가전기기 관리 정보 저장 장치, 24), 댁내망(25), 및 가전기기(31-33)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댁내망(home network)에 글로벌 네트워크 기능을 추가하기 위하여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도입한다. SIP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RFC 2543을 표준화한 프로토콜이다. 이것은 하나 이상의 참여자로 구성되는 세션을 생성, 수정, 및 종료하기 위해 사용되며, 세션은 인터넷 원격 회의, 인터넷 전화기 호(Call),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광역망(22)은 음성 통신망 및 데이터 통신망을 통합한 차세대 망(NGN, Next Generation Network)이다. 차세대 망은 현존하는 모든 통신 서비스(음성, 영상, 데이터 등)와 미래에 나타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통합하여 수용할 수 있는 패킷 기반 통신망을 말하는 것으로서, 그 궁극적 목표는 사용자에게 언제 어디서나 임의의 유무선 단말로 자신의 위치와 통신망 종류에 무관하게 서비스 품질선택 및 보장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전기기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임의의 유무선 단말로 댁내의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차세대 망을 도입하여야 한다.
사용자가 SIP 스택이 탑재되어 SIP 통신이 가능한 가전기기(31-33)를 구입하여, 댁내의 임의의 소켓에 꽂으면, 가전기기(31-33)는 가전기기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가전기기의 파워 온/오프, 가전기기의 상태, 및 지원되는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가전기기 정보를 댁내망(25)을 경유하여 댁내망을 관리하는 프럭시인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23)로 전송한다.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23)는 가전기기(31-33)로부터 전송된 가전기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전기기 정보에 포함된 가전기기 URI를 갖는 가전기기에 망 주소를 할당하고, 수신된 가전기기 정보에 할당된 댁내망 주소를 부가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전송한다. 가전기기 URI은 SIP에서 가전기기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이므로, 댁내망에서 실제로 인식될 수 있는 주소인 댁내망 주소로 변환되어야 한다.
가전기기 관리 정보 저장 장치(24)는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23)로부터 전송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저장한다. 가전기기 관리 정보 저장 장치(24)에 어느 가전기기의 관리 정보가 저장되면, 이 가전기기는 SIP 망의 일부분이 되고, 이후 다음과 같은 과정에 따라 SIP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외부기기(11-13)는 댁내에 있는 가전기기(31-33)를 제어하기 위하여, 초대 메시지(invite message)를 생성하고, 생성된 초대 메시지를 자신의 도메인에 존재하는 프럭시(21)로 전송한다. 외부 기기(11-13)는 휴대폰, PDA, 노트북, 홈 패드 등 같은 다양한 기기가 될 수 있다. 종래에는 외부 기기가 홈 게이트웨이와 접속하여 게이트웨이에 제어 명령을 내리는 것이었으나, 본 발명에서 외부 기기는 자신이 속한 도메인에 존재하는 프럭시(21)로 접속한 후, 광역망(22)을 경유하여 댁내망(25)의 프럭시(23)를 통해 자신이 지정한 URI를 갖는 가전기기(31-33)와 직접 세션을 열어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외부기기(11-13)는 SIP 표준의 UAC(User Agent Client)에 해당하고, 본 발명으로 인해 추가되는 항목은 가전기기 관리 응용 프로그램, SIP 스택, 가전기기 상태 체크 기능이 될 것이다.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23)는 외부기기(11-13)로부터 전송된 초대 메시지를 수신하고, 가전기기 관리 정보 저장 장치(24)에 저장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서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게이트웨이 URI인 경우, 가전기기 관리 정보 저장 장치(24)에 저장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 모두를 독출하고,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답 메시지에 독출된 댁내망에 존재하는 모든 가전기기에 관한 가전기기 관리 정보(가전기기 URI, 가전기기의 파워 온/오프, 가전기기의 상태, 및 지원되는 제어 기능) 모두를 부가한 게이트웨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외부기기(11-13)는 전송된 게이트웨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것을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서, 사용자는 댁내망 내에 자신이 관리하는 가전기기에는 어떤 것이 있고, 이것들의 현 상태를 파악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23)는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가전기기 URI인 경우, 검색된 가전기기 URI를 갖는 가전기기에 관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독출한다. 가전기기 관리 정보 저장 장치(24)에는 여러 가전기기(31-33)에 관한 가전기기 관리 정보가 맵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기기가 제어하려는 어느 하나의 가전기기에 관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획득하려면,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가전기기 URI와 일치하는 URI가 저장된 위치를 찾고, 그 위치로부터 그 가전기기에 관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독출한다.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23)는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 중 댁내망(25)에서 인식될 수 있는 댁내망 주소를 추출하고,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 따라 추출된 댁내망 주소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댁내망(25)을 경유하여 관리 기능이 수행된 가전기기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한다.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는 가전기기 URI, 댁내망 주소, 가전기기의 파워 온/오프, 가전기기의 상태, 및 지원되는 제어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전기기를 지능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댁내망 내에서의 해당 가전기기의 위치를 파악해야 한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와 일치하는 URI에 연결된 댁내망 주소를 추출하고, 이 주소를 갖는 가전기기를 가전기기의 파워 온/오프, 가전기기의 상태, 및 지원되는 제어 기능에 관한 정보에 따라 가전기기를 관리하고,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가 완료되어, 가전기기가 유지 및 보수된 경우, 그 가전기기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23)는 SIP 표준의프럭시에 해당하고, 본 발명으로 인해 추가되는 항목은 가전기기 전력 온 기능, 이상 상태 보고 기능, 가전기기 제어 기능이 될 것이다.
가전기기(31-33)는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25)에서 전송된 초대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응답 메시지는 SIP 표준의 200ok 메시지에 해당한다. 200ok 메시지는 외부기기(11-13)와 가전기기(31-33)간 연결이 설정되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이다. 본 발명의 가전기기(31-33)는 SIP 표준의 UAS(User Agent Server)에 해당하고, 본 발명으로 인해 추가되는 항목은 자기 상태 체크 기능이 될 것이다.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43)는 댁내망(25)을 경유하여 가전기기(31-33)에서 전송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광역망(22)을 경유하여 외부기기(11-13)로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외부기기(11-13)가 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 대한 ACK를 다시 전송하고, 이것을 가전기기(31-33)가 수신하면, 세션이 열리게 되고, 열려진 세션 안에서 다양한 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는 초대 메시지 수신부(231), 가전기기 관리 정보 독출부(232), 게이트웨이 응답 메시지 전송부(233), 가전기기 관리 기능 수행부(234), 초대 메시지 전송부(235), 응답 메시지 수신부(236), 및 응답 메시지 전송부(237)로 구성된다.
초대 메시지 수신부(231)는 광역망(22)을 경유하여 소정의 외부기기로부터전송된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다. 가전기기 관리 정보 독출부(232)는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서 초대 메시지 수신부(231)에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가전기기 URI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게이트웨이 URI인 경우, 가전기기 관리 정보 모두를 독출한다. 게이트웨이 응답 메시지 전송부(233)는 초대 메시지 수신부(231)에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답 메시지에 가전기기 관리 정보 독출부(232)에서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 모두를 부가한 게이트웨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가전기기 관리 정보 독출부(232)는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가전기기 URI인 경우, 검색된 가전기기 URI를 갖는 가전기기에 관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독출한다. 가전기기 관리 기능 수행부(234)는 가전기기 관리 정보 독출부(232)에서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 중 댁내망에서 인식될 수 있는 댁내망 주소를 추출하고,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 따라 추출된 댁내망 주소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정보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전기기 관리 정보 프레임은 URI 필드, 댁내망 주소 필드, 온/오프 필드, 상태 리스트 필드, 및 제어 기능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가전기기 하나에 하나의 가전기기 관리 정보 프레임이 할당된다. 이것은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패킷 기반으로 전송할 때, 데이터 프레임의 포맷이 되고, 가전기기 관리 정보 저장 장치(24)에 저장될 때, 저장의 포맷도 된다. URI 필드에는 가전기기의 URI가 기록되고, 댁내망 주소 필드에는 가전기기의 댁내망 주소가 기록되고, 온/오프 필드에는 가전기기의 파워 온/오프 여부가 기록되고, 상태 리스트 필드에는 가전기기의 여러 상태가 기록되고, 제어 기능 필드에는 지능형 댁내망 구축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여러 제어 기능이 기록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 프레임 포맷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초대 메시지 수신부(231)에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jaesung@Mokdong인 경우에는 가정기기 관리 정보 저장 장치(24)에 저장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서 jaesung@Mokdong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로부터 jaesung@Mokdong을 갖는 기기에 공적 주소 183.245.11.11이 할당되어 있음을 알아낸다. 즉, jaesung@Mokdong인 URI을 갖는 기기는 게이트웨이임을 알아낸다. 반면, 초대 메시지 수신부(231)에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TV@jaesung.Mokdong인 경우에는 가정기기 관리 정보 저장 장치(24)에 저장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서 TV@jaesung.Mokdong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로부터 TV@jaesung.Mokdong을 갖는 기기에 사설 주소 1.1.1.1이 할당되어 있음을 알아낸다. 즉, TV@jaesung.Mokdong인 URI을 갖는 기기는 가전기기임을 알아낸다.
가전기기 관리 기능 수행부(234)의 구체적인 여러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전기기 관리 기능 수행부(234)는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가 추출된 댁내망 주소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전원 오프를 의미하는 경우에는 추출된 댁내망 주소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전원 온을 수행한다. 가전기기 관리 기능수행부(234)는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가 추출된 댁내망 주소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이상 상태를 의미하는 경우에는 이상 상태 보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광역망(22)을 경유하여 외부기기(11-13)로 생성된 이상 상태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광역망(22)을 경유하여 전송된 이상 상태 보고 메시지를 수신한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원격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원격 제어 메시지에 따른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상 상태가 가전기기에 대한 초기 설정 오류인 경우, 초기 설정 오류를 정정하는 원격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메시지에 따라 가전기기에 대한 초기 설정 오류를 정정하게 된다.
초대 메시지 전송부(235)는 댁내망(25)을 경유하여 가전기기 관리 기능 수행부(234)에서 관리 기능이 수행된 가전기기(31)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한다. 응답 메시지 수신부(236)는 댁내망(25)을 경유하여 초대 메시지 전송부(235)에서 전송된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 가전기기(31)로부터 전송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응답 메시지 전송부(237)는 광역망(22)을 경유하여 외부 기기(11-13)로 응답 메시지 수신부(236)에서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외부기기(11-13)가 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 대한 ACK를 다시 전송하고, 이것을 수신하여 가전기기(31)로 전송하고, 가전기기(31)가 이것을 수신하면, 세션이 열리게 되고, 열려진 세션 안에서 다양한 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음성, 영상, 일반 데이터 등을 서로 주고받을 수 있다. 특히, 음성을 주고받는 경우, 외부기기와 가전기기에 스피커와 마이크가 장착되어 있다면, 서로 전화통화를 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댁내망 내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댁내망에 레지스트라르가 추가로 설치된다. 레지스트라르에 저장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기기와 가전기기간의 SIP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외부기기와 가전기기간의 세션이 열리면, 외부에서 직접 댁내망 내의 가전기기들에 접근할 수 있고, 댁내망 내의 가전기기를 사용하여 외부기기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댁내망 구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지능형 댁내망 구축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가전기기에 대한 가전기기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전기기 정보를 전송한다(91). 이어서, 전송된 가전기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전기기 정보에 포함된 가전기기 URI를 갖는 가전기기에 댁내망 주소를 할당하고, 수신된 가전기기 정보에 할당된 댁내망 주소를 부가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전송한다(92). 이어서, 전송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저장한다(93). 이어서, 광역망을 경유하여 소정의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다(94). 이어서, 저장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서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게이트웨이 URI인 경우(95), 저장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 모두를 독출하고,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답 메시지에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 모두를 부가한 게이트웨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96). 만일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가전기기 URI인 경우라면(95), 검색된 가전기기 URI를 갖는 가전기기에 관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 중댁내망에서 인식될 수 있는 댁내망 주소를 추출하고,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 따라 추출된 댁내망 주소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댁내망을 경유하여 관리 기능이 수행된 가전기기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한다(97). 이어서, 전송된 초대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98). 이어서, 댁내망을 경유하여 전송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광역망을 경유하여 외부기기로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99).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광역망을 경유하여 소정의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다(101). 이어서,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서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게이트웨이 URI인 경우(102), 가전기기 관리 정보 모두를 독출한다(103). 이어서,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답 메시지에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 모두를 부가한 게이트웨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104). 만일,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가전기기 URI인 경우라면(102), 검색된 가전기기 URI를 갖는 가전기기에 관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독출한다(105). 이어서,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 중 댁내망에서 인식될 수 있는 댁내망 주소를 추출하고,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 따라 추출된 댁내망 주소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106). 즉,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가 추출된 댁내망 주소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전원 오프를 의미하는 경우에는 추출된 댁내망 주소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전원 온을 수행한다.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가 추출된 댁내망 주소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이상 상태인 경우에는 이상 상태 보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광역망을 경유하여 외부기기로 생성된 이상 상태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광역망을 경유하여 전송된 이상 상태 보고 메시지를 수신한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원격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원격 제어 메시지에 따른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이어서, 댁내망을 경유하여 관리 기능이 수행된 가전기기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한다(107). 이어서, 댁내망을 경유하여 전송된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108). 이어서, 광역망을 경유하여 외부 기기로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109).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친숙한 가전기기 아이디만으로 임의의 외부기기를 사용하여 직접 댁내망 내의 가전기기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전기기가 외부에 인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가전기기를 사용하여 외부기기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기기와 가전기기간의 SIP 세션을 설정함으로서, 반드시 게이트웨이에 종속된 포맷으로 가전기기를 제어하지 않고, 가전기기 벤더(vendor)들이 자체적으로 제작한 포맷으로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트웨이 및 레지스트라르는 어디에나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댁내에 이러한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댁내망을 이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지스트라르에 각 가전기기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기록함으로서, 외부에서 가전기기의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조치를 취할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광역망을 경유하여 소정의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초대 메시지를 수신하는 초대 메시지 수신부;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서 상기 초대 메시지 수신부에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 상기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가전기기 URI인 경우, 상기 검색된 가전기기 URI를 갖는 가전기기에 관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독출하는 가전기기 관리 정보 독출부;
    상기 가전기기 관리 정보 독출부에서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 중 댁내망에서 인식될 수 있는 댁내망 주소를 추출하고, 상기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추출된 댁내망 주소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가전기기 관리 기능 수행부; 및
    상기 댁내망을 경유하여 상기 가전기기 관리 기능 수행부에서 관리 기능이 수행된 가전기기로 상기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초대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 관리 정보 독출부는 상기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게이트웨이 URI인 경우, 가전기기 관리 정보 모두를 독출하고,
    상기 초대 메시지 수신부에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응답 메시지에 상기 가전기기 관리 정보 독출부에서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 모두를 부가한 게이트웨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응답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 관리 기능 수행부는 상기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가 상기 추출된 댁내망 주소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전원 오프를 의미하는 경우에는 상기 추출된 댁내망 주소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전원 온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 관리 기능 수행부는 상기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가 상기 추출된 댁내망 주소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이상 상태를 의미하는 경우에는 이상 상태 보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광역망을 경유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상기 생성된 이상 상태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광역망을 경유하여 상기 전송된 이상 상태 보고 메시지를 수신한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원격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원격 제어 메시지에 따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망을 경유하여 상기 초대 메시지 전송부에서 전송된 초대 메시지를수신한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응답 메시지 수신부; 및
    상기 광역망을 경유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응답 메시지 수신부에서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
  6. 광역망을 경유하여 소정의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초대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가전기기 URI인 경우, 상기 가전기기 URI를 갖는 가전기기에 관한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 URI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댁내망을 경유하여 상기 관리 기능이 수행된 가전기기로 상기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 및
    상기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에서 전송된 초대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댁내망 구축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는 상기 댁내망을 경유하여 상기 가전기기에서 전송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광역망을 경유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상기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댁내망 구축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가전기기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가전기기 정보를 전송하는 가전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는 상기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된 가전기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가전기기 정보에 포함된 가전기기 URI를 갖는 가전기기에 상기 댁내망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수신된 가전기기 정보에 상기 할당된 댁내망 주소를 부가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가전기기 관리 정보 저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는 상기 가전기기 관리 정보 저장 장치에 저장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서 상기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 상기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가전기기 URI인 경우, 상기 검색된 가전기기 URI를 갖는 가전기기에 관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 중 댁내망에서 인식될 수 있는 댁내망 주소를 추출하고, 상기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추출된 댁내망 주소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댁내망을 경유하여 상기 관리 기능이 수행된 가전기기로 상기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댁내망 구축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장치는 상기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게이트웨이 URI인 경우, 상기 가전기기 관리 정보 저장 장치에 저장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 모두를 독출하고, 상기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응답 메시지에 상기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 모두를 부가한 게이트웨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댁내망 구축 시스템.
  10. (a) 광역망을 경유하여 소정의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초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서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 상기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가전기기 URI인 경우, 상기 검색된 가전기기 URI를 갖는 가전기기에 관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 중 댁내망에서 인식될 수 있는 댁내망 주소를 추출하고, 상기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추출된 댁내망 주소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댁내망을 경유하여 상기 (c) 단계에서 관리 기능이 수행된 가전기기로 상기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게이트웨이 URI인 경우, 가전기기 관리 정보 모두를 독출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응답 메시지에 상기 (b) 단계에서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 모두를 부가한 게이트웨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가 상기 추출된 댁내망 주소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전원 오프를 의미하는 경우에는 상기 추출된 댁내망 주소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전원 온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가 상기 추출된 댁내망 주소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이상 상태인 경우에는 이상 상태 보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광역망을 경유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상기 생성된 이상 상태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광역망을 경유하여 상기 전송된 이상 상태 보고 메시지를 수신한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원격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원격 제어 메시지에 따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e) 상기 댁내망을 경유하여 상기 (d) 단계에서 전송된 초대 메시지를 수신한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응답 메시지 수신부; 및
    (f) 상기 광역망을 경유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e) 단계에서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망 가전기기 관리 방법.
  15. (a) 광역망을 경유하여 소정의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초대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가전기기 URI인 경우, 상기 가전기기 URI를 갖는 가전기기에 관한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 URI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댁내망을 경유하여 상기 관리 기능이 수행된 가전기기로 상기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전송된 초대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댁내망 구축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c) 상기 댁내망을 경유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전송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광역망을 경유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상기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댁내망 구축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a-3)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가전기기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가전기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a-2) 상기 (a-3) 단계에서 전송된 가전기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가전기기 정보에 포함된 가전기기 URI를 갖는 가전기기에 상기 댁내망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수신된 가전기기 정보에 상기 할당된 댁내망 주소를 부가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a-1) 상기 (a-1) 단계에서 전송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a-1) 단계에서 저장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서 상기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 상기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가전기기 URI인 경우, 상기 검색된 가전기기 URI를 갖는 가전기기에 관한 가전기기 관리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 중 댁내망에서 인식될 수 있는 댁내망 주소를 추출하고, 상기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추출된 댁내망 주소를 갖는 가전기기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댁내망을 경유하여 상기 관리 기능이 수행된 가전기기로 상기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댁내망 구축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게이트웨이 URI인 경우, 상기 (a-1) 단계에서 저장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 모두를 독출하고, 상기 수신된 초대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응답 메시지에 상기 독출된 가전기기 관리 정보 모두를 부가한 게이트웨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댁내망 구축 방법.
  19. 제 10 항 내지 제 18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30042113A 2003-06-26 2003-06-26 댁내망 내 가전기기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84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113A KR100584556B1 (ko) 2003-06-26 2003-06-26 댁내망 내 가전기기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113A KR100584556B1 (ko) 2003-06-26 2003-06-26 댁내망 내 가전기기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055A true KR20050001055A (ko) 2005-01-06
KR100584556B1 KR100584556B1 (ko) 2006-05-30

Family

ID=37216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113A KR100584556B1 (ko) 2003-06-26 2003-06-26 댁내망 내 가전기기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5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006B1 (ko) * 2005-12-28 2006-12-22 주식회사 케이티 홈네트워크 단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0126230A2 (ko) * 2009-04-30 2010-11-04 이화준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509A (ko) * 2004-04-07 2005-10-12 주식회사 케이티 옥외의 중앙서버를 이용한 댁내정보기기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006B1 (ko) * 2005-12-28 2006-12-22 주식회사 케이티 홈네트워크 단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0126230A2 (ko) * 2009-04-30 2010-11-04 이화준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WO2010126230A3 (ko) * 2009-04-30 2011-01-06 이화준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4556B1 (ko) 200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1118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方法
US8089953B2 (en)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entity configuration
US83911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caller preferences matched to callee capabilities for IMS communications
CN101939950B (zh) 基于ims的远程设备发现和控制
EP2127324B1 (en) Remote monitoring of user appliances
US20060159110A1 (en) 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based home gateway apparatus and device registration method thereof
US8873570B2 (en) Extensible system and method to bridge SIP and UPnP devices
US200601933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service in private network
EP2237476A2 (en) Upnp device for providing remote access service and method for same
KR20060070328A (ko) 에스아이피 기반의 브이오아이피 단말에서의 주소록 자동갱신 장치 및 방법
US20190373025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causing a communication client to join amedia-over-packet communication session
KR100584556B1 (ko) 댁내망 내 가전기기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US719736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ministering devices including an action log
US201000110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logging communication sessions
KR20060001550A (ko) 인터넷을 이용한 UPnP 디바이스 제어 방법
CN101207632A (zh) 软交换体系架构下实现智能家居控制的系统和方法
JP2003283536A (ja) 携帯型ルータ装置
KR100547125B1 (ko) 복수의 댁내망을 포함하는 지역망내 가전기기를 관리하는장치 및 방법
KR20120069037A (ko)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867926A (zh) 通过用户代理的会话初始协议注册的方法和装置
WO2009083872A2 (en) Methode of connecting a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terminal to a remote server
KR100565205B1 (ko) UPnP 기반의 분산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 동적 제어방법 및 시스템
JP2010219580A (ja) 通信中継装置、通信端末、及び通信方法
KR20050046998A (ko)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906953B1 (ko) 단말기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