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663Y1 - 약병 - Google Patents

약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663Y1
KR200497663Y1 KR2020220002289U KR20220002289U KR200497663Y1 KR 200497663 Y1 KR200497663 Y1 KR 200497663Y1 KR 2020220002289 U KR2020220002289 U KR 2020220002289U KR 20220002289 U KR20220002289 U KR 20220002289U KR 200497663 Y1 KR200497663 Y1 KR 200497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ead
nipple
groove
medicine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2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혜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쭙
Priority to KR20202200022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6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6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1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medicines
    • A61J7/0046Cups, bottles or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75Accessories therefor
    • A61J11/008Protectin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4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05Non-rigid or collapsible feeding-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16Devices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closure me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약병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약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용기바디와 상기 용기바디의 내측 둘레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인너실링부를 포함하는 용기부, 상부에는 약물이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젖꼭지바디와 상기 젖꼭지바디의 외측 둘레에 방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인너실링부에 결합되는 아웃터실링부를 포함하는 젖꼭지부 및, 상기 젖꼭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홀을 밀폐하는 리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고안에 따르면, 유연성 있는 재질로 되어 있어 펌핑을 통해 약물을 안정적으로 먹일 수 있고, 또한 약물의 누설이 방지되고 약물의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약병{MEDICINE BOTTLE}
본 고안은 유아용 약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성 있는 재질로 되어 있어 펌핑을 통해 약물을 안정적으로 먹일 수 있고, 또한 약물의 누설이 방지되고 약물의 보관이 용이한 유아용 약병에 관한 것이다.
유아가 아픈 경우 신속하게 약을 복용하여 병을 치료해야 한다. 그런데, 통상 유아는 약을 복용하는게 쉽지 않다. 특히 알약이나 가루약 같은 경우에는 목넘김이 원활하지 않아 유아가 복용하기는 어렵다. 이 때문에 주로 물약 형태로 먹이거나 또는 가루약을 물에 타서 복용을 돕는다. 이 경우 보호자들은 통상 물약 형태로 만든 약을 약병에 넣어 유아에게 복용시키고 있다.
그런데, 종래 유아용 약병의 용기는 대체로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어 약의 용량을 재는 눈금이 잘 보이지 않고, 플라스틱 용기의 특성 상 온도에 민감하여 변형되기 쉽다. 또, 플라스틱 용기는 일반적으로 유아의 약 복용을 돕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작게 제작하게 되는데, 이 경우 내부를 세척하기가 매우 불편하다.
가장 큰 문제는 플라스틱 용기의 약물 주입부가 긴 형태의 딱딱한 빨대 형상으로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약병은 유아들에게 거부감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아 약 복용을 돕기 어려웠다.
또한, 용기가 플라스틱 재질이므로 환경호르몬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젖꼭지 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약물이 나오는 젖꼭지의 구멍을 통해 약물이 새거나 또는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종래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0174호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연성 있는 재질로 되어 있어 펌핑을 통해 약물을 안정적으로 먹일 수 있고, 또한 약물의 누설이 방지되고 약물의 보관이 용이한 유아용 약병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아용 약병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약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용기바디와 상기 용기바디의 내측 둘레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인너실링부를 포함하는 용기부; 및 상부에는 약물이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젖꼭지바디와 상기 젖꼭지바디의 외측 둘레에 방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인너실링부에 결합되는 아웃터실링부를 포함하는 젖꼭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부와 상기 젖꼭지부는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부의 형상 또는 상기 젖꼭지부의 형상이 변형될 때, 상기 인너실링부의 형상과 상기 아웃터실링부의 형상은 서로 대응되게 변형되며 실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너실링부는 상기 용기바디의 내측 둘레에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단으로 배치되고, 상기 아웃터실링부는 상기 젖꼭지바디의 외측 둘레에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단으로 배치되되, 상기 복수 단의 인너실링부와 상기 복수 단의 아웃터실링부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너실링부는, 상기 용기바디의 내측 둘레에 함몰된 홈 형상이고, 상기 함몰된 홈의 상부에 방사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인너플랫부; 및 상기 함몰된 홈의 하부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인너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터실링부는, 상기 젖꼭지바디의 외측 둘레에 돌출된 돌기 형상이고, 상기 돌출된 돌기의 상부에 방사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며 형성되는 아웃터플랫부; 및 상기 돌출된 돌기의 하부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형성되는 아웃터경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아웃터플랫부의 길이는 상기 인너플랫부의 길이에 대응되고, 상기 아웃터경사부의 길이 및 경사각은 상기 인너경사부의 길이 및 경사각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바디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용기상단부; 상기 용기바디에서 상기 용기상단부의 내측 둘레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단경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단경사부의 길이 및 경사각은 상기 아웃터경사부의 길이 및 경사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젖꼭지부는, 상기 젖꼭지바디의 측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용기바디의 상부에 안착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젖꼭지바디의 측부에 방사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용기상단부에 안착되는 플랜지플랫부; 및 상기 젖꼭지바디에서 상기 플랜지플랫부의 내측 둘레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단경사부에 안착되는 플랜지경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경사부의 길이 및 경사각은 상기 상단경사부의 길이 및 경사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젖꼭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홀을 밀폐하는 리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리드부는 유연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드부는, 리드바디; 및 상기 리드바디의 내측 상부에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젖꼭지바디의 상부가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고정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젖꼭지부는, 상기 젖꼭지바디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에 방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드부는, 상기 리드바디의 내측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결합되는 리드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바디의 하부 외측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리드부가 결합되는 바툼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드부는, 상기 리드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툼결합부에 삽입되는 리드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드부를 상기 용기부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용기부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툼결합부는, 상기 용기바디의 하부 외측 둘레를 따라 함몰된 홈 형상이고, 상기 함몰된 홈의 상부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툼경사부; 및 상기 함몰된 홈의 하부에 방사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바툼플랫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결합부는, 상기 리드바디의 상부에 함몰되게 형성된 상부홈의 내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며 배치되는 리드돌기; 상기 리드돌기의 상단부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리드경사부; 및 상기 상부홈의 하단면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리드플랫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툼경사부의 길이 및 경사각과 상기 리드경사부의 길이 및 경사각은 서로 대응되고, 상기 바툼플랫부가 상기 고정돌기에 걸리며 상기 리드부가 상기 용기부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바디의 하단면에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바툼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드부는, 상기 상부홈의 하단면에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드삽입블록;을 더 포함하되, 상기 리드삽입블록이 상기 바툼삽입부에 끼워지며, 상기 리드부가 상기 용기부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젖꼭지바디의 내부와 상기 용기바디의 내부간에 연결되며 배치되고, 약물이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조절하고, 상기 젖꼭지부의 형상을 유지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젖꼭지바디의 내부면와 상기 수용부의 하단면간에 연결되며 배치되고, 상기 젖꼭지바디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제공되는 형상복원부; 및 상기 형상복원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약물이 배출홀을 통해 흐르는 것을 조절하는 유동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형상복원부는, 상기 젖꼭지바디의 내측 둘레를 따라 함몰되게 배치되는 고리결합홈; 외측 둘레에는 상기 고리결합홈에 삽입되는 돌출고리가 형성되고, 중앙부는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 고리; 하단부는 상기 수용부의 하단면에 배치되고, 중앙부가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 고리; 및 상기 제1 고리와 상기 제2 고리에 연결되고, 서로 지그재그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고리;를 포함하되, 상기 젖꼭지바디가 상기 수용부의 내측 하방향으로 눌리면서 변형될 때, 상기 복수의 연결고리가 탄성복원력을 제1 고리에 인가하여 상기 젖꼭지바디를 상방향으로 밀어주며 상기 젖꼭지바디의 형상을 복원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형상복원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고리 중 서로 인접한 연결고리들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강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강화부의 두께(L1)는, 상기 복수의 연결고리 중 어느 하나의 연결고리의 두께(L2)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연결고리와 연결되는 인접한 연결고리의 두께(L3)간의 합(L2+L3)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 두껍게 형성되고, 탄성강화부의 내측 깊이(H1)는, 상기 복수의 연결고리 중 어느 하나의 연결고리와 상기 탄성강화부간의 접선으로부터 상기 탄성강화부의 외측면까지에 형성되는 외측 깊이(H2)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깊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동가이드부는, 상기 형상복원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제1 유동홀이 형성되는 제1 봉; 상기 형상복원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제2 유동홀이 형성되고, 상측 일부가 상기 제1 유동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봉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봉; 및 상기 제2 봉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동홀에 연통되는 개구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형상복원부는, 상기 제1 고리의 관통홀의 내측 둘레를 따라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1 내측홈; 및 상기 제2 고리의 관통홀의 내측 둘레를 따라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2 내측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가이드부는, 상기 제1 봉의 상부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측홈에 체결되는 제1 체결돌기; 및 상기 제2 봉의 하부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내측홈에 체결되는 제2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형상복원부와 상기 유동가이드부는 일체로 신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동가이드부는, 상기 제1 유동홀의 내측 둘레에 배치되고 약물의 유동을 조절하는 개폐도어; 및 상기 개폐도어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도어를 복수개로 분할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용기바디를 누를 때 발생되는 압력 또는 상기 배출홀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며 상기 개폐도어를 개방하고 약물이 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유아용 약병 전체가 실리콘과 같은 유연성 있는 재질로 되어 있어, 유아가 젖꼭지를 빨지 않더라도 약물투여자가 용기의 펌핑을 통해 유아에게 안정적으로 약물을 먹일 수 있다.
또한, 뚜껑이 있어서 약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약물의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뚜껑을 용기의 하단부와 결합시켜 유아에게 약물을 먹일 때 잠시 바닥에 놓더라도 약병이 쓰러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젖꼭지의 내부에 별도로 약물이 새는 것을 막는 구조물이 배치되어 있어, 약병이 쓰러지거나 뒤집어 지더라도 약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실시예(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약병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약병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에 개시된 A-A 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약병를 펌핑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약병를 나타낸 조립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약병에서 용기부의 하부에 리드부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개시된 B-B 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약병에 누설방지부가 추가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8에 개시된 누설방지부에서 형상복원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8에 개시된 누설방지부에서 유동가이드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고안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고안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복수의 실시예들은 서로 상충되지 않는 한 중복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약병(100)는 용기부(200), 젖꼭지부(400) 및 리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부(200)는 약물이 저장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용기부(200)의 재질은 실리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용기부(200)는 용기바디(210), 인너실링부(240), 바툼결합부(220) 및 바툼삽입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젖꼭지부(400)는 용기부(200)에 결합되고, 약물을 압력에 의해 배출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용기부(200)와 동일하게 재질은 실리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기부(200)의 외측면에는 약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눈금부(213)가 표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젖꼭지부(400)는 젖꼭지바디(410), 아웃터실링부(420) 및 플랜지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부(300)는 젖꼭지부(400)에 결합되고, 약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용기부(200) 및 젖꼭지부(400)의 재질과 동일하게 실리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리드부(300)는 리드바디(310), 리드결합부(330), 리드홈(350) 및 리드삽입블록(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용기부(200)와 젖꼭지부(400) 및 리드부(300)간의 결합구조 및 효과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용기부(200)에서 용기바디(210)는 대체로 원통의 용기 형상일 수 있으며, 내부에는 약물이 수용되는 수용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인너실링부(240)는 용기바디(210)의 내측 둘레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인너실링부(240)는 용기바디(210)의 내측 둘레에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단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인너실링부(240)는 인너플랫부(243) 및 인너경사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인너플랫부(243)는 함몰된 홈의 상부에서 방사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인너경사부(241)는 함몰된 홈의 하부에서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확대도를 참고하면, 인너플랫부(243)는 함몰된 홈의 상단면에 소정 길이(H1)를 가지며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인너경사부(241)는 함몰된 홈의 하단면에 소정길이(H2) 및 소정각도(θ1)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젖꼭지부(400)에서 젖꼭지바디(410)는 대체로 여성의 젖 형상일 수 있으며, 상부에는 약물이 배출되는 배출홀(411)이 형성될 수 있다.
아웃터실링부(420)는 젖꼭지바디(410)의 외측 둘레에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인너실링부(24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아웃터실링부(420)는 젖꼭지바디(410)의 외측 둘레에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단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 단의 인너실링부(240)와 복수 단의 아웃터실링부(420)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아웃터실링부(420)는 아웃터플랫부(423) 및 아웃터경사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아웃터플랫부(423)는 돌출된 돌기의 상부에 방사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아웃터경사부(421)는 돌출된 돌기의 하부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확대도를 참고하면, 아웃터플랫부(423)는 돌출된 돌기의 상단면에 소정 길이(D1)를 가지며 수평하게 연장되며 형성되어 있고, 아웃터경사부(421)는 돌출된 돌기의 하단면에 소정길이(D2) 및 소정각도(θ1)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인너플랫부(243)와 아웃터플랫부(423)가 서로 밀착 접촉되며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인너플랫부(243)의 길이(H1)와 아웃터플랫부(423)의 길이(D1)는 서로 대응되는 길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젖꼭지바디(410)를 용기바디(210)에 끼워 넣으면, 인너플랫부(243)는 아웃터플랫부(423)에 밀착 접촉되게 된다.
그리고 인너경사부(241)와 아웃터경사부(421)가 서로 밀착 접촉되며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인너경사부(241)의 길이(H2) 및 경사각(θ1)과 아웃터경사부(421)의 길이(D2) 및 경사각(θ1)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젖꼭지바디(410)를 용기바디(210)에 끼워 넣으면, 인너경사부(241)는 아웃터경사부(421)에 밀착 접촉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인너실링부(240)와 아웃터실링부(420)는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단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용기부(200)의 형상 및 젖꼭지부(400)의 형상에 변형이 가해지더라도, 인너실링부(240)와 아웃터실링부(420)는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또한 약물이 인너실링부(240)와 아웃터실링부(420) 사이로 잘 누설되지 않는다.
즉, 젖꼭지바디(410)를 용기바디(21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젖꼭지바디(410)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겨 빼야 하는데, 인너실링부(240)의 상부와 아웃터실링부(420)의 상부에는 각각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인너플랫부(243)와 아웃터플랫부(423)가 서로 밀착 접촉되어 있으므로, 접촉면에서 마찰저항이 발생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반대로 인너실링부(240)의 하부와 아웃터실링부(420)의 하부에는 각각 경사지게 인너경사부(241)와 아웃터경사부(42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젖꼭지바디(410)를 용기바디(210)에 삽입할 때는 아웃터경사부(421)가 인너경사부(241)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젖꼭지바디(410)의 하부가 약간 내측 방향으로 축소되며 용기바디(210)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아웃터실링부(420)가 인터실링부에 끼워지면 젖꼭지바디(410)는 다시 원래 크기로 복원된다.
또한, 도 4를 참고하면, 약물투여자가 용기바디(210)를 눌러 유아에게 약물을 투여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통상 유아가 젖꼭지바디(410)를 빨아 압력에 의해 약물이 배출홀(411)을 통해 배출되어야 하나, 유아가 빨지 않는 경우, 약물투여자가 화살표와 같이 용기바디(210)를 눌러 압력에 의해 약물이 배출홀(411)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약물투여자가 용기바디(210)를 누를 수 있는데, 용기바디(210)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젖꼭지바디(410)의 형상도 함께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인너실링부(240)와 아웃터실링부(420)가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단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용기바디(210)와 젖꼭지바디(410)의 형상이 변형될 때, 윗 단의 인너실링부(240)와 아웃터실링부(420)가 약간 벌어지더라도, 약물투여자의 힘이 가해지는 부분에 인접한 아랫 단의 인너실링부(240)와 아웃터실링부(420)가 더 밀착되며 결합되게 되므로 용기바디(210)와 젖꼭지바디(410)간의 실링이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약물은 누설되지 않는다.
즉 용기바디(210)의 형상 및 젖꼭지바디(410)의 형상이 변형될 때, 인너실링부(240)의 형상과 아웃터실링부(420)의 형상은 서로 대응되게 변형되며 밀착력을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실링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부(200)는 용기바디(210)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용기상단부(250) 및 용기바디(210)에서 용기상단부(250)의 내측 둘레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단경사부(2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단경사부(251)의 길이 및 경사각은 상기 아웃터경사부(421)의 길이 및 경사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단경사부(251)는 소정길이(H3) 및 소정 경사각(θ1)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아웃터경사부(421)의 소정길이(D2) 및 소정 경사각(θ1)에 대응될 수 있다.
이 경우 젖꼭지바디(410)를 용기바디(210)에 끼워 넣을 때, 아웃터경사부(421)가 상단경사부(251)를 미끄러지며 부드럽게 용기바디(2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젖꼭지바디(410)의 하부는 약간 축소되고, 아웃터실링부(420)가 인너실링부(240)에 끼워지면 젖꼭지바디(410)는 다시 원래 크기로 복원된다.
한편, 젖꼭지부(400)는 젖꼭지바디(410)의 측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용기바디(210)의 상부에 안착되는 플랜지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부(430)는 플랜지플랫부(431) 및 플랜지경사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플랜지플랫부(431)는 젖꼭지바디(410)의 측부에 방사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용기상단부(250)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경사부(433)는 젖꼭지바디(410)에서 플랜지플랫부(431)의 내측 둘레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단경사부(251)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플랜지경사부(433)의 길이 및 경사각은 상단경사부(251)의 길이 및 경사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랜지경사부(433)는 소정길이(D3) 및 소정 경사각(θ1)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단경사부(251)의 소정길이(H3) 및 소정 경사각(θ1)에 대응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따라 플랜지플랫부(431)는 용기상단부(250)에 밀착 접촉되고, 플랜지경사부(433)는 상단경사부(251)에 밀착 접촉되게 되며, 이는 인너실링부(240)와 아웃터실링부(420)와 함께 약물이 용기바디(210)와 젖꼭지바디(410) 사이로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플랜지부(430)와 용기상단부(250) 및 상단경사부(251)는 추가적인 실링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리드부(300)에서 리드바디(310)는 원통 형상의 뚜껑일 수 있으며, 리드바디(310)의 내측 상부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블록(320)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블록(320)의 내측에는 고정홈(3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젖꼭지바디(410)의 상부가 고정홈(32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젖꼭지바디(410)의 상부가 고정홈(323)에 결합되면 배출홀(411)이 밀폐되므로 약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드바디(310)의 내측 둘레에는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리드홈(3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젖꼭지부(400)는 젖꼭지바디(410)에서 상기 플랜지부(430)의 상부에 방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돌기(41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돌기(413)는 리드홈(35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약물투여자가 약물을 보관하고자 할 때, 리드부(300)를 젖꼭지부(400)의 상부에 끼우면, 고정홈(323)에 젖꼭지바디(410)의 상부가 결합되며 배출홀(411)이 밀폐되고, 리드홈(350)에 고정돌기(413)가 삽입되며 리드부(300)와 젖꼭지부(400)가 결합되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용기부(200)의 하부에 리드부(300)의 상부를 결합한 상태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용기부(200)를 더 안정적으로 바닥에 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용기바디(210)의 외관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유선형으로 좁아지는 형태이다. 이 경우 바닥에 놓여지는 용기바디(210)의 하단면이 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좁아져, 용기바디(210)에 약간의 충격이 가해져도 넘어질 수 있다.
이에 반해 리드바디(310)의 외관은 중앙부에서 하부 또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유선형으로 넓어지는 형태이다. 따라서 리드바디(310)의 하부가 바닥에 놓여질 때 용기바디(210)의 하단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리드바디(310)의 하단면적이 더 넓으므로, 바닥에 상대적으로 더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약물투여자가 유아용 약병(100)를 사용 중 잠시 바닥에 넣을 때 용기바디(210)의 하부에 리드바디(310)를 결합하여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리드부(300)를 젖꼭지부(400)에서 분리한 후에 용기부(200)의 하부에 결합시켜 놓을 수 있어, 분리된 리드부(300)를 분실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상술한 리드부(300)의 상부와 용기부(200)의 하부를 결합하기 위해서, 용기바디(210)의 하부에는 바툼결합부(220) 및 바툼삽입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리드바디(310)의 상부에는 리드결합부(330) 및 리드삽입블록(340)이 형성될 수 있다.
바툼결합부(220)는 용기바디(210)의 하부 외측 둘레를 따라 함몰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툼결합부(220)는 바툼경사부(221) 및 바툼플랫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바툼경사부(221)는 함몰된 홈의 상부에 하방향으로 소정각도(θ2)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툼플랫부(223)는 함몰된 홈의 하부에 방사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툼삽입부(230)는 용기바디(210)의 하단면에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리드결합부(330)는 리드돌기(331), 리드경사부(335) 및 리드플랫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돌기(331)는 리드바디(310)의 상부에 함몰되게 형성된 상부홈(312)의 내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며 배치될 수 있다. 리드돌기(331)는 바툼결합부(220)에 삽입될 수 있다.
리드경사부(335)는 리드돌기(331)의 상단부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리드경사부(335)의 길이(E1) 및 경사각(θ2)은 바툼경사부(221)의 길이(H4) 및 경사각(θ2)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리드삽입블록(340)은 상부홈(312)의 하단면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따라 용기부(200)의 하부에 리드부(300)의 상부를 끼워 넣으면, 고정돌기(413)가 바툼결합부(220)에 삽입되고, 리드삽입블록(340)이 바툼삽입부(230)에 삽입된다.
여기서 고정돌기(413)의 상부에 형성된 리드경사부(335)가 바툼경사부(221)에 밀착 접촉되고 바툼플랫부(223)가 고정돌기(413)에 걸리면서 리드부(300)가 용기부(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쉽지 않게 한다.
이러한 결합구조를 통해 용기부(200)는 리드부(30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또한 리드부(300)에 의해 바닥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약병(100)는 조절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440)는 젖꼭지바디(410)의 내부와 용기바디(210)의 내부간에 연결되며 배치되고, 약물이 배출홀(411)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조절하고, 젖꼭지부(400)의 형상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조절부(440)는 형상복원부(450) 및 유동가이드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형상복원부(450)는 젖꼭지바디(410)의 내부면와 수용부(211)의 하단면간에 연결되며 배치되고, 젖꼭지바디(410)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복원부(450)는 압축 또는 인장되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형상복원부(450)는 항균 처리된 플라스틱, 세라믹 등의 재질이거나 또는 실리콘 등의 유연한 재질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복원부(450)는 제1 고리(451), 제2 고리(453), 복수의 연결고리(455) 및 탄성강화부(457)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요소는 형상복원부(45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형상복원부(450)는 위에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제1 고리(451)는 고리 형태의 플레이트일 수 있으며, 젖꼭지바디(410)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젖꼭지바디(410)의 내부 상측에는 함몰된 형태의 고리결합홈(459)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리(451)의 외측 둘레에는 고리결합홈(459)에 삽입되는 돌출고리(452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고리(452b)를 고리겹합홈에 끼워 제1 고리(451)를 젖꼭지바디(410)의 내부 상측에 결합시킨다.
또한 제1 고리(451)의 중앙부에는 관통홀(45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리(453)는 고리 형태의 플레이트일 수 있으며, 하단부는 수용부(211)의 하단면에 안착되며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리(453)의 중앙부에는 관통홀(453a)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고리(455)는 고리 형태의 플레이트일 수 있으며, 제1 고리(451)와 제2 고리(453) 사이에 복수개가 지그재그로 적층 연결되고 중앙부에는 관통홀(455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관통홀(451a,453a,455a)에는 이하 검토할 유동가이드부(460)가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연결고리(455) 중 서로 인접한 두 연결고리(455)는 서로 경사를 이루도록 각 단부에서 연결되되, 연속되는 연결고리(455)는 형상복원부(450)의 폭방향 일측 및 형상복원부(450)의 폭방향 타측에서 교대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연속되는 연결고리(455)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외부 압력에 의한 압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복수의 연결고리(455)의 이러한 연결 구조는 탄성 복원력이 너무 강하지 않도록 만들어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결고리(455)에는 관통홀(455a)이 형성되고, 복수의 연결고리(455)는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연결고리(455)는 일정한 각도를 가지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연결고리(455)는 서로 다른 형상 및 크기로 인해 연결되는 부분의 각도가 서로 다른 구조의 형상복원부(450)에 비해 압축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져 높은 탄성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결고리(455)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경우, 비틀림이 방지되어 보다 안정적이고 균일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가령, 젖꼭지바디(410)가 상기 수용부(211)의 내측 하방향으로 눌리면서 변형될 때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연결고리(455)가 탄성복원력을 제1 고리(451)에 인가하여 상기 젖꼭지바디(410)를 상방향으로 밀어주며 상기 젖꼭지바디(410)의 형상을 복원할 수 있다.
한편, 탄성강화부(457)는 복수의 연결고리(455) 중 서로 인접한 연결고리들 사이에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탄성강화부(457)는 서로 인접한 연결고리들을 결합할 수 있으며, 동시에 서로 인접한 연결고리들간의 탄성 복원력을 강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연결고리(455) 각각은 서로 결합되되, 복수의 연결고리(455) 각각이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 복수의 연결고리(455)와 동일한 재질의 재료가 보강될 수 있다. 여기서, 보강된 부분이 탄성강화부(457)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연결고리(455)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은 탄성강화부(457) 때문에 다른 부분보다 두꺼워질 수 있다.
복수의 연결고리(455) 중 인접한 두 연결 고리가 연결되는 부분에 탄성강화부(457)를 형성하는 경우 복수의 연결고리(455)간의 탄성 복원력은 더 커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결고리(455) 중 제1 고리(451) 또는 제2 고리(453)와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연결고리(455) 또한 탄성강화부(457)를 통해 제1 고리(451) 또는 제2 고리(453)와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형상복원부(450)의 탄성 복원력은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리(451) 및 제2 고리(453)가 탄성 복원력을 갖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형상복원부(450)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1 고리(451) 및 제2 고리(453)에서 일부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과한 외부 압력에 의해 형상복원부(450)의 구성(예를 들어, 제1 고리(451), 제2 고리(453) 및 복수의 연결고리(455)이 부서지거나 금이 가는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9에 개시된 확대도를 참고하면, 탄성강화부(457)의 두께(L1) 및 깊이(H1)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탄성강화부(457)의 두께(L1)는, 복수의 연결고리(455) 중 어느 하나의 연결고리(455b)의 두께(L2) 및 어느 하나의 연결고리(455b)와 연결되는 인접한 연결고리(455c)의 두께(L3)간의 합(L2+L3)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강화부(457)의 두께(L1)가 상술한 연결고리들(455b,455c)간의 두께의 합(L2+L3)과 동일한 경우, 복수의 연결고리(455)들을 완전히 압축했을 때, 복수의 연결고리(455)들의 플레이트 표면은 서로 접촉하며 하나의 원통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탄성강화부(457)가 연결고리들의 탄성 복원력을 향상함과 아울러 연결부위에서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경우, 탄성강화부(457)의 두께(L1)를 상술한 연결고리들(455b,455c)간의 두께의 합(L2+L3)보다 더 두껍게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접한 연결고리들(455b,455c)간의 연결부위가 더욱 두꺼워지게 되므로 장시간 사용 후에도 탄성 복원력이 약해지거나 연결부위가 손상되는 시기를 늦출 더욱 늦출 수 있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고리(451)와 연결고리(455)간에 형성되는 탄성강화부(457)의 두께는, 제1 고리(451)의 두께와 제1 고리(451)와 연결되는 연결고리(455)의 두께 간의 합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고리(453)와 연결고리(455)간에 형성되는 탄성강화부(457)의 두께는, 제2 고리(453)의 두께와 제2 고리(453)와 연결되는 연결고리(455)의 두께간의 합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강화부(457)의 내측 깊이(H1)는, 복수의 연결고리(455) 중 어느 하나의 연결고리(455c)와 상기 탄성강화부(457)간의 접선으로부터 상기 탄성강화부(457)의 외측면까지에 형성되는 외측 깊이(H2)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깊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강화부(457)의 내측 깊이(H1)가 외측 깊이(H2)보다 동일하거나 또는 특히 더 깊게 형성되는 경우, 탄성강화부(457)의 강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연결고리들은 젖꼭지바디(410)에 복원력 제공을 반복할 때 상당히 많이 압축과 인장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탄성강화부(457)의 내측 깊이(H1)가 외측 깊이(H2)보다 더 깊게 형성되면, 압축과 인장이 반복되는 부위가 더 두껍게 형성되므로, 상당한 반복에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탄성강화부(457)의 내측 부위에서 더 두꺼워진 깊이로 인해 장시간 사용 후에도 탄성 복원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서로 인접한 연결고리들(455b,455c)간의 연결부위가 더 두꺼워져 있으므로, 탄성 복원력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고리(451)와 연결고리(455)간에 형성되는 탄성강화부(457)의 내측 깊이는, 제1 고리(451)에 연결되는 연결고리(455)와 상기 탄성강화부(457)간의 접선으로부터 상기 탄성강화부(457)의 외측면까지에 형성되는 외측 깊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깊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리(453)와 연결고리(455)간에 형성되는 탄성강화부(457)의 내측 깊이는, 제2 고리(453)에 연결되는 연결고리(455)와 상기 탄성강화부(457)간의 접선으로부터 상기 탄성강화부(457)의 외측면까지에 형성되는 외측 깊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깊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고리(451), 제2 고리(453), 복수의 연결고리(455) 및 탄성강화부(457)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유동가이드부(460)는 형상복원부(450)의 내부에 배치되고, 약물이 배출홀(411)을 통해 흐르는 것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도가이드부는 제1 봉(461), 제2 봉(463) 및 개폐도어(46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봉(461)은 형상복원부(450)의 내측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제1 유동홀(461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봉(461)은 제1 고리(451)의 관통홀(451a)과 복수의 연결고리들(455)의 관통홀(455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봉(463)은 형상복원부(450)의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제2 유동홀(463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봉(463)은 제2 고리(453)의 관통홀(453a)과 복수의 연결고리들(455)의 관통홀(455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봉(463)의 상측 일부는 제1 유동홀(461a)에 삽입되며 제1 봉(46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유동홀(461a)과 제2 유동홀(463a)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개구홀(465)은 제2 봉(463)의 하부에 형성되고 제2 유동홀(463a)에 연통될 수 있다. 약물을 개구홀(465)을 통해 제2 유동홀(463a)로 유입되고, 이후 제1 유동홀(461a)을 통해 배출홀(411)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형상복원부(450)와 유동가이드부(460)가 일체로 신축될 수 있다. 즉 젖꼭지바디(410)가 하방향을 형상이 변형되었을 때, 형상복원부(450)와 유동가이드부(460)는 함께 길이가 축소되고, 다시 형상복원부(450)가 젖꼭지바디(410)에 복원력을 제공하며 신장될 때 유동가이드부(460)도 함께 신장된다.
이를 위해 도 8을 참고하면, 형상복원부(450)는 제1 내측홈(452a) 및 제2 내측홈(454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홈(452a)은 제1 고리(451)의 관통홀의 내측 둘레를 따라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내측홈(454a)은 제2 고리(453)의 관통홀의 내측 둘레를 따라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가이드부(460)는 제1 체결돌기(462) 및 제2 체결돌기(4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돌기(462)는 제1 봉(461)의 상부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측홈(452a)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체결돌기(464)는 제2 봉(463)의 하부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내측홈(454a)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제1 고리(451)와 제1 봉(461), 제2 고리(453)와 제2 봉(463)이 각각 체결되며 형상복원부(450)가 복원력을 발휘할 때, 유동가이드부(460)가 신축되는 것이다. 이때 제2 봉(463)은 제1 봉(461)의 내부를 이동한다.
한편, 유동가이드부(460)는 약물의 출입을 조절하기 위해 개폐도어(467) 및 절개부(468)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개폐도어(467)는 제1 유동홀(461a)의 내측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절개부(468)는 개폐도어(467)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도어(467)를 복수개로 분할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개폐도어(467)는 제1 봉(46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봉(461)과 개폐도어(467)는 실리콘 등의 유연한 재질일 수 있다. 물론 제2 봉(463) 또한 실리콘 등의 유연한 재질일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개폐도어(467)는 압력에 의해 절개부(468)가 벌어지면서 개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유연한 재질이 바람직하다.
평소에는 개폐도어(467)는 절개부(468)를 기준으로 하여 서로 맞닿아 있으므로, 약물을 개폐도어(467)를 통해 배출홀(411)로 흐를 수 없다. 즉 약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아에게 약물을 먹일 때는, 다음의 경우에 개폐되어가 개방될 수 있다.
유아가 젖꼭지를 빠는 경우 배출홀(411)을 통해 빨아당기는 압력이 발생하고 이때 약물의 유압에 의해 절개부(468)가 개방되면서 개폐도어(467)가 열리고, 약물을 개폐도어(467)를 통과하여 배출홀(411)로 유입된다.
또한 약물투여자가 용기바디(210)를 누르는 경우, 약물에 유압이 발생하고 유일한 출입구인 절개부(468)를 벌리게 된다. 이에 따라 개폐도어(467)가 개방되고 약물은 배출홀(41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조절부(440)는 용기부(200), 리드부(300) 및 젖꼭지부(400)에 부가적으로 제공됨으로써, 젖꼭지바디(410)의 형상이 변경된 경우, 빠르게 형상을 복원할 수 있고, 또한 약물이 배출홀(411)을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사항은 유아용 약병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0:유아용 약병
200:용기부 210:용기바디
211:수용부 213:눈금부
220:바툼결합부 221:바툼경사부
223:바툼플랫부 230:바툼삽입부
240:인너실링부 241:인너경사부
243:인너플랫부 250:용기상단부
251;상단경사부
300:리드부 310:리드바디
312:상부홈 320:고정블록
323:고정홈 330:리드결합부
331:리드돌기 333:리드플랫부
335:리드경사부 340:리드삽입블록
350:리드홈
400:젖꼭지부 410:젖꼭지바디
411:배출홀 413:고정돌기
420:아웃터실링부 421:아웃터경사부
423:아웃터플랫부 430:플랜지부
431:플랜지플랫부 433:플랜지경사부
440:조절부 450:형상복원부
451:제1 고리 452a:제1 내측홈
452b:돌출고리 453:제2 고리
454a:제2 내측홈 455:연결고리
457:탄성강화부 459:고리결합홈
460:유동가이드부 461:제1 봉
461a:제1 유동홀 462:제1 체결돌기
463:제2 봉 463a:제2 유동홀
464:제2 체결돌기 465:개구홀
467:개폐도어 468:절개부

Claims (11)

  1. 내부에 약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용기바디와 상기 용기바디의 내측 둘레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인너실링부를 포함하는 용기부; 및
    상부에는 약물이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젖꼭지바디와 상기 젖꼭지바디의 외측 둘레에 방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인너실링부에 결합되는 아웃터실링부를 포함하는 젖꼭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부와 상기 젖꼭지부는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부의 형상 또는 상기 젖꼭지부의 형상이 변형될 때, 상기 인너실링부의 형상과 상기 아웃터실링부의 형상은 서로 대응되게 변형되며 실링을 유지하고,
    상기 인너실링부는,
    상기 용기바디의 내측 둘레에 함몰된 홈 형상이고,
    상기 함몰된 홈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인너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터실링부는,
    상기 젖꼭지바디의 외측 둘레에 돌출된 돌기 형상이고,
    상기 돌출된 돌기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아웃터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너경사부와 상기 아웃터경사부는 상기 인너실링부와 상기 아웃터실링부가 서로 결합하는 경우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유아용 약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실링부는,
    상기 함몰된 홈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인너플랫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웃터실링부는,
    상기 돌출된 돌기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아웃터플랫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너플랫부와 상기 아웃터플랫부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서로 결합되는, 유아용 약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플랫부의 길이는 상기 인너플랫부의 길이에 대응되고,
    상기 아웃터경사부의 길이 및 경사각은 상기 인너경사부의 길이 및 경사각에 대응되는, 유아용 약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바디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용기상단부;
    상기 용기바디에서 상기 용기상단부의 내측 둘레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단경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단경사부의 길이 및 경사각은 상기 아웃터경사부의 길이 및 경사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유아용 약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젖꼭지부는,
    상기 젖꼭지바디의 측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용기바디의 상부에 안착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젖꼭지바디의 측부에 방사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용기상단부에 안착되는 플랜지플랫부; 및
    상기 젖꼭지바디에서 상기 플랜지플랫부의 내측 둘레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단경사부에 안착되는 플랜지경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경사부의 길이 및 경사각은 상기 상단경사부의 길이 및 경사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유아용 약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젖꼭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홀을 밀폐하는 리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리드부는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는, 유아용 약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는,
    리드바디; 및
    상기 리드바디의 내측 상부에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젖꼭지바디의 상부가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고정블록;
    을 포함하는, 유아용 약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젖꼭지부는,
    상기 젖꼭지바디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에 방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드부는,
    상기 리드바디의 내측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결합되는 리드홈;을 더 포함하는, 유아용 약병.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바디의 하부 외측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리드부가 결합되는 바툼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드부는,
    상기 리드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툼결합부에 삽입되는 리드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드부를 상기 용기부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용기부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유아용 약병.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툼결합부는,
    상기 용기바디의 하부 외측 둘레를 따라 함몰된 홈 형상이고,
    상기 함몰된 홈의 상부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툼경사부; 및
    상기 함몰된 홈의 하부에 방사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바툼플랫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결합부는,
    상기 리드바디의 상부에 함몰되게 형성된 상부홈의 내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며 배치되는 리드돌기;
    상기 리드돌기의 상단부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리드경사부; 및
    상기 상부홈의 하단면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리드플랫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툼경사부의 길이 및 경사각과 상기 리드경사부의 길이 및 경사각은 서로 대응되고,
    상기 바툼플랫부가 상기 고정돌기에 걸리며 상기 리드부가 상기 용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유아용 약병.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바디의 하단면에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바툼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드부는,
    상기 상부홈의 하단면에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드삽입블록;을 더 포함하되,
    상기 리드삽입블록이 상기 바툼삽입부에 끼워지며, 상기 리드부가 상기 용기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유아용 약병.

KR2020220002289U 2022-09-27 2022-09-27 약병 KR200497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289U KR200497663Y1 (ko) 2022-09-27 2022-09-27 약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289U KR200497663Y1 (ko) 2022-09-27 2022-09-27 약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663Y1 true KR200497663Y1 (ko) 2024-01-19

Family

ID=89713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289U KR200497663Y1 (ko) 2022-09-27 2022-09-27 약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663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5743A (ko) * 2008-01-24 2010-10-28 (주) 마마치 유연성을 갖는 유아용 젖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5743A (ko) * 2008-01-24 2010-10-28 (주) 마마치 유연성을 갖는 유아용 젖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81651A1 (en) Vial with lid attachment mechanism
US8641012B2 (en) Medical connector
CN104334219B (zh) 多剂量注射器和方法
CN104334213B (zh) 多剂量小瓶及方法
EP1500602A1 (en) Dispensing container
US7837056B2 (en) Snap-fit valve
EP3266437A1 (en) Press in bottle adapter
NZ208732A (en) Feed bottle and teat combination; dependent lip on teat acts as a flap valve
US20200361694A1 (en) Spuit type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container
CN101677906A (zh) 多次剂量瓶装置和用于其的适配器
CN101455876A (zh) 涂抹装置
KR200497663Y1 (ko) 약병
TWI749473B (zh) 藥物混合設備
EP2298269A1 (en) Medication-containing container
KR101608825B1 (ko) 보관 용기
EP2386496B1 (en) Container having a hinged lid and a lid locking mechanism
CN106580695B (zh) 一种兽药用输液组合盖
TWI747183B (zh) 藥物混合裝置及其製造方法、包括該裝置的藥物混合設備
CN101323385B (zh) 挤压式内脱胆自混合容器
TWI468326B (zh) 飲料容器(一)
AU2017420122B2 (en) Pre-filled drinking straw with a cross-slit valve closure on both ends
CN207306891U (zh) 一种兽药用输液组合盖
KR20090007179U (ko) 넌 피브이씨 재질의 수액백용 포트
US20030201239A1 (en) Radially compressed self-sealing septum
KR102264506B1 (ko) 복수의 사선가이드부가 구비된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