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942Y1 - 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942Y1
KR200497942Y1 KR2020220001707U KR20220001707U KR200497942Y1 KR 200497942 Y1 KR200497942 Y1 KR 200497942Y1 KR 2020220001707 U KR2020220001707 U KR 2020220001707U KR 20220001707 U KR20220001707 U KR 20220001707U KR 200497942 Y1 KR200497942 Y1 KR 2004979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main body
terminal
coupling rail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7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00127U (ko
Inventor
차준표
Original Assignee
(주)파란마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란마당 filed Critical (주)파란마당
Priority to KR2020220001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942Y1/ko
Publication of KR202400001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1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9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9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45C2013/303Straps; Bands with strap loop for carrying an object by passing the hand through the loop, the loop resting partially around the wri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를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고, 단말기를 테이블이나 바닥에 기울여서 거치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거치 각도를 선택적으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는, 단말기를 수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설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롱힌지로 결합되어, 그 회동각도가 다양한 각도로 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하며, 하단이 피안착물에 안착되어 상기 본체부를 기울어지게 지지하는 회동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기 케이스{CASE FOR TERMINAL}
본 고안은 단말기를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고, 단말기를 테이블이나 바닥에 기울여서 거치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거치 각도를 선택적으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블릿PC란 손가락이나 터치 펜으로 조작할 수 있는 소형의 휴대용 컴퓨터를 말한다.
태블릿 PC는 필체 인식 기능을 갖추어 펜 입력을 통해 문자나 그림을 워드파일이나 오피스에 입 력할 수 있으며 무선랜을 통해 어느 곳에서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새로운 플랫폼의 모바일 피씨다.
최근 컴퓨터기술의 발달과 무선네트웍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손바닥 크기의 태블릿 피씨가 데스크탑(desktop) 또는 랩탑(labtop) 컴퓨터에 버금가는 성능을 갖출 수 있게 되었으며, 정보화 사회로의 급격한 변화와 IT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화로 인하여 태블릿 피씨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아이패드(iPad), 갤럭시텝(galaxytab) 등과 같은 글로벌기업의 고사양 태블릿피씨가 출시됨에 따라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태블릿PC는 화면을 나타내는 액정화면이 구비된 사각의 박스형상을 이루는 것이 보통으로 종래의 PC와 는 다르게 평평한 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거나 평평한 바닥에 태블릿PC를 올려놓고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태블릿PC는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태블릿PC 고유의 평평한 판 형상에 따라 태블릿PC의 액정화면과 사용자의 눈높이를 원활하게 맞추어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태블릿PC의 액정화면과 사 용자의 눈높이를 맞추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태블릿PC를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해야 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필요한 피로도를 높이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태블릿PC를 거치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태블릿PC를 거치할 수 있는 별도의 거치대를 구비해야 함으로써 불필요한 비용증대가 발생될 수 있었고, 거치대를 사용한 후에는 거치대를 보관하거나 휴대하기가 어려워 태블릿 PC 거치대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92436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말기를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고, 단말기를 테이블이나 바닥에 기울여서 거치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거치 각도를 선택적으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는, 단말기를 수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설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롱힌지로 결합되어, 그 회동각도가 다양한 각도로 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하며, 하단이 피안착물에 안착되어 상기 본체부를 기울어지게 지지하는 회동 지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후면 중 상기 회동 지지부가 접하는 영역에 설치되는 제1 자석부; 상기 본체부에 수용된 단말기의 액정을 덮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그 일정영역이 상기 제1 자석부와 마주할 수 있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자석부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제2 자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 지지부에는 상기 제2 자석부가 상기 제1 자석부에 부착되도록 상기 제1 자석부를 노출시키는 노출홀이 형성된다.
또한, 양측이 상기 회동 지지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을 관통시키는 관통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회동 지지부에 위치한 사용자의 손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스트랩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는 제3 자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가장자리가 상기 제3 자석부에 부착되도록 금속 또는 자석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자동차 키를 수납하는 파우치; 상기 파우치를 상기 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탈착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매립되는 히팅선; 상기 히팅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일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빈 공간을 제1 구획공간 및 제2 구획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판; 상기 제1 구획공간 및 제2 구획공간에 각각 고정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4,5 자석부; 및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한 쌍의 무선이어폰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1 구획공간 및 제2 구획공간에서 상기 제4 자석부 및 제5 자석부에 각각 부착되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부착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탈착부는, 상기 파우치의 저면에 결합되고,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제1 결합레일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결합되고,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제2 결합레일부; 및 상기 제1 결합레일부와 제2 결합레일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레일부의 외면을 파지하고, 상기 제1 결합레일부에 부착되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제1 파지부 및 상기 센터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레일부의 외면을 파지하고, 상기 제2 결합레일부에 부착되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제2 파지부를 포함하는 커플러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는 단말기를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고, 단말기를 테이블이나 바닥에 기울여서 거치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거치 각도를 선택적으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를 도시한 후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에 적용된 스트랩을 통해 단말기 케이스를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후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에 커버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후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에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에 파우치 및 탈착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에 파우치와, 착탈부와, 손잡이와, 히팅선과, 배터리 및 수납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에 적용된 수납부와, 구획판과, 제4 자석부와, 제5자석부 및 부착부를 도시한 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단말기 케이스(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를 도시한 후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에 적용된 스트랩을 통해 단말기 케이스를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후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에 커버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후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에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1)는, 본체부(10)와, 고정부(20)와, 회동 지지부(30)와, 스트랩(90)과, 제1 자석부(50)와, 커버부(60)와, 연장부(70) 및 제2 자석부(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단말기를 수납하는 것으로,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단말기가 수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단말기는 액정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본체부(1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본체부(10)는 단말기가 수용되는 과정에서 탄성적으로 늘어 날 수 있고, 수용공간에 수용된 단말기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10)는 단말기와 같이 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단말기는 태블릿 PC, 휴대용 TV, 휴대폰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단말기가 태블릿 PC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1)에서 단말기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음을 밝힌다.
고정부(20)는 회동 지지부(30)가 롱힌지(40)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본체부(10)의 후면에 고정된다.
고정부(20)는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부(10)의 후면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좌측 절반을 가린다.
회동 지지부(30)는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부(10)의 후면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우측 절반을 가린다.
회동 지지부(30)는 롱힌지(40)를 통해 고정부(20)에 결합된다.
회동 지지부(30)는 롱힌지(40)를 통해 본체부(10)와 멀어지는 방향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손으로 본체부(10)를 파지한 상태로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회동 지지부(30)를 본체부(10) 방향으로 회동시켜 본체부(10)의 후면에 밀착시키면 된다.
그리고, 단말기를 바닥이나 책상에 거치시킨 상태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지지부(30)를 본체부(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본체부(10) 및 회동 지지부(30)를 피안착물인 바닥이나 책상에 기울이는 형태로 지지시키면 된다.
이때, 롱힌지(40)는 회동 지지부(30)에 고정된 회동편(41)의 회동각도가 다양한 각도로 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한 제품이다.
따라서, 회동 지지부(30)의 회동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결국 사용자는 자신이 단말기를 사용하기에 편안하게 본체부(10)의 기울기 각도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조절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고정부(20) 및 회동 지지부(30)에는 가죽이나 기타 다양한 소재로 형성되는 하나의 커버부(220)가 공동으로 부착될 수 있다.
도2, 도4 및 도5에는 고정부(20) 및 회동 지지부(30)에 커버부(220)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였고, 도3에는 고정부(20) 및 회동 지지부(30)에 커버부(220)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였다.
커버부(220)로 인해 고정부(20) 및 회동 지지부(30)에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하면서 롱힌지(40)를 가릴 수 있다.
특히, 롱힌지(40)를 가리는 경우 사용자가 회동편(41)에 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트랩(90)은 그 양측이 회동 지지부(30)에 설치된다.
이때, 커버부(220)에는 스트랩(90)의 양측을 통과시키는 한 쌍의 통과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스트랩(90)은 그 양측이 통과홀을 각각 통과하며, 커버부(220)의 내부에서 회동 지지부(30)에 고정된다.
스트랩(90)은 탄성을 갖는 밴드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90)은 양측 사이의 영역이 늘어나면서 회동 지지부(30)와 멀어지거나 또는, 회동 지지부(30)에 밀착될 수 있다.
스트랩(90)의 양측 사이 영역은 사용자의 손을 관통시키는 관통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즉, 스트랩(90)과 회동 지지부(30)의 사이로 한쪽 손을 밀어 넣으면, 스트랩(90)이 탄성적으로 늘어나면서 사용자의 손등에 밀착되어,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파지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스트랩(90)에 한쪽 손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다음, 다른 한쪽 손으로 단말기를 사용하면 된다.
한편, 제1 자석부(50) 및 제2 자석부(80)는 커버부(60)를 본체부(10)에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1 자석부(50)는 본체부(10)의 후면 중 회동 지지부(30)가 접하는 영역에 설치된다.
제1 자석부(50)는 커버부(6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복수개로 적용되며, 본체부(10)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자석부(50)는 본체부(10)에 부착되는 마감테이프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이때, 회동 지지부(30)에는 제1 자석부(50)를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홀(30a)이 형성된다.
노출홀(30a)로 인해 제1 자석부(50)가 노출됨으로, 제2 자석부(80)가 제1 자석부(50)에 부착될 수 있다.
커버부(60)는 본체부(10)에 수용된 단말기의 액정을 덮는 구성이다.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커버부(60)로 단말기를 덮어 액정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커버부(60)는 다단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마디를 포함할 수 있다.
마디는 커버부(60)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0)의 상면에는 제3 자석부(1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고, 커버부(60)는 액정을 덮었을 때 그 가장자리가 제3 자석부(100)에 부착되도록 금속 또는 자석재질로 형성된다.
연장부(70)는 커버부(6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다.
따라서, 연장부(70)는 커버부(60)의 일측으로 돌출된다.
연장부(70)는 가죽, 천, 부직포와 같이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연장부(70)는 일정영역이 본체부(10)의 측면을 감싸고, 다른 일정영역은 제1 자석부(50)와 마주할 수 있다.
제2 자석부(80)는 연장부(70)에 설치된다.
제2 자석부(80)는 연장부(70)의 내부에 매립되어 은닉될 수 있다.
제2 자석부(80)는 제1 자석부(50)와 동일한 개수 및 간격으로 연장부(70)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1 자석부(50)들과 제2 자석부(80)들은 서로 1:1 대향된다.
제2 자석부(80)는 제1 자석부(50)와 반대극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1 자석부(50)에 자력을 통해 부착된다.
이상 설명한 커버부(60)는 제1 자석부(50) 및 제2 자석부(80)를 통해 본체부(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본체부(10)에 커버부(60)를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본체부(10)에서 커버부(60)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1)에 적용된 파우치(110)와, 탈착부(120)와, 손잡이(130)와, 히팅선(140)과, 배터리(150)와, 수납부(160)와, 구획판(170)과, 제4,5 자석부 및 부착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에 파우치 및 탈착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에 파우치와, 착탈부와, 손잡이와, 히팅선과, 배터리 및 수납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에 적용된 수납부와, 구획판과, 제4 자석부와, 제5자석부 및 부착부를 도시한 도이다.
파우치(110)는 자동차 키(210)를 수납하는 구성이다.
파우치(110)는 일면에 자동차 키(210)가 출입하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자동차 키(21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파우치(110)의 수용공간에 자동차키를 수납하면, 자동차 키(210)에 형성된 버튼들만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노출된 버튼을 통해 자동차 문과 트렁크를 용이하게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파우치(110)는 가죽이나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탈착부(120)는 본체부(10)와 파우치(110)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탈착부(120)로 본체부(10)에 파우치(110)를 결합하여 단말기 및 자동차 키(210)를 일체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 자동차 키(21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탈착부(120)는 제1 결합레일부(121)와, 제2 결합레일부(122) 및 커플러(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레일부(121)는 파우치(110)의 저면에 고정된다.
제1 결합레일부(121)는 밸크로드 테이프나 접착제를 통해 파우치(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레일부(121)는 커플러(123)가 자력을 통해 고정되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레일부(122)는 본체부(10)의 상면에 결합된다.
제2 결합레일부(122)는 밸크로드 테이프나 접착제를 통해 본체부(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레일부(122)는 커플러(123)가 자력을 통해 고정되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플러(123)는 제1 결합레일부(121)와 제2 결합레일부(122)의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부(1231)와, 센터부(1231)의 상측에 형성되며,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결합레일부(121)의 외면을 파지하고, 제1 결합레일부(121)에 부착되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제1 파지부(1232) 및 센터부(1231)의 하측에 형성되며,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결합레일부(122)의 외면을 파지하고, 제2 결합레일부(122)에 부착되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제2 파지부(12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플러(123)를 통해 본체부(10)와 파우치(110)를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단말기와 자동차 키(210)를 함께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는 것이 가능하여 자동차 키(21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손잡이(130)는 고정부(20)에 결합된다.
손잡이(13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 할 수 있도록 대략 반원형 단면 형상이나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1)는 손잡이(130)와 스트랩(90)을 통해 양손으로 본체부(10)를 안정적으로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손잡이(130)는 열전도율이 우수하고 비교적 빠른 시간에 가열되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히팅선(140)은 손잡이(130)의 내부에 매립된다.
이때, 고정부(20)에는 히팅선(1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5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150) 또는 고정부(20)에는 배터리(150)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가 설치된다.
배터리(150)를 통해 히팅선(140)에 전원을 공급하여 손잡이(130)를 가열함으로써, 사용자가 겨울과 같이 추운 날씨에 손을 따뜻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추운 날씨에 손이 얼어 단말기를 조작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손잡이(130)와, 히팅선(140) 및 배터리(150)는 사용자가 두손을 동시에 따뜻하게 유지하도록 2개 한 쌍으로 적용될 수 있다.
수납부(160)는 고정부(20)에 결합되고, 일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구획판(170)은 수납부(160)의 빈 공간 중앙부분에 배치되어, 빈 공간을 제1 구획공간(160a) 및 제2 구획공간(160b)으로 구획한다.
제4 자석부(180)는 제1 구획공간(160a)에 고정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5 자석부(190)는 제2 구획공간(160b)에 고정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부착부(200)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4 자석부(180) 및 제5 자석부(190)의 중공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부착부(200)는 제4 자석부(180) 및 제5 자석부(190)의 상면에 걸쳐질 수 있다.
부착부(200)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오른쪽 귀에 착용하는 무선이어폰(230a)과 왼쪽 귀에 착용하는 무선이어폰(230b)에 각각 장착된다.
부착부(200)의 내주연에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마찰부(201)가 형성된다.
따라서, 마찰부(201)가 무선이어폰(230a,230b)의 외면을 각각 감싸게 된다.
마찰부(201)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됨으로, 무선이어폰(230a,230b)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무선이어폰(230a,230b)이 부착부(2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부착부(200)는 제4 자석부(180) 및 제5 자석부(190)에 부착되도록 금속재질이나 자석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수납부(160)에 수납된 무선이어폰(230a,230b)을 인출하여 귀에 각각 착용하고자 할 경우 제1 구획공간(160a) 및 제2 구획공간(160b)에서 제4 자석부(180) 및 제5 자석부(190)에 부착된 부착부(200)를 각각 인출한 다음, 부착부(200)에서 무선이어폰(230a,230b)을 인출한 후, 무선이어폰(230a,230b)을 오른쪽 귀와 왼쪽 귀에 각각 착용하면 된다.
그리고, 무선이어폰(230a,230b)을 수납부(160)에 보관하고자 할 경우, 제1 구획공간(160a) 및 제2 구획공간(160b)에서 제4 자석부(180) 및 제5 자석부(190)에 부착된 부착부(200)를 각각 인출한 다음, 각각의 부착부(200)에 무선이어폰을 장착한 후, 제1 구획공간(160a)의 상측 입구와 제2 구획공간(160b)의 상측 입구에서 부착부(200)를 각각 낙하시키면 부착부(200)가 제4 자석부(180)와, 제5 자석부(190)에 각각 자력으로 부착된다.
따라서, 무선이어폰을 수납부(160)의 제1 구획공간(160a)과 제2 구획공간(160b)에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1)는 이와 같이 수납부(160)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가 무선이어폰(230a,230b)의 케이스를 추가로 소지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단말기 케이스 10 : 본체부
20 : 고정부 30 : 회동 지지부
30a : 노출홀 40 : 롱힌지
41 : 회동편 50 : 제1 자석부
60,220 : 커버부 70 : 연장부
80 : 제2 자석부 90 : 스트랩
100 : 제3 자석부 110 : 파우치
120 : 탈착부 121 : 제1 결합레일부
122 : 제2 결합레일부 123 : 커플러
1231 : 센터부 1232 : 제1 파지부
1233 : 제2 파지부 130 : 손잡이
140 : 히팅선 150 : 배터리
160 : 수납부 160a : 제1 구획공간
160b : 제2 구획공간 170 : 구획판
180 : 제4 자석부 190 : 제5 자석부
200 : 부착부 201 : 마찰부
210 : 자동차 키

Claims (4)

  1. 단말기를 수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롱힌지로 결합되어, 그 회동각도가 다양한 각도로 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하며, 하단이 피안착물에 안착되어 상기 본체부를 기울어지게 지지하는 회동 지지부;
    상기 본체부의 후면 중 상기 회동 지지부가 접하는 영역에 설치되는 제1 자석부;
    상기 본체부에 수용된 단말기의 액정을 덮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그 일정영역이 상기 제1 자석부와 마주할 수 있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자석부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제2 자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 지지부에는 상기 제2 자석부가 상기 제1 자석부에 부착되도록 상기 제1 자석부를 노출시키는 노출홀이 형성되며,
    자동차 키를 수납하는 파우치;
    상기 파우치를 상기 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탈착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매립되는 히팅선;
    상기 히팅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일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빈 공간을 제1 구획공간 및 제2 구획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판;
    상기 제1 구획공간 및 제2 구획공간에 각각 고정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4,5자석부; 및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한 쌍의 무선이어폰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1 구획공간 및 제2 구획공간에서 상기 제4 자석부 및 제5 자석부에 각각 부착되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부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탈착부는,
    상기 파우치의 저면에 결합되고,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제1 결합레일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결합되고,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제2 결합레일부; 및
    상기 제1 결합레일부와 제2 결합레일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레일부의 외면을 파지하고, 상기 제1 결합레일부에 부착되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제1 파지부 및 상기 센터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레일부의 외면을 파지하고, 상기 제2 결합레일부에 부착되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제2 파지부를 포함하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단말기 케이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양측이 상기 회동 지지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을 관통시키는 관통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회동 지지부에 위치한 사용자의 손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단말기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는 제3 자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가장자리가 상기 제3 자석부에 부착되도록 금속 또는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단말기 케이스.
KR2020220001707U 2022-07-13 2022-07-13 단말기 케이스 KR2004979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707U KR200497942Y1 (ko) 2022-07-13 2022-07-13 단말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707U KR200497942Y1 (ko) 2022-07-13 2022-07-13 단말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127U KR20240000127U (ko) 2024-01-22
KR200497942Y1 true KR200497942Y1 (ko) 2024-04-19

Family

ID=89713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707U KR200497942Y1 (ko) 2022-07-13 2022-07-13 단말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94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97581A1 (en) 2010-06-08 2011-12-08 Timothy Charles Angel Portable, adjustable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436B1 (ko) 2010-06-03 2010-11-05 (주)모젠씨앤에이 태블릿pc용 케이스
KR200471353Y1 (ko) * 2012-02-08 2014-02-21 다이아리지(주)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0474706Y1 (ko) * 2013-03-06 2014-10-10 (주) 엔브이인터내셔널 분리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0476383Y1 (ko) * 2013-07-10 2015-02-25 주식회사 뉴빛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0477076Y1 (ko) * 2013-08-27 2015-05-13 임창수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102661583B1 (ko) * 2019-08-02 202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펜 수납이 가능한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97581A1 (en) 2010-06-08 2011-12-08 Timothy Charles Angel Portable, adjustable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127U (ko) 202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7983B2 (en) Combination protective case and stand for a tablet device and keyboard
US20120211377A1 (en) Combination protective case and stand for a tablet device and keyboard
US6267236B1 (en)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computer
US9036340B1 (en) Reversible folio for tablet computer with reversible connection for keyboard and reading configuration
US9013863B2 (en) Protective sheath
US20100220434A1 (en) Bag computer
US20120118770A1 (en) Tablet accessory
US20110299231A1 (en) Rotatable Cases For Electronic Devices
US20130203473A1 (en) Cellular Phone Case having a Keyboard Input
RU2427971C2 (ru) Многорежимный поворотный носимый держатель для моби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US20160088924A1 (en) Swivel finger strap for a mobile device
US9038871B2 (en) Glove construction and kit for carrying outfitted electronic devices
US9581286B2 (en) Tablet computer holding device
US20210083713A1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s
KR200464678Y1 (ko) 태블릿 피씨용 가방
KR200497942Y1 (ko) 단말기 케이스
CA2749728A1 (en) Electronic mobile device support apparatus
KR200429941Y1 (ko) 휴대용 장식부재
KR20130013972A (ko) 태블릿 컴퓨터 키보드 내장형 케이스
KR101256657B1 (ko) 휴대폰 지지 장치
KR100787025B1 (ko) 크기가 다른 배터리의 결합이 가능한 노트북 컴퓨터
KR102135207B1 (ko)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
JP2001218612A (ja) 情報処理装置用携帯ケース
KR20230131553A (ko) 스마트폰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부착패드를 포함하는 폰케이스
WO2024005791A1 (en) Reusable adhesive mount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