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634Y1 -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634Y1
KR200496634Y1 KR2020200001311U KR20200001311U KR200496634Y1 KR 200496634 Y1 KR200496634 Y1 KR 200496634Y1 KR 2020200001311 U KR2020200001311 U KR 2020200001311U KR 20200001311 U KR20200001311 U KR 20200001311U KR 200496634 Y1 KR200496634 Y1 KR 2004966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bite
alignment device
hole
head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376U (ko
Inventor
김남일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00001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634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3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3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6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6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92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using markers or indicia for aiding patient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61B6/0421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with immobilising means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엑스선 촬영 장치의 엑스선 촬영을 위해 수진자를 정렬하는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는, 일단을 상기 수진자가 물 수 있고, 타단에 자석이 형성된 바이트부; 및 상기 자석의 자기력에 기반하여 상기 바이트부가 부착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Apparatus for arranging a examinees's Head of dental in dental clinic and x-ray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고안은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 기술 분야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엑스선(X-ray) 촬영 장치는 엑스선을 인체에 조사하고, 인체 내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인체 내부의 이상을 검출한다.
특히 엑스선(X-ray) 촬영 장치 중에서도 치과에서 주로 사용되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는 영상 생성의 목적물인 치아 및 치조골의 영상을 하나의 이차원 평면에 생성할 수 있어, 교정치료의 예후 판단, 치아의 맹출 상태 확인, 치조골의 높이 확인 등 다양한 진단 목적에 요긴하게 활용되고 있다. 또한 엑스선(X-ray) 촬영 장치 중에 치과용 CT 촬영 장치는 임플란트 시술 등을 위해 치조골의 두께, 주요 신경의 위치 등 해부학적 구조물의 상태를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이 치과에서 진단 목적으로 활용되는 엑스선(X-ray) 촬영 장치는 일반적으로 제너레이터로부터 발생된 엑스선을 조사하고, 수진자의 신체를 일부 투과하거나 또는 투과하지 않고 도달하는 엑스선을 상기 제너레이터와 마주보는 센서를 통해 수광한다. 그 다음, 수광된 엑스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투영 데이터를 획득한다. 특히 이러한 엑스선 촬영 장치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너레이터와 센서를 회전시키면서 엑스선을 연속 조사 및 수광하여 엑스선 영상 데이터의 생성에 필요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엑스선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인 수진자 두부의 정확한 엑스선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수진자 두부를 엑스선 촬영 장치의 정확한 촬영 위치에 정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정렬을 위해 상기 엑스선 촬영 장치는 수진자의 두부를 정렬하기 위한 정렬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정렬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형태 중 하나는 수진자가 물 수 있는 형태의 바이트를 구비하는 것이다. 즉, 수진자가 바이트를 물고 있는 동안 엑스선 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바이트는 위생상 일회용이나 세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정렬 장치에 구비된 베이스에 탈부착 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베이스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이트는 상기 홀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홀의 공차를 관리하여야 하는 부담이 발생할 수 있디. 또한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상기 홀이 마모되어 헐거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트를 제거하려 외력을 가할 경우, 상기 베이스의 일부 구성이 딸려 올라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장시간 사용에도 바이트의 부착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바이트의 탈착이 용이하고 불필요한 부대 동작을 방지하는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공차 관리의 어려움이 해소된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고안의 엑스선 촬영 장치의 엑스선 촬영을 위해 수진자를 정렬하는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는, 일단을 상기 수진자가 물 수 있고, 타단에 자석이 형성된 바이트부; 및 상기 자석의 자기력에 기반하여 상기 바이트부가 부착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바이트부가 부착되는 경우, 상기 바이트부의 상기 타단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수진자가 턱을 거치할 수 있는 턱받이부; 및 상기 턱받이부와 조립되어 상기 턱받이부를 지지하는 바이트블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턱받이부에 형성되는 제1 홀; 및 상기 바이트블록부에 형성되어 상기 턱받이부와 상기 바이트블록부가 조립되는 경우 상기 제1 홀과 이어지는 제2 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턱받이부는 상기 자석에 끌리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바이트블록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자석에 끌리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석은, 상기 바이트부의 표면에 서로 다른 극성을 나타내도록 배치된 제1 자석 및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홀의 벽면 또는 상기 벽면의 내부에, 상기 바이트부의 상기 타단이 상기 홀에 삽입된 경우 상기 제1 자석에 끌리는 제3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에 끌리는 제4 자석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이트부는, 상기 자석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이트부의 상기 타단의 외면은 테이퍼 형상으로 생성되어, 상기 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자석의 운동에 의해 전류가 발생하는 코일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고안의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의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는 장시간 사용에도 헐거워 지지 않고 바이트의 부착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는 바이트의 탈착이 용이하고 바이트의 탈거 시 다른 부품이 딸려오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불필요한 부대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는 공차 관리의 어려움이 해소되어 제조 시 비용 부담을 절감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엑스선 촬영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에서 엑스선 촬영을 위한 수진자의 정렬 상태를 나타내는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버팀대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 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시의 간략화 및 명료화를 위해, 도면은 일반적 구성 방식을 도시하고, 본 고안의 설명된 실시 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고안의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유사한 참조부호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엑스선 촬영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엑스선 촬영 장치(10)는 수진자의 신체의 해부학적 구조의 형상을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300)을 촬영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촬영 장치(10)는 받침대(190), 지지기둥(185), 모니터(175), 갠트리(Gantry)(113), 제너레이터(111), 센서(112), 손잡이(195) 및 헤드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엑스선 촬영 장치(10)는, 치과용 두부 촬영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10)는 엑스선 촬영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촬영부(110)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수진자 두부(400)의 엑스선 영상을 생성하는 엑스선 영상 생성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너레이터(111)는 엑스선을 생성하여 수진자(400)에 조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센서(112)는 상기 수진자(400)를 투과한 상기 엑스선을 수광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너레이터는 엑스선관을 포함하여 상기 엑스선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는 실시 예에 따라 CMOS 또는 CCD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스선 촬영부(110)는, 제너레이터(111) 및 센서(112)가 부착되고 회전축(114)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갠트리(113)와, 상기 회전축(114)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너레이터(111)와 센서(112)는 상기 갠트리(113)라고 불리는 회전 수단의 양 끝단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갠트리(113)는 수진자 두부(400)의 상하 방향의 직선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축(114)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받침대(190)는 엑스선 촬영 장치(10)의 스탠딩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장치(10)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대면하는 구성이고, 지지기둥(185)은 받침대(190)로부터 수직하게 기립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높낮이가 조절될 수도 있다.
모니터(175)는 사용자가 장치(10)의 사용(예컨대, 갠트리(113)의 회전, CT 촬영 시작 및 종료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다. 갠트리(113)는 장치(10) 상부의 헤드부(18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17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모니터(175)를 통해 장치(10)의 동작을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현재 장치(10)의 동작 또는 데이터 처리 작업의 진행 정보를 전달 받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모니터(175)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GUI를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에서 엑스선 촬영을 위한 수진자의 정렬 상태를 나타내는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갠트리(113), 제너레이터(111) 및 센서(112)는 'ㄷ'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진자 두부(400)는 그 사이에 위치되어 정렬된다. 이러한 갠트리(113), 제너레이터(111) 및 센서(112)의 조합을 C-arm이라 지칭하기도 한다.
수진자 두부(400)에서 치과 진단 시 주요하게 다뤄지는 부위는 치열과 턱 관절을 아우른다. 따라서, 치열과 턱 관절의 형상이 하나의 최종 엑스선 영상(300)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40)는, 상기 구동부(150)의 제어 입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부(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4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200)는 정렬부(220)는 베이스부(220) 및 바이트부(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200)는 엑스선 촬영 동안 상기 수진자(400)의 자세를 일 위치에 정렬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바이트부(210)는 상기와 같이 자세가 정렬되기 위해서 상기 수진자 (400)가 치아로 물 수 있는 부품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빗금 영역은 단면을 나타낸다. 이하의 도 6 내지 도 8의 빗금 영역 또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 5 (a)는 바이트부(210)와 베이스부(25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5 (b)는 상기 바이트부(210)는, 바이트부(210)가 상기 베이스부(250)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트부(210)는 일단을 상기 수진자(400)가 물 수 있고, 타단에 자석(2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211)의 자기력에 기반하여 상기 바이트부(210)가 상기 베이스부(22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5 (b)의 상하 화살표는 상기 수진자(400)가 치아 등으로 상기 바이트부(210)의 상기 일단을 물 경우 힘이 가해지는 방향 및 위치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220)는, 상기 바이트부(210)가 부착되는 경우, 상기 바이트부(210)의 상기 타단이 삽입되는 홀(25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이트부(210)는 자석의 힘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220)에 고정되므로 상기 홀(250)의 공차 관리를 엄밀하게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220)는 바이트블록부(223)와 턱받이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턱받이부(221)는 상기 수진자(400)가 턱을 괴는 부품일 수 있다.
상기 바이트블록부(223)는 상기 턱받이부(221)와 조립되어 상기 턱받이부(221)를 지지하는 부품일 수 있다.
상기 홀(250)은, 상기 턱받이부(221)에 형성되는 제1 홀(251); 및 상기 바이트블록부(223)에 형성되어 상기 턱받이부(221)와 상기 바이트블록부(223)가 조립되는 경우 상기 제1 홀(251)과 이어지는 제2 홀(252)을 포함할 수 있다(도 5 (b) 참조).
상기 턱받이부(221)는 상기 자석(211)에 끌리지 않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턱받이부(221)를 상기 자석(211)에 끌리지 않는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바이트부(210)의 탈거 동작 시에 상기 턱받이부(221)가 딸려 올라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하여 작업 효율을 증가 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턱받이부(221)는 합성수지 등의 비자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자석(211)이 당기는 힘에 반응하지 않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바이트블록부(223)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자석(211)에 끌리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바이트블록부(223)는 전체가 상기 자석(211)이 당기는 힘에 반응하여 끌리는 자성체(214)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바이트블록부(223)는 일부만이 상기 자석(211)이 당기는 힘에 반응하여 끌리는 자성체(214)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214)는 강자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자성체는 스틸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SUS(Stainless Use Steel)일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211)은, 제1 자석(215) 및 제2 자석(2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석(215) 및 제2 자석(216)은 상기 바이트부(210)의 표면에 서로 다른 극성을 나타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250)의 벽면 또는 상기 벽면의 내부에는, 상기 바이트의 상기 타단이 상기 홀(250)에 삽입된 경우 상기 제1 자석(215)에 끌리는 제3 자석(255) 및 상기 제2 자석(216)에 끌리는 제4 자석(256)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3 자석(255) 및 상기 제4 자석(256)은 상기 홀(2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자석(256)은 상기 제3 자석(255) 보다 상기 홀(250)의 끝단부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자석(216)은 제1 자석(215) 보다 상기 바이트부(210)의 상기 타단의 끝단부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바이트부(210)의 상기 타단이 상기 홀(25)에 진입하여 상기 제2 자석(216)이 상기 제3 자석(255)과 대면하는 동안 척력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 외력을 가해 제2 자석(216)이 제3 자석(255)을 지나치고 상기 제4 자석(256)을 만나면 제2 자석(216)과 제4 자석(256)의 인력에 의해 상기 바이트부(210)는 상기 베이스부(220)에 단단히 고정된다.
이를 통해 상기 바이트부(210)를 상기 홀(250)에 밀어 넣는 사용자는 상기 순차 발생하는 척력과 인력에 의해 '딸각'하는 느낌을 받게 되어 정확히 체결되었음을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척력의 작용에 의해 보다 정확한 위치에 상기 바이트부가 고정되는 효과도 발휘하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자석(215), 제2 자석(216)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제3 자석(255), 상기 제4 자석(256)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도 5 (a), (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트부(210)는, 상기 자석(211)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바이트부(210)는 합성수지 계열의 재료에 상기 자석(250)이 내입되는 인서트 사출 공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바이트부(210)의 상기 타단의 외면은 테이퍼 형상(219)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테이퍼 형상(219)과 상기 자석(210)의 자기력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상기 타단의 상기 외면은 상기 베이스부(220)에 단단히 밀착되고 상기 바이트부(210)는 상기 베이스부(220)에 의해 단단히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석(211)는 상기 타단의 끝부분에 내입 또는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220)의, 상기 홀(250)의 끝단 부분에는 상기 자석(211)에 끌리는 자성체(254)가 부착 또는 내입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220)는, 상기 자석(211)의 운동에 의해 전류가 발생하는 코일(2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225)은 상기 바이트부(210)의 상기 타단이 상기 홀(250)에 내입되는 동작이 발생하면, 전류가 유도되어 흐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류는 별도의 시각적 또는 청각적 수단에 인입되어 상기 바이트부(210)의 부탁 상태를 알리기 위한 동력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류에 포함된 전기적 신호는 상기 제어부(410)에서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에 포함된 전기적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바이트부(210)가 상기 베이스부(220)에 부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실시 예는 상기 홀(250)을 형성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상기 바이트부(210)는 상기 자석(211)의 힘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220)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도 9 (a) 참조).
상기 수진자(400)가 특정한 원인으로 도 9 (b)의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바이트부(210)에 힘을 가하는 경우, 상기 바이트부(210)가 상기 베이스부(220)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바이트부(210)의 상기 일단이 상기 수진자(400)의 구강 등에 상처를 내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9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보다 적은 힘으로 상기 바이트부(210)가 상기 베이스부(220)에서 이탈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에", "아래에" 등의 용어는,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고안의 실시 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 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 예를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연결된다', '연결하는', '체결된다', '체결하는', '결합된다', '결합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 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고안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엑스선 촬영 장치 110: 엑스선 촬영부
111: 제너레이터 112: 센서
113: 갠트리 114: 회전축
115: 이미지 데이터 저장부 140:제어부
150: 구동부
170: 엑스선 영상 생성부 175: 모니터
180: 헤드부 185: 지지기둥
190: 받침대 195: 손잡이
200: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 210: 바이트부
211: 자석 215: 제1 자석
216: 제2 자석 219: 테이퍼 형상
220: 베이스부
221: 턱받이부 223: 바이트블록부
225: 코일 250: 홀
251: 제1 홀 252: 제2 홀
254: 자성체
255: 제3 자석 256: 제4 자석
400: 수진자

Claims (9)

  1. 엑스선 촬영 장치의 엑스선 촬영을 위해 수진자의 자세를 정렬하는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로서,
    일단을 상기 수진자가 물 수 있고, 타단의 내부 또는 표면에 자석이 형성된 바이트부; 및
    상기 자석의 자기력에 기반하여 상기 바이트부가 부착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바이트부가 부착되는 경우, 상기 바이트부의 상기 타단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바이트부의 상기 표면에 상기 바이트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1 자석 및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홀의 벽면 또는 상기 벽면의 내부에, 상기 바이트부의 상기 타단이 상기 홀에 삽입된 경우 상기 제1 자석에 끌리는 제3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에 끌리는 제4 자석이 상기 홀의 길이 방향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수진자가 턱을 거치할 수 있는 턱받이부; 및
    상기 턱받이부와 조립되어 상기 턱받이부를 지지하는 바이트블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턱받이부에 형성되는 제1 홀; 및
    상기 바이트블록부에 형성되어 상기 턱받이부와 상기 바이트블록부가 조립되는 경우 상기 제1 홀과 이어지는 제2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턱받이부는 상기 자석에 끌리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바이트블록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자석에 끌리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자석은,
    상기 바이트부의 상기 타단이 상기 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석 및 상기 제3 자석 간에 척력이 발생한 후, 상기 제2 자석 및 상기 제4 자석 간에 인력이 발생하고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제3 자석 간에 인력이 발생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자석의 운동에 의해 전류가 발생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부의 상기 타단의 외면은 테이퍼 형상으로 생성되어, 상기 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부의 상기 타단이 상기 홀에 내입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코일에 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전류에 포함된 전기적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바이트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부착되었다고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KR2020200001311U 2020-04-17 2020-04-17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KR2004966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311U KR200496634Y1 (ko) 2020-04-17 2020-04-17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311U KR200496634Y1 (ko) 2020-04-17 2020-04-17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376U KR20210002376U (ko) 2021-10-27
KR200496634Y1 true KR200496634Y1 (ko) 2023-03-21

Family

ID=7826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311U KR200496634Y1 (ko) 2020-04-17 2020-04-17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63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7733B2 (ja) * 1994-05-19 2000-06-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マニホールド
KR200356521Y1 (ko) 2004-04-12 2004-07-15 주식회사 신흥 치과용 스탠드 엑스레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7733U (ja) * 1997-10-02 1998-04-24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X線撮影装置の頭部位置決め機構
KR101659178B1 (ko) * 2014-12-15 2016-10-0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X선 촬영장치
KR101659177B1 (ko) * 2014-12-15 2016-09-2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두부 정렬장치
KR101851063B1 (ko) * 2016-07-24 2018-04-23 이승환 부재를 부착시키는 자기력을 갖는 치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7733B2 (ja) * 1994-05-19 2000-06-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マニホールド
KR200356521Y1 (ko) 2004-04-12 2004-07-15 주식회사 신흥 치과용 스탠드 엑스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376U (ko)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8907B1 (ko) 구강 내 x선 촬영용 x선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내 x선 촬영 시스템
CA2913744C (en) Ultrasonic device for dental implant navigation
JP2004298560A (ja) カプセル内視鏡システム
KR20160078363A (ko) 치과 및 두개악안면 수술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및 마커 부재를 포지셔닝하는 포지셔닝 툴 및 방법
KR101643286B1 (ko)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456097B2 (en) X-ray generation apparatus for intra-oral X-ray imaging, guide holder, and intra-oral X-ray imaging system comprising same
KR101994522B1 (ko) 근적외선 기반 치아 진단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JP2009066412A5 (ko)
KR101223936B1 (ko) 엑스선 촬영장치
KR102203548B1 (ko) 치과용 ct 촬영 장치, 치과용 ct 촬영 장치의 정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659177B1 (ko) 치과용 두부 정렬장치
CN111031924A (zh) 经口腔超声探头和使用方法
JP4527200B1 (ja) 耳入桿支持機構および頭部x線規格写真撮影装置
KR200496634Y1 (ko)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KR20200129599A (ko) 치과용 파노라마 엑스선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2203618B1 (ko) 엑스선 영상 생성 방법, 엑스선 영상 생성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109883A (ko) 엑스선 영상 생성 방법, 엑스선 영상 생성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329304B1 (ko) 엑스선 촬영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20210055436A (ko) 아치 형태를 이용한 개인맞춤 치과용 파노라마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03610B1 (ko) 파노라마 영상 생성 방법, 파노라마 영상 생성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230181129A1 (en) Dental support block, and imaging device comprising same
KR101669430B1 (ko) 구강 내외의 광학적 영상 취득 장치
KR102253977B1 (ko) 치과용 두부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KR102203630B1 (ko) 엑스선 영상 생성 방법, 엑스선 영상 생성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203539B1 (ko) 수진자 두부 정렬 장치, 수진자 두부 정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