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795Y1 - 용접용 탭 피스 - Google Patents

용접용 탭 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795Y1
KR200497795Y1 KR2020230002261U KR20230002261U KR200497795Y1 KR 200497795 Y1 KR200497795 Y1 KR 200497795Y1 KR 2020230002261 U KR2020230002261 U KR 2020230002261U KR 20230002261 U KR20230002261 U KR 20230002261U KR 200497795 Y1 KR200497795 Y1 KR 2004977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side wall
tab piece
positioning uni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22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영
Original Assignee
김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영 filed Critical 김지영
Priority to KR20202300022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7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7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7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6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positioning the molten material, e.g. confining it to a desired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맞대기 용접하는 두 모재의 시작부 와 끝나는 부분으로 가접하여 용접 불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용접용 탭 피스에 관한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이 용이하고, 이동성이 편리하며, 용접시 외풍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가스가 날리는 것이 방지됨으로 용접부가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방지되며, 이로써 깔끔한 용접비드를 형성할 수 있는 용접용 탭 피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탭 피스(10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소재를 위치선정부(110)를 기준으로 양단을 상향 절곡시켜 일정한 각을 갖도록 제1측벽(120-1)과 제2측벽(120-2)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위치선정부(110)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장홈(110a)을 형성하며,
일단에는 위치선정부(110)와 제1측벽(120-1) 및 제2측벽(120-2)에 밀접하여 바람막이판(130)을 용착하여 일단을 폐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접용 탭 피스{Tab piece for welding}
본 고안은 맞대기 용접하는 두 모재의 시작부 와 끝나는 부분으로 가접하여 용접 불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용접용 탭 피스에 관한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이 용이하고, 이동성이 편리하며, 용접시 외풍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가스가 날리는 것이 방지됨으로 용접부가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방지되며, 이로써 깔끔한 용접비드를 형성할 수 있는 용접용 탭 피스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선박, 플랜트, 파이프 및 교량건설 사업에서 스틸을 용접할 때에는 SAW, EGW 등과 같이 자동 용접방법으로 용접작업을 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자동 용접방법보다는 GMAW, FCAW와 같은 반자동 용접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그중에서도 플럭스가 용접 와이어 내부에 삽입이 되어 용접 중 플럭스 용융물과 CO2 등의 보호가스로 용착금속을 외부의 공기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FCAW, Flux Cored Arc Welding)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용접방법은 플럭스가 용융되면서 발생하는 가스와 CO2와 같은 보호가스를 이용하여 용접부를 외부의 공기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데 일반적으로 용접의 시작부분과 끝부분에서는 플럭스와 보호가스에 의한 용접부 보호가 용이하지 못하여 용착금속내의 기공발생 등의 용접결함이 발생하기가 쉽다,
이러한 용접결함을 용접하고자 하는 모재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용접 시작부와 끝단부에는 탭피스가 부착된다.
탭피스는 용접 중에 탭피스의 성분이 모재나 용접부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틸 재질의 탭피스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스틸 재질의 탭피스의 경우 탭피스의 두께가 모재의 두께와 유사한 두께를 가져야 되므로 탭피스의 두께가 20mm~100mm 정도로 제작되기 때문에 무게가 무겁고, 취급이 어렵고, 탭피스를 모재에 가용접으로 부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탭피스의 무게로 인하여 탭피스를 모재에 가용접할 때 가용접 부위가 많아지게 되어 탭피스를 모재에서 분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종래의 용접용 탭피스는 등록특허공보 10-1492135(2015년 02월 04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대어진 두 모재의 용접 시작부위 또는 용접 마감위치에 배치되는 세라믹 부재와, 세라믹 부재의 안쪽 면에 고정되어 아크를 발생시키는 금속부재와, 세라믹 부재의 일면에 고정되어 자력에 의해 탭피스를 모재에 고정시키는 영구자석과, 영구자석은 평판 형태이고, 세라믹 바디의 측면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그 일면은 세라믹 바디에 고정되고, 타면은 모재의 측면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용접용 탭피스는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모재에 부착할 경우 용접중 탭피스의 위치가 용접부에서 벗어나 정밀한 용접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세라믹이 금속부재의 측면에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세라믹 성분이 모재나 용접부로 혼입될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실내가 아닌 실외에서 용접 작업시 강한 바람에 의해 분사되는 가스가 용접부로 공급되지 않고 바람에 날리기 때문에 용접부가 부풀어 올라 용접불량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2758(2013. 06. 13.)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맞대기 용접하는 두 모재의 시작부와 끝나는 부분으로 가접하여 용접시 외풍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 가스가 용접부로 원할히 공곱될 수 있도록 하여 깔끔한 용접비드를 형성할 수 있는, 용접용 탭 피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탭 피스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소재를 위치선정부를 기준으로 양단을 상향 절곡시켜 일정한 각을 갖도록 제1측벽과 제2측벽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위치선정부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장홈을 형성하며, 일단에는 위치선정부와 제1측벽 및 제2측벽에 밀접하여 바람막이판을 용착하여 일단을 폐쇄하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바람막이판의 상단은 제1 및 제2측벽의 높이와 동일선상으로 구성하며, 하단은 위치선정부와 동일선상으로 구성되게 4각판형으로 구성하여 측부에서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함과 아울러 탭피스를 바닥으로부터 수평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탭피스의 두께는 6~8t, 좌우 폭은 65mm, 전후 폭은 75mm, 높이 85mm로 구성되며, 상기 위치선정부의 내측 폭은 11mm, 위치선정부에 형성되는 장홈의 폭은5.5mm 및 장홈의 타공 길이는 30mm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제1 및 제2측벽에는 가스배출홀이 상향 방향으로 타공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서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공이 용이하고, 이동성이 편리하여 사용상 편리함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제공하고, 모재의 시작부와 끝나는 부분으로 가접하여 용접시 외풍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 가스가 용접부로 원할히 공곱될 수 있도록 하여 깔끔한 용접비드를 형성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한편,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탭 피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탭 피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탭 피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용접용 탭 피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탭 피스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탭 피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탭 피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탭 피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용접용 탭 피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탭 피스(10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소재를 위치선정부(110)를 기준으로 양단을 상향 절곡시켜 일정한 각을 갖도록 제1측벽(120-1)과 제2측벽(120-2)을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선정부(110)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장홈(110a)을 형성하며, 일단에는 위치선정부(110)와 제1측벽(120-1) 및 제2측벽(120-2)에 밀접하여 바람막이판(130)을 용착하여 일단을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람막이판(130)의 상단은 제1 및 제2측벽의 높이와 동일선상으로 구성하며, 하단은 위치선정부(110)와 동일선상으로 구성되게 4각판형으로 구성하여 측부에서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함과 아울러 탭피스(100)를 바닥으로부터 수평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탭피스(100)의 두께는 6~8t, 좌우 폭은 65mm, 전후 폭은 75mm, 높이 85mm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선정부(110)의 내측 폭은 11mm, 위치선정부(110)에 형성되는 장홈(110a)의 폭은5.5mm 및 장홈의 타공 길이는 3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탭 피스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의 탭 피스(10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소재를 위치선정부(110)를 기준으로 양단을 상향 절곡시켜 일정한 각을 갖도록 제1측벽(120-1)과 제2측벽(120-2)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위치선정부(110)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장홈(110a)을 형성하며, 일단에는 위치선정부(110)와 제1측벽(120-1) 및 제2측벽(120-2)에 밀접하여 바람막이판(130)을 용착하여 일단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측벽에는 가스배출홀(120-1a)이 상향 방향으로 타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탭 피스는 가공이 용이하고, 이동성이 편리하여 사용상 편리함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제공하고, 모재의 시작부와 끝나는 부분으로 가접하여 용접시 외풍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 가스가 용접부로 원할히 공곱될 수 있도록 하여 깔끔한 용접비드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탭 피스
110: 위치선정부
120-1: 제1측벽
120-2: 제2측벽
130: 바람막이판

Claims (5)

  1.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소재를 위치선정부(110)를 기준으로 양단을 상향 절곡시켜 일정한 각을 갖도록 제1측벽(120-1)과 제2측벽(120-2)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위치선정부(110)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장홈(110a)을 형성하며,
    일단에는 위치선정부(110)와 제1측벽(120-1) 및 제2측벽(120-2)에 밀접하여 바람막이판(130)을 용착하여 일단을 폐쇄하도록 구성한 탭피스(100);로서,
    상기 제1 및 제2측벽에는 가스배출홀(120-1a)이 상향 방향으로 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탭 피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막이판(130)의 상단은 제1 및 제2측벽의 높이와 동일선상으로 구성하며, 하단은 위치선정부(110)와 동일선상으로 구성되게 4각판형으로 구성하여 측부에서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함과 아울러 탭피스(100)를 바닥으로부터 수평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탭 피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탭피스(100)의 두께는 6~8t, 좌우 폭은 65mm, 전후 폭은 75mm, 높이 85mm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탭 피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선정부(110)의 내측 폭은 11mm, 위치선정부(110)에 형성되는 장홈(110a)의 폭은5.5mm 및 장홈의 타공 길이는 30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탭 피스.
  5. 삭제
KR2020230002261U 2023-11-06 2023-11-06 용접용 탭 피스 KR2004977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2261U KR200497795Y1 (ko) 2023-11-06 2023-11-06 용접용 탭 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2261U KR200497795Y1 (ko) 2023-11-06 2023-11-06 용접용 탭 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795Y1 true KR200497795Y1 (ko) 2024-02-29

Family

ID=90041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2261U KR200497795Y1 (ko) 2023-11-06 2023-11-06 용접용 탭 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79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943U (ko) * 2008-10-06 2010-04-15 (주)경은 용접용 탭피스유닛
KR20130000293U (ko) * 2011-07-04 2013-01-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탭 피스
KR20130062758A (ko) 2011-12-05 2013-06-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아크 용접용 탭피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943U (ko) * 2008-10-06 2010-04-15 (주)경은 용접용 탭피스유닛
KR20130000293U (ko) * 2011-07-04 2013-01-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탭 피스
KR20130062758A (ko) 2011-12-05 2013-06-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아크 용접용 탭피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02306T5 (es) Soldadura en estado sólido o soldadura tig con transferencia de metal mediante puente líquido.
CN101774070B (zh) 耐热铸造合金与奥氏体不锈钢的微束等离子弧焊接
CN102699493B (zh) 余热锅炉受热管与连接板co2气体保护焊立向下焊接法
KR200497795Y1 (ko) 용접용 탭 피스
CN204524551U (zh) 一种激光焊指形侧吹保护装置
JP5901111B2 (ja) 溶接ガス及びプラズマ溶接方法
WO19980437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tt welding of hot rolled billet with laser beam
KR100951049B1 (ko) 곡판 용접용 토치 슬라이드 및 동담금 발란싱 장치
KR101279647B1 (ko) 필렛 이음부에서 루트면의 깊은 용입 용접방법
US3882298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he submerged arc surfacing of metallic work pieces
CN104625402A (zh) 激光焊缝侧吹保护装置、焊接设备及焊接方法
KR100605669B1 (ko) 일렉트로 가스 용접용 동담금
JPH08243739A (ja) ボイラーチューブの連続溶接法
TWI703005B (zh) Tig焊接不鏽鋼鋼管的製造方法、tig焊接不鏽鋼鋼管及tig焊接不鏽鋼部件
KR20180054272A (ko) 용접용 탭피스
JP2010099705A (ja) 溶接用ワイヤと該ワイヤを用いた溶接方法
JPH0871751A (ja) ステンレス鋼の立向狭開先gma溶接方法
CN210731321U (zh) 不锈钢管对接自动叠加脉冲单道焊的焊接系统
JPS5932459Y2 (ja) 線材スカ−ト式水中溶接ト−チのガス・ノズル
JP2001300774A (ja) 溶接用当金
Tanaka et al. Electron Beam Welding for Heavy Section Steel Plates. I.--Beam Characteristics and Welding Conditions for Carbon Steel Plates
SU1683926A1 (ru) Способ дуговой сварки в углекислом газе на открытых площадках
JPH044073B2 (ko)
JPH046472B2 (ko)
KR100561202B1 (ko) 불활성가스를 이용한 용접기용 토치의 콘텍트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