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869Y1 - Steamer for cooking - Google Patents

Steamer for coo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869Y1
KR200497869Y1 KR2020210003918U KR20210003918U KR200497869Y1 KR 200497869 Y1 KR200497869 Y1 KR 200497869Y1 KR 2020210003918 U KR2020210003918 U KR 2020210003918U KR 20210003918 U KR20210003918 U KR 20210003918U KR 200497869 Y1 KR200497869 Y1 KR 200497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ing frame
frame
steamer
steaming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91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01065U (en
Inventor
김학수
허다혜
김준현
박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셜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셜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셜빈
Priority to PCT/KR2022/00906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90561A1/en
Publication of KR202300010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06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869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리용 찜기는, 상하가 개방된 틀 형태를 이루는 제1 찜틀, 제1 찜틀의 상면 또는 저면을 덮는 덮개,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통 형태를 이루며 제1 찜틀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물솥,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판 형태를 이루며 제1 찜틀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제1 채반을 포함한다.A cooking stea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first steaming frame that is in the form of a frame with open top and bottom, a cover that covers the top or bottom of the first steaming frame, and a first steaming frame that has an open upper surface and is in the form of an empty barrel. It includes a water pot that can be accommodated inside, a first tray that has a plate shape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steaming frame.

Description

요리용 찜기{STEAMER FOR COOKING}Steamer for cooking{STEAMER FOR COOKING}

본 고안은 요리용 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한 요리용 찜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steam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oking steamer that is easy to store and carry because its volume can be minimized.

일반적으로 찜기는, 증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찜 요리를 함에 사용되는 것으로, 음식물이 물이나 불에 직접 닿지 않으므로 영양소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재료 고유의 맛을 간직할 수 있어, 다양한 요리를 함에 이용된다.In general, a steamer is used to cook food using steam. Since the food does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water or fire, nutrient loss can be reduced and the unique taste of the ingredients can be preserved, allowing for a variety of dishes. It is used to

이러한 찜기는, 세라믹, 스테인리스, 에나멜, (편백)나무 등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되고 있다. 시중에서 보편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찜기는, 2단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하고자 하는 찜 요리의 양에 따라 1단만을 사용하거나 2단 모두를 사용하게끔 구성된다. These steamers are manufactured using materials such as ceramic, stainless steel, enamel, and (cypress) wood. Steamers commonly sold on the market are composed of two stages, so that the user can use only the first stage or both stag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steamed food he or she wants to cook.

이와 같이 2단으로 구성된 찜기는, 각 단을 이루는 찜통이 적층될 수 있게 이루어져 있는바, 이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때도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며, 부피가 커 휴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종래 찜기는 캠핑 등과 같은 야외 활동시 찜 요리를 하기 위해 소지하기에 용이하지 않다.In this two-stage steamer, the steamers forming each stage can be stacked, so it takes up a considerable amount of space even when stored when not in use, and has the problem of being bulky and difficult to carry. Because of this, conventional steamers are not easy to carry for steaming dishes during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한편, 찜기를 기본적으로 구성하는 찜통, 덮개, 채반, 물솥은, 찜 요리를 하는데에만 사용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 다른 용도로는 사용이 불가능하여 활용이 제한적이다.Meanwhile, the steamer, cover, tray, and water pot that basically constitute the steamer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only for steam cooking, and cannot be used for other purposes, so their utilization is limited.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적은 수납공간을 차지하여 보관이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하여 캠핑 등과 같은 야외 활동시에도 이를 이용한 찜 요리를 즐길 수 있는 요리용 찜기를 제공한다.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provide a cooking steamer that can minimize the volume, occupies a small storage space, is easy to store, and is easy to carry, allowing you to enjoy steamed dishes even during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요리용 찜기의 각 구성들이 찜 요리를 하는 용도 이외에, 냄비, 받침대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요리용 찜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provide a cooking steamer in which each component of the cooking steamer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 pot or a stand,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steaming dishes.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리용 찜기는, 상하가 개방된 틀 형태를 이루는 제1 찜틀, 제1 찜틀의 상면 또는 저면을 덮는 덮개,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통 형태를 이루며 제1 찜틀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물솥,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판 형태를 이루며 제1 찜틀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제1 채반을 포함한다.A cooking stea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first steaming frame that is in the form of a frame with open top and bottom, a cover that covers the top or bottom of the first steaming frame, and a first steaming frame that has an open upper surface and is in the form of an empty barrel. It includes a water pot that can be accommodated inside, a first tray that has a plate shape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steaming fram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찜틀은, 하부 내측에 마주하게끔 제1 안착턱이 돌출형성되어, 제1 안착턱에 제1 채반이 놓여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teaming frame has a first seating protrusion formed to face the inside of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first tray can be placed on the first seating protrus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솥은,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지지돌부가 돌출형성되어, 지지돌부와 제1 안착턱이 상하방향으로 인접하게끔 제1 찜틀과 조립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ater pot has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upper edge, and can be assembled with the first steaming frame so that the support protrusion and the first seating ledge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하가 개방된 틀 형태를 이루면서 제1 찜틀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제2 찜틀을 더 포함하되, 제2 찜틀의 두께는, 지지돌부가 돌출된 폭보다 얇게 형성되어, 물솥은, 지지돌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제2 찜틀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steaming frame that has an open top and bottom frame shape and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steaming frame,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teaming frame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width of the protruding support protrusion, so that the water pot , the remaining portion excluding the support protrusion may be located inside the second steaming fram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는, 판 형태를 이루며 상면에 손잡이부가 돌출형성되되, 덮개가 제1 찜틀의 저면을 덮을 시, 손잡이부는 마주하는 제1 안착턱의 사이에 위치되게끔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ver is in the form of a plate and has a handle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When the cover covers the bottom of the first steaming frame, the handle part may be provid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acing first seating protrusions.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하가 개방된 틀 형태를 이루는 제2 찜틀,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판 형태를 이루며 제2 찜틀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제2 채반을 더 포함하되, 제2 찜틀 및 제2 채반은, 제1 찜틀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steaming frame in the form of a frame with the top and bottom open, a second tray in the form of a plate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second steaming frame, and the second steaming frame and the first steaming frame. 2 The tray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steaming fram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찜틀은, 상부에 적어도 양측 가장자리에 외측 방향으로 걸림돌부가 돌출형성되고, 제1 찜틀은, 걸림돌부와 대응되는 가장자리에 걸림돌부가 안착되는 걸림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steam frame may have locking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from at least both edges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first steam frame may have locking grooves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s are seated at edges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rotrusion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찜틀은, 상부 내측에 마주하게끔 제2 안착턱이 돌출형성되어, 제2 안착턱의 상측에 제2 채반이 놓여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steaming frame has a second seating protrusion so as to face the inside of the upper portion, so that a second tray can b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eating protrus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찜틀은, 편백나무 소재로 이루어지며 짜맞춤 방식으로 제작되며, 물솥은, 스테인리스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teaming frame may be made of a cypress wood material and manufactured using a fitting method, and the water pot may be made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채반에 놓여질 수 있는 편백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cypress chips that can be placed on the first tray.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1단 찜기 또는/및 2단 찜기로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보관시 제1 찜틀 내에 대부분의 구성이 수용될 수 있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바, 적은 수납공간을 차지하여 보관이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하여 캠핑 등과 같은 야외 활동시에도 이를 이용한 찜 요리를 즐길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can be used as a one-stage steamer or/and a two-stage steamer, and when stored, most of the components can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steamer frame, thereby minimizing the volume, resulting in a small storage space. It is easy to store and carry, so you can enjoy steamed dishes using it even during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요리용 찜기를 구성하는 찜틀, 덮개, 물솥, 채반이, 찜 요리를 하는 용도 이외에, 냄비, 받침대, 다른 요리의 채반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eaming frame, cover, water pot, and strainer constituting the cooking steamer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 pot, a stand, and a strainer for other dishes,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steaming dishes. .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하 설명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리용 찜기의 보관시 조립 순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리용 찜기가 보관을 위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리용 찜기가 보관을 위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절개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리용 찜기가 보관을 위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리용 찜기가 1단 사용을 위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리용 찜기의 2단 사용시 조립 순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리용 찜기가 2단 사용을 위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리용 찜기가 2단 사용을 위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절개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리용 찜기가 2단 사용을 위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below, in which like reference numerals indicate like element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sequence during storage of a cooking stea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steamer assembled for sto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3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steamer assembled for sto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oking steamer assembled for sto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steamer assembled for single-stage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sequence when using a two-stage cooking stea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steamer assembled for two-stage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8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steamer assembled for two-stage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oking steamer assembled for two-stage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detail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f there is a risk of unnecessarily obscuring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dditionally, in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overlapping descriptions of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be omitted. However, even if descriptions of components are omitted, it is not intended that such components are not included in any embodiment.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disclos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 in the present disclosure,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technician working in the related fiel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etc.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design. Accordingly, the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ather than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본 개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is disclosur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specifies the singular. Additionally, plural expressions include singular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specifies plural expressions.

본 개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개시에서, 도면의 위쪽은 그 도면에 도시된 구성의 "상부" 또는 "상측", 그 아래쪽은 "하부" 또는 "하측"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도시된 구성의 상부와 하부의 사이 또는 상부와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측부" 또는 "측면"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상측"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그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upper part of the drawing may be referred to as the “top” or “upper side”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lower part may be referred to as the “lower” or “lower side”. Additionally, in the drawings, the remaining por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tructure shown or exclud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may be referred to as a “side” or “side.” Relative terms such as “top”, “upper side”, etc. may be used to describe relationships between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such terms.

본 개시에서, 한 구조물의 내부 공간으로 향하는 방향을 "내측", 개방된 외부 공간으로 돌출된 방향을 "외측"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외측"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그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direction toward the internal space of a structure may be referred to as “inside,” and the direction protruding into the open external space may be referred to as “outside.” Relative terms such as “inside”, “outside”, etc. may be used to describe relationships between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such terms.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The description of “A and/or B” herein means A, or B, or A and B.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n between.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present disclosure is complete and that the present disclosure does not convey the scope of the desig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only for complete information.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리용 찜기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찜틀(100), 덮개(200), 물솥(300) 및 제1 채반(400)을 포함한다. A cooking stea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first steaming frame 100, a cover 200, a water pot 300, and a first tray 400, as shown in FIGS. 1 to 9.

제1 찜틀(100)은, 내부가 비어있고 상하가 개방된 틀 형태를 이루며,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사용의 편의와 보관의 효율성을 고려하였을 때, 제1 찜틀(100)은 횡단면이 사각형인 사각 틀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전제로 설명한다. 제1 찜틀(100)을 이루는 복수 개의 측벽 중 마주하는 측벽에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제1 찜틀(100)을 용이하게 잡고 이동시킬 수 있게끔 파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부는, 제1 찜틀(100)을 구성하면서 마주하는 측벽 중앙에 일정 깊이로 홈 또는 홀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파지부로 집어넣어 제1 찜틀(100)을 파지할 수 있다. 파지부는 측벽마다 형성될 수 있고 운반의 편의성을 위해 마주하는 모든 측벽에 파지부가 생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steaming frame 100 has a hollow interior and an open top and bottom, and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However, considering convenience of use and efficiency of storag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frame with a square cross section, and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based on this assumption. Among the plurality of side walls forming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gripping parts may be formed on opposing side wall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hold and move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with both hands. For example, the gripper has a groove or hole formed at a certain depth in the center of the side wall facing the first steamer 100,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 first steamer 100 by inserting his/her finger into the gripper. . The gripping portion may be formed on each side wall, or the gripping portion may be formed on all facing side walls for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그리고 제1 찜틀(100)은, 내측에 제1 채반(400)이 놓여질 수 있는 제1 안착턱(110)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제1 채반(400)은 찜 요리를 하기 위한 대상물이 얹혀지는 구성으로, 제1 채반(400)에 놓인 대상물이 제1 찜틀(100) 내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제1 안착턱(110)은 제1 찜틀(100)의 하부 내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안착턱(110)은 제1 채반(40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마주하게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사각틀 형태를 이루는 제1 찜틀(100)의 마주하는 두 개의 측벽 각각에 내측으로 제1 안착턱(11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사각틀 형태를 이루는 제1 찜틀(100)의 모든 측벽(즉, 마주하는 두 쌍의 측벽)에 내측으로 제1 안착턱(1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안착턱(11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1 찜틀(100)의 측벽 길이에 대응되는 막대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제1 채반(400)의 가장자리 전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이 바람직하며, 수평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And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may have a protruding first seating ledge 110 on the inside of which the first tray 400 can be placed. The first tray 400 is configured to place an object for steaming, and has a first seating protrusion 110 so that the object placed on the first tray 400 can be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 is preferably formed inside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Additionally, the first seating protrusions 110 are preferably formed to face each other for stable support of the first tray 400. As an example, a first seating protrusion 110 may be formed on the inside of each of two opposing side walls of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forming a square frame. As another example, first seating protrusions 110 may be formed inside all side walls (i.e., two pairs of opposing side walls) of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forming a square frame. The first seating protrusion 1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but is formed in a b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ide wall of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to stably support the entire edge of the first tray 40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placed horizontally.

제1 찜틀(100)은, 상측에 놓여질 수 있는 덮개(200) 또는 제2 찜틀(500)이 안정적으로 놓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끔, 걸림홈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홈부(120)는 제1 찜틀(100)의 마주하는 두 개의 측벽 상단부가 하방으로 함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즉, 사각틀 형태를 이루는 제1 찜틀(100)인 경우, 제1 찜틀(100)을 구성하면서 마주하는 두 쌍의 측벽 중 한 쌍의 측벽의 높이가 다른 한 쌍의 측벽의 높이보다 낮게 제작됨에 따라, 걸림홈부(120)는 함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홈부(120)는, 상측에 놓여져 걸림홈부(120)에 안착되는 덮개(200) 또는 제2 찜틀(500) 하부 구성의 두께와 대응되는 깊이를 가지도록 함입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may be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120 so that the cover 200 or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which can be placed on the upper side, can be maintained in a stable state. For example, the catching groove 120 may be formed by recessing the upper ends of two opposing side walls of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downward. That is, in the case of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having a square frame shape, the height of one pair of side walls among the two pairs of side walls facing each other while forming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is manufactur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other pair of side walls. , the locking groove 120 may be formed in a recessed form. Additionally, the locking groove portion 120 may be recessed to have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lower structure of the cover 200 or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placed on the upper side and seated in the locking groove portion 120.

덮개(200)는, 제1 찜틀(100)의 개방된 상면 또는 저면을 덮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덮개(200)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찜틀(100)의 횡단면에 대응되면서 제1 찜틀(100)의 개방된 상면 또는 저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0)가 제1 찜틀(100)의 상면을 덮을 때, 제1 찜틀(100)에 형성된 걸림홈부(120)에 얹혀질 수 있으며, 덮개(200)의 양측 가장자리가 제1 찜틀(100)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cover 200 is configured to cover the open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For example, the cover 20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and completely cover the open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when the cover 200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it can be placed on the catching groove 120 formed in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and the cover 200 Both edges may be formed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그리고 덮개(200)는 열고 닫음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210)가 상면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21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막대 형태를 이루면서 두 개가 평행하게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덮개(200)는 보관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찜틀(100)의 저면을 덮게끔 조립될 수 있는데, 이때 손잡이부(210)는 제1 찜틀(100)의 하부 내측에 마주하게 형성된 제1 안착턱(11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손잡이부(210)는 마주하는 제1 안착턱(110) 간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면서 제1 안착턱(110)과 동일한 두께를 이루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덮개(200)가 제1 찜틀(100)의 저면을 덮을 시, 손잡이부(210)가 마주하는 제1 안착턱(110) 사이에 끼어짐으로 인해 안정적인 조립이 가능하다. 이처럼 손잡이부(210)가 형성된 덮개(200)는, 다른 냄비나 후라이팬 등을 덮을 때 활용이 가능함은 물론, 뒤집어서 받침대로 활용이 가능하다.Additionally, for convenience of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200, a handle portion 210 that the user holds may be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The handle portion 2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handle portion 21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bar and may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two hand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ver 200 can be assembled to cover the bottom of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as shown in FIGS. 2 to 4 when stored. In this case, the handle portion 210 is located o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It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eating protrusions 110 formed to face each other. More preferably, the handle portion 210 is formed in a bar shape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between the facing first seating projections 110 and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seating projections 110, so that the cover 200 When covering the bottom of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stable assembly is possible because the handle portion 210 is sandwiched between the facing first seating protrusions 110. The cover 200 with the handle 210 formed in this way can be used to cover other pots, frying pans, etc., and can also be turned over and used as a stand.

물솥(300)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통 형태를 이루어, 내측에 찜 요리를 하기 위한 물이 담길 수 있다. 물솥(300)은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제1 찜틀(100)의 횡단면과 동일한 형태의 횡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솥(300)은, 제1 찜틀(100) (및 제2 찜틀(50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게 형성되며, 보관시 제1 찜틀(100) (및 제2 찜틀(500))의 내측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를 이루도록 그 높이도 제1 찜틀(100) (및 제2 찜틀(50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water pot 300 has an open top and an empty interior, so water for steaming can be contained inside. The water pot 300 may be formed to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but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 of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This water pot 300 is formed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and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and when stored,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and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It is preferable that its height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and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so that it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side.

그리고 물솥(300)은,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지지돌부(310)가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물솥(300)은 지지돌부(310)와 제1 안착턱(110)이 상하방향으로 인접하게끔 제1 찜틀(100)과 조립될 수 있다. 일 예로, 보관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솥(300)은 개방된 상면이 하방을 향하게끔 뒤집어진 상태로 제1 찜틀(10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으며, 이때 지지돌부(310)는 제1 안착턱(110)의 상측에 인접하게 된다. 다른 일 예로, 찜 요리를 하기 위해 사용시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솥(300)은 개방된 상면이 상방을 향한 상태로 제1 찜틀(100)의 하측에 조립되며, 이때 지지돌부(310)는 제1 안착턱(110)의 하측에 인접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water pot 300 may have a support protrusion 310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upper edge, and in this water pot 300, the support protrusion 310 and the first seating ridge 110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can be assembled with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to do so. For example, when stored, as shown in FIGS. 1 to 4, the water pot 30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with the open upper surface facing downward, and at this time, the support protrusion ( 310) is adjacent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eating projection 110. As another example, when used for steam cooking, as shown in Figures 5 to 9, the water pot 300 is assembl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with the open upper surface facing upward, and at this time, the support protrusion ( 310) is adjacent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eating projection 110.

제1 채반(400)은,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판 형태를 이루며 제1 찜틀(10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찜틀(100)에 형성된 제1 안착턱(110)에 제1 채반(400)이 놓여질 수 있으며, 제1 찜틀(100)의 내측에 놓여진 제1 채반(400)에 찜 요리를 하기 위한 대상물이 얹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채반(400)과 제1 찜틀(100)은, 메밀 등의 채반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The first tray 400 has a plate shape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The first tray 400 can be placed on the first seating ledge 110 formed on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and an object for steaming cooking is placed on the first tray 400 placed inside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This can be put on top. Additionally, the first strainer 400 and the first steamer 100 can also be used as a strainer for buckwheat, etc.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찜틀(100), 덮개(200), 물솥(300) 및 제1 채반(400)을 포함하는 요리용 찜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 찜기로 사용될 수 있다. 1단 찜기로 사용되는 경우, 물솥(300)의 상측에 제1 찜틀(100)이 놓여지고, 제1 찜틀(100)의 내측에 제1 채반(400)이 놓여지며, 제1 찜틀(100)의 상면이 덮개(200)로 덮힌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찜기를 보관하고자 할 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찜틀(100)의 내측에 제1 채반(400)이 놓여지고, 제1 채반(400)의 상측에 물솥(300)이 뒤집어져 놓여질 수 있으며, 덮개(200)는 제1 찜틀(100)의 상면 또는 저면을 덮힌 구조로 조립될 수 있다. The cooking steamer including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cover 200, water pot 300, and first tray 400 a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as a one-stage steaming machine as shown in FIG. 5. When used as a single-stage steamer,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pot 300, the first tray 400 is placed inside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and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The upper surface of the structure may be covered with a cover 200. When storing such a steamer, as shown in FIGS. 1 to 4, the first tray 400 is placed inside the first steamer 100, and the water pot 300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tray 400. It can be placed upside down, and the cover 200 can be assembled into a structure that covers the top or bottom of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한편, 제1 찜틀(100), 덮개(200), 물솥(300) 및 제1 채반(400)을 포함하는 요리용 찜기를 2단 찜기로 사용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2 찜틀(500)과 제2 채반(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use a cooking steamer including the first steamer 100, the cover 200, the water pot 300, and the first tray 400 as a two-stage steam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steamer 500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ray 600.

제2 찜틀(500)은, 내부가 비어있고 상하가 개방된 틀 형태를 이루며,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 찜틀(500)은 제1 찜틀(10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게끔 형성되어 보관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시 제1 찜틀(100)과의 조립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제1 찜틀(100)의 횡단면과 동일한 횡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2 찜틀(500)을 이루는 복수 개의 측벽 중 마주하는 측벽에는, 제1 찜틀(100)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양손으로 제2 찜틀(500)을 용이하게 잡고 이동시킬 수 있게끔 파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부는, 제2 찜틀(500)을 구성하면서 마주하는 측벽 중앙에 일정 깊이로 홈 또는 홀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파지부로 집어넣어 제2 찜틀(500)을 파지할 수 있다. 파지부는 측벽마다 형성될 수 있고 운반의 편의성을 위해 마주하는 모든 측벽에 파지부가 생성될 수도 있다.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has a hollow interior and an open top and bottom, and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However,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is formed so that it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to reduce the size when stored, and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assembly with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when used,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to have the same cross section as that of the steaming frame 100. Among the plurality of side walls forming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a grip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wall to allow the user to easily hold and move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with both hands, similar to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For example, the gripper has a groove or hole formed at a certain depth in the center of the side wall facing the second steamer 500,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 second steamer 500 by inserting his/her finger into the gripper. . The gripping portion may be formed on each side wall, or the gripping portion may be formed on all facing side walls for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이하에서 제2 안착턱(510)과 걸림돌부(520)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찜틀(500)이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이를 똑바른 상태라 칭한다. 즉, 제2 찜틀(500)은 보관시 똑바른 상태를 이루며,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시에는 뒤집어진 상태를 이룬다. Hereinafter, in explaining the second seating protrusion 510 and the stopping protrusion 520,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is disposed as shown in FIGS. 1 to 4, and it is placed in an upright state. It is called. That is,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is in an upright state when stored, and is in an inverted state when in use, as shown in FIGS. 6 to 9 .

제2 찜틀(500)은, 내측에 제2 채반(600)이 놓여질 수 있는 제2 안착턱(510)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제2 채반(600)은 제1 채반(400)과 마찬가지로, 찜 요리를 하기 위한 대상물이 얹혀지는 구성으로, 제2 채반(600)에 놓인 대상물이 제2 찜틀(500) 내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제2 안착턱(510)은 제2 찜틀(50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안착턱(510)은 제2 채반(60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마주하게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사각틀 형태를 이루는 제2 찜틀(500)의 마주하는 두 개의 측벽 각각에 내측으로 제2 안착턱(5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안착턱(51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2 찜틀(500)의 측벽 길이에 대응되는 막대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제2 채반(600)의 가장자리 전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이 바람직하며, 수평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may have a protruding second seating protrusion 510 on the inside of which the second tray 600 can be placed. The second tray 600, like the first tray 400, is configured to place an object for steaming, and the object placed on the second tray 600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To this end, the second seating protrusion 510 is preferably form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In addition, the second seating protrusions 510 are preferably formed to face each other for stable support of the second tray 600. For example, a second seating protrusion 510 may be formed on the inside of each of two opposing side walls of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having a square frame shape. The second seating protrusion 5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but is formed in a b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ide wall of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to stably support the entire edge of the second tray 60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rranged horizontally.

제2 찜틀(500)은, 보관을 하거나 사용시 제1 찜틀(100)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상부에 적어도 양측 가장자리에 외측 방향으로 걸림돌부(520)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돌부(520)는 제1 찜틀(100)에 형성된 걸림홈부(120)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돌부(520)는 걸림홈부(120)의 깊이와 대응되는 두께를 가지면서 걸림홈부(12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걸림홈부(120)에 안착시 제2 찜틀(500)이 제1 찜틀(100)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보관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찜틀(500)은 똑바른 상태에서 걸림돌부(520)가 걸림홈부(120)에 안착되면서 제1 찜틀(100) 내측에 수용된다. 다른 일 예로, 사용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찜틀(500)은 뒤집어진 상태에서 걸림돌부(520)가 걸림홈부(120)에 안착되면서 제1 찜틀(100) 상측에 조립된다.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may have locking protrusions 520 protruding outward from at least both edges at the top of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for stable connection with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when stored or used. This locking protrusion 520 may be seated in the locking groove 120 formed in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Therefore, the locking protrusion 520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locking groove 120 and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cking groove 120, so that when seated in the locking groove 120, the second steaming frame It is desirable that (500) be stably coupled to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For example, when stored, as shown in FIGS. 1 to 4,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is in an upright state and the locking protrusion 520 is seated in the locking groove 120 and is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 As another example, when in use, as shown in FIGS. 6 to 9,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is turned over and the locking protrusion 520 is seated in the locking groove 120 and is assemb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

제2 채반(600)은,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판 형태를 이루며 제1 찜틀(100) 및 제2 찜틀(50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찜틀(500)에 형성된 제2 안착턱(510)에 제2 채반(600)이 놓여질 수 있으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집어진 상태를 이루는 제2 찜틀(500)의 내측에 놓여진 제2 채반(600)에 찜 요리를 하기 위한 대상물이 얹혀질 수 있다. The second tray 600 has a plate shape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and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The second tray 600 can be placed on the second seating ledge 510 formed on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and the inside of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is in an inverted state as shown in FIGS. 8 and 9. An object for steaming can be placed on the second tray 600 placed in .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찜틀(100), 덮개(200), 물솥(300), 제1 채반(400), 제2 찜틀(500) 및 제2 채반(600)을 포함하는 요리용 찜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의 구성만을 사용하여 1단 찜기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찜기로 사용될 수도 있다. 2단 찜기로 사용되는 경우, 물솥(300)의 상측에 제1 찜틀(100)이 놓여지고, 제1 찜틀(100)의 내측에 제1 채반(400)이 놓여지며, 제1 찜틀(100)의 상측에 제2 찜틀(500)이 놓여진다. 그리고 제2 찜틀(500)의 내측에 제2 채반(600)이 놓여지며, 제2 찜틀(500)의 상면이 덮개(200)로 덮힌 구조를 이룰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oking steamer including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the cover 200, the water pot 300, the first tray 400,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and the second tray 600, Not only can it be used as a one-stage steamer using only some of the configurations as shown in Figure 5, but it can also be used as a two-stage steamer as shown in Figures 6 to 9. When used as a two-stage steamer,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pot 300, the first tray 400 is placed inside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and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A second steaming frame 500 is placed on the upper side. Then, the second tray 600 is placed inside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is covered with the cover 200.

이처럼 2단 찜기로 사용될 수 있는 요리용 찜기를 보관하고자 할 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10)가 상방을 향하게끔 덮개(200)가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덮개(200)의 상측에 제1 찜틀(100)이 놓여진다. 이때, 제1 찜틀(100)의 내측에는 제1 채반(400) 및 제2 채반(600)이 겹쳐져 놓여질 수 있으며, 제2 채반(600)의 상측에는 물솥(300)이 뒤집어져 놓여질 수 있다. 그리고 물솥(300)에서 지지돌부(31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제1 찜틀(100) 사이 공간에 제2 찜틀(500)이 똑바른 상태로 놓여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찜틀(500)은, 지지돌부(310)가 돌출된 폭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요리용 찜기는, 2단으로 사용이 가능함에도 최소한의 부피를 이루도록 재조립하여 보관이 가능하므로, 보관의 효율성과 휴대의 용이성이 향상된다. When storing a cooking steamer that can be used as a two-stage steamer, place the cover 200 on the bottom with the handle 210 facing upward as shown in Figures 1 to 4 (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200. At this time, the first tray 400 and the second tray 600 may be placed overlapping each other inside the first steaming tray 100, and the water pot 300 may be placed upside down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tray 600. In addition,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can be placed in an upright posi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water pot 300, excluding the support protrusion 310. For this purpose,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protruding width of the support protrusion 310. In this way, although the cooking steam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wo stages, it can be reassembled and stored to form a minimum volume, thereby improving storage efficiency and ease of portability.

한편, 제1 찜틀(100), 덮개(200), 제2 찜틀(500)은, 나무, 세라믹, 에나멜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찜틀(100), 덮개(200), 제2 찜틀(500)은 찜 요리에 편백 향이 가미되면서 천연 향균물질인 피톤치드를 포함하고 있어 살균 및 탈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편백나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은 제1 채반(400) 또는/및 제2 채반(600)에 놓여질 수 있는 편백칩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투입되는 편백칩의 양 조절을 통해, 찜 요리시 가미되는 편백 향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the cover 200, and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wood, ceramic, and enamel. As an example,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the cover 200, and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are made of cypress wood that can perform sterilizing and deodorizing functions by adding cypress scent to steamed dishes and containing phytoncide, a natural antibacterial substance. It can be done with 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cypress chips that can be placed on the first tray 400 or/and the second tray 600, an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cypress chips input, the cypress flavor added during steaming cooking can be added. The degree can be adjusted.

또한, 편백나무 등과 같이 나무 소재로 이루어진 제1 찜틀(100), 덮개(200), 제2 찜틀(500)은, 짜맞춤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의 짜맞춤 방식이란 돌기와 홈이 상호 결합되어 못 또는/및 접착제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전통 목가구를 제작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따라서, 못으로부터 발생되는 녹이 생길 염려가 없으며, 수분을 흡수하여 접착력이 저하될 우려가 없는바, 지속적인 사용에도 견고함이 유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teaming frame 100, the cover 200, and the second steaming frame 500 made of wooden materials such as cypress wood may be manufactured using a knitting method. The joining method here refer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traditional wooden furniture in which projections and groov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does not require the use of nails and/or adhesives. Therefore, there is no concern about rust occurring from nails, and there is no concern about deterioration of adhesion due to absorption of moisture, so sturdiness can be maintained even after continuous use.

그리고 물솥(300), 제1 채반(400), 제2 채반(600)은,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관리와 세척이 용이하게끔, 물솥(300), 제1 채반(400), 제2 채반(600)은 스테인리스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스테인리스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지지돌부(310)가 형성된 물솥(300)은, 지지돌부(310)가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는바, 전골 요리, 탕 요리, 볶음밥, 면 요리 등 다양한 요리를 함에 활용이 가능하며, 가스렌지, 하이라이트, 인덕션 모두에서 사용 가능하다. And the water pot 300, the first tray 400, and the second tray 60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However, to facilitate management and cleaning, the water pot 300, the first tray 400, and the second tray 600 are preferably made of stainless steel. The water pot 300 is made of stainless steel and has support protrusions 310, and the support protrusions 310 can serve as a handle, so it can be used for various dishes such as hot pot dishes, stew dishes, fried rice, and noodle dishes. It can be used on gas stoves, highlighters, and induction stoves.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in relation to some embodiments in this specifica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can be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Moreover,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ppended hereto.

100 : 제1 찜틀 110 : 제1 안착턱
120 : 걸림홈부
200 : 덮개 210 : 손잡이부
300 : 물솥 310 : 지지돌부
400 : 제1 채반
500 : 제2 찜틀 510 : 제2 안착턱
520 : 걸림돌부
600 : 제2 채반
100: first steaming frame 110: first seating jaw
120: Jamming groove
200: cover 210: handle part
300: Water pot 310: Support protrusion
400: 1st tray
500: Second steaming frame 510: Second seating jaw
520: Stumbling protrusion
600: 2nd tray

Claims (10)

요리용 찜기로서,
상하가 개방된 틀 형태를 이루는 제1 찜틀;
상기 제1 찜틀의 상면 또는 저면을 덮는 덮개;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통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1 찜틀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물솥;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판 형태를 이루며 제1 찜틀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제1 채반;
상하가 개방된 틀 형태를 이루는 제2 찜틀; 및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판 형태를 이루며 제2 찜틀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제2 채반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찜틀 및 제2 채반은, 상기 제1 찜틀 내측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제2 찜틀은, 상부에 적어도 양측 가장자리에 외측 방향으로 걸림돌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 찜틀은, 걸림돌부와 대응되는 가장자리에 걸림돌부가 안착되는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요리용 찜기.
As a steamer for cooking,
A first steaming frame in the form of a frame with open top and bottom;
A cover covering the top or bottom of the first steaming frame;
A water pot with an open top and an empty interior that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steaming frame;
A first tray that has a plate shape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steaming frame;
A second steaming frame in the form of a frame with open top and bottom; and
A second tray that has a plate shape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second steaming frame.
Including,
The second steaming frame and the second tray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steaming frame,
The second steaming frame has locking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from at least both edges at the top,
The first steamer is a cooking steamer in which a locking groove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is seated is formed on an edg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찜틀은, 하부 내측에 마주하게끔 제1 안착턱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안착턱에 제1 채반이 놓여질 수 있는, 요리용 찜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steaming frame is a cooking steamer in which a first seating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to face the inner side of the lower portion, and a first tray can be placed on the first seating protrus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솥은,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지지돌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지지돌부와 제1 안착턱이 상하방향으로 인접하게끔 제1 찜틀과 조립될 수 있는, 요리용 찜기.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water pot is a cooking steamer in which a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in an outward direction along an upper edge, and can be assembled with a first steaming frame so that the support protrusion and the first seating ledge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찜틀의 두께는, 지지돌부가 돌출된 폭보다 얇게 형성되고,
상기 물솥은, 지지돌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제2 찜틀 내측에 위치될 수 있는, 요리용 찜기.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teaming frame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width of the protruding support protrusion,
The water pot is a cooking steamer whose remaining portion, excluding the support protrusion, can be located inside the second steaming fr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판 형태를 이루며 상면에 손잡이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덮개가 상기 제1 찜틀의 저면을 덮을 시, 상기 손잡이부는 마주하는 제1 안착턱의 사이에 위치되게끔 구비되는, 요리용 찜기.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over has a plate shape and a handle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When the cover covers the bottom of the first steaming frame, the handle portion is provided to be positioned between opposing first seating protrusio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찜틀은, 상부 내측에 마주하게끔 제2 안착턱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안착턱의 상측에 제2 채반이 놓여질 수 있는, 요리용 찜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cond steaming frame is a cooking steamer in which a second seating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to face the inside of the upper portion, and a second tray can b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eating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찜틀은, 편백나무 소재로 이루어지며 짜맞춤 방식으로 제작되고,
상기 물솥은, 스테인리스 소재로 이루어지는, 요리용 찜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steaming frame is made of cypress wood and manufactured using a knitting method,
The water pot is a cooking steamer made of stainless steel materi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반에 놓여질 수 있는 편백칩
을 더 포함하는, 요리용 찜기.
According to clause 9,
Cypress chips that can be placed on the first tray
A steamer for cooking, further comprising.
KR2020210003918U 2021-11-18 2021-12-23 Steamer for cooking KR20049786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9061 WO2023090561A1 (en) 2021-11-18 2022-06-24 Steamer for coo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499 2021-11-18
KR20210003499 2021-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065U KR20230001065U (en) 2023-05-25
KR200497869Y1 true KR200497869Y1 (en) 2024-03-20

Family

ID=86541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918U KR200497869Y1 (en) 2021-11-18 2021-12-23 Steamer for coo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869Y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503Y1 (en) * 2007-05-29 2008-04-16 김인식 Rice-cake steame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005Y1 (en) * 1995-06-22 1998-09-15 김성한 Set for making a rice cake
KR100450890B1 (en) * 2002-05-30 2004-10-06 신명호 Grit of cooking vessel
KR200494570Y1 (en) * 2020-02-07 2021-11-05 장은주 Steamer for cook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503Y1 (en) * 2007-05-29 2008-04-16 김인식 Rice-cake steame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065U (en)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100774A4 (en) Multifunctional Cookware
US6591828B1 (en) Collapsible camp oven, stove top, grill
US20140261012A1 (en) Cooking grill having rack supporting individual grilling modules
US11253098B2 (en) Hot-dog steamer system
JP2007501026A (en) Indoor / outdoor kitchen accessories with replaceable range top supported by modular support structure
KR200497869Y1 (en) Steamer for cooking
KR20210044395A (en) Steam cooker
WO2023090561A1 (en) Steamer for cooking
KR102551706B1 (en) camping utility Griddle
US20170143163A1 (en) Cooking pan
KR200450039Y1 (en) Cooking Tray
KR100530324B1 (en) Multipurpose cooker
US20030180426A1 (en) Bacon cooker
KR200450880Y1 (en) Prefab cookware
KR200318987Y1 (en) Cooking receptacle
KR20240030691A (en) steamer capable of assembling using magnets
KR200256256Y1 (en) Pot provided with a multipurpose bail
KR102484712B1 (en) Wood supporting device for outer heating container with metal sopporting plate
KR102253113B1 (en) Dutch oven set for camping
JP3109599U (en) Steamed rice
USD1023669S1 (en) Frying pan handle
JP2016034384A (en) Chopping board
KR102582682B1 (en) Grill for camping of multipurpose
KR102655243B1 (en) Stackable Cookware Sets
KR102327451B1 (en) Multi purpose cooking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