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459Y1 -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7459Y1 KR200497459Y1 KR2020230000494U KR20230000494U KR200497459Y1 KR 200497459 Y1 KR200497459 Y1 KR 200497459Y1 KR 2020230000494 U KR2020230000494 U KR 2020230000494U KR 20230000494 U KR20230000494 U KR 20230000494U KR 200497459 Y1 KR200497459 Y1 KR 20049745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nee
- posture
- pair
- frames
- exercise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CWYNVVGOOAEACU-UHFFFAOYSA-N Fe2+ Chemical compound [Fe+2] CWYNVVGOOAEAC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05 lumbosacral regi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63B2024/0012—Comparing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with a registered referenc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27—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when used improperly, e.g. by giving a warn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28—Sitting on the buttocks
- A63B2208/0233—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 position, like on a chai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63B2220/44—Angular accele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른 착석 자세를 유도하며, 다양한 운동 동작을 취할 수 있는 다기능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는 지면에 기립된 상태에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결합되는 둔부 받침대와,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결합되되, 둔부 받침대보다 전측 및 하측에 위치하는 무릎 받침대와,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되, 둔부 받침대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무릎 받침대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이격공간을 두고 프레임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른 착석 자세를 유도하며, 다양한 운동 동작을 취할 수 있는 다기능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람이 앉기 위한 도구의 하나로,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 전판과 연결되어 등허리를 받치는 등받이 및 좌판을 받쳐주는 다리로 이루어진다. 현대 사회에 들어오며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바르지 못한 자세로 인해 등과 허리에 무리를 느끼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스코틀랜드와 캐나다 과학자들에 의하면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는 상체와 허벅지의 각도는 135°임이 밝혀졌다. 또 이미 그전부터 상체와 허벅지의 각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의자의 좌판을 앞으로 기울이고, 의자의 앞부분에 넘어지지 않도록 무릎 받침대를 설치한 의자들이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이런 종류의 의자는 통칭하여 닐링 체어(Kneeling chair)라고 불리고 있는데, 닐링 체어는 1970년대 후반 노르웨이의 의사 Hans Christian Mengshoel에 의해 처음으로 소개되었고, 현재까지 유럽과 북미, 일본 등에서 착석 자세를 교정하는 인체 공학 의자의 대명사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닐링 체어는 사용자의 착석 시에만 바른 자세를 유도하는 역할을 하고, 사용자의 비착석 시에는 별다른 기능을 제공할 수 없어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착석 시에 자세 교정 의자로 이용 가능하고, 비착석 시에 운동 기구로 이용 가능한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됐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착석 시에 자세 교정 의자로 이용 가능하고, 비착석 시에 운동 기구로 이용 가능한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면에 기립된 상태에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결합되는 둔부 받침대와,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결합되되, 둔부 받침대보다 전측 및 하측에 위치하는 무릎 받침대와,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되, 둔부 받침대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무릎 받침대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이격공간을 두고 프레임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모서리가 라운드진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만곡변과, 제1만곡변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경사지게 배치되며, 내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만곡변과, 제1만곡변의 일단과 제2만곡변의 일단을 연결히는 제1단변과, 제1만곡변의 타단과 제2만곡변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2단변을 포함하고, 제1단변은 제2단변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제1만곡변의 곡률의 피크는 제2만곡변의 곡률의 피크보다 높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중심부에 제1개구가 형성되고, 제1만곡변과 상기 제2단변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와 인접하게 제2개구가 형성되되, 제1개구 및 제2개구는 모서리가 라운드진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개구는 제2개구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릎 받침대에 사용자의 양무릎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무릎 압력센서와, 둔부 받침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둔부 압력센서와, 무릎 압력센서 및 둔부 압력센서와 연결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컨트롤러는 어느 하나의 무릎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압력값과 다른 하나의 무릎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압력값의 차에 대한 절대값이 기설정된 제1값 이상이거나, 둔부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압력값이 기설정된 제2값 이상이면, 알림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다기능 운동 기구의 자세 정보를 검출하는 자이로센서를 더 포함하고, 컨트롤러는 자이로센서를 통해 검출된 자세 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 자세 정보의 비교를 통해 다기능 운동 기구의 자세가 기준 자세인지 판단하고, 다기능 운동 기구의 자세가 기준 자세인 경우, 무릎 압력센서 및 상기 둔부 압력센서를 작동시키며, 기준 자세는 한 쌍의 프레임이 각각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되, 둔부 받침대 및 상기 무릎 받침대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상태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은 사용자에 의해 착석 시 자세 교정을 유도하는 의자로 이용되거나, 다양한 동작을 취할 수 있는 운동 기구로 이용될 수 있어,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또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를 의자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를 운동 기구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를 운동 기구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를 운동 기구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를 운동 기구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를 의자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를 운동 기구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를 운동 기구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를 운동 기구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를 운동 기구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1, 이하, 다기능 운동 기구)는 착석 여부에 따라 의자 또는 운동 기구로 이용 가능한 것으로, 지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프레임(10), 착석한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둔부 받침대(20), 착석한 사용자의 무릎을 지지하는 무릎 받침대(30) 및 한 쌍의 프레임을 상호 연결 고정시키는 연결바(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프레임(1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면에 기립된 상태에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0)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비철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둔부 받침대(20)는 일정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한 쌍의 프레임(10) 사이에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다. 둔부 받침대(20)는 한 쌍의 프레임(10)과 수직하게 결합되는 지지판(21) 및 지지판(21)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쿠션판(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판(21)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비철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쿠션판(22)은 솜, 우레탄, 폴리우레탄, 발포폼, 스폰지, 합성고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무릎 받침대(30)는 일정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한 쌍의 프레임(10) 사이에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다. 무릎 받침대(30)는 제1만곡변(11)이 지면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둔부 받침대(20)보다 전측 및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무릎 받침대(30)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호 이격공간을 두고 배치되어 프레임(10)의 일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0)의 일측면은 상호 대향하는 면일 수 있다.
또한, 무릎 받침대(30)는 프레임(10)의 일측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지지판(31) 및 지지판(31)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쿠션판(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판(31)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비철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쿠션판(32)은 솜, 우레탄, 폴리우레탄, 발포폼, 스폰지, 합성고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4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져, 한 쌍의 프레임(1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연결바(40)의 일단은 어느 하나의 프레임(10)에 결합되고, 타단은 다른 하나의 프레임(10)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바(40)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호 평행하게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연결바(40)는 제1만곡변(11)이 지면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둔부 받침대(20) 및 무릎 받침대(30)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 기구(1)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프레임(10)은 모서리가 라운드진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만곡변(11), 제1만곡변(11)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경사지게 배치되며 내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만곡변(12), 제1만곡변(11)의 일단과 제2만곡변(12)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단변(13), 제1만곡변(11)의 타단과 제2만곡변(12)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2단변(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단변(13)은 제2단변(14)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만곡변(11)의 곡률의 피크(P1)는 제2만곡변(12)의 곡률의 피크(P2)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만곡변(11)의 곡률의 폭(H1)은 제2만곡변(12)의 곡률의 폭(H2)보다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은 중심부에 제1개구(15)가 형성될 수 있고, 제1만곡변(11)과 제2단변(14)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와 인접하게 제2개구(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개구(15) 및 제2개구(16)는 모서리가 라운드진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1개구(15)는 제2개구(16)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둔부 받침대(20)의 상측 끝단을 지나고 지면과 수직인 가상의 제1선(L1)과 제1만곡변(11)과 제2단변(14)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를 지나고 지면과 수직인 가상의 제2선(L2)간에 거리(R1)는 20cm 내지 40cm일 수 있다. 제1선(L1)과 제2선(L2)간에 거리가 40cm를 초과한 경우, 제2단변(14)이 지면을 지지하게 두어 운동 기구로 사용하는 상태에서 무게 중심이 편심되게 위치하여 작은 외력에도 쉽게 넘어질 수 있다. 반대로, 제1선(L1)과 제2선(L2)간에 거리가 20cm 미만인 경우, 제1만곡변(11)이 지면을 지지하게 두어 의자로 사용하는 상태에서 사용자 착좌 시 뒤로 넘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 기구(1)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다기능 운동 기구(1)는 무릎 받침대(30)에 사용자의 양무릎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압력값을 측정하는 한 쌍의 무릎 압력센서(50), 둔부 받침대(20)에 사용자의 둔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압력값을 측정하는 둔부 압력센서(60) 및 측정된 압력값에 따라 알림 신호를 송신하는 컨트롤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릎 압력센서(50)는 우측 무릎 받침대(30a)의 쿠션판(32)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우측 무릎 압력센서(50a) 및 좌측 무릎 받침대(30b)의 쿠션판(32)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좌측 무릎 압력센서(50b)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무릎 압력센서(50)는 컨트롤러(70)와 연결되어 측정된 압력값을 컨트롤러(70)로 송신할 수 있다.
둔부 압력센서(60)는 둔부 받침대(20)의 쿠션판(22)의 중심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70)와 연결되어 측정된 압력값을 컨트롤러(70)로 송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70)는 우측 무릎 압력센서(50a)에서 측정된 압력값과 좌측 무릎 압력센서(50b)에서 측정된 압력값의 차에 대한 절대값이 기설정된 제1값이상이면, 외부 또는 내부의 알림수단으로 알림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70)는 둔부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압력값이 기설정된 제2값이상이면, 외부 또는 내부의 알림수단으로 알림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다기능 운동 기구(1)는 둔부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거나, 양무릎간에 불균형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여 바른 자세로 착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기능 운동 기구(1)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10)에 설치되어 다기능 운동 기구의 자세 정보를 검출하는 자이로센서(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80)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10)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70)와 연결되어 검출된 자세 정보를 컨트롤러(70)로 송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70)는 자이로센서(80)를 통해 검출된 자세 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 자세 정보의 비교를 통해 다기능 운동 기구(1)의 자세가 기준 자세인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자이로센서(80)는 프레임(1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프레임(10)의 움직임에 따라 X, Y, Z의 3축 공간 좌표를 생성하여 자세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검출된 자세 정보는 좌표 데이터일 수 있으며, 기준 자세 정보는 다기능 운동 기구(1)가 기준 자세로 배치된 상태와 대응하는 좌표 범위일 수 있다.
다기능 운동 기구(1)의 자세가 기준 자세인 경우, 컨트롤러(70)는 무릎 압력센서(50) 및 둔부 압력센서(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다기능 운동 기구(1)의 자세가 기준 자세가 아닌 경우, 컨트롤러(70)는 무릎 압력센서(50) 및 둔부 압력센서(60)를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자세는 한 쌍의 프레임(10)이 각각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제1만곡변(11)이 지면을 지지하여, 둔부 받침대(20) 및 무릎 받침대(30)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상태로, 의자로 이용 가능한 자세일 수 있다.
즉, 다기능 운동 기구(1)는 의자로 이용 불가한 자세일때에 무릎 압력센서(50) 및 둔부 압력센서(60)를 작동시키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전기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다기능 운동 기구(1)는 지면을 지지하는 변에 따라 의자 또는 운동기구로 사용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11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 기구(1)를 의자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다기능 운동 기구(1)는 제1만곡변(11)이 지면을 지지하고, 둔부 받침대(20) 및 무릎 받침대(30)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상태에서 의자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기능 운동 기구(1)가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둔부 받침대(20)에 둔부를 접촉 지지되게 위치시키고, 한 쌍의 무릎 받침대(30)에 양무릎을 각각 접촉 지지되게 위치시킴으로써, 다기능 운동 기구(1)를 의자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둔부 받침대(20)에 의해 사용자의 요추와 척추 전골이 균형있게 정렬되어 착석 자세 교정이 유도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 기구(1)를 운동 기구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다기능 운동 기구(1)는 제2단변(14)이 지면을 지지하고, 둔부 받침대(20) 및 무릎 받침대(30)가 일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상태에서 운동 기구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기능 운동 기구(1)가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지면에 다리를 뻗고 앉은 상태에서 발바닥을 둔부 받침대(20)에 접촉되게 위치시키며, 허리를 숙이고 양팔을 뻗어 각각 무릎 받침대(30) 위에 올려 둠으로써, 다기능 운동 기구(1)를 운동 기구로 이용할 수 있다.
도 9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 기구(1)를 운동 기구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다기능 운동 기구(1)는 제2만곡변(12)이 지면을 지지하고 둔부 받침대(20) 및 무릎 받침대(30)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상태에서 운동 기구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기능 운동 기구(1)가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한쪽 다리를 접어 발바닥을 어느 하나의 무릎 받침대(30)에 접촉 지지되게 위치시키고, 다른 한쪽 다리를 지면에 접촉 지지되게 위치시키며, 허리를 숙여 손으로 제2단변(14)을 파지함으로써, 다기능 운동 기구(1)를 운동 기구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 기구(1)를 운동 기구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다기능 운동 기구(1)는 제1만곡변(11)이 지면을 지지하고, 둔부 받침대(20) 및 무릎 받침대(30)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상태에서 운동 기구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기능 운동 기구(1)가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둔부 받침대(20)에 한쪽 무릎을 접촉 지지되게 위치시키고, 허리를 숙여 둔부 받침대(20)에 접촉 지지된 무릎과 반대 방향의 손으로 무릎 받침대(30)를 파지하며, 접촉 지지되지 않은 다리와 팔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뻗음으로써, 다기능 운동 기구(1)를 운동 기구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 기구(1)를 운동 기구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다기능 운동 기구(1)는 제1만곡변(11)이 지면을 지지하고, 둔부 받침대(20) 및 무릎 받침대(30)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상태에서 운동 기구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기능 운동 기구(1)가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무릎 받침대(30)에 각각 양무릎을 접촉 지지되게 위치시키고, 발을 상호 인접한 연결바(40) 사이 이격공간에 걸어 위치시키고, 기립함으로써, 다기능 운동 기구(1)를 운동 기구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에 의해 착석 시 자세 교정을 유도하는 의자로 이용되거나 다양한 동작을 취할 수 있는 운동 기구로 이용될 수 있어,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
10 : 프레임
20 : 둔부 받침대
30 : 무릎 받침대
40 : 연결바
10 : 프레임
20 : 둔부 받침대
30 : 무릎 받침대
40 : 연결바
Claims (5)
- 지면에 기립된 상태에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결합되는 둔부 받침대와,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결합되되, 상기 둔부 받침대보다 전측 및 하측에 위치하는 무릎 받침대와,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되, 상기 둔부 받침대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무릎 받침대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이격공간을 두고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은,
모서리가 라운드진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만곡변과, 상기 제1만곡변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경사지게 배치되며, 내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만곡변과, 상기 제1만곡변의 일단과 상기 제2만곡변의 일단을 연결히는 제1단변과, 상기 제1만곡변의 타단과 상기 제2만곡변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2단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변은 상기 제2단변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만곡변의 곡률의 피크는 상기 제2만곡변의 곡률의 피크보다 높고,
중심부에 제1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만곡변과 상기 제2단변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와 인접하게 제2개구가 형성되되, 상기 제1개구 및 상기 제2개구는 모서리가 라운드진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제2개구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 받침대에 사용자의 양무릎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무릎 압력센서와,
상기 둔부 받침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둔부 압력센서와,
상기 무릎 압력센서 및 상기 둔부 압력센서와 연결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어느 하나의 무릎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압력값과 다른 하나의 무릎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압력값의 차에 대한 절대값이 기설정된 제1값 이상이거나, 상기 둔부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압력값이 기설정된 제2값 이상이면, 알림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다기능 운동 기구의 자세 정보를 검출하는 자이로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자이로센서를 통해 검출된 자세 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 자세 정보의 비교를 통해 상기 다기능 운동 기구의 자세가 기준 자세인지 판단하고, 상기 다기능 운동 기구의 자세가 기준 자세인 경우, 상기 무릎 압력센서 및 상기 둔부 압력센서를 작동시키며,
상기 기준 자세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이 각각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되, 상기 둔부 받침대 및 상기 무릎 받침대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30000494U KR200497459Y1 (ko) | 2023-03-14 | 2023-03-14 |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30000494U KR200497459Y1 (ko) | 2023-03-14 | 2023-03-14 |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7459Y1 true KR200497459Y1 (ko) | 2023-12-04 |
Family
ID=8912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30000494U KR200497459Y1 (ko) | 2023-03-14 | 2023-03-14 |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7459Y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28991A (en) * | 1979-03-30 | 1982-05-11 | Mengshoel Hans Chr | Sitting device |
JP2010082165A (ja) * | 2008-09-30 | 2010-04-15 | Brother Ind Ltd | 姿勢判定装置、姿勢判定機能付座席装置 |
JP3160803U (ja) * | 2010-04-26 | 2010-07-08 | ハルカ 中村 | 手摺り付き座禅用座具 |
KR20150049114A (ko) | 2013-10-29 | 2015-05-08 | 김기호 | 책상 일체형 무릎의자 |
KR20220133419A (ko) * | 2021-03-25 | 2022-10-05 | (주)에그코퍼레이션 | 척추 및 자세 교정용 스마트 착석기구 |
-
2023
- 2023-03-14 KR KR2020230000494U patent/KR200497459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28991A (en) * | 1979-03-30 | 1982-05-11 | Mengshoel Hans Chr | Sitting device |
JP2010082165A (ja) * | 2008-09-30 | 2010-04-15 | Brother Ind Ltd | 姿勢判定装置、姿勢判定機能付座席装置 |
JP3160803U (ja) * | 2010-04-26 | 2010-07-08 | ハルカ 中村 | 手摺り付き座禅用座具 |
KR20150049114A (ko) | 2013-10-29 | 2015-05-08 | 김기호 | 책상 일체형 무릎의자 |
KR20220133419A (ko) * | 2021-03-25 | 2022-10-05 | (주)에그코퍼레이션 | 척추 및 자세 교정용 스마트 착석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559358B1 (en) | Lumbar support seat | |
FI81247B (fi) | Stol. | |
US4783121A (en) | Improved chair with convex upper backrest and forward seat surfaces | |
US9700147B2 (en) | Sitting device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 |
KR101091283B1 (ko) | 자세교정용 의자 | |
KR200497459Y1 (ko) | 자세 교정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 기구 | |
CN201403845Y (zh) | 人体工学休闲坐具 | |
GB2433435A (en) | Portable rest | |
KR102472959B1 (ko) | 자세교정용 의자 | |
CN114845600A (zh) | 人体工程学座椅 | |
JP7333899B2 (ja) | 手すり装置 | |
JPH11239526A (ja) | 角度調節できる椅子用クッション | |
TW202110367A (zh) | 適臀墊 | |
JP6112768B2 (ja) | 着座器具 | |
CN220713434U (zh) | 一种可折叠多用途座椅 | |
EP3796813B1 (en) | Sitting furniture | |
KR200496116Y1 (ko) | 다용도 쿠션 | |
JP6910095B2 (ja) | 車両のシートの構造 | |
JP3126599U (ja) | 正座椅子 | |
Noro et al. | Revisiting sitting cross-cultural aspects of seating | |
RU2254044C2 (ru) |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стул | |
CN116982818A (zh) | 一种减少不良坐姿的坐具 | |
JP3654271B2 (ja) | 骨盤調整器 | |
TWM599641U (zh) | 椅背胸薦椎支撐器 | |
KR940004865Y1 (ko) | 체위 교정용 의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