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8006Y1 - 휴대용 콘택트렌즈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용 콘택트렌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8006Y1
KR200498006Y1 KR2020220002740U KR20220002740U KR200498006Y1 KR 200498006 Y1 KR200498006 Y1 KR 200498006Y1 KR 2020220002740 U KR2020220002740 U KR 2020220002740U KR 20220002740 U KR20220002740 U KR 20220002740U KR 200498006 Y1 KR200498006 Y1 KR 200498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locking
lower body
storage plat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헌
Original Assignee
이병헌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헌 filed Critical 이병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8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80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5Contact lens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contact len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34/00Cleaning and liquid contact with solids
    • Y10S134/901Contact lens

Abstract

본 고안은 절첩이 가능한 연결부로 연결되어 개폐 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의 내부에 조립되는 수납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수납 플레이트를 제외한 케이스의 구성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케이스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열고 닫을 때 본체가 분리되거나 버튼 역할의 걸림부가 분실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고, 제조공정이 간소화되며 생산비용이 절감하여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은 수납 플레이트에 의해 콘택트렌즈와 보존액을 함께 보관하는 보관용기와 콘택트렌즈를 집어내는 렌즈집게를 함께 수납할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빼내는 동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콘택트렌즈 케이스{Portable contact lens case}
본 고안은 콘택트렌즈를 휴대하기 위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택트렌즈와 보존액을 보관하는 보관용기와 콘택트렌즈를 집는 렌즈집게를 함께 수납 및 보관할 수 있어 장소에 상관없이 휴대와 렌즈를 착용하고 빼내는 동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휴대용 콘택트렌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는 눈동자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안구의 표면에 밀착되기 위하여 부드러운 소재로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눈이 움직일 때 거부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콘택트렌즈는 크기가 매우 작고, 얇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보관 및 휴대가 어려워 좌우가 구분되도록 한 조로 구성된 보관용기 속에 렌즈에 묻어있는 단백질을 제거하고 세균이 서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존액에 침지시켜 보관한다.
한편, 보관용기에 보관된 콘택트렌즈를 꺼내서 사용하기 위해서 보관용기의 캡을 열고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보존액에 침지된 콘택트렌즈를 집어들고서 눈동자에 착용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콘택트렌즈의 표면에 손가락 지문이 묻어나면서 착용 시 이물감이 느껴지고 시야확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손가락에 묻어있는 세균이 콘택트렌즈와 보존액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다래끼 등 여러가지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렌즈집게를 사용하여 콘택트렌즈를 집어낸다.
이처럼 콘택트렌즈를 휴대 및 보관하기 위한 보관용기와 상기 보관용기에서 콘택트렌즈를 집어내는 렌즈집게는 별도로 챙겨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보관용기와 렌즈집게를 함께 수납하여 보관 및 휴대하는 종래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어 힌지 연결되는 두 개의 본체와 상기 힌지 연결된 두 개의 본체를 열고 닫는 버튼을 조립하여 보관용기와 렌즈집게를 동시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본체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힌지 결합된 본체가 분리되거나 고정을 위한 버튼이 이탈하여 분실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사용상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8747호
본 고안은 보관용기와 렌즈집게를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안착시키고, 수납 플레이트를 견고하게 결합하며, 수납 플레이트에 렌즈집게를 세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하며, 상부 본체를 닫았을 때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하여 다른 물체와 걸림이 없도록 하고, 여러 가지 크기를 가진 보관용기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전체적으로 케이스의 부피를 줄이면서 렌즈집게를 세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은 상부 본체에는 상기 연결부의 반대쪽에 걸림홈이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부가 형성되고, 하부 본체에는 상기 연결부의 반대쪽에 걸림돌기가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부를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부 본체의 두께를 내부 측에서 줄여 구성하고, 걸림부는 걸림부가 안착되도록 내부 측으로 요입되도록 구성하여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가 닫혔을 때 걸림부와 걸림부가 접촉하는 부분에서 걸림홈과 걸림돌기가 결합되도록 하여 걸림부와 걸림부 주변에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납 플레이트에는 형태와 크기가 제각각인 보관용기 또는 낱개의 보관함이 수납될 수 있게 수납층을 포함한 수납홈과 좌우 구분되는 보관함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편이 수납되는 가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부 본체에는 수납 플레이트가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벽면의 모서리 4곳에는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되 벽면에서 바닥면으로 내려갈수록 경사진 좌우측면으로 인하여 두께의 폭이 넓어지는 조립턱이 형성되고, 수납 플레이트에는 하부 본체에 조립될 수 있도록 저면 모서리 4곳에는 하부 본체의 조립턱을 감싸도록 조립되면서 조립턱에 의해서 서로 맞물려 끼워맞춤되어 단단하게 고정되는 조립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수납 플레이트에 의해 보관용기와 렌즈집게의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케이스를 열고 닫을 때 두 개의 본체가 분리되거나 결합을 위한 버튼이 분실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한다.
또한, 외관이 단정하고,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진 보관용기를 수납할 수 있고, 견고한 조립성과 렌즈집게를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수납 플레이트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케이스와 수납 플레이트가 분리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케이스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케이스에 보관용기와 렌즈집게가 분리된 사용상태도
도 6는 본 고안에 의한 케이스에 보관용기와 렌즈집게가 수납된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케이스를 닫아낸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휴대용 콘택트렌즈 케이스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을 본 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기재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본 고안의 케이스(1)는 절첩이 가능한 연결부(15)(25)로 연결되어 개폐가 가능토록 구성되는 상부 본체(10)와 하부 본체(20), 상기 하부 본체(20)에 조립되어 보관용기(40)와 렌즈집게(50)를 수납하는 수납 플레이트(30)를 포함한다.
상부 본체(10)는 케이스(1)의 덮개로서, 벽면(11)과 덮개면(12)으로 구성되고, 일측에는 하부 본체(20)의 연결부(25)와 연결되는 연결부(15)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15)의 반대쪽에는 상부 본체(10)를 닫으면 하부 본체(20)의 걸림부(23)와 맞물려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걸림홈(14)이 형성된 걸림부(13)가 형성된다.
하부 본체(20)는 보관용기(40)와 렌즈집게(50)가 수납되는 몸체로서, 벽면(21)과 바닥면(22)으로 구성되고, 일측에는 상부 본체(10)의 연결부(15)와 연결되어 절첩되는 연결부(25)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25)의 반대쪽에는 닫혀지는 상부 본체(10)의 걸림부(13)와 맞물려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걸림부(13)의 걸림홈(14)에 끼워 넣어지는 걸림돌기(24)가 형성된 걸림부(23)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3)는 상부 본체의 두께를 내부 측에서 줄여 구성하고, 걸림부(23)는 걸림부(13)가 안착되도록 내부 측으로 요입되도록 구성하여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가 닫혔을 때 걸림부(13)와 걸림부(23)가 접촉하는 부분에서 걸림홈(14)과 걸림돌기(24)가 결합되도록 하여 걸림부(13)와 걸림부(23) 주변에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본체(20)에 보관용기(40)와 렌즈집게(50)를 구분하여 수납하기 위해 조립되는 수납 플레이트(30)가 올바르게 조립될 수 있도록 벽면(21)의 모서리 4곳에는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되 벽면(21)에서 바닥면(22)으로 내려갈수록 경사진 좌우측면으로 인하여 두께의 폭이 넓어지는 조립턱(26)이 형성된다.
수납 플레이트(30)는 콘택트렌즈를 좌우 구분하여 보관하기 위한 두 개의 원형 보관함(41)과 상기 보관함(41)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편(42)으로 구성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보관용기(40)를 수납하는 수납부(31)와 보관용기(40)와 별도로 구분하여 렌즈집게(50)를 수납하기 위한 렌즈집게 수용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31)는 보관용기(40)의 보관함(41)이 위치하는 수납홈(31-1)과 보관함(41)을 연결하는 연결편(42)이 위치하는 가로홈(3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납홈(31-1)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는 보관용기(40) 또는 낱개의 보관함(41)이 수납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직경과 깊이를 가지는 수납층(3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 플레이트(30)가 하부 본체(20)에 조립될 수 있도록 저면 모서리 4곳에는 하부 본체(20)의 조립턱(26)을 감싸도록 조립되되 바닥면(22)의 방향으로 눌러낼수록 두께의 폭이 넓어지는 조립턱(26)에 의해서 서로 맞물려 끼워맞춤되어 단단하게 고정되는 조립홈(33)이 형성된다.
또한, 수납 플레이트(30)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렌즈집게 수용부(32)는 하부 본체(20)에 수납 플레이트(30)를 조립하면 렌즈집게 수용부(32)가 바닥면(22)까지 연결되어 렌즈집게(50)의 수납 공간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어 렌즈집게(50)의 수납 시 세워서 보관하되 사용자가 렌즈집게(50)를 꺼내서 사용할 때 파지하기 쉽도록 수납 플레이트(30)로 부터 렌즈집게(50)가 일정부분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케이스의 사용방법 및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콘택트렌즈를 사용하거나 사용 후 보관할 때, 걸림부(13)(23)를 해제하여 상부 본체(10)와 하부 본체(20)를 분리한 후 수납 플레이트(30)에서 보관용기(40)와 렌즈집게(50)를 꺼내거나 넣을 수 있게 되고, 다시 상부 본체(10)를 닫으면 보관 및 휴대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콘택트렌즈의 사용을 위한 보관용기(40)와 렌즈집게(50)를 구분하여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어 콘택트렌즈의 사용과 보관에 필요한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케이스(1)의 개폐를 위한 연결부(15)(25)와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부(13)(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1)를 열고 닫아 사용하는 과정에서 본체가 분리되거나 분실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한다.
또한, 수납 플레이트(30)를 제외한 케이스(1)의 구성이 일체화되어 제조공정이 간소화되고 생산비용이 절감되어 최종적으로는 생산성이 향상되어 더욱 저렴한 케이스를 시중에 유통, 제공한다.
1: 케이스
10: 상부 본체
11: 벽면
12: 덮개면
13: 걸림부
14: 걸림홈
15: 연결부
20: 하부 본체
21: 벽면
22: 바닥면
23: 걸림부
24: 걸림돌기
25: 연결부
26: 조립턱
30: 수납 플레이트
31: 수납부 31-1: 수납홈
31-2: 수납층 31-3: 가로홈
32: 렌즈집게 수용부
33: 조립홈
40: 보관용기
41: 보관함
42: 연결편
50: 렌즈집게

Claims (1)

  1. 절첩이 가능한 연결부(15)(25)로 연결되어 개폐가 가능토록 구성되는 상부 본체(10)와 하부 본체(20), 상기 하부 본체(20)에 조립되어 보관용기(40)와 렌즈집게(50)를 수납하는 수납 플레이트(30)를 포함하는 케이스에 있어서,
    상부 본체(10)에는 상기 연결부(15)의 반대쪽에 걸림홈(14)이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부(13)가 형성되고, 하부 본체(20)에는 상기 연결부(25)의 반대쪽에 걸림돌기(24)가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부(23)를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3)는 상부 본체의 두께를 내부 측에서 줄여 구성하고, 걸림부(23)는 걸림부(13)가 안착되도록 내부 측으로 요입되도록 구성하여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가 닫혔을 때 걸림부(13)와 걸림부(23)가 접촉하는 부분에서 걸림홈(14)과 걸림돌기(24)가 결합되도록 하여 걸림부(13)와 걸림부(23) 주변에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구성하며,
    수납 플레이트(30)는 콘택트렌즈를 좌우 구분하여 보관하기 위한 두 개의 원형 보관함(41)과 상기 보관함(41)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편(42)으로 구성되는 보관용기(40)를 수납하는 수납부(31)와 보관용기(40)와 별도로 구분하여 렌즈집게(50)를 수납하기 위한 렌즈집게 수용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31)는 보관용기(40)의 보관함(41)이 위치하는 수납홈(31-1)과 보관함(41)을 연결하는 연결편(42)이 위치하는 가로홈(31-3)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31-1)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는 보관용기(40) 또는 낱개의 보관함(41)이 수납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직경과 깊이를 가지는 수납층(31-2)이 형성되며,
    하부 본체에는 수납 플레이트(30)가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벽면(21)의 모서리 4곳에는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되 벽면(21)에서 바닥면(22)으로 내려갈수록 경사진 좌우측면으로 인하여 두께의 폭이 넓어지는 조립턱(26)이 형성되고, 수납 플레이트(30)에는 하부 본체(20)에 조립될 수 있도록 저면 모서리 4곳에는 하부 본체(20)의 조립턱(26)을 감싸도록 조립되면서 조립턱(26)에 의해서 서로 맞물려 끼워맞춤되어 단단하게 고정되는 조립홈(33)이 형성되며,
    수납 플레이트(30)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렌즈집게 수용부(32)를 구성하여 하부 본체(20)에 수납 플레이트(30)를 조립하면 렌즈집게 수용부(32)가 바닥면(22)까지 연결되어 렌즈집게(50)의 수납 공간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어 렌즈집게(50)의 수납 시 세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택트렌즈 케이스.
KR2020220002740U 2022-11-22 휴대용 콘택트렌즈 케이스 KR200498006Y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8006Y1 true KR200498006Y1 (ko) 2024-05-16

Family

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865Y1 (ko) 2001-09-25 2002-05-27 김효정 안경집
KR200428747Y1 (ko) * 2006-07-14 2006-10-16 한국미오티카주식회사 휴대용 콘택트렌즈 케이스 보관함
KR200467505Y1 (ko) 2012-12-17 2013-06-17 주식회사 하이옵틱 휴대용 콘택트렌즈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865Y1 (ko) 2001-09-25 2002-05-27 김효정 안경집
KR200428747Y1 (ko) * 2006-07-14 2006-10-16 한국미오티카주식회사 휴대용 콘택트렌즈 케이스 보관함
KR200467505Y1 (ko) 2012-12-17 2013-06-17 주식회사 하이옵틱 휴대용 콘택트렌즈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37616A (en) Contact lens case
US5722536A (en) Disposable contact lens package with snap-together feature
CA2580144C (en) Contact lens package and assembly
US9434590B2 (en) Utensil carrying case
US20110042243A1 (en) Duo packaging for disposable soft contact lenses using a substrate
GB2460575A (en) Contact lens storage case
US20080173324A1 (en) Compact Case with Detachable Leaves
US20090211939A1 (en) Carry-on organizer
KR101253099B1 (ko) 콤팩트 용기
CN107922103B (zh) 隐形眼镜包装容器
KR200467505Y1 (ko) 휴대용 콘택트렌즈 케이스
KR200498006Y1 (ko) 휴대용 콘택트렌즈 케이스
KR101497815B1 (ko) 화장품 케이스
AU2005202819A1 (en) Multi-Purpose Case
KR100768522B1 (ko) 콘택트렌즈 보관 케이스
US20170095054A1 (en) Bottle assembly
US20070199831A1 (en) Contact Lens Package and Applicator With Method For Its Use
KR101707232B1 (ko) 두 개의 브러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
KR200468216Y1 (ko) 콘택트렌즈 보관용 케이스
JPH061046Y2 (ja) 薄型コンパクト容器
CN209450012U (zh) 一种多层化妆盒
JP3049298U (ja) 眼鏡及び補聴器の携帯用ケース
KR101320822B1 (ko) 큐빅 콤팩트 색조 화장품 용기
KR20200080881A (ko) 코받침 일체형 엠보싱 안경 케이스
JP3134718U (ja) 液体収納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