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866Y1 - 특수하게 고안된 단열부를 채용한 원통형 배관용 전기히터자켓 - Google Patents

특수하게 고안된 단열부를 채용한 원통형 배관용 전기히터자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866Y1
KR200496866Y1 KR2020210002832U KR20210002832U KR200496866Y1 KR 200496866 Y1 KR200496866 Y1 KR 200496866Y1 KR 2020210002832 U KR2020210002832 U KR 2020210002832U KR 20210002832 U KR20210002832 U KR 20210002832U KR 200496866 Y1 KR200496866 Y1 KR 2004968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pipe
thickness
electric heater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8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600U (ko
Inventor
이시성
Original Assignee
김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현 filed Critical 김상현
Priority to KR20202100028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866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6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6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8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8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 H01L21/67103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mainly by cond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8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the conductor being embedded in an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8Heating hoses; Heating co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종전의 두께 30T 이상의 두꺼운 단열재를 채용한 전기히터자켓의 경우, 단열재 두께로 인해 배관(500)에 장착 시 힘주어 당겨 결착해야 하므로 압력에 의해 단열재 일면에 주름(900)이 형성되어 배관과의 밀착도와 단열효과를 감소시키고 또한 배관(500)에 장기간 장착하면 단열재와 외피재가 늘어나 자켓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장착의 불편함, 밀착도 및 단열 효과 감소, 자켓의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점를 해결하고 보완하기 위하여, 다수의 절개선(100c)이 형성된 두께 20T 이상의 주 단열재(100a)와 상대적으로 폭이 길고 두께가 얇은 고밀도 소재의 보조 단열재(100b)가 결합되어 형성된 특수 구조의 이중 단열부(100)를 채용하여 완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관용 전기히터자켓에 관한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특수하게 고안된 단열부를 채용한 원통형 배관용 전기히터자켓{Electrical Heater Jacket for cylinderical pipe employing specially designed insulation}
본 고안은 유체가 흐르는 배관의 외주 표면을 둥글게 감싸고 통전에 의하여 배관을 가열해주는 전기히터자켓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생산 시설 등에 설치되는 각종 원통형 배관의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적정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배관의 외주 표면을 감싸 덮고 통전에 의해 발열을 하여 배관에 열을 전달해 주는 전기히터자켓이 상용되고 있다.
상기의 전기히터자켓은 기본적으로 내피, 열선이 배치된 내열성클로스, 단열재, 외피 및 결착부재를 공통 요소로 구성되며 여기에 사용되는 단열재는 주로 유리섬유, 실리카 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의 무기질 소재로 제작된 울(Wool) 또는 펠트(Felt) 형태의 판상 구조로서 소재별 물리적 특성과 목표 단열 효과에 따라 다양한 두께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종전의 자켓을 배관에 장착하기 위하여 자켓을 배관 외주면에 감싸 돌리고 자켓 양측의 단면 부위가 서로 완전히 밀착되도록 외피에 부착된 결착부재를 힘주어 당기고 조여서 견고하게 장착하는데, 이 때 배관 원주를 따라 곡면을 형성하는 자켓 내부의 단열재는 자체의 두께와 가해지는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배관 외주 표면과 마주하는 단열재의 일면에 배관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주름이 생성되어 배관과의 밀착도가 감소되어 단열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배관의 외주 직경이 작고 단열재가 두꺼울수록 더욱 그러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기히터자켓이 배관에 견고히 장착된 상태에서는 외피와 결착부재 및 단열재에 인장력이 작용하므로 장기간 경과하면 점차 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자켓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주로 두께 30T 이상의 두꺼운 단열재를 채용해야 하는 전기히터자켓의 경우에 발생하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종전의 전기히터자켓은 내부의 두꺼운 단열재로 인해 배관 원주를 따라 곡면으로 부드럽게 휘기가 용이하지 않아 배관에 장착할 때 외피에 결합된 결작부재를 힘주어 당겨야 하는 불편함과 이로 인한 외피의 늘어짐으로 자켓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또한 배관 외주 표면에 마주하는 단열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주름으로 인해 배관 표면과의 밀착도 및 단열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특수하게 고안된 단열부를 채용한 전기히터자켓의 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전기히터자켓에 채용되는 단열부(100)는, 일면에 다수의 절개선(100c)이 배관(500)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주 단열재(100a)와, 주 단열재(100a)의 절개선(100c)이 형성된 일면에 포개어져 배치되는 보조 단열재(10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절개선(100c)은 주 단열재(100a)가 완전히 절단되지 않도록 주 단열재(100a)의 두께 t(20)보다 얕은 깊이(40)로 커터(800)를 사용하여 형성시키며, 바람직하게는 절개되지 않고 남은 주 단열재(100a)의 두께가 10T~15T 로 되도록 한다.
상기의 보조 단열재(100b)는 곡면 형성이 용이한 얇은 두께의 단열재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약 10T 두께의 고밀도 소재의 단열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단열재(100a)의 폭은 배관 외주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재단하고, 상기 보조 단열재(100b)의 폭은 배관의 외주 반지름 r (30)과 상기 주 단열재(100a)의 두께 t(20) 합산한 총 반지름(r+t)에 대한 원주 길이{2π(r+t)}와 동일한 길이로 재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 단열재(100a)의 절개선(100c)이 형성된 일면과 보조 단열재(100b)의 일면을 포개고 폭 방향의 양 끝단을 맞추어 시침으로 각각 결합함으로써 두 단열재 사이에 공간(100d)이 형성되는 이중 단열부(100)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이중 단열부(100)를 채용한 전기히터자켓을 완성하기 위하여, 단열부(100)의 배관과 마주하는 일면에는 소정의 패턴으로 배치된 열선(300a)이 결합된 내열성 클로스(300)와 내피(200)를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단열부(100)의 다른 일면에는 결착부재(400a)가 결합된 외피(400)를 배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피(200)의 폭과 길이는 상기 주 단열재(100a)보다 길게 재단하여 단열부(100)의 사방 측면으로 돌려 덮을 수 있게 하고, 상기 외피(400)의 폭과 길이는 상기 보조 단열재(100b)와 동일하게 재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전기히터자켓에 채용되는 단열부(100)의 주 단열재(100a)와 보조 단열재(100b) 사이에는 공간(100d)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주 단열재(100a)의 일면에 다수의 절개선(100c)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전기히터자켓을 배관에 감아 돌리면 상기 공간(100d) 내에서 주 단열재(100a)의 절개선(100c)들의 틈새(10)가 유연하게 벌어지므로 내열성 클로스(300)와 접하는 주 단열재(100a)의 일면에 주름(900)을 형성시키지 않아 배관과의 밀착도가 향상되어 단열 효과의 저하를 방지해준다.
또한, 상기의 절개선(100c)의 틈새(10)의 벌어진 상단 부위가 상기 단열부(100) 내부의 주 단열재(100a)의 일면에 맞닿게 되어 배관(500) 길이 방향과 나란히 길고 좁은 다수의 공기 포켓(10)들을 형성하므로 단열 효과를 보강하여 준다.
또한, 상기 외피(400)와 보조 단열재(100b)의 폭은 주 단열재(100a)의 두께(20)를 반영하여 배관(500) 원주 길이와 동일한 주 단열재(100a)의 폭보다 넓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전기히터자켓을 배관에 감싸 돌려 장착할 때 외피(400)와 단열부(100)에 압력이 작용하지 않아 무리한 힘을 주어 결착부재(400a)를 당길 필요가 없고 장기간 장착에 따른 외피(400)와 단열부(100)의 늘어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전기히터자켓의 내구성 유지에 도움을 준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부를 채용한 전기히터자켓을 펼친 상태의 정면 도시 분해도와 배관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부를 채용한 전기히터자켓을 배관에 장착한 상태의 종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개선 형성 보조 도구의 평면도 및 절개선 형성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종전의 일반적인 전기히터자켓을 배관에 장착한 상태의 종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유사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이에 대한 다양한 균등물 내지 대체물과 변형 예들이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첨부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도면 부호와 상관없이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부(100)를 채용한 원통형 배관용 전기히터자켓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반도체 등의 생산공정에 설치되는 각종 원통형 배관의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적정 온도 유지를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전기히터자켓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일면에 접하고 소정의 패턴으로 열선이 배치된 내열선 클로스; 배관 외주 표면과 일면을 접하고 상기 내열성 클로스와 다른 일면을 접하는 내피재; 상기 단열재의 다른 일면에 접하고 결착부재가 결합된 외피재;를 기본 요소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단열부(100)를 채용한 전기히터자켓은, 주로 두께 20T 이상의 두꺼운 단층 판상형 구조의 단열재를 채용한 종전의 전기히터자켓을 배관(500)에 장착할 때 배관 외주 면과 마주하는 단열재 일면에 형성되는 주름(900)으로 인해 단열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와 또한 외피재에 결합된 결착부재에 힘을 주어 당겨 결착해야 하는 불편함과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전기히터자켓의 내구성 저하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특수하게 고안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단열부(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부(100)를 채용한 전기히터자켓을 펼친 상태의 정면 분해도와 배관의 종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단열부(100)는 주 단열재(100a)와 보조 단열재(100b)가 결합된 이중 구조로 이루어 진다.
상기 주 단열재(100a)는 유리섬유, 실리카 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의 무기질 소재로 제작된 울(Wool) 또는 펠트(Felt) 형태일 수 있으며 주로 20T 이상의 두께로 성형된 판상 구조일 수 있다.
상기의 주 단열재(100a)는 배관(500) 외주와 동일한 길이의 폭으로 재단되고 일면에는 배관 길이 방향과 나란히 다수의 절개선(100c)이 형성된다.
도 4는 절개선(100c) 형성 보조판(700)의 평면도와 문구용 커터(800)를 이용하여 절개선(100c)을 형성하는 동작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절개선(100c)의 깊이(40)는 주 단열재의 두께(20)보다 얕은 깊이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주 단열재의 두께(20)의 절반 깊이 이상으로 형성하되 주 단열재(100a)의 절개되지 않고 남은 부위의 두께가 10T 이하가 되지 않도록 하며, 절개선 형성 보조판(700)과 일반 문구용 커터(800)를 이용하여 절개선(100c)을 편리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절개선 형성 보조판(700)을 주 단열재(100a)의 일면에 배치한 후 소정의 절개선(100c)의 깊이(40)만큼 커터(800)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하고 커터(800)를 슬릿(700a)에 끼워 커터홀더(800a)에 걸쳐서 일정하게 절개선(100c)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 단열재(100b)는 주 단열재(100a)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와 고밀도의 재질로 형성된 판상형 구조이며 바람직하게는 두께 10T의 고밀도 아라미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단열재(100b)는 배관(500)의 외주 반지름 r(30)에 상기 주 단열재(100a)의 두께 t(20)를 합산한 총 반지름(
Figure 112021106057804-utm00001
에 대한 원주 길이
Figure 112021106057804-utm00002
와 동일한 길이의 폭으로 재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주 단열재(100a)의 절개선(100c)이 형성된 일면과 보조 단열재(100b)의 일면을 포개고 절개선(100c) 길이와 나란한 방향의 양 끝단을 시침으로 결합하여 두 단열재 사이에 공간(100d)이 확보되는 이중 구조의 단열부(100)를 형성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의 단열부(100)를 채용한 전기히터자켓을 완성하기 위하여, 열선(300a)이 소정 패턴으로 고정 배치된 내열성 클로스(300)의 일면과 상기 단열부(100)의 주 단열재(100a)의 일면을 서로 맞대어 시침으로 결합하고, 내열성 클로스(300)의 다른 일면에는 내피(200)를 배치하고 서로 맞대어 시침으로 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내피(200)의 폭과 길이를 내열성 클로스(300)보다 더 길게 재단하여 단열부(100)의 사방 끝단의 개방된 측면으로 돌려 덮고 시침으로 결합하여 열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내피(200)가 결합된 단열부(100)의 보조 단열재(100b) 일면에 외피(400)의 결착부재(400a)가 제공된 일면과 다른 일면을 포개고 시침으로 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피(400)의 폭과 길이는 단열부(100)의 보조 단열재(100b)와 동일하게 재단하여 결합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와 같이 완성된 본 고안에 따른 단열부(100)을 채용한 전기히타자켓을 배관(500)에 감싸 돌려 장착한 상태의 종단면도와 외부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전기히터자켓을 배관(500)에 감아 돌려 장착하면 상기 단열부(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100d)에서 주 단열재(100a)의 일면에 형성된 절개선(100c)들의 틈새(10)가 유연하게 벌어지면서 틈새(10)의 상단 부위가 보조 단열재(100b)의 일면에 맞닿아 단열부(100)의 내부에 다수의 길고 좁은 공기 포켓(10)들이 형성되므로 단열 효과가 보강되고 아울러 주 단열재(100a)의 다른 일면에 도 5에 도시된 종전의 전기히터자켓의 문제점인 주름(900)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배관(500)과의 밀착도와 열 손실에 따른 단열 효과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피(400)와 결착부재(400a)에 무리한 힘을 주어 당기지 않고도 배관(500)에 견고히 장착할 수 있어 전기히터자켓의 내구성 유지에 도움을 주도록 고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0: 단열부
100a: 주 단열재 100b: 보조 단열재
100c: 절개선 100d: 단열부 내부의 공간
200: 내피
300: 내열성 클로스 300a: 열선
400: 외피 400a: 결착부재
500: 배관 600: 전원 리드선
700: 절개선 형성 보조판 700a: 슬릿
800: 커터 800a: 커터 홀더
900: 주 단열재의 주름
10: 주 단열재의 틈새, 공기 포켓 20: 주 단열재 두께(t)
30: 배관 외주면의 반지름(r) 40: 절개선 깊이

Claims (3)

  1. 반도체 제조설비 등에 설치되는 원통형 배관용 전기히터자켓에 있어서,
    일면에 배관(500)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절개선(100c)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배관(500) 원주 표면에 감으면 절개선(100c)의 틈새(10)가 벌어져 유연하게 곡면으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 단열재(100a);
    상기의 주 단열재(100a)보다 폭이 길고 얇은 두께로 형성된 보조 단열재(100b);
    상기 주 단열재(100a)의 절개선(100c)이 형성된 일면에 상기 보조 단열재(100b)의 일면을 포개어 폭의 좌우 양 끝단을 시침으로 결합한 것으로, 두 단열재 사이에 공간(100d)이 형성되는 구조의 이중 단열부(100);
    상기의 단열부(100)를 중심으로, 주 단열재(100a)의 일면에는 열선(300a)이 소정의 패턴으로 배치 고정된 내열성 클로스(300)와 내피(200)를 순차적으로 적층 결합하고, 보조 단열재(100b)의 일면에는 결착부재(400a)가 제공된 외피(400)를 결합하여 완성한 것으로, 배관 외주 곡면을 따라 휘어짐이 유연하고 단열 효과와 내구성이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관용 전기히터자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단열재(100a)는 두께가 30T 이상이고, 상기 절개선(100c)은 주 단열재(100a)의 절개되지 않고 남은 부위의 두께가 10T~15T 사이에서 형성되어 주 단열재(100a)가 완전히 절개되지 않으면서 곡면으로 휘어지기 용이한 두께로 고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자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단열재(100b)는, 주 단열재(100a)보다 상대적으로 고밀도의 소재로 두께가 10T~15T 사이에서 형성되어 휘어짐이 용이하고 폭이 배관의 외주 반지름(r)과 주 단열재(100a)의 두께 (t)를 합산한 총 반지름(r+t)에 대한 원주 길이{2π(r+t)}와 동일한 길이로 재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자켓;
KR2020210002832U 2021-09-14 2021-09-14 특수하게 고안된 단열부를 채용한 원통형 배관용 전기히터자켓 KR2004968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832U KR200496866Y1 (ko) 2021-09-14 2021-09-14 특수하게 고안된 단열부를 채용한 원통형 배관용 전기히터자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832U KR200496866Y1 (ko) 2021-09-14 2021-09-14 특수하게 고안된 단열부를 채용한 원통형 배관용 전기히터자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600U KR20230000600U (ko) 2023-03-21
KR200496866Y1 true KR200496866Y1 (ko) 2023-05-12

Family

ID=8572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832U KR200496866Y1 (ko) 2021-09-14 2021-09-14 특수하게 고안된 단열부를 채용한 원통형 배관용 전기히터자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86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9967A (ja) 2008-02-25 2009-09-03 Satoru Murayama 電熱ヒーター
KR101068361B1 (ko) 2010-05-26 2011-09-28 김성훈 유체 이송관 가열장치
JP2013020854A (ja) 2011-07-12 2013-01-31 Satoru Murayama 電熱ヒーター用基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226U (ko) * 2011-04-12 2012-10-22 주식회사 모간 일면에 절개부가 형성된 배관 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9967A (ja) 2008-02-25 2009-09-03 Satoru Murayama 電熱ヒーター
KR101068361B1 (ko) 2010-05-26 2011-09-28 김성훈 유체 이송관 가열장치
JP2013020854A (ja) 2011-07-12 2013-01-31 Satoru Murayama 電熱ヒーター用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600U (ko)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5680A (en) Curvable fibrous thermal insulation
JP2001508856A (ja) ラップ可能なスリーブ
US3222777A (en) Method for forming a miter joint for pipe insulation
JP2002295783A (ja) マントルヒ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NO314468B1 (no) Fremgangsmåte ved isolasjon av et rör med en rörformet hylse
KR200496866Y1 (ko) 특수하게 고안된 단열부를 채용한 원통형 배관용 전기히터자켓
EP0877892B1 (en) Heat reflective sleeve
EP3123072A1 (en) Insulation system for a pipe
JP5359922B2 (ja) 保護部材付電線
JP2017011799A (ja) 輻射熱遮蔽コルゲートチューブ形成用シート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US2578600A (en) Insulation device
KR101562238B1 (ko) 절개형 히터 자켓 및 절개형 히터 자켓 제조방법
JPH09140818A (ja) ケーブル又はケーブル管用防火カバー
US3196535A (en) Method of making insulated hose clamps
JP4667606B2 (ja) 流体移送用断熱管の製造方法
JP4956641B2 (ja) 流体移送用断熱管
KR101442563B1 (ko) 파이프 보온시트
KR20170120457A (ko) 진공단열패널을 이용한 hvac 덕트 및 그 연결체
KR101199956B1 (ko) 복합 배관재,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0599305B2 (en) Multi-shell formed piece with flexible insulating plates disposed between the walls of said formed piece
JP5582759B2 (ja) 電線固定具
KR102463406B1 (ko) 반도체 설비의 진공배관을 히팅하는 일체형 단열 히팅 자켓시스템
US1439653A (en) Composite heat insulation for piping
NO812631L (no) Boeybart, varmeisolert ledningsroer.
KR101293292B1 (ko) 파이프형 단열재 성형방법 및 파이프형 단열재를 구비한 히터 자켓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