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919Y1 - 모자장착용 차양장치 - Google Patents

모자장착용 차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919Y1
KR200496919Y1 KR2020210003491U KR20210003491U KR200496919Y1 KR 200496919 Y1 KR200496919 Y1 KR 200496919Y1 KR 2020210003491 U KR2020210003491 U KR 2020210003491U KR 20210003491 U KR20210003491 U KR 20210003491U KR 200496919 Y1 KR200496919 Y1 KR 200496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cover
plates
hat
sid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4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923U (ko
Inventor
최종주
Original Assignee
최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주 filed Critical 최종주
Publication of KR202200029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9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9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Abstract

본 고안은 조사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차양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하면서 장착수단과 차양수단의 분해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 접철을 통하여 부피를 줄여 휴대와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얼굴 측면부로 조사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측면커버와, 측면커버와 결합되어 얼굴 전면부로 조사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전면커버로 구성되는 차양수단과; 상기 차양수단을 모자의 챙에 장착하는 장착수단으로 구성되는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는, 얼굴측면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좌측판 및 우측판과; 좌,우측판의 연접위치에 돌출시키는 연결목부와; 연결목부를 연결하여 접철가능하게 하는 경첩과; 좌,우측판의 중앙위치에 좌,우측행거 및 전면커버의 양단부와 결합하도록 형성하는 장착홀과; 장착홀 아래위치에 좌,우측판이 좌,우측행거와 결합 후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형성하는 커버유동방지홀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커버는, 밴드타입의 전면커버바디와; 전면커버바디의 양단부에 좌,우측판의 장착홀와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커버장착홀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측판의 장착홀과 전면커버바디의 커버장착홀에 결합하여 장착수단과 분해결합하기 위한 좌측행거와 우측행거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모자장착용 차양장치{SUNSHADE DEVICE FOR HAT MOUNTING}
본 고안은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자의 챙에 결합하여 야외에서 활동할 때 얼굴의 전면부와 측면부로 직접 조사되는 태양광선 또는 반사되는 반사광을 차단하여 자외선으로부터 얼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면서 모자의 챙 아래방향으로 수납 및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으면서 휴대와 보관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한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야외활동을 수행하는 과정 특히 하절기와 같이 직사광선이 심한 경우에는 햇빛에 직접적으로 피부가 노출될 경우에는 남녀노소에 관계없이 피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며, 특히 여성들의 경우에는 햇빛에 특히 얼굴이 노출될 경우에는 피부색소 침착, 피부노화, 피부암발병, 광선 알레르기 질환이 있을 경우, 알레르기 발생, 기미, 주근깨 등 피부색소질환을 악화시킴, 광선으로 악화 되는 피부질환의 상태를 악화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자외선에 노출됨으로써 발생하는 피부 트러블을 해소하기 위하여 차양수단을 착용하게 되는 데, 이러한 차양수단은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 중 대표적인 예를 특허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얼굴의 전면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 되어 얼굴로 조사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가면부(101)와; 상기 가면부(101)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가면부(101)를 안면부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밴드부(102)로 구성하고; 상기 가면부(101)는 코 위치에는 돌출부(103)를, 눈 위치에는 시계창(104)을 형성하여 구비되는 가면바디(105)를 포함하고; 상기 가면바디(105)의 하측 입 위치에는 통기성을 좋게 하면서 목소리가 전방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보이스홀(110)을 더 형성하고; 상기 보이스홀(110)은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통기와 목소리전달은 가능하도록 직물재질의 마스크(111)로 마감하는 차양가면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102)는, 이마에서 머리 뒤쪽까지 단속할 수 있도록 얇은 금속, 비철금속 또는 합성수지 계통의 재질이면서 탄성을 가지고 구비하는 밴드바디(115)와;
상기 밴드바디(115)는 원호형상을 가지도록 양분하는 좌측바디(116)와 우측바디(117);
상기 좌,우측바디(116,117)는 원형으로 펼쳐지고 원호형상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중앙부위를 연결하는 힌지핀(118)으로 구성하고;
상기 밴드바디(115)는 가면바디(105)의 상단 외측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는 밴드걸이(119)를 통하여 가면바디(105)에 대하여 결합 및 이탈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이용자의 얼굴 전면의 눈 아래쪽에서 턱까지와 얼굴 측면의 귀밑까지 얼굴의 하측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는 마스크부와; 상기 마스크부를 모자의 챙과 결합시켜 마스크부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부로 구성하고; 상기 마스크부는, 직물조직에 심재를 가지거나 또는 경량 재질의 심재로만 구성되어 형상 가변 가능하게 구비하는 베이스와; 상기 마스크부의 양단부 상측에 모자의 챙과 결합되는 장착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공을 가지고 돌출시키는 장착돌기를 포함하는 차양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한 면에 부착 또는 코팅처리하여 베이스의 손상을 방지하는 보강층과;
상기 마스크부의 중앙부가 자중에 의하여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장착돌기의 전방에 걸고리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 20 - 04543987 - 0000 호 실용신안등록 제 20 - 0468535 - 0000 호
없슴.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중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얼굴 전면부를 마스크로 가려 햇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면서 마스크를 밴드부를 이용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의 경우 이용자의 얼굴과 너무 근접한 상태이기 때문에 답답한 것은 물론 화장을 손상시키는 원인에 의하여 사용을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챙결합구를 이용하여 모자의 챙에 마스크부를 결합하여 햇빛을 차양하고 개방시에는 챙의 상방으로 회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의 경우, 모자의 챙 양측 후미에 장착부가 고정되나 장착부의 선측은 챙과 조임볼트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챙과 연결되는 모자의 캡에 위치하는 장착부는 캡과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모자와 이격된 상태에서 유동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장착부의 전방에 연결되는 걸고리를 이용하여 마스크부를 연결하고, 장착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장착공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마스크부의 장착돌기를 결합시켜 마스크부 전체를 유지하게 되는 데, 결국에는 장착부가 위치한 마스크부의 양단부만 걸어서 유지하는 형태가 된다.
때문에 마스크부의 전방 중심 위치의 무게가 양측 가장자리 위치보다 더 많이 나가기 때문에 마스크부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마스크부의 자중에 의하여 전방 중심위치가 모자 챙의 아래 방향(얼굴 아래쪽)으로 처지는 상태가 되고, 마스크부의 자중에 의한 처짐현상을 방지하고자 결합장치의 하단부에 자중 방지를 위한 걸고리를 결합하였으나 양측면부위에 구성됨으로써 마스크부의 바디 중앙부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지 못하게 된다.
모자를 착용하고 마스크부를 결합한 상태에서도 이용자의 얼굴이 완전하게 드러나는 형태가 되고, 마스크부가 자중에 의하여 아래 방향으로 처지면서 제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접혀지거나 구겨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미관적 시각적으로도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마스크부를 이용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하고자 하거나 또는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마스크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이용자의 안면부 개방 정도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걸고리와 장착돌기를 결합하고 있는 볼트와 너트를 모두 풀어서 높이를 조절한 후 다시 결합하고 체결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고, 마스크부가 얼굴의 전면부를 차양하는 기능은 있으나, 얼굴의 측면부로 조사되는 햇빛이나 자외선을 원활하게 차단하지 못하게 됨으로서 차양 마스크 본래의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이용자의 얼굴 측면부로 조사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측면커버(111)와, 상기 측면커버(111)와 결합되어 측면커버(111)에 대하여 전방과 상방으로 회동개폐하면서 이용자의 얼굴 전면부로 조사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전면커버(112)로 구성되는 차양수단(110)과;
상기 차양수단(110)을 모자(101)의 챙(105)에 장착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수단(150)으로 구성되는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111)는, 이용자의 얼굴측면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좌측판(113) 및 우측판(114)과;
상기 좌,우측판(113,114)의 연접위치에 돌출시키는 연결목부(115)와;
상기 연결목부(115)를 연결하여 좌,우측판(113,114)을 접철가능하게 하는 경첩(116)과;
상기 좌,우측판(113,114)의 중앙위치에 좌,우측행거 및 전면커버(112)의 양단부와 결합하도록 형성하는 장착홀(117)과;
상기 장착홀(117) 아래위치에 좌,우측판(113,114)이 좌,우측행거와 결합 후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형성하는 커버유동방지홀(118)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커버(112)는, 눈 아래부터 턱까지 가릴 수 있는 정도의 높이(H)을 가지고 양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밴드타입의 전면커버바디(120)와;
상기 전면커버바디(120)의 양단부에 좌,우측판(113,114)의 장착홀(117)와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커버장착홀(121)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측판(113,114)의 장착홀(117)과 전면커버바디(120)의 커버장착홀(121)에는 장착수단(150)과 분해결합하기 위한 좌측행거(125)와 우측행거(126)를 결합하여;
조사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차양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하면서 장착수단과 차양수단의 분해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 접철을 통하여 부피를 줄여 휴대와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야외 활동시 많이 착용하는 모자(썬캡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와 형상의 모자)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차양수단을 이용하여 얼굴의 전면부는 물론 얼굴의 측면으로 조사되는 햇빛을 차단하여 차양 기능을 높여 이용자들의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은 차양수단을 유지하기 위한 장착수단을 개선하여 차양수단을 모자 챙의 아래방향에서 전방과 상방으로 회동시켜 얼굴의 전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차양수단을 분리시 부피를 줄여 보관하거나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은 장착수단이 모자로부터 탈락 또는 분리되는 현상을 배제하고 차양수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미감을 고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차양장치의 품질을 우수하게 하면서 제조비용을 절감하여 대외적인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모자장착용 차양장치를 도시한 분해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의 장착수단을 발췌한 파절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의 장착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의 차양수단을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의 차양수단을 도시한 종방향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의 차양수단을 도시한 횡방향 단면도.
도 7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의 차양수단을 내린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의 차양수단을 개방한 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의 측면커버접철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의 측면커버접철수단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 도시된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의 측면커버접철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모자장착용 차양장치를 도시한 분해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의 장착수단을 발췌한 파절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의 장착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의 차양수단을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의 차양수단을 도시한 종방향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의 차양수단을 도시한 횡방향 단면도, 도 7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의 차양수단을 내린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의 차양수단을 개방한 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모자장착용 차양장치(100)는, 이용자의 얼굴 전면부와 측면부를 가려서 차양하는 차양수단(110)과, 상기 차양수단(110)을 모자(101)의 챙(105)에 장착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수단(150)으로 구성한다.
상기 차양수단(110)은, 모자(101)의 챙(105)에 결합되는 장착수단(150)과 연결되어 이용자의 얼굴 측면부로 조사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측면커버(111)와, 상기 측면커버(111)와 결합되어 측면커버(111)에 대하여 전방과 상방으로 회동개폐하면서 이용자의 얼굴 전면부로 조사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전면커버(112)로 구성한다.
상기 측면커버(111)와 전면커버(112)는 합성수지 필름 재질로 차양코팅 또는 UV코팅을 수행하거나 또는 유색이나 불투명한 필름 재질로 구성하는 형태, 측면 및 전면커버(111,112)의 표면에 유색 및 불투명한 시트를 부착하는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측면커버(111)는 이용자의 얼굴측면을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원형상의 좌측판(113)과 우측판(114)으로 구성하고, 상기 좌,우측판(113,114)의 연접위치에는 좁은 형태의 연결목부(115)를 돌출시킨다.
상기 연결목부(115)는 경첩(116)으로 연결하여 분리하였을 때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좌,우측판(113,114)의 형상을 본원의 설명과 도면에서는 원형상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므로 원형상으로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좌,우측판(113,114)의 중앙위치에는 후술하는 좌,우측행거 및 전면커버(112)의 양단부와 결합하기 위한 장착홀(117)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홀(117) 아래위치(좌,우판의 하단 방향)에는 좌,우측판(113,114)이 좌우측행거와 결합된 후 유동(장착홀을 기점으로 회동하는 형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유동방지홀(118)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커버(112)는 눈 아래부터 턱까지 가릴 수 있는 정도의 높이(H)을 가지고 양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인 밴드타입의 전면커버바디(120)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커버바디(120)의 양단부에는 좌,우측판(113,114)의 장착홀(117)과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커버장착홀(121)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좌,우측판(113,114)의 장착홀(117)과 전면커버바디(120)의 커버장착홀(121)에는 장착수단(150)과 분해결합하기 위한 좌측행거(125)와 우측행거(126)를 결합한다.
상기 좌,우측행거(125,126)는, 폭에 비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형태의 행거바디(127)를 구비하고, 상기 행거바디(127)의 상측에는 내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형태의 연결립(128)을 일체로 형성하여 결합시 모자(101)의 챙(105)이 가지는 곡률과 유사한 곡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행거바디(127)의 중간 위치에는 체결홀(129)을 형성하여 좌,우측판(113,114)과 전면커버바디(120)에 형성되는 장착홀(117)과 커버장착홀(121)을 일치시킨 후 볼트(130)와 너트(131)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전면커버바디(120)는 좌,우측판(113,114)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홀(129)의 아래위치에는 좌,우측판(113,114)에 형성되는 커버유동방지홀(118)과 일치되게 행거유동방지홀(132)을 형성하여 볼트 너트 또는 핀과 같은 구성의 유동방지수단(133)으로 단속하여 좌,우측판(113,114)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립(128)의 상단 위치에는 장착수단(150)과 걸어서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홀(135)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홀(135) 아래위치에 형성하는 조절홀(136)에는 조절볼트(137)를 결합하여 조절볼트(137)의 몸체단부(138)가 장착수단(150)과 연접되어 좌,우측행거(125,126)의 벌어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절볼트(137)의 헤드(139)는 좌,우측판(113,114)에 형성되는 제어홀(140)을 통하여 제어하여 좌,우측판(113,114)의 벌어짐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장착수단(150)은, 모자(101)의 챙(105) 양측에 결합할 수 있도록 상판(151)과 하판(152)의 외측을 연결부(153)로 연결하여 내측에 입구(154)를 형성하고 모자(101)의 챙(105)이 삽입될 수 있는 챙홈(155)을 형성한 개략 ⊃형상과 ⊂형상의 좌장착바디(156)와 우장착바디(157)를 구비한다.
상기 좌,우장착바디(156,157)의 하판(152) 외측 위치에는 개략 ㄴ형상의 행거걸이구(158)를 형성하여 좌,우측행거(125,126)의 연결홀(135)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우장착바디(156,157)의 하판(152) 내측 위치에는 볼트홀(159)를 형성하여 단속볼트(160)를 결합하여 모자(101) 챙(105)과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볼트홀(159) 위치의 상판(151) 저면 양측에는 폭 방향으로 스파이크돌기(165)를 일체로 형성하여 단속볼트(160)와 함께 챙(105)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좌,우측행거(125,126)와 장착수단(150)은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을 통하여 구성하여도 되고,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금속으로 압출성형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모자장착용 차양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자(101)의 챙(105) 양측에 장착수단(150)을 구성하는 좌장착바디(156)와 우장착바디(157)를 결합하고, 장착수단(150)에 차양수단(110)을 결합하여 모자(101)를 착용하면 차양수단(110)을 구성하는 측면커버(111)에 의하여 이용자의 얼굴 측면부가 차양되고, 측면커버(111)에 결합된 전면커버(112)를 전방으로 향하게 하면 이용자의 얼굴 전면부가 차양되고, 전면커버(112)를 회동시켜 챙(105)의 아래에 위치시키면 개방되는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장착수단(150)을 챙(105)에 결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좌우장착바디(156,157)의 입구(154)를 챙(105)과 일치시킨 후 강하게 밀어 챙홈(155)에 챙(105)이 결합되도록 한 후 단속볼트(160)로 조여 쉽게 분리 또는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는 단속볼트(160)가 챙(105)을 조여주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단속볼트(160) 위치의 상판(151) 저면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파이크돌기(165) 또한 챙(105)과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도록 하는 데 일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장착수단(150)의 결합이 완료된 후에는 차양수단(110)을 결합하여 이용자의 얼굴 전면부와 측면부로 조사되는 햇빛을 차양하도록 하면 되는 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양수단(110)을 구성하는 측면커버(111)와 전면커버(112)를 결합한 좌,우측행거(125,126)를 구성하는 행거바디(127)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립(128)의 연결홀(135)을 장착수단(150)의 행거걸이구(158)와 결합함으로서 완료된다.
이와 같이 결합이 완료된 후에는 연결립(128)에 더 결합한 조절볼트(137)의 몸체단부(138)가 장착바디(156)의 하판(152)과 연접되어 좌,우측판(113,114)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좌,우측판(113,114)의 벌어짐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좌,우측판(113,114)에 형성되는 제어홀(140)을 통하여 조절볼트(137)의 헤드(139)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몸체단부(138)의 돌출정도를 달리함으로서 많이 벌어지게 또는 적게 벌어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햇빛의 조사정도 또는 이용자의 신체 상태에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좌,우측행거(125,126)에 결합된 좌,우측판(113,114)은 볼트(130)와 너트(131)에 의하여 중앙부가 결합되고, 그 하방에 유동방지수단(133)으로 한 번 더 단속하고 있으므로 좌,우측판(113,114)이 유동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좌,우측판(113,114)에 대하여 전면커버(112)를 회동시켜 개폐 가능하게 되는 데, 전면커버(112)를 잡고 전방으로 회동시켜 이용자의 얼굴 전방에 위치시키면 햇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전면커버(112)를 잡고 상방으로 회동시키면 좌,우측판(113,114)의 연결목부(115)와 경첩(116) 아래방향에 위치하여 이용자의 얼굴 전면부가 개방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차양장치(100)를 모자(101)로부터 이탈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장착수단(150)을 챙(105)으로부터 분리하고, 장착수단(150)에 대하여 차양수단(110)을 분리하여도 되나, 장착수단(150)은 챙(105)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차양수단(110)만 분리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좌,우측행거(125,126)를 장착수단(150)으로부터 이탈시키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경첩(116)을 기준으로 챙(105)에 결합된 반대방향으로 접으면 좌,우측판(113,114)이 좌,우측행거(125,126)가 서로 연접되는 형태로 접혀지게 되고, 전면커버(111) 또한 사용하는 반대 방향으로 라운딩되는 형태로 접혀지게 되므로 휴대하거나 보관하는 과정에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손상 등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의 측면커버접철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의 측면커버접철수단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 도시된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의 측면커버접철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다른 예로서는, 모자장착용 차양장치(100)의 차양수단(110)을 구성하는 측면커버(111)의 좌,우측판(113,114)이 상당히 큰 반원형상으로 구성됨으로 인하여 경첩(116)을 이용하여 절반 크기로 접는다 하여도 실질적인 사이즈가 A4 크기이기 때문에 이용자들이 휴대하고 다니는 데 또는 보관하는 데 많은 불편이 따른다.
본 고안에서는 측면커버(111)를 구성하는 좌,우측판(113,114)의 절반을 접어서 크기와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측면커버접철수단(18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커버접철수단(180)은, 좌,우측판(113,114)을 구성하는 전방좌,우측판(181)과 후방좌,우측판(182)의 중간위치에 종방향으로 분할선(183)을 형성하고, 상기 분할선(183)의 상,하측에는 접철을 가능하게 하는 경첩(184)을 장착하여 좌,우측판(113,114)을 구성하는 전,후방좌,우측판(181,182)이 접철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는 상기 전,후방좌,우측판(181,182)의 중간위치에 종방향으로 분할선(183)을 형성하지 않고 접철선(185)을 형성하고, 별도의 경첩을 장착하지 않고 접철선(185)에 의하여 전,후방좌,우측판(181,182)이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 접철선(185)의 경우에는 접고자 하는 방향으로 V형상의 미세한 깊이를 가지는 접철그루브(186)를 형성하고, 상기 접철그루브(186)의 반대 방향에는 접철그루브(186) 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작동그루브(187)를 형성하고, 상기 접철그루브(186)와 작동그루브(187) 사이에는 소정의 두께(T)를 가지고 전,후방좌,우측판(181,182)를 연결하는 연결부(188)를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서 전,후방좌,우측판(181,182)의 분리 없이도 자유롭게 접철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측면커버접철수단(180)의 사용은 모자(101)에 장착할 경우에는 겹첩(184) 또는 접철선(185)을 이용하여 접혀져 있던 전,후방좌,우측판(181,182)을 펼쳐서 측면커버(111)를 구성하는 좌,우측판(113,114)이 완성되도록 하여 이용자의 얼굴 측방으로 조사되는 햇빛을 차양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모자(101)로부터 분리하여 보관하거나 휴대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후방좌,우측판(181,182)을 모자(101)로부터 분리한 후 겹첩(184) 또는 접철선(185)을 기준으로 전,후방좌,우측판(181,182)이 절반 크기로 접혀지도록 함으로서 차양수단(110)의 크기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게 되므로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들어 측면커버절철수단(180)이 없는 차양수단(110)을 구성하는 측면커버(111)의 경우에는 경첩(116)을 기준으로 좌,우측판(113,114)이 절반으로 접혀지게 되나 이 경우에도 실질적인 크기는 A4크기에 해당하기 때문에 상당히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측면커버접철수단(180)을 통하여 좌,우측판(113,114)이 한번 던 절반 크기로 접혀질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사이즈는 A4 보다는 더 작은 사이즈로 줄어들기 때문에 보관과 더불어 휴대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에 있어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조사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차양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하면서 장착수단과 차양수단의 분해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 접철을 통하여 부피와 크기를 대폭 줄여 휴대와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모자장착용 차양장치 101; 모자
105; 챙 110; 차양수단
111; 측면커버 112; 전면커버
113; 좌측판 114; 우측판
120; 전면커버바디 125; 좌측행거
126; 우측행거 127; 행거바디
128; 연결립 137; 조절볼트
140; 제어홀 150; 장착수단
156; 좌장착바디 157; 우장착바디
158; 행거걸이구 160; 단속볼트
165; 스파이크돌기 180; 측면커버접철수단
181; 전방좌측판 182; 후방우측판
184; 경첩 185; 접철선

Claims (4)

  1. 이용자의 얼굴 측면부로 조사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측면커버(111)와, 상기 측면커버(111)와 결합되어 측면커버(111)에 대하여 전방과 상방으로 회동개폐하면서 이용자의 얼굴 전면부로 조사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전면커버(112)로 구성되는 차양수단(110)과;
    상기 차양수단(110)을 모자(101)의 챙(105)에 장착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수단(150)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면커버(111)는, 이용자의 얼굴 측면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좌측판(113) 및 우측판(114)과, 상기 좌,우측판(113,114)의 연접위치에 돌출시키는 연결목부(115)와, 상기 연결목부(115)를 연결하여 좌,우측판(113,114)을 접철가능하게 하는 경첩(116)과, 상기 좌,우측판(113,114)의 중앙위치에 좌,우측행거 및 전면커버(112)의 양단부와 결합하도록 형성하는 장착홀(117)과, 상기 장착홀(117) 아래위치에 좌,우측판(113,114)이 좌,우측행거와 결합 후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형성하는 커버유동방지홀(118)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커버(112)는, 눈 아래부터 턱까지 가릴 수 있는 정도의 높이(H)을 가지고 양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밴드타입의 전면커버바디(120)와, 상기 전면커버바디(120)의 양단부에 좌,우측판(113,114)의 장착홀(117)와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커버장착홀(121)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측판(113,114)의 장착홀(117)과 전면커버바디(120)의 커버장착홀(121)에는 장착수단(150)과 분해결합하기 위한 좌측행거(125)와 우측행거(126)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모자장착용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행거(125,126)는, 폭에 비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행거바디(127)와;
    상기 행거바디(127)의 상측에 내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연결립(128)과;
    상기 행거바디(127)의 중간 위치에 형성하여 좌,우측판(113,114)과 전면커버바디(120)에 형성되는 장착홀(117) 및 커버장착홀(121)을 일치시켜 볼트(130)와 너트(131)로 고정할 수 있게 하는 체결홀(129)와;
    상기 체결홀(129)의 아래위치에 좌,우측판(113,114)에 형성되는 커버유동방지홀(118)과 일치되게 형성하여 유동방지수단(133)으로 단속하여 좌,우측판(113,114)의 유동을 방지하는 행거유동방지홀(132)과;
    상기 연결립(128)의 상단 위치에 장착수단(150)과 걸어서 결합할 수 있게 형성하는 연결홀(135)과;
    상기 연결홀(135) 아래위치에 형성하는 조절홀(136)과 결합하는 조절볼트(137)와;
    상기 조절볼트(137)의 몸체단부(138)는 장착수단(150)과 연접되어 좌,우측행거(125,126)의 벌어짐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하고, 상기 조절볼트(137)의 헤드(139)는 좌,우측판(113,114)에 형성되는 제어홀(140)을 통하여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장착용 차양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111)를 구성하는 좌,우측판(113,114)의 절반을 접어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측면커버접철수단(18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측면커버접철수단(180)은, 좌,우측판(113,114)을 구성하는 전방좌,우측판(181)과 후방좌,우측판(182)의 중간위치에 종방향으로 형성하는 분할선(183)과, 상기 분할선(183)에 접철을 가능하게 경첩(184)을 장착하여 좌,우측판(113,114)을 구성하는 전,후방좌,우측판(181,182)이 접철될 수 있도록 구성거나 또는;
    상기 전,후방좌,우측판(181,182)의 중간위치에 접고자 하는 방향으로 형성하는 접철그루브(186)와, 상기 접철그루브(186)의 반대 방향에 형성하는 작동그루브(187)와, 상기 접철그루브(186)와 작동그루브(187) 사이에 전,후방좌,우측판(181,182)를 연결하는 연결부(188)를 포함하는 접철선(185)을 형성하여 좌,우측판(113,114)을 구성하는 전,후방좌,우측판(181,182)이 접철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장착용 차양장치.
KR2020210003491U 2021-06-04 2021-11-17 모자장착용 차양장치 KR20049691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757 2021-06-04
KR20210001757 2021-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923U KR20220002923U (ko) 2022-12-13
KR200496919Y1 true KR200496919Y1 (ko) 2023-06-02

Family

ID=84391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491U KR200496919Y1 (ko) 2021-06-04 2021-11-17 모자장착용 차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91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692Y1 (ko) * 2003-09-04 2003-12-11 유광선 투명 차양이 구비된 모자
KR200486062Y1 (ko) * 2017-11-17 2018-05-14 최종주 차양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164U (ko) * 1999-05-31 1999-09-06 조영만 접히는모자
KR200468535Y1 (ko) 2013-02-05 2013-08-19 최종주 차양 마스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692Y1 (ko) * 2003-09-04 2003-12-11 유광선 투명 차양이 구비된 모자
KR200486062Y1 (ko) * 2017-11-17 2018-05-14 최종주 차양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923U (ko) 202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6645A (en) Sunshade cap with a double layer visor
US6647554B1 (en) Cap having versatile sunglass retainer and sunglass retaining method
US7735154B2 (en) Protective ear appliance
KR200450004Y1 (ko) 차양기능을 가지는 가면
US20100095977A1 (en) Hair band with retractable eye wear and removable decorative cover
US20140173811A1 (en) Unit composed of helmet and protective eye mask
US9848664B2 (en) Eyewear retaining head covering
KR200468535Y1 (ko) 차양 마스크
TW202300046A (zh) 具有定位點的頭飾
KR200344884Y1 (ko) 차양패널을 구비한 모자
NZ323846A (en) Sunshade or hat having a foldable visor
KR200496919Y1 (ko) 모자장착용 차양장치
KR200486062Y1 (ko) 차양 마스크
US20200268085A1 (en) Adjustable headwear
BR112021014328A2 (pt) Boné com aba alta
US5704062A (en) Sun visor
KR20180128616A (ko) 머리띠 겸용 얼굴 차양모자
KR101163379B1 (ko) 통기성을 향상시킨 모자
KR101666935B1 (ko)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KR101621521B1 (ko) 차양막과 호흡기 위치 맞춤형 마스크를 구비하는 모자
KR200449863Y1 (ko) 마스크용 리본이 달린 모자
BR112021009663A2 (pt) aparelho e método para proteger aprimoramentos cosméticos
DE102014101559B4 (de) Kopfbedeckung
KR200180250Y1 (ko) 머리띠 겸용 차양모
CN220236148U (zh) 一种头围可调型帽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