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255Y1 - Decoration candle - Google Patents

Decoration ca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255Y1
KR200497255Y1 KR2020210002559U KR20210002559U KR200497255Y1 KR 200497255 Y1 KR200497255 Y1 KR 200497255Y1 KR 2020210002559 U KR2020210002559 U KR 2020210002559U KR 20210002559 U KR20210002559 U KR 20210002559U KR 200497255 Y1 KR200497255 Y1 KR 200497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e
pillar
block
cand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55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00401U (en
Inventor
박규남
Original Assignee
박규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규남 filed Critical 박규남
Priority to KR20202100025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255Y1/en
Publication of KR202300004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40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255Y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21/002Candle holders for birthday or anniversary cak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초의 상단에 설치되는 장식물의 무게로 인해 케이크 등에 설치된 뒤 초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장식용 초에 관한 것으로, 숫자나 문자 또는 도형으로 형성되는 장식초; 케이크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장식초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장식초가 설치되는 초기둥; 및 케이크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초기둥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초기둥의 중단에 설치되며, 상기 초기둥이 케이크에 삽입됨에 따라 케이크의 상측면에 안착되는 초받침;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ve candle implemented to prevent the candle from tilting after being installed on a cake due to the weight of the decoration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andle. A decorative candle formed of numbers, letters, or shapes; A pillar formed in the vertic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so as to support the decorative candle while inserted into the cake, and on which the decorative candle is installed; And a candle support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initial pillar to support the initial pillar inserted into the cake, and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ke as the initial pillar is inserted into the cake.

Description

장식용 초{DECORATION CANDLE}DECORATION CANDLE

본 고안은 장식용 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의 상단에 설치되는 장식물의 무게로 인해 케이크 등에 설치된 뒤 초가 기울어지거나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장식용 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ve cand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corative candle implemented to prevent the candle from tilting or falling over after being installed on a cake, etc. due to the weight of the decoration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andle.

또한, 본 고안은 장식물의 무게로 인해 케이크 등에 깊에 꽂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장식용 초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ve candle implemented to prevent the candle from sticking deeply into the cake, etc. due to the weight of the decoration.

서양문명이 전례되면서 축하잔치와 생일 및 기념일등에는 케이크를 이용하고 또한 이 케이크에는 초를 꽂아 불빛을 밝혀 축포와 함께 앞날의 발전과 축복을 기원하는 행사를 하고 있다.With the advent of Western civilization, cakes are used for celebratory parties, birthdays and anniversaries, and candles are placed on these cakes to light them up and send congratulatory guns to pray for future development and blessings.

즉, 케이크에 초를 꽂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촛불을 밝히고 기원과 축하인사 및 노래를 불러 축하의 의미를 전달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candles are placed and fixed on the cake, the candles are lit, and wishes, congratulatory greetings, and songs are sung to convey the meaning of congratulations.

일반적으로 초는 심지와 심지를 감싸며 파라핀 왁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초 몸통으로 구성되어 있고, 최근에는 더욱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장식물이 구성된 장식용 초가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생일이나 그 밖의 축하행사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케이크에는 축하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키기 위해 장식물이 구성된 초를 케이크에 꽂은 뒤 촛불을 켜서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In general, a candle consists of a wick and a candle body that surrounds the wick and contains paraffin wax as its main ingredient. Recently, decorative candles with decorations have been used to create a more unique atmosphere, but these days, they are mainly used for birthdays and other celebratory events. To further heighten the celebratory atmosphere, the cake is decorated with candles and then lit to create a unique atmosphere.

하지만, 종래의 장식용 초의 경우 초의 상단에 설치되는 장식물의 무게로 인해 케이크 등에 설치된 뒤 초가 기울어질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장식물의 무게로 인해 케이크에 지나치게 깊게 꽂히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decorative candles have the disadvantage that the candle may tilt after being installed on a cake due to the weight of the decoration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andl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andle may be inserted too deeply into the cake due to the weight of the decoration.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고안자가 본 고안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고안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고안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Meanwhile,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designer possessed for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applic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4244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42442

본 고안의 일측면은 초의 상단에 설치되는 장식물의 무게로 인해 케이크 등에 설치된 뒤 초가 기울어지는 것을 초기둥에 설치되는 초받침을 이용하여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장식용 초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corative candle that is designed to prevent the candle from tilting after being installed on a cake due to the weight of the decoration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andle by using a candle holder installed on the candle pillar.

또한, 본 고안은 장식물의 무게로 인해 케이크 등에 지나치게 깊게 꽂히는 것을 초기둥에 설치되는 초받침을 이용하여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장식용 초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corative candle that is implemented to prevent the candle from being inserted too deeply into the cake, etc. due to the weight of the decoration, by using a candle holder installed on the candle pillar.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초는, 숫자나 문자 또는 도형으로 형성되는 장식초; 케이크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장식초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장식초가 설치되는 초기둥; 및 케이크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초기둥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초기둥의 중단에 설치되며, 상기 초기둥이 케이크에 삽입됨에 따라 케이크의 상측면에 안착되는 초받침;을 포함한다.A decorative c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corative candle formed of numbers, letters, or shapes; A pillar formed in the vertic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so as to support the decorative candle while inserted into the cake, and on which the decorative candle is installed; and a candle support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initial pillar to support the initial pillar inserted into the cake, and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ke as the initial pillar is inserted into the cak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초기둥은, 케이크에 삽입되기 위한 하부 기둥; 상기 하부 기둥의 상단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장식초가 설치되는 상부 기둥; 및 케이크에 삽입된 상기 하부 기둥이 상기 케이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기둥의 외측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나선형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itial pillar includes a lower pillar for insertion into the cake; an upper pillar extending upward from the top of the lower pillar, and on which the decorative candle is installed; and a spiral screw formed to exten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outside of the lower pillar to prevent the lower pillar inserted into the cak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ak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초받침은, 상기 하부 기둥과 상기 상부 기둥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ndle pedestal may be installed at a location where the lower pillar and the upper pillar face each oth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초받침은, "U"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부 기둥과 상기 상부 기둥이 대향하는 연결 부위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받침 돌기; 및 "U"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부 기둥과 상기 상부 기둥이 대향하는 연결 부위의 타측에 상기 제1 받침 돌기와 대향하면서 설치되는 제2 받침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ndle support includes a first support protrusion that is bent roundly downward in a "U" shape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a connecting portion where the lower pillar and the upper pillar face each other; and a second support protrusion that is bent roundly downward in a “U” shape and is installed while opposing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where the lower pillar and the upper pillar face each oth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받침 돌기와 상기 제2 받침 돌기는, 전후 폭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하부 기둥 또는 상기 상부 기둥의 지름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and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may have front-to-back widths thick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 pillar or the upper pillar, which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초받침은, "W"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부 기둥과 상기 상부 기둥이 대향하는 연결 부위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 받침 돌기; 및 "W"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부 기둥과 상기 상부 기둥이 대향하는 연결 부위의 타측에 상기 제3 받침 돌기와 대향하면서 설치되는 제4 받침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upport includes a third support protrusion that is bent in a “W” shape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a connecting portion where the lower pillar and the upper pillar face each other; and a fourth support protrusion that is bent in a “W” shape and is installed while opposing the third support protrusion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where the lower pillar and the upper pillar face each oth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기둥은, 상기 장식초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장식초가 타들어 감에 따라 상기 장식초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뒤, 전달받은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 유닛; 상기 열전달 유닛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열전달 유닛으로부터 열을 전달 받는 구동 유닛; 및 상기 구동 유닛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상기 장식초에 의한 불꽃이 상측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승 기류를 발생시켜 주는 회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pper pillar includes a heat transfer unit installed inside the decorative candle, receiving heat from the decorative candle as the decorative candle burns, and then transferring the received heat; a driving unit installed below the heat transfer unit to receive heat from the heat transfer unit; and a rotation unit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drive unit and rotated by the drive unit to generate an upward airflow so that the flame caused by the decorative candle can be guided upward.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유닛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열전달 유닛의 하측에 설치되는 상부 블록; 상기 회전 유닛의 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회전 유닛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블록과 상기 하부 기둥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설치 바아; 상기 상부 블록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상부 블록의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안착 하우징; 및 상기 안착 하우징의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차례로 적층 설치되는 회전 유도 발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riving unit includes an upper block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nstalled below the heat transfer unit; an installation bar that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rotation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rotation unit can be connected and installed to be rotatable, extending between the upper block and the lower column; a seating housing that is recessed from the bottom of the upper block upward while forming an opening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lock; It may include; and at least one rotation-induced firing unit is sequentially installed in a stacked direction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seating hous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유도 발사부는, 상기 열전달 유닛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열전달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전달시키는 열전달 프레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열전달 프레임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안착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배치되며, 상기 열전달 프레임으로부터 열이 전달됨에 따라 타단이 점진적으로 절곡되어 상기 안착 하우징 밖으로 이동되는 바이메탈 스위치; 일단이 상기 안착 하우징의 일측 내측벽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의 타단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안착 하우징을 가로 질러 설치되며,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의 타단이 절곡됨에 따라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에 의해 지지되고 있던 타단이 하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안착 하우징을 개방시켜 주는 거치 프레임; 상기 거치 프레임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거치 프레임이 회동되어 상기 안착 하우징이 개방됨에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중량 구체; 및 압축된 상태로 상기 중량 구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량 구체의 하강 속도를 증가시켜 주는 구체 발사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tation-induced firing unit includes a heat transfer frame extending from the heat transfer unit and transferring heat transferred from the heat transfer unit; It is form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heat transfer frame,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and disposed inside the seating housing. As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heat transfer frame, the other end is gradually bent to move out of the seating housing. a moving bimetal switch;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inner wall of the seating housing,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other end of the bimetal switch and installed across the seating housing. As the other end of the bimetal switch is bent, the bimetal switch a supporting frame that opens the seating housing by rotating the supported other end downward; a weight sphere that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frame and moves downward as the mounting frame is rotated and the seating housing is opened; and a sphere firing spring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weight sphere in a compressed state to increase the descending speed of the weight spher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상부 블록의 하측에 밀착되어 배치되는 하부 블록; 상기 안착 하우징의 하측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하부 블록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안착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중량 구체를 내부 공간으로 수용시키는 동시에 상기 중량 구체에 의한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블록의 회전을 유도시켜 주는 두 개의 회전 유도 수용부; 상기 하부 블록의 상부에서 상기 두 개의 회전 유도 수용부와 교차되지 아니하면서 연결 설치되는 두 개의 회전 유도 구체부; 내측에 상기 설치 바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블록의 하측에 설치되는 회전 파이프; 및 상기 회전 파이프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승 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류 발생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tation unit includes a lower block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lock; It is formed on one upper side and the other upper side of the lower block opposite to the lower opening of the seating housing, and accommodates the weight sphere discharged from the seating housing into the internal space while at the same time generating force generated by impact by the weight sphere. Two rotation induction receptors that induce rotation of the lower block using; Two rotation inducing sphere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lock and connected to them without intersecting the two rotation inducing receptors; a rotating pipe formed in a circular pipe shape and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block so that the installation bar can be inserted inside; and an airflow generating screw that extends in a spiral dir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ry pipe so as to form an upward airflow while rotating as the rotary pipe rotat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유도 구체부는,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하부 블록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구체 안착홈; 상부가 상기 구체 안착홈의 상측으로 노출되면서 상기 구체 안착홈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구체; 상기 구체의 하측을 지지하는 구체 받침대; 상기 구체 안착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체 받침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구체 지지 스프링; 및 상기 구체 받침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체 받침대를 지지하는 받침대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tation inducing sphere portion includes a sphere seating groove that is recess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lower block while forming an opening upward; A sphere whose upper part is exposed above the sphere seating groove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phere seating groove; a sphere support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sphere; a sphere support spring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phere seating groove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sphere pedestal; and a pedestal support installed below the spherical pedestal to support the spherical pedest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블록은, 하측면에 상기 구체가 안착되기 위한 제1 블록 하부홈과 제2 블록 하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블록 하부홈과 상기 제2 블록 하부홈 사이에 상기 구체가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의 테두리를 따라 제1 구체 이동홈과 제2 구체 이동홈이 링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pper block is formed with a first block lower groove and a second block lower groove for seating the sphere on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block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lock lower groove and the second block lower groove. A first sphere movement groove and a second sphere movement groove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ring shape along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 sphere can move while rotat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구체 이동홈은, 상기 제1 블록 하부홈으로부터 상기 제2 블록 하부홈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pherical moving groove may form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heigh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first block lower groove to the second block lower groo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구체 이동홈은, 상기 제2 블록 하부홈으로부터 상기 제1 블록 하부홈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pherical moving groove may form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heigh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second block lower groove to the first block lower groo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유도 수용부는, 상측 개구부가 상기 하부 블록의 상부에서 상기 안착 하우징의 하측 개구부와 대향하며 형성되며, 상기 하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는 수용 하우징; 상기 수용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용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는 상기 중량 구체가 타격될 수 있도록 경사 방향으로 배치되되, 하측이 상기 수용 하우징의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구체 받침 플레이트; 상기 구체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 및 상기 구체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체 받침 플레이트가 상기 중량 구체에 의해 타격되어 회동됨에 따라 하강되면서 상기 받침대 지지대를 함께 하강시켜 주는 지지대 하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tation induction receiving part includes an accommodating housing installed inside the lower block, wherein an upper opening i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lock to face the lower opening of the seating housing; A sphere support plate disposed in an inclined direction so that the weight spher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through the opening of the housing can be struck, the lower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 plate support spring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spherical support plate; and a support lowering frame that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pherical support plate and lowers the pedestal support as the spherical support plate is struck and rotated by the weight sphere.

상술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초의 상단에 설치되는 장식물의 무게로 인해 케이크 등에 설치된 뒤 초가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andle from tilting or falling after being installed on a cake, etc. due to the weight of the decoration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andle.

이로 인해, 본 고안은 초가 기울어지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케이크에 초가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Because of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andle from touching the cake by preventing the candle from tilting or falling.

또한, 본 고안은 장식물의 무게로 인해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초가 케이크의 표면에 지나치게 깊게 꽂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design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candle from sticking too deeply into the surface of the cake, contrary to the user's intention, due to the weight of the decoration.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range tha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초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초의 장착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초기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초받침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초받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상부 기둥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구동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회전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ecorative c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ample of mounting a decorative c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initial pillar of Figure 1.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candle rest of Figure 1.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andle rest of Figure 1.
FIG. 6 is a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upper pillar of FIG. 3.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driving unit of FIG. 6.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rotation unit of Figure 6.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Fo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refer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as examples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ne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together with all equivalents to what those claims assert, if properly described. Similar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refer to identical or similar functions across various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초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ecorative c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초(10)는, 장식초(100), 초기둥(200) 및 초받침(3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a decorative cand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corative candle 100, a candle pillar 200, and a candle base 300.

장식초(100)는, 초의 제작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재료인 파라핀 등에 다양한 색소 또는 향기 등을 추가하여 제조된 숫자나 문자 또는 도형(예를 들어,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꽃 모양 등)으로 형성하며, 상부에 심지(110)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초기둥(200)의 상부에 설치된다.The decorative candle 100 is formed by adding various pigments or scents to paraffin, a common material used in candle production, such as numbers, letters, or figures (for example, flower shapes as shown in Figure 1). It is installed so that the wick 110 is exposed at the top, and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initial pillar 200.

초기둥(200)은, 케이크(C)에 삽입된 상태로 장식초(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장식초(100)가 설치된다.The initial pillar 200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support the decorative candle 100 while inserted into the cake (C), and the decorative candle 100 is installed on the top.

일 실시예에서, 초기둥(200)의 두께(L8)는, 2.4cm 내지 2.8cm, 보다 바람직하게는 2.6cm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In one embodiment, the thickness L8 of the initial pillar 200 may be preferably set to 2.4 cm to 2.8 cm, more preferably 2.6 cm.

초받침(300)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케이크(C)에 삽입된 상태의 초기둥(2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초기둥(200)의 중단에 설치되며, 초기둥(200)이 케이크(C)에 삽입됨에 따라 케이크(C)의 상측면에 안착된다.The candle support 300 is installed at the middle of the initial pillar 200 to support the initial pillar 200 inserted into the cake C, as illustrated in FIG. 2, and the initial pillar 200 is attached to the cake C. As it is inserted into (C), it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ke (C).

일 일시예에서, 초받침(300)의 두께(L9)는, 초기둥(200)의 두께보다 두꺼운 5.8cm 내지 6.2cm, 보다 바람직하게는 6.0cm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In one embodiment, the thickness L9 of the candle base 300 is preferably 5.8 cm to 6.2 cm, more preferably 6.0 cm, which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initial pillar 200.

이때, 초받침(300)의 하단과 초기둥(200)의 하단부 또는 전단부까지의 연장선의 각도(?3)가 83도 각도로 형성될 것이다.At this time, the angle (?3) of the extension lin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andle base 300 and the lower end or front end of the initial pillar 200 will be formed at an angle of 83 degrees.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초(10)는, 초받침(300)를 이용하여 초의 상단에 설치되는 장식물의 무게로 인해 케이크 등에 설치된 뒤 초가 기울어지거나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ecorative cand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uses a candle holder 300 to prevent the candle from tilting or falling after being installed on a cake, etc. due to the weight of the decoration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andle. can do.

도 3은 도 1의 초기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initial pillar of Figure 1.

도 3을 참조하면, 초기둥(200)은, 하부 기둥(210), 상부 기둥(220) 및 나선형 스크류(2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initial pillar 200 includes a lower pillar 210, an upper pillar 220, and a spiral screw 230.

하부 기둥(210)은, 케이크(C) 등의 식품에 삽입되며, 상측으로부터 상부 기둥(220)이 연장 형성되며, 외측을 따라 나선형 스크류(230)이 연장 형성된다.The lower pillar 210 is inserted into a food such as a cake (C), and the upper pillar 220 extends from the upper side, and a spiral screw 230 extends along the outer side.

일 실시예에서, 하부 기둥(210)의 길이(L3)는, 27.8cm 내지 28.2cm, 보다 바람직하게는 28.0cm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도 1 참조).In one embodiment, the length L3 of the lower pillar 210 may be preferably set to 27.8 cm to 28.2 cm, more preferably 28.0 cm (see FIG. 1).

상부 기둥(220)은, 하부 기둥(210)의 상단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장식초(100)가 설치된다.The upper pillar 220 extends upward from the top of the lower pillar 210, and a decorative candle 10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일 실시예에서, 상부 기둥(220)의 길이(L2)는, 17.0cm 내지 17.4cm, 보다 바람직하게는 17.2cm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도 1 참조).In one embodiment, the length L2 of the upper pillar 220 may be preferably set to 17.0 cm to 17.4 cm, more preferably 17.2 cm (see FIG. 1).

즉, 초기둥(200)이 전체 길이(L1)는, 44.8cm 내지 45.6cm, 보다 바람직하게는 45.2cm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도 1 참조).In other words,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initial pillar 200 to have a total length (L1) of 44.8 cm to 45.6 cm, more preferably 45.2 cm (see FIG. 1).

일 실시예에서, 초받침(300)은, 하부 기둥(210)과 상부 기둥(220)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ndle stand 300 may be installed at a location where the lower pillar 210 and the upper pillar 220 face each other.

나선형 스크류(230)는, 케이크(C)에 삽입된 하부 기둥(210)이 케이크(C)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 기둥(210)의 외측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spiral screw 230 is formed to exten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outside of the lower pillar 210 to prevent the lower pillar 210 inserted into the cake (C)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ake (C).

일 실시예에서, 나선형 스크류(230)는, 하부 기둥의 상측 6cm(L4)과 하측 6cm(L7)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도 1 참조).In one embodiment, the spiral screw 230 may be formed in a portion excluding the upper 6 cm (L4) and lower 6 cm (L7) of the lower pillar (see FIG. 1).

일 실시예에서, 나선형 스크류(230)는, 나사산 간의 간격(L5)이 3.2cm 내지 3.6cm, 보다 바람직하게는 3.4cm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도 1 참조).In one embodiment, the helical screw 230 may preferably have a spacing L5 between threads of 3.2 cm to 3.6 cm, more preferably 3.4 cm (see FIG. 1).

일 실시예에서, 나선형 스크류(230)는, 나사산의 두께(L6)가 0.9cm 내지 1.3cm, 보다 바람직하게는 1.1cm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도 1 참조).In one embodiment, the helical screw 230 may preferably have a thread thickness L6 of 0.9 cm to 1.3 cm, more preferably 1.1 cm (see FIG. 1).

일 실시예에서, 나선형 스크류(230)는, 나사산의 경사각(?1, ?2)이 70도 각도 또는 110도 각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도 1 참조).In one embodiment, the helical screw 230 may preferably have the inclination angles (?1, -2) of the screw threads formed at an angle of 70 degrees or an angle of 110 degrees (see FIG. 1).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초기둥(200)은, 초의 상단에 설치되는 장식물의 무게로 인해 케이크 등에 설치된 뒤 초가 기울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candle pillar 2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effectively prevent the candle from tilting after being installed on a cake, etc. due to the weight of the decoration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andle.

도 4는 도 1의 초받침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candle rest of Figure 1.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초받침(300a)은, 제1 받침 돌기(310) 및 제2 받침 돌기(3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candle holder 300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first holder protrusion 310 and a second holder protrusion 320.

제1 받침 돌기(310)는, “U”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하부 기둥(210)과 상부 기둥(220)이 대향하는 연결 부위의 일측에 제2 받침 돌기(320)와 대향하면서 설치되어 초기둥(200)이 케이크(C)에 삽입됨에 따라 케이크(C)의 상측면에 안착된다.The first support protrusion 310 is bent roundly downward in a “U” shape and is installed while facing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320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where the lower pillar 210 and the upper pillar 220 face each other. As the initial pillar 200 is inserted into the cake (C), it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ke (C).

제2 받침 돌기(320)는, “U”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하부 기둥(210)과 상부 기둥(220)이 대향하는 연결 부위의 타측에 제1 받침 돌기(310)와 대향하면서 설치되어 초기둥(200)이 케이크(C)에 삽입됨에 따라 케이크(C)의 상측면에 안착된다.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320 is bent roundly downward in a “U” shape and is installed while facing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310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where the lower pillar 210 and the upper pillar 220 face each other. As the initial pillar 200 is inserted into the cake (C), it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ke (C).

일 실시예에서, 제1 받침 돌기(310)와 제2 받침 돌기(320)는, 전후 폭(L9)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 기둥(210) 또는 상부 기둥(220)의 지름(L8)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도 1참조).In one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310 and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320 have a front-to-back width L9 greater than the diameter L8 of the lower pillar 210 or the upper pillar 220, which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t can be formed thickly (see Figure 1).

도 5는 도 1의 초받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andle rest of Figure 1.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받침(300)은, 제3 받침 돌기(330) 및 제4 받침 돌기(3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candle holder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third holder protrusion 330 and a fourth holder protrusion 340.

제3 받침 돌기(330)는, “W”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하부 기둥(210)과 상부 기둥(220)이 대향하는 연결 부위의 일측에 제4 받침 돌기(340)와 대향하면서 설치되어 설치되어 초기둥(200)이 케이크(C)에 삽입됨에 따라 케이크(C)의 상측면에 안착된다.The third support protrusion 330 is bent in a “W” shape and is installed opposite the fourth support protrusion 340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where the lower pillar 210 and the upper pillar 220 face each other. As the initial column 200 is inserted into the cake (C), it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ke (C).

제4 받침 돌기(340)는, “W”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하부 기둥(210)과 상부 기둥(220)이 대향하는 연결 부위의 타측에 제3 받침 돌기(330)와 대향하면서 설치되어 초기둥(200)이 케이크(C)에 삽입됨에 따라 케이크(C)의 상측면에 안착된다.The fourth support protrusion 340 is bent in a “W” shape and installed opposite the third support protrusion 330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where the lower pillar 210 and the upper pillar 220 face each other. As (200) is inserted into the cake (C), it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ke (C).

일 실시예에서, 제3 받침 돌기(330)와 제4 받침 돌기(340)는, 전후 폭(L9)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 기둥(210) 또는 상부 기둥(220)의 지름(L8)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도 1참조).In one embodiment, the third support protrusion 330 and the fourth support protrusion 340 have a front-to-back width L9 greater than the diameter L8 of the lower pillar 210 or the upper pillar 220, which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t can be formed thickly (see Figure 1).

도 6은 도 3의 상부 기둥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upper pillar of FIG. 3.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둥(400)은, 열전달 유닛(410), 구동 유닛(420) 및 회전 유닛(430)을 보여주는 도면이다.Referring to FIG. 6, the upper pillar 4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a diagram showing a heat transfer unit 410, a drive unit 420, and a rotation unit 430.

열전달 유닛(410)은, 구리 등과 같이 열전도성이 높은 물질로 제작되며, 장식초(100)의 내측에 설치되며, 장식초(100)가 타들어 감에 따라 장식초(100)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뒤, 전달받은 열을 구동 유닛(420)으로 전달한다.The heat transfer unit 410 is made of a highly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pper, is installed inside the decorative candle 100, and transfers heat from the decorative candle 100 as the decorative candle 100 burns. After receiving, the received heat is transferred to the driving unit 420.

구동 유닛(420)은, 열전달 유닛(4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열전달 유닛(410)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회전 유닛(430)을 회전 구동시켜 준다.The drive unit 420 is installed below the heat transfer unit 410 and receives heat from the heat transfer unit 410 to rotate the rotation unit 430.

회전 유닛(430)은, 구동 유닛(4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구동 유닛(420)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장식초(100)에 의한 불꽃이 상측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승 기류를 발생시켜 준다.The rotation unit 43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drive unit 420 and is rotationally driven by the drive unit 420 to create an upward airflow so that the flame caused by the decorative candle 100 can be guided upward. It generates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둥(400)은, 상승 기류를 형성시켜 줌으로써, 장식초(100)가 타들어 감에 따라 발생되는 불꽃뿐만 아니라 그을음 등을 상측 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초가 안정적으로 발화되도록 유도함은 물론, 그을음 등에 의해 케이크(C) 등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upper pillar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forms an upward air current, thereby guiding not only the flame but also the soot generated as the decorative candle 100 burns upward. , It not only induces the candle to ignite stably, but also prevents the cake (C), etc. from being contaminated by soot, etc.

도 7은 도 6의 구동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driving unit of FIG. 6.

도 7의 (a)를 참조하면, 구동 유닛(420)은, 상부 블록(421), 설치 바아(422), 안착 하우징(423)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유도 발사부(424-1 내지 424-3)를 보여주는 도면이다.Referring to (a) of FIG. 7, the drive unit 420 includes an upper block 421, an installation bar 422, a seating housing 423, and at least one rotation-induced firing unit 424-1 to 424-3. This is a drawing showing ).

상부 블록(421)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열전달 유닛(410)의 하측에 설치되며, 내측을 따라 안착 하우징(423)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유도 발사부(424-1 내지 424-3)가 설치되며, 하측에 설치 바아(422)가 설치된다.The upper block 42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heat transfer unit 410, and a seating housing 423 and at least one rotation induction firing unit 424-1 to 424-3 are installed along the inside. And an installation bar 422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설치 바아(422)는, 회전 유닛(430)의 중심(431a)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삽입되어 회전 유닛(430)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블록(421)과 하부 기둥(210) 사이에 연장 형성된다.The installation bar 422 is inserted through the center 431a of the rotation unit 43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rotation unit 430 can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block 421. It is formed extending between the lower pillars 210.

안착 하우징(423)은, 상부 블록(421)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부 블록(421)의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유도 발사부(424-1 내지 424-3)가 차례로 설치된다.The seating housing 423 is recessed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lock 421 while forming an opening at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lock 421, and at least one rotation-inducing launcher 424-1 is form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internal space. to 424-3) are installed in order.

회전 유도 발사부(424-1 내지 424-3)는, 안착 하우징(423)의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차례로 적층 설치된다.At least one of the rotation-induced firing units 424-1 to 424-3 is sequentially stacked in the direction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seating housing 423.

이때, 회전 유도 발사부(424-1 내지 424-3)는, 각각의 바이메탈 스위치(4242)의 길이 또는 설치 위치 등을 달리 구성함으로써, 하측에 배치되는 회전 유도 발사부(424-1)로부터 상측에 배치되는 회전 유도 발사부(424-3)가 순서대로 구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rotation-induced firing units 424-1 to 424-3 are configured to vary the length or installation position of each bimetal switch 4242, so that the rotation-induced firing units 424-1 disposed on the lower side ar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It would be desirable to ensure that the rotation induction launcher 424-3 disposed in is driven in sequence.

도 7의 (b)를 참조하면, 회전 유도 발사부(424)는, 열전달 프레임(4241), 바이메탈 스위치(4242), 거치 프레임(4243), 중량 구체(4244) 및 구체 발사 스프링(4245)을 포함한다.Referring to (b) of FIG. 7, the rotation induction launcher 424 includes a heat transfer frame 4241, a bimetal switch 4242, a mounting frame 4243, a weight sphere 4244, and a sphere launch spring 4245. Includes.

열전달 프레임(4241)은, 구리 등과 같이 열전도성이 높은 물질로 제작되며, 열전달 유닛(41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열전달 유닛(410)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바이메탈 스위치(4242)로 전달시킨다.The heat transfer frame 4241 is made of a highly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pper, and extends from the heat transfer unit 410 to transfer heat transferred from the heat transfer unit 410 to the bimetal switch 4242.

바이메탈 스위치(4242)는, 두 종류의 얇고, 좁고, 긴 금속판을 긴 면을 포개어 맞붙여서 하나의 막대 형태로 만든 바이메탈(Bi-Metal) 물질로서, 평소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단이 열전달 프레임(4241)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타단이 안착 하우징(423)의 내측으로 삽입 배치되어 거치 프레임(4243)을 지지하고, 열전달 프레임(4241)으로부터 열이 전달됨에 따라 타단이 점진적으로 절곡되어 안착 하우징(423) 밖으로 이동되어 거치 프레임(4243)이 회동되도록 한다.The bimetal switch (4242) is a bimetal material made by combining two types of thin, narrow, long metal plates with their long sides overlapping to form a single bar. It is usually form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one end is a heat transfer frame. It is connected to the end of (4241)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housing 423 to support the mounting frame 4243, and as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heat transfer frame 4241, the other end is gradually bent to form the seating housing. (423) is moved out so that the mounting frame 4243 is rotated.

거치 프레임(4243)은, 일단이 안착 하우징(423)의 일측 내측벽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바이메탈 스위치(4242)의 타단에 의해 지지되어 안착 하우징(423)을 가로 질러 설치되며, 바이메탈 스위치(4242)의 타단이 절곡됨에 따라 바이메탈 스위치(4242)에 의해 지지되고 있던 타단이 하측으로 회동되면서 안착 하우징(423)을 개방시켜 중량 구체(4244)가 낙하되도록 한다.The mounting frame 4243 has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one inner wall of the seating housing 423 and the other end supported by the other end of the bimetal switch 4242 and installed across the seating housing 423. As the other end of the switch 4242 is bent, the other end supported by the bimetal switch 4242 rotates downward, opening the seating housing 423 and allowing the weight sphere 4244 to fall.

일 실시예에서, 안착 하우징(423)은, 내부 공간을 개방시켜 주는 거치 프레임(4243)이 안착될 수 있도록 거치 프레임(4243)의 형상에 대응하는 안착홈(4242a)이 벽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seating groove 4242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ounting frame 4243 may be formed on the wall of the seating housing 423 so that the mounting frame 4243, which opens the internal space, can be seated. .

중량 구체(4244)는, 철 등과 같은 중량이 큰 재질로 제작되며, 거치 프레임(4243)의 상측에서 구체 발사 스프링(4245)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안착되며, 거치 프레임(4243)이 회동되어 안착 하우징(423)이 개방됨에 따라 하측 방향으로 자중에 의해 그리고 구체 발사 스프링(4245)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 이동되어 후술하는 회전 유도 수용부(432-1, 432-2)로 투입된다.The heavy sphere 4244 is made of a material with a large weight, such as iron, and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frame 4243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ball launching spring 4245, and the mounting frame 4243 is rotated and seated. As the housing 423 is opened, it moves downward by its own weight an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ball launch spring 4245 and is input into the rotation induction receptors 432-1 and 432-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구체 발사 스프링(4245)은, 압축된 상태로 중량 구체(4244)의 상측에 설치되어 중량 구체(4244)의 하강 속도를 증가시켜 준다.The sphere launch spring 4245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weight sphere 4244 in a compressed state to increase the descending speed of the weight sphere 4244.

도 8은 도 6의 회전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rotation unit of Figure 6.

도 8의 (a) 및 (b)를 참조하면, 회전 유닛(430)은, 하부 블록(431), 두 개의 회전 유도 수용부(432-1, 432-2), 두 개의 회전 유도 구체부(433-1, 433-2), 회전 파이프(434) 및 기류 발생 스크류(43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a) and (b) of FIG. 8, the rotation unit 430 includes a lower block 431, two rotation induction receptors 432-1 and 432-2, and two rotation induction spheres ( 433-1, 433-2), a rotating pipe 434, and an airflow generating screw 435.

하부 블록(431)은, 상부 블록(421)의 하측에 밀착되어 배치되며, 내측에 두 개의 회전 유도 수용부(432-1, 432-2) 두 개의 회전 유도 구체부(433-1, 433-2) 등의 구성들이 설치되고, 하측에 회전 파이프(434)가 설치되며, 중심을 따라 설치 바아(422)이 관통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431a)이 형성된다.The lower block 431 is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lock 421, and has two rotation inducing receptors 432-1 and 432-2 and two rotation inducing spheres 433-1 and 433- on the inside. 2) The following components are installed, a rotating pipe 434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and a through hole 431a for inserting the installation bar 422 is formed along the center.

회전 유도 수용부(432-1, 432-2)는, 안착 하우징(423)의 하측 개구부와 대향하는 하부 블록(431)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형성되며, 안착 하우징(423)으로부터 배출되는 중량 구체(4244)를 내부 공간으로 수용시키는 동시에 중량 구체(4244)에 의한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이용하여 하부 블록(431)의 회전을 유도시켜 준다.The rotation induction receptors 432-1 and 432-2 are formed on one upper side and the other upper side of the lower block 431 opposite to the lower opening of the seating housing 423, respectively, and discharged from the seating housing 423. The weight sphere 4244 i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and at the same time, the force generated by the impact of the weight sphere 4244 is used to induce rotation of the lower block 431.

즉, 회전 유도 수용부(432-1, 432-2)는, 중량 구체(4244)가 삽입됨에 따라 180도 각도씩 회전하면서 차례로 중량 구체(4244)가 삽입되도록 한다.That is, the rotation induction receptors 432-1 and 432-2 rotate at an angle of 180 degrees as the weight spheres 4244 are inserted and allow the weight spheres 4244 to be inserted one after another.

회전 유도 구체부(433-1, 433-2)는, 하부 블록(431)의 상부에서 두 개의 회전 유도 수용부(432-1, 432-2)와 교차되지 아니하면서 연결 설치된다.The rotation inducing spheres 433-1 and 433-2 are installed connected to the two rotation inducing receptors 432-1 and 432-2 at the top of the lower block 431 without intersecting them.

회전 파이프(434)는, 내측(434a)에 설치 바아(4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블록(431)의 하측에 설치되며, 외측을 따라 기류 발생 스크류(435)가 연장 형성된다.The rotating pipe 434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ipe so that the installation bar 422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434a and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block 431, and an airflow generating screw 435 extends along the outside. is formed

기류 발생 스크류(435)는, 회전 파이프(434)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승 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회전 파이프(434)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airflow generating screw 435 is formed to extend in a spiral dir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ry pipe 434 so as to form an upward airflow while rotating as the rotary pipe 434 rotates.

도 8의 (c)를 참조하면, 회전 유도 구체부(433)는, 구체(4331), 구체 받침대(4332), 구체 지지 스프링(4333), 받침대 지지대(4334) 및 구체 안착홈(4335)을 포함한다.Referring to (c) of FIG. 8, the rotation inducing sphere part 433 includes a sphere 4331, a sphere pedestal 4332, a sphere support spring 4333, a pedestal support 4334, and a sphere seating groove 4335. Includes.

구체 안착홈(4335)은,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하부 블록(431)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측으로부터 구체(4331), 구체 받침대(4332), 구체 지지 스프링(4333), 및 받침대 지지대(4334)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The sphere seating groove 4335 is recess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lower block 431 while forming an opening upward, and includes a sphere 4331, a sphere support 4332, a sphere support spring 4333, and Components such as a pedestal support 4334 are installed.

구체(4331)는, 후술하는 제1 블록 하부홈(421a) 또는 제2 블록 하부홈(421b)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구체 안착홈(4335)의 상측으로 노출되면서 구체 안착홈(4335)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구체 받침대(4332)에 의해 지지된다.The sphere 4331 has its upper part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sphere seating groove 4335 so that it can be seated in the first block lower groove 421a or the second block lower groove 421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installed rotatably at the top and is supported by a spherical support 4332.

일 실시예에서, 구체(4331)는, 제1 블록 하부홈(421a) 또는 제2 블록 하부홈(421b)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 유도 수용부(432)의 구동에 따라 제1 블록 하부홈(421a) 또는 제2 블록 하부홈(421b)으로부터 제1 구체 이동홈(R1) 또는 제2 구체 이동홈(R2)으로 이동된 후 제1 구체 이동홈(R1) 또는 제2 구체 이동홈(R2)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In one embodiment, the sphere 4331 is seated in the first block lower groove 421a or the second block lower groove 421b, and is moved to the first block lower groov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rotation induction receptor 432. After moving from (421a) or the second block lower groove (421b) to the first sphere movement groove (R1) or the second sphere movement groove (R2), the first sphere movement groove (R1) or the second sphere movement groove (R2) ) and moves along the rotation.

구체 받침대(4332)는, 구체(4331)의 하측을 지지하며, 구체 지지 스프링(4333)에 의해 지지된다.The sphere support 4332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sphere 4331 and is supported by the sphere support spring 4333.

구체 지지 스프링(4333)은, 구체 안착홈(4335)의 하측에 설치되어 구체 받침대(4332)의 하측을 지지한다.The sphere support spring 4333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phere seating groove 4335 and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sphere support 4332.

받침대 지지대(4334)는, 구체 받침대(4332)의 하측에 설치되어 구체 받침대(4332)를 지지한다.The pedestal support 4334 is installed below the spherical pedestal 4332 and supports the spherical pedestal 4332.

일 실시예에서, 상부 블록(421)은, 하측면에 구체(4331)가 안착되기 위한 제1 블록 하부홈(421a)과 제2 블록 하부홈(421b)이 형성되며, 제1 블록 하부홈(421a)과 제2 블록 하부홈(421b) 사이에 구체(4331)가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의 테두리를 따라 제1 구체 이동홈(R1)과 제2 구체 이동홈(R2)이 링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pper block 421 is formed with a first block lower groove 421a and a second block lower groove 421b for seating the sphere 4331 on the lower side, and a first block lower groove ( The first sphere movement groove (R1) and the second sphere movement groove (R2) extend in a ring shape along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 sphere 4331 can rotate and move between 421a) and the second block lower groove (421b). can be formed.

일 실시예에서, 제1 구체 이동홈(R1)은, 구체 지지 스프링(4333)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구체(4331)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블록 하부홈(421a)으로부터 제2 블록 하부홈(421b)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phere movement groove (R1) is moved from the first block lower groove (421a) to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block so that the sphere (4331) can move along the inclined plane by the elastic force caused by the sphere support spring (4333). An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so that the height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groove 421b.

일 실시예에서, 제2 구체 이동홈(R2)은, 구체 지지 스프링(4333)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구체(4331)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블록 하부홈(421b)으로부터 제1 블록 하부홈(421a)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phere movement groove (R2) moves from the second block lower groove (421b)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lock so that the sphere (4331) can move along the inclined plane by the elastic force generated by the sphere support spring (4333). An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so that the height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groove 421a.

도 8의 (d)를 참조하면, 회전 유도 수용부(432)는, 수용 하우징(4321), 구체 받침 플레이트(4322),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4323) 및 지지대 하강 프레임(4324)을 포함한다.Referring to (d) of FIG. 8, the rotation induction receiving part 432 includes a receiving housing 4321, a spherical support plate 4322, a plate support spring 4323, and a support lowering frame 4324.

수용 하우징(4321)은, 중량 구체(4244)가 내부 공간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상측 개구부가 하부 블록(431)의 상부에서 안착 하우징(423)의 하측 개구부와 대향하며 형성되며, 하부 블록(431)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4323) 및 지지대 하강 프레임(4324)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The receiving housing 4321 has an upper opening facing the lower opening of the seating housing 423 at the top of the lower block 431 so that the weight sphere 4244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and the lower block 431 It is installed on the inside, and components such as a plate support spring 4323 and a support lowering frame 4324 are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구체 받침 플레이트(4322)는, 수용 하우징(4321)의 개구부를 통해 수용 하우징(4321)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는 중량 구체(4244)가 타격될 수 있도록 경사 방향으로 배치되되,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4323)에 의해 지지되면서 하측이 수용 하우징(4321)의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The sphere support plate 4322 is disposed in an inclined direction so that the weight sphere 4244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on housing 4321 through the opening of the accommodation housing 4321 can be struck, and the plate support spring 4323 It is supported by and the lower sid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housing 4321.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4323)은, 구체 받침 플레이트(4322)의 하측을 지지한다.The plate support spring 4323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spherical support plate 4322.

지지대 하강 프레임(4324)은, 구체 받침 플레이트(4322)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구체 받침 플레이트(4322)가 중량 구체(4244)에 의해 타격되어 회동됨에 따라 하강되면서 받침대 지지대(4334)를 함께 하강시켜 준다.The support lowering frame 4324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pherical support plate 4322, and is lowered as the spherical support plate 4322 is struck and rotated by the heavy sphere 4244, thereby lowering the pedestal support 4334 together. Let me do it.

일 실시예에서, 지지대 하강 프레임(4324)과 받침대 지지대(4334) 간에는 지지대(4334a)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지지대 하강 프레임(4324)가 하강함에 따라 지지대(4334a)를 하강시키면, 지지대(4334a)가 받침대 지지대(4334)를 하강시켜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lowering frame 4324 and the pedestal support 4334 are connected by a support 4334a, so that when the support 4334a is lowered as the support lowering frame 4324 lowers, the support 4334a The pedestal support 4334 can be lower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전 유도 수용부(432)는, 중량 구체(4244)가 내부 공간으로 투입된 뒤 경사면을 형성하는 구체 받침 플레이트(4322)를 타격함에 따라 발생되는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부 블록(421)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The rotation induction receptor 432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uses the kinetic energy generated as the weight sphere 4244 is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and hits the spherical support plate 4322 forming an inclined surface to form an upper block. (421) can be rotated.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unitary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sought to be protect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patent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

10: 장식용 초
100: 장식초
200: 초기둥
300: 초받침
400: 상부 기둥
10: Decorative candle
100: Decorative candle
200: initial pillar
300: Second base
400: upper pillar

Claims (10)

숫자나 문자 또는 도형으로 형성되는 장식초;
케이크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장식초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장식초가 설치되는 초기둥; 및
케이크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초기둥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초기둥의 중단에 설치되며, 상기 초기둥이 케이크에 삽입됨에 따라 케이크의 상측면에 안착되는 초받침;을 포함하고,
상기 초기둥은,
케이크에 삽입되기 위한 하부 기둥;
상기 하부 기둥의 상단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장식초가 설치되는 상부 기둥; 및
케이크에 삽입된 상기 하부 기둥이 상기 케이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기둥의 외측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나선형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기둥은,
상기 장식초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장식초가 타들어 감에 따라 상기 장식초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뒤, 전달받은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 유닛;
상기 열전달 유닛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열전달 유닛으로부터 열을 전달 받는 구동 유닛; 및
상기 구동 유닛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상기 장식초에 의한 불꽃이 상측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승 기류를 발생시켜 주는 회전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열전달 유닛의 하측에 설치되는 상부 블록;
상기 회전 유닛의 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회전 유닛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블록과 상기 하부 기둥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설치 바아;
상기 상부 블록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상부 블록의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안착 하우징; 및
상기 안착 하우징의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차례로 적층 설치되는 회전 유도 발사부;를 포함하는, 장식용 초.
Decorative candles formed of numbers, letters or shapes;
A pillar formed in the vertic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so as to support the decorative candle while inserted into the cake, and on which the decorative candle is installed; and
It includes a candle support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initial pillar to support the initial pillar inserted into the cake, and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ke as the initial pillar is inserted into the cake,
The initial pillar is,
a lower pillar for insertion into the cake;
an upper pillar extending upward from the top of the lower pillar, and on which the decorative candle is installed; and
It includes a helical screw extending spirally along the outside of the lower pillar to prevent the lower pillar inserted into the cak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ake,
The upper pillar is,
a heat transfer unit installed inside the decorative candle, receiving heat from the decorative candle as the decorative candle burns, and then transferring the received heat;
a driving unit installed below the heat transfer unit to receive heat from the heat transfer unit; and
It includes a rotating unit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driving unit and is rotationally driven by the driving unit to generate an upward air current so that the flame caused by the decorative candle can be guided upward.
The driving unit is,
an upper block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nstalled below the heat transfer unit;
an installation bar that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rotation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rotation unit can be connected and installed to be rotatable, extending between the upper block and the lower column;
a seating housing that is recessed from the bottom of the upper block upward while forming an opening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lock; and
A decorative candle comprising; at least one rotation-induced firing unit that is sequentially installed in a stack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seating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받침은,
상기 하부 기둥과 상기 상부 기둥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장식용 초.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ndle rest,
A decorative candle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lower pillar and the upper pillar face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받침은,
"U"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부 기둥과 상기 상부 기둥이 대향하는 연결 부위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받침 돌기; 및
"U"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부 기둥과 상기 상부 기둥이 대향하는 연결 부위의 타측에 상기 제1 받침 돌기와 대향하면서 설치되는 제2 받침 돌기;를 포함하는, 장식용 초.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andle rest,
a first support protrusion bent roundly downward in a “U” shape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a connecting portion where the lower pillar and the upper pillar face each other; and
A second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by bending roundly downward in a "U" shape and is installed while opposing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where the lower pillar and the upper pillar face each other. A decorative candle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받침 돌기와 상기 제2 받침 돌기는,
전후 폭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하부 기둥 또는 상기 상부 기둥의 지름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장식용 초.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and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are:
A decorative candle whose front-to-back width is thick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 pillar or the upper pillar, which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받침은,
"W"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부 기둥과 상기 상부 기둥이 대향하는 연결 부위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 받침 돌기; 및
"W"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부 기둥과 상기 상부 기둥이 대향하는 연결 부위의 타측에 상기 제3 받침 돌기와 대향하면서 설치되는 제4 받침 돌기;를 포함하는, 장식용 초.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andle rest,
A third support protrusion is bent in a “W” shape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a connecting portion where the lower pillar and the upper pillar face each other; and
A fourth support protrusion is bent in a "W" shape and is installed while opposing the third support protrusion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where the lower pillar and the upper pillar face each other. A decorative candl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둥의 두께는,
2.4cm 내지 2.8cm로 형성되며,
상기 초받침의 두께는,
5.8cm 내지 6.2cm로 형성되는, 장식용 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hickness of the initial pillar is,
It is formed from 2.4cm to 2.8cm,
The thickness of the candle rest is,
Decorative candle, measuring 5.8 cm to 6.2 c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둥의 길이는,
27.8cm 내지 28.2cm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기둥의 길이는,
17.0cm 내지 17.4cm로 형성되는, 장식용 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ength of the lower pillar is,
It is formed from 27.8cm to 28.2cm,
The length of the upper pillar is,
Decorative candle, measuring 17.0 cm to 17.4 c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도 발사부는,
상기 열전달 유닛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열전달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전달시키는 열전달 프레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열전달 프레임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안착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배치되며, 상기 열전달 프레임으로부터 열이 전달됨에 따라 타단이 점진적으로 절곡되어 상기 안착 하우징 밖으로 이동되는 바이메탈 스위치;
일단이 상기 안착 하우징의 일측 내측벽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의 타단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안착 하우징을 가로 질러 설치되며,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의 타단이 절곡됨에 따라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에 의해 지지되고 있던 타단이 하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안착 하우징을 개방시켜 주는 거치 프레임;
상기 거치 프레임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거치 프레임이 회동되어 상기 안착 하우징이 개방됨에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중량 구체; 및
압축된 상태로 상기 중량 구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량 구체의 하강 속도를 증가시켜 주는 구체 발사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상부 블록의 하측에 밀착되어 배치되는 하부 블록;
상기 안착 하우징의 하측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하부 블록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안착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중량 구체를 내부 공간으로 수용시키는 동시에 상기 중량 구체에 의한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블록의 회전을 유도시켜 주는 두 개의 회전 유도 수용부;
상기 하부 블록의 상부에서 상기 두 개의 회전 유도 수용부와 교차되지 아니하면서 연결 설치되는 두 개의 회전 유도 구체부;
내측에 상기 설치 바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블록의 하측에 설치되는 회전 파이프; 및
상기 회전 파이프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승 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류 발생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유도 구체부는,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하부 블록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구체 안착홈;
상부가 상기 구체 안착홈의 상측으로 노출되면서 상기 구체 안착홈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구체;
상기 구체의 하측을 지지하는 구체 받침대;
상기 구체 안착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체 받침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구체 지지 스프링; 및
상기 구체 받침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체 받침대를 지지하는 받침대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블록은,
하측면에 상기 구체가 안착되기 위한 제1 블록 하부홈과 제2 블록 하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블록 하부홈과 상기 제2 블록 하부홈 사이에 상기 구체가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의 테두리를 따라 제1 구체 이동홈과 제2 구체 이동홈이 링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구체 이동홈은,
상기 제1 블록 하부홈으로부터 상기 제2 블록 하부홈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 구체 이동홈은,
상기 제2 블록 하부홈으로부터 상기 제1 블록 하부홈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 유도 수용부는,
상측 개구부가 상기 하부 블록의 상부에서 상기 안착 하우징의 하측 개구부와 대향하며 형성되며, 상기 하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는 수용 하우징;
상기 수용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용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는 상기 중량 구체가 타격될 수 있도록 경사 방향으로 배치되되, 하측이 상기 수용 하우징의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구체 받침 플레이트;
상기 구체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 및
상기 구체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체 받침 플레이트가 상기 중량 구체에 의해 타격되어 회동됨에 따라 하강되면서 상기 받침대 지지대를 함께 하강시켜 주는 지지대 하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장식용 초.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otation induction firing unit,
a heat transfer frame extending from the heat transfer unit to transfer heat transferred from the heat transfer unit;
It is form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heat transfer frame,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and disposed inside the seating housing. As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heat transfer frame, the other end is gradually bent to move out of the seating housing. a moving bimetal switch;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inner wall of the seating housing,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other end of the bimetal switch and installed across the seating housing. As the other end of the bimetal switch is bent, the bimetal switch a supporting frame that opens the seating housing by rotating the supported other end downward;
a weight sphere that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frame and moves downward as the mounting frame is rotated and the seating housing is opened; and
It includes a sphere firing spring tha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weight sphere in a compressed state to increase the descending speed of the weight sphere,
The rotating unit is,
a lower block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lock;
It is formed on one upper side and the other upper side of the lower block opposite to the lower opening of the seating housing, and accommodates the weight sphere discharged from the seating housing into the internal space while at the same time generating force generated by impact by the weight sphere. Two rotation induction receptors that induce rotation of the lower block using;
Two rotation inducing sphere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lock and connected to them without intersecting the two rotation inducing receptors;
a rotating pipe formed in a circular pipe shape and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block so that the installation bar can be inserted inside; and
It includes an airflow generating screw that extends in a spiral dir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ry pipe so as to form an upward airflow while rotating as the rotary pipe rotates,
The rotation inducing sphere part,
a spherical seating groove that is recess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lock to the lower side while forming an opening toward the upper side;
A sphere whose upper part is exposed above the sphere seating groove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phere seating groove;
a sphere support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sphere;
a sphere support spring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phere seating groove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sphere pedestal; and
It includes a pedestal support installed below the spherical pedestal to support the spherical pedestal,
The upper block is,
A first block lower groove and a second block lower groove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for seating the sphere, and a border on the lower surface allows the sphere to rotate and move between the first block lower groove and the second block lower groove. The first sphere movement groove and the second sphere movement groove are formed to extend in a ring shape,
The first sphere moving groove is,
Forming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heigh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first block lower groove to the second block lower groove,
The second sphere moving groove is,
Forming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heigh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second block lower groove to the first block lower groove,
The rotation induction receptor,
An upper opening is formed at the top of the lower block to face the lower opening of the seating housing, and an accommodating housing is installed inside the lower block;
A sphere support plate disposed in an inclined direction so that the weight spher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through the opening of the housing can be struck, the lower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 plate support spring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spherical support plate; and
A support lowering frame that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pherical support plate and lowers the pedestal support together as the spherical support plate is struck and rotated by the weight sphere. A decorative candle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210002559U 2021-08-17 2021-08-17 Decoration candle KR20049725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559U KR200497255Y1 (en) 2021-08-17 2021-08-17 Decoration c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559U KR200497255Y1 (en) 2021-08-17 2021-08-17 Decoration cand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401U KR20230000401U (en) 2023-02-24
KR200497255Y1 true KR200497255Y1 (en) 2023-09-12

Family

ID=85326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559U KR200497255Y1 (en) 2021-08-17 2021-08-17 Decoration can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255Y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094Y1 (en) 2003-04-15 2003-07-12 장치식 Candle for cak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534Y1 (en) * 1988-11-09 1991-03-07 정광순 Burner
KR950027992U (en) * 1994-03-09 1995-10-18 이사영 Cake Candlestick
KR19980024768U (en) * 1998-01-17 1998-07-25 유기창 Candle stand for cake.
KR200257299Y1 (en) * 1999-04-07 2001-12-24 유기창 A. supporting plate of candle for cake
KR20100042442A (en) 2008-10-16 2010-04-26 이애연 Cake decoration candle
KR20100012810U (en) * 2009-06-17 2010-12-27 배원진 Numeral candle for congratulation
KR20140008689A (en) * 2012-07-11 2014-01-22 김선수 12 god candle
KR20190091058A (en) * 2018-01-26 2019-08-05 이학철 The candle to prevent flow of cand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094Y1 (en) 2003-04-15 2003-07-12 장치식 Candle for ca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401U (en) 2023-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8158B2 (en) Retractable directional flame nozzle for lighter
US5944505A (en) Automatic candle snuffer
KR200497255Y1 (en) Decoration candle
US6607377B2 (en) Candle holder for mounting on a support
US20090246722A1 (en) Candle holder with a consistent upright candle
US1161762A (en) Holder for telephones and other articles.
US6234786B1 (en) Candle holder
US6113048A (en) Candle cradle
US2883992A (en) Combination ashtray and lighted cigarette support
CN206955998U (en) Candle
CN215951357U (en) Anti-collision candle holder
US534990A (en) Dish or other can due
JP7395166B1 (en) combustion device
CN215489230U (en) Floor lamp
JPH0135386Y2 (en)
US450410A (en) Sen hovde
TWI779996B (en) Melting Wax Lamp
JP4313649B2 (en) Ignition device for toy fireworks or incense
US666000A (en) Cigar-lighter.
JP4653710B2 (en) Gift acquisition game machine
US397009A (en) Frederick leiss
KR20190002748U (en) Candle prop
WO1997013098A1 (en) Candle support
CN205813389U (en) A kind of home poultry raising anophelifuge incense burner
TWI659097B (en) Suspended wick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