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186Y1 - 조류퇴치장치 - Google Patents

조류퇴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186Y1
KR200497186Y1 KR2020210001058U KR20210001058U KR200497186Y1 KR 200497186 Y1 KR200497186 Y1 KR 200497186Y1 KR 2020210001058 U KR2020210001058 U KR 2020210001058U KR 20210001058 U KR20210001058 U KR 20210001058U KR 200497186 Y1 KR200497186 Y1 KR 2004971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rotation
cover
pow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446U (ko
Inventor
유지현
Original Assignee
유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현 filed Critical 유지현
Priority to KR2020210001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186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4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4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1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조류퇴치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류퇴치장치는 시설물에 고정되는 하우징(11)의 내부 중앙에 모터유닛(MU)을 내설하여 고정커버(12)로 고정하고, 상기 고정커버(12)의 상부에서 상기 모터유닛(MU)의 모터축(MS)에 회전블록(13)이 고정되며, 상기 회전블록(13)의 외부에 회전커버(14)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고정커버(12)와 회전블록(13) 사이에서 PCB 기판(15)으로부터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단자부(20)를 형성하여 전원연결 및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 및 상기 회전커버(14)의 중앙에 연결봉(5)을 통하여 연결되는 연결브라켓(31)의 양측에 제1, 제2 회전판(32a,32b)을 고정하고, 상기 제1, 제2 회전판(32a,32b) 상에는 각각 복수개의 LED(L)가 내설된 제1, 제2 LED 기판(33a,33b)이 설치되어 상기 연결봉(5)을 통하여 상기 회전블록(13) 측의 전원단자부(20)와 전원 연결되며, 상기 제1, 제2 회전판(32a,32b) 상에는 상기 제1, 제2 LED 기판(33a,33b)을 커버하는 제1, 제2 투명판(34a,34b)이 각각 설치되는 회전발광부(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류퇴치장치{Birds eliminating device}
본 고안은 조류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류로 인하여 피해를 보는 시설물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소형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 상의 LED 불빛을 이용하여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조류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류퇴치장치는 조류를 위협하여 시설물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접근한 조류를 퇴치시켜 시설물을 보호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최근 서식지가 좁아지는 조류는 우리 생활 주변의 공공건물, 빌딩, 아파트의 실외기 공간, 간판, 전신주, 변전소, 교각, 난간, 방음벽, 과수원 등 다양한 시설물에 둥지를 짓거나 배설 행위 등으로 시설물을 파손시키거나 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특히, 둥지를 지으면서 물어오는 철사와 같은 자재물이 전선과 서로 접촉하여 단락사고를 일으키거나, 조류의 배설물로 인한 시설물의 미관 저해, 악취는 물론, 전선로 상의 각 부품이 부식되어 그로 인한 관련업체들의 둥지 제거 및 보수공사와 같은 작업이 해마다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조류 퇴치방법으로는 아래 문헌 1에 공지된 소음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문헌 2에 공지된 초음파를 이용하는 방법, 자기파를 이용하는 방법, 바람개비나 그물 등 물리적 수단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류가 시설물에 둥지를 짓거나 배설하지 못하도록 하는 장치들이 다양하게 고안 및 발명되었으나 설치상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효과가 없어 사용되지 못하였으며, 특히, 소음, 초음파, 자기파를 발생시키거나 바람을 이용한 바람개비를 운용하는 등의 종래고안은 초기에는 효과가 있으나 일정한 시간이 경과 하면 조류들이 적응하여 효과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에, 현재 가장 효과적인 조류 퇴치방법은 주기적으로 인력을 동원하여 시설물상의 조류의 둥지나 배설물을 직접적으로 제거하거는 것이나, 이로 인해 해마다 막대한 비용이 발생하며, 사고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고안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3970호(2003.08.19.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1712호(2006.11.24. 공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조류로 인하여 피해를 보는 시설물 상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별도의 태양전지모듈에서 재생되는 전기에너지로 구동하는 소형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 상의 LED 불빛을 이용하여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조류퇴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시설물에 고정되는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모터유닛을 내설하여 고정커버로 고정하고, 상기 고정커버의 상부에서 상기 모터유닛의 모터축에 회전블록이 고정되며, 상기 회전블록의 외부에 회전커버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고정커버와 회전블록 사이에서 PCB 기판으로부터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단자부를 형성하여 전원연결 및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회전커버의 중앙에 연결봉을 통하여 연결되는 연결브라켓의 양측에 제1, 제2 회전판을 고정하고, 상기 제1, 제2 회전판 상에는 각각 복수개의 LED가 내설된 제1, 제2 LED 기판이 설치되어 상기 연결봉을 통하여 상기 회전블록 측의 전원단자부와 전원 연결되며, 상기 제1, 제2 회전판 상에는 상기 제1, 제2 LED 기판을 커버하는 제1, 제2 투명판이 각각 설치되는 회전발광부를 포함하는 조류퇴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하부 양측에 각각 볼트홀을 갖는 수납 플랜지가 형성되고, 내부 중앙에는 상기 모터유닛이 안착되는 안착단이 형성되는 하우징; 모터와 감속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모터축이 상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안착단에 안착되는 모터유닛; 내부 중앙에 상기 모터유닛이 삽입되는 삽입단이 형성되고, 외주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단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단차면에 걸어서 상기 모터유닛을 고정하는 고정커버; 상기 고정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중앙이 상기 모터유닛의 모터축에 체결되어 모터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블록; 상기 고정커버의 상면 내,외측에 각각 탄성 지지되어 상기 PCB 기판에 전원 연결되는 복수의 고정단자와,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회전블록의 하면 내,외측 둘레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발광부의 제1, 제2 LED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회전단자로 이루어지는 전원단자부; 외주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단을 통하여 상기 회전블록의 상부에서 상기 회전블록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단차면에 걸어서 고정되며, 상부 중앙에는 상기 연결봉의 하단부가 끼워져 설치되는 설치단이 형성되는 회전커버;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끼워져 상기 고정커버에 의해 고정되며, 외부의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모터유닛과 상기 제1, 제2 LED 기판에 전원을 공급 제어하는 PCB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단자부는 상기 고정커버의 내부의 내,외측에 각각 형성되는 스프링 홀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커버의 상면 상의 내,외측에 각각 설치되며, 각 스프링 홀을 통하여 상기 PCB 기판에 각각 배선 연결되는 제1, 제2 고정단자; 상기 각 스프링 홀 내부에 삽입되어 하단이 각각 상기 PCB 기판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1, 제2 고정단자를 각각 상향하여 탄성 지지하는 제1, 제2 단자 스프링; 및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고정단자에 각각 대응하여 항상 접촉되도록 상기 회전블록의 하면 내,외측 둘레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회전발광부의 제1, 제2 LED 기판에 각각 배선 연결되어 상기 회전블록과 함께 회전하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제2 회전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양측 수납플랜지 내부에 영구자석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커버와 회전블록 사이에는 상기 회전블록의 하단에 대응하여 접촉되도록 상기 고정커버의 외주측 둘레에 형성되는 홈에 메탈링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블록과 회전커버 사이에는 상기 회전블록의 상측 모서리 둘레와 상기 회전커버의 내측면 사이에 시일링이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발광부는 상기 연결봉의 상단부에 끼움단을 통하여 끼워져 고정되는 연결브라켓; 상기 연결브라켓의 양측에 각각 볼트로 체결되는 판 형상의 제1, 제2 회전판; 단면상에 복수개의 LED가 내설되어 상기 제1, 제2 회전판 상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전원단자부의 복수의 회전단자와 배선 연결되어 상기 PCB 기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LED를 발광시키는 제1, 제2 LED 기판; 및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LED 기판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1, 제2 회전판의 상부에 체결되는 제1, 제2 투명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판과 제1 투명판 사이 및 상기 제2 회전판과 제2 투명판 사이에는 시일링이 재재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류퇴치장치는 조류로 인하여 피해를 보는 시설물 상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별도의 태양전지모듈에서 재생되는 전기에너지로 구동하는 소형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 상의 LED 불빛을 이용하여 조류를 퇴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류가 시설물에 둥지를 짓거나 배설하지 못하도록 하여 전선의 단락사고나, 조류의 배설물로 인한 시설물의 미관 저해, 악취는 물론, 전선로 상의 각 부품이 부식 등으로 관련업체들의 둥지 제거 및 보수공사와 같은 작업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류퇴치장치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류퇴치장치에 적용되는 구동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류퇴치장치에 적용되는 구동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류퇴치장치에 적용되는 회전발광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류퇴치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류퇴치장치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류퇴치장치에 적용되는 구동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류퇴치장치에 적용되는 구동부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류퇴치장치에 적용되는 회전발광부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류퇴치장치는 공공건물, 빌딩, 간판, 전신주, 변전소, 교각, 난간, 방음벽 등, 다양한 시설물 상의 일측에 간단하게 전기에너지로 구동하는 소형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 상의 LED 불빛을 이용하여 조류를 퇴치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류퇴치장치는 구동부(1)와, 상기 구동부(1)와 연결보(5)을 통해 연결되는 회전발광부(3)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1)는 하우징(11), 모터유닛(MU), 고정커버(12), 회전블록(13), 전원단자부(20), 회전커버(14), 및 PCB 기판(15)을 주요 구성으로 하며, 상기 회전발광부(3)는 제1, 제2 회전판(32a,32b), 제1, 제2 LED 기판(33a,33b), 및 제1, 제2 투명판(34a,34b)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1)는 시설물에 고정되는 하우징(11)의 내부 중앙에 모터유닛(MU)을 내설하여 고정커버(12)로 고정한다.
즉, 상기 고정커버(12)의 상부에서 상기 모터유닛(MU)의 모터축(MS)에 회전블록(13)이 고정되고, 상기 회전블록(13)의 외부에 회전커버(14)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고정커버(12)와 회전블록(13) 사이에서 PCB 기판(15)으로부터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단자부(20)를 형성하여 전원연결 및 회전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동부(1)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1)은 하부 양측에 시설물과의 체결을 위한 볼트홀(H)을 갖는 수납 플랜지(11c)가 형성되고, 내부 중앙에는 상기 모터유닛(MU)이 안착되는 안착단(11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1)의 양측 수납플랜지(11c) 내부에는 영구자석(19)을 설치하여 철재 시설물 등에 자력으로 부착하여 조류퇴치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모터유닛(MU)은 모터(M)와 감속기(G)가 일체로 형성되며, 모터축(MS)이 상향하도록 상기 하우징(11)의 안착단(11a)에 안착된다.
상기 고정커버(12)는 내부 중앙에 상기 모터유닛(MU)이 삽입되는 삽입단(12a)이 형성되고, 이 삽입단(12a)을 통하여 모터유닛(MU)을 끼운 상태로, 외주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단(12b)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1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단차면(11b)에 걸어서 하우징(11)과 체결된다.
상기 회전블록(13)은 상기 고정커버(12)의 상부에 배치되며, 중앙이 상기 모터유닛(MU)의 모터축(MS)에 너트(N)를 통하여 체결되어 모터축(MS)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커버(12)와 회전블록(13) 사이에는 상기 회전블록(13)의 하단에 대응하여 접촉되도록 상기 고정커버(12)의 외주측 둘레에 형성되는 홈에 메탈링(MR)이 개재되어 회전 마찰력을 줄여주며,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단자부(20)는 상기 고정커버(12)의 상면 내,외측에 각각 탄성 지지되어 상기 PCB 기판(15)에 전원 연결되는 제1, 제2 고정단자(16a,16b)와, 상기 제1, 제2 고정단자(16a,16b)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회전블록(13)의 하면 내,외측 둘레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발광부(3)의 제1, 제2 LED 기판(33a,33b)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제2 회전단자(18a,18b)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전원단자부(20)는 상기 제1, 제2 고정단자(16a,16b)가 상기 고정커버(12)의 내부의 내,외측에 각각 형성되는 스프링 홀(21)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커버(12)의 상면 상의 내,외측에 각각 설치되며, 각 스프링 홀(21)을 통하여 상기 PCB 기판(15)에 각각 배선(W)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 고정단자(16a,16b)는 제1, 제2 단자 스프링(17a,17b)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데, 상기 제1, 제2 단자 스프링(17a,17b)은 상기 각 스프링 홀(21) 내부에 삽입되어 하단이 각각 상기 PCB 기판(15)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1, 제2 고정단자(16a.16b)를 각각 상향하여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
상기 제1, 제2 회전단자(18a,18b)는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고정단자(16a,16b)에 각각 대응하여 항상 접촉되도록 상기 회전블록(13)의 하면 내,외측 둘레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 회전단자(18a,18b)는 회전발광부(3)의 제1, 제2 LED 기판(33a,33b)에 각각 배선(W) 연결되어 상기 회전블록(13)과 함께 회전하면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커버(14)는 외주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단(14b)을 통하여 상기 회전블록(1)의 상부에서 상기 회전블록(1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단차면(13b)에 걸어서 고정된다.
또한, 상기 회전커버(14)는 상부 중앙에는 상기 연결봉(5)의 하단부가 끼워져 설치되는 설치단(14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블록(13)과 회전커버(14) 사이에는 상기 회전블록(13)의 상측 모서리 둘레와 상기 회전커버(14)의 내측면 사이에 시일링(S)이 개재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PCB 기판(15)은 상기 하우징(11)의 상단부에 끼워져 상기 고정커버(12)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PCB 기판(15)은 외부의 배터리(B)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모터유닛(MU)과 상기 제1, 제2 LED 기판(33a,33b)에 전원을 공급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발광부(3)는 상기 회전커버(14)의 중앙에 연결봉(5)을 통하여 연결되는 연결브라켓(31)의 양측에 제1, 제2 회전판(32a,32b)을 고정한다.
즉, 상기 제1, 제2 회전판(32a,32b) 상에 각각 복수개의 LED(L)가 내설된 제1, 제2 LED 기판(33a,33b)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제2 LED 기판(33a,33b)는 상기 연결봉(5)을 통하여 상기 회전블록(13) 측의 전원단자부(20)와 전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제2 회전판(32a,32b) 상에는 상기 제1, 제2 LED 기판(33a,33b)을 커버하는 제1, 제2 투명판(34a,34b)이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발광부(3)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연결브라켓(31)은 상기 연결봉(5)의 상단부에 끼움단(31a)을 통하여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제1, 제2 회전판(32a,32b)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브라켓(31)의 양측에 각각 볼트(35)로 체결된다.
상기 제1, 제2 LED 기판(33a,33b)은 단면상에 복수개의 LED(L)가 내설되어 상기 제1, 제2 회전판(32a,32b) 상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 LED 기판(33a,33b)은 상기 전원단자부(20)의 제1, 제2 회전단자(18a,18b)와 각각 배선(W) 연결되어 상기 PCB 기판(15)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LED(L)를 발광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LED 기판(33a,33b) 상의 LED(L)는 불빛의 색상이 무지개색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그 개수도 전원 공급의 한계 범위 내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 제2 투명판(34a,34b)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LED 기판(33a,33b)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1, 제2 회전판(32a,32b)의 상부에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판(32a)과 제1 투명판(34a) 사이 및 상기 제2 회전판(32b)과 제2 투명판(34b) 사이에는 각각 시일링(S)이 재재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조류퇴치장치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공건물, 빌딩, 간판, 전신주, 변전소, 교각, 난간, 방음벽 등, 다양한 시설물 상에 볼트 체결 또는 영구자석의 자력을 통해 설치된 상태로, 외부의 태양전지모듈(7)을 통하여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배터리(B)에 충전하게 되며, 배터리(B)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야간에 공급하여 전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배터리(B)의 전원이 PCB 기판(15)으로 공급되는 상태로, 상기 PCB 기판(15)는 모터(M)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제1, 제2 LCD 기판(33a,33b)에 전원을 공급하여 각각의 LED를 발광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기 제1, 제2 LED 기판(33a,33b)에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배터리(B)의 전원이 PCB 기판(15)을 통하여 제1, 제2 고정단자(16a,16b)로 공급되면, 상기 제1, 제2 고정단자(16a,16b)에 항상 접촉된 상태로 상기 회전블록(13)과 함께 회전하는 제1, 제2 회전단자(18a,18b)를 통하여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모터(M)의 회전 구동력은 감속기(G)를 통하여 감속되어 회전블록(13)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블록(13)에 고정된 회전커버(14)가 상기 연결봉(5)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봉(5)에 연결브라켓(31)을 통하여 연결된 제1, 제2 회전판(32a,32b)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제1, 제2 회전판(33a,33b) 상의 제1, 제2 LED 기판(33a,33b)도 함께 회전하면서, LED 불빛이 회전하면서 사방을 비추도록 하여 야간에 LED 불빛이 조류를 자극하여 시설물 등에 앉지 못하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류퇴치장치는 조류로 인하여 피해를 보는 시설물 상에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별도의 태양전지모듈에서 재생되는 전기에너지로 모터를 구동시키며, 회전하는 회전판 상의 LED 불빛을 이용하여 조류를 손쉽게 퇴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구동부
3: 회전발광부
5: 연결봉
11: 하우징
MU: 모터유닛
12: 고정커버
13: 회전블록
14: 회전커버
15: PCB 기판
20: 전원단자부
31: 연결브라켓
32a,32b: 제1, 제2 회전판
33a,33b: 제1, 제2 LED 기판
34a,34b: 제1, 제2 투명판
L: LED

Claims (8)

  1. 삭제
  2. 조류퇴치장치에 있어서,
    시설물에 고정되는 하우징(11)의 내부 중앙에 모터유닛(MU)을 내설하여 고정커버(12)로 고정하고, 상기 고정커버(12)의 상부에서 상기 모터유닛(MU)의 모터축(MS)에 회전블록(13)이 고정되며, 상기 회전블록(13)의 외부에 회전커버(14)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고정커버(12)와 회전블록(13) 사이에서 PCB 기판(15)으로부터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단자부(20)를 형성하여 전원연결 및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 및 상기 회전커버(14)의 중앙에 연결봉(5)을 통하여 연결되는 연결브라켓(31)의 양측에 제1, 제2 회전판(32a,32b)을 고정하고, 상기 제1, 제2 회전판(32a,32b) 상에는 각각 복수개의 LED(L)가 내설된 제1, 제2 LED 기판(33a,33b)이 설치되어 상기 연결봉(5)을 통하여 상기 회전블록(13) 측의 전원단자부(20)와 전원 연결되며, 상기 제1, 제2 회전판(32a,32b) 상에는 상기 제1, 제2 LED 기판(33a,33b)을 커버하는 제1, 제2 투명판(34a,34b)이 각각 설치되는 회전발광부(3)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1)는
    하부 양측에 각각 볼트홀(H)을 갖는 수납 플랜지(11c)가 형성되고, 내부 중앙에는 상기 모터유닛(MU)이 안착되는 안착단(11a)이 형성되는 하우징(11);
    모터(M)와 감속기(G)가 일체로 형성되며, 모터축(MS)이 상향하도록 상기 하우징(11)의 안착단(11a)에 안착되는 모터유닛(MU);
    내부 중앙에 상기 모터유닛(MU)이 삽입되는 삽입단(12a)이 형성되고, 외주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단(12b)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1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단차면(11b)에 걸어서 상기 모터유닛(MU)을 고정하는 고정커버(12);
    상기 고정커버(12)의 상부에 배치되며, 중앙이 상기 모터유닛(MU)의 모터축(MS)에 체결되어 모터축(MS)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블록(13);
    상기 고정커버(12)의 상면 내,외측에 각각 탄성 지지되어 상기 PCB 기판(15)에 전원 연결되는 복수의 고정단자(16a,16b)와,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16a,16b)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회전블록(13)의 하면 내,외측 둘레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발광부(3)의 제1, 제2 LED 기판(33a,33b)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회전단자(18a,18b)로 이루어지는 전원단자부(20);
    외주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단(14b)을 통하여 상기 회전블록(13)의 상부에서 상기 회전블록(1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단차면(13b)에 걸어서 고정되며, 상부 중앙에는 상기 연결봉(5)의 하단부가 끼워져 설치되는 설치단(14a)이 형성되는 회전커버(14); 및
    상기 하우징(11)의 상단부에 끼워져 상기 고정커버(12)에 의해 고정되며, 외부의 배터리(B)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모터유닛(MU)과 상기 제1, 제2 LED 기판(33a,33b)에 전원을 공급 제어하는 PCB 기판(15);
    을 포함하는 조류퇴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부(20)는
    상기 고정커버(12)의 내부의 내,외측에 각각 형성되는 스프링 홀(21)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커버(12)의 상면 상의 내,외측에 각각 설치되며, 각 스프링 홀(21)을 통하여 상기 PCB 기판(15)에 각각 배선(W) 연결되는 제1, 제2 고정단자(16a,16b);
    상기 각 스프링 홀(21) 내부에 삽입되어 하단이 각각 상기 PCB 기판(15)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1, 제2 고정단자(16a.16b)를 각각 상향하여 탄성 지지하는 제1, 제2 단자 스프링(17a,17b); 및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고정단자(16a,16b)에 각각 대응하여 항상 접촉되도록 상기 회전블록(13)의 하면 내,외측 둘레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회전발광부(3)의 제1, 제2 LED 기판(33a,33b)에 각각 배선(W) 연결되어 상기 회전블록(13)과 함께 회전하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제2 회전단자(18a,18b);
    로 이루어지는 조류퇴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의 양측 수납플랜지(11c) 내부에 영구자석(19)이 설치되는 조류퇴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12)와 회전블록(13) 사이에는
    상기 회전블록(13)의 하단에 대응하여 접촉되도록 상기 고정커버(12)의 외주측 둘레에 형성되는 홈에 메탈링(MR)이 개재되는 조류퇴치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록(13)과 회전커버(14) 사이에는
    상기 회전블록(13)의 상측 모서리 둘레와 상기 회전커버(14)의 내측면 사이에 시일링(S)이 개재되는 조류퇴치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발광부(3)는
    상기 연결봉(5)의 상단부에 끼움단(31a)을 통하여 끼워져 고정되는 연결브라켓(31);
    상기 연결브라켓(31)의 양측에 각각 볼트(35)로 체결되는 판 형상의 제1, 제2 회전판(32a,32b);
    단면상에 복수개의 LED(L)가 내설되어 상기 제1, 제2 회전판(32a,32b) 상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전원단자부(20)의 복수의 회전단자(18a,18b)와 배선(W) 연결되어 상기 PCB 기판(15)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LED(L)를 발광시키는 제1, 제2 LED 기판(33a,33b); 및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LED 기판(33a,33b)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1, 제2 회전판(32a,32b)의 상부에 체결되는 제1, 제2 투명판(34a,34b);
    을 포함하는 조류퇴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판(32a)과 제1 투명판(34a) 사이 및 상기 제2 회전판(32b)과 제2 투명판(34b) 사이에는 시일링(S)이 재재되는 조류퇴치장치.
KR2020210001058U 2021-04-05 2021-04-05 조류퇴치장치 KR2004971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058U KR200497186Y1 (ko) 2021-04-05 2021-04-05 조류퇴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058U KR200497186Y1 (ko) 2021-04-05 2021-04-05 조류퇴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446U KR20220002446U (ko) 2022-10-12
KR200497186Y1 true KR200497186Y1 (ko) 2023-08-22

Family

ID=8359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058U KR200497186Y1 (ko) 2021-04-05 2021-04-05 조류퇴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18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476B1 (ko) * 2023-04-06 2023-10-05 중앙항업(주) 지엔에스에스(gnss)와 아이엔에스(ins)를 이용한 항공촬영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796B2 (ja) 1993-01-19 2001-06-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回転磁界検出装置
KR200268007Y1 (ko) * 2001-10-25 2002-03-15 이건국 조류 퇴치 장치
KR102399252B1 (ko) 2021-10-15 2022-05-19 이미정 풍력 회전식 조류퇴치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970Y1 (ko) 2003-02-28 2003-08-19 박순길 조류 퇴치용 소음 발생기
KR200431712Y1 (ko) 2006-08-17 2006-11-24 주식회사 뉴젠파워 초음파 조류 퇴치기
KR101169567B1 (ko) * 2010-03-22 2012-07-31 이정미 조류퇴치기
JP3177796U (ja) * 2012-06-06 2012-08-16 一雄 鈴木 害獣威嚇装置
KR101588102B1 (ko) * 2014-01-17 2016-01-27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조명을 이용한 야생동물퇴치기
KR101911312B1 (ko) * 2016-09-13 2019-01-04 유한회사엠지유 감지된 소리의 방향으로 회전되는 초지향성 스피커를 구비한 유해동물 퇴치기 및 방법
KR20210101423A (ko) * 2020-02-10 2021-08-19 미소에이스 주식회사 레이더를 사용한 조류 퇴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796B2 (ja) 1993-01-19 2001-06-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回転磁界検出装置
KR200268007Y1 (ko) * 2001-10-25 2002-03-15 이건국 조류 퇴치 장치
KR102399252B1 (ko) 2021-10-15 2022-05-19 이미정 풍력 회전식 조류퇴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446U (ko)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938284U (zh) 多能驱鸟装置
KR200497186Y1 (ko) 조류퇴치장치
KR101562814B1 (ko)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체를 이용한 중앙집중식 태양광발전소
US20130014692A1 (en) Bird repeller
US20190218114A1 (en) Water sanitization system
GB2497958A (en) Photovoltaic panel system
CN204317360U (zh) 一种驱鸟器
KR20140049801A (ko) 조류해 방지기
WO2014036356A2 (en) Solar petrofit pole
CN202664095U (zh) 一种防鸟网
KR101219092B1 (ko) 조류 접근 방지 장치가 구비된 완금구조
KR100876334B1 (ko) 배전선로 까치 퇴치기용 복합기
KR101752609B1 (ko) 유해조수 퇴치용 스카이댄서
KR101077876B1 (ko) 입설지주의 불법광고물부착방지부재 장착장치
CN111011357A (zh) 一种驱鸟装置
KR101165777B1 (ko) 동작감지센서를 구비한 조류착지 방지 장치
KR20180117074A (ko) 유해조수 퇴치기
CN214629436U (zh) 一种三角形驱鸟器
KR102252789B1 (ko) 조류 퇴치장치
US11888436B2 (en) Floating solar system
KR20010069099A (ko) 전주의 조류둥지 퇴치장치
US20130141901A1 (en) Solar diamond dot dock lite
KR100585617B1 (ko) 조류의 인공둥지 구조
KR200494293Y1 (ko) 자동이동방식 다기능 유해 조·수 퇴치 장치
CN110604121A (zh) 一种适时驱动型风车驱鸟器及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