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778Y1 - Apparatus for taping hose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aping hos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778Y1
KR200497778Y1 KR2020190003841U KR20190003841U KR200497778Y1 KR 200497778 Y1 KR200497778 Y1 KR 200497778Y1 KR 2020190003841 U KR2020190003841 U KR 2020190003841U KR 20190003841 U KR20190003841 U KR 20190003841U KR 200497778 Y1 KR200497778 Y1 KR 200497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hoses
guide member
guide
workb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84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0702U (en
Inventor
전찬희
권영달
김강국
송성훈
이광규
최지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3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778Y1/en
Publication of KR202100007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70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77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026Doubling winders, i.e. for winding two or more parallel yarns on a bobbin, e.g. in preparation for twisting or wea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65H49/20Package-suppor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44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in which the package, core, or former is engaged with, or secured to, a driven member rotatable about the axis of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54Arrangements for supporting cores or formers at winding stations; Securing cores or formers to driv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2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3Hollow or hos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호스 테이핑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작업대; 복수의 호스가 각각 권취되는 호스 공급부; 상기 호스 공급부로부터 각각 인출되는 상기 복수의 호스를 함께 권취하는 와인더; 및 상기 복수의 호스가 상기 작업대의 상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상호간에 나란히 이송되도록 상기 복수의 호스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호스 테이핑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 hose taping device is disclose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orkbench; A hose supply unit where a plurality of hoses are each wound; a winder that winds together the plurality of hoses each drawn out from the hose supply unit; And a hose taping device including a guide part that guides the plurality of hoses so that the plurality of hoses are transported side by s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work table.

Description

호스 테이핑 장치{APPARATUS FOR TAPING HOSES}Hose taping device {APPARATUS FOR TAPING HOSES}

본 고안은 호스 테이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se taping device.

블라스팅(blasting) 작업은 도장 작업 전에 수행되는 전처리 작업으로서, 연마재 및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선박 등의 도장 부위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이때 사용되는 블라스팅 장치는 분사 노즐에 연마재 및 압축공기를 각각 공급하거나 도장 부위에 분사된 연마재를 회수하기 위한 복수의 호스를 구비한다. 복수의 호스는 케이블 타이 등에 의해 상호간에 구속된 상태에서 블라스팅 장치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호스를 케이블 타이 등에 의해 상호간에 구속시키는 것을 호스 테이핑 작업이라고 하는데, 종래 호스 테이핑 작업은 작업장 바닥에서 작업자의 수작업으로만 이루어졌다. 이 경우,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하거나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Blasting is a pretreatment operation performed before painting work, and is a process that uses abrasives and compressed ai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painted parts of ships, etc. The blasting device used at this tim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ses to supply abrasives and compressed air to the spray nozzle, respectively, or to recover the abrasives sprayed on the painted area. A plurality of hoses are connected to the blasting device while being restrained with each other by cable ties or the like. In this way, binding a plurality of hoses to each other with cable ties, etc. is called hose taping work. Conventionally, hose taping work was performed only manually by workers on the floor of a workshop. In this case, there was a problem of causing workers' musculoskeletal disorders or reducing work efficiency.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5376호(2016.05.30, 블라스팅 장치)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25376 (2016.05.30, Blasting device)

본 고안의 실시 예는 호스 테이핑 작업의 반 자동화 내지 자동화가 가능한 호스 테이핑 장치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se taping device capable of semi-automating or automating hose taping work.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작업대; 복수의 호스가 각각 권취되는 호스 공급부; 상기 호스 공급부로부터 각각 인출되는 상기 복수의 호스를 함께 권취하는 와인더; 및 상기 복수의 호스가 상기 작업대의 상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상호간에 나란히 이송되도록 상기 복수의 호스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호스 테이핑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orkbench; A hose supply unit where a plurality of hoses are each wound; a winder that winds together the plurality of hoses each drawn out from the hose supply unit; And a hose taping device including a guide part that guides the plurality of hoses so that the plurality of hoses are transported side by s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work table.

상기 작업대의 상측에는 상기 복수의 호스를 케이블 타이에 의해 상호간에 구속시키는 작업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A work space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workbench where the plurality of hoses are restrained to each other by cable ties.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작업대 상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재 및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재는 상기 호스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가이드부재보다 상기 호스 공급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복수의 호스가 각각 통과하도록 복수의 제1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복수의 호스가 함께 통과하도록 하나의 제2 가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unit includes a first guide member and a second guide member disposed on the workbench, and the first guide member is disposed closer to the hose supply unit than the second guide member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hose, A plurality of first guide holes may be formed in the first guide member to allow the plurality of hoses to pass through each, and a second guide hole may be formed in the second guide member to allow the plurality of hoses to pass together.

상기 호스 공급부는, 상기 작업대의 제1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작업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호스 릴; 및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서포트 기둥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호스 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트 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se supply unit includes: a first hose reel disposed to face the first side of the workbench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workbench; and a support bar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top of the support pillar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bench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second hose reel.

상기 작업대는 상기 제1 측면의 반대 면인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와인더는, 상기 제2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작업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호스 릴; 및 상기 제3 호스 릴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ork table includes a seco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and the winder includes a third hose reel disposed to face the second sid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work table. And it may include a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third hose reel.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호스는 작업대의 상측에서 상호간에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정렬된 상태에서 이송된 후 와인더에 함께 권취됨으로써, 작업자는 작업대 앞에 서서 작업대의 상측에서 나란히 이송되는 복수의 호스를 케이블 타이에 의해 상호간에 고정시키는 단순 작업만 하거나, 그마저도 자동화 설비로 대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oses are transported side by s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of the workbench and then wound together on a winder, so that the operator stands in front of the workbench and uses a plurality of hoses transported side by side from the upper side of the workbench. The simple task of fixing hoses to each other with cable ties can be done, or even that can be replaced with automated equipmen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 테이핑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1 가이드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제2 가이드부재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 및 도 2의 서포트 기둥의 측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hose ta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guide member of Figure 1;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guide member of Figure 1;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support pillar of Figures 1 and 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명백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볼 것이지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clearly defined in a different sense, may be interpreted as meanings that can b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may only be interpreted as a specific meaning. It will be viewed as an explanation of the embodiment, but there is no intention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will be considered to also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부분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Additionally, when a part is described as “including”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the par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또한, 어떤 구성요소 "상"으로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의 위 또는 아래를 의미하고,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above” it means above or below the component,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it is located above the direction of gravity.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해당 구성요소가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does not only mean that the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indirectly through another component. It may also include cases where it is connected or combined.

또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a component, but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terms determine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The order, etc. is not limit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 테이핑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Figure 1 is a front view of a hose ta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plan view of Figure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 테이핑 장치(10)는 작업대(100), 호스 공급부(200), 와인더(300) 및 가이드부(400)를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 패널(50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1 and 2, the hose tap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ork table 100, a hose supply unit 200, a winder 300, and a guide unit 400.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panel 500.

작업대(100)는 호스 테이핑 장치(10)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탑재되는 베이스 프레임일 수 있다.The work table 100 may be a base frame on which other components of the hose taping device 10 are mounted.

작업대(100)는 복수의 바퀴(110)를 구비하여 다른 작업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workbench 100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110 and can be moved to another workplace.

작업대(100)의 상면(101)은, 작업자가 지면(20)에 서서 작업대(100)의 상측에서 상호간에 나란히 이송되는 복수의 호스를 케이블 타이에 의해 상호간에 구속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면(20)으로부터 소정의 높이, 예를 들어 1000mm 내지 1100mm의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101 of the worktable 100 allows an operator to stand on the ground 20 and perform the task of restraining a plurality of hoses that are transferred side by side from the upper side of the worktable 100 to each other with cable ties, It may be plac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20, for example, a height of 1000 mm to 1100 mm.

호스 공급부(200)에는 복수의 호스가 각각 권취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호스 공급부(200)는 제1 호스 릴(210), 및 한 쌍의 제2 호스 릴(220)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서포트 바(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호스 릴(210)에는 제1 호스가 권취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 호스 릴(220)에는 제2 호스가 각각 권취될 수 있다.A plurality of hoses may be wound around the hose supply unit 200, respectively. As an example, the hose supply unit 200 may include a pair of support bars 221 that rotatably support the first hose reel 210 and the pair of second hose reels 220, respectively. A first hose may be wound around the first hose reel 210, and a second hose may be wound around the pair of second hose reels 220, respectively.

제1 호스 릴(210)은 작업대(100)의 제1 측면(103a)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고, 제1 브래킷(120)을 통해 작업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래킷(120)은 제1 호스 릴(210)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hose reel 21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side 103a of the worktable 100, an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worktable 100 through the first bracket 120. For example, the first bracket 120 may be provided with a bearing that supports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hose reel 210.

제1 호스 릴(210)은 제1 호스의 단부가 고정되는 제1 고정 바(211)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hose reel 21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bar 211 to which the end of the first hose is fixed.

한 쌍의 서포트 바(221)는 작업대(100)의 상면(101)에서 돌출되는 서포트 기둥(223)의 상단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반대 방향, 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pair of support bars 221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the support pillars 223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101 of the worktable 100 and extend in opposite directions, for examp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서포트 바(221)는 제2 호스 릴(220)의 중심에 형성된 체결 홀에 삽입될 수 있다.The support bar 221 may be inserted into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hose reel 220.

제1 호스 릴(210)에 권취되는 제1 호스의 직경은 제2 호스 릴(220)에 권취되는 제2 호스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1 호스 릴(210)은 작업대(100)의 측방에 배치되어 호스 테이핑 장치(10)의 전체 높이가 커지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first hose wound on the first hose reel 210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hose wound on the second hose reel 220. Accordingly, the first hose reel 210 can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work table 100 to improve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overall height of the hose taping device 10.

와인더(300)는 호스 공급부(200)로부터 각각 인출되는 복수의 호스를 함께 권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호스는 하나의 호스 릴, 예를 들어 제3 호스 릴(310)에 권취될 수 있다.The winder 300 may wind together a plurality of hoses each drawn out from the hose supply unit 200. That is, a plurality of hoses may be wound on one hose reel, for example, the third hose reel 310.

와인더(300)는 제3 호스 릴(310), 및 제3 호스 릴(31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nder 300 may include a third hose reel 310 and a driving unit 320 that rotates the third hose reel 310.

제3 호스 릴(310)은 작업대(100)의 제2 측면(103b)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브래킷(130)을 통해 작업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브래킷(130)은 제3 호스 릴(310)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측면(103b)은 제1 측면(103a)의 반대 면일 수 있다.The third hose reel 310 may be arranged to face the second side 103b of the worktable 100 an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worktable 100 through the second bracket 130. For example, the second bracket 130 may be provided with a bearing that supports the rotation axis of the third hose reel 310. The second side 103b may be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ide 103a.

제3 호스 릴(310)은 복수의 호스의 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제2 고정 바(311)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호스 및 한 쌍의 제2 호스는 각각 서로 다른 제2 고정 바(311)에 고정될 수 있다.The third hose reel 3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bars 311 to which ends of a plurality of hoses are respectively fixed. For example, the first hose and the pair of second hoses may each be fixed to different second fixing bars 311.

따라서, 복수의 호스를 제3 호스 릴(310)에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task of fixing a plurality of hoses to the third hose reel 310 can be facilitated.

또한, 작업자는 제1 호스 릴(210) 및 제2 호스 릴(220)에서 각각 호스를 인출하여 제3 호스 릴(310)의 제2 고정 바(311)에 고정한 후 구동부(320)를 작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er pulls out the hoses from the first hose reel 210 and the second hose reel 220, fixes them on the second fixing bar 311 of the third hose reel 310, and then operates the driving unit 320. You can.

따라서, 복수의 호스는 와인더(300)에서 제공하는 장력에 의해 호스 공급부(20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Accordingly, a plurality of hoses can be pulled out from the hose supply unit 200 by the tension provided by the winder 300.

구동부(320)는 작업대(100)에 탑재된 모터(321), 모터(321)의 회전축과 제3 호스 릴(310)의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체인 풀리(323), 및 한 쌍의 체인 풀리(323)에 결합되는 체인(325)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터(321)의 회전 속도 등을 조절하기 위한 인버터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driving unit 320 includes a motor 321 mounted on the worktable 100, a pair of chain pulleys 323 each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321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third hose reel 310, and a pair of It may include a chain 325 coupled to the chain pulley 323,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further include an invert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321, etc.

복수의 호스는 구동부(320)에 의해 소정의 속도, 예를 들어 3m/분의 속도로 이송될 수 있고, 복수의 케이블 타이는 호스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예를 들어 약 30㎝ 간격으로 상호간에 이격된 상태에서 결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hoses may be transported by the driving unit 320 at a predetermined speed, for example, 3 m/min, and a plurality of cable ties may be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se, for example, at intervals of about 30 cm. They can be combined whil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가이드부(400)는 호스 공급부(200)로부터 각각 인출되는 복수의 호스가 작업대(100)의 상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상호간에 나란히 이송되도록 복수의 호스를 안내할 수 있다.The guide unit 400 may guide a plurality of hoses each drawn out from the hose supply unit 200 so that they are transferred side by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work table 100.

가이드부(400)는 작업대(100) 상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재(410) 및 제2 가이드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unit 400 may include a first guide member 410 and a second guide member 420 disposed on the work table 100.

제1 가이드부재(410) 및 제2 가이드부재(420)는 상호간에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1 가이드부재(410)는 호스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제2 가이드부재(420)보다 호스 공급부(2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호스 공급부(200)에서 각각 인출된 복수의 호스는 제1 가이드부재(410)를 통과한 후 제2 가이드부재(420)를 통과할 수 있다.The first guide member 410 and the second guide member 42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rst guide member 410 moves further than the second guide member 420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hose. It may be placed adjacent to the hose supply unit 200.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hoses each pulled out from the hose supply unit 200 may pass through the first guide member 410 and then through the second guide member 420.

따라서, 복수의 호스는 제1 가이드부재(410)와 제2 가이드부재(420) 사이 구간에서 상호간에 나란히 이송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lurality of hoses can be transferred side by side in the section between the first guide member 410 and the second guide member 420.

한편, 작업대(100)는 제1 측면(103a)과 제2 측면(103b)을 연결하는 제3 측면(103c)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측면(103c)은 제1 가이드부재(410)와 제2 가이드부재(420) 사이로 연장되되 상하 방향의 양단이 개방된 형상의 리세스(105)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work table 100 may include a third side (103c) connecting the first side (103a) and the second side (103b), and the third side (103c) includes the first guide member (410) and It may include a recess 105 that extends between the second guide members 420 and is open at both 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작업자는 호스에 최대한 인접한 위치인 리세스(105) 내에서 케이블 타이 고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호스 아래로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 케이블 타이 고정 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worker can perform the cable tie fixing work within the recess 105, which is as close to the hose as possible, and a large space is secured below the hose, making the cable tie fixing work easier.

또한, 가이드부(400)는 작업대(100) 상에 배치되어 제1 호스 릴(210)에서 인출되는 제1 호스를 제1 가이드부재(410)로 안내하는 제3 가이드부재(4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guide unit 400 further includes a third guide member 430 that is disposed on the work table 100 and guides the first hose drawn from the first hose reel 210 to the first guide member 410. You may.

컨트롤 패널(500)은 작업대(100)에 설치될 수 있고, 작업자가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패널(500)은 구동부(320)에 대한 전기 공급을 허용하는 전원 버튼, 구동부(320)에 대한 전기 공급을 차단하는 정지 버튼, 제3 호스 릴(310)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비상 정지 버튼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500 may be installed on the workbench 100 and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through which an operator can input control signals. For example, the control panel 500 includes a power button to allow electricity supply to the drive unit 320, a stop button to block the electricity supply to the drive unit 320, and a brake to stop the third hose reel 310. It may be equipped with an emergency stop button that operates.

도 3은 도 1의 제1 가이드부재의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guide member of Figure 1.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가이드부재(410)는 복수의 호스(H1, H2)가 각각 통과하도록 복수의 제1 가이드 홀(411, 413)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3 , the first guide member 4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guide holes 411 and 413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hoses H1 and H2 pass, respectively.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가이드 홀(411, 413)은 제1 호스 릴(210)에서 인출된 제1 호스(H1)가 통과하는 제1-1 가이드 홀(411), 및 한 쌍의 제2 호스 릴(220)에서 인출된 한 쌍의 제2 호스(H2)가 통과하는 한 쌍의 제1-2 가이드 홀(413)을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first guide holes 411 and 413 include a 1-1 guide hole 411 through which the first hose H1 drawn out from the first hose reel 210 passes, and a pair of first guide holes 411 and 413. 2 A pair of first-second guide holes 413 through which a pair of second hoses H2 drawn out from the hose reel 220 pass may be provided.

따라서, 복수의 호스(H1, H2)가 상호간에 꼬인 상태에서 케이블 타이(30)에 의해 고정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blem of the plurality of hoses H1 and H2 being fixed by the cable tie 30 while twisted with each other can be improved.

도 4는 도 1의 제2 가이드부재의 측면도이다.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guide member of Figure 1.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가이드부재(420)는 복수의 호스가 함께 통과하는 하나의 제2 가이드 홀(421)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타이(30)에 의해 상호간에 고정된 복수의 호스(H1, H2)가 하나의 제2 가이드 홀(421)을 통과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4 , the second guide member 420 may include one second guide hole 421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hoses pass together.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hoses H1 and H2 fixed to each other by the cable tie 30 can pass through one second guide hole 421.

또한, 제2 가이드부재(420)에는 한 쌍의 롤러(423, 42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 가이드 홀(421)을 통과하는 복수의 호스(H1, H2)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rollers 423 and 425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guide member 420 to suppor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plurality of hoses H1 and H2 passing through the second guide hole 421. You can.

특히, 한 쌍의 롤러(423, 425) 중 상측에 배치된 롤러(425)는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스프링 등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roller 425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ir of rollers 423 and 425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by, for example, a spring or the like to enable height adjust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제3 가이드부재(430)는 복수의 호스(H1, H2)가 아닌 제1 호스(H1)만을 통과시키는 점에서 차이는 있지만, 제2 가이드부재(42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가이드부재(430)는 제1 호스(H1)가 통과하는 하나의 제3 가이드 홀을 구비할 수 있고, 제3 가이드부재(430)에는 제1 호스(H1)를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third guide member 430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way as the second guide member 420,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it passes only the first hose (H1) rather than the plurality of hoses (H1 and H2). For example, the third guide member 430 may be provided with one third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hose (H1) passes, and the third guide member 430 may have a support hole for supporting the first hose (H1). A pair of rollers may be rotatably coupled.

도 5는 도 1 및 도 2의 서포트 기둥의 측면도이다.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support pillar of Figures 1 and 2.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서포트 기둥(223)은 제1 호스 릴(210)에서 인출되는 제1 호스(H1)의 이송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포트 기둥(223)은 제1 가이드부재(410)와 제3 가이드부재(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호스(H1) 및 제2 호스(H2)가 제1 가이드부재(410)로 진입할 때 발생하는 굽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2, and 5, the support pillar 223 may be disposed on the transport path of the first hose H1 pulled out from the first hose reel 210. For example, the support pillar 22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member 410 and the third guide member 430. Accordingly, bending that occurs when the first hose (H1) and the second hose (H2) enter the first guide member 410 can be minimized.

하지만, 이로 인해 제1 호스(H1)와 서포트 기둥(223) 사이에 간섭 내지 충돌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However, this may cause interference or collision between the first hose H1 and the support pillar 223.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서포트 기둥(223)의 하단에는 제1 호스(H1)가 통과하는 제4 가이드 홀(223a)이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fourth guide hole 223a through which the first hose H1 passes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pillar 223.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 테이핑 장치(10)는 블라스팅 호스뿐만 아니라 용접기 제어 케이블, 로봇 제어 케이블 등의 테이핑 작업에도 사용될 수 있다.The hose tap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aping not only blasting hoses, but also welder control cables and robot control cables.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focuses 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can modify and change the embodiments in various ways by add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components, etc.,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possible, and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호스 테이핑 장치 20: 지면
30: 케이블 타이 100: 작업대
101: 상면 103a: 제1 측면
103b: 제2 측면 103c: 제3 측면
105: 리세스 110: 바퀴
120: 제1 브래킷 130: 제2 브래킷
200: 호스 공급부 210: 제1 호스 릴
211: 제1 고정 바 220: 제2 호스 릴
221: 서포트 바 223: 서포트 기둥
223a: 제4 가이드 홀 300: 와인더
310: 제3 호스 릴 311: 제2 고정 바
320: 구동부 321: 모터
323: 체인 풀리 325: 체인
400: 가이드부 410: 제1 가이드부재
411, 413: 제1 가이드 홀 420: 제2 가이드부재
421: 제2 가이드 홀 423, 425: 롤러
430: 제3 가이드부재 500: 컨트롤 패널
10: hose taping device 20: ground
30: cable tie 100: workbench
101: top surface 103a: first side
103b: second side 103c: third side
105: recess 110: wheel
120: first bracket 130: second bracket
200: hose supply unit 210: first hose reel
211: first fixing bar 220: second hose reel
221: support bar 223: support pillar
223a: Fourth guide hole 300: Winder
310: Third hose reel 311: Second fixing bar
320: driving unit 321: motor
323: chain pulley 325: chain
400: Guide part 410: First guide member
411, 413: first guide hole 420: second guide member
421: second guide hole 423, 425: roller
430: Third guide member 500: Control panel

Claims (5)

작업대;
복수의 호스가 각각 권취되는 호스 공급부;
상기 호스 공급부로부터 각각 인출되는 상기 복수의 호스를 함께 권취하는 와인더; 및
상기 복수의 호스가 상기 작업대의 상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상호간에 나란히 이송되도록 상기 복수의 호스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작업대 상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재 및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재는 상기 호스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가이드부재보다 상기 호스 공급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복수의 호스가 각각 통과하도록 복수의 제1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복수의 호스가 함께 통과하도록 하나의 제2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호스 공급부는,
상기 작업대의 제1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작업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호스 릴; 및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서포트 기둥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호스 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트 바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대는 상기 제1 측면의 반대 면인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와인더는,
상기 제2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작업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호스 릴; 및
상기 제3 호스 릴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호스 테이핑 장치.
bench;
A hose supply unit where a plurality of hoses are each wound;
a winder that winds together the plurality of hoses each drawn out from the hose supply unit; and
It includes a guide part that guides the plurality of hoses so that the plurality of hoses are transported side by s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of the work table,
The guide unit includes a first guide member and a second guide member disposed on the work table,
The first guide member is disposed closer to the hose supply unit than the second guide member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hose,
A plurality of first guide 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guide member to allow the plurality of hoses to pass through, respectively,
A second guide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guide member to allow the plurality of hoses to pass together,
The hose supply part,
a first hose reel disposed to face the first side of the workbench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workbench; and
A support bar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top of the support colum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bench and rotatably supports the second hose reel,
The work table includes a seco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The winder is,
a third hose reel disposed to face the second sid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workbench; and
A hose taping device including a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third hose re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의 상측에는 상기 복수의 호스를 케이블 타이에 의해 상호간에 구속시키는 작업 공간이 제공되는 호스 테이핑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hose taping device in which a work space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work table to restrain the plurality of hoses to each other with cable ti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90003841U 2019-09-19 2019-09-19 Apparatus for taping hoses KR20049777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841U KR200497778Y1 (en) 2019-09-19 2019-09-19 Apparatus for taping ho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841U KR200497778Y1 (en) 2019-09-19 2019-09-19 Apparatus for taping ho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702U KR20210000702U (en) 2021-03-29
KR200497778Y1 true KR200497778Y1 (en) 2024-02-28

Family

ID=75232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841U KR200497778Y1 (en) 2019-09-19 2019-09-19 Apparatus for taping hos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778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4615A (en) * 2000-09-01 2002-03-22 Hitachi Cable Ltd Method of simultaneously laying multiple lines of subaqueous cables across a river and the like
JP4597743B2 (en) * 2005-04-05 2010-12-15 中部電力株式会社 Cable wiring method
KR101813163B1 (en) 2017-08-31 2017-12-28 한영공업(주)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nner Cab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376B1 (en) 2014-06-10 2016-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Blas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4615A (en) * 2000-09-01 2002-03-22 Hitachi Cable Ltd Method of simultaneously laying multiple lines of subaqueous cables across a river and the like
JP4597743B2 (en) * 2005-04-05 2010-12-15 中部電力株式会社 Cable wiring method
KR101813163B1 (en) 2017-08-31 2017-12-28 한영공업(주)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nner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702U (en) 202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2192A (en) Suspender arm for machinery
KR100923919B1 (en) A spreader system and that method
JP5545498B2 (en) Article storage facility and maintenance method in article storage facility
KR102118984B1 (en) Flexible conduit winding device of flexible wire making machine
KR200497778Y1 (en) Apparatus for taping hoses
KR102298244B1 (en) Medium cable transfer and winding equipment assembly
US8393518B2 (en) Mobile manufacturing platform
CN212101437U (en) Cable conveying device for offshore cable winding and unwinding
JP2019128034A (en) Work bench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390326B1 (en) Painting apparatus
JP2019104592A (en) Gondola for work
JP4981754B2 (en) Loading device
KR20120018966A (en) Roller device for transfer system using wire
KR20140002934U (en) Automation welding apparatus
CN216175384U (en) Wire winding spool paying-off device of water tank wire drawing machine
KR20120033603A (en) Roller device for transfer system using wire
CN211594858U (en) Lifting device for dip-coating workpiece
CN110861976B (en) Cable conveying device for winding and unwinding offshore cables
JP4072562B1 (en) Stage equipment
KR101254427B1 (en) Cable laid grommet manufacturing device
KR101390330B1 (en) Painting apparatus
CN105710586A (en) Welding robot for machining of pressure container
JP5403265B2 (en) Liquid spraying treatment equipment
KR20130000306U (en) Potable type working base
JP2539129B2 (en) Welding equipment for column steel joi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