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831Y1 - Seismic Bracket for base truss - Google Patents
Seismic Bracket for base trus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6831Y1 KR200496831Y1 KR2020210002673U KR20210002673U KR200496831Y1 KR 200496831 Y1 KR200496831 Y1 KR 200496831Y1 KR 2020210002673 U KR2020210002673 U KR 2020210002673U KR 20210002673 U KR20210002673 U KR 20210002673U KR 200496831 Y1 KR200496831 Y1 KR 20049683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rizontal
- bracket
- vertical
- spring
- earthquak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직부재에 결합되는 수직면; 상기 수직면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힌지축; 상기 제1힌지축을 통해 상기 수직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수평면; 상기 제1힌지축에 끼워지는 제1코일 스프링; 상기 수직면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수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thquake-resistant bracket for a lower truss, comprising: a vertical surface coupled to the vertical member; a first hinge axis provided above the vertical surface; a first horizontal surface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surface through the first hinge shaft; a first coil spring fitted to the first hinge shaf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horizontal surfac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surface.
Description
본 고안은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을 진행하지 않고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연결할 수 있으며, 코일 스프링과 스프링을 통해 내진 변위를 흡수함에 따라 내진 설계가 가능한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thquake-proof bracket for a lower truss, and more particularly, for a lower truss capable of seismic design by absorbing earthquake-resistant displacement through a coil spring and a spring, capable of connecting a vertical member and a horizontal member without welding, and It's about seismic brackets.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외장 마감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대리석이나 화강암, 알루미늄시트 패널 또는 복합단 열패널 등과 같은 건축용 외장재 패널은 사각 평판형으로 가공 제작되어 다수가 건축물에 부착되는데, 이러한 패널을 부착하기 위하여 벽체의 표면으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된 하지 트러스가 설치된다.In general, building exterior panels such as marble, granite, aluminum sheet panels, or composite insulation panels, which are widely used as interior and exterior finishing materials for buildings, are processed and manufactured in a square flat shape and many are attached to buildings. A base truss spaced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is installed.
이러한 하지 트러스는 통상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일정한 규격의 격자형 단위 모듈을 이루도록 형성된 금속 트러스로서 건축물의 슬라브나 외벽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Such a ground truss is usually a metal truss formed so that vertical members and horizontal members form a lattice-type unit module of a certain standard, and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a slab or outer wall of a building.
그러나 종래의 하지 트러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하지 트러스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부 마디마디를 용접을 통해 결합시키게 되는데, 용접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작업 도중 용접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위험성이 존재하게 된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upport truss has the following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lower truss, joints of vertical members and horizontal members are coupled through welding, and when welding is performed, there is a risk of fire due to welding during the work.
이와 함께, 종래의 하지 트러스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부 마디마디를 용접을 통해 결합시킴에 따라 내진 변위를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접을 진행하지 않고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연결하는 경우에도, 종래의 하지 트러스에는 내진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외부에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lower truss ha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absorb earthquake-resistant displacement as joints of vertical and horizontal members are coupled through welding. In addition, even when connecting the vertical member and the horizontal member without welding, the conventional lower truss does not have a separate device capable of absorbing the earthquake-resistant displacement, so the shock caused by the external force generated from the outside is absorbed. There are problems with not being able to do it.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을 진행하지 않고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연결할 수 있으며, 코일 스프링과 스프링을 통해 내진 변위를 흡수함에 따라 내진 설계가 가능한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connect vertical members and horizontal members without welding, and absorb seismic displacement through coil springs and springs, so that seismic design is possible. It's about seismic bracket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으로, 상기 수직부재에 결합되는 수직면; 상기 수직면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힌지축; 상기 제1힌지축을 통해 상기 수직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수평면; 상기 제1힌지축에 끼워지는 제1코일 스프링; 상기 수직면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수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An earthquake-resistant bracket for a lower trus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bracket for coupling a vertical member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member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ncludes a vertical surface coupled to the vertical member; a first hinge axis provided above the vertical surface; a first horizontal surface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surface through the first hinge shaft; a first coil spring fitted to the first hinge shaf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horizontal surfac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surfac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의 상기 제1코일 스프링은, 상기 제1힌지축에 끼워지는 제1코일부와, 상기 제1코일부 일측에서 상기 수직면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 연장부와, 상기 제1코일부의 타측에서 상기 제1수평면으로 연장되는 제1수평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il spring of the earthquake-proof bracket for a lower trus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first coil part inserted into the first hinge shaft, and a first coil part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coil part to the vertical plane. A first vertical extension part and a first horizontal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il unit to the first horizontal surface may be includ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은 상기 수직면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힌지축과, 상기 제2힌지축에 끼워지는 제2코일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수평면은 상기 제2힌지축을 통해 상기 수직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seismic bracket for a lower trus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further includes a second hinge shaft provided below the vertical surface and a second coil spring fitted to the second hinge shaft, and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surface through the second hinge shaf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의 상기 제2코일 스프링은, 상기 제2힌지축에 끼워지는 제2코일부와, 상기 제2코일부 일측에서 상기 수직면으로 연장되는 제2수직 연장부와, 상기 제2코일부의 타측에서 상기 제2수평면으로 연장되는 제2수평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oil spring of the earthquake-proof bracket for the lower trus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second coil part fitted to the second hinge shaft, and a second coil part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econd coil part to the vertical plane. 2 vertical extensions and a second horizontal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il unit to the second horizontal plan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은, 제1스프링이 끼워지는 제1중심봉과 상기 제1수평면의 일측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1스프링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대를 포함하는 제1연장 브라켓과, 상기 수평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1스프링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ismic bracket for a lower trus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first central bar into which a first spring is fitted and a first support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pring while bein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plane. 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extension bracket that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member and a first support bracket that supports one side of the first spring.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의 상기 제1지지 브라켓에는, 상기 제1중심봉이 통과하는 제1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면의 일측에는, 상기 제1연장 브라켓의 상기 제1지지대가 삽입되면서 끼워질 수 있는 제1삽입홈이 구비될 수 있다.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center rod passes is formed in the first support bracket of the earthquake-proof bracket for the lower trus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on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rface, the first extension bracket A first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irst support can be inserted while being inserted may be provid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은, 제2스프링이 끼워지는 제2중심봉과 상기 제2수평면의 일측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2스프링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대를 포함하는 제2연장 브라켓과, 상기 수평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2스프링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ismic bracket for a lower trus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second central bar into which a second spring is fitted and a second support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pring while bein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plane.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xtension bracket that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member and a second support bracket that supports one side of the second spring.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의 상기 제2지지 브라켓에는, 상기 제2중심봉이 통과하는 제2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면의 일측에는, 상기 제2연장 브라켓의 상기 제2지지대가 삽입되면서 끼워질 수 있는 제2삽입홈이 구비될 수 있다.A second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econd center rod passes is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bracket of the earthquake-proof bracket for the lower trus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on on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the second extension bracket A second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second support can be inserted while being inserted may be provided.
본 고안은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용접을 진행하지 않고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연결함에 따라 작업 도중 용접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thquake-resistant bracket for a lower truss, and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fire from occurring due to welding during operation by connecting a vertical member and a horizontal member without welding.
또한, 본 고안은 힌지축에 구비되는 코일 스프링과 연장 브라켓에 구비되는 스프링을 통해 내진 변위를 흡수함에 따라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absorbing shock generated by an external force by absorbing seismic displacement through a coil spring provided on the hinge shaft and a spring provided on the extension bracket.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을 통해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연결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1힌지축을 통해 제1수평면이 수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을 통해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연결하였을 때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수평부재에서 연장 브라켓과 지지 브라켓이 분리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연장 브라켓과 지지 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을 통해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연결하였을 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at a vertical member and a horizontal member are connected through a bracket for a lower tru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bracket for a lower tru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at a first horizontal plane is rotatably coupled to a vertical plane through a first hinge sh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vertical member and a horizontal member are connected through a bracket for a lower tru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at the extension bracket and the support bracket are separated from the horizontal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tension bracket and a support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when a vertical member and a horizontal member are connected through a bracket for a lower tru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is specification clarifies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plains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scloses embodiment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고안(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such as “include” or “can include” that can b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 the presence of a corresponding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that has been disclosed, and may include one or more additional functions, operations, or components. components, etc. are not limited. 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ar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is a gap between the element and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new components may exist i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upled” to another elem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no new element exists between the element and the other element. should be able t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고안은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용접을 진행하지 않고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연결할 수 있으며, 코일 스프링과 스프링을 통해 내진 변위를 흡수함에 따라 내진 설계가 가능한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thquake-proof bracket for a lower truss, which can connect a vertical member and a horizontal member without welding, and absorbs earthquake-resistant displacement through a coil spring and a spring, thereby enabling an earthquake-resistant bracket for a lower truss. will be.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10)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재(20)를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은 용접을 진행하지 않으면서 수직부재(10)와 수평부재(20)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1, the earthquake-proof bracket for the lower tru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bine a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직부재(10)와 수평부재(2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수직부재(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내측으로 파여진 제1안착홈(1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부재(2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내측으로 파여진 제2안착홈(21)이 구비될 수 있다. The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안착홈(11)이 구비된 상기 수직부재(10)와 상기 제2안착홈(21)이 구비된 상기 수평부재(20)의 테두리는 절개부가 없는 폐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dges of the
구체적으로,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수직부재(10)의 테두리 부분은 연속적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수직부재(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상기 제1안착홈(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 파이프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수평부재(20)의 테두리 부분은 연속적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수평부재(2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상기 제2안착홈(21)이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while the rim portion of the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안착홈(11)과 상기 제2안착홈(21)은 상기 수직부재(10)와 상기 수평부재(20)의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안착홈(11)과 상기 제2안착홈(21)에는 볼트(2)의 머리, 스토퍼, 돌기 등이 삽입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은 수직면(110), 제1수평면(210), 제1힌지축(220), 제1코일 스프링(230), 제2수평면(310)을 포함한다. 2 and 3, the earthquake-proof bracket for a lower tru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수직면(110)은 상기 수직부재(10)에 결합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직면(110)은 평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수직면(110)은 핀(1)을 통해 용접 없이 상기 수직부재(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면(110)에는 상기 핀(1)이 통과하기 위한 관통공(11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핀(1)은 상기 수직면(110)의 상기 관통공(111)을 통과하여 상기 수직부재(10)에 삽입될 수 있다. The
다만, 상기 수직면(110)을 상기 수직부재(10)에 결합하는 방법은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직면(110)은 용접 없이 다른 방법을 통해서도 상기 수직부재(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However, the method of coupling the
가령, 상기 수직면(110)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를 상기 수직부재(10)의 상기 제1안착홈(11)에 억지끼움하면서 상기 수직면(110)을 상기 수직부재(10)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직면(110)은 볼트, 너트 등을 통해 상기 수직부재(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힌지축(220)은 상기 수직면(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제1수평면(210)은 상기 제1힌지축(220)을 통해 상기 수직면(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3 , th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수평면(210)은 상기 수평부재(20)에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수평면(210)은 상기 수평부재(20)의 일측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1 and 2, the first
상기 제1수평면(210)은 볼트(2)와 너트(3)를 통해 상기 수평부재(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수평면(210)에는 제1관통공(21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볼트(2)의 머리를 상기 수평부재(20)의 상기 제2안착홈(21)에 끼워넣고, 상기 볼트(2)를 상기 제1수평면(210)의 상기 제1관통공(211)을 통과시킨다. 이후, 상기 너트(3)를 통해 상기 볼트(2)에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제1수평면(210)을 상기 수평부재(20)의 일측 상면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The first
다만, 상기 제1수평면(210)을 상기 수평부재(20)의 일측 상면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상기 볼트(2)와 상기 너트(3)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른 방법으로도 상기 제1수평면(210)을 용접없이 상기 수평부재(20)의 일측 상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However, the method of coupling the first
상기 제1코일 스프링(230)은 상기 제1힌지축(220)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제1코일 스프링(230)은 상기 수직면(110)과 상기 제1수평면(210)이 상기 수직부재(10)와 상기 수평부재(20)에 결합되어 있는 초기 상태로 탄성 복원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The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수평면(210)은 상기 제1힌지축(220)을 통해 상기 수직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내진 변위 또는 외력에 의한 변위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As the first
상기 제1수평면(210)이 내진 변위 또는 외력에 의한 변위를 흡수한 이후에는 다시 초기의 상태로 돌아가야 하며, 상기 제1코일 스프링(230)은 상기 수직면(110)과 상기 제1수평면(210)이 상기 수직부재(10)와 상기 수평부재(20)에 결합되어 있는 초기 상태로 탄성 복원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After the first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코일 스프링(230)은 상기 제1힌지축(220)에 끼워지는 제1코일부(231)와, 상기 제1코일부(231)의 일측에서 상기 수직면(110)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 연장부(232)와, 상기 제1코일부(231)의 타측에서 상기 제1수평면(210)으로 연장되는 제1수평 연장부(233)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 the
상기 제1코일부(231)는 상기 제1힌지축(220)에 끼워지는 것으로, 코일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제1수직 연장부(232)는 상기 제1코일부(231)의 일측에서 연장되면서 상기 수직면(110)에 접촉되는 것이다. The
상기 제1수직 연장부(232)를 통해 상기 수직면(110)에서 발생한 내진 변위 또는 외력에 의한 변위를 상기 제1코일부(231)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수직 연장부(232)를 통해 상기 제1코일부(231)에서 발생한 탄성 복원력을 상기 수직면(11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e first
상기 제1수평 연장부(233)는 상기 제1코일부(231)의 타측에서 연장되면서 상기 제1수평면(210)에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제1수평 연장부(233)를 통해 상기 수제1수평면(210)에서 발생한 내진 변위 또는 외력에 의한 변위를 상기 제1코일부(231)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수평 연장부(233)를 통해 상기 제1코일부(231)에서 발생한 탄성 복원력을 상기 제1수평면(21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The first
상기 제2수평면(310)은 상기 수직면(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수평면(310)은 상기 수평부재(20)에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수평면(310)은 상기 수평부재(20)의 타측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상기 제2수평면(310)은 볼트(2)와 너트(3)를 통해 상기 수평부재(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수평면(310)에는 제2관통공(31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볼트(2)의 머리를 상기 수평부재(20)의 상기 제2안착홈(21)에 끼워넣고, 상기 볼트(2)를 상기 제2수평면(310)의 상기 제2관통공(311)을 통과시킨다. 이후, 상기 너트(3)를 통해 상기 볼트(2)에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제2수평면(310)을 상기 수평부재(20)의 타측 하면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The second
다만, 상기 제2수평면(310)을 상기 수평부재(20)의 타측 하면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상기 볼트(2)와 상기 너트(3)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른 방법으로도 상기 제2수평면(310)을 용접없이 상기 수평부재(20)의 타측 상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However, the method of coupling the second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면(110)의 하부에는 제2힌지축(32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수평면(310)은 상기 제2힌지축(320)을 통해 상기 수직면(1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은 상기 제2힌지축(320)에 끼워지는 제2코일 스프링(33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상기 제2코일 스프링(330)은 상기 제2힌지축(320)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제2코일 스프링(330)은 상기 수직면(110)과 상기 제2수평면(310)이 상기 수직부재(10)와 상기 수평부재(20)에 결합되어 있는 초기 상태로 탄성 복원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The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수평면(310)은 상기 제2힌지축(320)을 통해 상기 수직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내진 변위 또는 외력에 의한 변위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As the second
상기 제2수평면(310)이 내진 변위 또는 외력에 의한 변위를 흡수한 이후에는 다시 초기의 상태로 돌아가야 하며, 상기 제2코일 스프링(330)은 상기 수직면(110)과 상기 제2수평면(310)이 상기 수직부재(10)와 상기 수평부재(20)에 결합되어 있는 초기 상태로 탄성 복원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After the second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코일 스프링(330)은 상기 제2힌지축(320)에 끼워지는 제2코일부(331)와, 상기 제2코일부(331)의 일측에서 상기 수직면(110)으로 연장되는 제2수직 연장부(332)와, 상기 제2코일부(331)의 타측에서 상기 제2수평면(310)으로 연장되는 제2수평 연장부(333)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 the
상기 제2코일부(331)는 상기 제2힌지축(320)에 끼워지는 것으로, 코일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제2수직 연장부(332)는 상기 제2코일부(331)의 일측에서 연장되면서 상기 수직면(110)에 접촉되는 것이다. The
상기 제2수직 연장부(332)를 통해 상기 수직면(110)에서 발생한 내진 변위 또는 외력에 의한 변위를 상기 제2코일부(331)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수직 연장부(332)를 통해 상기 제2코일부(331)에서 발생한 탄성 복원력을 상기 수직면(11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e second
상기 제2수평 연장부(333)는 상기 제2코일부(331)의 타측에서 연장되면서 상기 제2수평면(310)에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제2수평 연장부(333)를 통해 상기 수제2수평면(310)에서 발생한 내진 변위 또는 외력에 의한 변위를 상기 제2코일부(331)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수평 연장부(333)를 통해 상기 제2코일부(331)에서 발생한 탄성 복원력을 상기 제2수평면(31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The second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은, 상기 수직면(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수평면(210)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내진 변위를 흡수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직면(110)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는 제1수평면(210) 및 제2수평면(310)을 모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내진 변위를 흡수할 수도 있는 것이다. The earthquake-proof bracket for a lower tru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bsorb earthquake-resistant displacement by rotatably coupling the first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은 상술한 상기 제1수평면(210), 상기 제1힌지축(220), 상기 제1코일 스프링(230), 상기 제2수평면(310), 상기 제2힌지축(320), 상기 제2코일 스프링(330)을 통해 내진 변위 또는 외력에 의한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An earthquake-proof bracket for a lower tru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first
구체적으로, 지진 또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수직부재(10)에 대하여 상기 수평부재(20)가 상, 하로 회전하려는 변위를 상기 제1수평면(210), 상기 제1힌지축(220), 상기 제1코일 스프링(230), 상기 제2수평면(310), 상기 제2힌지축(320), 상기 제2코일 스프링(330)을 통해 흡수할 수 있게 된다. Specifically, the displacement to which the
지진 또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수직부재(10)에 대하여 상기 수평부재(20)가 상, 하로 회전하려는 변위가 발생할 때, 상기 수평부재(20)는 상기 수직부재(10)에 대하여 좌, 우로 흔들릴 수 있게 된다. When the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은, 지진 또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수직부재(10)에 대하여 상기 수평부재(20)가 좌, 우로 흔들리는 변위를 흡수하기 위해 제1연장 브라켓(240)과 제1지지 브라켓(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 earthquake-resistant bracket for a lower tru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연장 브라켓(240)은 제1스프링(241)이 끼워지는 제1중심봉(242)과, 제1수평면(210)의 일측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1스프링(241)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대(243)를 포함한다. 5 and 6, the
상기 제1연장 브라켓(240)은 상기 제1수평면(210)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1연장 브라켓(240)은 상기 제1지지대(243)를 통해 상기 제1수평면(21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1수평면(210)의 일측에는 상기 제1연장 브라켓(240)의 상기 제1지지대(243)가 삽입되면서 끼워질 수 있는 제1삽입홈(212)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삽입홈(212)에 상기 제1지지대(243)가 끼워지면서 상기 제1수평면(210)에 상기 제1연장 브라켓(240)이 연결될 수 있다. Specifically, a
상기 제1연장 브라켓(240)의 상기 제1지지대(243)의 일측에는 상기 제1스프링(241)이 끼워질 수 있는 제1중심봉(2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프링(241)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스프링(241)의 내부에 상기 제1중심봉(242)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1스프링(241)의 타측은 상기 제1지지대(243)와 접촉되면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A first
상기 제1지지 브라켓(250)은 상기 수평부재(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스프링(241)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지지 브라켓(250)은 핀(1)을 통해 상기 수평부재(20)에 고정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지지 브라켓(250)은 상기 제1스프링(241)의 일측과 접촉되면서 상기 제1스프링(241)을 지지하게 된다. The
즉, 상기 제1스프링(241)은 상기 제1중심봉(242)에 끼워지면서 상기 제1연장 브라켓(240)의 상기 제1지지대(243)와 상기 제1지지 브라켓(25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That is, the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연장 브라켓(240)과 상기 제1스프링(241)은 지진 또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수직부재(10)에 대하여 상기 수평부재(20)가 좌, 우로 흔들리는 변위를 흡수하면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구체적으로, 지진 또는 외력에 의해 상기 수직부재(10)에 대하여 상기 수평부재(20)에 좌, 우 변위가 발생할 때, 상기 제1수평면(210)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연장 브라켓(240)이 좌, 우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제1지지대(243)가 상기 제1스프링(241)을 압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스프링(241)의 일측과 접촉되어 있는 상기 제1지지 브라켓(250)은 상기 수평부재(20)에 고정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평부재(20)에 좌, 우 변위에 의해 상기 제1스프링(241)이 압축될 수 있게 된다.)Specifically, when left or right displacement occurs in the
상기 제1연장 브라켓(240)과 상기 제1스프링(241)을 통해 상기 수평부재(20)의 좌, 우 변위를 흡수한 이후에는 상기 제1연장 브라켓(240)이 다시 초기 위치로 돌아가야 하며, 상기 제1스프링(24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연장 브라켓(240)이 초기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게 된다. After absorbing the left and right displacement of the
상기 제1지지 브라켓(250)에는 상기 제1중심봉(242)이 통과하는 제1통공(25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통공(251)은 상기 수평부재(20)의 제2안착홈(21)에 안착될 수 있는 제1안착부(252)에 구비될 수 있다. A first through
상기 제1통공(251)은 상기 제1중심봉(242)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중심봉(242) 보다 큰 크기로 이루어지나, 상기 제1스프링(241)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스프링(241)이 상기 제1지지 브라켓(250)의 상기 제1안착부(252)와 접촉되면서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제1연장 브라켓(240)은 상기 제1수평면(210)과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제1지지 브라켓(250)은 상기 수평부재(20)의 일측 상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through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은, 상기 제2수평면(310)과 연결되는 제2연장 브라켓(340)과 상기 수평부재(20)의 타측 하면에 고정되는 제2지지 브라켓(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 earthquake-proof bracket for a lower tru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연장 브라켓(340)은 제2스프링(341)이 끼워지는 제2중심봉(342)과, 제2수평면(310)의 일측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2스프링(341)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대(343)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상기 제2연장 브라켓(340)은 상기 제2수평면(310)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2연장 브라켓(340)은 상기 제2지지대(343)를 통해 상기 제2수평면(31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2수평면(310)의 일측에는 상기 제2연장 브라켓(340)의 상기 제2지지대(343)가 삽입되면서 끼워질 수 있는 제2삽입홈(312)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삽입홈(312)에 상기 제2지지대(343)가 끼워지면서 상기 제2수평면(310)에 상기 제2연장 브라켓(340)이 연결될 수 있다. Specifically, at one side of the second
상기 제2연장 브라켓(340)의 상기 제2지지대(343)의 일측에는 상기 제2스프링(341)이 끼워질 수 있는 상기 제2중심봉(3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프링(341)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스프링(341)의 내부에 상기 제2중심봉(342)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2스프링(341)의 타측은 상기 제2지지대(343)와 접촉되면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The second
상기 제2지지 브라켓(350)은 상기 수평부재(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2스프링(341)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지지 브라켓(350)은 핀(1)을 통해 상기 수평부재(20)에 고정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지지 브라켓(350)은 상기 제2스프링(341)의 일측과 접촉되면서 상기 제2스프링(341)을 지지하게 된다. The
즉, 상기 제2스프링(341)은 상기 제2중심봉(342)에 끼워지면서 상기 제2연장 브라켓(340)의 상기 제2지지대(343)와 상기 제2지지 브라켓(35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That is, the
상기 제2연장 브라켓(340)과 상기 제2스프링(341)은 상기 제1연장 브라켓(240)과 상기 제1스프링(241)이 지진 또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수직부재(10)에 대하여 상기 수평부재(20)가 좌, 우로 흔들리는 변위를 흡수하면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상기 제2지지 브라켓(350)에는 상기 제2중심봉(342)이 통과하는 제2통공(35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통공(351)은 상기 수평부재(20)의 제2안착홈(21)에 안착될 수 있는 제2안착부(352)에 구비될 수 있다. A second through hole 351 through which the second
상기 제2통공(351)은 상기 제2중심봉(342)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중심봉(342) 보다 큰 크기로 이루어지나, 상기 제2스프링(341)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스프링(341)이 상기 제2지지 브라켓(350)의 상기 제2안착부(352)와 접촉되면서 지지될 수 있다. The second through hole 351 is made of a size larger than the
이와 같이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은 상기 제1수평면(210), 상기 제1힌지축(220), 상기 제1코일 스프링(230), 상기 제2수평면(310), 상기 제2힌지축(320), 상기 제2코일 스프링(330), 상기 제1스프링(241)이 구비된 상기 제1연장 브라켓(240), 상기 제1지지 브라켓(250), 상기 제2스프링(341)이 구비된 상기 제2연장 브라켓(340), 상기 제2지지 브라켓(350)을 통해 지진 또는 외력에 의한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earthquake-resistant bracket for a lower tru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s the first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earthquake-proof bracket for the lower tru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은 용접을 진행하지 않고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연결함에 따라 작업 도중 용접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earthquake-proof bracket for a lower tru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fire from occurring due to welding during operation as the vertical member and the horizontal member are connected without welding.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은 힌지축에 구비되는 코일 스프링과 연장 브라켓에 구비되는 스프링을 통해 내진 변위를 흡수함에 따라 지진 또는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earthquake-resistant bracket for a lower tru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earthquake-resistant displacement through a coil spring provided on a hinge shaft and a spring provided on an extension bracket, thereby absorbing shock generated by an earthquake or external force. There are advantages.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수직부재 11...제1안착홈
20...수평부재 21...제2안착홈
110...수직면 111...관통공
210...제1수평면 211...제1관통공
212...제1삽입홈 220...제1힌지축
230...제1코일 스프링 231...제1코일부
232...제1수직 연장부 233...제1수평 연장부
240...제1연장 브라켓 241...제1스프링
242...제1중심봉 243...제1지지대
250...제1지지 브라켓 251...제1통공
252...제1안착부 310...제2수평면
311...제2관통공 312...제삽입홈
320...제2힌지축 330...제2코일 스프링
331...제2코일부 332...제2수직 연장부
333...제2수평 연장부 340...제2연장 브라켓
341...제2스프링 342...제2중심봉
343...제2지지대 350...제2지지 브라켓
351...제2통공 352...제2안착부10...
20...
110...
210... 1st
212...
230 ...
232... first
240...
242... 1st
250 ...
252...
311... second through
320 ...
331...
333... second
341...
343...
351... second through hole 352... second seat
Claims (8)
상기 수직부재에 결합되는 수직면;
상기 수직면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힌지축;
상기 제1힌지축을 통해 상기 수직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수평면;
상기 제1힌지축에 끼워지는 제1코일 스프링;
상기 수직면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수평면을 포함하며,
제1스프링이 끼워지는 제1중심봉과, 상기 제1수평면의 일측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1스프링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대를 포함하는 제1연장 브라켓과,
상기 수평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1스프링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A bracket for combining a vertical membe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member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vertical surface coupled to the vertical member;
a first hinge axis provided above the vertical plane;
a first horizontal surface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surface through the first hinge shaft;
a first coil spring fitted to the first hinge shaft;
And a second horizontal surfac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surface,
A first extension bracket including a first central bar into which a first spring is fitted, and a first support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pring while bein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rface;
The earthquake-proof bracket for the lower trus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support bracket coupled to the horizontal member and supporting one side of the first spring.
상기 제1코일 스프링은,
상기 제1힌지축에 끼워지는 제1코일부와, 상기 제1코일부 일측에서 상기 수직면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 연장부와, 상기 제1코일부의 타측에서 상기 제1수평면으로 연장되는 제1수평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il spring,
A first coil part inserted into the first hinge shaft, a first vertical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coil part to the vertical plane, and a first coil part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il part to the first horizontal plane. An earthquake-proof bracket for a lower trus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orizontal extension.
상기 수직면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힌지축과,
상기 제2힌지축에 끼워지는 제2코일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수평면은 상기 제2힌지축을 통해 상기 수직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hinge shaft provided below the vertical plan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il spring fitted to the second hinge shaft,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surface through the second hinge shaft.
상기 제2코일 스프링은,
상기 제2힌지축에 끼워지는 제2코일부와, 상기 제2코일부 일측에서 상기 수직면으로 연장되는 제2수직 연장부와, 상기 제2코일부의 타측에서 상기 제2수평면으로 연장되는 제2수평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According to claim 3,
The second coil spring,
A second coil part inserted into the second hinge shaft, a second vertical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econd coil part to the vertical plane, and a second coil part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il part to the second horizontal plane. An earthquake-proof bracket for a lower trus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orizontal extension.
상기 제1지지 브라켓에는,
상기 제1중심봉이 통과하는 제1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면의 일측에는, 상기 제1연장 브라켓의 상기 제1지지대가 삽입되면서 끼워질 수 있는 제1삽입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According to claim 1,
In the first support bracket,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central rod passes is formed,
An earthquake-proof bracket for a lower truss,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irst support of the first extension bracket is inserted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rface.
제2스프링이 끼워지는 제2중심봉과, 상기 제2수평면의 일측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2스프링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대를 포함하는 제2연장 브라켓과,
상기 수평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2스프링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extension bracket including a second central rod into which a second spring is fitted, and a second support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pring while bein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The earthquake-proof bracket for the lower trus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support bracket coupled to the horizontal member and supporting one side of the second spring.
상기 제2지지 브라켓에는,
상기 제2중심봉이 통과하는 제2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면의 일측에는, 상기 제2연장 브라켓의 상기 제2지지대가 삽입되면서 끼워질 수 있는 제2삽입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트러스용 내진 브라켓.According to claim 7,
In the second support bracket,
A second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econd central rod passes is formed,
An earthquake-proof bracket for a lower truss,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second support of the second extension bracket is inserted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10002673U KR200496831Y1 (en) | 2021-08-30 | 2021-08-30 | Seismic Bracket for base trus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10002673U KR200496831Y1 (en) | 2021-08-30 | 2021-08-30 | Seismic Bracket for base trus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0477U KR20230000477U (en) | 2023-03-07 |
KR200496831Y1 true KR200496831Y1 (en) | 2023-05-10 |
Family
ID=85508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10002673U KR200496831Y1 (en) | 2021-08-30 | 2021-08-30 | Seismic Bracket for base trus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6831Y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87484B2 (en) * | 1991-08-27 | 2001-07-11 | ミリケン・リサーチ・コーポレーション | Colorant having branched poly (oxyalkylene) component and intermediates thereof |
KR200397372Y1 (en) * | 2005-07-04 | 2005-10-04 | 에이텍 산업 주식회사 | A pressing clamp for pannel support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M465529U (en) * | 2013-07-08 | 2013-11-11 | U K Technology Corp | Fixing structure for light steel frame device |
KR20200112459A (en) * | 2019-03-22 | 2020-10-05 | (주)엔아이스틸 | Bracket for base truss |
-
2021
- 2021-08-30 KR KR2020210002673U patent/KR200496831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87484B2 (en) * | 1991-08-27 | 2001-07-11 | ミリケン・リサーチ・コーポレーション | Colorant having branched poly (oxyalkylene) component and intermediates thereof |
KR200397372Y1 (en) * | 2005-07-04 | 2005-10-04 | 에이텍 산업 주식회사 | A pressing clamp for pannel suppor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0477U (en) | 2023-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19308B1 (en) | Access floor module equipped with three-dimensional seismic isolation device | |
KR101497144B1 (en) | Aseismic constructing method and aseismic device of computation equipment on the access floor | |
JP4683579B1 (en) | Reinforcement structure for wooden buildings | |
JP2015021574A (en) | Vibration-reduction stopper structure and vibration-proofing frame with vibration-reduction stopper structure | |
JP4893061B2 (en) | Viscous vibration damping device and base-isolated building equipped with the same | |
KR200496831Y1 (en) | Seismic Bracket for base truss | |
JP5137991B2 (en) | Tower crane mast horizontal support device | |
JP6209784B2 (en) | Anti-vibration stopper structure and anti-vibration stand having the anti-vibration stopper structure | |
JP5027490B2 (en) | Seismic ceiling structure, ceiling vibr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the ceiling vibration control device | |
JP5568343B2 (en) | Vibration control device for wooden buildings | |
JP4522091B2 (en) | Tower crane mast horizontal support device | |
JP2007182698A (en) | Connecting support device and working machine | |
KR20150106259A (en) | Device for supporting pipe of ship | |
KR102247871B1 (en) | Earthquake-proof stopper with variable structure | |
JP2005146780A (en) | Mounting metal piece | |
JP4191687B2 (en) | Damping damper connector, damping damper, and building damping structure | |
JP3666659B2 (en) | Seismic reinforcement bracket | |
JP6940945B2 (en) | Damping structure | |
JP6013204B2 (en) | Seismic reduction device | |
JP6143102B2 (en) | Building damping structure and building equipped with the same | |
KR200496583Y1 (en) | Seismic pedestal | |
JP4110405B2 (en) | Panel support and panel body | |
JP6148911B2 (en) | Anti-vibration stopper structure and anti-vibration stand having the anti-vibration stopper structure | |
JP2005171515A (en) | Vibration damping device | |
KR102632233B1 (en) | A cut system having a vibration absorption interior materia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