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707Y1 - 페트병을 사용한 화분에 물주는 기구 - Google Patents

페트병을 사용한 화분에 물주는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707Y1
KR200497707Y1 KR2020220003007U KR20220003007U KR200497707Y1 KR 200497707 Y1 KR200497707 Y1 KR 200497707Y1 KR 2020220003007 U KR2020220003007 U KR 2020220003007U KR 20220003007 U KR20220003007 U KR 20220003007U KR 200497707 Y1 KR200497707 Y1 KR 2004977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lastic bottle
hole
inser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3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615U (ko
Inventor
이재전
Original Assignee
이재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전 filed Critical 이재전
Priority to KR2020220003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707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6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6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7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7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1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with intermittent water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후 버려지는 페트병을 재활용하여 화분에 장시간 수분공급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 페트병에 탈착가능하면서 레바의 조절로 간단하게 페트병에 충전되어진 물의 공급 양을 미세하게 조절가능토록 한 것으로, 화분에 꼽기가 용이한 꼽이부와 페트병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와 상기 꼽이부와 결합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구획부로 이루어진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구획부에는 레바의 조절에 의하여 물의 주입량이 조절되는 조절부와 페트병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토록 하기 위한 공기주입수단이 구비토록 한 것이고, 또한 레바에 의한 물의 주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물 주입 조절수단은 조절부에 관통홀이 구비되는 축홈을 구비하고, 상기 축홈에 삽입되는 축에도 관통홀을 구비하고 일단에는 레바를 구비하여 레바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관통홀이 일치되거나 엇갈리게 되면서 주입량을 단속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페트병을 사용한 화분에 물주는 기구 {Equipment for watering pots using PET bottles}
본 고안은 사용후 버려지는 페트병을 재활용하여 화분에 장시간 수분공급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 페트병에 탈착가능하면서 레바의 조절로 간단하게 페트병에 충전되어진 물의 공급 양을 미세하게 조절가능토록 한 것이다.
현재 페트병을 사용한 화분에 장시간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는 뽑기마개를 사용하여 페트병의 배출구를 개폐토록 한 상태에서 공기압조절정치를 사용하여 페트병내의 공기압을 조절토록 하여 물의 공급량을 조절토록 한 것이 제안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페트병의 하부에 구멍을 뚫어 수액조절기가 달린 줄을 연결시키고 그 줄은 대롱에 끼워서 수액조절기와 함체 몸체에 고정시키고, 페트병 입구는 뽑기형 마개를 장착하여 물의 주입이 가능토록 하고, 상기 뽑기형 마개에는 회분에 고정을 위한 꽂이가 구비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페트병의 하부에 구멍을 뚫어야 하는 문제점과 뚫은 상태에서의 기밀유지가 어려워 실질적인 사용에 많은 문제점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고, 누구든지 사용후 버려지는 페트병을 사용하여 이러한 장치를 구현할 수 없다라는 단점 있는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8-0082172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09-0004020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후 버려지는 일반 페트병의 주입구에 삽입한 후 화분에 꼽아주기만 하면 물의 공급이 자동주입되면서 주입량도 조절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화분에 꼽기가 용이한 꼽이부와 페트병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와 상기 꼽이부와 결합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구획부로 이루어진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구획부에는 레바의 조절에 의하여 물의 주입량이 조절되는 조절부와 페트병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토록 하기 위한 공기주입수단이 구비토록 한 것이다.
또한 레바에 의한 물의 주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물 주입 조절수단은 조절부에 관통홀이 구비되는 축홈을 구비하고, 상기 축홈에 삽입되는 축에도 관통홀을 구비하고 일단에는 레바를 구비하여 레바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관통홀이 일치되거나 엇갈리게 되면서 주입량을 단속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축홈은 본체의 일측에서 내입되어지는 형태로 구비토록 함으로서 축이 축홈에 강제삽입된 상태에서 관통홀이 일체되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일반 버려지는 페트병이나 유리병에 결합부를 결합토록 한 후 꼽이부를 화분의 흙에 꼽으면 물이 화분에 자동으로 주입되는 것이고, 주입량은 레바의 조절로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화분에 장시간 물을 주지 않을 경우에도 일정량의 수분의 보충이 가능하게 화분에서 자라는 식물이 수분부족현상이 없이 잘 자라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이 페트병에 결합되는 상태를 예시한 일실시예
도2는 본 고안의 레바가 구비된 조절수단이 본체의 축홈에 결합되는 상태의 일실시예
도3은 본 고안의 조절수단의 축이 축홈에 조립된 상태에서 관통홀이 일치되어지는 상태를 예시한 일실시예
도4는 본 고안의 조절수단의 관통홀이 열린상태에서 페트병에 공기가 주입되어지는 상태의 일실시예
도5는 본 고안의 레바의 조작으로 관통홀의 개폐상태가 조절되는 상태의 일실시예
도6은 본 고안의 결합부에 패킹이 구비되는 일실시예
도7은 본 고안의 결합부에 탄성날개가 구비되는 일실시예
도8은 본 고안이 화분에 사용되는 일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일단에는 화분에 꼽기가 용이하고 페트병(300)에서 배출되는 물이 화분의 흙속으로 잘 침투가 가능토록 되기 위한 꼽이부(10)와 타단에는 페트병(30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20)와 상기 꼽이부(10)와 결합부(20)의 사이에 위치되는 구획부(30)로 이루어진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구획부(30)의 중앙에는 조절수단(200)의 조절에 의하여 물의 주입이 조절될 수 있게 구획부(30)의 상면과 이면으로 돌출되게 일측벽과 타측벽이 이격되게 이루어진 상태에서 일측벽과 타측벽으로 이루어지는 장홈(32)이 구비되고 상기 장홈을 구성하는 일측벽과 타측벽에는 장홈(3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31a,31b)이 구비되고 상기 장홈(32)이 구비된 외측으로는 구획부(30)에서 편심되게 페트병(300)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토록 하기 위한 공기주입수단(33)이 구비토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조절수단(200)은 일측벽과 타측벽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관통홀(31)이 구비되는 장홈(3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지고,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적인 빠짐이 방지되게 긴밀한 밀착력을 갖도록 봉상의 장축(21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봉상의 장축(210)의 일측단에는 상하로 관통되어지는 유로홀(220)이 상기 관통홀(31a,31b)이 위치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타측단에는 레바(230)가 구비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봉상의 장축(210)의 길이는 장홈(32)의 깊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봉상의 장축(210)이 장홈(32)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찰력의 증가로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홀(31a,31b)과 유로홀(220)이 일치되어질 수 있는 것이고 이를 위하여 장홈(32)은 본체(100)의 일측으로만 개구되어지게 형성되어지는 것이고 판상의 구획벽(30)에 상하로 만곡되게 돌출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봉상의 장축(210)을 장홈(32)에 강제 삽입하여 더이상 진입되지 않을 경우에는 관통홀(31a,31b)과 유로홀(220)이 레바(230)의 조절로 자연적으로 일치되어질 수 있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물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장축(210)을 봉상으로 사용토록 함으로서 관통홀(31a,31b)과 유로홀(220)을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우수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구획벽(30)의 공기주입수단(33)은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관(33a)으로 구비되어짐으로서 페트병(300)에 충전된 물이 공기주입수단(33)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동시에 돌출관(33a)을 사용함으로서 대롱(400)을 삽입가능토록 하여 페트병(300)에 채워진 물의 후단으로 노출토록 함으로서 더욱 우수한 유체의 흐름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부(20)는 본체(100)가 플라스틱에 의한 사출성형에 의하여 페트병(300)의 주둥이(310)와 긴밀한 결합이 가능토록 성형되어 지지만 추가로 결합부(20)의 외측으로 패킹(22)이나 탄성날개(21)를 인서트 사출성형이나 조립에 의하여 결합토록 함으로서 페트병의 주둥이에 결합된 상태에서 더욱 우수한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탄성날개(21)를 결합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지게 인서트 사출성형되어지는 것이고, 패킹(22)은 결합부(20)가 본체(100)와 구분되는 단턱테(21)에 위치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꼽이부(10)는 선단이 날카롭게 경사지는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사개구면(11)으로 구성하고 그 개구되어지는 정도를 레바(230)가 형성된 하단까지 연장토록 하여 이러한 경사개구면(11)으로 인하여 꼽이부(10)를 화분의 흙에 삽입이 용이하면서도 삽입된 상태에서 경사개구면(11)의 일부가 노출되어지도록 함으로서 공기주입수단(33)으로 공기의 주입이 가능토록 함은 물론 디자인성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물의 흐름이 꼽이부(10)가 관체로 이루어져 관체의 내면을 타고 흐르게 됨으로 특히 경사개구면(11)이 흙에 깊숙하게 박히게 될 경우에 경사개구면(11)의 개구되어진 부분을 따라서 물이 퍼지게 되면서 화분의 흙에 골고루 침투가 가능토록 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레바(230)를 화분의 흙에 꼽이부(10)가 꼽혀진 상태에서 관통홀(31)과 유로홀(220)이 어느 정도로 열림상태를 확인가능하게 방향표시수단으로 레바의 하단에는 화살표(231)로 구비토록 함으로서 레바(230)의 기능을 하면서도 간단하게 개방된 상태나 개방된 정도의 확인이 시각적으로 가능토록 하여 물 주입의 차단과 주입 상태나 주입정도를 확인도 용이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10:꼽이부 11:경사개구면
20:결합부 21:탄성날개
22:패킹
30:구획부 31a,31b:관통홀
32:장홈 33:공기주입수단
33a:돌출관
100:본체
200:조절수단 210:봉상의 장축
220:관통홀 230:레바
231:방향표시수단
300:페트병 310:주둥이
400:대롱

Claims (1)

  1. 일단에는 화분에 꼽기가 용이하고 페트병(300)에 채워진 물이 화분의 흙속으로 잘 침투가 가능토록 하기 위한 경사개구면이 형성되는 꼽이부(10)와 상기 꼽이부의 일단에는 페트병(3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게 결합부(20)가 구비되고, 상기 꼽이부(10)와 결합부(20)의 사이에는 구획부(30)로 이루어진 본체(100)와, 상기 구획부(30)에는 레바(230)에 의하여 물의 주입이 조절되는 조절수단(200)과, 페트병(300)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토록 하기 위한 공기주입수단(33)이 구획부의 일측으로 편심되게 상측으로 탈착가능하게 돌출되는 돌출관(33a)에 삽입되는 대롱이 페트병(300)에 채워진 물의 후단으로 노출되는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꼽이부(10)에 구비되는 경사개구면(11)의 개구되어지는 정도가 조절수단의 레바(230)까지 개구되게 연장되어 꼽이부를 화분의 흙에 삽입이 용이하면서도 삽입된 상태에서 경사개구면(11)의 일부가 노출되어지도록 하여 공기주입수단(33)으로 공기의 주입이 가능토록 하고,
    상기 조절수단(200)은 봉상의 장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축에는 축과 직교하게 유로홀(220)이 구비되고,
    상기 구획부에는 봉상의 장축이 긴밀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회전가능토록 장홈이 구비되고, 상기 장홈은 일측벽과 타측벽이 이격되게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장홈과 직교하게 일측벽과 타측벽을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홀(31)이 구비되고,
    상기 장홈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결합된 장축의 일단에 구비된 레바의 조작으로 장축이 회전되면서 유로홀이 상기 관통홀과 개방상태가 변화되면서 물 배출량이 조절가능토록 할 경우에 상기 레바(230)에는 화분의 흙에 꼽이부(10)가 꼽혀진 상태에서 관통홀(31)과 유로홀(220)의 열림정도의 확인이 가능하게 방향표시수단으로 레바의 일단에는 화살표(231)로 구비하고,
    상기 페트병과 탈착되는 결합부(20)의 외측면으로는 기밀유지를 위한 다단의 탄성날개(21)가 일체로 구비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을 사용한 화분에 물주는 기구.
KR2020220003007U 2020-01-03 2022-12-23 페트병을 사용한 화분에 물주는 기구 KR2004977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3007U KR200497707Y1 (ko) 2020-01-03 2022-12-23 페트병을 사용한 화분에 물주는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669A KR20210087667A (ko) 2020-01-03 2020-01-03 페트병을 사용한 화분에 물주는 기구
KR2020220003007U KR200497707Y1 (ko) 2020-01-03 2022-12-23 페트병을 사용한 화분에 물주는 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669A Division KR20210087667A (ko) 2020-01-03 2020-01-03 페트병을 사용한 화분에 물주는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615U KR20230000615U (ko) 2023-03-21
KR200497707Y1 true KR200497707Y1 (ko) 2024-02-02

Family

ID=768586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669A KR20210087667A (ko) 2020-01-03 2020-01-03 페트병을 사용한 화분에 물주는 기구
KR2020220003007U KR200497707Y1 (ko) 2020-01-03 2022-12-23 페트병을 사용한 화분에 물주는 기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669A KR20210087667A (ko) 2020-01-03 2020-01-03 페트병을 사용한 화분에 물주는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8766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1301B2 (ja) * 1994-06-07 2000-06-12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周波数発電機付モータ
JP3069946B2 (ja) * 1994-10-31 2000-07-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200295615Y1 (ko) * 2002-08-26 2002-11-18 이종호 개폐표시램프가 채용된 밸브
JP2005102667A (ja) * 2003-09-29 2005-04-21 Yoshio Fujino 空きタンクを無人で識別し,自動的に新タンクと順次切り替える方式の、園芸用簡易散水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1301U (ja) * 1998-02-09 1998-08-21 株式会社 関西工芸社 灌水装置
JP3069946U (ja) * 1999-12-24 2000-07-04 株式会社サンポリ 灌水ノズル
KR20080082172A (ko) 2007-03-07 2008-09-11 주식회사 코오롱 자기소화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04020U (ko) 2009-04-02 2009-04-29 김추부 지지대 겸 자동 물주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1301B2 (ja) * 1994-06-07 2000-06-12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周波数発電機付モータ
JP3069946B2 (ja) * 1994-10-31 2000-07-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200295615Y1 (ko) * 2002-08-26 2002-11-18 이종호 개폐표시램프가 채용된 밸브
JP2005102667A (ja) * 2003-09-29 2005-04-21 Yoshio Fujino 空きタンクを無人で識別し,自動的に新タンクと順次切り替える方式の、園芸用簡易散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667A (ko) 2021-07-13
KR20230000615U (ko)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3658B1 (en) Flower pot
US6128856A (en) Automatic watering pot
WO2005110336A3 (en) Artifical feeding nipple tip with variable flow
US20180084743A1 (en) Pot flower
KR200497707Y1 (ko) 페트병을 사용한 화분에 물주는 기구
CN105830866A (zh) 一种正负压滴灌方法及其灌溉系统
KR101447328B1 (ko)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
KR101774647B1 (ko) 화분용 급수통
CN203152182U (zh) 自动水灌溉装置
CN107666827A (zh) 浇灌设备和供料系统
US20040181999A1 (en) Individual plant watering device
CN209187578U (zh) 一体成型的吸管
CN203735133U (zh) 树用点滴装置
CN210928780U (zh) 一种上下分体式缩口花盆
CN207340907U (zh) 一种用于高温季节行道树的滴灌装置
RU9166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ива растений (варианты)
CN205937855U (zh) 一种水龙头
CN201061217Y (zh) 家庭养花用滴灌装置
CN208754869U (zh) 控制渗灌水流量的锥形针阀
AU782914B2 (en) Flower pot
KR20100136623A (ko) 화분
CN210519775U (zh) 一种随行杯
CN212260049U (zh) 一种盆景毛细漫滴保湿装置
US20080134576A1 (en) Tree watering device
CN209283933U (zh) 一种自供水花卉盆栽养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